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816A - 이동 무선전화 단말기들, 무선국 및 이동 무선전화단말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전화 단말기들, 무선국 및 이동 무선전화단말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816A
KR20010023816A KR1020007002490A KR20007002490A KR20010023816A KR 20010023816 A KR20010023816 A KR 20010023816A KR 1020007002490 A KR1020007002490 A KR 1020007002490A KR 20007002490 A KR20007002490 A KR 20007002490A KR 20010023816 A KR20010023816 A KR 20010023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ing information
mobile
mobile radio
mfea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뉴만
요르크 자쎄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2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8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5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nitoring of the target or target signal, e.g. in reactive jammers or follower jammers for example by means of an alternation of jamming phases and monitoring phases, called "look-through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60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 H04K3/65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using deceptive jamming or spoofing, e.g. transmission of false signals for premature triggering of RCIED, for forced connection or disconnection to/from a network or for generation of dummy targe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4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petrol station, hospital, plane or cine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16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들, 무선국 및 이동 무선 단말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 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될 영역에서, 검출되어야 할 이동 무선 단말기가 어떤 반응으로서 제2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상태를 종합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1 시그널링 정보가 고의로 방출된다. 이런 제2 시그널링 정보는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를 검출하기 위해 처리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전화 단말기들, 무선국 및 이동 무선전화 단말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 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 {METHOD FOR PROTECTING A LIMITED LOCAL AREA AGAINST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ED BY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S, RADIO STATION AND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현대 셀룰러 이동 무선 시스템, 이를테면 성공한 GSM 시스템은 서로 네트워킹되고 고정된 네트워크 PSTN에 대한 액세스를 형성하는 다수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한다. 더욱이, 이런 이동 교환국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된다.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는 차례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기지 송신/수신국)에 연결된다. 이런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무선국, 소위 이동국(이동 무선 단말기)에 대한 무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는 무선국이다. 이런 적용의 목적을 위하여, 상기 용어 무선국은 또한 하나 이상의 이동 무선 시스템에 기초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하고 적당한 송신. 수신 및 처리 장치를 가지는 기지국, (이동 무선) 송신/수신 장치, 기지 송신/수신국), 및 무선국을 포함한다.
무선 경로를 위한 물리적 송신 리소스는 정의된 개념에 따라 TDMA, FDMA, 또는 CDMA 방법과 같은 다중 액세스 방법을 사용하여 논리적 이동 무선 채널에 할당된다. 대체로, 2가지 타입의 논리적 이동 무선 채널, 즉 시그널링 정보의 송신을 위한 시그널링 채널, 및 원하는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이 있다. 논리적 이동 무선 채널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특별한 링크에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는 이동국과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에 의해 이동국과 연관된 기지국 사이에서 송신될 수 있다.
대부분, 이것은 전자기파가 다른 민감한 전자 장비와 간섭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항공기에서의 복잡한 전자장치가 항공기 비행동안 승객이 휴대한 이동 전화의 사용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으며, 항공기를 제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항공기는 이동 전화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승객들은 공고에 의해 이런 위험성을 알게 되었고 이동 전화를 사용하지 않도록 요구받았으며, 이동 전화는 이동 전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꺼져야 했다. 이런 이전의 절차는 매우 복잡하고 신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자기 방사선, 특히 이동 무선 단말기가 무선국 및 이동 무선 단말기와 송신할 때 발생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 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여러가지 이동 무선 단말기 및 무선국의 개략도.
도 2는 이동 무선 단말기, 무선국 및 시그널링 정보의 송신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무선 세트의 개략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국부 영역이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의 독립항들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진보는 종속항들로부터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검출되어야 할 이동 무선 단말기로 하여금 강제로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이런 시그널링 정보의 처리가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검출을 가져오는 상태를 종합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모니터링될 영역내에 고의로 시그널링 정보를 방출하는 착상에 기초하고 있다.
