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195A -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195A
KR20010005195A KR1019990025998A KR19990025998A KR20010005195A KR 20010005195 A KR20010005195 A KR 20010005195A KR 1019990025998 A KR1019990025998 A KR 1019990025998A KR 19990025998 A KR19990025998 A KR 19990025998A KR 20010005195 A KR20010005195 A KR 2001000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ao bean
cacao
glucosyltransferase
bean hus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251B1 (ko
Inventor
김동영
박헌주
박형환
김한수
권익부
Original Assignee
한수길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길,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수길
Priority to KR1019990025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251B1/ko
Priority to US09/352,821 priority patent/US6159451A/en
Priority to EP99947988A priority patent/EP1107726B1/en
Priority to IDW20010480A priority patent/ID27956A/id
Priority to OA1200100049A priority patent/OA11643A/en
Priority to BRPI9913231-1A priority patent/BR9913231B1/pt
Priority to PCT/KR1999/000616 priority patent/WO2001001944A1/en
Publication of KR2001000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이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glucosyltransferase)에 대하여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카카오 콩껍질을 용매추출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을 다시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50% 에탄올 용액으로 용매분획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더욱 증강시킨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함으로써, 충치 억제효능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더불어,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킨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process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s from Cacao Bean Husk}
본 발명은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이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glucosyltransferase)에 대하여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카카오 콩껍질을 용매추출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을 다시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50% 에탄올 용액으로 용매분획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더욱 증강시킨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함으로써, 충치 억제효능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더불어,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킨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콜렛 및 코코아의 원료인 카카오는 학명이 데오브로마 카카오 엘.(Theobroma cacao L.)로, 신의 음식이라는 신비적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카카오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의 북부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며, 중앙아메리카의 여러나라에서는 기원전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옥수수와 함께 매우 귀중한 음식으로 취급되어 왔다. 13 ∼ 16세기에 걸쳐 중앙아메리카에 창궐하던 아즈테카족의 지도자들은 볶은 카카오 콩을 갈아만든 코코아에 향신료를 섞어 강장제로 복용하였다고 한다. 이후, 유럽에서도 널리 전파되었고, 드디어 1875년에는 스위스의 한 청년에 의해서 판초콜렛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획기적인 발명과 함께 카카오 콩의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남으로써 초콜렛의 인기는 단번에 높아졌고, 현재는 남녀노소,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세계인의 대표적인 기호식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초콜렛의 기본적인 원료로 제공되는 카카오콩은 산지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폴리페놀 성분은 녹차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서 충치 억제작용[Sakanaka, S., et al., Biosci & Biochem., 56, 592,1992], 고혈압 억제작용[Iwata, K., et al., Jpn. Soc. Nutr. Food Sci., 40, 469, 1987], 심혈관계질환 예방작용[Hertog, M.G.L., et al., Lancet, 342, 1007, 1993] 및 항산화작용[Ramaretnam, N., et al., Trends in Food Sci. Technol., 6, 75, 1945] 등 다양한 생리적 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녹차, 우롱차, 사과, 포도 등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부터 폴리페놀을 추출하여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카카오 콩은 초콜렛의 생산공정중 탈각되어 알맹이(nib)는 초콜렛 또는 코코아의 원료로 사용되고, 부산물로 나오는 껍질(전체 카카오콩에 대하여 약 15 중량%)은 거의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현재 전세계 카카오 콩의 생산량은 약 250만톤으로, 약 40만톤에 이르는 엄청난 양의 코코아 콩껍질이 폐기되고 있으며, 1990년 관세청 무역통계 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약 600톤의 카카오 콩껍질이 폐기물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이러한 카카오 콩껍질에는 셀룰로오스 등 식이성섬유 및 폴리페놀이 알맹이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특히, 기존의 녹차, 우롱차 등에서 추출한 폴리페놀 등은 가격이 비싸고, 폴리페놀도 카테킨, 에피카테킨을 비롯한 단량체(monomer)가 주성분이기 때문에 효소활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그 필요성이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이 초코렛 생산중 부산물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므로 가격이 싸다는 것과, 폴리페놀도 프로시아니딘 A(procyanidin A), 프로시아니딘 C-1(procyanidin C-1) 등 중합체(polymer)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효소저해활성도 매우 높아 충치원인 효소인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배합한 츄잉껌을 제조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 45179 호, 1991 : US Patent 4,908,212, 1990].
