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227A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227A
KR20010007227A KR1020000030579A KR20000030579A KR20010007227A KR 20010007227 A KR20010007227 A KR 20010007227A KR 1020000030579 A KR1020000030579 A KR 1020000030579A KR 20000030579 A KR20000030579 A KR 20000030579A KR 20010007227 A KR20010007227 A KR 20010007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c holder
disc
hold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843B1 (ko
Inventor
니시노유키오
고토요시카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7Containers with interchangeabl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를 꺼낼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소형화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0)와, 디스크(1)를 지지하는 디스크 홀더(30)로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구성한다. 디스크 홀더(30)는, 본체부(31)와 아암부(32)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디스크 지지부(34)에 의해서 디스크를 지지한다. 디스크 홀더(30)에는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35)를 형성하고, 그 두께를 케이스 본체(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한다. 파지부에는 계지부(37)를 마련하여,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에 마련된 계지조(19)와 걸어맞춤으로서, 디스크 홀더(30) 삽입시에 케이스 본체(10)가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DISK CARTRIDGE}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디스크 홀더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를 출납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정보의 기록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하, 간단히 「디스크」라고 칭함)가 널리 사용되고, 디스크를 내부에 수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도 개발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디스크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고, 기록 재생 장치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에는 디스크의 출납이 가능한 타입과 디스크의 출납이 불가능한 타입이 있다.
디스크의 출납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종래예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8648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를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디스크 취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에는, 디스크면에 평행한 면내에서 탄성 변형되는 디스크 지지 부재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디스크가 지지된다. 케이스에 덮개를 장착하면, 디스크 지지 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케이스로의 디스크 삽입이나 케이스로부터 디스크를 꺼내는 것은 조작자가 덮개를 쥐고 실행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스크를 유지하는 덮개를 케이스로부터 뽑아내는 경우, 덮개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디스크에 닿기 쉬워 디스크에 지문 등이 묻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디스크가 더러워지면, 기록 재생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케이스에 덮개를 장착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디스크 지지 부재의 탄성 변형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덮개를 케이스에 장기간 장착하고 있을 경우, 디스크 지지 부재의 응력 완화가 진행되어 디스크 지지 부재의 디스크 파지 능력이 저하된다. 디스크 파지 능력이 저하되면, 덮개를 케이스로부터 뽑아낼 때, 디스크가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인 청동 등의 응력 완화가 적은 재료로 디스크 지지 부재를 형성해야 한다. 그 결과,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일체 성형에 의해 디스크 지지 부재와 덮개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가 없게 되어, 디스크 홀더의 가격이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디스크를 유지하는 부재를 케이스로부터 뽑아내거나 삽입할 때에, 그 조작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손가락이 디스크에 닿을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외형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디스크 홀더(30)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하부 케이스(10b)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하부 케이스(10b)의 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상부 케이스(10a)의 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위한 디스크 홀더(3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디스크 홀더(30)에 디스크(1)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디스크 홀더(30)에 디스크(1)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디스크 홀더(30)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디스크 홀더(30)의 하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디스크 홀더(30)에 형성된 계지부(37)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13은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된 계지조(19)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14는 디스크 홀더(30)의 계지부(37)와 케이스 본체(10)의 계지조(19)가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15는 디스크 홀더(30)의 계지부(37)와 케이스 본체(10)의 계지조(19)가 걸어마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 단면도,
도 16은 디스크 홀더(30)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디스크 홀더(30)가 완전히 삽입되어, 록이 이루어진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잘못된 방향으로 디스크 홀더(30)가 삽입된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전체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1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하부 케이스(10b)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2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하부 케이스(10b)의 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상부 케이스(10a)의 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위한 디스크 홀더(3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은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위한 디스크 홀더(30)의 탄성 부재(4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디스크 홀더(30)의 개변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250)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디스크 카트리지(250)의 상부 케이스(10a)의 코너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디스크 카트리지(250)의 하부 케이스(10b)의 코너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2 : 셔터
10 : 케이스 본체 10a : 상부 케이스
10b : 하부 케이스 11 : 케이스의 주벽
12 : 케이스의 측벽 14 : 개구부(디스크 취출구)
15 : 삽입부 16 : 정지부
16a : 탈출 정지벽 16b : 삽입 정지벽
17 : 디스크의 수용부 18 : 절결부
19 : 계지조 20 : 위치 정렬을 위한 기준 구멍
21 : 디스크 취출 식별 구멍 30 : 디스크 홀더
31 : 디스크 홀더의 본체부 32 : 디스크 홀더의 아암부
33 : 디스크 홀더의 주벽 34 : 디스크 지지부
34a : 제 1 디스크 지지부 34b : 제 2 디스크 지지부
35 : 디스크 홀더의 파지부 37 : 파지부의 경사
37 : 계지부 38 : 파지부의 오목부
39 : 식별 마크 40 : 탄성 부재
41 : 록부 41a : 탈출 규제벽
41b : 삽입 규제벽 42 : 디스크 홀더의 도입편
52 : 슬롯 100 : 디스크 카트리지
120 : 절결부 138 : 탄성 부재의 손잡이부
139 : 손잡이부의 돌출편 200 : 디스크 카트리지
250 : 디스크 카트리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와, 상기 디스크 홀더 및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의 일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거쳐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 삽입하는 것과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케이스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디스크 홀더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파지부를 노출시키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파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 걸어맞춤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파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면의 형상은 상기 파지부의 하면의 형상과 다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의 형상과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의 형상과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인식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막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할 때, 상기 파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의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의 각각과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면을 갖고 있다.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닫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록 수단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록 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된 정지부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에 마련된 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했을 때,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닫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록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정지부와 걸어맞춤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정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록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삽입 정지벽과,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출되지 않도록 상기 록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탈출 정지벽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 형상 탄성 부재의 측면에 마련되고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탈출 정지벽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하 반전시켜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한 경우, 상기 록 부재의 일부와 충돌하는 돌기가 상기 케이스 측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아암부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디스크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아암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 