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187A -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187A
KR20010011187A KR1019990030431A KR19990030431A KR20010011187A KR 20010011187 A KR20010011187 A KR 20010011187A KR 1019990030431 A KR1019990030431 A KR 1019990030431A KR 19990030431 A KR19990030431 A KR 19990030431A KR 20010011187 A KR20010011187 A KR 2001001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tergent composition
salt
stick type
type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329B1 (ko
Inventor
박찬준
주경식
김동규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9003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2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95Solid transparent soaps or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11D3/225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etherified, e.g.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주기의 전단계에서 의류의 오염부분에 직접 발라서 사용하는 고형의 투명한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빌더성분으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A transparent stick-type spot cleaning enzyme composition}
본 발명은 세탁주기의 전단계에서 의류의 오염된 특정부위에 직접 발라서 사용하는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세탁 전 전처리제로서의 부분세척제의 제형은 다양하게 상품화되어 있다. 액체 형태의 세제로서 발매되는 풀과 같은 스펀지가 부착되어 의류의 특정부위에 칠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 고점도의 액체 형태로 솔이 부착되어 있는 형, 가스 압축식 스프레이, 펌프 스프레이형 등 여러 가지 형태가 나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중 특히 립스틱과 같은 고형 스틱 형태로서 스펀지나 솔 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세제를 의류에 직접 발라 사용함으로써 솔이나 스펀지의 파손, 변형 등에 의해 사용하기 불편한 점을 해소한 제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틱형 부분 세척제에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것으로서는 제품 물성에 있어서 제품 사용 시 용기 형태에 부합되면서 세척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경도를 가지며 유통 중의 고온 조건에서 제형을 유지 보존할 수 있는 적하점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제조 시에 가지고 있는 물성 및 사용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경도는 의류의 오염부분에 문지르며 사용 시 피막이 생기거나 뭉게지거나 너무 단단하여 잘 도포가 안되고 의류에 무리한 작용을 주어서는 안되는 정도이고 적하점의 경우 40 내지 70℃의 범위내 이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제까지 스틱형 부분세척제에 관한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특히 유럽특허 제0205999호는 적합한 경도와 적하점을 갖기 위해 스테아린산과 각종 염들을 혼합한 처방에 대한 것이며, 미국특허 제5384060호에서는 Na2HCO3를 사용하여 효소에 대한 안정성과 적절한 물성을 가질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특허들은 공히 스테아린산을 주재료로 사용한 것으로서 이는 세척력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성분이며 단지 제품 물성을 스틱형태로 만들기 위한 주재료로 사용한 것이어서 세정능력이 떨어질 수 있거나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있는 대다수의 제품이 불투명한 제품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선행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이온 및 비이온의 배합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경도와 적하점이 적당하고 사용감이 우수한 투명한 고형 스틱형 부분 효소세척제를 개발하고자 많은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 세정 시스템으로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과 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 및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형제로 피막발생 등을 억제하여 제품안정성, 적하점 및 사용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재 오염 부착방지 및 세척력의 향상, 푸새의 효과를 높이고, 유통 및 사용 시에 적합한 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CMC 및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적으로 찌든 오염에 탁월한 세척효과를 발휘하고 경도와 사용감이 지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비가 15중량% : 33중량% 내외가 되도록 하였다. 좀더 자세하게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 및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의 배합비가 각각 5:5:5:1의 혼합비로 이루어지며, 이 배합비에서 많이 벗어날 시(대략 5 내지 10중량%) 상 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점도 및 사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배합비에서 벗어날수록 제품의 투명도도 떨어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5 내지 25중량%, 알킬폴리옥시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5 내지 25 중량%, 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염 5 내지 25중량% 및 직쇄알킬벤젠설포네이트염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체 함량은 조성물의 15 내지 6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중량%이다. 계면활성제의 전체 함량이 조성물의 15중량%이하인 경우는 충분한 세척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65중량%이상의 과량일 때는 조성물이 불안정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제조성물에 이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외에 슈가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탈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카놀아미드가 바람직하며 특히, 하기 화학식(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RO(CH2CH2O)nH (Ⅰ)
상기식에서,
R은 6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이고,
n은 5 내지 2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 적합한 n은 7 내지 9의 정수이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알킬기는 분기형이나 직쇄형이 좋지만 생분해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직쇄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제조성물 중 5 내지 25 중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12 내지 24의 올레핀설포네이트이며, 여기에서 올레핀설포네이트는 알파올레핀을 무수황산으로 설폰화하여 얻어진 알켄술폰산과 술톤의 혼합물로 이것을 강알칼리로 중화하여 얻어진 알켄술폰산나트륨 및 하이드록시알칸술폰산나트륨염을 의미한다. 올레핀설포네이트의 원료인 알파올레핀은 탄소수 12 내지 24,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 내지 18의 모노올레핀이며, 직쇄사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도데켄, 1-헥사데켄, 1-옥타데켄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는 세제조성물 중 5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중량%가 사용되어지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세척력이 떨어지거나 투명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음이온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은 알콜에 옥시에틸렌을 부가 후 무수황산으로 황산에스테르를 만들고 강알칼리로 중화하여 제조하며 탄소수는 8 내지 16개의 분포를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합한 탄소수는 12개 내외가 적당하다. 또한 부가된 옥시에틸렌은 3 내지 7몰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몰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제품안정성 및 사용감의 향상을 위하여 프로필렌 글리콜을 5중량%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 첨가하고 재 오염 부착방지 및 세척력의 향상, 푸새의 효과를 높여 특정부위만의 강한 세척에 의한 얼룩 등의 흔적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CMC 및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기존제품의 사용 후 흔적이 남는 단점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CMC가 1 내지 8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중량%가 사용되며,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는 1 내지 10중량%, 지방산염은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된다.
