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484A -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 Google Patents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484A
KR20030032484A KR1020010064287A KR20010064287A KR20030032484A KR 20030032484 A KR20030032484 A KR 20030032484A KR 1020010064287 A KR1020010064287 A KR 1020010064287A KR 20010064287 A KR20010064287 A KR 20010064287A KR 20030032484 A KR20030032484 A KR 2003003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bromine
cancer
weight
theobromine
caca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이기원
강경선
김동영
박형환
이만종
김한수
권익부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484A/ko
Priority to EP02013600A priority patent/EP1304046B1/en
Priority to EP06006945A priority patent/EP1707207A3/en
Priority to CNB2006100094146A priority patent/CN100571540C/zh
Priority to CNB021276080A priority patent/CN1250224C/zh
Priority to US10/223,104 priority patent/US6693104B2/en
Priority to JP2002270191A priority patent/JP2003137786A/ja
Publication of KR2003003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5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암 억제 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종의 잔틴 유도체인 데오브로민이 간암을 포함한 여러 암의 촉진 단계에서 발생하는 병리적 현상인 GJIC(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의 억제를 저해하고, 또한 암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Theobromine with Antitumor effects}
본 발명은 발암 억제 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종의 잔틴 유도체인 데오브로민이 간암을 포함한 여러 암의 촉진 단계에서 발생하는 병리적 현상인 GJIC(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의 억제를 저해하고, 또한 암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에 관한 것이다.
수십 년 동안 수술, 방사선요법, 그리고 화학요법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져 왔지만, 실질적으로 간암, 위암, 대장암을 포함한 대부분의 상피세포 암들의 발생률 및 이들에 의한 사망률은 줄어들지 않았다[Sporn, M. B., Lancet, 347:1377-1381, 1996]. 이러한 이유는 지난 30년 암을 예방적인 접근보다 치료적인 접근에 의해 연구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미 밝혀진 대로 수십 년 동안 지속되는 암의 다단계적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거나 늦출 수 있는 성분이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은 암의 발생 및 사망률을 낮추는데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최근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강진석 외, 화학적 암예방, 고려의학, 2000; Surh, Mutat. Res., 428 :305-327, 1998; Sporn, M. B., Lancet, 347:1377-1381, 1996; Caragay, A. B., Food Technol., 65-68, 1992].
암화 과정은 다단계로 되어있으며, 크게 개시, 촉진, 진행의 세 단계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암 예방 및 억제제를 찾는데 있어서, 비가역적이고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암의 개시 단계에 대한 저해제 보다는 실질적인 암 예방 및 억제제로서 암의 촉진 및 진행 단계의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강진석 외, 화학적 암예방, 고려의학, 2000; Surh, Y. J., Mutat. Res, 428:305-327, 1999; Sporn, M. B., Lancet, 347:1377-1381, 1996]. 특히, 약제와 달리, 식품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암의 예방 및 억제는, 가역적이고 20 년 이상의 장시간에 걸쳐 진행되는 촉진 단계의 저해 효능을 갖는 것이 비가역적이고 짧은 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촉진 단계보다 훨씬 현실적일 것이다[강진석 외, 화학적 암예방, 고려의학, 135-136, 2000; Yamasaki, H. et al, Carcinogenesis 11:1051-1058, 1999; Kelloff. G. J. et al., Eur. J. Cancer, 35:1755-1762, 1999; Surh, Y. J., Mutat. Res, 428:305-327]. 여러 조직에서 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GJIC(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의 억제는, 다단계의 암화 과정 중, 특히, 암의 촉진 단계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생화학적 지표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저해하는 물질은 암의 촉진 단계를 저해함으로써 암의 예방 및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강진석 외, 화학적 암예방, 고려의학, 135-136, 2000; Yamasaki, H. et al, Carcinogenesis 11:1051-1058, 1999; Kelloff. G. J. et al., Eur. J. Cancer, 35:1755-1762, 1999; Surh, Y. J., Mutat. Res, 428:305-327, 1999; Trosko, J. E., Cancer Res. 53, 3475-3485, 1993]. 또한, 암세포의 DNA 합성에 의한 증식은 암의 촉진 단계의 중요한 생화학적 지표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저해하는 물질은 암의 진행단계를 저해함으로써 암의 예방 및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강진석 외, 화학적 암예방, 고려의학, 135-136, 2000; Yamasaki, H. et al, Carcinogenesis 11:1051-1058, 1999; Kelloff. G. J. et al., Eur. J. Cancer, 35:1755-1762, 1999; Surh, Y. J., Mutat. Res, 428:305-327, 1999; Trosko, J. E., Cancer Res. 53, 3475-3485 (1993)].
