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231A -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231A
KR20010020231A KR1019997009821A KR19997009821A KR20010020231A KR 20010020231 A KR20010020231 A KR 20010020231A KR 1019997009821 A KR1019997009821 A KR 1019997009821A KR 19997009821 A KR19997009821 A KR 19997009821A KR 20010020231 A KR20010020231 A KR 2001002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objective lens
density
numerical apertur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찌 쯔찌야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2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2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79Width or dep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Landscapes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포함하는 광픽업 장치(10)용의 배밀도 CD(5)는, 식 : 0.7 <TP/(λ/NA) <0.8을 만족하는 TP㎛의 트랙 피치, 및 /또는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하는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다. 그 때문에, 지터가 억제되고, 재생 특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RECORDING MEDIUM AND OPTICAL PICKUP DEVICE}
CD-ROM(콤팩트 디스크-리드-온리 메모리)과 같이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약 1.2㎜ 두께의 광 디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대물 렌즈에 포커스 서보 제어 및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하고, 신호 기록면의 피트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최근에는, 장시간의 동화(動畵)를 기록하기 위해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CD-ROM과 동일한 직경 12㎝의 광 디스크에, 한 면에서 4.7G 바이트의 정보를 기록하는 DVD(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규격이 제안되고 있다. DVD의 두께는 0.6㎜이고, 이들을 양면에 접합시킴에 따라, 1매의 광 디스크에 9.4G 바이트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CD와 동일한 직경 및 두께를 갖고, CD의 2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배밀도 CD, 및 CD의 3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CD-α가 현재 개발되고 있다. 또한, LD(레이저 디스크), 및 뮤즈 신호를 기록한 MUSE-LD도 제공되고 있다.
금후, 이러한 여러 종류의 광 디스크 중에서, 배밀도 CD는 직경 및 두께가 CD와 동일하기 때문에, 고밀도화의 요청과 플레이어측의 요청을 동시에 만족하는 광 디스크로서 주목을 모으고, 예를 들면 가라오케용의 광 디스크로서 이용되거나, 게임용의 광 디스크로서 이용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 두께를 CD와 동일한 1.2㎜로 한 상태에서 고밀도화를 도모하는 쪽이 현행의 광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여러가지의 광 디스크에 대해서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의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 대물 렌즈의 개구수, 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 최단 피트 길이 등에 대해 여러가지 값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배밀도 CD에 대해서는,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 대물 렌즈의 개구수, 트랙 피치, 최단 피트 길이 등을 구체적으로 어떠한 값으로 설정하면, 배밀도 CD의 재생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우수한 재생 특성을 갖는 기록 매체, 및 그로 인한 광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 디스크의 약 2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기록 매체, 및 그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크로스토크와 TP/(λ/NA)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트랙킹 에러 신호와 TP/(λ/NA)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TP와 λ/NA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조도와 L/(λ/NA)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터와 변조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L(최단 피트 길이)과 λ/NA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와,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를 갖는 광픽업 장치용의 기록 매체는, 식 : 0.7 <TP/(λ/NA) <0.8을 만족하는 TP㎛의 피치를 갖는 트랙을 구비한다.
한편, TP㎛의 피치를 갖는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용의 광픽업 장치는, 레이저와, 대물 렌즈를 구비한다. 레이저는, λ㎛의 파장을 갖는다. 대물 렌즈는, 레이저로부터의 빔을 집속(合焦)하고, 또한 식 : 0.7 <TP/(λ/NA) <0.8을 만족하는 NA의 개구수를 갖는다.
레이저의 파장λ㎛, 대물 렌즈의 개구수 NA, 및 트랙의 피치 TP㎛이 상기한 바와 같은 관계를 갖기 때문에, 크로스토크 및 지터가 억제되고, 충분한 트랙킹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있는 등, 재생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와,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픽업 장치용의 기록 매체는,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하는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트랙을 구비한다.
