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876A - 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876A
KR20010013876A KR1019997011898A KR19997011898A KR20010013876A KR 20010013876 A KR20010013876 A KR 20010013876A KR 1019997011898 A KR1019997011898 A KR 1019997011898A KR 19997011898 A KR19997011898 A KR 19997011898A KR 20010013876 A KR20010013876 A KR 20010013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ngement
carrier element
clocks
watche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그슈윈
Original Assignee
타임-하우스 한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하우스 한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임-하우스 한델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1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8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8Cases for pocket or wrist wa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83Cases for more than one clockwork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79Watch or clock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79Watch or clock making
    • Y10T29/49584Watch or clock making having case, cover, or 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89Obtaining plural product pieces from unitary workpiece
    • Y10T29/49798Dividing sequentially from leading end, e.g., by cutting or bre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Adornm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Forging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복수개의 시계(1.1-1.4)가 일렬로 배열되며 서로 결합수단(2.1-2.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시계(1.1-1.4)는 덮개유리(11.1-11.4), 문자판(12.1-12.4), 하우징(13.1-13.4), 와인딩헤드(14.1-14.4) 및 지침수단(15.1-15.4)을 가지고 있다. 결합수단(2.1-2.3)은 예컨대 캐리어요소(20)위에 있어서 모든 시계(1.1-1.4)의 문자판(3.1-3.3)을 포함하고 있다. 캐리어요소(20)는 시계(1.1-1.4)사이에서 다공 및 단면 축소형태의 절점(3.1-3.3)을 가지고 있어서 시계들(1.1-1.4)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열 또는 그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된 시계들(1.1-1.4)은 유행 악세사리, 장신구, 벽걸이와 기타 다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당해 배열의 설계와 그의 시계(1.1-1.4)에 대해서는 사실상 한계가 없다. 당해 배열은 유리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함으로서 급변하는 유행 장신구로 고려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WATCHE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과거 30년간 제조방법, 외관, 용도 및 개인 휴대용 시계의 사회적인 위상이 변천을 거듭하였다. 종전에는 시계 제조가 노동집약적인 정밀작업으로서 고도의 숙련으로만 가공해야 했다. 시계들은 주로 분석, 금속 및 유리와 같은 내구재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시계-대부분이 기계식 손목시계 또는 회중시계는 일생에 한번 또는 기껏해야 몇번정도 사보는 비싼 고가품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르다.
합성수지 기술과 마이크로 전자기술에 의하여 미숙련자로도 시계의 염가생산을 가능케 하였다. 이러한 시계 값은 저렴하다. 시계는 유행 액세서리로서 구매, 수집 휴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독창적이면서 항상 변화 무쌍한 디자인을 가진 시계에 대한 수요가 커지게 된다. 이런 종류의 시계가 본 발명의 대상이며, 이런 시계의 제조 방법이 독립 특허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당해 배열과 분리된 하나의 시계에 적어도 2개의 시계에 대한 배열과 본 배열을 제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그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 1-5 시계의 다양한 발명에 따른 배열의 상면 약도.
도 6-12 다양한 발명에 따른 배열의 측면약도.
도 13-16 발명에 따른 배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면도.
도 17-21 바람직한 배열에서 분리된 발명에 따른 시계의 다양한면도.
도 22-24 바명에 따른 시계의 여러 단면도.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배열을 만들어 제작 및 판매하는 착상에 기인한다. 배열 시계들은 특히 서로 분리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시계들은 후에 각 소유자에 의하여 임의 선택 가능한 시점에서 서로 분리하여 취향대로 사용할 가능성을 창출하게 되었다.
결합수단은 예컨대 유일한 캐리어요소 및/또는 문자판, 덮개유리 및/또는 하우징과 같은 시계부품에 의하여 구성 가능하거나 또는 캐리어 요소에 있을 수 잇다. 그와 동시에 캐리어 요소는 모든 시계의 문자판, 덮개유리 또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유형에서 캐리어요소는 모든 시계의 문자판을 포함하며, 덮개 유리는 캐리어 요소의 제 1 면 및 하우징은 캐리어요소의 제 2 면과 결합되어 있다. 문자판, 덮개유리 및/또는 하우징은 특히 합성수지로 되어 있다. 최소한 두 시계간의 결합수단은 그러나 또한 보조요소들로 구성되고 시계부품에 의하여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예컨대 후에 시계로부터 제거 가능함으로서 시계들이 서로 분리된다.
