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435A - 전기부품용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435A
KR20010015435A KR1020000043017A KR20000043017A KR20010015435A KR 20010015435 A KR20010015435 A KR 20010015435A KR 1020000043017 A KR1020000043017 A KR 1020000043017A KR 20000043017 A KR20000043017 A KR 20000043017A KR 20010015435 A KR20010015435 A KR 20010015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liding plate
operation member
roller
so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203B1 (ko
Inventor
오하시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요코다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다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요코다 마코도
Publication of KR2001001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07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with 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부품용 소켓은 소켓본체상에 전기부품을 탑재하는 탑재부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본체에 전기부품의 단자로 떨어졌다 붙었다 할 수 있는 콘택트핀이 배열 설치되며, 소켓 본체에 대해서 미끄럼플레이트가 소켓본체 윗면과 대략 평행하게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소켓본체에 소켓본체 윗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조작부재가 배열 설치되고, 조작부재를 이동시켜서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키는 것에 의해 콘택트핀의 탄성편을 탄성변형시키며, 탄성편의 선단부에 설치된 접촉부를 변위시켜서 전기부품 단자의 측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미끄럼플레이트에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조작부재에 경사면부상을 운동하는 이동용 롤러를 설치하며, 조작부재를 상기 소켓본체 윗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경사면부상을 이동용 롤러가 운동하여 미끄럼플레이트가 미끄러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부품용 소켓{SOCKET FOR ELECTRICAL PARTS}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이하,「IC패키지」라함) 등의 전기부품을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특히 그 전기부품의 단자에 떨어졌다 붙었다 하는 콘택트핀의 접촉부를 변위시키는 미끄럼플레이트 이동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 종류의 「전기부품용 소켓」으로서는 「전기부품」인 IC패키지를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IC소켓이 있다.
이 IC소켓에는 BGA(Ball Grid Array) 타입이라 칭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사각형상 패키지 본체의 아랫면에 단자로서 다수의 땜납 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IC패키지에는 콘택트핀이 배열 설치되고, 이 콘택트핀에는 한쌍의 탄성편이 형성되며, 이들 탄성편의 선단부에는 IC패키지의 땜납 볼의 측면부에 떨어졌다 붙었다 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한쪽 탄성편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미끄럼플레이트에 의해 눌려져서 탄성변형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소켓본체에 대해서 조작부재가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배열 설치되고, 이 조작부재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링크기구를 매개로 그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켜서 한쪽의 탄성편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양 탄성편의 탄성접촉부의 간격을 넓히며, 그 사이에 땜납 볼을 삽입한 후, 미끄럼플레이트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에 의해 한쪽 탄성편의 접촉부도 본래 위치로 되돌려지고, 양 접촉부에서 땜납 볼이 끼워져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번인 테스트(burn in test) 등의 성능시험을 행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켜서 한쪽 탄성편의 접촉부를 변위시켜 양 접촉부의 간격을 넓혀서 땜납 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IC패키지를 자동기계에 의해 IC소켓으로부터 꺼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키는 것만으로 무삽발력식(無揷拔力式)으로 IC패키지의 장착하거나 떼어냄으로써,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조작부재의 상하이동을 링크기구를 매개로 미끄럼플레이트의 횡방향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위해 복수 개의 링크부재 등을 이용함으로써 부품 개수가 증가되고, 더불어 비교적 긴 복수의 링크부재를 배열 설치 할 공간을 확보하게 되면 IC소켓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부품 개수의 삭감 및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소켓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동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동 실시예에 따른 IC패키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저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동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핀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콘택트핀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우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IVC-IVC선 단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V선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동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I-VI선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재의 배면도,
도 8은 동 실시예에 따른 소켓본체에 미끄럼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9a와 도 9b는 동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9a는 미끄럼플레이트의 개략 평면도, 도 9b는 미끄럼플레이트의 개략 정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동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로, 도 10a는 콘택트핀의 한쌍의 접촉부를 폐쇄한 상태, 도 10b는 콘택트핀의 한쌍의 접촉부를 개방한 상태, 도 10c는 콘택트핀의 한쌍의 접촉부에 땜납 볼이 끼워 지지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동 실시예에 따른 땜납 볼을 한쌍의 접촉부에 끼워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동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접촉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 11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소켓본체상에 전기부품을 탑재하는 탑재부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본체에 상기 전기부품의 단자에 떨어졌다 붙었다 할 수 있는 콘택트핀이 배열 설치되며, 상기 소켓본체에 대해서 미끄럼플레이트가 이 소켓본체 윗면을 따라서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소켓본체에 이 소켓본체 윗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조작부재가 배열 설치되고, 이 조작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핀의 탄성편을 탄성변형시켜며 이 탄성편의 선단부에 설치된 접촉부를 변위시켜서 상기 전기부품의 단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 혹은 미끄럼플레이트의 한쪽에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이 경사면부상을 운동하는 이동용 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소켓본체 윗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면부상을 상기 이동용 롤러가 운동하여 상기 미끄럼플레이트가 미끄러지도록 구성된 전기부품용 소켓이다.
