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420A -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420A
KR20010028420A KR1019990040663A KR19990040663A KR20010028420A KR 20010028420 A KR20010028420 A KR 20010028420A KR 1019990040663 A KR1019990040663 A KR 1019990040663A KR 19990040663 A KR19990040663 A KR 19990040663A KR 20010028420 A KR20010028420 A KR 2001002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drive shaft
cam
link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옥
Original Assignee
정용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옥 filed Critical 정용옥
Priority to KR101999004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420A/ko
Publication of KR2001002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늘의 운동에 따라 재봉되는 봉재물을 잡는 이송톱날(8)과, 상기 이송톱날을 상하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0)과,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축(34)과,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구동축(3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을 갖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을 전후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중간부에 결합된 제1캠(62)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을 상하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제2캠(64)과, 상기 제1캠 및 제2캠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요동하도록 주힌지축(66)을 가진 링크부(68)와, 상기 링크부의 단부의 높이를 바꾸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주힌지축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장공(70)을 가진 슬라이드부재(7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74)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이를 바꾸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7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조정부재를 간단히 조작함에 의해 이송톱날을 정역 양방향으로 운동시켜 봉재물을 정역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sewing work for 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는 베드의 상측에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바늘 및 노루발이 결합되고, 베드의 내부에는 모터의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기 바늘의 운동에 따라 봉재물을 잡아 봉재물을 이송하도록 이송톱날을 가진 봉재물 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는 봉재물을 정방향으로만 이송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되박음질을 할 경우에는 봉재물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축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도 조정부재를 조작함에 의해 간단히 봉재물을 정역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재봉기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입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사시도(정이송상태),
도4는 도3에서 베드를 제외하고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역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이송톱날의 궤적도,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정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11 내지 도14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역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이송톱날 34 : 구동축
60 : 이동수단 62 : 제1캠
64 : 제2캠 66 : 주힌지축
68 : 링크부 70 : 장공
72 : 슬라이드 부재 74 : 안내부
76 : 조정수단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는 바늘의 운동에 따라 재봉되는 봉재물을 잡는 이송톱날과, 상기 이송톱날을 상하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축과,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을 갖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을 전후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중간부에 결합된 제1캠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제2캠과, 상기 제1캠 및 제2캠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요동하도록 주힌지축을 가진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의 단부의 높이를 바꾸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주힌지축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장공을 가진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이를 바꾸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주힌지축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부사이에서 요동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에 걸리며 중간부가 힌지점으로 된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주힌지축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송톱날의 연장부에 힌지결합된 제3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기는 본체(2)와 베드(4)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본체(2)에는 바늘(6)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드(4)의 내부에는 상기 봉재물을 잡아 이송하는 이송톱날(8)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지지부(10)와 이 지지부(1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12)로 된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측면에는 수동으로 바늘(6) 및 이송톱날(8)을 구동하도록 핸들(1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12)의 상부에는 실꽂이(1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늘(6)에 인접한 곳에는 봉재물을 눌려주는 노루발(18)이 누름대(20)의 단부에 결합된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베드(4)의 내부에는 이송톱날(8)을 상하 전후이동시키는 이동수단(60)이 설치되어 있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2)가 상기 지지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2)의 모터축(24)에 결합된 제1기어(26)는 상기 핸들(14)에 의해 연동되는 수직축(28)의 하단에 결합된 제2기어(30)에 물려 있다. 상기 제2기어(30)은 제3기어(32)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3기어(32)는 상기 이동수단(60)을 구동하는 구동축(34)의 단부에 결합된 제4기어(36)에 물려 있다.
상기 베드(4)는 상, 하케이스(38)(40)가 볼트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보스(42)(44)가 상하케이스의 저면에서 마주보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4)은 상기 베드(4)의 저면에 설치된 브라켓(46)에 지지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46)은 그 양측에 상기 구동축(34)이 지지되는 제1, 제2지지부(48)(5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48)에는 상기 바늘(6)을 안내함과 동시에 꿰메진 실을 한쪽으로 밀도록 요동부재(52)가 힌지축(54)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기어(36)는 원판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잇빨이 원을 그리면서 형성되고, 이 잇빨에 상기 제3기어(32)가 물리어 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기어외에 다양한 수단(예를 들면 벨트등)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핸들(14)을 돌리면, 핸들(14)의 회전력은 도시하지 않은 축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바늘(6)을 상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수직축(28)을 매개로 제3기어(32) 및 제4기어(36)를 통해 구동축(3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인 모터(22)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22)의 회전력은 제1기어(26), 제2기어(30), 제3기어(32), 제4기어(36)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구동축(34)에 전달된다.
