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474A - 실체현미경 - Google Patents

실체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474A
KR20010014474A KR1020000005625A KR20000005625A KR20010014474A KR 20010014474 A KR20010014474 A KR 20010014474A KR 1020000005625 A KR1020000005625 A KR 1020000005625A KR 20000005625 A KR20000005625 A KR 20000005625A KR 20010014474 A KR20010014474 A KR 2001001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cope
sliding shutter
closing member
objective len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카와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오노 시게오
Publication of KR2001001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Abstract

운반 또는 보관시에 대물렌즈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폐쇄부재를 구비한 실체현미경을 제공한다. 현미경부(11)의 경체(51)에는 하면에 대물렌즈군(3)용의 개구부(61)가 형성됨과 함께, 이 개구부(61)를 폐쇄하는 슬라이드식 셔터(63)가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셔터(63)는 개구부(61)의 좌우단에 형성된 직진구(65)에 계합하고 있고, 회전축(R)에 대하여 평행하게 활주한다. 직진구(65)에는 슬라이드식 셔터(63)의 작동 스트로크의 전후단에 해당하는 위치에 약간의 돌기(67, 69)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식 셔터(63)가 이들 돌기(67, 69)에 올라 앉는 것으로 계지되어진다. 따라서, 현미경부(11)를 초준부(焦準部)(17)에 대하여 상하 반전시킨 때에는 슬라이드식 셔터(63)를 폐쇄하는 것으로써, 대물렌즈군(3)에의 먼지나 빗 방울의 부착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Description