커피, 차, 콜라, 초콜릿 등과 같은 여러 식품에는 잔틴유도체인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Bunker, M. L. et al., J. Am. Diet. A. 74:28-34, 1978; 이우주, 약리학강의, 의학문화사, 195-198, 1993]. 그러나, 카페인과는 달리 일종의 잔틴유도체인 데오브로민은 특이하게도 카카오 콩 및 콩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카카오 콩에는 데오브로민이 약 1.5 ∼ 3% 카카오 콩껍질에는 약 2% 정도 함유되어 있고, 카카오 콩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초콜릿과 같은 가공식품에는 약 0.2 ∼ 0.5% 정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은 카페인 함유량의 약 7 ∼ 10배에 해당되는 것이다[Barry, L. Z. et al., J. Food Sci., 45:314-316, 1982]. 잔틴유도체의 일반적인 약리 작용으로는 중추신경 흥분작용, 골격근 및 심근의 흥분작용, 평활근 및 관상동맥의 이완 효과, 위산분비 항진 및 이뇨 효과 등이 있다. 그러나, 데오브로민의 이러한 약리작용은 카페인보다 훨씬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우주, 약리학강의, 의학문화사, 195-198, 1993]. 또한, 카페인이 여러 식품에 널리 존재하고 다양한 약리 작용을 갖는데 반하여, 데오브로민은 카카오 콩 및 콩껍질에만 상당량 존재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카페인에 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카페인은 현재까지 위암 치료제의 상승작용[Takahashi, M. et al., Anticancer Res., 18:4399-4402, 1998; Japanese J. Cancer, 1992], 폐암의 저해작용[Cancer Res. 1982], 발암 유도 물질인 TPA(12-O-tetradecanoyphorbol -13-acetate)에 의해 유도되는 암화 과정의 저해 효과[Cancer Res. 1982] 등 일부 암의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녹차 및 홍차의 암 예방 효능에 있어서 폴리페놀 이외에 카페인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Yang. C. S., Biofactor. 1999; Huang, M.T. et al., Cancer Res. 57:2623-2629, 1997; Huang, M.T. et al., Lu, Y.P. et al., Caner Res. 61:5002-5009, 2001].
그러나, 지금까지 카카오 콩 및 카카오 콩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데오브로민의 암 예방 및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특히, 한국인 및 동양인들에게 가장 높은 발병률 및 사망률을 나타내는 간암 및 위암, 대장암에 대한 예방 및 억제 효능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식품 유래의 발암 억제제를 검색하던 중, 카카오 콩 및 카카오 콩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데오브로민이 생체내에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암 촉진 및 진행 단계에서 발생하는 GJIC의 억제를 저해하고, 또한 간암, 위암, 대장암 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효능을 가짐으로써 데오브로민이 발암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오브로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암억제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데오브로민이 쥐 간 상피 세포(rat liver epithelial cell)에서 생체내에 존재하는 주요한 암 촉진제인 H2O2에 의해 발생되는 GJIC의 억제를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a: 대조군, b: 400 μM H2O2처리군, c: 200 μM 데오브로민 + 400 μM H2O2처리군]
도 2는 데오브로민이 쥐 간 상피 세포에서 암 촉진제인 H2O2에 의해 발생되는 GJIC을 조절하는 주요한 단백질인 커넥신43(connexin43)의 고인산화(hyperphosphorylation)를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a: 대조군, b: 400 μM H2O2 처리군, c: 200 μM 데오브로민 + 400 μM H2O2처리군].
