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692A -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692A
KR20010010692A KR1019990029719A KR19990029719A KR20010010692A KR 20010010692 A KR20010010692 A KR 20010010692A KR 1019990029719 A KR1019990029719 A KR 1019990029719A KR 19990029719 A KR19990029719 A KR 19990029719A KR 20010010692 A KR20010010692 A KR 20010010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horizontal structure
inorganic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302B1 (ko
Inventor
배상규
Original Assignee
배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규 filed Critical 배상규
Priority to KR10-1999-002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3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4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labs, only the horizontal slabs being partially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발명은 무기질 경량패널들의 상호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일체화시켜서 구조적인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아니라 전체적인 건축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첫째 기초의 상부에 철근콘크리트로서 최하층 바닥슬라브(10)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최하층 바닥슬라브의 타설공정과, 둘째 상기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을 세워서 벽체(20)를 조립하는 최하층 벽체의 조립공정과, 셋째 상기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최하층 기둥철근을 배근 한 후에 기둥거푸집(200)들을 설치하는 최하층 기둥거푸집의 설치공정과, 넷째 상기 최하층 벽체(20)와 최하층 기둥거푸집(200)들의 상부에 차상층 보거푸집(300a) 및 슬라브거푸집(300b)을 조립하여서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설치하고 보철근과 슬라브철근을 배근하는 차상층 수평구조체용 거푸집의 설치공정과, 다섯째 최하층 기둥거푸집(200)과 차상층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철근콘크리트 기둥(30)과 수평구조체(40)를 동시에 타설 양생하는 차상층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타설공정을 통하여 최하층을 완성한 다음 둘째부터 다섯째까지의 공정을 반복하여 차상층과 차차상층을 완성해나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A Process for Constructing Buildings by Using of Concrete Panels}
본발명은 무기질 경량패널들의 상호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일체화시켜서 구조적인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아니라 전체적인 건축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포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무기질 경량패널은 내화성과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간막이 벽체용으로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기포콘크리트 또는 기포스티로폴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무기질 경량패널이 최근 건축물의 간막이 벽체로서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 기포콘크리트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로서 건축물의 하중을 전담하는 내력구조체를 완성한 후에, 기포콘크리트 패널들을 세워연결시켜서 간막이 벽체를 완성하는 방법으로 시공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첫째, 기포콘크리트 경량패널들이 상호간에 연결되는 접합부의 연결이 견고하지 못하여서 부분적인 하중의 분담역활도 올바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첫째, 상호간에 연결되는 경량패널들을 일체화시켜서 부분적인 하중의 분담역할을 올바로 수행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둘째, 전체적인 건축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 도1b, 도1c, 도1d, 도1e는 본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임
도2는 본발명의 무기질 경량패널들을 연결하여서 되는 벽체 조립공정을 나타낸
것임
도3a, 도3b, 도3c, 도3d는 본발명의 무기질 경량패널내에 매립되는 매설물을 나
타낸 것임
도4는 본발명의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을 시공한 상태로서 나타낸 부분 발췌도
도5는 본발명의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로서 나타낸 부분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슬라브 20: 벽체 21: 개구부
30: 철근콘크리트 기둥 30a: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
40: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 40a: 테두리보 40b: 슬라브
100: 무기질 경량패널 a: 하부레일홈 b: 측레일홈
c: 측레일 d: 바닥레일 110: 스치로풀판
120: 기포콘크리트판 130: 시멘트보드 140: 매설물
141: 전선안내관 142: 수도관 143: 배전반
144: 스위치박스 200: 기둥거푸집 300: 수평구조체용 거푸집
300a: 보거푸집 300b: 슬라브거푸집 400: 가설지주