지지부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도입편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입편은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디스크 홀더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손끝으로 접촉하여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와, 상기 디스크 홀더 및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의 일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 삽입하는 것과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케이스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부분과 하부 케이스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한쪽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삽입 운동을 정지시키는 제 1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다른쪽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이탈 운동을 정지시키는 제 2 돌출부가 마련되고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 형상 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사이에서 걸어맞춤되는 록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평면에 관하여 비대칭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를 잘못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할 때, 상기 록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충돌하여,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의 삽입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와, 개구부를 갖고, 상기 디스크 홀더 및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 형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와 걸어맞춤되어,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를 고정시키는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와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여, 상기 디스크 홀더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어렵게 하는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상면부와, 상기 상면에 평행한 하면부와,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를 접속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부의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 및 하면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탄성 부재와 사람의 손가락간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절결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선단을 노출시켜 상기 탄성 부재의 선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고정을 해제시킬 때까지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탄성 부재와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형성된 상기 절결부에 대향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부 또는 상면부의 대응 영역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대응 영역이 상기 탄성 부재를 덮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다른 부분보다 가로 방향으로 두꺼운 손잡이부를 선단에 갖고 있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 또는 하면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평행한 평탄 부분과, 상기 평탄 부분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가 있는 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편을 갖고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손잡이부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한쪽을 완전히 덮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부분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디스크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탄성 부재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평면에 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파지부를 노출시키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파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 걸어맞춤된다.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파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면의 형상은 상기 파지부의 하면의 형상과 다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 형상과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 형상과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인식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막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할 때, 상기 파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의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의 각각과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면을 갖고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1)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본체(10)와, 이 케이스 본체(10)의 취출구를 거쳐 디스크(1)를 출납할 때에 디스크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3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0)에는, 셔터(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 본체(1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마련된 개구부(삽입부(15))를 개폐한다. 도 1은 디스크(1)가 세트된 상태의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디스크(1)가 세트된 상태의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도시하지 않은 기록 재생 장치에 삽입하면, 후술한 바와 같이 셔터(2)가 슬라이드된 후,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상태의 디스크(1)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헤드가 정보의 기록, 재생, 및/또는 소거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구멍을 갖는 원반 형상의 기록 매체로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록층(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이용하는 디스크(1)의 종류는 무엇이든 무방하며, 상(相) 변화형의 광 디스크이거나 자기 디스크이더라도 무방하다.
디스크(1)는, 그대로의 상태로도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3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는 디스크 홀더(30)에 디스크(1)를 세트한 후, 디스크(1)를 지지한 상태의 디스크 홀더(30)를 디스크(1)와 함께 케이스 본체(10)내에 삽입한다.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에 세트하는 방법은 도 9를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크 홀더(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취출구(옆으로 넓고 높이가 낮은 개구부)를 거쳐 디스크 수용부로 삽입되고, 또한 수용부로부터 이탈된다. 이 디스크 홀더(30)에는, 사람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기 쉬운 형상과 크기를 가진 파지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를 잡으면, 디스크(1)를 손끝으로 닿지 않고서 케이스 본체(10)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의 각각은 디스크(1)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와 중심 구멍을 노출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삽입부(15)를 갖고 있다. 셔터(2)가 슬라이드함에 따라 이들 삽입부(15)가 개폐된다. 셔터(2)는 케이스 본체(10)의 단부를 걸치도록 하여 케이스 본체(10)에 장착되고, 그 단부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스 본체(10)의 측면 중 셔터(2)가 마련되어 있는 쪽의 측면을 「전단부」, 그 반대쪽의 측면을 「후단부」라고 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0)의 단부 중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측면을 각각 「측단부」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 각각의 후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절결부(18)의 형상과 위치는,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를 노출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를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다(도 1). 따라서,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하거나, 케이스 본체(10)로부터 꺼내는 동작은 파지부(35)를 손가락으로 잡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따르면,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내에 강하게 삽입하더라도,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가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와 겹쳐져서(overlap) 외측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 및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의 적어도 한쪽이 케이스 본체(10)가 파지부(25)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케이스 변형 방지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케이스 변형 방지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 내에 강하게 삽입한 경우,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 너무 깊이 들어가서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의 표면과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의 표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케이스 본체(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는 서로 유사한 형상과 크기를 갖고 있으며, 초음파 용착 등에 따라 조합함으로써 케이스 본체(10)를 형성한다. 이들의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는, 예를 들면 몰딩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로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1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의 하면에 대향하는 박판 형상의 주벽(두께: 0.8mm 정도)(11)과, 주벽(11)의 측단부로부터 주벽(1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두께: 1.0mm 정도)(12)을 갖고 있다. 주벽(11)의 일부에는, 만곡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디스크(1)의 외주 단면의 일부와 대향한다. 리브의 양단 부근에는, 삽입된 디스크 홀더(30)의 아암부(32)의 선단을 받아 들이는 걸어맞춤벽(17)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벽(17)은, 디스크 홀더(30)의 아암부(32)의 선단과 걸어맞춤되어 디스크 홀더(30)의 아암부(32)의 위치를 고정한다.
하부 케이스(10b)의 후단부 중앙에는,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를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8)에는, 파지부(35)에 형성된 계지부(37)와 걸어맞춤되는 볼록 형상의 계지조(19)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12)에는, 도 5에 있어서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13)로 연장되는 삽입 정지벽(16b)를 갖는 정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정지벽(16b)은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내에 삽입되었을 때, 도 7에 도시한 디스크 홀더(30)의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과 접촉된다. 이 삽입 규제벽(41b)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상술하기로 한다.
