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982A -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82A
KR20230109982A KR1020220005921A KR20220005921A KR20230109982A KR 20230109982 A KR20230109982 A KR 20230109982A KR 1020220005921 A KR1020220005921 A KR 1020220005921A KR 20220005921 A KR20220005921 A KR 20220005921A KR 20230109982 A KR20230109982 A KR 20230109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wer layer
half slab
laye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성
장예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982A/ko
Publication of KR2023010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층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 PC 하프슬래브 및 PC 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도록 한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하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b) 하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의 양단부에 세워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층 PC 벽체를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c) 해당 층의 바로 위층에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d) 선 설치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하부층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벽체자립수단을 통해 상부층 PC 벽체를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를 상층으로 설계된 층수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PC half-slab construction method for quick construction of precast concrete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PC 공동주택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층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 PC 하프슬래브 및 PC 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도록 한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현장 중심의 건설생산 방식이 공업화 생산방식(Off-Site Construction, OSC)으로 변환되고 있으며, 공동주택 건설에 있어서도 PC(Precast Concrete)공법을 활용하여 공사비 절감, 공기단축 및 품질제고를 위한 시도가 증대되고 있다.
국내 공동주택은 주로 벽식(패널식)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체를 PC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 공장에서 제작, 운송된 PC 부재를 현장에서는 조립, 설치한 후 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PC 공동주택 벽식구조의 1개 층을 기준으로 한 시공 순서는 크게 ① PC 하프슬래브(Half-Slab) 설치, ② 배관 작업, ③ 토핑콘크리트(Topping Concrete) 타설 및 양생, ④ PC 벽체 설치의 4가지 공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토핑콘크리트가 상층부 수직부재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설계강도의 약 70% 이상의 강도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위 시공 순서의 ③ 토핑 타설 및 양생 시 소요되는 기간은 약 4-5일이 요구된다. PC 하프슬래브(Half-Slab)를 적용한 공동주택 벽식구조 시공의 기준층 사이클은 상기 ③번 공정의 공기지연 요소 등으로 인하여, 순수 작업일 기준 16일에 이르고 있다. 이는 동일한 형태의 현장타설 RC 공동주택 기준층 사이클과 비교할 때 약 두 배 이상의 기간이 소요됨으로써 공기가 길어짐은 물론이고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PC 공동주택 벽식구조 시공의 기준 1개층 사이클을 단축하기 위한 시공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93895호(특허문헌 1)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벽 구조물 및 상기 합벽 구조물의 시공방법'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합벽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벽체 시공시 현장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일정 이상의 강도가 발현되어야 슬래브가 시공되는 방법임으로 한 층의 공기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PC 공동주택의 조립식 벽식구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37677호(특허문헌 2)로서,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수직철근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가이드부재, 쐐기부재 등과, 지지브라켓부가 PC벽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PC벽체 외측의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앙카의 설치시 바닥면 내부에 설치된 철근들과의 간섭에 의한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한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슬래브의 시공 후 이루어지는 PC벽체의 조립 과정으로 공기 단축의 목적으로 한 PC 공동주택의 조립식 벽식구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70075호(특허문헌 3)로서, '시공 조립성이 우수한 외벽용 피씨 월'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층고가 높은 구조물에 대한 벽체 시공시 작업이 간편하고 조립성이 우수함은 물론 각 피씨 월 간의 접합부, 바닥부(기초 콘크리트) 및 천정부(상판 슬래브)와의 접합부, 피씨 기둥과 피씨 월 간의 접합부 등 물류 창고의 전체적인 접합부 구조 일체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슬래브가 소요 강도를 발휘해야 다음 층의 벽체 및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기가 길어져 PC 공동주택의 조립식 벽식구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93895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37677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70075호
본 발명은 하부층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 PC 하프슬래브 및 PC 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도록 한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하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b) 하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의 양단부에 세워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층 PC 벽체를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c) 해당 층의 바로 위층에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d) 선 설치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하부층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벽체자립수단을 통해 상부층 PC 벽체를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를 상층으로 설계된 층수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하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b) 하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의 양단부에 세워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층 PC 벽체를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c) 해당 층의 바로 위층에 일부 영역만큼만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한 후, 상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벽체자립수단을 통해 상부층 PC 벽체를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d) 선 설치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하부층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층에서 