시계를 서로 분리하기 위한 가능성은 특히 배열의 두 시계 사이의 기준단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하나의 기준단면은 예컨대 결합수단의 테이퍼 또는 단면축소 및/또는 천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시계들은 기준단면을 따라서 찢기면서 서로 분리된다.
발명에 의한 시계배열은 각기 한시계가 최대한 2개의 시계와 결합된다는 의미에서 1차원일 수 있다. 일차원 배열은 예컨대 일직선이 될 수 있으므로 시계 막대 초코렛형이 되며 이에 의하여 개별시계들의 분리가 가능하다. 1차원 배열은 또한 임의로 굽힐 수 있다. 폐쇄된 1차원(상기 정의에 의하여) 형상도 가능하며, 예컨대 서로 분리 가능한 시계로된 링(환형)도 된다.
당해 배열은 2개 이상의 시계와 연결되어 있는 배열의 적어도 한개 시계가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또한 2차원이 될 수 있다. 2차원 배열은 일정한 영역을 다 커버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 4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시계로 될 수 있으므로 "시계-(초코렛)판" 또는 "시계-(우표)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영역을 커버하지 않는 2차원 배열도 가능한데 예컨대 격자점을 가진 "시계-격자형" 이다.
발명에 의한 배열의 적어도 한 시계에서 고정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한개 시계 및/또는 배열은 각 용도에 따라 대상 및/또는 표면에 고정 예컨대 몸체부, 의류, 포킷, 가구, 차량, 식물등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대상에 및/또는 표면에 대하여 형상-, 재료-또는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고정수단의 예는 팔찌, 래 치로크(latch lock), 소켓고정, 꿰매는 수단, 걸치는 수단, 접작가능 또는 접착할 표면, 자석등이다.
발명에 따른 배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모든 시계의 자막판을 포함하는 캐리어요소, 덮개유리와 하우징이 제조된다; 덮개유리 및 하우징은 캐리어요소와 결부된다. 당해 캐리어요소 덮개유리 및 하우징은 특히 사출기술에 의하여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덮개유리와 하우징은 그때 특히 캐리어 요소에 접착 및/또는 용접이 된다.
모든 시계의 문자판을 포함하는 캐리어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유리한 방법은 "인-몰드-라벨링"(in mold labelling)으로 알려진 방법이다. 이때 배열에 알맞는 모델로 합성수지 박막이 날염되어 사출금형에 놓이고 합성수지로 살포된다. 시계부품의 직접 날염에 비하여 이러한 방법의 이점은, 날염을 위하여 특히 적합한 즉 색 재생 및 색 내구도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 박막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시계의 상호 분리여부는 소유자에 달려 있다. 배열은 그와같이 또는 복수의 시계로 되어 있는 그의 부품의 배열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이는 예컨대 복수개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시계들의 색다른 외관으로 인하여 또는 배열의 여러 시계에 시간을 달리 설정 또는 판독하기 위하여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용도의 가능성에 대하여 현재까지 상상할 수 없는 다양성을 열어놓고 있다. 발명에 의한 배열, 부품 또는 개별 배열에서 분리된 시계들은 유행 액세서리, 장신구, 펜던트, 선전용 기념품, 광고기념품, 인사 또는 연하장, 명함 및 기타 복합적인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발명에 의한 배열 및 그의 시계 의장에는 사실상 한계가 없다. 발명에 의한 배열의 시계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양한 외관이 될 수 있다. 이밖에도 발명에 의한 배열은 경제적으로 간단히 제조 가능하며, 이는 또한 저 소득층이 항시 그러한 배열 또는 시계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급변하는 유행감각을 고려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시계(1.1-1.4)가 결합수단(2.1-2.3)에 의하여 일직선의 1차원 배열로 서로 연결됨으로서 막대 초코렛형과 유사한 배열이 되어 있다. 