이하,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도1a,도1b, 도1c, 도1d, 도1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첫째 기초의 상부에 철근콘크리트로서 최하층 바닥슬라브(10)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최하층 바닥슬라브의 타설공정과, 둘째 상기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을 세워서 벽체(20)를 조립하는 최하층 벽체의 조립공정과, 셋째 상기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최하층 기둥철근을 배근 한 후에 기둥거푸집(200)들을 설치하는 최하층 기둥거푸집의 설치공정과, 넷째 상기 최하층 벽체(20)와 최하층 기둥거푸집(200)들의 상부에 차상층 보거푸집(300a) 및 슬라브거푸집(300b)을 조립하여서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설치하고 보철근과 슬라브철근을 배근하는 차상층 수평구조체용 거푸집의 설치공정과, 다섯째 최하층 기둥거푸집(200)과 차상층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철근콘크리트 기둥(30)과 수평구조체(40)를 동시에 타설 양생하는 차상층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타설공정을 통하여 최하층을 완성한 다음 둘째부터 다섯째까지의 공정을 반복하여 차상층과 차차상층을 완성해나가는 것을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무기질 경량패널(100)로서 벽체(20)를 선시공한 후에 그 벽체의 상부와 주요접합부에 연결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30)과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시키므로, 무기질 경량패널(100)의 주요접합부와 상단부들을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로서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발명의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상호간에 연결되는 무기질 경량패널들을 일체화시켜서 부분적인 하중의 분담역할을 올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인 건축공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건축물의 각부분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2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을 상호 연결시켜서 된 벽체(20)를 보여 준다. 본발명에서 무기질 경량패널(100)은 그 하부에 하부레일홈(a)이 형성되며 측마구리에는 측레1일홈(b)들 및 측레일(c)들이 형성되며, 이러한 측레일홈(b)과 측레일(c)들이 상호간에 끼워지는 구조로 긴밀하게 연결시켜서 벽체(2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기질 경량패널(100)은 그 하부레일홈(a)에 상응하는 별도의 바닥레일(d)을 가져서, 슬라브의 상부에 일렬로 세워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바닥레일(d)은 못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슬라브의 상부에 고정시켜서 사용된다.
또, 상기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의 측마구리 연결구조가 긴밀하게 형성되지 못할 경우에, 그 틈새들을 통해서 각종 소음이 전달되므로 각 방 또는 세대별 프라이버시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상기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의 측레일홈(b)과 측레일(c)사이에 퍼티를 충분히 채워서, 서로 연결되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 상호간이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본발명에서 무기질 경량패널(100)은 기포콘크리트만으로 성형되는 기포콘크리트 패널, 스치로폴 입자들이 콘크리트에 혼합되어 성형되는 기포스치로폴 콘크리트 패널, 기포콘크리트의 가운데에 스치로폴패널이 끼워지는 복합기포콘크리트패널, 시멘트보드 등과 같은 표면재가 표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성형되는 마감재가 부착된 기포콘크리트 패널 등과 같이 다양한 무기질 경량패널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질 경량패널(100)은 그 가운데에 스치로풀판(110)이 끼워지고, 이 스치로풀판의 양면에 기포콘크리트판(120)이 일체로 배치되며, 이 기포콘크리트판(120)들의 표면에는 시멘트보드(130)가 일체로 부착되고, 기포콘크리트판(120)에는 매설물(140)이 매립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매설물(140)은 도3a, 도3b, 도3c, 도3d의 도시와 같이, 상단부에서 시작하여 필요한 위치까지 내려오도록 매설되는 전선안내관(141)이 될 수도 있고, 하단부에서 시작하여 필요한 위치까지 올라가도록 매설되는 수도관(142)이 될 수도 있으며, 전선안내관(141)들이 모여지는 위치에 매설되는 배전반(143)이 될 수도 있으며, 전선안내관(141) 끝나는 위치에 매설되는 스위치박스(144)가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선안내관(141)을 상단부에서 시작하여 필요한 위치까지 내려오도록 매설하는 이유는, 전선안내관(141)들의 연결작업은 직상층의 슬라브의 상부에서 실시하는 것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또 수도관(142)을 하단부에서 시작하여 필요한 위치까지 올라가도록 매설하는 이유는, 상수관이 지중에 배설되며 건축물의 수도관(142)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수관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발명에 따르면, 전선안내관(141)들은 모두 무기질 경량패널(100)의 상부로 연장된 후에,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공사가 진행되기 이전에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의 상부에서 철근의 배근작업을 실시할 때에 상호간에 연결되는 작업이 실시되며, 필요한 위치마다 스위치박스(144) 또는 배전반(143)이 공장에서 패널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공사현장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공사와 더불어 전선안내관의 매립작업도 완료되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공사후에 별도로 전선안내관의 매립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발명은 전선안내관의 