하부 케이스(10b)의 삽입부(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b)의 주벽(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큰 절결부로 구성되며, 하부 케이스(10b)의 중앙부로부터 하부 케이스(10b)의 전단부까지 연속되고 있다. 이 삽입부(15)를 거쳐 디스크(1)에 대한 정보의 기록, 재생, 및/또는 소거를 하는 헤드가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디스크(1)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모터도 삽입부(15)를 거쳐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부(15)는, 통상 셔터(2)에 의해 덮여지고, 이에 따라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입이 방지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상부 케이스(10a)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부 케이스(10a)도, 하부 케이스(10a)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로 케이스 본체(10)를 조립할 때, 상부 케이스(10a)의 측벽(12) 및 리브를 각각 하부 케이스(10b)의 측벽(12) 및 리브에 고착시키고, 2개의 주벽(11)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시킨다. 주벽(11), 측벽(12) 및 리브가 디스크(1)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13)를 규정한다.
디스크 홀더(30)가 출입하는 개구부(취출구)(14)는,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수용부(13)로 연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구(14)는 완전히 삽입된 디스크 홀더(30)에 의해 폐색된다. 이런 의미에서, 디스크 홀더(30)는 케이스 본체(10)의 취출구(14)를 막는 덮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취출구가 완전히 폐색된 상태일 때, 케이스 본체(10)는 디스크 홀더(30)의 탄성 부재(40)의 선단부를 노출시킨다. 이러한 노출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 각각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양 코너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a)의 측벽(12)에도 디스크 홀더(30)의 록부(41)(도 7)와 걸어맞춤되는 정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고 있는 정지부(16)의 형상은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즉, 상부 케이스(10a)측의 정지부(16)에는 탈출 정지벽(16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0b)측의 정지부(16)에는 삽입 정지벽(16b)이 형성되어 있다. 탈출 정지벽(16a) 및 삽입 정지벽(16b)의 기능은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에는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할 때,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위치 정렬하기 위한 기준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준 구멍(20)은, 드라이브 장치내의 기준 핀(도시하지 않음)과 끼워맞춤되고, 이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에는 또 디스크 홀더(30)의 디스크 취출 식별자(43)가 끼워질 수 있는 디스크 취출 식별 구멍(21)이 더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취출 식별 구멍(21)의 기능에 대해서도 이후에 설명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디스크 홀더(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크 홀더(3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1)와, 본체부(31)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32)를 갖고 있다. 본체부(31) 및 아암부(32)는 플래스틱 등의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로부터 아암부(32)에 걸쳐 디스크(1)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만곡 형상을 갖는 주벽(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벽(3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트된 디스크(1)의 외주단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되어 있다.
디스크 홀더(30)에는 복수의 디스크 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부(34)는 본체부(31)의 중앙부로부터 아암부(32)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와, 아암부(32)로부터 주벽(33)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2 디스크 지지부(34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디스크 지지부(34)는, 세트된 디스크(1)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디스크(1)의 상하면을 사이에 두고 디스크(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단, 디스크 지지부(34)의 상측 돌출 부분과 하측 돌출 부분과의 간격(두께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 T1이 디스크(1)의 두께 T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지지부(34)는 디스크(1)의 양면을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는 없다. 디스크(1)의 두께 T0이 간격 1.2㎜인 경우, 상기 간격 T1은 예컨대 3.1㎜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세트된 디스크(1)와 디스크 지지부(34) 사이에 극간이 있기 때문에, 디스크(1)는 디스크 홀더(30)에 세트된 상태에서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디스크(1)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30)에 세트되어, 거의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디스크(1)의 하면은 디스크 지지부(34)의 하측 돌출 부분에 접촉하고 있지만, 디스크 지지부(34)의 상측 돌출 부분은 디스크(1)의 상면에는 접촉하지 않고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디스크 홀더(30)로 디스크(1)를 세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에 내장시키기 위하여,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의 아암부(32)의 선단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디스크(1)를 제 2 디스크 지지부(34b)와 도입편(42) 사이에 꽂는다. 도입편(42)은 아암부(32)의 선단측에 마련된 제 2 디스크 지지부(34b)에 인접하고, 제 2 디스크 지지부(34b)와 디스크(1)의 면을 사이에 둔 반대쪽에서 주벽(33)으로부터 디스크(1)의 중심을 향하여 주벽(33)의 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를 향해 더 밀어넣으면, 아암부(32)는 외측으로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하여 디스크(1)를 수용하게 된다. 이 때, 도입편(42) 및 제 2 디스크 지지부(34b)는 디스크(1)를 안내하여,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에 삽입하기 쉽도록 기능한다. 디스크(1)가 디스크 홀더(30)내에 세트된 상태에서는, 아암부(32)는 이전대로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디스크(1)가 도 9의 상방향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로부터 꺼낼 때에는, 디스크(1)를 세트하는 경우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1)를 끌어 내면서, 디스크(1)의 외주단에 의해 아암부(32)를 외측으로 가압하고, 아암부(32)의 선단부의 거리를 디스크(1)의 직경 이상으로 확대하면 된다.
다음에,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의 구조를 설명한다.