이 배열은 각각 시계 1개가 최대 2개의 다른 시계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1차원이다. 시계(1.1-1.4)는 특히 서로 예컨대 기준단면(3.1-3.1)에서 분리 가능하며, 이 단면은 각각 2개의 시계(1.1-1.4) 사이의 결합수단(2.1-2.3) 위에서 배열의 시계(1.1-1.4)는 도 1에서처럼 다양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소유자에게 일자형식, 불쾌지수, 일기, 동기, 의상등에 따라서 적당한 시계(1.1-1.4)를 선택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모델뿐 아니라 시계의 형태도 다를 수 있다. 배열의 시계들은 다음의 도에서처럼 동일한 외관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5개의 시계(1.1-1.5)에 대한 2차원 또는 T-형 배열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최소한 배열에서 한개 시계(1.2)가 2개 이상의 시계(1.1,1.3,1.4)와 결합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2차원적이다. 도 3의 6개 시계(1.1-1.6)의 1차원 배열은 0-형이며 도 4에서 4개 시계(1.1-1.4)는 클로버잎 형이다. 도 5에 제시되어 있는 9개의 시계(1.1-1.9)에 대한 2차원 배열은 판 초코렛형 또는 우표 시트형과 동일하다. 도 5 주위에는 참조 기호로 연결하지 않고 2개의 결합수단(2.1,2.2)과 2개의 절점(3.1,3.2)만이 표시되어 있다.
도 6-12는 각기 4개의 시계(1.1-1.4)를 가진 다양한 발명에 따른 1차원 배열을 제시하고 있으며 시계(1.1-1.4) 사이에서는 주로 결합수단에 맞붙어 있다. 시계(1.1-1.4)로부터 경우에 따라서는 주요부품 덮개유리(11.1-11.4), 문자판(12.1-12.4) 및 하우징(13.1-13.4)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시계(1.1-1.4)의 발명에 의한 배열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일한 캐리어요소(20) 위의 시계(1.1-1.4) 사이에 결합수단(2.1-2.3)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러한 캐리어요소(20)에 의하여 형성된다. 캐리어요소(20)는 모든 시계(1.1-1.4)의 문자판(12.1-12.4)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시계(1.1-1.4) 사이의 결합수단(2.1-2.3)은 그의 문자판(12.1-12.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캐리어요소(20)는 특히 비교적 견고한 합성수지판이다. 시계(1.1-1.4) 사이의 캐리어 요소(20) 내에는 절점(3.1-3.3)이 존재하는데 이는, 예컨대 테이퍼 캐리어요소 내에서 테이퍼 또는 단면수축으로 되어 있다. 덮개유리(11.1-11.4)는 캐리어요소(20)의 제 1 면(20)과 결부되어 있으며 하우징(13.1-13.4)은 캐리어요소(20)의 제 2 면(22)과 결부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들은 특히 재료로 결부되어 있다: 덮개유리(11.1-11.4)와 하우징(13.1-13.4)은 예컨대 캐리어요소(20)에 접착 및/또는 용접되어 있다. 캐리어요소(20), 덮개유리(11.1-11.4) 및 하우징(13.1-13.4)은 특히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덮개유리"는 범용시계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와 모순되지 않으며 그다음 재료에 대해서는 아직 언급하지 않는다.
도 6의 실시예는 특히 우선 문자판(12.1-12.4)을 포함하고 있는 캐리어요소(20), 덮개유리(11.1-11.4) 및 하우징(13.1-13.4)이 예컨대 사출기술에 의하여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그다음에 덮개유리(11.1-11.4)및 하우징(13.1-13.4)은 캐리어요소(20)와 예컨대 접착제 및/또는 용접에 의하여 결부되며 이때 초음파 용접의 사용도 가능하다.
캐리어요소(20)는 유리한 방법으로 공지된 "인-몰드-라벨링"(In-mold-labeling)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때 함성수지 포일(23)은 배열에 대하여 정해진 견본으로 날염되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사출금형에 놓여 합성수지로 살포된다. 그다음 합성수지 포일은 캐리어요소(20)의 제 1 면상에 존재한다. 날염을 위하여 그에 특히 적합한, 즉 색상 복제 및 내색성에 관한 우수한 특성을 가진 포일(23)이 택해진다. 이러한 방법은 캐리어요소(20)를 직접 날염 하는 것 보다도 더 유리한 것으로 입증이 가능하다.