본 발명의 세제조성물에 이용하는 지방산염으로서는 탄소수 6 내지 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 하나 이상과 나트륨, 칼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나트륨,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염은 지방산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의 알칼리성 물질과의 중화반응에 의해 얻어지지만, 이들 알칼리물질과 천연유지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비누화 반응에 의해서도 얻을 수가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지로는 우지, 양지, 돈지, 어유, 팜유, 팜핵유, 야자유, 평지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등의 천연유지 또는 이 유지를 탈산, 탈색, 경화 등의 방법으로 조제한 유지를 들 수 있다. 또는 지방산으로서는 상기의 유지를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지방산이나, 이 지방산을 증류, 분별, 경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조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지방산염은 세제조성물 중 1 내지 1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가 적당하다. 지방산염은 세정제로서의 효과와 세탁 후 헹굼 시의 기포를 낮추어 헹굼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세제조성물에 이용하는 수용성 부형제로는 규산염, 탄산염, 중탄산염, 황산염, 아황산염, 붕산염을 들 수 있다. 환경에 대한 부하나 세정성을 고려하면 규산나트륨이나 탄산나트륨 등의 규산염이나 탄산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세제조성물 중 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를 사용한다.
가용화제로는 에탄올, 톨루엔황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사용할 수 있으며 1 내지 30 중량%의 함유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가용화제 중에 물성 및 사용감을 고려하여 프로필렌글리콜을 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효소로서는 프로티아제, 리파아제, 아미라아제, 셀룰라아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공업적으로는 예컨데 NOVO사의 ALKALASE, ESPERASE, SAVINASE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고, 저장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불활성물질로 표면처리를 한 효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효소의 적당한 첨가량은 세제조성물 중 0.5 내지 3.5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중량%이다.
효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안정성에 필요한 적합한 pH범위가 존재하며, 이 범위를 벗어날 때에는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바람직한 pH범위는 7.5 내지 9.5이며, 이 범위에 유용한 pH완충제로는 붕산 등이 사용되며 0.05 내지 3 중량%를 함유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계면활성제의 배합비율 및 물성 변화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및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 함량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
성 분 A B C D E F G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9EO) 0 5 10 15 20 25 30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30 25 20 15 10 5 0
황산에스테르 15 15 15 15 15 15 15
알파 올레핀 술폰산염 3 3 3 3 3 3 3
직쇄알킬벤젠 술폰산염 10 10 10 10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지방산염 3 3 3 3 3 3 3
공중합체 0.5 0.5 0.5 0.5 0.5 0.5 0.5
붕산 3 3 3 3 3 3 3
CMC(carboxymethyl cellulose) 1 1 1 1 1 1 1
효소 5 5 5 5 5 5 5
기타(탄산염,규산염,아황산염등)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e e e e
사용감 + ++ ++++ ++++ +++ ++ +
Dropping Point(℃) 40-50 38-45 42-50 50-58 45-50 35-43 30-35
제품의 투명성 + + ++ ++ +++ +++ ++
주; ※1): 알파올레핀술폰산염은 30%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지방산염은 무궁화유지(주) 우지지방산의 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9EO)는 일칠화학의 LA-9, 공중합체는 바스프사의 CP-5, 효소(NOVO사의 알칼라제 2.5L)를 나타냄.
2) 사용감의 측정: 상기처방대로 제조한 것을 지름 약 2cm의 원통형용기에 넣어 제품을 제조 후 상온에서 의류의 오염된 부위에 문지르면서 세제의 뭉게짐, 의류의 도포성 및 사용 후 헹굼성 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함.