그러나,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의 활성 저해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효소의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IC50)로 산정하여 측정하였을 때, 상기 기술로 제조된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은 약 80 ㎍/㎖인 반면에, 현재 가장 우수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저해제로 시판되고 있는 우롱차 추출물(일본 썬토리사 제조)의 IC50이 약 40 ㎍/㎖를 나타내는 등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이 실제적인 응용면에 있어서는 충분히 높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보다 높인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종 용매, 추출조건 및 활성물질의 분리공정을 검토한 결과,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하여 활성 저해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조건을 알아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치 억제효능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킨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카카오 콩껍질로부터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조된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50% 아세톤 수용액 4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40 ∼ 70℃의 온도로 4 ∼ 6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하고 농축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은 다음에,
상기 얻어진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스티렌계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20% 에탄올 1 ∼ 2 중량부를 사용하여 세척한 다음, 다시 50% 에탄올 1 ∼ 2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획하고, 이 분획물을 40 ∼ 50 ℃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하여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카오 콩껍질이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glucosyltransferase)에 대하여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카카오 콩껍질을 용매추출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을 다시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50% 에탄올 용액으로 용매분획함으로써,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더욱 증강시킨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콜릿이나 코코아 음료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카카오 콩껍질중 평균 사이즈가 2 ㎜ 이하인 것만 선별하여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50% 아세톤 수용액을 4 ∼ 10 중량부 첨가하여 40 ∼ 70℃의 온도에서 에지테이터 등으로 교반하면서 4 ∼ 6 시간동안 환류하여 교반 추출시킨 후, 착즙, 여과(또는 원심분리)하고, 그 다음에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실시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추출용매로 50% 아세톤 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열수, 메탄올 수용액, 100% 에탄올, 메탄올 수용액, 100% 메탄올 및 100% 아세톤을 사용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비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이 가장 뛰어날 뿐만 아니라, 50% 아세톤 용액은 친수성과 친유성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효소 활성 저해능을 갖는 물질중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을 모두 추출하여 추출수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를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미만을 첨가하면 안정적인 수율 및 효소 활성을 얻을 수 없고, 반면에 상기 추출용매를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첨가하면, 추출공정시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적으로, 산업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추출온도가 40℃ 이상일 때 효소활성 저해율이 높아졌으며,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추출수율이 저하되었으며, 활성물질의 열 변성이 우려되었다. 또한, 추출시간을 4시간 미만으로 할 경우에는 추출수율과 효소활성 저해율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교반하였을 때 추출수율과 효소 활성 저해율이 동시에 증가된다.
아울러, 상기 공정을 2회 반복하는 바, 그 이유는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가장 높은 효소활성 저해율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의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한 효소의 50%를 저해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IC50)를 산정하였을 때, 약 80 ㎍/㎖ 정도였다. 그러나, 현재 가장 우수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제로 시판되고 있는 우롱차 추출물(일본 썬토리사 제조)의 IC50가 약 40 ㎍/㎖이므로 보다 저해활성이 높은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얻어진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분자량이 큰 유기물의 흡착제로 사용되는 스티렌계 다공성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20% 에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다시 50% 에탄올을 첨가하여 적절한 조건으로 용매분획시켜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얻는데, 이를 더욱 상세히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얻어진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스티렌계 흡착수지로 충진된 컬럼에 충전시키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바, 이는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물질은 흡착하고, 비활성물질들은 흡착하지 않음으로서 충치억제물질의 농축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스티렌계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20% 에탄올 1 ∼ 2 중량부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50% 에탄올 수용액을 분획용매로 사용하여 1 ∼ 2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획한 후, 이 분획물을 40 ∼ 50 ℃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하여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분획용매로 5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분획물의 효소 활성 저해율이 가장 높다. 