이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링크구성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더불어 전기부품용 소켓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이동용 롤러를 이용함으로써 경사면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장기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 이 미끄럼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조작부재로 작용하는 반발력을 받는 반발력수용수단을 상기 미끄럼플레이트와 상기 소켓본체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미끄럼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 조작부재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반발력수용수단으로 받아들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작부재가 반발력에 의해 소켓본체 윗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고, 미끄럼플레이트의 미끄럼을 매우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반발력수용수단은 상기 조작부재 혹은 소켓본체의 한쪽에 반발력용 롤러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이 반발력용 롤러가 운동하는 운동벽부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조작부재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상기 반발력용 롤러 및 운동벽부를 매개로 상기 소켓본체에서 받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조작부재 혹은 소켓본체의 한쪽에 반발력용 롤러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이 반발력용 롤러가 운동하는 운동벽부를 설치함으로써, 미끄럼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에 조작부재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반발력용 롤러 및 운동벽부를 매개로 소켓본체에서 받아들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운동벽부 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장기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운동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벽부를 형성하고, 이 운동벽부와 가이드벽부 사이에 상기 반발력용 롤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시킬 때 안내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운동벽부와 가이드벽부 사이에 반발력용 롤러를 삽입함으로써, 조작부재를 이동시킬 때 안내하기 때문에 조작부재를 소켓본체 윗면에 수직방향으로 정밀도가 좋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미끄럼플레이트에 상기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에 상기 이동용 롤러 및 상기 반발력용 롤러를 동축상에 설치하며, 상기 운동벽부를 상기 소켓본체에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전기부품용 소켓을 보다 소형화 할 수 있고, 더불어 경사면부로부터 이동용 롤러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이 이동용 롤러와 동축상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반작용 롤러를 매개로 운동벽부에서 받도록 되므로, 반발력이 작용하는 부위로부터 반발력을 받지 않는 부위까지 접근되기 때문에 조작부재에는 넓은 범위에 걸처서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고 조작부재의 이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기부품용 소켓은 외형이 사각형상을 갖고,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는 이 사각형상의 대략 대각선상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롤러 및 경사면부는 이의 대략 대각선상에 설치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전기부품용 소켓은 외형이 사각형상을 갖고, 미끄럼플레이트는 사각형상의 대략 대각선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는 종래의 링크부재를 대각선과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하면 보다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것이 되고, 상기와 같이 이동용 롤러와 경사면부를 이용하여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키는 것은, 특히 유효하게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난다.
우선, 구성을 설명하면, 도면중 참조부호 11은 「전기부품용 소켓」으로서의 IC소켓으로, 이 IC소켓(11)은 「전기부품」인 IC패키지(12)의 성능시험을 행하기 위해서 이 IC패키지(12)의 「단자」인 땜납 볼(12b)과 측정기(테스터)의 프린트 배선판(도시생략)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 IC패키지(12)는, 예컨대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위 BGA(Ball Grid Array)타입으로 불리는 것으로, 예컨대 사각형의 패키지본체(12a)의 아랫면에 다수의 대략 구형상의 땜납 볼(12b)이 돌출되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IC소켓(11)은,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설명하면, 프린트 배선판상에 장착되는 소켓본체(13)를 갖고, 이 소켓본체(13)에는 상기 각 땜납 볼(12b)에 떨어졌다 붙었다 하는 콘택트핀(15)이 배열 설치됨과 더불어, 이 소켓본체(13)의 상측에는 예압플레이트(16), 미끄럼플레이트(17) 및, 톱플레이트(18)가 순착적으로 적층되도록 배열 설치된다. 더욱이, 이 톱플레이트(18)의 상측에는 그 미끄럼플레이트(17)를 미끄러지게 하는 조작부재(19)가 배열 설치된다.
