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971B1 -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 Google Patents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971B1
KR100963971B1 KR1020080077029A KR20080077029A KR100963971B1 KR 100963971 B1 KR100963971 B1 KR 100963971B1 KR 1020080077029 A KR1020080077029 A KR 1020080077029A KR 20080077029 A KR20080077029 A KR 20080077029A KR 100963971 B1 KR100963971 B1 KR 10096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service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315A (ko
Inventor
안수호
김영식
최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7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9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9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양태(Aspect)는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서버, 및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운용정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감시 서버 사이의 네트웍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운용정보를 상기 운용정보 서버에 제공하는 운용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77029
운용정보, 감시 서버, 운용정보 관리, 시스템 관리

Description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서비스 서버{System, method and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management information of a server wirelessly}
본 발명은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의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기술 및 통신망이 급속도록 발전하면서, 다양한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정보에 대한 서비스 속도, 서비스 융합, 서비스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포탈 서비스, 게임 서비스, 기업용 포탈 서비스, 은행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리함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대부분 초고속통신망 들을 통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각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터미널을 통하여 모두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들어, 서비스 사용자가 증가하고 서비스 지역이 전세계적으로 확장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들을 관리하고 적절히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서비스 제공자는 감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감시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감시 시스템이 소실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이를 적절히 보완해 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비스 서버가 감시 서버와 네트웍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운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및 서비스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양태(Aspect)는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서버; 및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운용정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감시 서버 사이의 네트웍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운용정보를 상기 운용정보 서버에 제공하는 운용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일 양태는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수 행부; 상기 서비스 수행부의 서비스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운용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운용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의 일 양태(Aspect)는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운용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서버 사이의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웍 연결 상태가 끊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에 포함된 운용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터미널(110_1, 110_2, 110_3), 서비스 망(150), 감시 서버(250), 감시 터미널(260_1, 260_2), 이통 통신망(300), 사용자 단말(100_1, 100_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망(150)은 일반적인 통신망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망(150)은 포탈 서비스, 은행 업무 서비스, 기업용 포탈 서비스, 게임 서비스, 홍보용 포탈 서비스, 결재 및/또는 과금 서비스, 공공업무 서비스 등을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서비스 망(150)과 후술할 이동 통신망(300)은 각기 다른 통신망을 지칭한다.
서비스 망(150)은 내부적으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 및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은 사용자 터미널(110_1, 110_2, 110_3)로부터 다양한 입력 및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말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의 운용정보를 수집하여 후술할 감시 서버(250)에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지역적으로 분포되거나 또는 하나의 블록으로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서 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로부터 운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의 사용자 로그 인/아웃 정보, 데이터 이동량 정보, 알람 정보, 감지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용정보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160_1, 160_2, 160_3, 160_4)가 운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160_1, 160_2, 160_3, 160_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개별적인 서비스 제공 서버(160_1, 160_2, 160_3, 160_4)가 될 수도 있다. 이 때, 서비스 서버(200) 자체의 운용정보를 감시 서버(250)에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 통신망(300)에 운용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후술할 감시 서버(250)와 네트워크 연결이 종료되거나 끊기는 경우에 운용정보를 감시 서버(250)에 제공할 수 없다. 이 때,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 통신망(300)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300)에 제공한다.
감시 서버(250)는 운용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받는다. 감시 서버(250)는 감시 터미널(260_1, 260_2)을 통하여 운용정보를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는 감시 터미널(260_1, 260_2)을 통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주기로 서비스 망의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의 운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관리자는 감시 터미널(260_1, 260_2)을 이용하여 각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 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망(3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운용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는다. 이동 통신망(300)은 수신한 운용정보를 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_1, 100_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_1, 100_2)은 이동 통신말(30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접근하거나 또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160_1, 160_2, 160_3, 160_4),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격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망(150)이 감시 서버(250)와의 네트웍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 제공한다. 따라서, 중단 없이 서비스 망(15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 및/또는 서비스 서버(200)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망(150)을 감시하는 감시 서버(250)의 문제가 발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망(150)을 관리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서비스 망(150)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수행부(210), 운용정보 수집부(220), 네트웍 상태 감지부(230) 및 운용정보 전송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수행부(210)는 서비스 망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수행부(210)는 소정의 서비스 서버(200)가 수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수행부(210)는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들(160_1, 160_2, 160_3, 160_4)을 각각 지칭할 수도 있다.
운용정보 수집부(220)는 서비스 수행부(210)의 운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운용정보는 서비스 수행부(210)의 서비스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수행시의 로그 정보(로그인/아웃 정보), 데이터 이동량 정보, 알람 정보, 감지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웍 상태 감지부(230)는 서비스 서버(200) 및 감시 서버(250) 사이의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한다. 네트웍 상태 감지부(230)는 운용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200)와 운용정보를 전송받는 감시 서버(250)와의 네트웍 연결이 종료되었는지를 감지한다. 네트웍 상태 감지부(230)는 네트웍 연결이 끊기거나, 네트웍 연결이 감시 서버(250)의 문제로 인하여 종료되는 경우를 감지한다.
