KR100635104B1 -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04B1
KR100635104B1 KR1020050033676A KR20050033676A KR100635104B1 KR 100635104 B1 KR100635104 B1 KR 100635104B1 KR 1020050033676 A KR1020050033676 A KR 1020050033676A KR 20050033676 A KR20050033676 A KR 20050033676A KR 100635104 B1 KR100635104 B1 KR 10063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inting unit
pressure
flat scree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437A (ko
Inventor
시로 이치노세
시게키 오카
도시히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날염유닛의 부하 하중의 변동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날염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와 그 구동원, 및 상기 날염유닛을 상승시키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동력보조수단을 구비한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에 있어서, 동력보조수단은 실린더,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으로 분할되는 실린더 내부의 두개의 에어챔버를 갖고, 에어공급수단에 의해 에어챔버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며, 상기 압력차를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 실린더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차에 의한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을 승강기구부에 작용시켜 보조동력을 발생시킨다.
플랫스크린, 날염기, 날염유닛, 동력보조수단, 에어챔버, 에어공급수단

Description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LIFT SYSTEM OF A PRINTING UNIT FOR A FLAT SCREEN PRINT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구비한 플랫스크린 날염기에서 날염유닛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구비한 플랫스크린 날염기에서 날염유닛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의 보조동력 에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의 보조동력 에어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날염유닛 4: 날염유닛 승강장치
5: 승강기구부 5a: 조작부재
6: 서보모터 7: 보조동력수단
7a: 실린더 7b: 피스톤로드
7d: 상부측 에어챔버 7e: 하부측 에어챔버
7f: 압축기(압축에어 공급수단) 7g: 감압밸브(압력조정수단)
7h: 감압밸브(압력조정수단)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날염유닛이 장착되고, 일정한 송출량으로 송출되어 오는 피날염물에 하나 이상 칼라의 인쇄날염을 실행하는 자동방식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류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는, 날염유닛의 하부측에 조립된 압축스프링을 보조동력수단으로서 이용하여 상기 날염유닛의 하강시에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날염유닛의 상승시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보조동력으로서 구현되도록 한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압축스프링은 설치공간의 제약에 의해 반발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특히 하한위치와 상한위치에서의 반발력 차이가 크고, 또한 부하 하중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치가 다른 압축스프링으로 바뀌거나, 부착되는 개수를 변경해야 하고,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이 어려우며, 특히 날염유닛이 부착된 테이블 이 연장되는 등, 상기 압축스프링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대처가 더욱더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동 중에 압축스프링의 튕김 방지를 위한 가이드에 마찰되기 때문에, 운동특성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날염유닛의 부하 하중의 변동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각고의 연구를 거듭하여 완성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날염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와 그 구동원, 및 상기 날염유닛을 상승시키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동력보조수단를 구비한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보조수단은 실린더,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으로 분할되는 실린더 내부의 두개의 에어챔버를 구비하고 에어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챔버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며 또한 상기 압력차를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 실린더기구로 이루어져, 상기 압력차에 의한 피스톤로드의 가압력을 승강기구부에 작용시켜 보조동력을 발생시키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일측의 에어챔버에는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에어챔버는 대기(大氣)로 해방시킴으로써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셋째, 일측의 에어챔버에는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에어챔버에는 저압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넷째,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왕복운동을 날염유닛의 승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를 피스톤 로드로 구성하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를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플랫스크린 날염기는, 포백(布帛) 등의 피인쇄체를 반송하기 위해서 풀리(1) 사이에 걸려 연결된 무한궤도벨트(2), 스크린테두리를 갖는 날염유닛(3), 날염유닛 승강장치(4),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도3과 같은 날염유닛 승강장치(4)는 승강기구부(5), 서보모터(6), 날염유닛(3)를 승강시키기 위한 서보모터(6)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동력보조수단(7)을 구비 하고, 무한궤도벨트(2)의 진행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도2는 날염유닛(3)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1은 날염유닛(3)을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승강기구부(5)는, 무한궤도벨트(2)의 진행방향에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부재(5a),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하이동샤프트(5b), 상하이동샤프트(5b) 및 조작부재(5a)를 연결하는 레버(5c)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샤프트(5b)에는 날염유닛(3)이 설치되고, 조작부재(5a)의 왕복운동을 상하이동샤프트(5b)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날염유닛(3)을 승강시킨다. 상기 조작부재(5a)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기구부(8)는, 서보모터(6)의 구동샤프트(61)에 커플링(8a) 등으로 연결되는 볼 스크류(8b), 볼 스크류(8b)와 결합하여 왕복운동하는 볼 너트(8c), 볼 스크류(8b)의 베어링(8d), 볼 너트(8c)의 슬라이드레일(8e), 볼 너트(8c)의 왕복운동범위를 설정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볼 너트(8c)에 조작부재(5a)가 핀연결되고, 볼 스크류(8b)의 정역회전운동을 볼 너트(8c)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며, 볼 너트(8c)의 직선운동에 의해 조작부재(5a)을 왕복운동시킨다.