도 7의 배열에서는 시계(1.1-1.4) 사이의 결합수단(2.1-2.3)이 그의 덮개유리(11.1-11.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절점(3.1-3.3)에 의하여 서로 경계가 이루어진 덮개유리(11.1-11.4)는 배열의 캐리어요소(20)로서 받아드릴 수 있다 (점선으로 시사된) 문자판(12.1-12.4)은 예컨대 덮개유리(11.1-11.4)와 하우징(13.1-13.4) 사이에 고정 또는 클램핑이 가능하다.
도 8의 배열에서 시계(1.1-1.4) 사이의 결합수단(2.1-2.3)은 그이 하우징(13.1-13.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절점(3.1-3.3)에 의하여 서로 경계된 하우징(13.1-13.4)도 캐리어요소(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4개의 시계(1.1-1.4)배열을 제시하고 있다. 그중에서 각 2개 시계(1.1,1.2) 또는 (1.3,1.4)는 제 1 결합수단(2.1) 또는 (2.2)를 구성하는 그의 문자판(12.1,12.2) 또는 (12.3,12.4)에 의하여 서로 결합이 되어 2개의 분할배열(10.1,10.2)을 구성한다. 이 예에서 2개의 문자판(12.1,12.2)에 의하여 서로 결부되어 있는 분할배열의 시계(1.1,1.2)은 그 사이에 하등의 절점이 없으므로 서로 분리할 수가 없다. 이에 반하여 2개의 분할배열(10,1.10.2)이나 또는 배열의 2개 중앙 위치 시계(1.2,1.3)는 서로 분리 가능하다. 2개의 중앙시계(1.2, 1.3)를 연결하는 제 2의 결합수단(2.5)은, 예컨대 문자판(12.2,12.3)에 접착되어 있는 예컨대 2개의 굽힘 가능한 밴드(24.1,24.2)로 되어 있어서 문자판(12.2,12.3)에 접착되어 있다. 제 2의 결합수단(2.5)은 후에 시계(1.2,1.3)로 부터 분리된다.
후에 제거 가능한 결합수단(2.6)을 가진 기타 실시예는 도 10에서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시계(1.1-1.4)는 케이스(2.6)에 의하여 결합수단으로서 결합이 된다. 이러한 케이스(2.6)는 예컨대 시계(1.1-1.4)의 포장재를 형성하며 투명한 합성수지 포일, 종이등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시계(1.1-1.5) 사이에 기타 상이한 결합수단(2.1-2.4)을 가진 배열을 제시하고 있다. 제 1 결합수단(2.1)은 예컨대 얇은 스트립(strip) 또는 박판으로 구성 가능하며, 2개의 결합할 시계(1.1,1.2)로 성형 또는 그에 부착 가능하다. 제 1 결합수단(2.1)은 그의 단면이 작아서 동시에 절점(3.1)을 형성한다.
제 2의 결합수단(2.2)은 형상고정 암면 결합으로, 예컨대(약도로 도시) 2개의 유연한 부품(2.22, 2.23)에 의하여 유지된 삽입부품(2.21)을 가진 래치로크(latch lock)로 되어 있다.
제 3의 결합수단(2.3)은 재료고정결합 예컨대 양면이나 비양면 접착으로 될 수 있다. 제 4 결합수단(2.4)은 마찰결합 예컨대 2개의 영구 자석(2.41, 2.42)에 의한 자기 결합으로 할 수 있다.
발명에 의한 배열의 결합수단(2.1-2.4)의 기타 옵션들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배열은 유일한 캐리어요소(20)를 가지고 있어서 후에 시계(1.1-1.4)로 부터 분리가능하다. 배열의 4개 시계(1.1-1.4)는 다양하게 캐리어요소(20)와 결부되어 있다. 도 11과 같이 결합(2.1-2.4)은 시계(1.1-1.4) 및 캐리어요소(20) 사이에서 절점(3.1)으로 형상 결합(예컨대 2개의 유연한 부품들 2.23에 의한), 재료결합(예컨대 접착제 2.3에 의한) 또는 마찰결합(예컨대 2개의 자석 2.41, 24.2)으로 할 수 있다.