운용정보 전송부(240)는 이동 통신망(300)으로 운용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운용정보 전송부(240)는 서비스 서버(200) 및 감시 서버(250) 사이에 네트웍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3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운용정보 전송부(240)는 무선을 통하여 이동 통신망(300)의 운용정보 서버(350)에 운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운용정보 서버(350)는 이동 통신망(300) 내에 위치하여 수신된 운용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일명, WCDMA 망)은 사용자 단말(100), 무선 접속망(UTRAN; UMTS Terrestrial RAN, 500) 및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며 외부망(40)과의 접속에 응답하는 코어망(Core Network;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MTS 통신망을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이라 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사용자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 기기(UE; User equipment; 13) 및 사용자 카드(USIM: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운용정보 서버(350)으로부터 운용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UMTS 망 또는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망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500)은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한 기지국(22) 및 기지국 제어기(24)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2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신호 등을 코어망으로 전송한다.
기지국(22)은 기지국 제어기(24)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기지국(22)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2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며, 기지국(22)을 제어한다. 기지국 제어기(24)는 유무선 채널 관리, 이동 통신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코어망(Core Network; 600)과의 프로토콜 정합,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회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31)는 기지국(22)에서 착신 또는 발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며, 이동통신 가입자 상호 간의 교환, 이동통신 가입자와 PSTN, ISDN 등의 고정망 가입자와의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회선 교환기(31)는 가입자로부터 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을 포함할 수 있다.
회선교환 게이트웨이(GMSC; 32)는 회선 교환기(31)를 통하여 외부망(40)과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모든 회선교환 접속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상기 회선 교환기(31)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포함하여 회선 교환부(33)로 칭할 수 있고, 회선 교환부(33)는 회선교환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화로를 개설한다.
패킷교환 지원 노드는(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35)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패킷교환 지원 노드(35)는 일시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36)는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WDCMA망과 인터넷 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패킷교환 지원 노드(35)와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36)를 포함하여 패킷 교환부(37)로 칭할 수 있다. 패킷 교환부(37)는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 패킷(Packet)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외부망(40)은 회선교환부(100) 또는 패킷교환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망이다. 회선교환부(100)는 음성 통화 등 회선(circui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회선교환부(100)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일 수 있다. 패킷교환부(200)는 패킷(Packe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패킷교환부(200)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망일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52)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센터(AuC)는 인증 벡터를 생성하며 가입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인증센터(AuC)는 홈 위치 등록기(HLR)와 같이 맞물려 있고 이들은 상호간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운용정보 서버(350)는 UMTS 통신망의 외부에 위치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운용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200)는 무선 모뎀(미도시)을 통하여 기지국(22)과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여, 운용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운용정보를 전송받은 기지국은 운용정보 서버(350)에 운용정보를 전달한다. 운용정보 서버(250)는 운용정보를 저장하며, 운용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운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운용정보 서버(350)는 운용정보를 보여주는 운용정보 웹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정보 서버(350)는 운용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운용정보 웹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알려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URL 주소를 곧바로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해당 운용정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운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 서버(200)는 운용정보를 수집한다(S710). 서비스 서버(200)는 지속적으로 감시 서버와의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한다(S720). 네트웍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마다 감시 서버에 운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감시 서버와의 네트웍이 끊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 통신망(300)을 통하여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300) 내에 위치하는 운용정보 서버(350)에 전송한다(S730). 서비스 서버(200)는 탑재되어 있는 무선 모뎀을 활성화 시켜, 이동 통신망(300)의 기지국과 무선 채널을 형성하여 운용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전송받은 운용정보를 코어망 내에 위치하는 운용정보 서버(350)에 전달한다.
운용정보 서버(350)는 운용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운용정보를 전송한다(S740). 운용정보 서버(350)는 운용정보를 웹 페이지 또는 인터넷 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운용정보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운용정보 서버(35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해당 운용정보 웹 서버의 URL 주소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 서버와의 네트웍이 끊어지는 경우에, 서비스 서버(200)의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300)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감시를 중단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서비스 서버(200)의 운용정보를 전달 받거나 또는 운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에, 언제 어디서든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운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의 운용정보를 운용정보 서버에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 서버(200)는 탑재되어 있는 무선 모뎀을 활성화시킨다(S810). 서비스 서버(200)는 무선 모뎀 활성화를 시키면서, 서비스 서버(200)가 속하는 영역을 커버하는 기지국과 시그널을 주고 받는다. 따라서, 기지국과 서비스 서버 사이에는 무선 채널이 형성된다(S820). 무선 채널 형성에 의하여 서비스 서버(200)는 기지국으로 운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30). 기지국은 운용정보를 수신하여, 코어망에 위치하는 운용정보 서버(350)에 전달한다(S840).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른 통신망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200)의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300)을 통하여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운용정보 서버(350)에 전달된 운용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요구하는 경우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될 수 있어, 이동성이 편리한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하게 서비스 서버(200)의 운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운용정보를 운용정보 서버에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_1, 110_2, 110_3: 사용자 터미널
260_1, 260_2: 감시용 터미널
160_1, 160_2, 160_3, 160_4: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서비스 서버
210: 서비스 수행부 220: 운용정보 수집부
230: 네트웍 상태 감지부 240: 운용정보 전송부
250: 감시 서버 300: 이동 통신망
100, 100_1, 100_2: 사용자 단말
500: 무선 접속망
600: 코어망
40: 외부망