벽체자립수단을 제거하는 단계;를 상층으로 설계된 층수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부층 및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는 동일 구조를 갖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쪽 상면에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이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고,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에는 복수의 앵커볼트 또는 벽체 서포트 하부연결판가 매립되어 돌출 설치되고, 전단력 저항과 토핑콘크리트와의 일체를 이루기 위해 하부층 및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는 트러스 철근의 양단부가 콘크리트 돌출부에 매립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에는 벽체 서포트의 상단을 연결하기 위한 벽체 서포트 상부연결판이 매립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체자립수단은 L형 접합철물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는 동일한 구조를 갖되, 각기 그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갖고 상향 돌출된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타측의 결합돌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는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는 동일한 구조를 갖되, 각기 하단부에는 토핑콘크리트와 접합되도록 철근 또는 관통볼트 형태의 벽체접합용 연결재가 매립되어 양쪽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는 일부만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타설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층에서 벽체자립수단인 L형 접합철물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를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의 PC 하프슬래브 및 벽체를 설치해가면서 시공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토핑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작업을 여러 층에서 동시에 진행할 경우, 시공의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향후 고층 PC 공동주택에 적용 시 이러한 기대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시공 중 PC 벽체 및 상층부 PC 하프슬래브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벽체 서포트 또는 접합앵글의 설치로 구조적으로 취약한 토핑콘크리트의 의존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공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PC 하프슬래브의 설치 이후에 공동주택의 외벽을 이루게 되는 PC 벽체 설치 시점이 단축되어 토핑콘크리트에 선행하여 시공됨으로써 작업 시 추락 등의 안전사고 우려 없이 근로자가 안전하게 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벽체자립수단으로 사용된 접합철물 또는 벽체 서포트는 콘크리트 피복 위에 설치되어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는 해체되므로 콘크리트 내부에 매몰되지 않아 여러번 사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PC 벽체의 상하단부에는 결합구조를 갖고 자립에 유리하며 외벽 시공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공법에 따라 PC 하프슬래브에 PC벽체가 L형 접합철물을 통해 자립되어져 있는 상태이고,
도 1b는 도 1a의 평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적용된 하부층 및 상부측 PC 하프슬래브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PC 하프슬래브에 설치되는 트러스철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k'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공법에 따라 PC 하프슬래브에 PC벽체가 벽체 서포트를 통해 자립되어있는 상태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공법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공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공순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공법에 적용되는 하부층 및 상부측 PC 하프슬래브(11,12)는 상대적인 설치 위치에 따라 용어를 달리한 것으로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의 구조로 상부측 PC 하프슬래브(12)의 구조도 알 수 있다. 또한 하부층 및 상부층 PC벽체(21,22)도 상대적인 설치 위치에 따라 용어를 달리한 것으로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a는 본 공법에 따라 PC 하프슬래브(11,12)에 PC벽체(21,22)가 벽체자립수단인 L형 접합철물(42)을 통해 자립되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도 1a의 평면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로서 트러스철근(115)의 배치상태와 토핑콘크리트(13)의 타설 높이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a에 적용된 하부층 및 상부측 PC 하프슬래브(11,12)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PC 하프슬래브(11,12)에 설치되는 트러스철근(115)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k'부의 확대도를 타나내고, 도 5는 PC 하프슬래브(11,12)에 PC벽체(21,22)가 벽체자립수단인 벽체 서포트(44)를 통해 자립되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공법은 도 1a와 같이 하부층 및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1,12), 하부측 및 상부측 PC 벽체(21,22), 벽체자립수단인 L형 접합철물(42) 또는 벽체 서포트(44)를 이용하여 PC 공동주택의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의 설치>
먼저, 도 6a과 같이 해당 층의 하부에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가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에는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쪽 상면에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112)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이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다.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112)의 높이(h)는 토핑콘크리트(31)의 타설 높이와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핑콘크리트(31)의 타설 후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112)가 해당 층 슬래브의 바닥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112)에는 벽체자립수단의 형태에 따라 복수의 앵커볼트(114) 또는 도 5의 벽체 서포트 하부연결판(118)이 매립되어 돌출 설치될 수 있다. 앵커볼트(114)는 L형 접합철물(42)의 설치를 위한 것이고, 벽체 서포트 하부연결판(118)은 벽체 서포트(44)의 하단부 연결을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에는 전단력 저항과 토핑콘크리트(31)와의 일체를 이루기 위해 트러스 철근(115)의 양단부가 콘크리트 돌출부(112)에 매립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c와 같이 트러스 철근(115)은 하연근(1152)이 매립되고 상연근(1151)과 래티스근(1153)의 일부는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하부층 PC 벽체(21)의 설치>
그 다음, 도 6b와 같이 하부층 PC 벽체(21)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의 양단부에 세워 위치시킨 후, 벽체자립수단을 통해 하부층 PC 벽체(21)를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에 자립시켜 놓는다. 벽체자립수단은 예시된 L형 접합철물(42)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44) 중 어느 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벽체 서포트(44)를 적용하는 경우, 하부층 PC 벽체(21)에는 도 5와 같이 벽체 서포트(44)의 상단을 연결하기 위한 벽체 서포트 상부연결판(218)이 매립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벽체 서포트(44)의 양단은 힌지(45)를 통해 연결된다. 힌지(45)는 볼트 또는 연결핀 형태가 될 수 있다. 물론 볼트가 힌지(45)로 사용되는 경우 너트가 힌지(45)에 체결된다.