도 12의 제일 우측의 시계 1.4는 자석(2.41)을 가지고 있어서 배열에서 시계(1.4)를 분리후에는 고정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시계를 용도에 따라 물체 및/또는 표면 자석(2.41)의 경우에 예컨대 냉장고문, 가구, 차량등에 고정할 수 있게되어 있다. 자석(2.41)은 마찰결합에 의한 고정수단을 설명하고 있다; 기타 고정수단은 물체 및/또는 표면과의 형상-또는 재료결합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도 6-12에 약도로 도시되어 있는 결합수단(2.1-2.6)은 몇가지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이해하면 당업자로서는 결합수단을 달리 할 수 있으며/또는 이를 서로 결합할 수도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속한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16은 발명에 의한 배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면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배열은 도 1과 6의 그것들과 같다. 이는 4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시계(1.1-1.4)로 그의 문자판(12.1-12.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결합수단(2.1-2.3)은 이에 따라서 문자판(12.1-12.4)에 성형되어 형성된다. 문자판(12.1-12.4)은 유일한 캐리어요소(20)가 포함한다. 캐리어요소(20)는 시계 사이의 다공 및 단면축소형의 절점(3.1-3.3)을 가지고 있다. 유일한 시계들(1.1-1.4)은 예컨대 정사각형이며 각 시계(1.1-1.4)는 모든 4개면에서 톱니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의 형상이 마치 우표 딱지를 연상케한다. 도 12-16에서 덮개유리(11.1011.4) 및 하우징(13.1-13.4), 와인딩 헤드(14.1-14.4) 및 시간 지시수단(15.1-15.4) 예컨대 시계시침(1.1-1.4)을 볼 수 있다. 도 15에는 하우징 커버(16.1-16.4) 외에도 그 밑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시계 톱니바퀴 및 밧데리가 있으며 제작을 요하는 용접눈(17.11-17.14, 17.21-17.24, 17.31-17.34, 17.41-17.44) (도 24 참조)이 있다.
도 13은 배열의 한 투시도를 제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상면도, 도 15는 하면도 도 16은 와인딩헤드(14.1-14.4) 측의 한 측면도, 즉 "3시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17-21에는 도 13-16에 제시되어 있는 배열에서 분리되어 있는 유일한 발명에 따른 시계(1)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는 시계(1)는 그중에서도 특히 다른 시계 및/또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결합수단의 트랙(제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가짐으로서 선행기술에 속한 시계들과는 다를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시계는 (도6-12에서 처럼) 당초엔 적어도 제 1 측면(25) 상에서 문자판(12)에 의하여 다른 시계와 결합되었다. 절점에 따라서 시계(1)를 분리후 파단면(26)은 제 1 측면(25)상에서 그의 구조에 의하여 파단 개소로 명백히 확인이 됨으로서 발명에 따른 시계(1)는 유사하나 개별시계로 제조된 시계와는 다르다. 종래에 있는 결합수단의 다른 흔적은 예컨대(도시되어 있지 않음) 접착제 잔재이다.
도 17은 시계의 한가지 투시도이며, 도 18은 상면도이고 도 19는 하면도이며 도 20은 와인딩헤드 측면도로, 즉 "3시 방향"의 측면도이며 도 21은 "12시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21에서 기타 이와 똑같이 도 13-16에서 완전히 제시되어 있는 배열의 한 측면 일 수 있다. 도 19에서는 하우징커버(16)와 용접눈(17.1-17.4)(도 24 비교)을 볼 수 있다.
발명에 따르는 배열의 시계에서 물체 및/또는 표면에 시계를 부착하기 위한(도시되어 있지 않은) 고정 수단의 부착이 가능하다. 고정수단의 예들은 팔찌, 래치로크, 소케트고정, 꿰는수단, 걸이수단, 접착가능 또는 접착면, 자석등이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발명에 따른 시계들을 적당한 개소에 부착할 수 있다.