만일 상기 분획용매를 1 중량부 미만을 첨가하면 유효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상기 추출용매를 2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첨가하면, 제조비가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매분획시 용출조건은 10 ∼ 100 ㎖/min로 하는 바, 이때, 용출속도가 100 ㎖/min를 초과할 경우에는 흡착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수율이 저하되며, 용출속도가 10 ㎖/min 미만일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의 용매분획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은 용매추출 공정만을 수행하여 얻은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과 비교해서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만 하였을 경우, 효소 활성 저해율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IC50이 20 ㎍/㎖ 이하로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이 2배 이상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은 충치 억제효능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더불어,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조효소의 제조
충치의 원인균인 뮤탄스로부터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효소를 퓨큐시마(Fukushima) 등의 방법[Fukushima, K. and Motoda, R., FEBS Lett., 128(2), 213, 1981]을 약간 변형하여 제조하되,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생산균주인 뮤탄스 ATCC 27351을 37℃에서 24시간 동안 정치배양한 것을 종배양액으로 하여 2 부피%를 브레인하트인퓨젼 배지 4.5ℓ에 접종한 후, 동일한 조건하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실온에서 6,000 rpm 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에 미리 냉각시킨 에탄올을 3ℓ를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키고, 이것을 4℃에서 하룻밤 동안 정치한 후, 다시 8,000 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고, 이를 다시 0.05 M 인산 완충액(pH 6.8) 10 ㎖에 현탁하여 이것을 조효소액으로 하고 영하 20℃에 냉동 보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조효소액은 필요시 0.05 M 인산완충액(pH 6.5)에 적당량 희석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조예 1 : 최적 추출용매 선정 시험
잘 건조된 카카오 콩껍질(2 ㎜ 이하) 30 g에 다음 표 1의 추출용매 300 ㎖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에서 60 rpm으로 교반하면서, 4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이 종료된 후, 여과하여 추출액만을 모았다. 그리고, 남은 잔사에 동량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동일한 추출과정을 반복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얻은 추출액은 일차 추출액과 섞어 감압농축기로 50℃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한 실험방법으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효소 저해활성 측정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시험 :
1 ℓ의 인산완충액(pH 6.5)에 설탕 12.5 g과 소듐 아자이드(sodium azide) 0.25 g을 녹여 제조한 기질용액 0.8 ㎖,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조효소액 0.025 ㎖ 및 대상시료 0.175 ㎖를 시험관(길이 100 ㎜, 내경 13 ㎜)에 첨가하여 최종용량이 1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각각의 대상시료 대신에 증류수를 동량 첨가하였다.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수평에 대해 약 30°각도가 되도록 기울여 경사를 이루게 한 후, 37℃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얻어진 상등액을 천천히 따라 버리고 시험관에 3 ㎖의 증류수를 가하여 5초간 초음파로 처리하여 형성된 글루칸을 분산시킨 다음에 이것을 스펙트로포토메터(UV-Visible spectrophotometer UV-260, 일본 시마즈사)로 5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조사하였다.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대조군의 흡광도이며, B는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2) 폴리페놀의 함량측정 시험 :
각 대상시료들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함량은 AOAC 방법을 약간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에펜돌프튜브(Eppendorf tube)에 750 ㎕의 증류수를 넣은 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시료용액 100 ㎕를 넣었다. 여기에 폴린데니스 시약(Folin Denis reagent) 50 ㎕와 포화탄산나트륨 용액 100 ㎕를 넣은 후, 보텍스 믹서(Vortex mixer)로 잘 섞고,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72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리 작성된 표준곡선과 대비하여 폴리페놀의 함량을 결정하였다. 이때, 표준곡선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을 표준물질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서 볼 때, 50% 아세톤을 사용할 경우, 가장 우수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저해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을 얻음을 알수 있었다.
참조예 2 : 최적 추출온도 선정 시험
상기 참조예 1에서 선정된 추출용매(50% 아세톤)을 사용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온도에서 2회 반복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효소 저해활성 측정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서 볼 때, 50% 아세톤을 사용하여 40 ∼ 70℃의 온도 특히, 60℃의 온도에서 수행할 경우, 가장 우수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저해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을 얻음을 알수 있었다.