한편,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용의 광픽업 장치는 레이저와, 대물 렌즈를 구비한다. 레이저는 λ㎛의 파장을 갖는다. 대물 렌즈는 레이저로부터의 빔을 집속하고, 또한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하는 NA의 개구수를 갖는다.
최단 피트 길이 L㎛, 레이저의 파장 λ㎛, 및 대물 렌즈의 개구수 NA가 상기한 바와 같은 관계를 갖기 때문에, 지터가 억제되고, 충분한 변조도를 얻을 수 있는 등, 재생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트랙 피치 TP㎛가 0.7 <TP/(λ/NA) <0.8의 관계를 만족하던지, 또는 최단 피트 길이 L㎛가 0.40 <L/(λ/NA) <0.45의 관계를 만족하기만 하면 되므로, 여러가지의 반도체 레이저 및 대물 렌즈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광픽업 장치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공통되는 광 디스크 및 이를 위한 광픽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10)는, CD의 2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배밀도 CD(5)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 레이저(1)와, 콜리메이터 렌즈(2)와, 하프 미러(또는 편향 빔 분할기 : 3)와, 대물 렌즈(4)와, 집광 렌즈(9)와, 광검출기(7)를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1)는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생성한다. 콜리메이터 렌즈(2)는 반도체 레이저(1)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평행하게 한다. 하프 미러(3)는 콜리메이터 렌즈(2)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똑바르게 투과시킴과 동시에, 배밀도 CD(5)로 반사한 레이저 빔을 광검출기(7)를 향해 수직으로 반사시킨다. 대물 렌즈(4)는, NA의 개구수를 구비하고, 하프 미러(3)를 투과한 레이저 빔을 배밀도 CD(5)의 신호 기록면(55) 상에 집속한다. 집광 렌즈(9)는 하프 미러(3)로 반사한 레이저 빔을 광검출기(7)에 집광시킨다. 광검출기(7)는 집광 렌즈(9)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재생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등을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 장치(10)에 있어서는, 반도체 레이저(1)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2)에 의해 평행하게 된 후, 하프 미러(3)를 통해 대물 렌즈(4)에 입사한다. 대물 렌즈(4)에 입사한 레이저 빔은 대물 렌즈(4)에 의해 집광되고, 배밀도 CD(5)의 투명 기판(56)을 통해 신호 기록면(55)에 조사된다. 레이저 빔은 이 신호 기록면(55)에서 반사된 후, 대물 렌즈(4)를 통해 하프 미러(3)로 복귀되고, 레이저 빔의 반이 입사 방향에 대해 90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반사되고, 또한 집광 렌즈(9)에 의해 광검출기(7)에 집광된다. 광검출기(7)에 있어서는, 신호 기록면(55)으로부터 반사한 레이저 빔의 강도가 검출되고, 그 강도에 따라 재생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등이 생성된다.
한편, 배밀도 CD(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형성된 원형의 투명 기판(56)을 갖는다. 이 투명 기판(56)의 주표면 상에는, 다수의 피트(57)가 스파이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트(57)의 열이 트랙(58)을 형성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하나의 트랙(58)이 스파이럴형으로 달리고 있다. 인접하는 트랙(58)의 간격은 트랙 피치라고 한다. 이 트랙(58)은 TP㎛의 트랙 피치를 갖는다. 또한, 원래의 기록 신호는 EFM 방식으로 변조되고, 이 변조된 신호에 따라 피트(57)가 형성되기 때문에, 피트(57)는 여러가지의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면 원래의 기록 신호가 3T-11T의 RLL 방식으로 부호화되는 경우는, 3피트의 피트(59)가 피트(57) 중에서 가장 짧아진다. 이러한 피트(59)의 길이는 최단 피트 길이라고 한다. 여기서는, 트랙(58)은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다.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기록 밀도가 CD의 2배가 되도록 트랙 피치 TP 및 최단 피트 길이 L을 결정하고, 그 결정한 트랙 피치 TP 및 최단 피트 길이 L에 기초하여 배밀도 CD(5)의 재생에 알맞은 반도체 레이저(1)의 파장 및 대물 렌즈(4)의 개구수를 결정하고 있다.