무선국이 무선국과 연관된 위치 영역에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고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의 수령 및 처리가 위치 영역을 갱신하기 위해 시그널링 정보가 방출되도록 하는 경우에,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가 이들이 쉽게 검출될 수 있는 시그널링 정보를 활동적으로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공지된 시그널링 절차가 이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될 영역에 차단되지않은 어떤 이동 무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알아낼 수 있으며,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 국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적당한 방법들이 취해질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조차 특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 무선 시스템과 정보를 상호교환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가 존재한다. 이런 응용의 목적을 위하여, 차단은 이동 무선 단말기가 더이상 다른 전자 장비와 상당한 간섭을 초래할 수 있는 어떤 신호도 방출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 변형은 무선국에 의해 방출되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무선국과 특정 물리적 관계를 가지는 이동 무선 단말기에 대해서만 관련한다. 이것은 단지 검출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가 본 발명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장점을 가진다.
다른 유리한 개선은 고정 또는 가변 시간 간격 이후에 무선국이 시그널링 정보를 무선국과 관련된 다른 위치 영역에 방출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 검출되었던 이동 무선 단말기 및 우선 차단되어진후 다시 켜진 단말기조차 상기 위치 영역에서의 변화에 관련한 시그널링 정보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다른 유리한 진보는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을 위한 기지 송신/수신국을 원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하는 무선국을 제공한다.
이것은 본 발명이 다른 국가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의 이동 무선 단말기와 대응하는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이 국제적 모집단(공항)에 들어오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다른 유리한 진보는 교환국에 연결될 수 없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기지 송신/수신국을 원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하는 무선국을 제공한다.
이것은 무선국이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값싸며, 휴대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에서, 시그널링 정보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국에 의해 방출되며, 시그널링 신호는 이동 무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되며, 이런 과정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송신 기능의 해제를 가져온다.
이것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취급이 자동적으로 신뢰성 있게 효율적으로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기능은 주위 환경과의 간섭을 초래하지않는다. 수동 차단은 더이상 요구되지않는다.
이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대한 송신장치(SE), 수신장치(EE) 및 처리장치(VE)를 가지는 무선국(BTS)을 도시한다.
이런 무선국(BTS)은 송신된 신호의 범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제한된 국부 영역(BER)내의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의해 수신되고 처리될 수 있는 시그널링 정보를 방출한다.
상기 용어 "이동 무선 단말기"는 이런 경우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고 이동 무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컴퓨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영역(BER)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 항공기내와 공항에서
- 병원, 의학 실습실 및 의학 연구소에서
- 핵연료 집적소, 가스 저장소 근처에서
- 화학공장 근처 및 폭발 위험이 있는 공장 근처에서
상기 커버되는 영역(BER)의 크기는 송신된 신호의 파워를 조정함으로써 또는 시그널링 정보가 송신되는 적당한 안테나 구성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역(BER) 외부에 배치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c)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전화통화와 같은 정규 서비스가 이동 무선 시스템의 교환 장치에 연결되지않은 무선국(BTS)을 통해 가능하도록 의도되지않기 때문에, 이런 무선국(BTS)은 이동 무선 시스템에 연결되는 기지 송신/수신국보다 기술적으로 더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심지어 단지 이동 무선 시스템을 위한 기지 송신/수신국에만 기초하여 부분적으로 동작하는 무선국(BTS)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의 처리에서만 정규적으로 사용된 기지 송신/수신국과 다른 기지 송신/수신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1, sig2)는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대한 표준에 따라 공지되고 이미 존재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또는 이동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시그널링 정보(sig1a, sig2b)는 송신, 수신 및 처리장치(SEVEa, SEVEb)에 의해 상기 영역(BER)내의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의해 수신되고 추가로 처리된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1)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제어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1)의 추가 처리는 이런 수신된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용 이동 무선 단말기(MFE) 자체 방출 시그널링 정보(sig2)를 가져온다.
