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316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316A
KR20010024316A KR1020007003236A KR20007003236A KR20010024316A KR 20010024316 A KR20010024316 A KR 20010024316A KR 1020007003236 A KR1020007003236 A KR 1020007003236A KR 20007003236 A KR20007003236 A KR 20007003236A KR 20010024316 A KR20010024316 A KR 20010024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writing
writing instrument
point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피. 도우스트
에드워드 제이. 맨간
니콜 로이
Original Assignee
도날 비. 토빈
더 지렛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 비. 토빈, 더 지렛트 캄파니 filed Critical 도날 비. 토빈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8/01967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9015342A1/en
Publication of KR20010024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3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신장형 배럴(12)을 가진 필기구(10)에는 서로 관계하여 회전 가능한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22)이 포함된다. 포인트 또는 필기 선단부(30)는 임의 각도로 배치된 배럴 내부 부분(22)에 고정되고 그리고 배럴 외부 부분의 중심선으로부터 상쇄되는 것이다. 배럴 내부 부분은 필기 중에 포인트가 필요한 정렬을 이루도록 배럴 내부 부분에 부착된 중량체(34, 35, 36) 또는 필기구에 압력에 의해 배럴 외부 부분과 축선방향으로 관련하여 이동 및 회전을 일으키는 것이다. 포인트 또는 필기 선단부에 부가적인 압력은 포인트 또는 필기 선단부의 회전이 파지 구조(144, 214)에 의해 저지되는 최후방 위치로 배럴 내부 부분이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INSTRUMENT}
면에 적용되는 포인트를 가진 다양한 기구가 시중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구에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수정액 적용 기구 및 그와 같은 종류로서 만년필, 볼펜과 같은 필기 시스템이 포함된다. 일반적인 규정으로서 필기구는 잉크 공급부가 내재된 배럴(barrel)로부터 연장된 필기 선단부(writing tips) 또는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는 필기 중에 사용자의 손에서 유지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특히 볼펜과 같은 필기구에서, 필기 선단부(先端部)는 그 위에 쓰여지는 면에 대하여 수직 위치에서 보다 유효한 기능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상황에서, 필기구는 필기 중에 수직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필기 면에 대하여 대체로 60도 정도로 경사진 각도로 사용자가 필기면에 대해 경사져 적용을 하게 된다.
약 60도의 각도로 필기 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볼펜의 경우에는, 볼을 둘러싸고 있는 림(rim)이 필기 면과 접하여 볼의 원만한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질 수 있는 60도 각도에 적용은 볼을 헐겁게 하는 크기로 볼을 마모할 수 있는 위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관점에서, 필기 중에 배럴의 틸팅(tilting)이 평형을 이루도록 필기구 배럴의 축에 대한 각도로 연장되도록 볼펜의 포인트 또는 볼 내재 부분을 향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기구의 일반적인 펜으로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로버트 엘. 브라운(Robert L. Brown)의 미국 특허 제 5,012,663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런데, 포인트가 배럴 종축선과 임의 각도로 배치되는 상기 타입의 펜을 이용하는 데에는, 포인트를 방향지게 하는 것에 곤란함이 흔하게 발생하며 생성되는 필기의 질이 빈약(a poor quality of writing)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일, 포인트가 필기 면에 수직으로 놓여 있도록 향해져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필기구를 재방향지도록 하거나 또는 필기가 포인트의 림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면에 적용되는 작업 포인트를 가진 기구(instrument)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하게는 기구 사용중에 양호한 작업 포인트의 방향성이 있는 수동식 조작 기구(manually manipulated instrument)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서 구조된 볼펜을 부분 단면하여 나타낸 측 입면도.
도 2는 도 1의 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측 입면도.
도 3은 필기 중에 도 1 또는 도 2의 볼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펜의 포인트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로서, 도 3의 볼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필기 중에 필기 포인트의 록킹을 제공하는 도 2의 볼펜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측 입면도.
도 7은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확대하여 나타낸 도 6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 6의 구조의 전방 부분에서 실선 내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확대하여 나타낸 도 6의 구조의 후 부분 근처에서 실선 내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필기 중에 필기 포인트를 록킹하는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 6의 볼펜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측 입면도.