[제1 실시예]
다음 표 1은 제1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반도체 레이저(1)의 파장λ(㎛), 대물 렌즈(4)의 개구수 NA, λ/NA, 트랙 피치 TP, 및 TP/(λ/NA)를 나타낸다. 이 표 1에는 배밀도 CD(5)의 재생에 이용되는 상술한 파라메터뿐만 아니라, 이것과의 비교를 위해 CD, LD, MUSE-LD, CD-α, 및 DVD의 재생에 이용되는 파라메터도 도시되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의파장 : λ(㎛) 대물 렌즈의 개구수 : NA λ/NA 트랙 피치:TP(㎛) TP/(λ/NA)
CD 0.780 0.45 1.73 1.6 0.925
LD 0.780 0.50 1.56 1.6 1.026
MUSE-LD 0.6700.685 0.550.55 1.2181.245 1.11.1 0.900.88
CD-α 0.6850.670 0.550.55 1.2451.218 1.01.0 0.800.82
DVD 0.6350.650 0.600.60 1.0581.083 0.740.74 0.69920.683
배밀도CD 0.780 0.52 1.50 1.1 0.73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의 재생에는, 0.780㎛ (7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45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트랙 피치 TP는 1.6㎛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73이 되고, TP/(λ/NA)는 0.925가 된다. CD의 트랙피치는, 예를 들면「전자 기술」, 일간 공업 신문사, 1996, Vol. 38, No.8, p.53의 표 1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LD의 재생에는, 0.7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50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트랙 피치 TP는 1.6㎛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56이 되고, TP/(λ/NA)는 1.026이 된다.
또한, MUSE-LD의 재생에는, 0.670 또는 0.685㎛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55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트랙 피치 TP는 1.1㎛로 설정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70㎛인 경우, λ/NA는 1.218이 되고, TP/(λ/NA)는 0.90이 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85㎛인 경우, λ/NA는 1.245가 되고, TP/(λ/NA)는 0.88이 된다.
또한, CD-α의 재생에는, 0.685 또는 0.6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55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트랙 피치 TP가 1.0㎛로 설정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85㎛인 경우, λ/NA는 1.245가 되고, TP/(λ/NA)는 0.80이 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은 0.670㎛인 경우, λ/NA는 1.218이 되고, TP/(λ/N)는 0.82가 된다.
또한, DVD의 재생에는, 0.635 또는 0.65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60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트랙 피치 TP가 0.74㎛로 설정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35㎛인 경우, λ/NA는 1.058이 되고, TP/(λ/NA)는 0.6992가 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50㎛인 경우, λ/NA는 1.083이 되고, TP/(λ/NA)는 0.683이 된다. DVD의 트랙 피치도 상술된 「전자 기술」의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밀도 CD(5)의 재생에는, 0.780㎛ (7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1), 및 0.52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가 이용되고, 배밀도 CD(5)의 트랙 피치 TP는 1.1㎛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50이 되고, TP/(λ/NA)는 0.73이 된다.
기록 밀도를 CD의 거의 2배로 하기 위해서는, 트랙의 주행 방향(접선 방향)의 기록 밀도를 CD의배로 하고, 또한 트랙의 횡단 방향(반경 방향)의 기록 밀도를 CD의배로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기록 밀도를 CD의 2배 가깝게 하기 위해, 접선 방향의 기록 밀도를배로 하고, 또한 반경 방향의 기록 밀도를배로 한 경우, 트랙 피치 TP는 1.193(≒1.6/)㎛이 된다. 이 경우, 배밀도 CD(5)의 기록 밀도는 엄밀하게는 CD의 1.897(≒×)배가 된다. 따라서, CD의 거의 2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배밀도 CD(5)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트랙 피치 TP는 1.193㎛보다도 좁고, 즉 식 : TP <1.19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계식 : TP/(λ/NA) <0.80 (≒1.193/1.5)이 성립한다.