도 22-24에는 발명에 따라 도 17-21에 도시되어 있는 시계(1)의 여러 단면들이 제시되어 있다. 단면들은 도 18 및 19에 나타나 있다. 모든 이러한 도 22-24에서는 3가지 주요구성부품 덮개유리(11), 문자판(12) 및 하우징(13)을 볼 수 있다. 덮개유리(11)와 하우징(13)은 특히 문자판(12)과 재료로 결합되어 있으며 예컨대 그 위에 접착 및/또는 용접이 되어 있다. 덮개유리(11) 및/또는 하우징(13)의 조립 및 정확한 자리잡기를 위하여서는 문자판(12) 내에 오목면 또는 홈(groove)이 있다.
도 22는 직선 "9시-3시"에 따른 단면을 제시하고 있다. 문자판(12)과 하우징(13), 지침축(5), 리프팅축(6)및 그 위에 걸쳐 있는 와인딩헤드(14) 사이의 시계장치(4)가 도시되어 있다.
지침은 간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내에는 구멍(30)이 있어서 이를 통하여 시계장치(4) 및/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밧데리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이 구멍(30)은 커버(16)로 닫혀 있다.
도 23은 직선 "6시-12시"에 따라 발명에 의한 시계(1)의 한 단면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시계 또는 이에 대한 트랙에 대한 결합수단은 도시되어 있는 시계(1)가 도 13-16에 따른 배열에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예컨대 제 1측(25.1) 및/또는 제 2 측(25.2)에 부착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은 간단히 하기 위하여 도 2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24의 단면은 발명에 따른 시계(1)의 모서리에서 도 23의 것과 평행함으로 용접눈(17.1, 17.4)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용접눈(17.1, 17.4)은 합성수지로된 문자판(12)과 하우징(13) 사이의 결합을 재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서는 이에 대응하는 개소에 홈 (27.1,27.4) 또는 knub (뜯긴자리) (37.1,37.4)가 감안되어 있다.
결합할 부품(12,13)은 서로 마주하여 포개져 있다. 적어도 부품(12,13) 중의 어느 하나에(도시되어 있지 않은) 초음파 진동이 조성됨으로서 양 부품(12,13)의 용접이 된다. 이때 우선 중첩한 재료(28.11,28.12,28.41,28.42)는 이를 위하여 감안된 공간(29.11, 29.12, 29.41, 29.42)에 비켜 있어서 최적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리프팅축(lifting axle)(6)을 볼 수 있다.
제 도면은 각각 지침(15)을 가진 유사한 시계(1,1.1-1.9)를 제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 또한 예컨대 디지탈시계 같은 다른 지침 수단을 포함한다.
2개 이상의 시계를 결합배열하여 수시로 용도나 취향에 맞추어 한개 시계를 분리 착용하는데 알맞은 방법이다.

Claims (20)

  1. 적어도 2개의 시계(1.1-1.9)로 된 배열에 있어서,
    각기 적어도 배열의 2개의 시계가 결합수단(2.1-2.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2.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수단(2.1-2.6)은 캐리어 요소(20)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계들(1.1-1.9)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4. 제 3항에 있어서,
    배열의 2 시계(1.1-1.9)사이에는 절점(3.1-3.4)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5. 제 4항에 있어서,
    절점(3.1-3.4)은 주배 또는 단면수축 및/또는 결합수단(2.1-2.6)내 다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6. 제 1항 내지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시계(1.1-1.9)사이에는 결합수단(2.1-2.6)의 시계구성부품(11.1-11.4, 12.1-12.4, 13.1-13.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7. 제 6항에 있어서,
    배열의 각 시계(1.1-1.4)는 덮개유리(11.1-11.4), 문자판(12.1-12.4)및 하우징(13.1-13.4)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8. 제 7항에 있어서,
    덮개유리(11.1-11.4), 문자판(12.1-12.4)및 하우징(13.1-13.4)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9. 제 2항 및 7항 또는 제 2항 및 8항에 있어서,
    캐리어요소(20)는 모든 시계(1.1-1.4)의 덮개유리(11.1-11.4), 문자판(12.1-12.4) 및/또는 하우징(13.1-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0. 제 9항에 있어서,
    캐리어요소(20)는 모든 시계(1.1-1.4)의 문자판(12.1-12.4)을 포함하며 덮개유리(11.1-11.4)는 캐리어요소(20)의 제 1면(21)과 하우징(13.1-13.4)은 캐리어요소(20)의 제 2면(22)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1. 제 10항에 있어서,
    덮개유리(11.1-11.4)와 하우징(13.1-13.4)은 재료 고정방식으로 캐리어요소(2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2. 제 청구항 1항 내지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시계(1.1-1.5)사이의 결합수단(2.21-2.6)은 보조요소에 의하고, 시계구성부품(11.1-11.4, 12.1-12.4, 13.1-13.4)에 의해서는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3. 제 12항에 있어서,
    결합수단(2.5-2.6)은 후에 시계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4. 제 1항 내지 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계(1.1-1.4)는 다양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5. 제 1항 내지 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명에 따르는 배열의 적어도 한 시계에, 적어도 한 시계(1.4) 및/또는 배열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2.41)은 하나의 대상물체 및/또는 하나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16. 시계(1)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15항중에의한 배열에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1).