이런 시그널링 정보(sig2)(이동 무선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의 수령 및 처리는 예를 들어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가 모티터링 영역에서 여전히 켜져있는 사실을 상기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하는 어떤 사람에게 모니터(DPL)에 의해 가시적으로 또는 확성기를 통해 청각적으로 통보되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필요하다면, 또한 정보는 여전히 켜져있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의 수로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무선국(BTS)이 검출되어야 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가 능동적으로 응답 신호(sig2)을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검출기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기지 송신/수신국과 상호교환하는 정보에 대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또는 설정되어 있는 연결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단말기(MFE)에 의해 방출될 신호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검출가능한 신호(sig2)가 모니터링 영역(BER)에서 켜져있는 모든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의해 한정된 시간에 방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선국(BTS)은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지리학적 영역(예를 들어, 항공기의 입구 또는 내부 근처에)에 설치되며, 무선국(BTS)은 하나 이상의 이동 무선 표준(예를 들어 GSM 및/또는 PCN 및/또는 DCS 및/또는 IS-95 AMPS 및/또는 TACS 및/또는 IS-54 및/또는 PDC 및/또는 CDMA 및/또는 WB-CDMA 및/또는 TD/CDMA 등)을 위한 기지 송신/수신국(BTS)에 기초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한다. 이것을 위하여, 상기 이동 무선국(BTS)은 개별 이동 무선 시스템에 적당한 다른 송신장치(SEa, SEb), 수신장치(EEa, EEb), 처리장치(VEa, VEb)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은 GSM 시스템에서의 위치 영역 식별(LAI : Location Area Identity)과 같은 인접한 기지 송신/수신국에 의해 사용되지않는 위치 식별(위치 영역에서의 정보)로, GSM 시스템 BCC(Broadcast Control Channel)과 같은 시그널링 채널에 식별(sig1a)을 송신하기 위해 이동 무선 시스템과 통신하지않는 개별 무선국(BTS)을 제공한다.
모니터링되는 영역(BER)의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가 관련 기지 송신/수신국 및/도는 관련 위치 식별(LAI : Location Area Identity)과의 상호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국(BTS)은 상당히 고품질이고 고파워의 시그널링 정보(sig1)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국(BTS)에 의해 방출되는 시그널링 정보(sig1)가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가까운 근접성에 기인하여 아마 인접한 기지 송신/수신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보다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의해 더 나은 품질로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는 무선국(BTS)에 대한 측정 리포트 뿐만 아니라 관련 기지 송신/수신국과 관련 위치 식별(LAI : Location Area Identity)과의 상호교환을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sig2)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는 이동 무선 시스템으로부터 로그-오프되고 무선국(BTS)과 관련되는 버티컬 이동 무선 시스템의 버티컬 셀로 로그-온된다. 또한 이런 버티컬 이동 무선 셀은 실제 이동 무선 시스템에 대한 어떤 접근 금지를 회피한다.
상기 위치 갱신을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sig2)의 수령 및 처리는 무선국(BTS) 또는 무선국과 관련된 출력장치(DPL)에서의 경고 신호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형성을 가져온다.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가 오퍼레이터에 대한 정보를 승인한후 꺼지지 않는다면, 상기 프로세스는 무선국(BTS)에 의해 송신될 LAI 코드를 변경한후 반복될 수 있고, 아직도 꺼지지않았거나 또는 다시 켜진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검출이 지속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대응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공지된 표준 설명서에서 위치 갱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 절차의 상세 및 정의를 찾을 수 있다.
도 2는 이미 기술된 위치 갱신을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sig2)의 수령 및 처리후 제한된 국부 영역(BER)내에 시그널링 정보(sig3)를 송신하는 무선국(BTS)을 도시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3)는 적당한 수신 및 처리 장치(EVE)를 사용하여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의해 수신되고 처리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3)는 공지되거나 이미 존재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또는 이동 무선 채널, 또는 이런 목적을 위해 특별하게 제공되고 한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3)는 대기 상태에 있는 상기 영역(BER)내의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에 의해 수신되고 추가로 처리된다. 이것은 어떤 경우에 이미 제공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제어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추가 처리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 MFEb)가 비활성화되는 특정 기능을 가져온다. 유리하게 이런 기능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근처에서의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송신 기능 또는 송신 및 수신 기능은 간섭 레벨에 따라 비활성화된다. 물론 휴대용 컴퓨터와 관련하여, 무선주파수 신호 또는 고파워 신호의 방출을 가져오는 이런 기능은 비활성화된다. 또한 "기능의 비활성화"는 이런 기능이 고정 또는 가변 시간주기동안 상기 시스템, 일부 다른 전자 장비 또는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취소해 달라는 명령을 제기할 때까지 더이상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송신 기능의 비활성화는 이동 무선 단말기가 중대한 사건을 초래할 수 있는 어떤 신호를 더이상 방출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정보의 추가 처리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b)가 특정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상태로 전환되게 할 수 있고, 이동 무선 단말기가 이런 상태에 있는한 이런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도어 프레임, 게이트, 배리어 또는 제한 접근을 위한 어떤 다른 수단에 의해, 그리고 제한 접근을 위한 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를 지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전에 비활성화된 기능은 이동 무선 단말기(MFEa,b)가 제2 시간동안 제한 접근을 위한 수단을 통해 이동될때에만 다시 활성화된다.