파지부(35)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30)의 후단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C 자형으로 구부러진 단면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를 디스크 홀더(30)에 세트한 상태에서는, 디스크(1)의 외주의 일부가 파지부(35)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파지부(35)는 제 1 디스크 지지부(34a)로서 기능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파지부(35)에는 세트된 디스크(1)의 중심부를 향하여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경사(36)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35)의 경사(36)에 대응하는 경사가 부여되어 있다. 그 결과,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내에 삽입할 때, 파지부(35)와 절결부(18) 사이에 불필요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매끄럽게 걸어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즉, 걸어맞춤을 개시할 때, 우선 경사(36)에 의해 좁아진 파지부(35)의 선단 부분이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가 넓어진 부분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충분한 공간적 여유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의 파지부(35), 즉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의 선단에는 케이스 본체(10)의 계지조(19)와 걸어맞춤되는 계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조(19) 및 계지부(37)는 케이스 본체(10)의 주벽(11)이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지부(35)는 디스크(1)의 상면측과 하면측에서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파지부(35)의 상측 부분은, 예컨대 상측 저면 20㎜, 하측 저면 22㎜, 높이 8㎜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으며, 파지부(35)의 하측 부분은, 예컨대 상측 저면 30㎜, 하측 저면 32㎜, 높이 8㎜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a) 및 하부 케이스(10b)의 절결부(18)는, 각각 파지부(35)의 상면측 부분 및 하면측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30)를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 상하 반전시켜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하고자 하면, 파지부(35)의 선단과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의 입구측 단면이 충돌하여, 더 이상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내에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35)가 상면측과 하면측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파지부(35)는 그 자체가 「오삽입 정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35)와 절결부(18)의 조합 방법이 부적절한 경우, 그것을 시각적으로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파지부(35)의 상면측 부분의 크기와 하면측 부분의 크기가 분명히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파지부(35)의 상면측 부분의 가로 방향 사이즈는 하면측 부분의 가로 방향 사이즈보다도 5㎜ 이상 크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30)를 잡은 사람은, 디스크 홀더(30)의 방향을 케이스 본체(10)의 방향과 적절한 관계로 대응시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35)의 표면에 손가락으로 인식이 가능한 식별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즉, 파지부(35)의 표면에 오목부(38)를 형성하고, 오목부(38)의 중앙에는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식별할 수 있는 볼록 형상의 식별 마크(39)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식별 마크(39)를 손끝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그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A면 및 B면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식별 마크는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식별 마크의 형상은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식별할 수 있으면 무엇이든 무방하며, 예컨대 오목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걸어맞춤을 위해 파지부(35)와 케이스 본체(10)에 마련된 특별한 구조(변형 방지 수단)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지부(35)의 전단부측에는 2개의 오목부(계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계지부(37)는,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절결부(18)로부터 돌출된 2개의 계지조(19)를 수용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37)는 파지부(35)의 후단부측을 향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0)의 계지조(19)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4는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지조(19)는 계지부(37)에 걸어맞춤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고 있다. 도 15는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의 계지조(19) 및 계지부(37)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 즉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의 상면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의 하면은 케이스 본체(10)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있다. 바꿔 말하면, 파지부(30)(제 1 디스크 지지부(34a))의 두께는 케이스 본체(1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며,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의 상면과 케이스 본체(10)의 상면 사이에 큰 단차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의 하면과 케이스 본체(10)의 하면 사이에도 큰 단차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내에 강하게 삽입했다고 하더라도,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가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와 겹쳐져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 너무 깊이 들어가서,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의 표면과 디스크 홀더(30)의 파지부(35)의 표면 사이에 큰 단차가 형성되어 버리는 것도 확실히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10)에 계지조(19)를 마련하고, 디스크 홀더(30)에 계지부(37)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의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즉, 케이스 본체(10)에 계지부를 마련하고, 디스크 홀더(30)에 계지조를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케이스 본체(10)에 계지부 및 계지조를 마련하고, 디스크 홀더(30)에는 이에 대응하는 계지조 및 계지부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디스크 홀더의 록]
다시, 도 7을 참조한다.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의 양측에는, 1쌍의 탄성 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1쌍의 탄성 부재(40)는 경상(鏡像) 관계에 있기 때문에, 간단히 하기 위해 1개의 탄성 부재(40)에 대하여 그 구조를 설명한다.
탄성 부재(40)는 디스크 홀더(30)의 측면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디스크 홀더(30)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질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탄성 부재(40)와 디스크 홀더(30) 사이에는, 탄성 부재(40)의 가로 방향의 구부러짐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갭이 존재하고 있다. 1쌍의 탄성 부재(40)의 선단을 한쪽 손으로 잡고 가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 부재(40)의 선단과 디스크 홀더(30)의 간격이 축소되도록 탄성 부재(40)가 구부러진다. 손이 탄성 부재(40)에 가해져 있던 힘을 없애면, 탄성 부재(40)는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탄성 부재(40)의 외측면에는, 케이스 본체(10)의 정지부(16)와 끼워맞춤되는 볼록 형상의 록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41)에는, 디스크 홀더(30)의 케이스 본체(10)로의 삽입 운동을 규제하는 삽입 규제벽(41b)과, 디스크 홀더(30)의 케이스 본체(10)로부터의 탈출 운동을 규제하는 탈출 규제벽(41a)이 마련되어 있다.
삽입 규제벽(41b)은 하부 케이스(10b)의 정지부(16)의 삽입 정지벽(16b)과 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디스크 홀더(30)의 삽입을 규제한다. 탈출 규제벽(41a)은 상부 케이스(10a)의 정지부(16)의 탈출 정지벽(16a)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크 홀더(30)의 탈출을 규제한다.
탄성 부재(40)을 변형시킴에 따라서 록부(41)의 위치를 디스크 홀더(30)에 접근시키면, 록부(41)는 탈출 정지벽(16a)을 갖는 돌출부의 규제를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내에 삽입해 가면,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이 하부 케이스(10b)의 정지부(16)의 삽입 정지벽(16b)과 접하기 전에, 록부(41)의 경사면이 케이스 본체(10)의 돌출부(측벽(12)의 단부(12a))에 눌려 탄성 부재(40)가 변형된다. 록부(41)의 경사면이 케이스 본체(10)의 돌출부를 타고 넘어서면, 탄성 부재(40)는 본래 위치에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그 결과, 록부(41)의 탈출 규제벽(41a)을 갖는 돌출부와 상부 케이스(10a)의 정지부(16)가 끼워맞춤된다. 도 17은, 이 끼워맞춤이 성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의 디스크 홀더(30)의 록부(41)는 탈출 정지벽(16a)과 삽입 정지벽(16b)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30)의 위치는 확실히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부(41)의 탈출 규제벽(41a)은 케이스 본체(10)의 탈출 정지벽(16a)과 거의 접촉한 상태에 있으며,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은 케이스 본체(10)의 삽입 정지벽(16b)과 거의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 결과, 록부(41)의 전후 운동은 케이스 본체의 탈출 정지벽(16a) 및 삽입 정지벽(16b)에 의해 저지된 상태로 된다.