배관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수도관(142)들은 하부에서 연결작업이 진행되는 것만이 전선안내관의 경우와 다르며, 구조체의 공사후에 별도로 수도관의 매립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는 것은 전선안내관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수도관(142)은 그 내부로 전선이 끼워지는 전선안내관(141)의 경우와는 달리 그 내부로 물이 흐르므로 연결부들이 누수가 방지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무기질 경량패널(100)에 매립되는 수도관(142)들의 말단부는 도3b의 도시와 같이, 나사접합이 가능하도록 엘보(142a)를 부설한 상태로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상호간에 평면상 수직으로 배치되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이 교차하는 모서리의 외부에 타설되어서 그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30a)을 보여준다.
이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30a)은 단열성능이 우수한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이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한 후에 그 무기질 경량패널(100)을 일체로 에워싸는 구조를 가지므로, 모서리부분에서도 단열성능이 우수한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이 격리되지 않고 상호간에 계속하여 이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30a)은 첫째 모서리부에서도 건축물의 단열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둘째 무기질 경량패널(100)들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부의 일체성을 확보하여서 건축물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30a)은 평면상 수직으로 배치되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이 교차하는 모서리의 외부에 기둥철근의 배근작업을 실시한 후에, 모서리기둥 거푸집(200a)을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부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켜서 양생과정을 거친 후에, 모서리기둥 거푸집(200a)을 탈형하여서 시공된다.
도5는 무기질의 경량패널(100)들로서 이루어지는 벽체(20)의 설치가 완성된 후에, 벽체(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를 보여준다.
이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는 벽체(20)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보(40a)와 슬라브(40b)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별도의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이 연결되어 축조되는 벽체(20)의 상부를 철근콘크리트로서 일체화시켜서, 벽체(20)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로서 연결되어 완성되는 벽체(20)의 상부에 보거푸집(300a)과 슬라브거푸집(300b)을 조립하여서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설치하고, 이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의 상부에 보철근과 슬라브철근의 배근작업을 실시하고 전선안내관(141)들의 연결작업을 완료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켜서 양생과정을 거친 후에,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탈형하여서 시공된다.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의 시공과정에서,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필요한 위치마다 보거푸집(300a)과 슬라브거푸집(300b)의 하부에 지지되는 가설지주(400)들은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가 경화되어 충분한 강도를 나타낼 때에 제거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의 시공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한 문제는 창이나 문과 같은 개구부(21)가 있는 벽체(20)에 전달되는 집중하중의 처리이다. 무기질 경량패널(100)은 휨하중에 취약하므로 공사의 진행과정에서 집중적인 휨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발명에서는 도5의 도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의 시공시에 벽체(20)의 개구부(21)에 가설지주(400)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가 스스로 충분한 강도를 나타낼 때에 가설지주(400)들을 제거하고, 벽체(20)의 개구부(21)에 창틀 또는 문틀의 설치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의 시공시에 개구부(21)의 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발명은 상호간에 연결되는 무기질 경량패널들을 일체화시켜서 부분적인 하중의 분담역할을 올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인 건축공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첫째 기초의 상부에 철근콘크리트로서 최하층 바닥슬라브(10)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최하층 바닥슬라브의 타설공정과, 둘째 상기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을 세워서 벽체(20)를 조립하는 최하층 벽체의 조립공정과, 셋째 상기 최하층 바닥슬라브(10)의 상부에 최하층 기둥철근을 배근 한 후에 기둥거푸집(200)들을 설치하는 최하층 기둥거푸집의 설치공정과, 넷째 상기 최하층 벽체(20)와 최하층 기둥거푸집(200)들의 상부에 차상층 보거푸집(300a) 및 슬라브거푸집(300b)을 조립하여서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설치하고 보철근과 슬라브철근을 배근하는 차상층 수평구조체용 거푸집의 설치공정과, 다섯째 최하층 기둥거푸집(200)과 차상층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철근콘크리트 