이 콘택트핀(15)은 용수철성질을 가지며, 도전성이 우수한 판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콘택트핀(15)은 상측에 고정측 탄성편(15h) 및 가동측 탄성편(15i) 즉, 한쌍의 탄성편이 형성되고, 하측에 하나의 소울더 테일부(15b)가 형성된다. 이들 각 탄성편(15h,15i)은 기부(15c)가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들 탄성편(15h,15i)의 상단부(선단부)에는 IC패키지(12)의 땜납 볼(12b)의 측면부에 떨어졌다 붙었다 하는 접촉부(15d)가 형성되고, 이 양 접촉부(15d)에 땜납 볼(12b)이 끼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콘택트핀(15)의 소울더 테일부(15b) 및 기부(15c)가 소켓본체(13)에 형성된 압입공(13a)에서 압입된다. 또한, 소켓본체(13)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소울더 테일부(15b)는 로케이트보드(21)를 매개로 더욱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도시 생략된 프린트 배선판의 각 관통공으로 끼워 통과되어 땜납됨으로써 접속된다.
또한, 예압플레이트(16)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본체(13)상에 착탈이 자유롭게 배열 설치되고, 이 예압플레이트(16)에는 상기 콘택트핀(15)의 탄성편(15h, 15i)이 삽입되는 예압공(16a)이 형성되며, 이 예압공(16a)에 탄성편(15h,15i)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탄성편(15h,15i)을 상기 양 접촉부(15d)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눌려져서 탄성변형되도록 그 예압공(16a)의 직경이 설정된다.
여기서는, 콘택트핀(15)의 한쌍의 탄성편(15h,15i)에 절곡부(15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15e)의 정점이 상기 예압공(16a)의 내벽에 의해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미끄럼플레이트(17)는 소켓본체 윗면(13d)과 평행한 방향에서 IC소켓(11)의 사각형 외형의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배열 설치되고, 이 미끄럼플레이트(17)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소켓본체(13)에 배열 설치된 콘택트핀(15)의 가동측 탄성편(15i)이 탄성변형되어 접촉부(15d)가 소정 량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미끄럼플레이트(17)는 조작부재(19)를 상하이동(소켓본체 윗면(13d)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기구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고, 이 미끄럼플레이트(17)에는 가동측 탄성편(15i)을 눌러 탄성변형시키는 압압부(押壓部;1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톱플레이트(18)는 IC패키지(12)가 상측에 탑재되는 탑재부(18a)를 갖는 동시에 IC패키지(12)를 소정 위치로 위치결정하는 가이드부(18b)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본체(12a)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더욱이, 이 톱플레이트(18)에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콘택트핀(15)의 한쌍의 접촉부(15d) 사이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부(18c)가 형성되고, 콘택트핀(15)의 양 탄성편(15h,15i)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양 접촉부(15d)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이 위치결정부(18c)는 양 탄성편(15h,15i)으로 끼워 지지된 상태로 된다.
더욱이, 상기 조작부재(1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패키지(12)가 삽입 가능한 크기의 개구(19a)를 갖고, 이 개구(19a)를 매개로 IC패키지(12)가 삽입되어 톱플레이트(18)의 탑재부(18a)상의 소정 위치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부재(19)는 소켓본체(13)에 대해서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배열 설치되고, 도시 생략의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됨과 더불어 랫치(38)를 회전이동시키는 작동볼록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랫치(38)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소켓(11) 외형의 대각선상에 배열 설치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본체(13)에 축(38a)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스프링(39)에 의해 도 2중 소켓본체(13)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 선단부에 설치된 누름부(38b)에 의해 IC패키지본체(12a)의 가장자리 모서리부(12c)를 누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랫치(38)에는 조작부재(19)의 작동볼록부(19b)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38c)가 형성되어, 조작부재(19)가 하강하면 작동볼록부(19b)로 눌림부(38c)가 눌려져 랫치(38)가 도 2중 소켓 본체(13) 밖같쪽으로 회전이동되어 누름부(38b)가 IC패키지(12) 배열 설치 위치보다 후퇴하도록 된다.