하부층 PC 벽체(21)는 그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갖고 상향 돌출된 결합돌부(212)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타측의 결합돌부(21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는 결합요홈(2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c 및 도 6d와 같이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21,22)는 상호간의 결합돌부(212)와 결합요홈(214)이 끼움 결합되어져 조립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부층 PC 벽체(21)와 상부층 PC 벽체(22)는 그 하단부에 토핑콘크리트(31)와 접합되도록 철근 또는 관통볼트 형태의 벽체접합용 연결재(216)가 매립되어 양쪽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벽체접합용 연결재(216)는 토핑콘크리트(31)와 합성되어 하부층 PC 벽체(21)의 일체성 및 자립성을 강화시켜 준다.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의 설치>
그 다음, 도 6d와 같이 해당 층의 바로 위가 되는 상부층에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21)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한다.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의 타설 및 상부층 PC 벽체(22)의 설치>
그 다음, 도 6d와 같이 선 설치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에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를 타설한다. 여기서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의 타설은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가 일부만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후,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소요 강도가 발현되기 이전)에서 상부층 PC 벽체(22)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21)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벽체자립수단 예로 L형 접합철물(42)을 통해 상부층 PC 벽체(22)를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에 자립시켜 놓는다.
이때 상부층 PC 벽체(22)의 하단측 결합요홈(214)이 하부층 PC 벽체(21)의 상단측 결합돌부(212)에 끼움 결합된다.
<벽체자립수단의 제거>
그 다음,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의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층에서 벽체자립수단인 L형 접합철물(42)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44)를 제거한다. 제거된 L형 접합철물(42)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44)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후, 상층으로 설계된 층수까지 위 단계를 반복하여 각 층에 PC 하프슬래브(11,12)와 PC 벽체(21,22)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공법은 해당층에서 토핑콘크리트의 타설 후 강도 발현을 위해 소요되는 양생기간을 거치지 않고, 상부층에서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의 설치와 상부층 PC 벽체(22)의 설치가 이루어짐으로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공사비 절감을 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의 설치 후,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의 타설 및 상부층 PC 벽체(22)의 설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도 7a와 같이 하부층 PC 슬래브(11) 및 하부층 PC 벽체(21)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도 7b와 같이 상부층 PC 슬래브(12) 및 상부층 PC 벽체(22)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도 7c와 같이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를 타설한 후, 도 7d와 같이 하부 층 벽체자립수단을 철거하는 순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국, 본 공법은 하부층 PC 벽체(21)가 하부층 PC 하프슬래브(11)에 자립적으로 지지/고정되어 있어,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와 상부층 PC 벽체(22)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층 토핑콘크리트(31)를 타설한 후 양생이 완료되지 않아도 상부층 PC 하프슬래브(12)와 상부층 PC 벽체(22)를 시공할 수 있어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하부층 PC 하프슬래브
112: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
114: 앵커볼트
115: 트러스 철근
118: 벽체 서포트 하부연결판
12: 상부층 PC 하프슬래브
21: 하부층 PC 벽체
212: 결합돌부
214: 결합요홈
216: 벽체접합용 연결재
218: 벽체 서포트 상부연결판
22: 상부층 PC 벽체
31: 하부층 토핑콘크리트
42: L형 접합철물
44: 벽체 서포트

Claims (9)

  1. (a) 하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b) 하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상기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의 양단부에 세워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층 PC 벽체를 상기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c) 하부층의 바로 위층에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양중하여 상기 하부층 PC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d) 선 설치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하부층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상기 하부층 PC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벽체자립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층 PC 벽체를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를 상층으로 설계된 층수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2. (a) 하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b) 하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상기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의 양단부에 세워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층 PC 벽체를 상기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c) 하부층의 바로 위층에 일부 영역만큼만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를 양중하여 상기 하부층 PC 벽체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한 후, 상부층 PC 벽체를 양중하여 하부층 PC 벽체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벽체자립수단을 통해 상부층 PC 벽체를 상기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 자립시켜 놓는 단계와;
