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669U -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669U
KR20010001669U KR2019990012152U KR19990012152U KR20010001669U KR 20010001669 U KR20010001669 U KR 20010001669U KR 2019990012152 U KR2019990012152 U KR 2019990012152U KR 19990012152 U KR19990012152 U KR 19990012152U KR 20010001669 U KR20010001669 U KR 200100016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enter
center chamber
main body
contain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90012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669U/ko
Publication of KR20010001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66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61D45/007Fix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60Y2200/33Rail cars; Waggons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화차의 센터실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실(5)을 횡방향으로 연결결합하는 다수의 가로부재(6), 이들 가로부재 (6)가 연결접합되는 센터실 및, 이 센터실과 사이드실(5)의 양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엔드실(8)을 구비한 컨테이너화차에 있어서, 상기 센터실(7)이 대략 역∪자 형상을 한 본체(10)의 양쪽 끝부분에 베이스부(11)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드(12)가 연속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Centersill for Container Wagon}
본 고안은 컨테이너 화차에 설치되는 센터실(Center Sil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형 구조로 하고 보강부를 형성시키므로써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저감함은 물론 구조물전체의 강성도 향상되도록 한 컨테이어화차용 센터실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와 같이 중량(重量)의 화물을 운반하는데에 사용되는 화차(貨車)는 화물을 최대한 적재한 컨테이너를 운반할 때를 가정하여 이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1쌍의 사이드실을 횡방향으로 연결결합하는 다수의 가로부재와, 이들 가로부재가 연결접합되는 센터실 및 이 센터실과 사이드실의 선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엔드실이 상호 복합적으로 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한편 상기 센터실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판형상을 한 상판(1)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1쌍의 웨브판(2)과, 이들 각각의 웨브판(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접합된 보강앵글(3)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를 한 센터실(4)은 다수개의 단품, 즉 상판(1)과 웨브판 (2) 및 보강앵글(3)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각을 별도로 제작하는데에 어려움이 있고, 전체 구조물의 중량이 무거울 뿐 아니라 연결접합시에는 용접을 하도록 되어 있어서 용접 후 발생되게 되는 변형현상으로 인해 품질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체형 구조로 하고 보강부를 형성시키므로써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저감함은 물론 구조물전체의 강성도 향상되도록 한 컨테이어화차용 센터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차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차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센터실을 개략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센터실의 정면도이다.
1 --- 상판, 2 --- 웨브판,
3 --- 보강앵글, 4 --- 센터실,
5 --- 사이드실, 6 --- 가로부재,
7 --- 센터실, 8 --- 엔드실,
9 --- 컨테이너화차, 10 --- 본체,
11 --- 베이스부, 12 --- 비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이드실을 횡방향으로 연결결합하는 다수의 가로부재, 이들 가로부재가 연결접합되는 센터실 및, 이 센터실과 사이드실의 양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엔드실을 구비한 컨테이너화차에 있어서, 상기 센터실이 대략∩자 형상을 한 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베이스부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드가 연속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차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차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센터실을 개략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1쌍의 사이드실(5)을 횡방향으로 연결결합하는 다수의 가로부재(6)와, 이들 가로부재(6)가 연결접합되는 센터실(7) 및, 이 센터실(7)과 사이드실(5)의 양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엔드실(8)을 구비한 컨테이너화차(9)에 있어서, 상기 센터실(7)이 대략∩자 형상을 한 본체(10)의 양쪽 끝부분에 바깥쪽으로 되향되도록 베이스부(11)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드 (12)가 연속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비드(12)는 1개 이상 형성시킬 수 있고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들간의 간격을 균등하게 하거나 임의대로 조절할 수도 있는 바, 이 비드의 숫자나 간격은 비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센터실(7)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어 종래 사용구조와 같이 제작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화차의 전체중량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데, 즉, 종래에는 단품으로 된 상판(1)과 웨브판(2) 및 보강앵글(3)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서 용접으로 이들을 상호 연결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들을 취급하기 불편하고 전체적인 중량도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 고안과 같이 일체형으로 센터실(7)을 제조하게 되면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화차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자체강성을 향상할 수 있고 용접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용접변형으로 인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에 의하면, 일체형 구조로 하고 보강부를 형성시키므로써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저감할 수 있슴은 물론 구조물전체의 강성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사이드실(5)을 횡방향으로 연결결합하는 다수의 가로부재(6), 이들 가로부재 (6)가 연결접합되는 센터실 및, 이 센터실과 사이드실(5)의 양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엔드실(8)을 구비한 컨테이너화차에 있어서,
    상기 센터실(7)은 대략 역∪자 형상을 한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하부 양쪽에 절곡형성된 베이스부(11)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비드(12)가 연속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12)가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실(7)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KR2019990012152U 1999-06-30 1999-06-30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KR200100016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152U KR20010001669U (ko) 1999-06-30 1999-06-30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152U KR20010001669U (ko) 1999-06-30 1999-06-30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69U true KR20010001669U (ko) 2001-01-26

Family

ID=5476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152U KR20010001669U (ko) 1999-06-30 1999-06-30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66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792A (en) Fabricated load support structural member
CA1234723A (en) Low level freight car
US20060061142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RU2603175C1 (ru) Конфигурация рамы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6672653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JPH0976938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S5889475A (ja) 自動車の前後方向強度部材
JP2008006961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JP2019116262A (ja) 側方車体補強構造
CN102464025B (zh) 车辆用侧梁部构造
JPH11291937A (ja) 梁装置
US7032928B2 (en) Vehicle frame
WO2015076124A1 (ja) 車体後部構造
JPH0122784Y2 (ko)
KR20010001669U (ko) 컨테이너화차용 센터실
CN215205063U (zh) 货车车架和具有其的载货车辆
CN205256444U (zh) 一种用于连接在汽车后地板与后轮罩之间的加强梁总成
JPH11139348A (ja) 自動車のパーティションパネルの補強構造
KR20220151799A (ko) 차체
CN207631072U (zh) 一种自卸车车厢结构
CN217100163U (zh) 一种u型自卸车及其车厢底架
CN213083321U (zh) 一种座椅横梁的连接件
CN212579707U (zh) 自卸车货箱底板装置
CN213168291U (zh) 用于车辆的a柱加强结构及具有其的车辆
CN220905131U (zh) 货车白车身结构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