더욱이, 이 조작부재(19)와 상기 미끄럼플레이트(17) 사이에는 미끄럼플레이트(17)를 미끄럼시키는 기계구조가 설치된다.
즉, 이 조작부재(19)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면의 대각선상에 한쌍씩 지지포스트(19d)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들 지지포스트(19c)에 지지축(19d)이 가설되며, 이 지지축(19d)의 중앙부에 이동용 롤러(19e)가, 이 이동용 롤러(19e)의 양 측에 반발력용 롤러(19f)가 각각 독립하여 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미끄럼플레이트(17)에는 도 9a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용 롤러(19e)가 운동하는 경사면부(17b)가 형성되고, 조작부재(19)가 하강하여 그 이동용 롤러(19e)가 경사면부(17b)상을 운동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플레이트(17)가 도 5 및 도 8 중 화살표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소켓본체(13)에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발력용 롤러(19f)가 운동하는 운동벽부(13b)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끄럼플레이트(17)를 이동시킬 때 상기 조작부재(19)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상기 반발력용 롤러(19f)를 매개로 운동벽부(13b)에서 받도록 구성된다. 이 반발력용 롤러(19f) 및 운동벽부(13b)에 의해 「반발력수용수단」이 구성된다. 게다가, 이 운동벽부(13b)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가이드벽부(13c)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 가이드벽부(13c)와 운동벽부(13b) 사이에 반발력용 롤러(19f)가 삽입되어 조작부재(19)의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프린트 배선판상에 배치된 다수의 IC소켓(11)에 각각 IC패키지(12)를 자동기계에 의해 세트할 때에는, 우선 조작부재(19)를 아래쪽으로 눌러 내린다. 그러면, 이 조작부재(19)는 반발력용 롤러(19f)가 가이드벽부(13c)와 운동벽부(13b)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 벽부에 의해 반발력용 롤러(19f)가 안내되어 조작부재(19)가 탑재부(18a)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매우 정밀하게 하강하게 된다.
이 조작부재(19)의 하강에 따라서, 이동용 롤러(19e)가 미끄럼플레이트(17)의 경사면부(17b)상을 운동함으로써 이 미끄럼플레이트(17)가 도 5중의 화살표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그러면, 이 미끄럼플레이트(17)의 누름부(17a)에 의해 콘택트핀(15)의 가동측 탄성편(15i)이 눌려져서 탄성변형된다. 다른 쪽의 고정측 탄성편(15h)은 톱플레이트(18)의 위치결정부(18c)에 의해 소정 위치로 유지된다.
여기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핀(15)의 한쌍의 접촉부(15d)가 개방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조작부재(19)의 작동볼록부(19b)에 의해 랫치(38)의 눌림부(38c)가 눌려져 스프링(3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2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누름부(38b)가 후퇴위치까지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 자동기계에 의해 반송된 IC패키지(12)가 톱플레이트(18)의 탑재부(18a)상에 가이드부(18b)에 의해 안내되어 소정 위치에 탑재되고, IC패키지(12)의 각 땜납 볼(12b)이 각 콘택트핀(15)의 개방된 한쌍의 접촉부(15d) 사이에 비접촉상태로 삽입된다.
그 후, 조작부재(19)의 아래쪽으로의 누름력을 해제하면, 이 조작부재(19)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승되는 동시에 미끄럼플레이트(17)가 콘택트핀(15)의 가동측 탄성편(15i)의 가압력에 의해 본래 위치까지 미끄러짐과 더불어 랫치(38)가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의해 도 2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미끄럼플레이트(17)가 도 10c중 왼쪽방향으로 미끄럼되면, 콘택트핀(15)의 가동측 탄성편(15i)에 대한 누름력이 해제되고, 이 가동측 탄성편(15i)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이 가동측 탄성편(15i)의 접촉부(15d)와 고정측 탄성편(15h)의 접촉부(15d)에 의해 땜납 볼(12b)이 끼워 지지된다 (도 10c, 도 11 참조). 이와 같이 끼워 지지될 때에는 고정측 탄성편(15h)도 간신히 탄성변형되어 이 고정측 탄성편(15h)의 접촉부(15d)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다소 변위하게 된다.