도 10은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확대하여 나타낸 도 9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 9의 구조의 전방 부분에 실선 내에서 절취된 도면.
도 11은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확대하여서, 도 9의 구조를 부가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도 9의 구조의 중앙 부분 근처에서 실선 내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포인트가 배럴의 종축선에 대해 임의 각도로 연장되고, 필기 면에 대한 포인트의 적절한 방향이 보장되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를 개시하기에 앞서 필기 면에 포인트의 적절한 방향을 제공하는 타입의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 면에 대한 포인트의 적절한 방향이 필기가 이행되는 중에 유지되는 타입의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인트가 배럴과 관련하여 회전할 수 있으면서 필기를 이행하는 중에 배럴에 대하여 고정 유지되는 상술된 타입의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조되는 상술된 타입의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필기구는 상기 목적 및 그외 다른 목적이 종축선을 가진 신장(伸張)형 관형 배럴 부재를 포함하는 수동식 조작 기구를 제공하여 달성된다. 면에 적용되는 작업 포인트는 전방 단부에 있고 그리고 포인트는 배럴 종축선에 대한 회전 및 축선방향 동작에 적합하게 장착된다. 파지 구조는 그 최후방 위치에 작업 포인트가 갖는 작업 포인트의 회전 방지를 위해 종축선을 따라서 관형 배럴과 작업 포인트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원의 기구는 배럴의 일 단부에 장착된 작업 포인트와 종축선으로 신장형 관형 배럴 부재를 가진 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포인트는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배럴 종축선에 대한 임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필기구는, 포인트가 필기 볼(writing ball)을 포함하는 상태에서는, 볼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종축선은 신장형 관형 배럴의 중심선에 일반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기구는 부가로 신장형 관형 배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신장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포인트는 부재와 같이 회전을 위해 신장 부재에 고정된다.
관형 배럴과 신장형 부재 모두는 양호하게 원통형이며, 그리고 신장 부재는 필기구가 펜이면 잉크 카트릿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필기구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장형 부재가 포인트의 일 측으로부터 종축선의 대향 측 상에 신장 부재에 배치된 중량부(weight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기구가 신장형 배럴 부재와, 배럴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필기 포인트를 가지고 그리고 포인트는 배럴 종축선에 대한 임의 각도로 배치되고 그리고 배럴에 대한 배럴 종축선을 따라 발생되는 축선 동작과 그를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필기 포인트가 종축선을 따라 형성된 최 후방 위치에 있을 시에, 파지 구조는 종축선을 따라서 배럴과 필기 포인트 사이에 배치되어 필기 포인트의 회전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파지 구조는 상기 포인트가 그 위에 고정된 신장부재에 후방 대향 견부(rearwardly facing shoulder) 및 신장 배럴 위에 전방 대향 면을 포함하며, 상기 면은 필기 포인트가 종축선을 따라서 전방 구역에 배치될 시에 서로 간에 공간 관련 상태로 있으며 그리고, 필기 포인트가 종축선을 따라서 후방 위치에 배치될 시에 서로 접촉하는 것이다. 적어도 일 면은 마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필기구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또는 필기구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 어느 일 면이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마찰재는 일반적으로 신장 배럴에 배치되고 그리고 탄성 마찰재로 이루어진 O-링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 기술한다.
도면을 참고로, 특히 도 1 및 도 2는 종축선(BC)을 가진 원통형상의 외부 부재 또는 배럴(12)을 포함하는 볼펜(10) 형태의 필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배럴(12)은 전방 단부에서 개방되고 원통형 몸체의 단부를 에워싸도록 최 후방 단부에 제공된 캡(14)을 구비하는 것이다. 원추형 베어링 면(18)을 가진 원통형 베어링 부재(16)는 캡(14)의 내면에 장착되고, 그 위에 원추 면(18)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종축선(BC)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내부 베어링 면(21)을 가진 원통형 베어링(20)은 배럴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배럴(12)의 내부 부분에 고정된다.