상기 동력보조수단(7)은, 도1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스크린 날염기A의 부재A1에 부착체A2를 통해 부착된 실린더(7a), 조작부재(5a)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7b), 피스톤(7c)으로 기밀하게 분할되는 실린더(7a) 내부의 상부측 에어챔버(7d) 및 하부측 에어챔버(7e), 상기 두개의 에어챔버(7d, 7e)에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압축기(압축에어 공급수단)(7f), 및 상기 두개의 에어챔버(7d, 7e)의 압력차를 발생시키고 상기 압력차를 조정하는 감압밸브(압력조정수단)(7g, 7h)를 구비한 실린더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로드(7b)는, 조작부재(5a)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두 에어챔버(7d, 7e)의 압력차에 의한 피스톤 로드(7b)의 가압력을 승강기구부(5)에 작용시켜 보조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보조동력의 에어회로는, 도4 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4의 에어회로는, 일측의 에어챔버(하부측)에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에어챔버(상부측)에는 저압에어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도5의 에어회로는 일측의 에어챔버(하부측)에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에어챔버(상부측)에는 대기로 해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도4에 나타낸 에어회로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5에 나타낸 에어 회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압축기(7f)에서는 저압에어 공급통로(7i), 고압에어 공급통로(7j)로 분기되고, 저압에어 공급통로(7i)의 단부는 저압에어탱크(7m)를 경유하여 실린더(7a, 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에 연결되고, 고압에어 공급통로(7j)의 단부는 고압에어탱크(7q)를 경유하여 실린더(7a, 7a)의 하부측 에어챔버(7e)에 연결된다.
상기 저압에어 공급통로(7i)는, 감압밸브(7h), 전자밸브(7k), 역지밸브(7z), 및 저압에어를 저장하는 저압에어탱크(7m)를 구비한다. 상기 고압에어공급통로(7j)는, 감압밸브(7g), 전자밸브(7n), 역지밸브(7p), 및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고압에어탱크(7q)를 구비한다.
상기 저압에어탱크(7m)에는 압력계(7r), 압력스위치(7s) 및 전자밸브(7t)가 연결되고, 상기 고압에어탱크(7q)에는 압력계(7u), 안전밸브(7v) 및 전자밸브(7w)가 연결된다. 각 실린더(7a, 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 및 하부측 에어챔버(7e)에는 전자밸브(7x, 7y)각 각각 연결된다.
이하 전원공급에서 전원차단까지의 전자밸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공급될 경우, 회로전원은 온(on)되어 전자밸브(7k, 7n)를 온시켜 개방되고, 전자밸브(7x, 7y)를 온시켜 폐쇄로 전환시킴으로써 저압에어탱크(7m) 및 고압에어탱크(7q)내의 수분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몇초부터 몇십초 후에 전자밸브(7x, 7y)는 오프(off)되어 개방되고, 전자밸브(7t, 7w)는 온되어 폐쇄로 전환됨으로써 실린더(7a)내의 수분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몇초부터 몇십초후에 전자밸브(7x, 7y)는 온되어 폐쇄로 전환됨으로써 저압에어탱크(7m), 및 고압에어탱크(7q) 및 실린더(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 하부측 에어챔버(7e)에 압축에어가 공급되어 실린더(7a)의 두 에어챔버(7d, 7e)에는 압력차가 발생하여 보조동력이 발생된다.
또한, 이 때 압축에어에 미량 혼입된 오일 미스트(oil mist)에 의해 실린더(7a)의 두 에어챔버(7d, 7e)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이 때 전자밸브의 상태에 있어, 도면부호 7k, 7n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온되어 개방되고, 도면부호 7x, 7y, 7t, 7w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온되어 폐쇄되는 상태를 전원차단시까지 유지한다.
한편, 전원차단시에는 도면부호 7k, 7n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오프되어 폐쇄되고, 도면부호 7x, 7y, 7t, 7w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오프되어 개방되며, 저압에어탱크(7m) 및 고압에어탱크(7q)와 실린더(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 및 하부측 에어챔버(7e)의 압축에어를 대기로 개방한다.
