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198A -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 Google Patents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198A
KR20010021198A KR1020000044990A KR20000044990A KR20010021198A KR 20010021198 A KR20010021198 A KR 20010021198A KR 1020000044990 A KR1020000044990 A KR 1020000044990A KR 20000044990 A KR20000044990 A KR 20000044990A KR 20010021198 A KR20010021198 A KR 2001002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horting
socket
ignitio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154B1 (ko
Inventor
오되퍼프랑크
Original Assignee
루이 올리비에
프라마톰 커넥터즈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 올리비에, 프라마톰 커넥터즈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루이 올리비에
Publication of KR2001002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3/0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플레이트(31)의 에지(37)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두 개의 탄성 접점 소자(35a, 36a)를 구비하는 제 1 단락 브리지(30a)와, 두 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윙(3, 4)이 삽입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점화 장치 소켓(20) 상에서 접점 핀(21, 22)을 삽입하기 위한 소켓(51, 52)을 구비하는 플러그(6)용의 홀더(5)를 형성하는 환형 베이스(2)를 구비하는 지지 하우징(9)을 포함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5c)의 단락 접점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단락 접점 지지부는 제 1 단락 브리지(3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단락 브리지(30b)를 구비하고, 각각의 윙(3, 4)은 단락 브리지(30a, 30b)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플러그(6)가 삽입되었을 때 최소한 하나의 브리지(30a, 30b)가 점화 장치 소켓(20) 상의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접점 핀(21, 22)을 단락시키게 된다. 또한 홀더(5)는 180˚에 걸쳐서 회전 대칭적이다.

Description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Shorting contact support for a plug-in projection in an igniter receptacl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단락 접점 지지부는, 특히, 에어백 점화 시스템에서 사용되어 점화 장치 소켓 상의 접점 핀을 단락시켜서 점화 카트리지가 미확정의 전위에 어떠한 일이 있어도 도달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점화 카트리지에서의 원하지 않은 점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단락 접점 지지부로 플러그가 삽입되거나 이차적으로 잠기게 될 때 접점 핀 사이의 단락 브리지가 개방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DE 197 28 448 문서에서는, 플러그-인 돌출부와, 잠금 암과, 잠금 암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텅(tongue)과 함께 막대 형태의 이차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서 고정되는 플러그 몸체를 구비하는 점화 장치 소켓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잠금 메커니즘은, 플러그가 접점 지지부에 내에서 고정될 때 점화 장치의 접점 핀 사이에서 단락 브리지를 개방하는 스파이크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상의 플러그-인 돌출부와 접점 지지부 내의 대응하는 홀더는 비대칭적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양자는 단지 한 방향으로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단락 접점 지지부는, 마찬가지로 한 방향으로 점화 장치 소켓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술한 종류의 단락 접점 지지부는, 측면 에어백 점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도 7에는 도어에 근접하여 장착되어 있는 세 개의 모듈(72, 73, 74)을 구비하는 자동차(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모듈은, 이 경우에, 예시적으로, 점화 소켓, 점화 장치 및 에어백용 뇌관(79)을 구비하는 가스 생성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자동차의 오른쪽 측면에 제 1 모듈(72)을 설치하는 경우에, 제조 업자는 예를 들어서, 플러그(75)로부터 출발하는 케이블을 항상 후방으로 향해서 지향시키거나, 또는 뇌관(79)이 항상 자동차의 안쪽을 가리키도록 해야 한다. 동일한 모듈을 왼쪽 측면에 대해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이 모듈은 180˚회전시켜서, 장착 플레이트(78)가 항상, 예를 들어서, 바깥을 가리키도록 하고, 뇌관(79)이 항상 안쪽을 가리키도록 해야 한다. 모듈(72)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모듈의 점화 소켓 또한 180˚에 걸쳐서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며, 이후에, 모듈(73)과 관련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역전 방지 단락 접점 지지부는, 플러그(76)가 삽입되어 상기 출발하는 케이블이 전방 만을 향해서 가리키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락 접점 지지부의 특별한 단점은, 측면 에어백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조 업자에게는 점화 소켓을 갖춘 자동차의 두 측면에 대해서 180˚에 걸쳐서 점화 소켓을 회전시킨 두 개의 서로 다른 모듈 또는 하나가 왼쪽 측면이고 하나가 오른쪽 측면인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락 접점 지지부가 필요로 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플러그(77)에 대한 상기 출발하는 케이블 또한, 예를 들어서 모듈(74)에 대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다른 쪽(왼쪽) 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향으로 가리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점화 시스템에 요구되는 구성 성분의 숫자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술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에 따라서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절단된 점화 장치 소켓 내로 본 발명의 단락 접점 지지부가 삽입된 상태의 전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락 접점 지지부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락 브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락 접점 지지부를 관통하는 평면(G)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부분 절단한 플러그-인 돌출부의 투시도.