기둥(30)과 수평구조체(40)를 동시에 타설 양생하는 차상층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타설공정을 통하여 최하층을 완성한 다음 둘째부터 다섯째까지의 공정을 반복하여 차상층과 차차상층을 완성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경량패널(100)은 그 가운데에 스치로풀판(110)이 끼워지고, 이 스치로풀판의 양면에 기포콘크리트판(120)이 일체로 배치되며, 이 기포콘크리트판(120)들의 표면에는 시멘트보드(130)가 일체로 부착되고, 기포콘크리트판(120)에는 매설물(140)이 매립되도록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철근콘크리트 기둥(30)들 중 철근콘크리트 모서리기둥(30a)은 평면상 수직으로 배치되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이 교차하는 모서리의 외부에 기둥철근의 배근작업을 실시한 후에, 모서리기둥 거푸집(200a)을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부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켜서 양생과정을 거친 후에, 모서리기둥 거푸집(200a)을 탈형하여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는 무기질 경량패널(100)들로서 연결되어 완성되는 벽체(20)의 상부에 보거푸집(300a)과 슬라브거푸집(300b)을 조립하여서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설치하고, 이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의 상부에 보철근과 슬라브철근의 배근작업을 실시하고 전선안내관(141)들의 연결작업을 완료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켜서 양생과정을 거친 후에, 수평구조체용 거푸집(300)을 탈형하여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의 시공시에 벽체(20)의 개구부(21)에 가설지주(400)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가 스스로 충분한 강도를 나타낼 때에 가설지주(400)들을 제거하고, 벽체(20)의 개구부(21)에 창틀 또는 문틀의 설치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수평구조체(40)의 시공시에 개구부(21)의 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999-0029719A 1999-07-22 1999-07-22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375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19A KR100375302B1 (ko) 1999-07-22 1999-07-22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19A KR100375302B1 (ko) 1999-07-22 1999-07-22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692A true KR20010010692A (ko) 2001-02-15
KR100375302B1 KR100375302B1 (ko) 2003-03-17

Family

ID=1960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719A KR100375302B1 (ko) 1999-07-22 1999-07-22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794B1 (ko) 2013-03-18 202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위치정렬트레이, 그를 이용하는 테스트 핸들러, 반도체 패키지 위치 정렬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방법
KR102160599B1 (ko) * 2020-04-20 2020-09-28 신충환 Alc 블록을 이용한 내진 건축물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내진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302B1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6395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ой стены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из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1456252A (zh) 钢制组装合成混凝土建筑及其建造方法
CN113513041B (zh) 一种装配式多层平顶大跨无柱地下结构及其明挖施工方法
JP54967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FI69178C (fi) Byggnadssystem baserat pao tunna betongplattor och kassettelement foer genomfoerande av detsamma
JP2013527351A (ja) 建設のための小型モジュールの製造工法
JP2015504989A (ja) 建築時の外面の建設モジュールとその使用方法
RU2421580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ой
KR20010010692A (ko) 무기질 경량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JP200733263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US2620651A (en)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KR100669198B1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0664965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N111206674A (zh) 一种装配预制构件房屋及其建造方法
KR100296723B1 (ko) 콘크리트주택등의건축공법
JPH06200533A (ja) 折曲げpc基礎型枠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礎の施工方法
JP2000120212A (ja) 造成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09982A (ko)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RU93419U1 (ru)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JP367783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地下室構築用ユニットの接続部の構造
JPH05125827A (ja) 柱型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