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571A -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571A
KR20010019571A KR1019990036038A KR19990036038A KR20010019571A KR 20010019571 A KR20010019571 A KR 20010019571A KR 1019990036038 A KR1019990036038 A KR 1019990036038A KR 19990036038 A KR19990036038 A KR 19990036038A KR 20010019571 A KR20010019571 A KR 2001001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yarns
effect
un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314B1 (ko
Inventor
이태호
이정기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9003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3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20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or devices; After-treatments for fixing crimp or cur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키성이 우수하고 다색성 발현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가공사는 (ⅰ)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구성되어 부분적으로 미연신 처리된 저수축성 원사(효과사)와 (ⅱ)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심사)로 구성되어, 비등수수축율이 6%~25%이고, 미터당 교락수가 60~120개 이며, 상기 효과사 비율이 원사 전체중량에 대하여 40중량%~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는 주로 의류용 원사로 사용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An air texturing polyester yarn,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촉감 및 공정통과성이 우수하고 다색성 발현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색상(이하 "다색성" 이라고 한다) 발현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나일론 원사와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공기교락 등의 방법으로 복합화하여 상기 원사간의 염색성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이하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라고 한다)를 복합화 하여 이들의 염색성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셋째,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복합화 함에 있어서 상기 원사중 하나를 고배향 미연신 상태로 하여 염색성과 이수축 효과를 발현하는 방법과 넷째, 고배향 미연신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연신시 연신배율을 불규칙하게 연신하므로서 원사의 길이방향으로 단면 굵기를 다르게 하여 염색시 농담차를 발현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중 첫번째 방법은 염색성이 상이한 두 원사를 이용함으로써 이색 발현성은 양호하지만, 염색시 상압 염색을 해야하는 나일론 원사와 고온, 고압 염색을 해야만 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복합되어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염색시 나일론 부분이 스티프(Stiff)해져서 원단의 품위가 떨어진다. 또한 나일론 원사와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비등수수축율이 유사하기 때문에 원단상에서 벌키감이 발현 되지않아 볼륨감이 없는 저급의 원단이 제조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중 두번째 방법은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 모두 고온, 고압 염색용으로 원단 제조상에서의 문제점은 없으나 상기 원사들의 비등수수축율이 거의 같기 때문에 원단제조시 이수축 벌키성이 발현 되지않아 원단의 품위가 고급스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중 세번째 방법은 고배향 미연신사를 사용함으로써 이수축 벌키성이 양호해져 원단의 고급스러움은 향상되지만, 고배향 미연신사의 물리적, 열적 특성이 불안정하여 사이징 및 연사시 색단 및 경사줄 발생이 심하여 원단의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중 네번째 방법은 고배향 미연신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불규칙하게 연신하여 원사내에 연신된 부분과 연신되지 않은 부분을 혼재 시킴으로서 염색시 이들의 농담차를 이용하는 것이나, 원사내에 일정부분이 고배향 미연신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원사의 열적수축 특성이 불안정 하게 된다. 그 결과 경사줄 및 색단이 발생하고 이수축 벌키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원단제조시 벌키성, 촉감 및 공정통과성이 우수하며, 염색시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와 일반 폴리에스테르가 합방사된 원사(효과사)
B :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심사)
1 : 제 1연신롤러 2 : 열처리 장치 3 : 제 2연신롤러
4 : 공기교락장치 5 : 와인딩
본 발명은 원단제조시 벌키성 및 공정통과성이 우수하며, 염색시 다양한 색상을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ⅰ)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구성되어 부분적으로 미연신 처리된 저수축성 원사(효과사)와 (ⅱ)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심사)로 구성되어, 비등수수축율이 6%~25%이고, 미터당 교락수가 60~120개 이며, 상기 효과사 비율이 원사 전체중량에 대하여 40중량%~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아 래 -
(ⅰ) 고배향 미연신의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고배향 미연신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합사 또는 합방사 하고,
(ⅱ) 이들을 1.15배~1.45배의 연신비율로 불연속적으로 연신 및 열처리하여 신도가 50~100%인 저수축성의 부분 미연신 원사를 제조하고,
(ⅲ) 연신 및 열처리된 상기 원사를 공기교락장치에 효과사로 공급하고,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공기교락장치에 심사로 공급하여, 이들을 공기교락 처리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고배향 미연신의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고배향 미연신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합사하거나 합방사 한다. 상기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이들을 1.15배~1.45배의 연신비율로 불연속적으로 연신 및 열처리하여 신도가 50~100%인 저수축성의 부분 미연신 원사를 제조한다. 상기 연신 및 열처리는 연신롤을 이용하여 할수도 있고, 핫핀(Hot pin)을 사용하여 할수도 있다. 연신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180℃에서 0.1~0.35초 동안 열처리 하는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핫핀(Hot pin)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200℃의 온도에서 0.1~0.35초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후공정에서 경사줄 및 색단 등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연신시 연신배율을 불균일하게 조절하여 연신후 원사내에 연신부와 미연신부가 교호로 배열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연신사 내에 연신부와 미연신사가 교호로 배열됨에 따라 염색시 농담의 2색 효과가 더욱 양호하게 발현되고 이들의 수축율 차에 의해 벌키한 이수축감이 발현된다.