파장 0.780㎛의 반도체 레이저(1) 및 개구수 0.52의 대물 렌즈(4)를 이용하여 측정한 크로스토크와 TP/(λ/NA)와의 관계를 도 3에 도시한다. 크로스토크는,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신호가 정규의 신호로 혼입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TP/(λ/NA)의 값이 커짐에 따라 작아진다. 크로스토크의 값이 80%를 넘으면 지터가 커지고, 적절한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없으므로, 0.7 <TP/(λ/NA)인 것이 바람직하다.
CD를 기준으로 규격화된 트랙킹 에러 신호와 TP/(λ/NA)와의 관계를 도 4에 도시한다. 트랙킹 에러 신호는 트랙킹 서보 제어를 위해 광검출기(7)에 의해 생성되는 주지의 제어 신호이고, 규격화된 트랙킹 에러 신호는, 1.6㎛의 트랙 피치를 갖는 CD로부터 얻을 수 있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크기를 「1」로 한 경우에 이 배밀도 CD(5)로부터 얻을 수 있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0.7 <TP/(λ/NA) <0.8의 관계식이 성립하는 경우, 규격화된 트랙킹 에러 신호는 30∼50%의 범위 내로 수습되고, 배밀도 CD로부터 얻을 수 있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약 2배로 증폭시키면, 노이즈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고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밀도 CD(5)는 CD와의 호환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의 2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배밀도 CD(5)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트랙 피치 TP, 반도체 레이저(1)의 파장 λ, 및 대물 렌즈(4)의 개구수 NA 사이에, 0.7 <TP/(λ/NA) <0.8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밀도 CD 이외의 광 디스크에 있어서는, 상술한 관계가 성립하지않으므로, 이 관계는 배밀도 CD(5)의 재생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유의 조건이다.
도 5에 있어서는, TP/(λ/NA) = 0.8을 나타내는 직선(51), 및 TP/(λ/NA) = 0.7을 나타내는 직선(52)이 도시되어 있다. TP = 1.0㎛이고 또한 λ/NA = 1.25인 경우는 직선(51) 상에 위치한다. TP = 1.1㎛이고 또한 λ/NA = 1.57인 경우는 직선(52)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트랙 피치 TP, 반도체 레이저(1)의 파장 λ, 및 대물 렌즈(4)의 개구수 NA를 직선(51 및 52)을 제외한 영역(50)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면, 배밀도 CD(5)의 재생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배밀도 CD(5)가 식 : 0.7 <TP/(λ/NA ) <0.8을 만족하는 TP㎛의 트랙 피치를 갖기 위해, 크로스토크 및 지터가 억제되고, 재생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충분한 크기의 트랙킹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CD와의 호환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로 트랙 피치 TP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했지만,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랙 피치 TP를 대신하여 최단 피트 길이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다음 표 2는, 배밀도 CD(5)의 재생에 이용되는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 λ, 대물 렌즈(4)의 개구수 NA, λ/NA, 최단 피트 길이 L, 및 L/(λ/NA)을 나타낸다. 이 표 2에는 배밀도 CD(5)용의 상기한 바와 같은 파라메터뿐만 아니라, 비교를 위해 CD, LD, MUSE-LD, 및 DVD 용의 파라메터도 도시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 : λ(㎛) 대물 렌즈의 개구수 : NA λ/NA 트랙 피치 :TP(㎛) TP/(λ/NA)
CD 0.780 0.45 1.73 0.833 0.481
LD 0.780 0.50 1.56 0.543 0.348
MUSE-LD 0.670 0.55 1.218 0.486 0.399
DVD 0.6350.650 0.600.60 1.0581.083 0.40.4 0.3780.369
배밀도CD 0.780 0.52 1.50 0.618 0.412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의 재생에는 0.7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45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를 이용할 수 있고, 최단 피트 길이 L이 0.833㎛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73이 되고, L/(λ/NA)는 0.481이 된다. 상술한 「전자 기술」에는 CD 용의 최단 피트 길이로서 0.834㎛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LD의 재생에는, 0.7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50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최단 피트 길이 L이 0.543㎛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56이 되고, L/(λ/NA)은 0.348이 된다.