신장형 원통 부재(22)는, 베어링 면(21) 내에 활주 끼움부가 설치된 배럴(12) 내에서 회전되도록 장착되고 그리고 배럴(12)의 후방에 인접하여 베어링 면(18)과 대응 결합을 위해 그 후방 면에 형성된 원추형 오목부(24)를 구비하는 것이다. 신장 원통형 부재(22)의 전방 단부에는 필기 선단부(26)가 장착되며, 상기 선단부는 원통형 부재의 외부 면에 고정되지만, 선단부가 배럴(12) 내에서 원통형 부재(22)와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럴(12)의 내부 면에 대해 이격진 관계로 있는 것이다. 원추형 포인트(28) 형태로 이루어진 필기 요소는 필기 선단부(26)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고, 원추형 필기 요소는 배럴(12)의 종축선(BC)에 대한 임의 각도로 배치된 중심선(NC)을 가지는 것이다. 볼펜을 예로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임의 타입으로 이루어진 볼(30)이 포인트(28)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며, 볼은 중심선(NC)에 배치되고 종축선(BC)으로부터 거리(D)로 이격진 것이다.
볼(30)에 잉크 공급은 신장 원통형 부재에 수용되는 대체성 요소로 또는 일회성 펜의 경우에는 원통형 부재(22)와 일체로 이루어진 잉크 카트릿지(32)에 의해 제공된다.
양호하게,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볼(30)과 종축선(BC) 사이에 거리(D)는 0.01인치 와 0.10인치 사이에 있고 반면에, 포인트(28)의 중심선(NC) 사이에 각도는 대체로 30도 영역에 있지만 20도 와 40도 사이에 있을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볼펜(10)은 필기 중에 고려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30)이 필기 면과의 접촉으로서, 수직면으로 부터 각도(X)로 필기 면(S)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볼펜(10)이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필기 면과의 접촉 순간에 또는 그 바로 앞에서, 신장 원통형 부재(22)는, 포인트(28)가 그 중립 위치(즉, 원추 포인트의 중심선(NC)이 면(S)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위치)에 있지 않지만 각도(Y)에서 상쇄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수직한 필기력(F)이 볼펜(10)의 배럴(12)에 적용되면, 회복 토오크(T)가 각도(Y)의 방향으로 신장 원통형 부재(22)를 역회전시키는 포인트(28)에 적용되고, 그리고 포인트(28)의 중심선(NC)은 필기 면(S)에 대한 적절한 각도로 향해지게 된다.
회복 토오크(T)는 배럴(12)의 종축선(BC)으로부터 볼(30)의 거리(D) 곱하기 수직힘(F) 곱하기 사인각(X) 곱하기 사인각(Y)의 값과 동일하며; 또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정의 된다.
T=DFSINE XSINE Y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인트(28)는 도 5에 도시된 면(S)과 접촉하면, 필기 과정은 힘(F)이 배럴(12)에 가해지도록 할 것이고 그리고 신장 원통형 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위치"로 포인트(28)와 볼(30)이 이동하도록 회전할 것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상술된 모든 요소는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도면 번호로 나타내었다. 그런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중량체(34, 35, 36)가 원통형 부재(22)의 외부 면에 부착된 것이다. 중량체(34, 35, 36)는 원통형 부재(22)의 표면에 배치되고 그리고 종축선(BC)에 대하여 볼(30)로부터 180도로 위치된 것이다. 도 2의 구조에서는, 중량체(34, 35, 36)가 필기 면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또는 예각으로 종축선이 배치되면 종축선(BC) 위에 볼(30)을 보유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짐으로서 표면(S)에 볼(30)을 적절하게 위치 설정하는 준비가 중량체(34, 35, 36)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짐으로서, 힘(F)이 최적한 양질의 필기 동작을 제공하기에 적절하게 포인트(28) 및 볼(30)의 회전을 정렬시키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회전 수단으로서 중량체(34, 35, 36)를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의 구조에서 거리(D)로 주어지는 회복 토오크를 발생할 필요성이 없어진 것이다. 따라서, 볼(30)은 종방향 중심선(BC)에 또는 필요에 의해서 다른 구역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회복 토오크"는 도 1의 구조에서 필기 면에 대한 포인트(28)의 적절한 방향을 이루는데 주요한 요소이지만, 특별한 필기구에는 토오크 힘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토오크에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요동(wobble) 토오크(필기 중에 방향 변경에 의한 영향), 댐퍼 토오크(dampening torque)(베어링 마찰에 의한 영향), 도 2의 구조에서, 중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토오크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를 나타내며, 펜(100)은 그 후방에 배치된 원추형 베어링 면(118)을 가진 베어링(116)과 단부 캡(114)을 가진 배럴(112)을 포함하는 것이다. 펜(100)의 전방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원통형 부재(122)를 지지하는 역활을 하는 베어링 면(121)을 가진 원통형 베어링(120)이 배치된다. 신장 원통형 부재(122)는 그 후방 단부에서 원추형 오목부(124)를 구비하며, 원추형 오목부(124)는 원통형 부재(122)에 부착된 마그네트(125)와 이격진 관계로 형성된다.
