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305A -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305A
KR20010016305A KR1020000072459A KR20000072459A KR20010016305A KR 20010016305 A KR20010016305 A KR 20010016305A KR 1020000072459 A KR1020000072459 A KR 1020000072459A KR 20000072459 A KR20000072459 A KR 20000072459A KR 20010016305 A KR20010016305 A KR 2001001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directional
carbon fiber
fiber assembly
assembly sheet
met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973B1 (ko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박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배 filed Critical 박성배
Priority to KR10-2000-007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9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16L9/147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comprising only layers of metal and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by moulding material on preformed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내의 금형공정간 제품운반을 위해 설치되는 이송장치의 크로스바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형상의 금속 파이프; 상기 금속파이프의 표면에 적층부착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 상기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 상면에 적층부착된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 및 상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 상면에 적층부착된 탄소섬유 직물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는 비강도. 비강성, 파단강도 등 기본적인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진동에 대한 감쇄특성이 양호하여 특히, 크로스바로 제조할 경우 생산성이 크게 증대된다.

Description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Fiber reinforced composites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레스 내의 금형공정간 제품운반을 위해 설치되는 이송장치의 크로스바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질량과 밀도는 낮으나 강도와 강성은 우수한 재료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금속재료들보다 강도와 강성은 우수하나 비중이 낮은 섬유강화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여러 산업분야에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농형 회전자(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33347호)나 드라이브 샤프트(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5822호)에 섬유강화 복합재료가 적용되었으며, 공작기계용 주축(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33347호)에도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가 적용된 바 있다.
특히, 이러한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프레스 내의 금형공정간 제품운반을 위해 설치되는 이송장치의 크로스바 등에도 적용될 때 유용한데, 이는 복합재료의 단가가 가볍고 진동에 대한 감쇄효과가 우수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섬유강화 복합재료만으로 크로스바 등을 제조할 경우에는 기존의 강철이나 알루미늄에 비하여 경제성에 문제가 있으며, 충격에 대한 내성이 부족하여 깨짐성(brittleness)이 큰 단점이 있다.
결국,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금속의 내충격성을 유지하는 복합재료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강도. 비강성, 파단강도 등 기본적인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진동에 대한 감쇄특성이 양호한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금속 파이프; 상기 금속파이프의 표면에 적층부착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 상기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 상면에 적층부착된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 및 상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 상면에 적층부착된 탄소섬유 직물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에 있어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의 유리섬유는 금속 파이프의 축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의 탄소섬유 또한 금속 파이프의 축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소정 길이를 갖는 금속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파이프의 표면에 접착제가 함유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의 표면에 접착제가 함유된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를 적층하는 단계; (d) 상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의 표면에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을 적층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제조방법에 있어서, 접착제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경우 (d)단계 이후에 에폭시 수지의 경화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는 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관상의 금속 파이프(10)의 표면에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유리섬유 집합쉬트(12)가 적층부착된다. 금속 파이프(10)는 알루미늄이나 강철 등으로 이루어지며, 유리섬유 집합쉬트(12)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접착력을 가진 수지를 함유하므로써 서로 결착되어 금속 파이프(10)의 표면에 감겨 적층된다. 금속 파이프(10)는 본 발명의 파이프에 금속 특유의 깨짐 저항성을 부여한다.
또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12) 위에는 역시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탄소섬유 집합쉬트(14)가 적층부착되는데, 탄소섬유 집합쉬트(14)도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함유하므로써 서로 결착되어 유리섬유 집합쉬트(12)의 표면에 감겨 적층된다. 탄소섬유 집합쉬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강도, 비강성등이 금속보다 우수하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진동 감쇄특성이 우수하여 파이프에 동적 안정성을 부여한다.
금속 파이프(10)에 탄소섬유 집합쉬트(14)를 직접 적층부착할 경우, 비틀림 등 외력에 대한 저항성이 불량하여 쉽게 탈리될 수 있으나, 유리섬유 집합쉬트(12)는 금속 파이프(10) 및 탄소섬유 집합쉬트(14) 모두에 대하여 접착력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과 같이 유리섬유 집합쉬트(12)를 먼저 금속 파이프(10)에 적층한 후 탄소섬유 집합쉬트(14)를 적층부착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탄소섬유 집합쉬트(14)의 표면에는 탄소섬유로 제직되어 이루어진 직물(fabric)이 적층부착된다. 이러한 탄소섬유 집합쉬트는 외관이 비교적 평활하여 매끄러우며 표면처리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에 있어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12) 또는 탄소섬유 집합쉬트(14)의 적층각도에 따라 파이프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적층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금속 파이프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적층하거나(도 1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5도의 각도로 배열하되 유리섬유 집합쉬트(22)와 탄소섬유 집합쉬트(24)를 엇갈리게 하여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에 있어서, 유리섬유 집합쉬트(12, 22), 탄소섬유 집합쉬트(14, 24) 및 탄소섬유 직물(16, 26)은 필요에 따라 1바퀴 이상 적층할 수 있으며, 유리섬유 집합쉬트(12, 22)와 탄소섬유 집합쉬트(14, 24) 사이에 탄소섬유 직물을 더 적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소정 길이를 갖는 금속 파이프를 준비한다(30).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금속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이나 강철을 사용하는데, 중량면에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를 금속파이프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감아 적층한다(32).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다. 그런 다음,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를 적층된 유리섬유 집합쉬트 상에 일정각도로 감아서 적층한다(34). 역시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다. 이 위에 탄소섬유로 제직되어 이루어진 직물을 적층하면(35)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가 완성된다.
접착제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경우,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소정온도로 각 단계마다 가열할 수 있는데, 탄소섬유 직물의 적층 단계(35) 이후에 가열처리하는 것이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는 비강도. 비강성, 파단강도 등 기본적인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진동에 대한 감쇄특성이 양호하여 동적, 정적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며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내 금형공정간 이송장치에 구비되는 크로스바 등으로 제조할 경우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소정 형상의 금속 파이프;
    상기 금속파이프의 표면에 적층부착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
    상기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 상면에 적층부착된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 및
    상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 상면에 적층부착된 탄소섬유 직물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층의 유리섬유가 상기 금속 파이프의 축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층의 탄소섬유가 상기 금속 파이프의 축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4. (a) 소정 길이를 갖는 금속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파이프의 표면에 접착제가 함유된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일방향성 유리섬유 집합쉬트의 표면에 접착제가 함유된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를 적층하는 단계;
    (d) 상기 일방향성 탄소섬유 집합쉬트의 표면에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을 적층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에폭시 수지의 경화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00-0072459A 2000-12-01 2000-12-01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459A KR100402973B1 (ko) 2000-12-01 2000-12-01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459A KR100402973B1 (ko) 2000-12-01 2000-12-01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305A true KR20010016305A (ko) 2001-03-05
KR100402973B1 KR100402973B1 (ko) 2003-10-22