도 3은 데오브로민이 간암세포인 HepG2의 DNA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증식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데오브로민이 위암세포인 SNU1의 DNA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증식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데오브로민이 대장암세포인 SNUC2A의 DNA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증식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데오브로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억제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데오브로민이 암의 촉진 및 진행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인 GJIC(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의 억제 및 암 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여 증식을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암의 예방 및 억제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데오브로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카카오 콩으로부터 코코아 버터를 제거하고 남은 분획물(카카오 메스) 또는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50% 아세톤, 50% 에탄올 또는50% 메탄올[Duksan, Korea] 수용액 4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40 ∼ 70 ℃의 온도로 4 ∼ 6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를 반복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 건조시켜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추출물을 얻는다. 이 추출물을 공지의 방법인 Kreiser's method[Kreiser, W. R., et al, J. Assoc. Off. Anal. Chem., 61:1424-1428, 1978]에 의하여 HPLC를 이용하여 데오브로민을 분리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은 데오브로민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데오브로민에 대하여 GJIC의 억제 및 암세포의 증식 저해효과를 조사한다.
데오브로민은 암의 촉진 및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GJIC의 억제 및 암세포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암 예방 및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데오브로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또는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바, 상기 추출물 의약물 또는 식품첨가제로의 제조방법은 공지방법을 따른다.
의약물으로 제조시에는 데오브로민 그 자체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캡슐 또는 주사제 등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오브로민의 투여용량 수준은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데오브로민은 체중 1 ㎏당 0.1 내지 5 ㎎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는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한편, 식품첨가제로 제조시에는 음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본 발명의 데오브로민을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데오브로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식품첨가제는 암의 예방효과는 물론 억제효과에도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 카카오 콩으로부터 데오브로민의 분리
카카오 콩으로부터 코코아 버터를 제거하고 남은 분획물(카카오 메스) 1 중량부에 50% 아세톤[Duksan, Korea] 수용액 6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로 5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를 반복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 건조시켜 카카오 콩 및 콩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공지의 방법인 Kreiser's method [Kreiser, W. R., et al, J. Assoc. Off. Anal. Chem., 61:1424-1428, 1978]에 의하여 HPLC[Waters, USA]를 이용하여 데오브로민을 분리하였다.
참조예 2 : 카카오 콩껍질로부터 데오브로민의 분리
상기 참조예 1과 유사하게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50% 아세톤[Duksan, Korea] 수용액 6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로 5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를 반복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 건조시켜 카카오 콩 및 콩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공지의 방법인 Kreiser's method [Kreiser, W. R., et al, J. Assoc. Off. Anal. Chem., 61:1424-1428, 1978]에 의하여 HPLC[Waters, USA]를 이용하여 데오브로민을 분리하였다.
참조예 3 : 합성된 데오브로민
합성법에 의해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데오브로민[Sigma, USA]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카카오 콩, 콩껍질 및 합성법에 의해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데오브로민[Sigma, USA]의 암 예방 및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 암 촉진제인 H2O2에 의해 유발되는 GJIC 억제 및 이를 조절하는 주요한 단백질인 커넥신43(connexin43)의 고인산화 (hyperphosphorylation) 저해 효능, 그리고 간암, 위암 및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데오브로민의 GJIC 증가 효능
데오브로민이 생체 내에 존재하는 주요한 암 촉진물질인 H2O2에 의해 GJIC이 억제될 때, 주요한 현상인 갭 정션 채널(gap junction channel)의 억제 및 조절에 중요한 단백질인 커넥신43의 고인산화(hyperphosphorylation)를 저해하는지를 측정하였다.
