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628A -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628A
KR20010004628A KR1019990025322A KR19990025322A KR20010004628A KR 20010004628 A KR20010004628 A KR 20010004628A KR 1019990025322 A KR1019990025322 A KR 1019990025322A KR 19990025322 A KR19990025322 A KR 19990025322A KR 20010004628 A KR20010004628 A KR 2001000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network
lan
wireless la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25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4628A/ko
Publication of KR2001000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랜과 무선랜을 병렬로 구현하여 유선랜 이상시 무선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통신혼잡을 줄일 수 있으며 사고로 인한 유선매체 단절시되는 비상시 무선매체를 사용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SWITCHING APPARATUS OF DUAL NETWORK USING WIRE LAN AND WIRELESS LAN}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랜과 무선랜을 병렬로 구현하여 유선랜 이상시 무선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통신혼잡을 줄일 수 있으며 사고로 인한 유선매체 단절시되는 비상시 무선매체를 사용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선랜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구성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종래 유선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은 호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그룹(SC11∼SC16)과, 이들 서브그룹(SC11∼SC16) 각각과 유선랜을 통해서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웨이(GW11∼GW16)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나의 게이트웨이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게이트웨이의 기능은 각 그룹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이루어진 종래 유선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는 유선랜으로 구축되어 있는 관계로, 유선매체의 통신혼잡이 초래되면 통신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과, 또한 천재지변이나 기타 사고로 인하여 유선매체의 단절이 초래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단절되는 문제점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랜과 무선랜을 병렬로 구현하여 유선랜 이상시 무선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통신혼잡을 줄일 수 있으며 사고로 인한 유선매체 단절시되는 비상시 무선매체를 사용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유선랜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C21∼SC26 : 서브 그룹 GW21∼GW26 : 게이트웨이
H21 : 호스트 HUB1,HUB2 : 허브
AP1,AP2 : 억세스포인터 ND1,ND2 : 망 검출기
SW1,SW2 : 스위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에 있어서, 서브 그룹과 게이트웨이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허브쌍; 서브 그룹과 게이트웨이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억세스포인터쌍; 상기 허브쌍간의 유선상태를 검출하고, 유선이상시 절환신호를 제공하는 망 검출기쌍; 상기 망 검출기의 절환신호에 따라 호스트에 접속된 공통접속을 허브에 접속된 노말온접점에서 노말오프접점으로 절환시키는 스위치쌍;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의 구성도로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네트워크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그룹(SC11∼SC16)과, 이들 서브그룹(SC11∼SC16) 각각과 유선랜과 뮤선랜을 통해서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웨이(GW11∼GW16)를 포함하고 있다.
도3은 도2의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의 구성도로서,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는 서브 그룹(SC21)과 게이트웨이(GW21)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허브의 쌍(HUB1,HUB2)과, 서브 그룹(SC21)과 게이트웨이(GW21)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억세스포인터의 쌍(AP1,AP2)과, 상기 허브의 쌍(HUB1,HUB2)간의 유선상태를 검출하고, 유선이상시 절환신호를 제공하는 망 검출기의 쌍(ND1,ND2)과, 상기 망 검출기(ND1,ND2)의 절환신호에 따라 호스트(H21)에 접속된 공통접속(C)을 허브(H21)에 접속된 노말온접점(b)에서 노말오프접점(a)으로 절환시키는 스위치의 쌍(SW1,SW2)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그룹(SC21∼SC26)내 호스트와 게이트웨이(GW21)가 랜통신을 하기 전에, 망검출기(ND1,ND2)는 유선매체에 대한 상태검출을 주기적으로 검출하는데, 이 검출동작은 망 검출기(ND1,ND2)는 호스트(H21)와 게이트웨이(GW21)사이의 유선에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대응되는 망 검출기(ND2)로부터 검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의 유무에 따라 유선매체의 상태를 인식하는데, 즉 사전에 설정된 이상판단 기준시간내에 응답신호가 있으면 유선매체가 정상으로 판단하고, 사전에 설정된 이상판단 기준시간내에 응답신호가 없으면 유선매체가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이와같이 망 검출기(ND1,ND2)가 유선매체의 상태가 비정상임을 판단한 경우에는 절환신호를 출력하고, 이에따라 스위치(SW1,SW2)는 노말온접점에서 노말오프접점으로 절환된다.
상기 검출결과로서, 유선매체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유선으로 연결된 유선랜 및 허브를 통해서 호스트와 게이트웨이가 유선랜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반면 유선매체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랜 및 억세스포인터를 통해서 호스트와 게이트웨이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유선랜과 무선랜간의 절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유선랜통신과 무선랜통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망 검출기(ND1,ND2)는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에 절환신호를 제공하지만, 또한 통신혼잡을 판단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혼잡판단 기준시간내에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통신혼잡상태로 인식하여 절환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통신혼잡시에도 무선랜 및 억세스포인터를 이용하여 호스트와 게이트웨이간에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랜과 무선랜을 병렬로 구현하여 유선랜 이상시 무선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통신혼잡을 줄일 수 있으며 사고로 인한 유선매체 단절시되는 비상시 무선매체를 사용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3)