펜(100)은 전방 단부에서 회전식 볼(130)을 지지하는 원추형상 포인트(128)를 가진 필기 선단부(126) 및 잉크 카트릿지(132)를 포함하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다.
구조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중량체(34, 35, 36)에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을 하는 중량체로서, 중량체(134)가 원통형 부재(122)의 일 측부에 제공된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극히 유사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대향 면(140)이 원통형 부재(122)에 부착된 필기 선단부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그 위에 장착된 O-링을 가진 전방 대향 견부(142)가 견부(140)와 관련하여 대향하여 펜(100)의 전방 단부에서 배럴(112)에 형성된다. O-링(144)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이며 면(140)과 접촉하는 마찰 면을 가지는 것이다.
펜(100)의 후방에, 베어링(116)에는 마그네틱재 블록(117)이 설치되고 원통형 정지부재(146)에 장착되는 것이다. 차례로, 정지 부재(146)는 패드(148)와 접촉하며, 패드(148)는 정지 부재(146)에 의한 압축 후에 그 휴지(休止) 상태로 서행으로 복귀되는 개방-셀 타입이며 서행-회복 폼(slow-recovery foam)으로 형성된다.
필기 전에 휴지 상태에서는, O-링(144)이 면(140)과 접촉되지 않도록, O-링(144)의 면과 후방 대향 면(140)의 면과의 사이에 펜 배럴(112)의 전방 단부에 갭(G)을 형성한다. 원통형 부재(122)에 장착된 전체 조립체는 마그네트(117)와 마그네트(125)간에 자력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위치에서 유지되고, 원통형 부재(122)는 원추형 베어링 면(118)과 원추형 오목부(124)에서 유지되는 최소 마찰적 접촉으로 배럴(112)의 전방 단부에 갭(G)으로 인한 자유로운 회전이 허용되는 것이다. 갭(G)은 최전방 위치에서 견부(140)에서 0.005 내지 0.010인치 이다.
포인트(128)를 통한 필기 선단부(126)에 필기 압력을 적용 상태에서, 원통형 부재(122)에 접속되는 전체 구조는 후방 대향 면(140)이 전방 대향 면(142)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그리고 O-링(144)이 형성된 파지 부재가 원통형 부재(122) 및 그 부착된 관련 구조의 부가적인 회전을 막는 결과로 후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동시적으로, 배럴(112)에 활주식으로 배치된 원통형 정지 부재(146)는 패드(148)를 후방향으로 압축하여 이동시킨다.