Claims (15)

  1.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서버; 및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운용정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감시 서버 사이의 네트웍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 상기 운용정보를 상기 운용정보 서버에 제공하는 운용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 서버는 상기 운용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운용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 및 감지 서버 사이의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네트웍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운용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로그 정보, 데이터 이동량 정보, 알람 정보, 감지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 서버는 상기 운용정보를 보여주는 운용정보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 서버는 상기 운용정보 웹 서버의 URL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 사이에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원격 조정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9.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수행부;
    상기 서비스 수행부의 서비스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운용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운용정보 전송부; 및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전송받는 감시 서버와의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네트웍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용정보 전송부는 상기 네트웍 연결 상태가 끊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집된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 전송부는 HSPA(High Speed Packet Access)를 지원하는 무선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모뎀을 활성화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내의 운용정보 서버에 상기 운용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12. 서비스 망을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운용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서버 사이의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웍 연결 상태가 끊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에 포함된 운용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 서버가 수신한 상기 운용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에 포함된 운용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운용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된 운용정보를 상기 운용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정보를 이동 통신망에 포함된 운용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무선 모뎀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무선 모뎀을 통하여 상기 운용정보를 상기 운용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KR1020080077029A 2008-08-06 2008-08-06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KR10096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29A KR100963971B1 (ko) 2008-08-06 2008-08-06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29A KR100963971B1 (ko) 2008-08-06 2008-08-06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315A KR20100018315A (ko) 2010-02-17
KR100963971B1 true KR100963971B1 (ko) 2010-06-15

Family

ID=4208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029A KR100963971B1 (ko) 2008-08-06 2008-08-06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9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59A (ko) * 2000-10-11 2001-01-05 송형석 무선장비를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04628A (ko) * 1999-06-29 2001-01-15 이형도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JP2004158939A (ja) 2002-11-05 2004-06-03 Nec Engineering Ltd ディジタル無線装置
KR20060081862A (ko) * 2005-01-10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망 구성 요소에 대해 독립적인 에이전트를 이용한 망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628A (ko) * 1999-06-29 2001-01-15 이형도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KR20010000659A (ko) * 2000-10-11 2001-01-05 송형석 무선장비를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4158939A (ja) 2002-11-05 2004-06-03 Nec Engineering Ltd ディジタル無線装置
KR20060081862A (ko) * 2005-01-10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망 구성 요소에 대해 독립적인 에이전트를 이용한 망 관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315A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680B1 (ko)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453814B2 (en) Method of tracing and monitoring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9371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osing custom per flow descriptor attributes
US9591560B2 (en) Temporary credential assignment when connecting to roaming wireless networks
US9198223B2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160285688A1 (en) Policy Formulating Method, Policy Server, and Gateway
US11425764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reporting establishment causes
US20180091581A1 (en) Method of switching download mod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system thereof
US20160338015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WI640214B (zh) 一種網路接入方法、相關設備和系統
CN107889175A (zh) 网络切换方法、装置及系统,网络接入方法及装置
US2023041321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20220158018A (ko) 접속 수립 방법, 통신 장치, 및 시스템
US9699709B2 (en) Non-invasive differentiated wireless transmission detection
KR102003739B1 (ko) 액세스 노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방법 및 장치
US10264480B2 (en) Identifying volte to different technology types
KR100963971B1 (ko) 서버 운용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서비스 서버
US9839057B2 (en) Methods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US20050027808A1 (en) Method for utilizing software in terminal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CN116846771A (zh) 业务操作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1043163B1 (ko) 바이패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218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telephon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98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based automatic identity switching for a device in a private network
KR101060898B1 (ko) 이종망간의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55912B1 (ko) 공유기 환경에서 공유 단말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