1쌍의 탄성 부재(40)를 한쪽 손으로 내측으로 누르면, 케이스 본체(10)의 정지부(16)와 록부(41) 사이의 록을 해제시킬 수 있다. 1쌍의 탄성 부재(40)의 간격, 즉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의 가로 방향 길이(케이스폭)는 예를 들면 50∼130㎜, 바람직하게는 90㎜ 정도이며, 한쪽 손으로 1쌍의 탄성 부재(40)을 잡고 구부릴 수 있다. 탄성 부재(40)을 가로 방향으로 구부려 탄성 부재(40)의 선단과 디스크 홀더(30)의 간격을 축소시키면, 록부(41)의 탈출 규제벽(41a)은, 케이스 본체(10)의 탈출 정지벽(16a)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30)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디스크 홀더(30)를 상하 반전시킨 자세로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정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디스크 홀더(30)를 삽입하려고 하면,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이 상부 케이스 본체(10a)의 측벽(12)의 단부(12a)와 충돌하여 더 이상 삽입이 불가능하다.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과 케이스 본체(10)의 단부(12a)가 충돌할 때마다, 파지부(35)와 절결부(18)의 충돌도 발생하여 더 이상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규제벽(41b)의 위치를 조절하여, 삽입 규제벽(41b)과 상부 케이스 본체(10a)의 측벽(12)의 단부(12a)와의 충돌이 파지부(35)와 절결부(18)의 충돌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디스크 홀더(3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조립]
이하, 디스크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디스크(1)를 도입편(42)과 도입편(42)에 인접하는 제 2 디스크 지지부(34b) 사이에 삽입한다. 또한 디스크(1)를 밀어넣으면, 디스크(1)는 도입편(42)과 제 2 디스크 지지부(34b)로 안내되면서 아암부(32)내로 침입해 간다. 이 때, 디스크(1)의 외주 단면이 아암부(32)를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디스크(1)는 디스크 지지부(34)내에 수납되어 간다. 2개의 아암부(32) 선단부에 있어서의 간격은, 디스크(1)의 직경의 크기까지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디스크(1)를 수납하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상태에서는, 아암부(32)는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으며, 디스크(1)의 외주 단면과 주벽(33)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지만, 디스크(1)는 디스크 홀더(3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디스크 지지부(34)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하부 케이스(10b)에 대한 디스크 홀더(30)의 위치 정렬을 한 후, 하부 케이스(10b)에 디스크 홀더(30)를 장착한다. 이 때, 하부 케이스(10b)의 계지조(19)와 디스크 홀더(30)의 계지부(37)는, 아직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다. 하부 케이스(10b)의 계지조(19)는 디스크 홀더(30)의 계지부(37)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하부 케이스(10b)의 절결부에 있어서의 주벽(11)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있다.
다음에, 하부 케이스(10b)에 대한 상부 케이스(10a)의 위치 정렬을 하고, 하부 케이스(10b)와 상부 케이스(10a)를 조합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0a)의 계지조(19)와 디스크 홀더(30)의 계지부(37)는, 아직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다. 상부 케이스(10a)의 계지조(19)는 디스크 홀더(30)의 계지부(37)에 의해 윗쪽으로 가압되고, 상부 케이스(10a)의 절결부에 있어서의 주벽(11)이 윗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있다.
다음에,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를 접착한다. 이 때,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를 사이에 두도록 압착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0)의 주벽(11)의 구부러짐이 해소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즉, 처음에는 도 12에 도시한 계지부(37)의 코너부(37a)와 도 13에 도시한 계지조(19)의 경사면(19a)이 접촉한 상태에 있다. 다음에,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를 가압하면, 경사면(19a)이 강제적으로 코너부(37a)를 통과하여, 계지조(19)와 계지부(37)가 걸어맞춤된다. 도 14는 이 걸어맞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계지조(19)가 외측으로부터 계지부(37)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0)는 외측으로 변형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하여 케이스 본체(10)의 조립이 완료된 후, 케이스 본체(10)의 전단부측에서, 셔터(2)를 이동이 자유롭게 조립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조립을 종료한다. 디스크(1)는 디스크 카트리지(100) 안에서 회전 자유롭게 수용된 상태에 있다.
[카트리지의 드라이브 장치로의 삽입]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대응한 드라이브 장치로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삽입하면, 셔터(2)가 슬라이드되고, 삽입부(15)가 개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00)가 드라이브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디스크 카트리지(100)내의 디스크(1)의 중심 구멍이 디스크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개방된 삽입부(15)에 헤드가 삽입되고, 디스크(1)의 노출 표면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 또는 소거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디스크 홀더의 카트리지로부터 취출]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디스크 홀더(30)를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7에 있어서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디스크 취출 식별자(43)를 강제적으로 꺾어 넣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조립된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있어서, 내부의 디스크 홀더(30)의 디스크 취출 식별자(43)는 케이스 본체의 디스크 취출 식별 구멍(21)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의 디스크 취출 식별자(43)를 꺾기 위해서는, 디스크 취출 식별 구멍(21)내에 단단하고 가는 핀을 꽂아넣고, 그 핀에 의해 식별자(43)를 꺾으면 된다. 식별자(43)가 접히면, 디스크 홀더(30)는 케이스 본체(1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디스크 홀더(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1쌍의 탄성 부재(40)을 한쪽 손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렇게 하면, 탄성 부재(40)에 형성된 록부(41)와 케이스 본체(10)의 정지부(16) 사이의 록이 해제되어, 디스크 홀더(30)는 케이스 본체(10)로부터 탈출 가능하게 된다.
디스크 홀더(30)를 약간 뽑아 낸 후, 파지부(35)를 손가락으로 잡고, 앞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로부터 완전히 탈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디스크(1)는 디스크 홀더(30)의 주벽(33)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디스크 홀더(30)와 함께 뽑아 내어진다.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디스크 홀더(30)가 완전히 뽑아 내어진 후에도, 디스크 지지부(34)가 디스크(1)의 상하면의 어느 한쪽을 지지하기 때문에, 디스크(1)가 디스크 홀더(30)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파지부(35)는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보다 두껍기 때문에, 파지부(35)를 손가락으로 잡을 때에도, 손으로 디스크(1)에 접촉할 가능성이 매우 작아진다.