다음으로는 연신 및 열처리된 상기 원사를 공기교락장치에 효과사로 공급하고,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공기교락장치에 심사로 공급하여, 이들을 공기교락 처리 한다.
이때 효과사의 공급량은 원사 전체중량에 대하여 40중량%~80중량%가 되도록 한다. 효과사의 공급량이 원사 전체중량에 대하여 40중량% 미만일때에는 원단의 벌키성이 저하되고, 80중량%를 초과할 때에는 원단의 기본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효과사와 심사의 비등수수축율 차이가 6~25%가 되도록 한다. 비등수수축율 차이가 6% 미만일 경우에는 원단의 벌키성이 저하되고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단의 품위가 불안정하게 된다.
공기교락시 미터당 교락수는 60~120개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ⅰ)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합사 또는 합방사되어 부분적으로 미연신 처리된 저수축성의 원사(효과사) 40~80중량%와 (ⅱ) 고수축성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심사) 20~60중량%가 공기교락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구성하는 효과사는 부분적으로 미연신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고,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도 혼합되어 있어서 원단상에서 양호한 다색성 및 벌키성을 발현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배향 미연신 처리되어 신도가 130%인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고배향 미연신 처리되어 신도가 145%인 100데니어 36필라멘트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합사한 후 120℃에서 0.2초 동안 열처리하면서 1.25배의 연신비율로 불연속적으로 연신하여 부분적으로 미연신 처리된 저수축성의 원사(A)를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공기교락장치에 상기 저수축성 원사(B)를 효과사로 공급하고 50데니어/36필라멘트의 일반 폴리에스테르(B)를 심사로 공급하여 이들을 공기교락처리 한다. 이때 미터당 교락수는 80개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다음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공기교락시 심사로 고수축성을 갖는 40데니어/24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다음,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3
고배향 미연신 처리된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고배향 미연신 처리된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합방사하여 신도가 140%인 200데니어/72필라멘트의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제조한 후 이를 120℃에서 0.2초 동안 열처리하면서 1.25배의 연신비율로 불연속적으로 연신하여 부분적으로 미연신 처리된 저수축성의 원사(A)를 제조한다.
다음으로는 공기교락장치에 상기 저수축성 원사(B)를 효과사로 공급하고 50데니어/36필라멘트의 일반 폴리에스테르(B)를 심사로 공급하여 이들을 공기교락처리 한다. 이때 미터당 교락수는 80개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다음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4
공기교락시 심사로 고수축성을 갖는 40데니어/24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다음,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신도가 145%인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2본을 합사한 후, 이들을 1.25배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연신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연신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신도가 35%인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연신사와 신도가 38%인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공기교락하여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3
신도가 145%인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와 신도가 38%인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공기교락하여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혼섬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원단 품질평가 결과
구 분 이수축성 다색성 위단발생 경사줄발생
실시예 1 매우양호 매우양호 없음 없음
실시예 2 매우양호 매우양호 없음 없음
실시예 3 매우양호 매우양호 없음 없음
실시예 4 매우양호 매우양호 없음 없음
비교실시예 1 불량 양호 많이발생 많이발생
비교실시예 2 불량 불량 없음 없음
비교실시예 3 양호 양호 많이발생 많이발생
본 발명에 있어서 원단품질 평가는 전문가 30명의 육안 및 감성테스트 결과 20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매우양호로, 15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양호로, 14명 이하가 우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는 원단 제직시 벌키성 및 촉감이 우수하고 염색시 다양한 색상을 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는 제직 및 염색시 경사줄이나 색단 등이 발생되지 않아 외관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4)

  1. 아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 아 래 -
    (ⅰ) 고배향 미연신의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고배향 미연신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합사 또는 합방사 하고,
    (ⅱ) 이들을 1.15배~1.45배의 연신비율로 불연속적으로 연신 및 열처리하여 신도가 50~100%인 저수축성의 부분 미연신 원사를 제조하고,
    (ⅲ) 연신 및 열처리된 상기 원사를 공기교락장치에 효과사로 공급하고,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공기교락장치에 심사로 공급하여, 이들을 공기교락 처리 한다.