도 6은 플러그-인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락 브리지를 구비하는 플러그의 투시도.
도 7은 측면 장착 모듈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환형 베이스 3, 4: 윙
6: 플러그 9: 지지 하우징
20: 점화 장치 소켓 21, 22: 접점 핀
30a: 제 1 단락 브리지 30b: 제 2 단락 브리지
31: 금속 플레이트 35a, 36a: 탄성 접점 소자
37: 에지 51, 52: 소켓
본 발명의 단락 접점 지지부의 사시도는 도 1에서는 전방으로부터, 도 2에서는 후방으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단락 접점 지지부(1)는 환형 베이스(2)를 구비하는 비전도성 지지부 하우징(9)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환형 베이스(2)의 표면에는 두 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윙(3, 4)이 삽입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6)에 대해서 홀더(5)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부 하우징(9)은 실린더형 원주 방향 표면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원주 방향 표면으로부터 코딩 목적을 위한 각각의 로브(lobe)(7, 8)가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윙의 전방면 상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딩 목적으로서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로브(7, 8)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형 원주 방향 표면은 점화 장치 소켓(20)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절단부 내로 결합되어질 수 있는 돌출 결합 러그(lug)(11, 12)를 구비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안내 러그(13, 14)는 실린더형 외주 방향 표면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홀더(5)는 윙(3, 4)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는) 표면(15, 17)에 의해서 한정되어 있으며, 홀더(5) 내로 돌출되고, 삽입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안내 숄더(18, 19)는 상기 표면(15, 17) 상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숄더는 홀더(5)가 180˚에 걸쳐서 회전 대칭적으로 되도록 표면(15, 17)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한다.
도 4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점화 장치 소켓(20)은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평면에 위치하고, 실린더형 개구(24)의 바닥으로부터 돌출하여 단락 접점 지지부(1)를 유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접점 핀(21, 22)을 구비한다. 점화 장치 소켓(20) 내에 형성된 상기 개구(24)는 로브(7, 8)를 위한 대응하는 절단부를 그 전방면에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윈도우(32)가 절단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31)를 구비하는 단락 브리지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의 그 내부에는 핑거(33)가 삽입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지향하고 있고, 숄더(34)가 윈도우의 상부 에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두 개의 내향 지향의 접점 소자(35, 36)는 금속 플레이트(31)의 상부 에지(37)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접점 소자(35, 36)는 금속 플레이트(31)의 전방 에지(37)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해서 직각으로 되어 있는 출발 영역(41)과, 출발 영역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되고, 금속 플레이트(31)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앙 영역(42)과, 금속 플레이트(3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43)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앙 영역(42)은 플레이트(31)로부터 멀어지게 가리키고 있는 코너(44)에 의해서 단부 영역(43)에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점화 장치 소켓(20) 내에 위치되어 있는 단락 접점 지지부(1)의 평면(G)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 단면은 단락 브리지(30)의 금속 플레이트(31)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이 단락 브리지(30)가 본 도면에서 단지 측면으로부터만 보여지게 되어 있다. 단락 접점 지지부(1)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윙(3, 4) 내에 단락 브리지(30a, 30b)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단락 브리지는 두 개의 금속 플레이트(31a, 31b)가 윙(3, 4)에 대해서 및 윙(3, 4) 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배치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접점 소자(35, 36)는 홀더(5) 내로 돌출하게 되며, 이들 접점 소자(35, 36)의 중앙 영역(42)은 베이스(2)를 통해서 통과하는 평면 상으로 하향 지향되어 있으며, 따라서 단부 영역(43)은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두 개의 단락 브리지는 접점 핀(21, 22)을 통해서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서 거울상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접점 핀(22)은 한쪽의 단락 브리지(30a)의 접점 소자와 다른 쪽의 단락 브리지(30b)의 접점 소자 각각에 의해서 접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 또한 접점 핀(21, 22)이 각각 두 개의 접점 소자에 의해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명백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상부 접점 소자는 상부 단락 브리지(30a)에 속해 있고, 바닥 접점 소자는 바닥 단락 브리지(30b)에 속해 있다. 이는, 두 개의 접점 핀(21, 22)이 하나의 단락 브리지(30a) 및 다른 단락 브리지(30b)에 의해서 양자가 단락이 되도록 보장하게 된다.