<1-1> 데오브로민의 H 2 O 2 에 의한 갭 정션 채널 억제의 저해 효능
데오브로민의 H2O2에 의해 발생하는 갭 정션 채널 억제를 저해하는 효능을 갖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지의 방법인 Scrape Loding/Dye Transfer(SL/DT) assay[Upham, B. L., Kang, K. S., Cho, H. Y., & Trosko, J. E. Carcinogenesis 18:37-42, 1997]가 이용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세포의 갭 정션 채널의 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간세포로 WB-F344 세포를 사용하였다. D-배지에 FBS를 10%로 첨가하고, 페니실린(penicillin) 100 IU/㎖,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을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 배양기[Forma Scientific Co., Marjetta, OH, USA]에서 상기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에 사용한 배지 조성물들은 모두 GIBCO BRL[Grand Island, NY, USA]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간 세포를 2 ㎖ 플라스틱 디쉬(plastic dish)에 ㎖ 당 1 ×105개로 분주되어 4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디쉬에 배양된 세포는 여러 농도로 녹아있는 데오브로민을 함유한 배양액으로, 대조군은 배양액으로만 바꾸어 주었다. 4시간 후 여러 농도의 데오브로민을 생체내에 존재하는 주요한 암 촉진 물질인 H2O2와 함께 처치하였다. 1시간 후 루시퍼 옐로우(lucifer yellow) 염색액을 이용하여 갭 정션 채널의 억제를 저해하는 정도를 콘포컬 현미경[BioRad, Hercules, CA, USA]으로 측정하였다.
도 1에서 보여지듯이, 데오브로민은 200 μM의 농도에서 H2O2에 의해 억제되는 갭 정션 채널을 대조군 수준으로 완전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1-2> 데오브로민의 H 2 O 2 에 의한 커넥신43의 고인산화의 저해 효능
데오브로민이 생체 내에 존재하는 주요한 암 촉진물질인 H2O2에 의해 GJIC가 억제될 때 발생하는 주요한 현상인 커넥신43(connexin43)의 고인산화를 저해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 공지의 방법인 웨스턴 블랏팅 분석법(western blotting analysis)[Upham, B. L., Kang, K. S., Cho, H. Y., & Trosko, J. E. Carcinogenesis 18:37-42, 199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1-1>과 동일하게 배양된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1 mM 페닐메틸설포닐프루오라이드(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을 포함하는 20% SDS로 추출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DC assay kit[Bio-Rad Corp., Richmond, CA,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추출물들로부터 약 15 ㎍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12.5% SDS-PAGE에 넣어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커넥신43은 단일클론 항체[Zymed, South San Francisco, CA, USA]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ECL 키트[Amersham, Life Science, Denver, USA]를 이용하여 감지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나듯이, 데오브로민은 200 μM 이상의 농도에서 H2O2에 의해 발생하는 커넥신43의 고인산화를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도 1과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데오브로민은 간암을 포함한 여러 암의 촉진 과정의 병리적 현상으로서 생체 내의 주요한 암 촉진제인 H2O2에 의해 발생하는 GJIC의 억제[Upham, B. L., Kang, K. S., Cho, H. Y., & Trosko, J. E. Carcinogenesis 18:37-42, 1997; Yamasaki, H. et al, Carcinogenesis 11:1051-1058, 1999; Kelloff. G. J. et al., Eur. J. Cancer, 35:1755-1762, 1999; Surh, Y. J., Mutat. Res, 428:305-327, 1999; Trosko, J. E., Cancer Res. 53:3475-3485, 1993; Rosenkranz, H. S. et al, Carcinogenesis 21:1007-1011, 2000]를 저해함으로써 발암 억제 효능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 데오브로민의 간암 세포 증식(DNA 합성) 저해 효능
데오브로민의 간암 세포의 증식 저해 효능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지의 방법[Marshall, E. S. et al. European J. Cancer, 30A: 1370-1376, 1994]에 따라3H-타이미딘 업테이크 어세이(thymidine uptake assay)를 수행하였다. 간암세포의 증식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간암 세포로 HepG2 세포를 사용하였다. RPMI-1640 배지에 FBS를 10%로 첨가하고, 페니실린(penicillin) 100 IU/㎖,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을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 배양기[Forma Scientific Co., Marjetta, OH, USA]에서 상기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에 사용한 배지 조성물들은 모두 GIBCO BRL[Grand Island, NY, USA]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데오브로민 첨가에 의한 암세포주의 증식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한 HepG2 간암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 ×104개 세포를 분주하고, 상기 참조예 1, 2 및 3에서 얻은 데오브로민을 여러 농도로 첨가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기 6시간 전에 웰당 1 μCi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 회수 기구[Cambridge Scientific Inc.,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여 세포를 유리 섬유 필터[Brandel Inc., Gaithersburg, MA, USA]에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를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Wallac, Turku, Finland] 3 ㎖을 혼합하여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liquid scintillation counter)[Wallac, Turku, Finland]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라 3회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한 데오브로민의 농도가 점차 증가할수록 간암 세포의 DNA 합성이 저해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간암 세포의 증식 저해율이 처리한 데오브로민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 데오브로민의 위암 세포 증식(DNA 합성) 저해 효능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데오브로민을 위암 세포주인 SNU1에 여러 농도로 처리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한 데오브로민의 농도가 점차 증가할수록 위암 세포주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위암 세포의 증식 저해율이 처리한 데오브로민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 데오브로민의 대장암 세포 증식(DNA 합성) 저해 효과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데오브로민을 대장암 세포주인 SNUC2A에 여러 농도로 처리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한 데오브로민의 농도가 점차 증가할수록 대장암 세포주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대장암 세포의 증식 저해율이 처리한 데오브로민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데오브로민은 GJIC을 증가시키고, 간암, 위암, 대장암 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여 암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암의 예방 및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락토스 70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각 정제의 총량은 100 ㎎이고, 그 중 유효성분의 함량은 10 ㎎이다.