  2. 1항에 있어서, 효과사의 공급량이 원사 전체중량에 대하여 40중량%~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3. 1항에 있어서, 효과사와 심사의 비등수수축율 차이가 6~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4. (ⅰ) 캐치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구성되어 부분적으로 미연신 처리된 저수축성 원사(효과사)와 (ⅱ)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심사)로 구성되어, 비등수수축율이 6%~25%이고, 미터당 교락수가 60~120개 이며, 상기 효과사 비율이 원사 전체중량에 대하여 40중량%~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KR1019990036038A 1999-08-28 1999-08-28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8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38A KR100580314B1 (ko) 1999-08-28 1999-08-28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38A KR100580314B1 (ko) 1999-08-28 1999-08-28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71A true KR20010019571A (ko) 2001-03-15
KR100580314B1 KR100580314B1 (ko) 2006-05-15

Family

ID=1960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038A KR100580314B1 (ko) 1999-08-28 1999-08-28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364B1 (ko) * 2001-09-08 2004-04-28 주식회사 효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이염성 폴리에스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28245B1 (ko) * 2018-08-08 2019-02-26 정승천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
KR101971839B1 (ko) * 2018-11-02 2019-04-23 정승천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305B1 (ko) * 1992-12-23 1994-12-05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복합교락사의 제조방법
KR960012820B1 (ko) * 1992-12-29 1996-09-24 구창남 폴리에스터계 잠재권축성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970008865B1 (ko) * 1995-07-21 1997-05-30 주식회사 삼양사 마이크로 촉감을 지닌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426428B1 (ko) * 1996-12-31 2004-05-31 주식회사 휴비스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26189B1 (ko) * 1997-01-30 1999-10-15 구광시 극세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3931386B2 (ja) * 1997-07-11 2007-06-13 東レ株式会社 複合加工糸
JPH1161581A (ja) * 1997-08-19 1999-03-05 Toray Ind Inc 芯鞘型複合紡績糸および布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364B1 (ko) * 2001-09-08 2004-04-28 주식회사 효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이염성 폴리에스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28245B1 (ko) * 2018-08-08 2019-02-26 정승천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
KR101971839B1 (ko) * 2018-11-02 2019-04-23 정승천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314B1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623B1 (ko)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0314B1 (ko)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1757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2048A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9467B1 (ko) 데님조 합성섬유 직물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76473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3748462B2 (ja) アセテート麻調複合仮撚加工糸
JP3053314B2 (ja) ポリエステル仮撚スラブ糸およびその織編物の染色方法
KR101925776B1 (ko) 소모조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KR870000878B1 (ko) 폴리에스텔 텍스츄어 가공사의 제조방법
KR930010794B1 (ko)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580315B1 (ko) 편물용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9680B1 (ko) 폴리에스테르 융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930011948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JPS6024207B2 (ja) ポリエステル捲縮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0234226A (ja) 複合仮撚糸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織編物
JP2920362B2 (ja) ポリエステルシースコア複合繊維糸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4833B1 (ko) 폴리에스테르 합연사의 제조방법
JP3042947B2 (ja) ポリエステルループ毛羽糸
JP3476335B2 (ja) アセテート強撚糸調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H0790738A (ja) 複合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88840B2 (ja) 濃染性スパンライク複合糸の製造方法
JPH0748746A (ja) ポリエステル杢調太細糸の製造方法
KR100588386B1 (ko)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폴리에스테르 가연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