참조예 3 : 최적 추출시간 선정 시험
상기 참조예 1 및 2에서 선정된 추출용매(50% 아세톤)를 사용하여 60℃의 온도로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효소 저해활성 측정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서 볼 때, 50% 아세톤을 사용하여 60℃의 온도에서 수행할 경우, 추출시간을 4 ∼ 6 시간으로 할 때, 수율이 가장 우수하면서 가장 우수한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 저해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을 얻음을 알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참조예들을 통해서,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의 최적조건을 알아내었고, 이를 바탕으로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하였다. 이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비교예 1
잘 건조된 카카오 콩껍질(2 ㎜이하) 30g에 다음 표 1의 추출용매 300 ㎖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에서 60 rpm으로 교반하면서, 4 시간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이 종료된 후, 여과하여 추출액만을 모았다. 그리고, 남은 잔사에 동량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동일한 추출과정을 반복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얻은 추출액은 일차 추출액과 섞어 감압농축기로 40 ∼ 50℃에서 농축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에 명시한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측정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현재 시중에 시판되는 제품인 우롱차 추출물(상품명: 썬우롱, 일본 썬토리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측정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현재 시중에 시판되는 제품인 녹차추출물(상품명: Tea polyphenol, 제조회사명:Hasegaw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측정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은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사용하였고, 상기 추출물 70g을 다시 스티렌계 공업용 흡착수지로 충진된 칼럼(60 × 450 ㎜)에 충전시킨 후, 20% 에탄올 용액 1,400 ㎖를 사용하여 용출속도 50 ㎖/min로 세척한 후, 여기에 다시 50% 에탄올 1,400 ㎖를 용출속도 50 ㎖/min로 용출시켜서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얻었다. 이때, 상기 분획물은 건조중량으로 9g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에 명시한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측정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9 및 비교 실시예 1 ∼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용매,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달리하였다.
그리고, 상기 참조예 1에 명시한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측정 시험과 폴리페놀의 함량측정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은 용매추출만을 수행하여 얻은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비교예 1)과 비교하여 글루코실트랜스퍼레이즈에 대해 활성 저해율이 약 2배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현재 충치 억제제로 시판중인 우롱차 추출물(비교예 2)이나 녹차추출물(비교예 3)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효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카오 콩껍질을 용매추출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을 다시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50% 에탄올 용액으로 용매분획하여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더욱 증강시킨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함으로써, 충치 억제효능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카카오 콩껍질로부터 글루코실트랜스페라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조된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50% 아세톤 수용액 4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40 ∼ 70℃의 온도로 4 ∼ 6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하고 농축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은 다음에,
    상기 얻어진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스티렌계 흡착수지에 충전시킨 후, 20% 에탄올 1 ∼ 2 중량부를 사용하여 세척한 다음, 다시 50% 에탄올 1 ∼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매분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
KR1019990025998A 1999-06-30 1999-06-30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031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998A KR100319251B1 (ko) 1999-06-30 1999-06-30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US09/352,821 US6159451A (en) 1999-06-30 1999-07-13 Manufacturing process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s from cacao bean husk
EP99947988A EP1107726B1 (en) 1999-06-30 1999-10-13 Manufacturing process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s from cacao bean husk
IDW20010480A ID27956A (id) 1999-06-30 1999-10-13 Proses pembuatan penghambat glukosiltransferase dari kulit ari biji kakao
OA1200100049A OA11643A (en) 1999-06-30 1999-10-13 Manufacturing process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s from cacao bean husk.
BRPI9913231-1A BR9913231B1 (pt) 1999-06-30 1999-10-13 processo de fabricação de inibidores de glucosiltransferase da casca de semente de cacau.
PCT/KR1999/000616 WO2001001944A1 (en) 1999-06-30 1999-10-13 Manufacturing process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s from cacao bean hu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998A KR100319251B1 (ko) 1999-06-30 1999-06-30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195A true KR20010005195A (ko) 2001-01-15
KR100319251B1 KR100319251B1 (ko) 2002-01-05

Family

ID=1959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998A KR100319251B1 (ko) 1999-06-30 1999-06-30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59451A (ko)
EP (1) EP1107726B1 (ko)
KR (1) KR100319251B1 (ko)
BR (1) BR9913231B1 (ko)
ID (1) ID27956A (ko)
OA (1) OA11643A (ko)