  17. 제 10 또는 11항에의한 배열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요소(20), 덮개유리(11.1-11.4)및 하우징(13.1-13.4)이 제조되며, 덮개유리(11.1-11.4) 및 하우징(13.1-13.4)은 캐리어요소(20)와 결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캐리어요소(20), 덮개유리(11.1-11.4) 및 하우징은 사출기술에 의하여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캐리어요소(20)는 합성수지포일(23)이 날염되어 사출금형에 놓여져서 합성수지가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7항 내지 1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유리(11.1-11.4)와 하우징(13.1-13.4)은 캐리어요소(20)에 접착 및/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11898A 1997-06-16 1998-06-03 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138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46297 1997-06-16
CH1462/97 1997-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876A true KR20010013876A (ko) 2001-02-26

Family

ID=421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898A KR20010013876A (ko) 1997-06-16 1998-06-03 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695468B1 (ko)
EP (1) EP0990197B1 (ko)
JP (1) JP4241941B2 (ko)
KR (1) KR20010013876A (ko)
CN (1) CN1154028C (ko)
AT (1) ATE310976T1 (ko)
AU (1) AU750477B2 (ko)
BR (1) BR9810149A (ko)
CA (1) CA2294044A1 (ko)
DE (3) DE29714637U1 (ko)
ES (1) ES2255160T3 (ko)
HK (1) HK1028817A1 (ko)
ID (1) ID24907A (ko)
IL (1) IL133521A0 (ko)
NO (1) NO996249L (ko)
PL (1) PL337570A1 (ko)
SK (1) SK180199A3 (ko)
TR (1) TR199903112T2 (ko)
WO (1) WO1998058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7618C (zh) * 2001-06-12 2007-11-07 深圳市飞亚达(集团)股份有限公司 手表
DE60225779T2 (de) 2002-02-01 2009-06-18 Tag Heuer S.A. Vorrichtung mit Uhrwerk und Chronographenmodul
FR2853420B1 (fr) * 2003-04-02 2005-08-19 Thierry Brugere Dispositif d'affichage du temps de grande lisibilite
ES1058315Y (es) * 2004-08-03 2005-03-16 Vera Encarna Duran Pulsera reloj.
US20100220559A1 (en) * 2009-02-27 2010-09-02 Galie Louis M Electromechanical Module Configuration
RU2482531C2 (ru) * 2011-06-28 2013-05-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тантин Чайкин" Корпус часов с декоративными вставками (варианты) и часы с корпусом с декоративными вставками
JP2013170871A (ja) * 2012-02-20 2013-09-02 Ryosuke Takeuchi 表面に図柄を形成した組み合わせ時計
CN105242523A (zh) * 2015-09-30 2016-01-13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组合式钟
CN108601276A (zh) * 2018-04-04 2018-09-28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263A (en) * 1934-11-30 1935-11-26 New Haven Clock Co Clock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801779A (en) * 1955-12-07 1957-08-06 Jenkins Albert Wrist band
CH1580163A4 (ko) * 1963-12-20 1965-09-15
DE3072194D1 (de) * 1979-02-21 1991-10-24 Rado Montres Sa Mit einer verkleidung aus hartem metall geschuetztes schmuckstueck.