상기 역지밸브(7p, 7z)는 실린더(7a)의 피스톤(7c)이 이동할 때에 압축에어의 역류를 방지하고, 에어챔버내의 에어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7a)의 동작은 종속적인 관계이고, 피스톤(7c)의 이동에 따라 에어챔버(7d, 7e)내의 에어압력은 항상 변화한다.
변화하는 형태는, 단열압축, 단열팽창에 가까운 상태이며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P1×V1 n = P2×V2 n P1, P2은 절대 압력으로 환산
↓ V1, V2은 용적
P2 = P1 (V1/V2)n n≒ 1.4(공기의 단열지수)
이하 하부측 에어챔버 및 상부측 에어챔버의 압력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부측 에어챔버(7e)의 에어압력 변화
감압밸브(7g)의 설정압력은, 실린더(7a)의 피스톤(7c)이 상부측 상한위치에 위치할 때 이루어지고, 이 때의 용적V1은, 실린더(7a)의 하부측 에어챔버(7e)와 고 압에어탱크(7q) 및 에어챔버(7e)와 고압에어탱크(7q) 두개가 연결된 배관내 용적의 합계가 된다. 이 때의 에어압력은 P1에 해당한다.
상기 실린더(7a)의 피스톤(7c)이 하부측 하한치에 위치할 때의 용적 V2는, 고압에어탱크(7q)와 연결배관의 용적은 바뀌지 않지만 두개의 하부측 에어챔버(7e)의 용적이 작아지므로 V1 > V2가 되고, 이 때의 압력은 P2가 된다.
따라서, 상기식
P2 = P1 (V1/V2)n 에 적용할 경우
P2 > P1 이 된다.
상기 고압에어탱크(7q)의 용적과 연결배관용적 및 실린더(7a)의 사이즈(내경, 이동량, 여유값)를 미리 설정해 둘 경우 계산에 거의 가까운 압력을 얻을 수 있다.
실제 테스트에 있어서, 고압측 감압밸브(7g)의 설정압력이 (피스톤(7c)이 상한위치에 위치) 0.5MPa(게이지 압력)에 대하여, P2(피스톤(7c)의 하한위치에서의 압력)는 0. 85MPa(게이지 압력)를 얻을 수 있었다.
상부측 에어챔버(7d)의 에어압력 변화
감압밸브(7k)의 설정압력은, 실린더(7a)의 피스톤(7c)이 하부측 하한위치에 위치할 때 이루어지고, 이 때의 용적 V1은 실린더(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와 저압에어탱크(7m) 및 상부측 에어챔버(7d)와 저압에어탱크(7m) 모두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내 용적의 합계가 된다. 이 때의 에어압력은 P1에 해당한다.
실린더(7a)의 피스톤(7c)이 상부측 상한위치에 위치할 때의 용적 V2는 저압에어탱크(7m)와 연결배관의 용적은 바뀌지 않지만 두개의 상부측 에어챔버(7d)의 용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V1 > V2가 되고, 이 때의 압력은 P2가 된다.
따라서, 상기식
P2 = P1 (V1/V2)n 에 적용할 경우,
P2 > P1이 된다.
저압에어탱크(7m)의 용적과 연결배관 용적 및 실린더(7a)의 사이즈(내경, 이동량, 여유값)를 미리 설정해 둘 경우 계산에 거의 가까운 압력을 얻을 수 있다.
실제 테스트에 있어서, 저압측 감압밸브(7k)의 설정압력(피스톤(7c)이 하한위치에 위치)이 0.05MPa(게이지 압력)에 대하여, P2(피스톤(7c)의 상한위치에서의 압력)는 0.09MPa(게이지 압력)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제 확인에 있어서, 실린더(7a)의 피스톤(7c)의 하한위치에서 피스톤(7c)을 상방향 가압으로 작용하는 에어압력은, 고압측 0.85MPa - 저압측 0.05MPa = 0.8MPa(게이지 압력)가 되고, 실린더(7a)의 피스톤(7c)이 상한위치에서 피스톤(7c)을 상방향 가압으로 작용시키는 에어압력은, 고압측 0.5MPa - 저압측 0.09MPa = 0.41MPa(게이지 압력)가 된다.
도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를 대기상태로 개방시킬 경우, 저압측은 상시 대기압력(게이지 압력 = 0)이기 때문에, 하한위치에서 피스톤(7c)을 상방향 가압으로 작용시키는 에어압력은 0.85MPa(게이지 압력), 상한위치에서 피스톤(7c)을 상방향 가압으로 작용시키는 에어압력은 0.5MPa(게이지 압력)가 되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상승한계 → 하강한계 → 상승한계 동작에 있어서의 에어압력은, 거의 직선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하한위치에서 에어압력이 상승하는 것은, 하강 정지시에 서보모터(6)의 정지 토크의 경감, 상승 개시시에는 서보모터(6)의 가속토크가 경감된다는 특징이 있다.