이런 무선국(BTS)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근(BER)에 배치된 모든 이동 전화(MFEa,b)가 관련 기지 송신/수신국(서비스 셀)로서 이런 무선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을 위하여, 이런 무선국(BTS)은 특별히 고파워로 송신한다.
상기 영역(BER)내에 배치되는 이동국(MFEa,b)은 무선국(BTS)으로부터 이동 전화(MFEa,b)로 한정된 명령(sig3) 또는 한정된 메시지(sig3)에 의해 스스로 차단되게 된다. 이동 전화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켜지더라도, 그것은 명령에 의해 다시 차단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상기 차단 명령은 특정 메시지 또는 더욱 일반적인 메시지의 특별한 파라미터/파라미터 세트가 될 수 있다.
지원될 이동 무선 표준에 의존하여, 또한 수령동안(예를 들어 브로드케스트 메시지의)에만, 다시 말해서 이동 전화가 송신하지 못하도록 지속적으로 이동 전화가 통신 네트워크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문제의 이동 무선 시스템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은 적당한 차단 명령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차단 명령의 처리가 대응하는 기능의 비활성화를 가져오는 식으로 단지 이동 전화 및/또는 이들의 제어 소프트웨어가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 옵션은 이동 무선 단말기(MFEa,b)에서의 처리가 송신 기능의 비활성화를 가져오는 시그널링 정보(sig3)를 송신함으로써 연결을 설정할 목적으로 제1 시그널링 위상을 수반하는 무선국(BTS)을 위한 것이다.
다음 시그널링 위상은 보통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된다:
-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MFEa,b)는 무선국(BTS)으로 채널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 상기 무선국(BTS)은 이동 무선 단말기(MFEa,b)로 즉시 할당 신호를 송신한다.
-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MFEa,b)는 무선국(BTS)에 위치 갱신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이제 이것은 추가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 상기 무선국(BTS)은 이동 무선 단말기(MFEa,b)로 차단 명령(sig3)을 송신한다.
이런 차단 명령(sig3)의 처리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b)에서 비활성화되는 송신 기능과 같은 특별한 기능을 가져온다.