CH640688GA3 (fr) * 1980-10-27 1984-01-31 Eterna Sa Montre a mouvement electronique et a deux moyens d'affichage.
CH643425B (fr) * 1981-06-01 Rado Montres Sa Boite de montre.
US4379643A (en) * 1981-07-24 1983-04-12 Timex Corporation Timepiece case/backcover assembly
DE8530739U1 (de) * 1985-10-30 1986-04-10 Mies, Joachim, 5000 Köln Meßgerät, insbesondere Uhr
DE8706553U1 (ko) * 1987-05-07 1987-06-19 Konrad, August, 6951 Schefflenz, De
FR2618919A1 (fr) 1987-07-30 1989-02-03 Innovation Gilles Margerit Montre en deux parties separables
CH672225B5 (ko) * 1987-12-23 1990-05-15 Ebauchesfabrik Eta Ag
USD322227S (en) * 1989-03-23 1991-12-10 North American Watch Company Watch
CH682290A5 (en) * 1990-02-16 1993-08-31 Constantin Kyriacos Wrist watch bracelet - has holder between two sections of bracelet on opposite side to watch, designed to hold second instrument or container
FR2725821A1 (fr) * 1994-10-18 1996-04-19 Lebru Philippe Dispositif de presentation permettant la realisation visuelle de montre par la selection des differents composants simples
DE9417048U1 (de) * 1994-10-22 1994-12-22 Berendsohn Ag Armbanduhr mit zwei Uhrzeitanzeigen
US6322245B1 (en) * 1999-03-23 2001-11-27 Douglas Cooper Double heart w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180199A3 (en) 2000-10-09
DE29714637U1 (de) 1998-02-26
HK1028817A1 (en) 2001-03-02
PL337570A1 (en) 2000-08-28
AU750477B2 (en) 2002-07-18
CA2294044A1 (en) 1998-12-23
ES2255160T3 (es) 2006-06-16
BR9810149A (pt) 2000-08-08
WO1998058299A1 (de) 1998-12-23
EP0990197A1 (de) 2000-04-05
EP0990197B1 (de) 2005-11-23
US6695468B1 (en) 2004-02-24
CN1266507A (zh) 2000-09-13
CN1154028C (zh) 2004-06-16
JP2002505745A (ja) 2002-02-19
ATE310976T1 (de) 2005-12-15
IL133521A0 (en) 2001-04-30
NO996249L (no) 2000-02-16
DE19880742D2 (de) 2001-07-12
NO996249D0 (no) 1999-12-16
ID24907A (id) 2000-08-31
AU7423598A (en) 1999-01-04
TR199903112T2 (xx) 2000-04-21
DE59813226D1 (de) 2005-12-29
JP4241941B2 (ja)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876A (ko) 시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67752A (ko) 시계 문자판 및 시계 문자판의 제조 방법
JP2002311163A (ja) ベゼルを用いて組み立てられる腕時計ケース
US20050011093A1 (en) Device and method for layered memory objects
JPS61144585A (ja) カレンダー付時計
JP6927268B2 (ja) 装飾部材、文字板、および時計
KR200225944Y1 (ko) 입체만년달력
JPH01148887U (ko)
KR200183827Y1 (ko) 카렌다 겸용 시계
JP4457629B2 (ja) 時計
MXPA99011855A (en) Watche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KR200217416Y1 (ko) 귀금속 케이스
JP6610861B2 (ja) 装飾部材、文字板、および時計
JPH0631438Y2 (ja) スケルトン電子時計
CZ450199A3 (cs) Souprava hodinek, hodinky a způsob její výroby
JP3046478U (ja) 時計用文字板
JP4457628B2 (ja) 時計
JPS643098Y2 (ko)
CN104423249A (zh) 外装部件的固定结构、钟表以及外装部件的固定方法
JPS6031405Y2 (ja) 回路基板とコイルブロツクの保持構造
JPH11160459A (ja) 時 計
KR19990033046U (ko) 두 개의 문자판을 갖는 시차시계
JPH043387U (ko)
JPH0376192U (ko)
JPS58129177U (ja) 時計用時刻表示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