실시예 6: 분말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옥수수 전분 50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경질 캡슐에 분말 100 ㎎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독성 시험
본 발명의 데오브로민에 대하여 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데오브로민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이하 DMSO)에 용해하고 물로 희석한 후 이를 마우스(군당 10마리)에 각각 1 g/㎏을 투여한 다음 7일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실시예 8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데오브로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데오브로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당알콜 50 중량%, 환원물엿 4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데오브로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₁0.0001 중량%, 비타민 B₂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일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데오브로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98.7362 중량%와 데오브로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과일 엑기스 3.5 중량%, 과일 퓨레 4.8 중량%, 설탕 7.78 중량% 구연산 0.11 중량%, 향료 0.1 중량% 및 정제수 82.71 중량%와 데오브로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돈육 65.18 중량%, 계육 25 중량%, 전분 3.5 중량%, 대두단백 1.7 중량%, 식염 1.62 중량%, 포도당 0.5 중량% 및 글리세린 1.5 중량%와 데오브로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스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 중량%, DL-메티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데오브로민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키토올리고당 11.26 중량%, 마늘분말 0.2 중량%, 은행잎추출물 분말 0.2 중량%, 베타카로틴(30% 현탄액) 0.9 중량%, 알파토코페롤 1.2 중량%, 레시틴 1.2 중량%, 정제팜유 4.5 중량%, 황납 1.6 중량%, 대두유 18.994 중량%, 젤라틴 37.83 중량%, 글리세린 16.51 중량%, 에틸바닐린 0.09 중량% 이산화티타늄 0.076 중량% 및 식용색소 0.44 중량%와 데오브로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캡슐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데오브로민은 암의 촉진 및 진행 과정의 중요한 병리적 현상인 GJIC의 억제 및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발암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오브로민을 제제화하여 사용하면, 상기 물질을 식품 등급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도 안전하게 섭취하여 발암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분리 공정만으로도 높은 발암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하여 제재화하면 되므로 기존의 발암 억제제에 비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데오브로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암억제제.
    화학식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오브로민은 카카오 콩 및 콩껍질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암억제제.
  3.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데오브로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암 억제 효능을 갖는 식품첨가제.