도 5는 플러그(6) 상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플러그-인 돌출부(50)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접점 핀(21, 22)을 유지하기 위한 두 개의 소켓(51, 52)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숄더(18, 19)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그루브(55, 56)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플러그-인 돌출부(50)의 측방향 길이면(length surface)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그루브는 플러그-인 돌출부(50)의 측방향 길이면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인 돌출부를 180˚에 걸쳐서 회전시킬 때 홀더 내로 삽입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숄더(53, 54)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켓의 높이에서 상기 길이면의 한쪽 측면 상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러그-인 돌출부의 왼쪽 절반부는 플러그-인 돌출부의 오른쪽 절반부에 대해서 거울상 대칭으로 되며, 이 거울면은 두 개의 그루브(55, 56)를 통해서 통과한다. 점화 장치 소켓(20) 내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러그(58)를 구비한 결합 암(57)은 플러그-인 돌출부(50)의 폭방향 측면 상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법의 일예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측면 에어백을 조립하는 중에, 단락 접점 지지부(1)는 점화 소켓(20) 내로 먼저 삽입되며, 한쪽의 단락 브리지(30a)와 다른쪽의 단락 브리지(30b)는 점화 장치 소켓(20) 상에서 두 개의 접점 핀(21, 22)을 단락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 상에서의 플러그-인 돌출부(50)가 홀더(5) 내로 삽입되며, 하나의 단락 브리지, 예를 들어 30a는 플러그-인 돌출부(50) 상의 숄더(53, 54)에 의해서 접점 핀(21, 22)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두 개의 접점 핀은 이제 단일한 단락 브리지(30b)에 의해서만 단락되게 된다.
도 6은 플러그-인 돌출부(50)를 구비한 플러그(6)의 사시도이며, 단락 접점 브리지(1)의 두 개의 단락 브리지(30a, 30b)는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문자 "a"와 "b"는 두 개의 단락 브리지와 이에 연관된 소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도입된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서, 단락 브리지(30a)는 윙(3) 내에 위치해 있으며, 단락 브리지(30b)는 윙(4) 내에 위치해 있다. 플러그-인 돌출부(50)가 홀더(5)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안내 숄더(18, 19)는 그루브(55, 56)로 도입된다. 플러그-인 돌출부가 조금 더 삽입되게 됨에 따라서, 숄더(53, 54)는 단락 브리지(30a)의 두 개의 접점 소자(35a, 36a)의 두 개의 코너(44a)에 근접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들 코너(44a)를 지나치게 됨에 따라서, 접점 소자(35A, 36A)는 이에 따라서 접점 핀(21, 22)으로부터 제거된다. 플러그-인 돌출부(50)의 다른쪽의 길이 방향 측면 상에는 그와 같은 숄더(53, 54)가 없기 때문에, 접점 소자(35b, 36b)는 접점 핀(21, 22)과의 접촉이 유지되므로, 후자는 계속적으로 단락되어 있게 된다. 이것과는 다르게, 플러그-인 돌출부가 180˚에 걸쳐서 회전되어 삽입되는 경우라면, 단락 브리지(30b)는 접점 브리지(30a) 대신에 제거된다. 예를 들어서, 스파이크를 구비한 바(bar: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잠그는 도중에만, 계속 접촉되어 있는 두 개의 접점 소자(35b, 36b) 중의 하나가 접점 핀(21, 22)으로부터 제거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스파이크는 플러그-인 돌출부(50)와 들어 올려질 접점 부재(35b 또는 36b) 사이에서 미끄러지며, 이후에 스파이크는 코너(44b)의 아래로 하강하며, 따라서 상기 소자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잠금되고, 활성화되어, 뇌관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금속 플레이트(31)의 에지(37)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두 개의 탄성 접점 소자(35a, 36a)를 구비하는 제 1 단락 브리지(30a)와,
    두 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윙(3, 4)이 삽입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점화 장치 소켓(20) 상에서 접점 핀(21, 22)을 삽입하기 위한 소켓(51, 52)을 구비하는 플러그(6)용의 홀더(5)를 형성하는 환형 베이스(2)를 구비하는 지지 하우징(9)을 포함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5c)의 단락 접점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단락 접점 지지부는 제 1 단락 브리지(3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단락 브리지(30b)를 구비하고, 각각의 윙(3, 4)은 단락 브리지(30a, 30b)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플러그(6)가 삽입되었을 때 최소한 하나의 브리지(30a, 30b)가 점화 장치 소켓(20) 상의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접점 핀(21, 22)을 단락시키며,
    상기 홀더(5)는 180˚에 걸쳐서 회전 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윙(3, 4)은 실린더 형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각의 로브(7, 8)는 외측 상에서 윙(3, 4)의 자유 단부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윙(3, 4)의 각각은 중심부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내향 지향의 안내 숄더(18, 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점 소자(35, 36)는 상부 에지(37)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31)의 바닥 에지(39)까지, 상기 플레이트(31)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점 소자(35, 36)의 중앙 영역(42)은 플레이트(3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접점 소자(35, 36)의 단부 영역(43)은 삽입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접점 소자(35, 36)의 각각은, 중앙 영역(42)과 단부 영역(43) 사이에서, 금속 플레이트(31)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코너(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리지(30a, 30b)는 윙(3, 4) 내에서 서로에 대해서 거울상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유지 시스템 내에서 점화 장치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 내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KR1020000044990A 1999-08-05 2000-08-03 점화 장치 소켓을 위한 플러그형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KR100685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6848.1 1999-08-05