    (d) 선 설치된 하부층 PC 하프슬래브에 하부층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층에서 벽체자립수단을 제거하는 단계;를 상층으로 설계된 층수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및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는 동일 구조를 갖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쪽 상면에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이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고, 벽체지지용 콘크리트 돌출부에는 복수의 앵커볼트 또는 벽체 서포트 하부연결판가 매립되어 돌출 설치되고, 전단력 저항과 토핑콘크리트와의 일체를 이루기 위해 하부층 및 상부층 PC 하프슬래브에는 트러스 철근의 양단부가 콘크리트 돌출부에 매립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에는 벽체 서포트의 상단을 연결하기 위한 벽체 서포트 상부연결판이 매립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자립수단은 L형 접합철물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는 동일한 구조를 갖되, 각기 그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갖고 상향 돌출된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타측의 결합돌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는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및 상부층 PC 벽체는 동일한 구조를 갖되, 각기 하단부에는 토핑콘크리트와 접합되도록 철근 또는 관통볼트 형태의 벽체접합용 연결재가 매립되어 양쪽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부층 PC 하프슬래브는 일부만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타설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부층 토핑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층에서 벽체자립수단인 L형 접합철물 또는 긴 막대 형태의 벽체 서포트를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KR1020220005921A 2022-01-14 2022-01-14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KR20230109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21A KR20230109982A (ko) 2022-01-14 2022-01-14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21A KR20230109982A (ko) 2022-01-14 2022-01-14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82A true KR20230109982A (ko) 2023-07-21

Family

ID=8743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21A KR20230109982A (ko) 2022-01-14 2022-01-14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98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895B1 (ko) 2012-08-01 2012-10-29 대한이.이엔.씨(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벽 구조물 및 상기 합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70075B1 (ko) 2013-01-08 2013-06-04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시공 조립성이 우수한 외벽용 피씨 월
KR20200037677A (ko) 2018-10-01 2020-04-09 김수명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895B1 (ko) 2012-08-01 2012-10-29 대한이.이엔.씨(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벽 구조물 및 상기 합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70075B1 (ko) 2013-01-08 2013-06-04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시공 조립성이 우수한 외벽용 피씨 월
KR20200037677A (ko) 2018-10-01 2020-04-09 김수명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CN108005410B (zh) 一种装配式钢-混凝土组合结构住宅体系及其施工方法
CN111576619B (zh) 高强混凝土后浇的装配式框架体系生产方法
CN103982041A (zh) 框架结构体系的钢筋混凝土预制构件装配式房屋建造方法
CN107989228B (zh) 一种预制型钢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制备和安装方法
KR20210038684A (ko) 프리캐스트 건축물 시공 시스템
CN104878836A (zh) 一种预制装配式房屋及其施工方法
CN102660995A (zh) 预制复合板模墙体后浇混凝土框剪结构房屋及施工方法
CN113338451A (zh) 一种适配于异型钢管柱的装配式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12354B1 (ko) 지하주차장의 피씨 복합화 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스팬피씨 보의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CN212656384U (zh) 高强混凝土连接件、高强混凝土后浇的装配式框架体系及支撑架
KR101036177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0369292U (zh) 装配式建筑现浇叠合模壳一体化结构
CN216475803U (zh) 一种应用于剪力墙体体系的新型预制楼板构造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CN110656716A (zh) 一种预制墙板密肋连接的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CN212926451U (zh) 柱脚连接组件、预制柱以及预制柱连接结构
JP2977798B1 (ja) 鉄骨造・rc造複合構造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型枠
KR20230109982A (ko) Pc 공동주택의 급속 시공을 위한 pc 하프슬래브의 시공 방법
RU2421580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ой
RU84881U1 (ru) Каркас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CN114293686A (zh) 压型钢骨混凝土组合剪力墙、连接节点及施工方法
KR20017887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CN106245752A (zh) 预制装配式筒体结构公共建筑以及其建造方法
KR20010090294A (ko) 공동주택에 적용되어 가변형 평면을 가능하게 하는 피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