    화학식 1
KR1020010064287A 2001-10-18 2001-10-18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KR20030032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87A KR20030032484A (ko) 2001-10-18 2001-10-18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EP02013600A EP1304046B1 (en) 2001-10-18 2002-06-20 Use of theobromine for preventinmg colon, gastric or liver cancer
EP06006945A EP1707207A3 (en) 2001-10-18 2002-06-20 Use of a food additive comprising theobromine for the prevention of colon, gastric or liver cancer
CNB2006100094146A CN100571540C (zh) 2001-10-18 2002-08-05 具有抗癌活性的可可碱
CNB021276080A CN1250224C (zh) 2001-10-18 2002-08-05 具有抗癌活性的可可碱
US10/223,104 US6693104B2 (en) 2001-10-18 2002-08-15 Theobromine with an anti-carcinogenic activity
JP2002270191A JP2003137786A (ja) 2001-10-18 2002-09-17 発癌抑制効能を有するテオブロミ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87A KR20030032484A (ko) 2001-10-18 2001-10-18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84A true KR20030032484A (ko) 2003-04-26

Family

ID=3693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287A KR20030032484A (ko) 2001-10-18 2001-10-18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93104B2 (ko)
EP (2) EP1304046B1 (ko)
JP (1) JP2003137786A (ko)
KR (1) KR20030032484A (ko)
CN (2) CN1005715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0513B2 (en) * 2004-06-10 2008-06-24 D & E Pharmaceuticals Food supplement formulation
EP1728434B1 (en) * 2005-05-31 2008-12-24 Kraft Foods R & D, In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olyphenol-enriched composition from cocoa shell extraction
US8580750B2 (en) 2005-07-29 2013-11-12 Tima Foundation Composition for moderating alcohol metabolism and for reducing the risk of alcohol induced diseases
WO2007016953A1 (en) * 2005-07-29 2007-02-15 Matuschka-Greiffenclau Markus Composition for reducing alcohol induced liver cancer risk
KR20100112613A (ko) * 2008-02-07 2010-10-19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테오브로민 고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SG10201500795WA (en) * 2010-02-12 2015-04-29 Theocorp Holding Co Llc Compositions comprising theobromine to improve mechanical strength of teeth
DE102012022778A1 (de) * 2012-11-22 2014-06-05 Siegfried Wegener Arzneimittel gegen krebs, herzinfarkt und tuberkulose sowie gegen sämtliche krankheiten
MX2015013241A (es) * 2013-03-15 2015-12-15 Theocorp Holding Company Llc Composiciones de teobromina utiles para incrementar el aumento de peso fetal y mejorar las propiedades ósea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862A (ko) 1988-11-10 1990-06-02 정보영 카카오 콩 껍질(cacao bean husk)추출물로부터 세파덱스 g-50(sephadex g-50)에의해 분획된 f-1, f-2의 글루칸 합성 저해물질
EP0511587A1 (en) * 1991-04-26 1992-11-04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limming composition
HUP9700654A2 (hu) * 1997-03-26 1999-09-28 Dezső Korbonits Teobromin tartalmú köhögéscsillapító készítmények
KR100319251B1 (ko) 1999-06-30 2002-01-05 한수길 충치 억제 효능을 지닌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0224C (zh) 2006-04-12
EP1304046A1 (en) 2003-04-23
EP1707207A2 (en) 2006-10-04
EP1304046B1 (en) 2006-05-24
CN1823626A (zh) 2006-08-30
US6693104B2 (en) 2004-02-17
CN1411813A (zh) 2003-04-23
US20030099686A1 (en) 2003-05-29
CN100571540C (zh) 2009-12-23
JP2003137786A (ja) 2003-05-14
EP1707207A3 (en)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244B1 (ko) 길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9174A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60138929A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30270805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lder tree or the isolated compounds therefrom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keleton muscle-related disorder and the use thereof
KR100460103B1 (ko)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소화기계 발암 억제제
KR20030032484A (ko) 발암 억제효능을 갖는 데오브로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14723A (ko) 상백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2―아릴벤조퓨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8137976A (ja) 脂肪蓄積抑制剤
KR101830222B1 (ko) 포도 줄기 껍질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2068198B1 (ko) 털이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41564B1 (ko) 간암 억제 효능을 갖는 메밀 및/또는 메밀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식품 조성물
KR100441566B1 (ko) 간암 억제 효능을 갖는 메밀 및/또는 메밀껍질 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약제 조성물
JP2009126790A (ja) 血流改善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102058323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8686B1 (ko)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101747044B1 (ko) 크리스타진을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52425B1 (ko) 허수테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JP2021187791A (ja)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キナーゼα活性化剤
KR101327318B1 (ko) 노랑꽃창포 종자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20200023234A (ko)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07385A (ko) 허수테논을 함유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101188775B1 (ko) 장생도라지 유래의 조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7887A (ko) 덴드란테마 보레알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20

Effective date: 200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