실체현미경{Stereoscopic microscope}
본 발명은 조직 표본등의 관찰에 공여되는 실체현미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반 혹은 보관시에 실체현미경의 대물렌즈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체현미경은 대물렌즈군이나 접안렌즈군을 갖는 현미경부와, 관찰대 등에 재치(載置)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대하여 현미경부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결합하는 초준부와로 이루어지고 있다. 근년, 실체현미경으로서는 야외 등에의 운반을 하기 쉽게 하거나, 보관시에 있어서의 공간 절약을 꾀하도록,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체높이를 컴팩트화 할 수 있는 것이 출현되고 있다. 이 종류의 실체현미경으로서는 예를들면 현미경부의 하부가 초준부에 회전축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시나 보관시에는 현미경부를 상하 반전시킴 의해, 현미경부에서 크게 돌출한 접안렌즈군이 베이스부측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현미경부에 마련된 개구부로부터 먼지나 빗 방울등이 침입하는 염려때문에, 운반시나 보관시에는 개구부에 끼워 넣은 고무제 등의 방진커버나, 실체현미경 전체를 수납하는 보호케이스가 쓰이고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실체현미경은 방진커버나 보호케이스가 현미경 본체와 별도의 부품이기 때문에, 이들을 야외 등에서 분실하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 현미경부가 상하반전 가능한 경우, 현미경부를 상하 반전시켜 들어 나르면, 개구부에서 먼지나 빗 방울등이 침입하여 대물렌즈군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방진커버나 보호케이스를 분실하지 않은 경우라도, 장착작업이나 수납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개구부를 노출한 채로 들어 나르는 일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에 비추어 보아 이루어진 것으로, 운반 또는 보관시에 대물렌즈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폐쇄부재를 갖춘 실체현미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관찰상태에서의 쌍안실체현미경의 정면도.
도 2는 동 현미경의 요부 단면측면도.
도 3은 동 현미경의 요부 단면배면도.
도 4는 도 1 중의 4-4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현미경 수납상태에서의 쌍안실체현미경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에 관한 도 5중의 6시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식 셔터의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관찰상태에서의 쌍안실체현미경의 요부 단면측면도.
도 9는 도 8 중의 9시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도 5 중의 6시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미경 3 ··· 대물렌즈군 5 ··· 접안렌즈군
7 ··· 제1포로프리즘 9 ··· 제2포로프리즘 11 ··· 현미경부
13··· 플레이트 15 ··· 베이스부 17 ··· 초준부
19 ··· 초준블록 21 ··· 초준핸들 23 ··· 초준축
25 ··· 핀 27 ··· 피니온 31 ··· 배판
33 ··· 래크 41 ··· 장식환 43 ··· 와셔
45 ··· 초준토크 조정환 47 ··· 평와셔 49 ··· 웨이브와셔
51 ··· 경체 53 ··· 결합환 55 ··· 회전 클릭환
57 ··· 관통구멍 59 ··· 강구 61 ··· 개구부
63 ··· 슬라이드식 셔터 65 ··· 직진구 67 ··· 돌기
69 ··· 래크바 71 ··· 피니온 73 ··· 전동모터
75 ··· 버튼형 전지 76 ··· 스위치 77 ··· 리드
78 ··· 제어회로기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접안렌즈군과 대물렌즈군을 경체에 보지하여 이루어지는 현미경부와, 이 현미경부의 입설에 공여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현미경부를 상하이동 자유로운 초준부와,를 갖는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경체에 상기 대물렌즈군용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비치된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운반 또는 보관시에 현미경부를 경체에 비치된 폐쇄부재를 써서 개구부를 폐쇄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초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하반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운반 또는 보관시에 현미경부를 상하 반전하기 때문에 현미경은 콤팩트하게 되고 운반에 편리하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의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경체에 활주가 자유롭게 보지(保持)된 슬라이드식 셔터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2 또는 3의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를 이동시키는 폐쇄부재 구동수단을 갖춘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사용자가 기계적 또는 전기적 폐쇄부재 구동수단을 개재하여 폐쇄부재를 개폐조작한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의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 구동수단이 전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관찰상태에서의 쌍안실체현미경(이하, 현미경이라 약칭한다)의 정면도, 도 2는 동 현미경의 요부(要部) 단면측면도, 도 3은 동 현미경의 요부 단면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현미경(1)은 대물렌즈군(3)과 접안렌즈군(5)과 제1, 제2 포로 프리즘(Porro prism)(7, 9)와를 각 한쌍 내장한 현미경부(11)와, 피관찰물 재치(載置)용 플레이트(13)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베이스부(15)와, 현미경부(11)와 베이스부(15)를 연결하는 초준부(17)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 중에서 부호 L1, L2는 좌우의 광축을 도시하고 있다.
초준부(17)의 초준블록(19)에는 베이스부(15)의 직상에 좌우 한쌍의 초준핸들(21)이 마련되어짐과 함께, 도 4(도 1중의 4-4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초준핸들(21)이 양끝에 작은나사로 고정된 초준축(23)이 회동(回動)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초준축(23)의 중앙부 부근에는 핀(25)을 개재하여 피니온(27)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피니온(27)이 베이스부(15)에 배판(31)과 함께 꾸며붙이여진 래크(33)에 맞물리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준핸들(21)을 회동시키면, 피니온(27)은 래크(33)에서 반작용을 받아, 베이스부(15)에 대하여 초준블록(19)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초준블록(19)에는 도 4 중의 오른쪽의 초준핸들(21)의 안쪽에 장식환(41)과 장식환(43)과가 배설되는 한편, 도 4 중의 왼쪽의 초준핸들(21)의 안쪽에 초준토크 조정환(45)과 한쌍의 평와셔(47)와 이들 평와셔(47)의 사이에 개장(介裝)된 웨이브와셔(49)와가 배설 되어 있고, 장식환(41)과 초준토크 조정환(45)과가 초준축(23)의 축수로 되어있다. 초준토크 조정환(45)은 초준블록(19)의 측면에 돌려 넣어저 있고, 회전시킴에 의해 초준블록(19)으로부터의 돌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초준토크 조정환(45)을 초준블록(19)으로 완전히 돌려 넣은 상태에서는 양 평와셔(47) 사이의 웨이브와셔(49)가 압압되어 약간 변형하여, 현미경부(11) 및 초준블록(19)가 자유낙하하지 않는 범위로 초준핸들(21)의 조작력이 극히 작게 된다. 또한, 초준토크 조정환(45)을 회전시켜, 초준블록(19)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하면, 초준핸들(21)의 조작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현미경부(11)의 경체(51)에는 플랜지가 달린 결합환(53)과 용수철강판제의 회전 클릭환(55)과가 작은나사로 고정되고, 초준블록(19)의 전면에 경체(51)와 결합환(53)과가 회전축(회전축선;rotation axis)(R)에 따라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회전 클릭환(55)에는 90° 간격으로 관통구멍(57)이 뚤리어 있고, 이들 관통구멍(57)에 초준블록(19)에 보지된 강구(59)가 끼어들어감으로써 현미경부(11)가 90° 간격의 임의의 각도위치로 계지(係止)된다.