Family

ID=1970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459A KR100402973B1 (ko) 2000-12-01 2000-12-01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9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50B1 (ko) * 2006-06-23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와 강철재료 간의 양면겹치기동시경화 접합방법
KR101152807B1 (ko) * 2009-12-11 2012-06-12 한국기계연구원 금속-복합재료 하이브리드 고감쇠 구조
US10400324B2 (en) 2016-07-19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treating composite piston pin and surface treated composite piston pin
KR20210027569A (ko) * 2019-08-28 2021-03-1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발 복합재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31B1 (ko) 2008-06-12 2010-09-28 이균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체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보일러
KR102307989B1 (ko) * 2018-12-06 2021-09-30 (주)엘엑스하우시스 중공단면을 가진 섬유강화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0117A (en) * 1979-11-07 1981-06-11 Nippon Cable Syst Inc Flexible conduit for control cable
FR2627840B1 (fr) * 1988-02-29 1990-10-26 Inst Francais Du Petrole Tube en materiaux composites peu sensible a la variation d'allongement sous l'effet de la pression interne
JPH0718509B2 (ja) * 1990-04-06 1995-03-06 ソマール株式会社 合成樹脂被覆管の製造方法
JPH0584840A (ja) * 1991-09-25 1993-04-06 Hitachi Chem Co Ltd 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管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50B1 (ko) * 2006-06-23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와 강철재료 간의 양면겹치기동시경화 접합방법
KR101152807B1 (ko) * 2009-12-11 2012-06-12 한국기계연구원 금속-복합재료 하이브리드 고감쇠 구조
US10400324B2 (en) 2016-07-19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treating composite piston pin and surface treated composite piston pin
KR20210027569A (ko) * 2019-08-28 2021-03-1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발 복합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973B1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0148B1 (en) Impact resistent composites
US9868275B2 (en) Method for preparing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CN100402246C (zh) 机器人手部件及其制造方法
US6592979B1 (en) Hybrid matrix fiber composites
JP2008514458A (ja) 薄肉プライラミネート
KR100402973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H03234506A (ja) 単繊維強化一方向引揃えプリプレグ
JP3632841B2 (ja) ロボットハンド部材の製造方法
JP2005313455A (ja) 多軸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材、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
US11027534B2 (en)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717379B (zh) 一种适合于形成中空零件的芯轴
TW202103899A (zh) 纖維強化樹脂成形體及使用於其之碳纖維片之製造方法
JPH09250247A (ja) 複合材補強コンクリート構造体
EP0370147B1 (en) Tubular composite construction
WO2020246440A1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
JP3632846B2 (ja) ロボットハン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668104B (zh) 纖維複合材料及其製法
JP2004358806A (ja) 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KR100959389B1 (ko) 다축 프리프레그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473416B2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2020508238A (ja) 複合製品
JP2009226657A (ja) 表面光沢を有するfrp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1251443A (ja) 連続繊維複合材料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複合成形体
JP2002120315A (ja) 三層構造を有する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661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