++++: 세제의 뭉게짐이 없고 도포되는 정도 및 사용 후 헹굼성이 양호하고 찌꺼기 및 피막 없음
+++: 세제의 뭉게짐이 없고 도포되는 정도 및 사용 후 헹굼성이 양호하나 찌꺼기 및 피막 발생함
++: 세제의 뭉게지거나 도포되는 정도 및 사용 후 헹굼성이 좋지 않고 찌꺼기 및 피막 발생함
+: 사용불가능(완전고체 또는 액체에 가까운 상태)
3) 제품의 투명성 : 상기처방대로 약 2cm의 원통형으로 제조한 후 뒷면에 각각 폭 1cm씩 빨강, 노랑, 검정색으로 칠해진 흰색의 A4용지에 비추어 하기와 같이 측정함
+++ : 색이 선명하게 구분됨, ++: 구분할 수 있음 + : 구분 안됨
상기 실시예 1의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계면활성제 및 부형제의 함량이 일정한 상태에서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및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 함량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의 함량이 5 내지 25 중량%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에서 물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는 10 내지 20 중량%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에 의하여 조제한 후 세정력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표 1의 세정력 평가
- 방 법 : 기존에 출시된 스펀지형태의 부분세척제 1종과 처방제품 7종의 세정력 비교
- 세탁기계 : Terg-o-Tometer(한국과학기술(제))
- 세탁조건 : 회전수(120 rpm),온도(25 ℃),세탁시간(10분),헹굼(3분,2회)
- 세정수 : 수도물 (경도 : 53 ppm)
- 세제농도 : 1.0 Gr/l
- 오염포 : EMPA-104, JIS 오염포
- 평 가 : 시판 액체 농축세제의 세정력 평균값을 100으로 하여 상기 조제품을 상대 비교함.
세정력 평가
구 분 액체세제 평균 조제 A 조제 B 조제 C 조제 D 조제 E 조제 F 조제 G
EMPA-104 100 82 85 98 101 105 110 99
JIS 오염포 100 80 90 97 102 104 108 98
상기 표1의 처방에 대한 세척력 실험에서도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및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세척력의 향상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계면활성제 배합비별 물성변화)
알파올레핀술폰산염 및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 배합비에 따른 물성변화
성 분 A B C D E F G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9EO) 15 15 15 15 15 15 15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5 15 15 15 15 15 15
황산에스테르 0 5 10 15 20 25 30
알파 올레핀 술폰산염 30 20 10 8 5 2 0
직쇄알킬벤젠 술폰산염 10 10 10 10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지방산염 3 3 3 3 3 3 3
공중합체 0.5 0.5 0.5 0.5 0.5 0.5 0.5
붕산 3 3 3 3 3 3 3
CMC(carboxymethyl cellulose) 1 1 1 1 1 1 1
효소 5 5 5 5 5 5 5
기타(탄산염,규산염,아황산염등)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e e e e
사용감 + ++ ++++ ++++ ++++ ++ +
Dropping Point(℃) 35-45 35-40 38-42 50-60 45-55 42-50 45-55
제품의 투명성 + + + ++ ++ +++ +++
주; ※1): 알파올레핀술폰산염은 30%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지방산염은 무궁화유지(주) 우지지방산의 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9EO)는 일칠화학의 LA-9, 공중합체는 바스프사의 CP-5, 효소(NOVO사의 알칼라제 2.5L)를 나타냄.
2) 사용감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표1. 방법과 동일함
3) 제품의 투명성 : 상기 실시예 1의 표1. 방법과 동일함
상기 실시예 2의 표3의 처방에 대한 세척력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3의 세정력 결과
구 분 액체세제 평균 조제 A 조제 B 조제 C 조제 D 조제 E 조제 F 조제 G
EMPA-104 100 105 102 100 101 102 100 98
JIS 오염포 100 102 100 98 100 100 99 97
상기 실시예 1의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계면활성제 및 부형제의 함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알파올레핀술폰산염 및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의 배합비에 따른 변화는 어느 한족으로 치우치는 것보다는 조제 C, D, E부분에서 물성 및 세척력 모두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의 함량이 높을수록 제품의 투명도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프로필렌글리콜 및 CMC 함량에 따른 물성변화 측정
성 분 A B C D E F G G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9EO) 15 15 15 15 15 15 15 15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5 15 15 15 15 15 15 15
황산에스테르 0 5 10 15 20 25 30 30
알파 올레핀 술폰산염 30 20 10 8 5 2 0 0
직쇄알킬벤젠 술폰산염 10 10 10 10 0 5 10 20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5
지방산염 3 3 3 3 3 3 3 3
공중합체 0.5 0.5 0.5 0.5 0.5 0.5 0.5 0.5
붕산 0 2 4 8 3 3 3 3
CMC(carboxymethyl cellulose) 1 1 1 1 1 1 1 1
효소 5 5 5 5 5 5 5 5
기타(탄산염,규산염,아황산염등)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e e e e e
사용감 + +++ ++++ ++ + ++ ++++ ++
제품의 투명성 + +++ ++++ + ++++ ++++ +++ ++
주; ※1): 알파올레핀술폰산염은 30%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지방산염은 무궁화유지(주) 우지지방산의 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9EO)는 일칠화학의 LA-9, 공중합체는 바스프사의 CP-5, 효소(NOVO사의 알칼라제 2.5L)를 나타냄.