또한, MUSE-LD의 재생에는, 0.67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55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최단 피트 길이 L이 0.486㎛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218이 되고, N/(λ/NA)은 0.399가 된다.
또한, DVD의 재생에는, 0.635 또는 0.65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및 0.60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가 이용되고, 최단 피트 길이 L은 0.4㎛로 설정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35㎛인 경우, λ/NA는 1.058이 되고, L/(λ/NA)은 0.378이 된다.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이 0.650㎛인 경우, λ/NA는 1.083이 되고, L/(λ/NA)는 0.369가 된다. 상술한 「전자 기술」에는 DVD의 최단 피트길이로서 0.4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배밀도 CD(5)의 재생에는, 0.780㎛ (780㎚)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1), 및 0.52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가 이용되고, 최단 피트 길이 L이 0.618㎛로 설정된다. 이 경우, λ/NA는 1.50이 되고, L/(λ/NA)은 0.412가 된다.
CD의 선속도는 1.2∼1.4m/초이기 때문에, 그 평균치인 1.3m/초를 기준으로 하여 배밀도 CD(5)의 최단 피트 길이 L에 대해 검토한다. 반경 방향의 기록 밀도를 CD의배로 하고, 접선 방향의 기록 밀도를 CD의배로 하기 위해서는, 선속도가 1.3m/초일 때, CD의 최단 피트 길이는 약 0.9㎛ 이므로, 배밀도 CD(5)의 최단 피트 길이는 0.673(≒0.9/)㎛이 된다. 따라서, CD의 거의 2배의 기록 밀도를 갖는 배밀도 CD(5)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L/(λ/NA) <0.45 (≒0.673/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밀도 CD(5)의 변조도와 L/(λ/NA)와의 관계를 도 6에 도시한다. 여기서, 변조도는 최장 피트 길이(11T)의 신호 강도에 대한 최단 피트 길이(3T)의 신호강도의 비이다. 도 6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0.40 <L/(λ/NA) <0.45이면, 변조도는 40∼50%의 범위내가 된다.
3T의 신호의 지터와 변조도와의 관계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변조도가 약 40%일 때, 3T 지터는 약 25나노초가 된다. 일반적으로 CD의 재생시에 지터가 약 30나노초보다도 작으면, 에러율은 실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가 된다. 드라이브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광 디스크 및 광픽업 장치의 초기 파라메터에는 기구 정밀도의 오차를 위해 2할의 마진이 주어진다고 하면, 실제로 사용 가능한 변조도는 40%보다도 큰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도가 40%보다도 커지는 경우는 L/(λ/NA) > 0.4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λ/NA)의 상한은 0.45이기 때문에, 0.40 <L/(λ/NA) <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0.40 <L/(λ/NA) <0.45의 조건이 도 8에 도시된다. 도 8에 있어서, L/(λ/NA)=0.45의 직선(81)이 도시되고, L/(λ/NA) = 0.40의 직선(82)이 도시되어 있다. L (최단 피트 길이) = 0.61㎛이고, 또한 λ/NA = 1.35인 경우에는 직선(81) 상에 위치한다. L(최단 피트 길이) = 0.62㎛이고 또한 λ/NA = 1.15인 경우는 직선(82) 상에 위치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단 피트 길이 L, 반도체 레이저(1)의 파장 λ, 및 대물 렌즈(4)의 개구수 NA가 직선(81 및 82)을 제외한 영역(80) 내의 원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배밀도 CD(5)의 재생 특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배밀도 CD(5)가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하는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기 위해, 지터가 억제되는 등, 재생 특성이 향상된다.