이에 따라, IC패키지(12)의 각 땜납 볼(12b)과 프린트 배선판이 콘택트핀(15)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IC패키지(12)가 IC소켓(11)에 보유 지지되고, 이 IC소켓(11)이 배열 설치된 프린트 배선판을, 예컨대 번인 통내에 세트하여 번인 테스트를 행한다.
이어서, IC패키지(12)를 장착상태로부터 밖으로 떼어낼 때에는, 동일하게 조작부재(19)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와 동일하게 미끄럼플레이트(17)가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미끄러져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탄성편(15i)이 오른쪽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이 가동측 탄성편(15i)의 접촉부(15d)가 변위된다. 여기서, IC패키지(12)의 땜납 볼(12b)로부터 한쌍의 접촉부(15d)가 떨어지는 것에 의해 이 상태로부터 자동기계에 의해 IC패키지(12)를 IC소켓(11)으로부터 힘들이지 않고 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용 롤러(19e)와 경사면부(17b)를 이용하여 미끄럼플레이트(17)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링크기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길이가 긴 복수의 링크부재의 배열 설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IC소켓(11)을 소형화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동용 롤러(19e)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경사면부(17b)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장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미끄럼플레이트(17)의 이동방향이 IC소켓(11)의 사각형상 외형의 대각선상이기 때문에 여기에 링크부재를 대각선과 평행하게 배열 설치하는 것은 보다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것이 되고, 상기와 같이 이동용 롤러(19e)와 경사면부(17b)를 대각선상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들을 이용하여 미끄럼플레이트(17)를 미끄럼시키는 것은, 특히 유효하게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용 롤러(19e)로 경사면부(17b)를 누를 때에는, 이 이동용 롤러(19e)에 경사면부(17b)로부터 반발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재(19)는 횡방향으로 달아나게 되지만, 반작용 롤러(19f)가 소켓본체(13)의 운동벽부(13b)상을 운동하는 것에 의해 이 달아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조작부재(19)를 매우 정밀하게 상하이동(수직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반발력용 롤러(19f)를 이용하여 경사면부(17b)상을 운동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마모가 억제된다.
덧붙여서, 이 경우에는 반발력용 롤러(19f)와 이동용 롤러(19e)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더욱이, 반발력용 롤러(19f)와 이동용 롤러(19e)는 동축(19d)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화될 수 있고, 더불어 경사면부(17b)로부터 이동용 롤러(19e)에 작용하는 반발력은 이 이동용 롤러(19e)와 동축상에서 인접하여 배치된 반발력용 롤러(19f)를 매개로 운동벽부(13b)에서 받아냄으로써 반발력이 작용하는 부위로부터 반발력을 받는 부위까지가 접근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19)에는 넓은 범위에 걸쳐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조작부재(19)의 이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등에서는 「전기부품용 소켓」으로서 IC소켓(11)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재(19)에 이동용 롤러(19e)를, 미끄럼플레이트(17)에 경사면부(17b)를 각각 설치했지만, 그 반대로 조작부재(19)에 경사면부를, 미끄럼플레이트(17)에 이동용 롤러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조작부재(19)에 반발력용 롤러(19f)를, 소켓본체(13)에 운동벽부(13b)를 각각 설치했지만, 그 반대로 조작부재(19)에 운동벽부를, 소켓본체(13)에 반발력용 롤러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반발력수용수단」으로서 반발력용 롤러(19f)를 이용하여 운동벽부(13b)를 운동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롤러를 이용하지 않고 미끄럼 이동되도록 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콘택트핀(15)에 고정측 탄성편(15h)과 가동측 탄성편(15i)이 설치되어 있지만, 가동측 탄성편(15i)만이 설치된 것으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개수의 절감 및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켓본체상에 전기부품을 탑재하는 탑재부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본체에 상기 전기부품의 단자에 떨어졌다 붙었다 할 수 있는 콘택트핀이 배열 설치되며, 상기 소켓본체에 대해서 미끄럼플레이트가 이 소켓본체 윗면을 따라서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소켓본체에 이 소켓본체 윗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조작부재가 배열 설치되고, 이 조작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를 미끄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핀의 탄성편을 탄성변형시키며, 이 탄성편의 선단부에 설치된 접촉부를 변위시켜서 상기 전기부품의 단자로부터 떨어지도록 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 혹은 미끄럼플레이트의 한쪽에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이 경사면부상을 운동하는 이동용 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소켓본체 윗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면부상을 상기 이동용 롤러가 운동하여 상기 미끄럼플레이트가 미끄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 이 미끄럼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조작부재로 작용하는 반발력을 받는 반발력수용수단을 상기 미끄럼플레이트와 상기 소켓본체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발력수용수단은, 상기 조작부재 혹은 소켓본체의 한쪽에 반발력용 롤러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이 반발력용 롤러가 운동하는 운동벽부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조작부재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상기 반발력용 롤러 및 운동벽부를 매개로 상기 소켓본체에서 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벽부를 형성하고, 이 운동벽부와 가이드벽부 사이에 상기 반발력용 롤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시킬 