에어 소비량에 대해서는, 전원공급시 수분 제거를 위한 방출과 에어탱크(7m, 7q)와 실린더(7a)에 충전할 때에 압축에어를 소비하지만, 운전중에는 역지밸브(7p, 7z)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7a)를 에어댐퍼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압축에어의 소비량은 제로(Zero)이지만, 패킹 부분으로부터 극히 미량의 누출 부분만이 소비된다.
이상의 플랫스크린 날염기A는, 서보모터(6)가 정회전할 경우, 승강 기구부(5)의 볼 너트(8c) 및 조작부재(5a)는 이동하여 날염유닛(3)을 상승시킨다. 이 때, 동력보조수단(7)의 실린더(7a, 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 및 하부측 에어챔버(7e)의 압력차에 의한 보조동력이 조작부재(5a)를 통하여 날염유닛(3)에 작용한다. 다음으로 서보모터(6)가 역회전할 경우, 볼 너트(8c) 및 조작부재(5a)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날염유닛(3)을 하강시킨다. 이 때에도, 동력보조수단(7)의 실린더 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에어챔버(7d, 7e)의 압력차에 의한 보조동력이 날염유닛(3)에 작용한다.
또한, 날염유닛(3)의 부하 변동에 대하서는 압력을 감압밸브(7g, 7h)에 의해 상기 압력차를 적절하게 변경한다.
또한, 날염유닛(3)을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는 스퀴지의 압접, 주행에 의해 무한궤도벨트(2)상의 피인쇄체에 인쇄모양이 형성되고, 이 후 날염유닛(3)을 상승시켜 피인쇄체를 스크린으로부터 이격한다. 다음의 피인쇄체가 무한궤도벨트(2)상에 세팅되면 날염유닛(3)을 다시 하강시켜서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인쇄한 피인쇄체는 무한궤도벨트(2)의 회전에 의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건조기로 공급되어 색호(色糊)의 건조가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5에 나타낸 에어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의 에어회로에 있어 실린더(7a, 7a)의 상부측 에어챔버(7d)는 상시 외부를 향해서 해방되어 있어, 저압에어 공급통로나 저압에어탱크 등은 구비되지 않는다. 압축기(7f)에 연결되는 고압에어 공급통로(7j)의 단부는 고압에어탱크(7q)를 경유하여 실린더(7a, 7a)의 하부측 에어챔버(7e)에 연결된다.
상기 고압에어 공급통로(7j)는, 감압밸브(7g), 전자밸브(7n), 역지밸브(7p), 및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고압에어탱크(7q)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압에어탱크(7q)에는 압력계(7u), 안전밸브(7v), 압력스위치(7s) 및 전자밸브(7w)가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7a)의 하부측 에어챔버(7e)에는, 전자밸브(7y)가 연결된다.
이하, 전원공급에서 전원차단까지의 전자밸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공급시, 회로전원을 온(on)하여 전자밸브(7n)는 온되어 개방되고, 전자밸브(7y)는 온되어 폐쇄로 전환됨으로써 고압에어탱크(7q)내의 수분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몇초부터 몇십초 후에 전자밸브(7y)는 오프되어 개방되고, 전자밸브(7w)는 온되어 폐쇄로 전환됨으로써 실린더(7a)내의 수분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몇초부터 몇십초 후에 전자밸브(7y)는 온되어 개방으로 전환됨으로써 고압에어탱크(7q) 및 실린더(7a)의 하부측 에어챔버(7e)에 압축에어가 공급되어 실린더(7a)의 두개의 에어챔버(7d, 7e)에 압력차가 발생되어 보조동력이 발생된다.
이 때의 전자밸브의 상태는, 도면부호 7n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온되어 개방되고, 도면부호 7y, 7w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온되어 폐쇄 상태를 전원차단시까지 유지한다.
전원차단시에는 도면부호 7n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오프되어 폐쇄되고, 도면부호 7y, 7w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오프되어 개방되어, 고압에어탱크(7q)와 실린더(7a)의 하부측 에어챔버(7e)의 압축에어를 대기로 개방한다.