다음에,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뽑아 내여진 디스크 홀더(30)를 다시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홀더(30)의 아암부(32)의 선단부를 취출구(14)에 삽입한다. 그리고,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에 밀어넣으면, 록부(41)의 탈출 규제벽(41a)측과 상부 케이스(10a)의 측벽(12)의 단부(12a)가 서로 접한다. 서로 접하면, 탄성 부재(4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단부(12a)를 통과해 가서, 이윽고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과 정지부(16)의 삽입 정지벽(16b)이 접하는 위치까지 디스크 홀더(30)는 케이스 본체(10)로 밀어넣어진다. 그렇게 하면, 탄성 부재(40)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어, 록부(41)의 탈출 규제벽(41a)과 정지부(16)의 탈출 정지벽(16a)이 접하게 된다. 거의 동시에 계지조(19)와 계지부(37)가 걸어맞춤되어, 케이스 본체가 젖혀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디스크 홀더(30)는 케이스 본체(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상기한 디스크 홀더(30)의 정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홀더(30)의 아암부(32)의 선단부를 취출구(14)에 삽입한다. 그리고,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로 밀어넣어 가면, 파지부(35)의 선단과 케이스 본체(10)의 절결부(18)의 입구측 단면이 충돌하여, 더 이상 삽입할 수 없게 된다. 거의 동시에, 록부(41)의 삽입 규제벽(41b)이 케이스 본체(10)의 측벽(12)의 단부(12a)에 충돌하여, 더욱 확실하게 삽입을 규제하고 있다. 이 상태를 사용자는 파지부(35)와 절결부(18)의 조합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분명히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홀더(30)는 한 방향으로부터만 케이스 본체(10)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홀더(30)에 파지부(35)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크 홀더(30)를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게 되어,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로부터 탈착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파지부(35)가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30)를 잡을 때에도 손끝이 디스크(1)에 잘 닿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홀더(30)의 중앙부에 파지부(35)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크 홀더(30)의 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체부(31)의 중앙 부분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소형화에 크게 공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디스크 지지부(34a)와 아암부(32)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디스크 지지부(34b)에 의해 디스크(1)의 면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1)를 세트한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의 외주면과 디스크 홀더(30)의 주벽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아암부(32)는 세트한 디스크(1)로부터는 디스크면에 평행한 응력을 받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디스크(1)를 세트한 상태의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했을 때, 굳이 아암부(32)에 외측으로 가압하여 넓게 하지 않더라도, 디스크(1)를 케이스 본체(10)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홀더(30)는 디스크(1)를 유지하기 위해 아암부(32)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암부(32)의 응력 완화에 의해 아암부(32)가 디스크(1)를 잡는 힘이 약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30)를 장기간 케이스 본체(10)내에 놔둔 다음, 케이스 본체(10)내에서 디스크 홀더(30)를 취출한 경우에도, 디스크(1)가 디스크 홀더(30)로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어, 디스크 홀더(3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아암부(32)의 응력 완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아암부(32)는 디스크 홀더(30)와 일체적으로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탄성 부재(40)의 선단 부분이 손가락으로 잘못하고 눌러지기 어려운 구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디스크 카트리지(100)와 다르다. 도 19 및 도 2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점 이외에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와 디스크 카트리지(100) 간에 공통되는 부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하부 케이스(10b)의 후단부의 양 코너에는,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하부 케이스(10b)와 마찬가지로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상부 케이스(10a)의 후단부의 양 코너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하부 케이스(10b)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된 상태의 디스크 홀더(30)의 탄성 부재(40)의 선단부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지만, 상부 케이스(10a)는 탄성 부재(40)의 상면을 완전히 피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10a)가 탄성 부재(40)의 상면을 완전히 덮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40)의 외측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더라도 상부 케이스(10a)가 방해 요인이 되어 탄성 부재(40)을 잘못해서 구부러뜨리는 일이 없어진다. 그 결과, 불필요한 록의 해제를 잘못 실행할 가능성이 대단히 작아진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a)와 대향하는 탄성 부재(40)의 상면은 평탄하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탄성 부재(40)의 상면과 상부 케이스(10a)의 하면 사이의 극간은 작게 설정된다. 한편, 탄성 부재(40)의 선단 부분(손잡이부(138))의 하면은 평탄부와, 평탄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편(139)을 갖고 있다.