현미경부(11)의 경체(51)에는 하면에 대물렌즈군(3)용의 개구부(61)가 형성됨과 함께, 이 개구부(61)를 폐쇄하는 슬라이드식 셔터(63)가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셔터(63)는, 개구부(61)의 좌우단에 형성된 직진구(直進溝)(65)에 계합(係合)하고 있어, 회전축(R)에 대하여 평행하게 활주한다. 직진구(65)에는 슬라이드식 셔터(63)의 작동 스트로크의 전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약간의 돌기(67, 69)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식 셔터(63)가 이들 돌기(67, 69)에 올라 앉는 것으로 계지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말한다.
곤충이나 광물등을 관찰하는 경우, 사용자는 피관찰물을 플레이트(13)에 재치하거나 또는, 베이스부(15)의 하면을 피관찰물에 눌러 덮은 상태에서, 초준부(17)의 초준핸들(21)를 적절히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초준블록(19) (즉, 현미경부(11))가 상하 이동하여, 좌우의 광축(L1, L2)의 교점이 피관찰물의 표면에 합치하여, 관찰이 가능해진다.
한편, 현미경(1)의 운반이나 보관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미경부(11)을 초준부(17)에 대해 상하 반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 6 (도 5 중의 6시시도(矢視圖))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체(51)의 개구부(61)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빗 방울등이 침입하여 접안렌즈군(3)의 표면에 부착되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셔터(63)를 경체(51)에 대하여 손조작에 의해 전방으로 활주시켜, 개구부(61)를 폐쇄한다. 이 때에, 슬라이드식 셔터(63)의 활주 방향이 현미경부(11)의 회전축(R)와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식 셔터(63)의 폐쇄시에 현미경부(11)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돌기(67, 69)에 올라 앉음에 의해 개폐시의 클릭이 되기 때문에, 관찰시나 운반시에 있어서, 슬라이드식 셔터(63)의 의도하지 않는 폐쇄나 개방이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대물렌즈군용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는 손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지만, 제2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이 폐쇄부재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폐쇄부재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점에서 다르다. 이 점에 관한 구조 및 작용상의 상위를 제외하고는, 제2실시의 형태는 제1실시의 형태와 같다.
제2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갖고 설명하며, 또한 제2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조 부분에 관해서는 중복하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현미경부(11)의 경체(51)에는 도 8, 도 9(도 8 중의 9시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에 대물렌즈군(3)용의 개구부(61)가 형성됨과 함께, 이 개구부(61)를 폐쇄하는 슬라이드식 셔터(63)가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셔터(63)는 개구부(61)의 좌우단에 형성된 직진구(65)에 계합하는 돌기(67)를 네 구석에 가짐과 함께, 초준부(17)측을 향하여 연설(延設)된 래크바(69)가 그 왼쪽 후단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경체(51) 내에는 래크바(69)에 맞물리는 피니온(71)이 그 회전축에 취부된 전동모터(73)와, 전동모터(73)에 전력을 공급하는 버튼(button)형 전지(75)와가 배설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77)로 도시한 부재는 버튼형전지(75)의 나사고정식 리드(lid·뚜껑)이다.
전동모터(73)는 베이스부 측면에 마련된 스위치(76)와 경체(51)의 일부에 마련된 제어회로기판(78)과로서 구동 제어되어, 예를들면 현미경부(11)의 사용에 있어서, 스위치(76)를 손조작에 의해 온으로 하면, 전동모터(73)에는 슬라이드식 셔터(6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전류가 공급되고, 그리고 예를들면 현미경부(11)의 수납시 또는 현미경의 사용 후에 스위치(76)를 오프로 하면, 전동모터(73)에는 슬라이드식 셔터(63)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전류가 공급된다. 한편, 제어회로기판(78)에는, 슬라이드식 셔터(63)가 개폐 스트로크(stroke)의 한도까지 이동한 것을 검지하여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회로 또는 전동모터(73)의 부하 토크(torque)의 급증을 검출하여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제2실시의 형태의 작용을 말한다.
곤충이나 광물등을 관찰하는 보통의 현미경으로서의 조작은, 제2실시의 형태도 제1실시의 형태와 같다.
한편, 현미경(1)의 운반이나 보관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76)를 손조작에 의해 바꾼다. 그러면, 버튼형 전지(75)로부터의 전류가 기판(78)상의 제어회로를 경유하여 전동모터(73)에 공급되어, 피니온(71)에 의해 래크바(69)(즉, 슬라이드식 셔터(63))가 폐쇄 스트로크의 한도까지 구동된다. 또한, 관찰을 하도록 스위치(76)를 손조작한다고 하면, 버튼형전지(75)로부터의 전류가 기판(78)상의 제어회로를 경유하여 전동모터(73)에 공급되어, 피니온(71)에 의해 슬라이드식 셔터(63)가 개방 스트로크의 한도까지 구동된다.
이러한 수동의 스위치에 더하여, 현미경(11)의 상하 반전운동에 연동하는 스위치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상으로 구체적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의 양상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폐쇄부재로서 슬라이드식 셔터를 썼지만, 회전식셔터나 스윙(swing)식 셔터 등을 쓰더라도 좋다. 더욱이, 현미경의 구체적 구성에 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상의 형편 등에 의해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안렌즈군과 대물렌즈군을 경체에 보지하여 이루어지는 현미경부와, 이 현미경부의 입설(立設)에 공여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현미경부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결합하는 초준부를 갖는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경체에 상기 대물렌즈군용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갖추도록 하였기 때문에, 운반 또는 보관시에 경체에 비치된 폐쇄부재를 쓰고 개구부를 폐쇄 하는 것으로서, 대물렌즈군에의 먼지나 빗 방울의 부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쇄부재가 경체에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등의 우려가 전혀 없어지는 외에, 슬라이드식 셔터를 쓴 것으로서는 개방·폐쇄조작이 지극히 용이하여 진다.