  1.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에 있어서,
    서브 그룹과 게이트웨이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허브쌍;
    서브 그룹과 게이트웨이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억세스포인터쌍;
    상기 허브쌍간의 유선상태를 검출하고, 유선이상시 절환신호를 제공하는 망 검출기쌍;
    상기 망 검출기의 절환신호에 따라 호스트에 접속된 공통접속을 허브에 접속된 노말온접점에서 노말오프접점으로 절환시키는 스위치쌍;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검출기는
    유선매체 검사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유선매체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이상판단 기준시간내에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에 절환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검출기는
    유선매체 검사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유선매체를 통해 통신혼잡판단을 위해 사전에 설정된 혼잡판단 기준시간내에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에 절환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KR1019990025322A 1999-06-29 1999-06-29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KR20010004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322A KR20010004628A (ko) 1999-06-29 1999-06-29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322A KR20010004628A (ko) 1999-06-29 1999-06-29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628A true KR20010004628A (ko) 2001-01-15

Family

ID=1959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322A KR20010004628A (ko) 1999-06-29 1999-06-29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462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80A (ko) * 2001-11-17 2003-05-23 양건웅 무선랜 이중화를 통한 안정된 레이저 망 전송 사업 방법
KR100523076B1 (ko) * 2002-02-16 2005-10-24 유재희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18300B1 (ko) * 2004-09-07 2007-05-14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현장장비 제어시스템
KR100808795B1 (ko) * 2003-12-23 2008-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된 네트워크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운반용 크레인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0963971B1 (ko) * 2008-08-06 2010-06-15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KR20190052982A (ko) * 2017-11-09 2019-05-1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무선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80A (ko) * 2001-11-17 2003-05-23 양건웅 무선랜 이중화를 통한 안정된 레이저 망 전송 사업 방법
KR100523076B1 (ko) * 2002-02-16 2005-10-24 유재희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808795B1 (ko) * 2003-12-23 2008-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된 네트워크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운반용 크레인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0718300B1 (ko) * 2004-09-07 2007-05-14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현장장비 제어시스템
KR100963971B1 (ko) * 2008-08-06 2010-06-15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KR20190052982A (ko) * 2017-11-09 2019-05-1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무선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3144A (en) Duplexed bus type network with failure changeover
KR20010004628A (ko)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KR100394270B1 (ko) 고속의 점대점 직렬 버스를 사용하는 간단한 엔클로져서비스
JP3381997B2 (ja) 電流差動継電装置
JPS62263599A (ja) 住宅群管理システム
JP3662299B2 (ja) 通信システム
JPS59100642A (ja) 信号断警報回路
KR960035369A (ko) 교통 관제 시스템의 분산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691540B2 (ja) 監視制御方式
JPS637056A (ja) 電源断通知回路
JPH0326123A (ja) 端局中継装置
JPS63285041A (ja) マスタ/スレ−ブ切替方式
JPH0954739A (ja) 回線アダプタ
CN101146369B (zh) 用于光同步数字传输系统的总线选择方法及装置
KR100450399B1 (ko)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의 일시적인 이중화 채널 통신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이중화 프로세서 상태 감시방법
JP2007122582A (ja) 警報監視システム
JPH05235975A (ja) 光リングlanシステム
JPH04207820A (ja) 監視信号伝送方法
JPS6257354A (ja) 二重化構成装置における現用ユニット設定方式
JPH07226751A (ja) 障害媒体自動切換機能付タップ
JPH0231535B2 (ko)
JP200614876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4355506A (ja) リダンダント機能付増幅器
JP200418721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JPH0740706B2 (ja) 監視試験情報切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