2) 사용감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표1. 방법과 동일함
3) 제품의 투명성 : 상기 실시예 1)의 표1. 방법과 동일함
상기 실시예 3의 표5에서 알 수 있듯이 CMC 및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에 따라 사용감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CMC의 함량은 2 내지 4 중량%, 프로필렌글리콜은 5 내지 15 정도가 적당함을 알 수 있다. 이하 효소, 아크린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에 대한 효과는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 있어 처방실험에 대한 첨부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세정제조성물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안정성 및 사용감의 향상을 위하여 프로필렌글리콜을 10 내지 15 중량% 첨가하고 재 오염 부착방지 및 세척력의 향상, 푸새의 효과를 높이어 특정부위만의 강한 세척에 의한 얼룩 등의 흔적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CMC 및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기존제품의 사용 후 흔적이 남는 단점을 개선한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3)

  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염, CMC, 효소,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는 탄소수가 8 내지 16인 1급 또는 2급 알콜에 9 내지 12 몰의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되고 구성비가 세제조성물 중 5 내지 25 중량%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의 구성비가 세제조성물 중 10 내지 20 중량%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을 포함하는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가 3 내지 7 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가 5 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알파올레핀술폰산염은 탄소수가 14 내지 18 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 알파올레핀술폰산염 :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의 배합비가 10 내지 20중량% : 10 내지 20중량% : 10내지 20중량% : 3중량%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 알파올레핀술폰산염 : 직쇄알킬벤젠술폰산염의 배합비가 15중량% : 15중량% : 15중량% : 3중량%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지방산염은 탄소수가 6 내지 22개인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구성비가 세제조성물 중 2 내지 7 중량%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지방산염은 나트륨 또는 칼륨염인 투명한 스틱형 부분 세제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CMC는 구성비가 세제조성물 중 2 내지 6 중량%이고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염의 공중합체는 구성비가 세제조성물 중 2 내지 5 중량%인 세정제 조성물.
KR1019990030431A 1999-07-26 1999-07-26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KR10057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31A KR100570329B1 (ko) 1999-07-26 1999-07-26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31A KR100570329B1 (ko) 1999-07-26 1999-07-26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87A true KR20010011187A (ko) 2001-02-15
KR100570329B1 KR100570329B1 (ko) 2006-04-12

Family

ID=1960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431A KR100570329B1 (ko) 1999-07-26 1999-07-26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97B1 (ko) * 2012-11-09 2014-03-06 동아교재 주식회사 투명 고형상 오염 제거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394A (ko) * 2001-09-13 2003-03-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KR20030023393A (ko) * 2001-09-13 2003-03-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액상 세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97B1 (ko) * 2012-11-09 2014-03-06 동아교재 주식회사 투명 고형상 오염 제거제
US9228162B2 (en) 2012-11-09 2016-01-05 Dong-A Teaching Materials Co., Ltd. Transparency solid cleaning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329B1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6048A (ja) オリゴマーアルキルグリセリルスルホネート及び/又はサルフェート界面活性剤混合物、並びにそれを含む洗剤組成物
EP1095125B1 (en) Clean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cleaning stains from garments and textiles
KR100570329B1 (ko) 투명한 스틱형 부분 효소세제 조성물
CA2098761C (en) Solid laundry pre-spotter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method of use
CZ136098A3 (cs) Detergentní prací prostředek s obsahem lipolytického enzymu a vybraných kvartérních amonných saponátů
JP2008133340A (ja) 自動食器洗浄機用の液状洗浄剤組成物
JP2010138218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4017940B2 (ja) 泡塗布型洗濯前処理剤
JP4386169B2 (ja) 塗布洗浄用液体洗剤製品
JP200216760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0596656B1 (ko) 스틱형 부분 효소세척제 조성물
CZ76196A3 (en) Detergents comprising lipolytic and proteolytic enzymes intended for washing-up in wash machines
JP2000505138A (ja) 疎水性溶媒と親水性溶媒とを含んでなる洗濯洗剤組成物
JP4808428B2 (ja) アミラーゼ含有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118790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EP2918664A2 (d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mit hydrolytisch aktivem Enzym und Steroidsäure
JP467546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4030831B2 (ja) 洗濯前処理用組成物
JP3897968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9279181A (ja) 液体洗浄組成物
JP201908186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CN1057791C (zh) 手洗餐具用组合物
JP3637005B2 (ja) 洗濯前処理用物品
JP3522950B2 (ja) 衣料用液体洗剤組成物
WO2022250123A1 (ja) 酵素反応促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