도 3은 무선국(BTS) 또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b)가 될 수 있는 무선장치를 도시한다. 그것이 이동 무선 단말기(MFE)인 경우에, 마이크로폰과 확성기 부품을 포함한다. 그것이 어떤 교환국에 연결되지않는 무선국인 경우에, 이런 부품은 제외되며; 한편, 무선국(BTS)은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 제어 장치(STE)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그것과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처리 장치(VE), 파워 공급 장치(SVE), 무선 주파수 장치(HF)(수신장치(EE), 송신장치(SE) 및 주파수 합성기(SYN)를 포함하는) 및 안테나 장치(ANT)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장치의 개별 부품은 또한 도체 경로 또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STE)는 본질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MC)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장치(VE)는 메모리 모듈(SPE)에 대한 기록 및 판독 접근이 가능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MC)는 모든 주요 부품과 무선장치의 기능들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며, 통신과 시그널링 시퀀스, 켜짐 및 차단 뿐만 아니라 무선장치의 특정 부품 또는 활성화, 특정 동작 모드로의 무선장치의 전환, 및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링크에 대한 송신 상태의 식별과 결정을 제어한다.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모듈(SPE)은 무선장치와 통신 시퀀스, 특히 시그널링 절차와 장비 정보, 사용자에 의해 기입되는 정보, 신호의 처리동안 발생하는 정보, 및 예외 송신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파워 임계값의 수령을 제어하는데 요구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는 송신될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의 음성과 채널 코딩을 수행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가 무선주파수 장치(HF)로부터 기원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에 의해 처리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송신될 데이터는 연결-지정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될 수 있고, 변조기(MOD)에 의해 변조될 수 있고, 송신 파워 증폭기(SV)에 의해 증폭되고, 최종 안테나(ANT)를 통해 적당한 송신 파워로 방출된다. 수신 끝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수령 파워 레벨로 안테나(ANT)에 의해 수신되고, 수령 증폭기(EV)에 의해 증폭되고, 복조기(DEM)에 의해 복조되고, 필요하다면 재확산되며, 최종적으로 처리장치(VE)에 의해 검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본 범위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추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5)

  1. 이동 무선 단말기(MFE)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 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송신장치(SEa)가 상기 송신장치(SEa)와 관련된 위치 영역에 제1 시그널링 정보(sig1a)를 방출하며;
    b) 이동 무선 단말기(MFEa)에서의 수령 및 처리가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MFE)의 위치 영역을 갱신하기 위하여 제2 시그널링 정보(sig2a)의 방출을 가져오며;
    c) 상기 제2 시그널링 정보(sig2a)는 수신장치(EEa)에 의해 수신되며;
    d) 상기 제2 시그널링 정보(sig2a)의 처리는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MFEa)의 검출을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그널링 정보(sig2a)의 처리는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 관련한 정보의 표시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SEa, SEb)는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대응하는 다른 다수의 시그널링 정보 아이템(sig1a, sig1b)을 방출하며, 상기 수신장치(EEa, EEb)는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대응하는 다른 다수의 시그널링 정보 아이템(sig2a, sig2b)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고정 또는 가변 시간 간격후, 상기 송신장치(SEa)가 상기 송신장치(SEa)와 관련한 변경된 위치 영역에 대해 시그널링 정보(sig1a)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SEa) 및/또는 수신장치(EEa)는 교환국에 연결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SEa)와 수신장치(EEa)는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기초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하는 기지 송신/수신국(BTS)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SEa)와 특정 물리적 관계를 가지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만이 송신장치(SEa)에 의해 방출되는 시그널링 정보(sig1a)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a) 상기 제2 시그널링 정보(sig2a)의 처리는 이동 무선 채널의 원리를 사용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 시그널링 정보(sig3a)의 방출을 가져오며;
    b) 상기 제3 시그널링 정보(sig3a)는 이동 무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고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처리되며;
    c) 상기 처리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기능 비활성화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능의 비활성화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sig3a)는 소정 연결 설정을 목적으로 제1 시그널링 위상 후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처리는 이동 무선 단말기(MFEa)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송신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상태로 변경시킴으로써, 이동 무선 단말기(MFEa)가 이런 상태에 있는한 더이상 활성화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국(BTS)에 있어서,
    a) 소정 위치 영역에 제1 시그너링 정보(sig1a)를 송신하는 수단(SEa)을 포함하는데, 상기 정보는 인접한 기지 송신/수신국에 의해 동시에 방출되지 않고 이동 무선 단말기(MFEa)에서의 수령 및 처리가 제2 시그널링 정보(sig2a)의 방출을 가져오며;