Claims (5)

  1. 접안렌즈군과 대물렌즈군을 경체(鏡體)에 보지하여 이루어지는 현미경부와,
    이 현미경부의 입설(立設)에 공여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현미경부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결합하는 초준부(焦準部)와를
    갖는 실체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경체에 상기 대물렌즈군용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체현미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하 반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체현미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경체에서 활주가 자유롭게 보지된 슬라이드식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체현미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를 이동시키는 폐쇄부재 구동수단를 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체현미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 구동수단은 현미경의 상하반전운동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체현미경.
KR1020000005625A 1999-02-08 2000-02-07 실체현미경 KR20010014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300 1999-02-08
JP3006199 1999-02-08
JP11366939A JP2000298238A (ja) 1999-02-08 1999-12-24 実体顕微鏡
JP??11?????3669 1999-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474A true KR20010014474A (ko) 2001-02-26

Family

ID=2636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25A KR20010014474A (ko) 1999-02-08 2000-02-07 실체현미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0007B1 (ko)
JP (1) JP2000298238A (ko)
KR (1) KR20010014474A (ko)
GB (1) GB23480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40A (ja) * 2005-04-25 2006-11-02 Olympus Corp 対物レンズプロテクタおよび対物レンズユニット
US20060198026A1 (en) * 2004-11-18 2006-09-07 Olympus Corporation Objective lens protector and objective lens unit
CN100403084C (zh) * 2006-09-26 2008-07-16 马旭辉 摄像机无水视窗
JP4909020B2 (ja) * 2006-11-20 2012-04-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顕微鏡及び顕微鏡の塵埃処理方法
CN100426044C (zh) * 2007-05-25 2008-10-15 重庆澳浦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高度可调粗微动的显微镜
JP2012023495A (ja) * 2010-07-13 2012-02-02 Olympus Corp ジャケットおよび頭部装着型光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192A (en) * 1974-05-20 1977-04-19 Ricoh Co., Ltd. Photographic camera of the retractable lens tube type with a movable lens cover
US4295706A (en) * 1979-07-30 1981-10-20 Frost George H Combined lens cap and sunshade for a camera
JP2572729Y2 (ja) * 1991-08-02 1998-05-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2559741Y2 (ja) * 1992-03-23 1998-01-1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手術用顕微鏡
JPH05314941A (ja) * 1992-05-12 1993-11-26 Jeol Ltd Fib/eb複合装置
JPH0668021U (ja) * 1993-02-22 1994-09-22 株式会社清和精機 双眼鏡用レンズカバー
JP3374635B2 (ja) 1996-02-09 2003-02-10 株式会社ニコン ストラップ取り付け可能な顕微鏡
US5784195A (en) 1996-08-19 1998-07-21 Mac Collum; M. S. Binocular lens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48019A (en) 2000-09-20
JP2000298238A (ja) 2000-10-24
US6210007B1 (en) 2001-04-03
GB0002782D0 (en) 200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0975B2 (ja) 電気バリカン
KR20010014474A (ko) 실체현미경
US20070108093A1 (en) Case module having auto-folder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4676619A (en) Portable entertainment unit
US20060087730A1 (en) Illumination device in a microscope
JP2525699Y2 (ja) ハンディ型ゲーム機等の使用補助具
BR102017027809A2 (pt) Mecanismo de operação externo para disjuntores em caixa moldada e processo de montagem
CN201057516Y (zh) 激光标线装置
JP2000131620A (ja) 望遠鏡
WO2006075871A1 (e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rotating or sliding each other and coupling device for use in the same
KR20060099671A (ko) 휴대용 컴퓨터
JP5592785B2 (ja) 電気装置及びシェービング装置
JP2000121953A (ja) 光学装置
US4913257A (en) Electrically driven wheelchair with worktop and control unit
CN208858997U (zh) 淋浴龙头联动开关机构
CN219180386U (zh) 一种防护效果好的操作箱
CN219534321U (zh) 一种操作机构和转换开关
CN220872658U (zh) 一种激光红外精准测距装置
CN110843686B (zh) 一种轮式传动的手套箱锁止装置
CN210841869U (zh) 一种两用眼镜盒
CN214951795U (zh) 一种光电测量仪器
CN214134270U (zh) 切割工具
CN216742123U (zh) 一种旋转开关式手持风扇
CN212756534U (zh) 一种便携式消毒灯
CN217620384U (zh) 一种锁紧器微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