도 25는 탄성 부재(40)의 구성을 명료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디스크 홀더(30)는 도 24에 도시한 디스크 홀더(30)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에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편(139)은 손잡이부(138)의 외측면을 1.0㎜ 정도만 높게 하여, 손잡이부(138)와 손끝과의 접촉 면적을 확대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에 장착되고, 상부 케이스(10a)가 탄성 부재(40)의 상면을 완전히 덮고 있을 때, 상부 케이스(10a)의 코너 부분이 방해하여 탄성 부재(40)을 불필요하게 손가락으로 변형시켜 버릴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단, 의도적으로 탄성 부재(40)을 손가락으로 눌러, 디스크 홀더(30)를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뽑아 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10b)에 절결부(1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40)을 손가락으로 눌러 구부려뜨려 록을 해제할 수 있다. 그 때, 돌출편(139)은 손끝에 의한 탄성 부재(40)의 가압을 용이하게 해준다. 돌출편(139)의 높이는 돌출편(139)의 선단과 하부 케이스(10b)의 표면이 거의 동일한 레벨로 되도록 설정된다. 돌출편(139)의 선단이 하부 케이스(10b)의 표면보다 너무 돌출되어 버리는 것은 기록 재생 장치로의 디스크 카트리지(200) 삽입을 곤란하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돌출편(139)의 위치 및 사이즈는 탄성 부재(40)을 구부러뜨려 록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 탄성 부재(40)이 과도하게 구부러졌을 때 돌출편(139)이 하부 케이스(10b)의 절결부(120)의 측면에 충돌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홀더(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의 구부러짐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갭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갭 부분의 폭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5∼2.0㎜로 작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40)의 구부러짐은 디스크 홀더(30)의 본체부(31) 측면에 의해 규제된다. 그러나, 이 갭의 폭을 어떤 이유에서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돌출편(139)이 케이스 본체(10)와 충돌함으로써, 탄성 부재(40)의 과도한 굴곡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편(139)을 탄성 부재(40)의 손잡이부(138)에 마련함으로써 여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탄성 부재(40)와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 홀더(30)의 록을 해제시키기 어렵게 하는 다른 형태로서, 절결부(120)를 상부 케이스(10a)에 형성하고, 돌출편(139)을 상부 케이스(10a)측에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2개의 돌출편(139)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30)로부터 다른 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부 케이스(10a)의 일단측에 절결부(120)를 형성하고, 하부 케이스(10b)의 반대쪽 일단측에 절결부(12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의 양 코너를 한쪽 손으로 잡을 때에 손가락이 탄성 부재(40)을 누르기 어려운 구성을 채용하여, 이에 따라 디스크 홀더(30)와 케이스 본체(10) 사이의 록을 잘못해서 해제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드라이브 장치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취출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 양 코너를 손으로 잡고 카트리지(200)를 취출하고자 할 때, 케이스 본체(10)를 드라이브 장치에 남긴 채로 디스크 홀더(30)만을 취출하여, 디스크(1)를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0)를 운반할 때에도, 디스크 홀더(30)가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불필요하게 빠져나가 디스크(1)가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7∼29의 설명을 참조하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250)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변형예로서, 상부 케이스(10a)의 후단부 코너 근방의 형상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와 상이하다. 도 28은 상부 케이스(10a)의 후단부 코너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하부 케이스(10b)의 후단부 코너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50)의 상부 케이스(10a)는 탄성 부재(40)의 손잡이부(138)의 상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부분(50)을 포함하고 있다. 탄성 부재(40)의 손잡이부(138)는 탄성 부재(40)의 다른 부분보다도 폭이 넓어, 손끝으로 억제하기 쉽도록 손잡이부(138)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a)가 탄성 부재(40)의 손잡이부(138)의 상면을 완전히 덮고, 또한 그 상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부분(50)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30)가 장착된 케이스 본체(10)의 측면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52)이 형성된다. 슬롯(52)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b)의 코너에 절결부(120)를 형성함으로써 하부 케이스(10b)의 측면에 발생한 오목부를 이용하여, 상부 케이스(10a)의 측면에도 작은 절결부를 마련하고, 그것에 의해 슬롯(52)으로서 기능하는 오목부를 케이스 본체(10)의 측면에 형성하고 있다. 이 슬롯(52)은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록 재생 장치에 케이스 본체(10)를 삽입할 때, 이하에서 설명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케이스 본체(10)의 전단부로부터 먼저 기록 재생 장치에 케이스 본체(10)를 삽입하면, 기록 재생 장치의 자동 로딩 기구는 케이스 본체(10)의 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오목부(54)를 잡고 필요한 자동 로딩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잘못하여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로부터 먼저 기록 재생 장치에 케이스 본체(10)를 삽입하면, 기록 재생 장치의 자동 로딩 기구는 케이스 본체(10)의 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슬롯(52)을 검지하여 케이스 본체(10)의 삽입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슬롯(52)을 케이스 본체(10)에 별도로 형성하는 대신에, 하부 케이스(10b)의 절결부(120)와, 상부 케이스(10a)에 마련한 작은 절결부를 이용하여, 슬롯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간단히 하기 위해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디스크 카트리지(200, 250)의 케이스 본체(10)에도 계지조(19)를 마련하고, 대응하는 디스크 홀더(30)에는 계지부(37)를 마련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100, 200, 250)의 각 특징부를 모두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디스크 홀더의 중앙부에 파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크 홀더를 케이스 본체로부터 탈착 조작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디스크 표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적어진다. 또한, 파지부가 디스크 홀더 본체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스크 홀더의 본체 중앙부의 사이즈를 작게 하여, 케이스 본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파지부와 케이스 본체가 확실히 걸어맞춤되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가 케이스 본체에 너무 깊이 들어가 케이스 본체가 파지부에 겹쳐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디스크 홀더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로 케이스에 오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케이스의 후단부의 양 코너를 한쪽 손으로 잡을 때에 핑거가 탄성 부재를 가압하기 어려운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와 케이스 사이의 록을 잘못하여 해제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디스크 홀더가 케이스로부터 불필요하게 빠져나와 디스크가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홀더를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홀더의 아암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를 케이스내에 장기간 장착하고 있더라도, 아암부의 응력 완화가 진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체 성형법에 의해 아암부와 디스크 홀더 본체를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디스크 홀더의 가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42)

  1.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와,
    상기 디스크 홀더 및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의 일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거쳐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 삽입하는 것과,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케이스
    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파지부를 노출시키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보다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파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 걸어맞춤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파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면 형상은 상기 파지부의 하면 형상과는 상이한 디스크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의 형상과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의 형상과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인식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막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할 때, 상기 파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의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의 각각과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면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록 수단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 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된 정지부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에 마련된 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했을 때,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록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정지부와 걸어맞춤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정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록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삽입 정지벽과,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출되지 않도록 상기 록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탈출 정지벽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 형상 탄성 부재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탈출 정지벽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하 반전시켜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한 경우, 상기 록 부재의 일부와 충돌하는 돌기가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아암부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디스크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아암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 지지부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도입편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도입편은,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디스크 홀더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손끝으로 접촉하여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1.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와,
    상기 디스크 홀더 및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의 일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거쳐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 삽입하는 것과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케이스
    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부분과 하부 케이스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한쪽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삽입 운동을 정지시키는 제 1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다른쪽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이탈 운동을 정지시키는 제 2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 형상 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 사이에 걸어맞춤되는 록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평면에 관하여 비대칭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디스크 홀더를 잘못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할 때, 상기 록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충돌하여,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의 삽입이 정지당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3.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홀더와,
    개구부를 갖고, 상기 디스크 홀더 및 상기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핑거 형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와 걸어맞춤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더를 고정시키는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와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접촉되는 것을 방해하여, 상기 디스크 홀더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어렵게 하는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디스크 홀더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상면부와, 상기 상면에 평행한 하면부와,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를 접속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부의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마련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 및 하면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탄성 부재와 사람 손가락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절결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선단을 노출시켜 상기 탄성 부재의 선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케이스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때까지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킬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탄성 부재와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형성된 상기 절결부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부 또는 상면부의 대응 영역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대응 영역이 상기 탄성 부재를 덮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8.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다른 부분보다 가로 방향으로 두꺼운 손잡이부를 선단에 갖고 있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 또는 하면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평행한 평탄 부분과, 상기 평탄 부분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가 있는 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편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손잡이부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한쪽을 완전히 덮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부분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디스크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1.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탄성 부재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평면에 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파지부를 노출시키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보다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파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 걸어맞춤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파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6. 제 32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면 형상은 상기 파지부의 하면 형상과 상이한 디스크 카트리지.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동일한 레벨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상면 형상과 상기 파지부의 상기 하면 형상과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는,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디스크 홀더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디스크 카트리지.