DE19936848A DE19936848C1 (de) 1999-08-05 1999-08-05 Kurzschlußkontaktträger für einen Steckansatz eines Zündersock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198A true KR20010021198A (ko) 2001-03-15
KR100685154B1 KR100685154B1 (ko) 2007-02-22

Family

ID=791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90A KR100685154B1 (ko) 1999-08-05 2000-08-03 점화 장치 소켓을 위한 플러그형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22897B1 (ko)
EP (1) EP1075054B1 (ko)
KR (1) KR100685154B1 (ko)
AT (1) ATE341114T1 (ko)
BR (1) BR0003530A (ko)
DE (2) DE19936848C1 (ko)
ES (1) ES227222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5079B2 (en) * 2002-05-23 2004-12-28 Positronic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orting member
US20040043652A1 (en) * 2002-08-30 2004-03-04 Special Devices, Inc. Initiator having integral features for orienting and holding an insertable electrical shunt
US6663421B1 (en) * 2002-12-11 2003-12-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Igniter shorting contact
DE102005004920B3 (de) * 2005-02-02 2006-08-1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sicherung für Steckverbinder mit einer Kurzschlussbrücke mit integriertem Schaltelement
JP2008049941A (ja) * 2006-08-28 2008-03-06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US20080087233A1 (en) * 2006-10-16 2008-04-17 Bradford White Corporation Water heater igniter bracket and bracket assembly
JP5148894B2 (ja) * 2007-02-23 2013-0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用雌端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FR3059478A1 (fr) * 2016-11-30 2018-06-0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EP3772782A1 (en) * 2019-08-05 2021-02-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watertight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385A (en) * 1973-10-25 1975-09-02 E Advanced Packaging Inc Sa Shorting bar switch in electrical connector biasing assembly
US4152041A (en) * 1978-02-17 1979-05-01 Amp Incorporated Hybrid filter header
JPH0753264Y2 (ja) * 1989-10-12 1995-12-06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源ソケット
US5145391A (en) * 1991-04-29 1992-09-08 Gte Products Corporation Switching connector assembly
US6077104A (en) * 1996-06-22 2000-06-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on means
GB9624366D0 (en) * 1996-11-22 1997-01-08 Amp Great Britain Squib connector
DE19728448C1 (de) * 1997-07-03 1998-09-24 Framatome Connectors Int Flachbauender Steckverbinder
JPH1140270A (ja) * 1997-07-11 1999-02-12 Amp Japan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3374735B2 (ja) * 1997-12-12 2003-0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944547A (en) * 1998-03-24 1999-08-31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shorting bar retention
JP2889562B1 (ja) * 1998-04-21 1999-05-10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TW389414U (en) * 1998-10-17 2000-05-01 Hon Hai Prec Ind Co Ltd Jack connector
US6062885A (en) * 1999-04-23 2000-05-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 assembly
TW453528U (en) * 1999-07-02 2001-09-01 Hon Hai Prec Ind Co Ltd Socket connector
US6162078A (en) * 2000-01-20 2000-12-19 Aten International Co., Ltd. Socke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ircui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0919T2 (de) 2007-05-24
BR0003530A (pt) 2001-03-13
EP1075054A1 (en) 2001-02-07
EP1075054B1 (en) 2006-09-27
DE19936848C1 (de) 2000-11-16
KR100685154B1 (ko) 2007-02-22
ATE341114T1 (de) 2006-10-15
DE60030919D1 (de) 2006-11-09
ES2272222T3 (es) 2007-05-01
US6422897B1 (en) 200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3466C (en)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EP0921600B1 (en)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KR100278818B1 (ko) 안전 연동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속 시스템
US9941636B2 (en) Pyrotechnic connector
JPH07201420A (ja) 電気プラグ接続装置
EP1073160B1 (en) Shorting contact support for igniter receptacles
KR20010021198A (ko) 점화 장치 소켓 내의 플러그-인 돌출부의 단락 접점 지지부
CN101521331B (zh) 电插座
US10014635B2 (en) Grounding clip for an airbag ignition system
US5054395A (en) Plug connection for an electric ignitor
KR200303347Y1 (ko) 단락 전기 커넥터
EP1339139B1 (en) Connector assembly for igniter system and shorting assembly
EP1079474B1 (en) Scoop-proof plug connector system
KR100313470B1 (ko) 플러그타입커넥터커플링
JPH08273748A (ja) 取付保持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7226260B2 (ja) コネクタ装置
JP4080286B2 (ja) 絶縁部
EP1378973B1 (en)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