펜(100)이 필기 면으로부터 제거되면, 패드(148)가 그 휴지 형태를 회복하고 그리고 배럴(112)의 전방 단부에 갭(G)을 전방으로 생성하고 원통형 부재(122) 및 포인트(128)의 회전을 다시 허용하는 원통형 정지 부재(146)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면(140)과의 O-링(144)의 접촉은 필기 중에 필기 선단부(126)의 회전을 제거하는데 유효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변경 실시예를 펜(200)으로 나타내어 설명하며, 여기서 유사 부재에는 도 6의 구조에서 병기된 것과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9에 가장 양호하게 나타낸 펜(200)의 구조에서, 파지 구조는 배럴(112')의 전방 반부에 위치하기 보다는 배럴의 후방 반부에 위치된 것이다. 배럴(112')의 내면에 부착된 원통형 정지 블록(204)은 배럴(112)의 중심선에서 그를 통하여 이어지는 원통형 보어(206)를 구비하는 것이다. 원통형 부재(122)는 정지 블록(204)에 형성된 전방 대향 면(212)과 대향 관계로 후방 대향 면(210)을 가진 단부 블록(208)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방 대향 면(210)은 전방 대향 면과 접촉하는 O-링(214) 형태의 마찰재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통형 부재(122)는 배럴(112)의 중심선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것이지만, 그 일 단부에서 라운드 볼(218)을 가진 부착 핀(216)에 의해 전진 이동에서 규제를 받는 것이다. 축(220)은 정지 블록(204)의 원통형 보어(206)를 통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원통형 부재(122)의 단부 블록(208)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것이다. 축(220)은 원통형 보어(206) 내에 동작 끼움(running fit)이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볼(218)은 정지 블록(204)과 부착 핀(216) 사이에 최소 접촉을 제공하여서 원통형 부재(122)의 회전 및 축선 운동 모두에 최소 저항을 보장하는 것이다.
조작시에, 면(210, 212) 사이에 갭(G)은 종래 하방향 위치에 필기 선단부(126)로서, 펜(200)의 예비 필기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21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부재(122)의 자유로운 회전 및 축선 동작을 제공하는 범위로, 중력으로 인하여 갭(G) 위에 분리 유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압력이 포인트(128)에 가해지면, 원통형 부재(122)는 O-링(214)과 전방 대향 면(212) 사이에 마찰 접촉을 후방향으로 창출하는 동작을 일으키어서 필기 중에 필기 선단부(126)와 원추형상 포인트(128)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O-링(144, 214)이 상술된 실시예에서 파지 구조를 생산하는 요소로서 나타나 있을지라도, 마찰적, 기계적 또는 다른 수단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파지를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조 구조 또는 도 7 내지 도 9의 개조 구조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기술된 타입의 필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방향이 정해진 후에 필기 포인트의 회전을 방지하는데 유효성이 있는 파지 구조의 부가적인 이점을 가지고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기구가 볼펜 타입 펜이기는 하지만, 본 발명은 금속 롤러 펜,겔 잉크 펜, 만년필, 수정 유체 적용체, 또는 그와 같은 류의 것이 면에 가해지는 작업 포인트를 가진 다른 기구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Claims (18)

  1. 종축선을 가진 신장형 배럴 부재 및;
    상기 배럴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필기 포인트를 포함하는 필기구에서;
    상기 포인트는 배럴 종축선에 대한 임의 각도로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배럴에 대한 축선 동작 및 배럴 종축선을 중심으로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파지 구조는 종축선을 따라서 최 후방 위치에 필기 포인트로서, 필기 포인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종축선을 따라서 상기 포인트와 상기 배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볼펜이고, 상기 포인트는 필기 선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선은 신장 배럴의 중심선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배럴은 관형이고, 부가로:
    상기 신장형 관형 배럴에서 회전에 적합하게 장착된 신장 부재와;
    상기 신장 부재와의 회전을 위해 신장부재에 고정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구조는:
    상기 신장형 배럴에 전방 대향 면과 신장형 부재에 후방 대향 견부를 포함하며, 상기 면은 종축선을 따라서 전방 구역에 배치된 필기 포인트와 서로 간에 이격 관계로 있고 그리고 종축선을 따라서 후방 위치에 배치된 필기 포인트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면이 마찰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신장형 배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면은 필기구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면은 필기구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 면은 탄성 마찰재로 이루어진 O-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배럴과 상기 신장형 부재는 원통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부재는 잉크 카트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배럴 내에 신장형 부재를 회전시키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배럴 내에 신장형 부재를 회전시키는 수단은 필기 포인트의 위치로부터 종축선의 대향 측에 배치된 신장형 부재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선단부는 종축선으로부터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선은 신장형 배럴 부재의 중심선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7. 종축선을 가진 신장형 배럴 부재 및;
    상기 배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면에 적용되는 작업 포인트를 포함하는 수동식 조작 기구에서;
    상기 포인트는 배럴에 대한 축선 이동과 상기 배럴 종축선을 중심으로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파지 구조는 종축선을 따라서 후방 위치에 배치된 작업 포인트로 작업 포인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종축선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조작 기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포인트는 필기 선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조작 기구.