    b) 상기 위치 영역을 갱신하기 위하여 이동 무선 단말기(MFEa)에 의해 송신되는 시그널링 정보(sig2a)를 수신하는 수단(EEa);
    c) 상기 시그널링 정보(sig2a)를 처리하는 수단(VEa); 및
    d) 차단되지않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DP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12. 제 11항에 있어서, 고정 또는 가변 시간 후에 소정 위치 영역에 변화하는 시그널링 정보(sig1a)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무선국은 교환국에 연결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14. 제 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sig1a, sig1b, sig2a, sig2b)를 송신(SEa, SEb), 수신(EEa, EEb) 및 처리(VEa, VEb)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15. 이동 무선 단말기(MFEa,b)에 있어서,
    a) 시그널링 정보(sig3a)를 수신하는 수단;
    b)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장치; 및
    c) 수신 및 처리된 시그널링 정보(sig3a)의 함수로서 상기 이동 무선 단말기(MFEa,b)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
KR1020007002490A 1997-09-09 1998-09-07 이동 무선전화 단말기들, 무선국 및 이동 무선전화단말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 KR20010023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9483.3 1997-09-09
DE19739483 1997-09-09
DE19752405.2 1997-11-26
DE19752405 1997-11-26
PCT/DE1998/002631 WO1999013673A1 (de) 1997-09-09 1998-09-07 Verfahren zum schutz eines beschränkten örtlichen bereiches vor durch mobilfunkendgeräte ausgesendeter elektromagneticsher strahlung, funkstation und mobilfunkend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816A true KR20010023816A (ko) 2001-03-26

Family

ID=2603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490A KR20010023816A (ko) 1997-09-09 1998-09-07 이동 무선전화 단말기들, 무선국 및 이동 무선전화단말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제한된국부 영역을 보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45037B1 (ko)
EP (1) EP1013130B1 (ko)
JP (2) JP4294857B2 (ko)
KR (1) KR20010023816A (ko)
CN (1) CN1132482C (ko)
DE (1) DE59813299D1 (ko)
WO (1) WO1999013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0232B1 (fr) * 1998-06-23 2000-10-06 Sagem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geographique d'un trafic dans un reseau telephonique
KR100300350B1 (ko) * 1998-10-20 2001-09-06 윤종용 휴지상태의이동전화기감지장치및방법
FR2795592B1 (fr) * 1999-06-22 2001-08-10 Sagem Procede de gestion du trafic dans un reseau de telephonie mobile
FR2804569B1 (fr) * 2000-01-27 2002-06-21 Jean Claude Saurat Systeme de detection de telephones cellulaires en mode reception ou veille operationnelle
DE10041070A1 (de) * 2000-08-22 2002-03-07 Siemens Ag Funkstrahlungs-Schutzvorrichtung zum Senden einer Information an ein Sende-/Empfangsgerät und ein Sende-/Empfangsgerät
US7995989B2 (en) * 2000-12-29 2011-08-09 Globalstar,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uppression of system access by use of confidence polygons, volumes and surfaces in a mobile satellite system
ITRM20010018A1 (it) * 2001-01-16 2002-07-16 Mesar S R L Procedimento per rivelare la presenza di telefoni cellulari attivi inuna zona protetta dal loro uso, e relativo apparato.
FR2824146B1 (fr) * 2001-04-27 2006-02-24 Thomson Csf Systeme et procede de localisation de radiomobiles en dehors de la couverture d'un reseau cellulaire
WO2003019806A1 (en) * 2001-08-24 2003-03-06 Won-Seok Chung An automatic switching off device for a mobile phone
GB0121506D0 (en) * 2001-09-06 2001-10-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sensual service registration and delivery
DE10339898B4 (de) * 2003-08-29 2007-03-22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asisstation eines Mobilfunksystems, Signalisierungseinheit, Steuereinheit, Mobilstation und Computerprogramm
GB0500911D0 (en) 2005-01-17 2005-02-23 Vodafone Ltd Controlling use of mobile devices
DE102005060029A1 (de) 2005-12-15 2007-06-2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etzseitigen Deaktivieren von Mobilfunkstationen
DE602005022785D1 (de) * 2005-12-22 2010-09-16 Ericsson Telefon Ab L M Luftgestützte onboard-basissender-/ -empfängerstation für mobilkommunikation
US8078146B2 (en) * 2007-06-01 2011-1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GB2513640A (en) * 2013-05-02 2014-11-05 Intertek Group Plc Improved RF detector
EP3264825B1 (en) 2016-06-28 2019-01-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intercept accidental emergency calls in a device repair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330A (en) * 1989-12-26 1991-04-23 Motorola, Inc. Paging system employing designated frame commencing information service data message transmission