따라서, 핸들(14)을 돌리면서 천천히 재봉하거나, 핸들(14)을 돌리면서 봉재물의 초기 바느질 위치를 맞춘 후 모터(22)를 구동하여 고속으로 재봉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구동축(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8)을 전후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34)의 중간부에 결합된 제1캠(62)과, 상기 구동축(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8)을 상하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34)의 단부에 결합된 제2캠(64)과, 상기 제1캠(62) 및 제2캠(64)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요동하도록 주힌지축(66)을 가진 링크부(68)와, 상기 링크부(68)의 단부의 높이를 바꾸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주힌지축(66)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장공(70)을 가진 슬라이드부재(7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72)를 안내하는 안내부(74)와, 상기 슬라이드부재(72)의 높이를 바꾸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76)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68)는, 일단이 상기 주힌지축(66)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72) 및 상기 안내부(74)사이에서 요동하는 제1링크(78)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78)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62)에 걸리며 중간부가 힌지점으로 된 제2링크(80)와, 일단이 상기 주힌지축(66)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송톱날(8)의 후술하는 수직판부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제3링크(8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송톱날(8)은, 외면은 상기 제1지지부(48)의 측면에 밀착하고 내면은 상기 제2캠(64)의 일측면에 밀착하는 수직판부(84)와, 상기 수직판부(84)에서 절곡하여 상기 상케이스(38)의 저면에 밀착하는 수평판부(86)와, 상기 수평판부(86)에서 절곡하여 봉재물을 걸어 잡도록 단부에 톱날(88)이 형성된 톱날판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평판부(86)에는, 바늘(6) 및 요동부재(52)가 관통하면서 운동하도록 제1절개부(92)과, 상기 제2캠(64)이 운동하도록 제2절개부(9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부(84)에는 후술하는 제2캠의 돌기가 걸리어 이송톱날(8)이 상하운동하도록 관통부(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3링크(82)가 힌지결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캠(62)은 보스부(98)와 캠판부(1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34)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캠판부(100)이 측면에는 구동축(34)의 중심에서 편심된 폐곡선을 이루는 캠홈(102 : 도7에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캠(64)의 측면에는 구동축(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요동부재(52)의 돌기가 타면서 요동되도록 폐곡선을 이루는 캠홈(103 : 도7에 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이송톱날(8)의 관통부(96)에 의해 안내되는 돌기(도시안됨)가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103)에는 상기 요동부재(52)를 요동시키는 굴곡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링크(80)는, 중간부가 상기 브라켓(46)에서 돌출형성된 플랜지부(104)에 끼워진 힌지축(106)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일단부에는 상기 캠홈(102)에 끼워져 안내되는 돌출가이드(107 : 도7에 도시)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74)에는 상기 구동축(34)을 중심으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된 안내홈(10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재(72)는 상기 안내홈(108)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72)의 장공 하부에는 상기 조정수단(76)의 후술하는 연장돌기부가 관통하는 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수단(76)은 상기 슬라이드부재(72)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멍(110)에 끼워져 이동되는 연장돌기부(112)를 가진 긴 조정부재(114)와, 상기 조정부재(114)에 결합되어 상기 베드(4)의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부재(116)(도2에 도시)와, 상기 조정부재(114)를 안내하도록 상기 상케이스(38)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리브부(118)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케이스(38)에는 상기 손잡이부재(116)와 상기 조정부재(114)가 이어지는 부분이 걸리지 않도록 긴 관통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부재(114)에서 상기 연장돌기부(112)와 마주보는 면은 상기 손잡이부재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117)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1의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을 정방향이라 하고, 도1의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의 이송톱날의 궤적도로서, 도6의 (1)은 이송톱날의 정방향 이송상태이고, 도6의 (2)는 이송톱날의 역방향 이송상태이다.
도7 내지 도10은 봉재물을 정방향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116)를 조작하여 조정부재(114)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72)의 구멍(110)에 끼워진 연장돌기부(112)가 슬라이드부재(72)를 상케이스(38)의 저면측으로 끌어 당긴 상태가 된다.
도7은 이송톱날의 도6의 (1)의 LR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축(3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캠(62)의 캠홈(102)를 타는 돌출가이드(107)의 요동에 의해 제2링크(80)가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기울지고, 제1링크(78)를 통하여 장공(70)내에서 주힌지축(66)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송톱날(8)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주힌지축(66)에 결합된 제3링크(82)에 의해 이송톱날(8)의 톱날(88)이 상승할 준비를 하면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의 위치에 있게 되고, 바늘(6)은 하강한 상태로 되며, 요동부재(52)는 제2캠(64)의 작동에 의해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이어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캠(62)에 의해 제2링크(80)가 더욱 기울어 지는 한편 제2캠(64)의 작동에 의해 이송톱날(8)이 상승하여 톱날(88)에 의해 봉재물(C)이 잡힌다.
다음에, 제1캠(62)의 캠홈(102)를 타는 돌출가이드(107)의 요동에 의해 제2링크(80)가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반대로 기울어지고, 제1링크(78)를 통하여 장공(70)내에서 주힌지축(66)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톱날(8)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봉재물을 정방향으로 이송시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톱날(8)이 UR의 위치에 있게 된다.