[제3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트랙 피치 TP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최단 피트 길이 L이 원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트랙 피치 TP 및 최단 피트 길이 L의 양쪽이 원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즉, λ㎛의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1), 및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가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밀도 CD(5)의 트랙 피치 TP㎛은 식 : 0.7 <TP/(λ/NA) <0.8을 만족하고, 또한 최단 피트 길이 L㎛은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한다. 환언하면, 배밀도 CD(5)의 트랙 피치가 TP㎛이고, 또한 최단 피트 길이가 L㎛인 경우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1)의 파장이 λ㎛ 일 때는, 대물 렌즈(4)의 개구수 NA는 식 : 0.7 <TP/(λ/NA) <0.8을 만족하고, 또한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한다.
이상과 같이 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배밀도 CD(5)가 식 : 0.7 <TP/(λ/NA) <0.8을 만족하는 TP㎛의 트랙 피치, 및 식 : 0.40 <L/(λ/NA) <0.45를 만족하는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기 때문에, 크로스토크 및 지터가 저감되는 등, 재생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충분한 크기의 트랙킹 에러 신호가 행해지므로, CD와의 호환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번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으로 생각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도시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가라오케, 게임용의 광 디스크 외에, 영화, 오디오용의 광 디스크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6)

  1.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포함하는 광픽업 장치(10)용의 기록 매체(5)에 있어서,
    다음 식
    0.7 <TP/(λ/NA) <0.8
    을 만족하는 TP㎛의 피치를 갖는 트랙(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 TP㎛의 피치를 갖는 트랙(58)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5)용의 광픽업 장치(10)에 있어서,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상기 레이저(1)로부터의 빔을 집속하고, 또한 다음 식
    0.7 <TP/(λ/NA) <0.8
    을 만족하는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포함하는 광픽업 장치(10)용의 기록 매체(5)에 있어서,
    다음 식
    0.40 <L/(λ/NA) <0.45
    를 만족하는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트랙 (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4.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트랙(58)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5)용의 광픽업 장치(10)에 있어서,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상기 레이저(1)로부터의 빔을 집속하고, 또한 다음 식
    0.40 <L/(λ/NA) <0.45
    를 만족하는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5.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포함하는 광픽업 장치(10)용의 기록 매체(5)에 있어서,
    다음 식
    0.7 <TP/(λ/NA) <0.8
    0.40 <L/(λ/NA) <0.45
    를 만족하는 TP㎛의 피치 및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트랙(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6. TP㎛의 피치 및 L㎛의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트랙(58)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5)용의 광픽업 장치(10)에 있어서,
    λ㎛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1)와,
    상기 레이저(1)로부터의 빔을 집속하고, 또한 다음 식
    0.7 <TP/(λ/NA) <0.8
    0.40 <L/(λ/NA) <0.45
    를 만족하는 NA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KR1019997009821A 1997-04-25 1998-04-23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 KR20010020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109432 1997-04-25
JP9109432A JPH10302320A (ja) 1997-04-25 1997-04-25 記録媒体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231A true KR20010020231A (ko) 2001-03-15

Family

ID=1451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821A KR20010020231A (ko) 1997-04-25 1998-04-23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62966B1 (ko)
EP (1) EP0978830B1 (ko)
JP (1) JPH10302320A (ko)
KR (1) KR20010020231A (ko)
CN (1) CN1252884A (ko)
DE (1) DE69830990T2 (ko)
TW (1) TW391000B (ko)
WO (1) WO19980496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06A (ko) * 2001-10-11 200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00B2 (ja) * 1998-03-12 2001-01-09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IT247679Y1 (it) 1999-11-29 2002-09-09 Atop Innovation Spa Perfezionato disco ottico compatto, o cd.