KR1020007003236A 1997-09-25 1998-09-22 필기구 KR20010024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37,400 US5893674A (en) 1997-09-25 1997-09-25 Writing instrument
US08/937,400 1997-09-25
US09/154,341 US6062759A (en) 1997-09-25 1998-09-16 Writing instrument
US09/154,341 1998-09-16
PCT/US1998/019679 WO1999015342A1 (en) 1997-09-25 1998-09-22 Writing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316A true KR20010024316A (ko) 2001-03-26

Family

ID=2546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236A KR20010024316A (ko) 1997-09-25 1998-09-22 필기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5893674A (ko)
EP (1) EP1017571B1 (ko)
JP (1) JP2001517567A (ko)
KR (1) KR20010024316A (ko)
CN (1) CN1271312A (ko)
AR (2) AR013965A1 (ko)
AT (1) ATE241481T1 (ko)
AU (1) AU746976B2 (ko)
BR (1) BR9812829A (ko)
CA (1) CA2301580A1 (ko)
CO (2) CO4850573A1 (ko)
DE (1) DE69815128T2 (ko)
EG (1) EG21370A (ko)
GT (1) GT199800153A (ko)
TR (1) TR200000757T2 (ko)
TW (2) TW576347U (ko)
WO (1) WO1999015341A1 (ko)
ZA (1) ZA9887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764A (ja) 1997-09-25 2003-09-02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筆記用具
US6250828B1 (en) * 1999-10-14 2001-06-26 Yoro Pen Corp. Offset pen
US6860667B2 (en) * 2001-11-14 2005-03-01 William Dowst Writing instrument with biased rotatable assembly
US20070269258A1 (en) * 2006-05-05 2007-11-22 Steven Bowers Angled permanent marker
US7950862B2 (en) 2006-05-26 2011-05-31 Youngtack Shim Multicolor writing tools and methods
KR100863658B1 (ko) * 2007-03-08 2008-10-15 이선주 회전이 방지되는 팁이 구부러진 펜
RU81123U1 (ru) * 2008-09-26 2009-03-10 Муртаза Магомедгабибович Табиев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для письма (варианты)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412262A (en) * 1914-05-18 1914-08-20 Harry Archibald Wisema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ans for Marking Boxes, Cases, Parcels and the like.