이와 같이, 일측의 에어챔버(하부측)에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에어챔버(상부측)은 대기로 해방되도록 해도, 날염유닛의 부하 하중의 변동에 대처할 수 있고, 설비 비용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날염유닛의 승강장치에 따르면, 동력보조수단은 실린더,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으로 구획된 실린더 내부의 두개의 에어챔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이 구비되고, 두개의 에어챔버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며, 상기 압력차를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 실린더 기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급하는 에어 압력에 의해 압력차를 조정함으로써, 가압력(부하를 갖는 상승력)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부하 변동에 따른 보조동력의 조정을 신속하고 간단히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실린더를 에어댐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원활한 운동특성을 얻을 수 있고, 더욱 에어탱크의 크기(용적)를 임의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에서의 반발력의 차이를 임의로 설계할 수 있고, 날염유닛의 승강 조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 탱크의 크기(용적)를 임의로 설계할 경우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에서의 반발력의 차이를 임의로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날염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부 및 그 구동원, 및 상기 날염유닛을 상승시키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동력보조수단을 구비한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보조수단은, 실린더, 피스톤 로드, 피스톤으로 구획된 실린더 내부의 두개의 에어챔버를 갖고 에어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챔버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며 상기 압력차를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 실린더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차에 의한 상기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을 승강기구부에 작용시켜 보조동력을 발생시키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의 상기 에어챔버에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상기 에어챔버에는 대기로 해방시킴으로써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의 상기 에어챔버에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타측의 상기 에어챔버에 저압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왕복운동을 날염유닛의 승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피스톤 로드로 구성하는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KR1020050033676A 2004-06-24 2005-04-22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KR100635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6536 2004-06-24
JP2004186536A JP4239007B2 (ja) 2004-06-24 2004-06-24 フラットスクリーン捺染機の捺染ユニット昇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437A KR20060047437A (ko) 2006-05-18
KR100635104B1 true KR100635104B1 (ko) 2006-10-17

Family

ID=3571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676A KR100635104B1 (ko) 2004-06-24 2005-04-22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39007B2 (ko)
KR (1) KR100635104B1 (ko)
CN (1) CN100509391C (ko)
TW (1) TWI2643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05B1 (ko) * 2007-06-21 2009-06-2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날염기의 인쇄유니트 승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7876B (zh) * 2010-08-09 2015-06-03 湖州惠盛机械有限公司 平网印花机网板与刮刀分离装置
CN107399156B (zh) * 2017-08-01 2019-07-26 南京杜赛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印刷用调节装置
CN108790382A (zh) * 2018-06-05 2018-11-13 湖州韩汇进出口有限公司 一种圆网印花机及使用方法
CN113135024B (zh) * 2021-04-09 2023-05-16 绍兴乾雍纺织有限公司 一种体育用瑜伽垫印花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05B1 (ko) * 2007-06-21 2009-06-2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날염기의 인쇄유니트 승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39007B2 (ja) 2009-03-18
JP2006007532A (ja) 2006-01-12
KR20060047437A (ko) 2006-05-18
CN100509391C (zh) 2009-07-08
CN1712220A (zh) 2005-12-28
TWI264373B (en) 2006-10-21
TW200600343A (en) 2006-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104B1 (ko)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KR100962563B1 (ko) 복동형 에어 실린더의 위치결정 제어기구
KR20080089261A (ko) 복동형 에어 실린더의 위치결정 제어기구
US20180036783A1 (en) Die cushion device
JP2010527425A (ja) 潤滑装置およびシリンダ潤滑油を補給する方法
US1692771A (en) Hydraulic press
KR101757747B1 (ko) 압축기 제어 시스템
KR100976358B1 (ko) 유압 제어 장치
EP1584824A4 (en) HYDRAULIC SWITCHING OF A WORKING WAGON
KR100326648B1 (ko) 업셋팅프레스의주구동장치
KR920701732A (ko) 밸브장치 및 유압구동장치
CN104817042B (zh) 一种液压叉车
JP2018140405A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
KR20010029417A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CN111742151B (zh) 控制阀组件以及用于控制工作流体压力的方法
KR20210083162A (ko) 액추에이터 제어 장치
JPH01199097A (ja) 潤滑装置
CN1575381A (zh) 螺杆式压缩机组件及其方法
CA3110135C (en) Double-acting hydraulic actuator with different pumps for each actuation direction
KR20120099864A (ko) 네거티브 유량제어 시스템용 슬리브 이동식 레귤레이터
CN1924152B (zh) 用于热处理丝线的机器的密封头
KR100264281B1 (ko) 가변용량형 피스톤 펌프의 제어장치
CN201106559Y (zh) 螺杆式压缩机电控加载装置
JP4319870B2 (ja) 空圧式油圧発生装置
KR200325829Y1 (ko) 로프 구동형 트롤리의 로프 인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