JP4287580B2 (ja) * 1999-11-30 2009-07-01 Tdk株式会社 光情報媒体の再生方法
JP2001229576A (ja) * 2000-02-10 2001-08-24 Sony Corp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製造用原盤
JP2001229546A (ja) * 2000-02-14 2001-08-24 Sony Corp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製造用原盤
TWI239002B (en) * 2000-03-10 2005-09-01 Sony Corp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head apparatus,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tracking control method for use therein, and optical disc
WO2002049021A1 (en) * 2000-12-15 2002-06-20 Atop Innovation S.P.A. Improved optical compact disc, or cd
JP2003173543A (ja) 2001-09-26 2003-06-20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担体及び情報記録担体の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担体の再生装置
KR100896681B1 (ko) * 2001-12-18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3967691B2 (ja) * 2003-03-31 2007-08-29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情報再生装置と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70030786A1 (en) * 2003-05-21 2007-02-08 Jansen Theodorus Petrus H G Method of storing rll encoded information to an optical disc with control of the frequency of th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ut-off frequency of the optic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18B2 (ja) 1992-01-20 2000-0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89473A (ja) * 1992-09-10 1994-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磁気記録媒体
JPH0887747A (ja) 1994-02-02 1996-04-02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US5477527A (en) 1994-02-02 1995-12-19 Sanyo Electric Co., Ltd. High density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player
JPH0887770A (ja) * 1994-03-18 1996-04-02 Sanyo Electric Co Ltd 光学式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3268126B2 (ja) * 1994-07-06 2002-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
JPH08180492A (ja) 1994-12-26 1996-07-12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3210549B2 (ja) * 1995-05-17 2001-09-17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
JPH09147421A (ja) 1995-11-17 1997-06-06 Toray Ind Inc 光ディスク用基板および光記録媒体
EP0886267A4 (en) * 1996-03-06 1999-11-03 Toshiba Kk FOCUSING DEVICE AND PROVIDED OPTICA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06A (ko) * 2001-10-11 200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8830A4 (en) 2000-07-26
EP0978830B1 (en) 2005-07-27
CN1252884A (zh) 2000-05-10
WO1998049680A1 (fr) 1998-11-05
US6262966B1 (en) 2001-07-17
DE69830990T2 (de) 2006-05-24
TW391000B (en) 2000-05-21
EP0978830A1 (en) 2000-02-09
JPH10302320A (ja) 1998-11-13
DE69830990D1 (de)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6492B1 (en) Optical multilayer information carrier
KR100315637B1 (ko) 씨디-알더블유의 재생/기록이 가능한 디브이디-롬 광학계
KR20010020231A (ko) 기록 매체 및 광픽업 장치
US5905703A (en) Optical disk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tracking control system
WO1997024719A1 (fr) Disque optique
KR20000066666A (ko) 디브이디-램의 재생이 가능한 디브이디-롬 광학계
JPH07334867A (ja) 高密度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再生装置
JP3179598B2 (ja) 光ディスク
KR100335408B1 (ko) 포커스옵셋조정가능한광픽업장치
JP2566111B2 (ja) 光磁気メモリ素子
KR100324272B1 (ko) 광픽업 장치
JP3108671B2 (ja) 光磁気メモリ素子
KR100294230B1 (ko) 기록밀도가다른광기록매체들에호환가능한광픽업
KR100354534B1 (ko) 협트랙광디스크를위한광픽업
KR19990031138A (ko) 다파장 광픽업 장치
JPH10302404A (ja) コピー防止用記録媒体
JP200118470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KR100255308B1 (ko) 광 픽업
KR100253812B1 (ko) 고밀도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JPH11149643A (ja) 光記録媒体
JPH09293274A (ja) 光記録媒体
KR19980028154A (ko) 광 픽업
JP2006269071A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H09293275A (ja) 光記録媒体
KR20020063668A (ko) 멀티 파장의 발광부가 적층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를포함한 광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213

Effective date: 200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