제1캠(62) 및 제2캠(64)의 더욱 회전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돌아와서 한 사이클을 완성하면서, 봉재물(C)을 정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11 내지 도14은 봉재물을 역방향방향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116)를 조작하여 조정부재(114)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조정부재(114)의 경사면이 상기 슬라이드부재(72)의 저면을 밀어 낸 상태가 되고, 주힌지축(66)은 제2링크(80)의 우측 힌지점보다 더욱 내려간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이 정방향 이송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톱날이 그리는 궤적을 반대방향으로 된다.
즉, 구동축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송톱날(8)은 도6의 (2)에 화살표로 도시한 궤적을 그리면서, 봉재물(C)을 역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11은 톱날이 우상측(UR)에 있는 상태, 도12는 톱날이 좌상측(UL)에 있는 상태, 도13은 톱날이 좌하측(LL)에 있는 상태, 도14는 톱날이 우하측(LR)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역방향 이송의 작동원리는 정방향 이송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에 의하면,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조정부재를 간단히 조작함에 의해 이송톱날을 정역 양방향으로 운동시켜 봉재물을 정역이송할 수 있다.

Claims (3)

  1. 바늘의 운동에 따라 재봉되는 봉재물을 잡는 이송톱날과, 상기 이송톱날을 상하 전후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축과,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을 갖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을 전후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중간부에 결합된 제1캠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톱날을 상하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된 제2캠과,
    상기 제1캠 및 제2캠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요동하도록 주힌지축을 가진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의 단부의 높이를 바꾸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주힌지축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장공을 가진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이를 바꾸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주힌지축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부사이에서 요동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에 걸리며 중간부가 힌지점으로 된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주힌지축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송톱날의 연장부에 힌지결합된 제3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KR1019990040663A 1999-09-21 1999-09-21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KR20010028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63A KR20010028420A (ko) 1999-09-21 1999-09-21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63A KR20010028420A (ko) 1999-09-21 1999-09-21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420A true KR20010028420A (ko) 2001-04-06

Family

ID=1961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663A KR20010028420A (ko) 1999-09-21 1999-09-21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2135A (zh) * 2018-05-28 2018-09-14 池州市旭豪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送料轮调整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172A (en) * 1976-08-12 1977-04-19 The Singer Company Feed regulator clamping device
JPS5276153A (en) * 1975-12-22 1977-06-27 Maruzen Sewing Machine Horizontal feed device for sewing machine
US4187794A (en) * 1979-05-18 1980-02-12 The Singer Company Sewing machine work feeding mechanism
JPS58192574A (ja) * 1983-04-25 1983-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方向逆転装置
KR860006583A (ko) * 1985-02-23 1986-09-13 범석 심 피터 재봉틀용 직물 이송장치
KR19990064605A (ko) * 1999-02-10 1999-08-05 문명성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153A (en) * 1975-12-22 1977-06-27 Maruzen Sewing Machine Horizontal feed device for sewing machine
US4018172A (en) * 1976-08-12 1977-04-19 The Singer Company Feed regulator clamping device
US4187794A (en) * 1979-05-18 1980-02-12 The Singer Company Sewing machine work feeding mechanism
JPS58192574A (ja) * 1983-04-25 1983-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方向逆転装置
KR860006583A (ko) * 1985-02-23 1986-09-13 범석 심 피터 재봉틀용 직물 이송장치
KR19990064605A (ko) * 1999-02-10 1999-08-05 문명성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2135A (zh) * 2018-05-28 2018-09-14 池州市旭豪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送料轮调整机构
CN108532135B (zh) * 2018-05-28 2023-11-24 池州市旭豪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送料轮调整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556B1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전환 구조
CN1752321B (zh) 缝纫机的送布装置
KR100723025B1 (ko) 미싱
KR100576405B1 (ko)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US4624202A (en) Sewing machine differential feed
JPS6260589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KR20010028420A (ko) 재봉기의 봉재물 이송장치
JP4177162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KR970075021A (ko) 차동이송기구를 구비한 실린더베드재봉틀
JPS6350036B2 (ko)
JP4045519B2 (ja) ミシンの間欠布送り装置
CA1201021A (en) Fabric feeder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JPH0728966B2 (ja) シリンダ−ベツドミシンの差動送り装置
JPS58190495A (ja) ミシンのル−パ−作動装置
JP3673902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2707135B2 (ja) フレーム支承された針ロッドを備える縫製ミシン
JPS6162491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H08112471A (ja) シリンダー型ミシン
US4641593A (en) Zigzag and transport device for sewing machines
CZ302236B6 (cs) Podávací zarízení pro šicí stroj
JP3386487B2 (ja) 差動送り機構
CN218404677U (zh) 缝纫机小嘴式送料牙驱动机构
JP3693139B2 (ja) ミシンの半回転釜駆動装置
JP3692196B2 (ja) 上飾り縫い装置
JP3940023B2 (ja) すくい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