  4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상기 디스크 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할 때, 상기 파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절결부와의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42.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홀더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면 및 하면의 각각과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면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00030579A 1999-06-04 2000-06-03 디스크 카트리지 KR100365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57898 1999-06-04
JP15789899 1999-06-04
JP16637899 1999-06-14
JP99-166378 1999-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227A true KR20010007227A (ko) 2001-01-26
KR100365843B1 KR100365843B1 (ko) 2002-12-26

Family

ID=2648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579A KR100365843B1 (ko) 1999-06-04 2000-06-03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411597B1 (ko)
EP (2) EP1178488B1 (ko)
KR (1) KR100365843B1 (ko)
CN (1) CN1320551C (ko)
DE (3) DE6000007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94718A1 (en) 1998-05-23 2003-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529471B1 (en) 1998-07-15 2003-03-04 Lg Electronics Inc. Disc protection casing and drive for receiving the same
US6418113B1 (en) 1998-11-05 2002-07-09 Tdk Corporation Disk cartridge
DE60000078D1 (de) * 1999-06-04 2002-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ttenkassette
EP1363288B8 (en) * 2001-01-12 2009-08-12 Panasonic Corporation Disc cartridge
KR100772360B1 (ko) * 2001-05-30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US6910219B2 (en) *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KR100459406B1 (ko) * 2002-04-1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JP2004087030A (ja) * 2002-08-28 2004-03-18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A2484524C (en) * 2003-04-09 2007-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CN2636363Y (zh) * 2003-05-30 2004-08-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托盘
US7282897B2 (en) * 2004-07-15 2007-10-16 Intersil America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ent control in a multiphase switching power supply
US10498242B2 (en) * 2018-02-07 2019-12-03 Chaoyang Semiconductor Jiangyin Technology Co., Ltd. Switching regulator stability control circuit and methodolog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171Y2 (ko) * 1980-10-09 1986-11-22
NL8601884A (nl) * 1986-07-21 1988-02-16 Philips Nv Plaatcassette.
EP0267644A1 (en) * 1986-11-03 1988-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recording/reading information on/from a disc, comprising a disc cassette and an apparatus
JPH06168566A (ja) * 1992-11-30 1994-06-14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WO1997011463A1 (fr) * 1995-09-21 1997-03-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rtouche a disquette amovible
JP3462318B2 (ja) * 1995-10-13 2003-11-05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H1064237A (ja) * 1996-08-20 1998-03-06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のカートリッジ装置
TW385433B (en) * 1996-10-28 2000-03-21 Dainippon Printing Co Ltd A cartridge case for a disk-shaped recording medium and a disk cartridge
KR100366112B1 (ko) * 1997-09-10 2003-02-1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디스크카트리지
JPH1186487A (ja) * 1997-09-11 1999-03-30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187753C (zh) * 1997-12-16 2005-02-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盒
US6400678B1 (en) * 1998-03-06 2002-06-04 Hitachi, Ltd. Disc cartridge
US6449242B2 (en) 1998-04-28 2002-09-10 Hitachi, Ltd. Disk cartridge
SG94718A1 (en) * 1998-05-23 2003-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529471B1 (en) 1998-07-15 2003-03-04 Lg Electronics Inc. Disc protection casing and drive for receiving the same
US6418113B1 (en) * 1998-11-05 2002-07-09 Tdk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3840346B2 (ja) * 1999-01-08 2006-11-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000078D1 (de) * 1999-06-04 2002-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ttenk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8488A2 (en) 2002-02-06
DE60000078T4 (de) 2003-07-24
US6463029B1 (en) 2002-10-08
EP1067548A1 (en) 2001-01-10
CN1320551C (zh) 2007-06-06
EP1178488A3 (en) 2006-11-29
DE60037729D1 (de) 2008-02-21
CN1542830A (zh) 2004-11-03
US20020136156A1 (en) 2002-09-26
US6590859B2 (en) 2003-07-08
EP1067548B1 (en) 2002-02-27
EP1178488B1 (en) 2008-01-09
US6411597B1 (en) 2002-06-25
KR100365843B1 (ko) 2002-12-26
DE60000078T2 (de) 2002-07-04
DE60037729T2 (de) 2008-06-05
DE60000078D1 (de)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999B1 (ko) 디스크인출가능한디스크카트리지
US5537389A (en) Disk cartridge having a single closing energizer for closing two independently opened shutters
KR10032888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어댑터
KR100365843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3840346B2 (ja)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49142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15321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15321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GB2273601A (en) Disk cartridge
JP304402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470552B1 (en) Disk cartridge
JPH11321960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JP2001202736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I254922B (en) Disk cartridge
JP313796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29711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392986B1 (en) Optical disk cartridge
JP260705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919910B2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US20010021168A1 (en) Disc cartridge adaptor
JP270903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997467B1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2997468B1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H0629337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ケース
JP272816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