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플레이트에 상기 경사면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에 상기 이동용 롤러 및 상기 반발력용 롤러를 동축상에 설치하며, 상기 운동벽부를 상기 소켓본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부품용 소켓은 외형이 사각형상을 갖고, 상기 미끄럼플레이트는 이 사각형상의 대략 대각선상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롤러 및 경사면부는 이 대략 대각선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KR10-2000-0043017A 1999-07-30 2000-07-26 전기부품용 소켓 KR100488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28699A JP3758069B2 (ja) 1999-07-30 1999-07-30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1999-216286 1999-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435A true KR20010015435A (ko) 2001-02-26
KR100488203B1 KR100488203B1 (ko) 2005-05-10

Family

ID=1668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017A KR100488203B1 (ko) 1999-07-30 2000-07-26 전기부품용 소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96504B1 (ko)
EP (1) EP1073152B1 (ko)
JP (1) JP3758069B2 (ko)
KR (1) KR100488203B1 (ko)
DE (1) DE60028469D1 (ko)
MY (1) MY1160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731A (ja) * 2000-07-07 2002-01-25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3703741B2 (ja) 2001-07-04 2005-10-0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
JP4022066B2 (ja) * 2001-12-28 2007-12-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部材取付構造
JP4237485B2 (ja) * 2002-12-27 2009-03-1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530686B2 (ja) * 2004-03-03 2010-08-25 株式会社リコー 電池接点機構、電池収納構造、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JP4312685B2 (ja) 2004-08-31 2009-08-1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着脱方法、それが用いられる半導体装置の着脱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4820394B2 (ja) * 2007-09-14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ストソケット
JP5083327B2 (ja) 2007-12-27 2012-11-28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6796B2 (ja) * 1994-08-23 2002-02-12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ソケット及びソケットを用いた電気部品の試験方法
JP3575866B2 (ja) * 1995-03-31 2004-10-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接続器
US5646447A (en) * 1996-06-03 1997-07-08 Pcd Inc. Top loading cam activated test socket for ball grid arrays
JP3745060B2 (ja) * 1996-12-09 2006-02-15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ソケット
KR200165887Y1 (ko) * 1997-06-25 2000-01-15 김영환 비지에이 패키지 검사용 소켓
JP3270716B2 (ja) * 1997-07-04 2002-04-02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ソケット及び半導体装置の取付方法
US6106319A (en) * 1997-10-09 2000-08-22 Enpla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19990040289U (ko) * 1998-04-29 1999-11-25 송재인 마이크로 볼 그리드 어레이형 ic 소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3152A3 (en) 2002-07-24
JP3758069B2 (ja) 2006-03-22
JP2001043947A (ja) 2001-02-16
EP1073152A2 (en) 2001-01-31
US6296504B1 (en) 2001-10-02
DE60028469D1 (de) 2006-07-20
MY116086A (en) 2003-10-31
EP1073152B1 (en) 2006-06-07
KR100488203B1 (ko)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624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261114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KR100394336B1 (ko) 전기부품용 소켓
US6899558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126467A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375484B1 (en) Electrical part socket with pivotable latch
US6139348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contact pin
US6371782B1 (en) Sliding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ions
KR100488203B1 (ko) 전기부품용 소켓
JP446425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6371783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7134892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776643B2 (en) Socket for electronic element
US20010055902A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428337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857888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824411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065986A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US7165986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373002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822074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74671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041341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776338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1264382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