WO (1) WO2001001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645A (en) * 1994-10-03 1996-09-10 Mars, Incorporated Antineoplastic cocoa extrac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777005B1 (en) 1994-10-03 2004-08-17 Mars, Incorporated Foods containing a cocoa polyphenol additive
US6743450B2 (en) * 2000-04-14 2004-06-01 Mars, Incorporated Extraction of sterols from cocoa hulls
KR100353886B1 (ko) * 2000-04-26 2002-09-27 롯데제과주식회사 항산화 활성을 갖는 카카오 콩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US6627232B1 (en) * 2000-06-09 2003-09-30 Mars Incorporated Method for extracting cocoa procyanidins
FR2810242B1 (fr) * 2000-06-16 2003-01-17 Nuxe Lab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a base d'extraits de cacao
KR100361632B1 (ko) * 2000-08-23 2002-11-22 롯데제과주식회사 메밀로부터 고순도 천연 루틴의 추출방법
DE10063235A1 (de) * 2000-12-19 2002-06-20 Andreas Hoes Teigzubereitung für eine Backware, sowie hierdurch hergestellte Backwar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Backware
KR20030032484A (ko) 2001-10-18 2003-04-26 롯데제과주식회사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KR100460103B1 (ko) * 2001-10-18 2004-12-04 롯데제과주식회사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소화기계 발암 억제제
US20040057908A1 (en) * 2001-12-13 2004-03-25 Bowen William H. Or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7517541B2 (en) 2005-01-18 2009-04-14 A.M. Todd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derived from the Labiatae family
EP1728434B1 (en) 2005-05-31 2008-12-24 Kraft Foods R & D, In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olyphenol-enriched composition from cocoa shell extraction
US20090263518A1 (en) 2008-04-17 2009-10-22 Barry Callebaut Ag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CN107006854A (zh) * 2017-02-28 2017-08-04 浙江大学 一种可可多酚提取以及富集制备方法
US20220046943A1 (en) * 2018-08-20 2022-02-17 Cabosse Naturals Nv Process to extract components of cacao pod husks and to utilize cacao fruit soluble extract obtained thereof and its applications
CN114469530B (zh) * 2022-03-10 2023-07-28 嫒赟(上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纳米银抗菌卫生巾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1710A (en) * 1977-10-21 1980-07-16 Veenendaal J Dehulling of cocoa beans
US4156030A (en) * 1977-12-29 1979-05-22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Cocoa shell extract
US4532147A (en) * 1983-08-03 1985-07-30 General Foods Corporation Cacao product and process therefor
KR900007862A (ko) * 1988-11-10 1990-06-02 정보영 카카오 콩 껍질(cacao bean husk)추출물로부터 세파덱스 g-50(sephadex g-50)에의해 분획된 f-1, f-2의 글루칸 합성 저해물질
DE69111652T2 (de) * 1990-03-30 1996-05-02 Suntory Ltd Glukosyltransferase-Inhibitoren sowie Verfahren zur Vorbeugung von Karies und anti-karöse Nahrungsmittel mittels dieser Inhibitoren.
US5554645A (en) * 1994-10-03 1996-09-10 Mars, Incorporated Antineoplastic cocoa extrac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01944A1 (en) 2001-01-11
US6159451A (en) 2000-12-12
OA11643A (en) 2004-11-22
ID27956A (id) 2001-05-03
BR9913231A (pt) 2001-06-19
KR100319251B1 (ko) 2002-01-05
BR9913231B1 (pt) 2010-06-01
EP1107726A1 (en) 2001-06-20
EP1107726B1 (en)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251B1 (ko)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Piga Cactus pear: a fruit of nutraceutical and functional importance
JP3521155B2 (ja) 果実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AU2006202295A1 (en) Polyphenol-enriched composition from cocoa shell extraction
KR101595166B1 (ko) 스키르푸신 b 함유 조성물 및 스키르푸신 b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6043B1 (ko) 유칼리 추출물의 조제 방법
JPH092917A (ja) ホップより得られるポリフェノール製剤とその製造法
KR101603733B1 (ko)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WO2013141723A1 (en) Preparation of pectin and polyphenolic compositions from mango peels
Kim et al.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s from cacao bean husk
Bastos et a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betalains
KR20160083304A (ko) 대추 및 대추씨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JPWO2004052898A1 (ja) ホップ苞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CZ20023399A3 (cs) Způsob získávání hodnotných látek z vedlejších produktů zpracování ovoce a zeleniny
JP2005179373A (ja) リンゴ果実由来のポリフェノール、及びその使用
JPH04103669A (ja) 紫サツマイモ色素の製法
AU2004317862B2 (en) Process for isolation of imperatorin from aegle marmelos correa
KR102157940B1 (ko) 저미시딘 a 및 저미시딘 b를 생산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디아스타티쿠스 아종 아데스시아쿠스 scs525 균주, 동 균주의 배양방법, 및 동 균주를 이용한 저미시딘 a 및 저미시딘 b의 생산방법
KR100353886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카카오 콩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WO200500945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ebitterised and defatted trigonella foenum graecum as well as formulations containing the same
US6589573B2 (en) Xanthine oxidase inhibi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JP2002087978A (ja) テロメラーゼ阻害剤
KR101359554B1 (ko) 도토리로부터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즈 저해물질의 제조 방법
KR20180076262A (ko) 블랙커런트 발효원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