GB2253968B (en) * 1991-03-22 1995-02-15 Racal Vodafone Ltd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FI98672C (fi) * 1992-04-24 1997-07-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adiojärjestelmä
JP3475461B2 (ja) * 1993-09-10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5778304A (en) * 1994-03-10 1998-07-07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DE4433613A1 (de) 1994-09-21 1995-04-20 Dieter Dipl Ing Steuer Standortbestimmung von Fahrzeugen, Lebewesen und Gegenständen auf der Basis von zellorientierten Funknetzen
DE19538694A1 (de) 1995-10-19 1997-04-24 Bosch Gmbh Robert Empfangseinrichtung zur Auswertung von Ortungsdaten
JPH09163457A (ja) * 1995-12-14 1997-06-20 Toshiba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
FI102580B (fi) * 1996-06-17 1998-12-3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atkaviestimen aiheuttamien häiriöiden eliminoimiseksi
JP3218184B2 (ja) * 1996-07-01 2001-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通信基地局及び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DE19628918C1 (de) * 1996-07-18 1997-07-31 Daimler Benz Aerospace Airbus Anordnung zum Erkennen einer hochfrequenten Störstrahlung
JP3037176B2 (ja) * 1997-01-29 2000-04-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システム
DE29709099U1 (de) 1997-05-23 1997-08-28 Heynen Klaus Vorrichtung zur Detektion elektromagneticher Störquellen
DE19740561A1 (de) * 1997-09-15 1999-03-18 Siemens Ag Verfahren zum Subskripieren von Telekommunikationsgeräten bei mit den Telekommunikationsgeräten durch drahtlose Telekommunikation verbindbaren Gegenstationen in drahtlosen Telekommunikationssystemen, insbesondere von DECT-Mobilteilen bei DECT-Basisstationen in DECT-Systemen
US6343213B1 (en) * 1997-10-24 2002-01-29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to protect against interference from mobile radios
KR100300350B1 (ko) * 1998-10-20 2001-09-06 윤종용 휴지상태의이동전화기감지장치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7108A (ja) 2002-06-11
JP4971375B2 (ja) 2012-07-11
WO1999013673A1 (de) 1999-03-18
JP2009118517A (ja) 2009-05-28
CN1269954A (zh) 2000-10-11
EP1013130A1 (de) 2000-06-28
CN1132482C (zh) 2003-12-24
DE59813299D1 (de) 2006-01-26
EP1013130B1 (de) 2005-12-21
JP4294857B2 (ja) 2009-07-15
US6745037B1 (en)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1375B2 (ja) 制限された局所領域内の移動無線システムの作動方法、無線ステーション、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移動無線システム
FI102580B (fi) Menetelmä matkaviestimen aiheuttamien häiriöiden eliminoimiseksi
KR100188166B1 (ko) 개인 로케이터 시스템
US5991614A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of portable telephone
US6314282B1 (en) Transmitting group ID information to exclude a group of mobile terminals from changing their operation mode
US20110183602A1 (en) Jam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jamming a target signal
US6393254B1 (en) Disabler for mobile communications
US6343212B1 (en) Outputting a warning signal when approaching a protected area warning of an impending mode change
EP143789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mode
KR20010041081A (ko) 위치확인 비콘 시스템
JP2004505490A (ja) 通信装置介在システム及び方法
US5774787A (en) Interference mitigation system for protecting radio astronomy and method of using same
US6795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ater priority resolu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419508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1008271A (ja) 基地局、保護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KR20010053419A (ko) 무선 통신 유닛
WO200512242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on board a mobile structure and using a satellite link
JP3625261B2 (ja) 移動局機能規制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移動局、基地局及び規制装置
EP11436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10041577A1 (en) Protecting a predetermined area from disturbing usage of mobile terminals by means of a paging message
JP2006222740A (ja) 無線基地局
EP3217739B1 (en) Methods for activating and localizing a mobile station without user interaction, mobile apparatus, vehicle and system
EP1304895B1 (en) Transceivers and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s
KR102374657B1 (ko) 무선 침입방지 시스템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침입방지 시스템 신호 회피 방법
ES2213348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detectar la presencia de un telefono celular de tipo gsm en funcionamiento o de cualquier otro mov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