US2487340A (en) * 1946-11-23 1949-11-08 Kleinsmith Ben Revolvable-ball-point pen
US2592406A (en) * 1949-05-05 1952-04-08 William G Faltin Fountain pen of the ball point type
DE801614C (de) * 1949-10-20 1951-01-15 Josef Ganter Schreibeinsatz fuer Kugelschreiber
DE871258C (de) * 1950-11-29 1953-03-23 Riepe Werk Kugelschreiber mit fluessiger Tintenfuellung
FR1032122A (fr) * 1951-02-06 1953-06-30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stylographes à bille
DE879811C (de) * 1951-02-17 1953-06-15 Uhu Werk H U M Fischer Schreibspitze fuer Kugelschreiber
GB738740A (en) * 1951-11-03 1955-10-19 Biro Swan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of the ball tip type
DE902352C (de) * 1952-01-01 1954-01-21 Theo Braeuer Dipl Ing Kugelschreiber
US3352621A (en) * 1960-02-12 1967-11-14 Irc Ltd Ball point writing instrument
US3032012A (en) * 1960-07-19 1962-05-01 Scripto Inc Retractable ball point pen
US3192904A (en) * 1961-11-09 1965-07-06 Frank T Johmann Writing instrument
NL293483A (ko) * 1962-06-01 1900-01-01
US3396569A (en) * 1965-08-27 1968-08-13 Toledo Heater Company Method of bending tubular workpieces
US3554660A (en) * 1969-02-28 1971-01-12 Artex Hobby Fluid dispensing applicator
FR2151240A5 (ko) * 1971-08-20 1973-04-13 Droubay Jean
US3945735A (en) * 1974-01-30 1976-03-23 The Sailor Pen Co., Ltd. Socket for holding the writing ball of a ball point pen
US3972630A (en) * 1975-04-16 1976-08-03 Stacie Pen Corporation Writing implement
SU776706A1 (ru) * 1979-01-31 1980-11-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514 Способ гибки труб пр моугольного сечени
US4594015A (en) * 1984-06-08 1986-06-10 Pomares Francis J Paint applicator
USD302442S (en) 1986-04-21 1989-07-25 The Gillette Company Combined barrel tip assembly and point unit for a writing instrument
USD299660S (en) 1987-12-21 1989-01-31 The Gillette Company Point and barrel tip assembly for writing instrument
US5172994A (en) * 1990-03-28 1992-12-22 The Gillette Company Ball point pen with bent tip
US5012663A (en) * 1990-03-28 1991-05-07 Gillette Company Method of bending a ball point pen tip
US5527124A (en) * 1990-04-17 1996-06-18 Kolaric; Marjan Shaped pen
JP3146556B2 (ja) * 1991-09-05 2001-03-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ラ
WO1998013216A1 (de) * 1996-09-27 1998-04-02 Merz & Krell Gmbh & Co. Ergonomische schreib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9497498A (en) 1999-04-12
CA2301580A1 (en) 1999-04-01
CN1271312A (zh) 2000-10-25
ZA988743B (en) 1999-03-26
TW576347U (en) 2004-02-11
AR013965A1 (es) 2001-01-31
DE69815128T2 (de) 2004-01-08
CO4840519A1 (es) 1999-09-27
US6062759A (en) 2000-05-16
AU746976B2 (en) 2002-05-09
ATE241481T1 (de) 2003-06-15
EP1017571A1 (en) 2000-07-12
US5893674A (en) 1999-04-13
EG21370A (en) 2001-09-30
BR9812829A (pt) 2000-08-08
DE69815128D1 (de) 2003-07-03
TW449555B (en) 2001-08-11
GT199800153A (es) 2000-03-17
EP1017571B1 (en) 2003-05-28
WO1999015341A1 (en) 1999-04-01
JP2001517567A (ja) 2001-10-09
TR200000757T2 (tr) 2000-08-21
AR013517A1 (es) 2000-12-27
CO4850573A1 (es) 199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4316A (ko) 필기구
US5988908A (en) Barrel with finger gripping means
US5127130A (en) Writing end eraser for a double acting mechanical pencil or erasable ink ball point pen
US8469639B2 (en) Actuated material removal tool
JPH05505777A (ja) ボールペン用ボールポイン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RE38440E1 (en) Writing instrument
JP3376450B2 (ja) ボールペン
US7530753B2 (en) Writing implement
MXPA00002923A (es) Instrumento de escritura
US4626120A (en) Resilient writing nib with offset flattened portion
JP2003525764A5 (ko)
EP0869872A1 (en) Marking instruments
JP3590913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
JP4894755B2 (ja) 保持補助具を備えた筆記具の軸筒
MXPA00002926A (en) Writing instrument
US3274975A (en) Ball point pen incorporating a point reconditioning device
JP2003154787A (ja) 筆記具のレフィール出没機構
KR200399057Y1 (ko) 구구단 계산용 필기구
JPS62113597A (ja) 筆記具
EP1633576B1 (en) Rounded tip of a pen for writing or typing on screens or keyboards
JPS6234795Y2 (ko)
JP2003154788A (ja) 筆記具のレフィール出没機構
JPS6393377A (ja) 粉体用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