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373A -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373A
KR20010000373A KR1020000056048A KR20000056048A KR20010000373A KR 20010000373 A KR20010000373 A KR 20010000373A KR 1020000056048 A KR1020000056048 A KR 1020000056048A KR 20000056048 A KR20000056048 A KR 20000056048A KR 20010000373 A KR20010000373 A KR 20010000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ltrasonic
extract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봉휴
김동권
김원근
신재섭
Original Assignee
최만철
케이. 씨. 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철, 케이. 씨. 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만철
Priority to KR102000005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373A/ko
Publication of KR2001000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Polyglycer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카복실비닐폴리머(Carboxylvinylpolymer),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thylenediaminetetraacetate) 및 식물 추출물 등으로 제조된 초음파 미용용 겔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 (Polyglycerylmethacrylate)0.1∼5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0.1∼5중량부, 카복실비닐폴리머(Carboxylvinylpolymer)0.1∼5중량부, 글리세린 (Glycerine)0.1∼5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0.1∼5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롤로스(Hydroxyethylcellulose)0.1∼5중량부,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thylenediaminetetraacetate)0.0005∼0.1중량부 등을 뜨거운 3차 증류수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0.2∼3중량부,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0.01∼5중량부,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ImidazolidinylUrea)0.01∼5중량부 등을 첨가하여 용해 시킨 후, 식물성 추출물인 뽕나무 추출물(Mulberry Root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쌀보리 추출물(Borigasol)0.0001∼5중량부 등의 첨가제들을 첨가하여 2∼3시간 가온(35∼90℃), 교반(30∼3000rpm)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완전탈포 및 진공살균, 진공포장 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미용용 겔로써 초음파가 인체의 내부로 전파될 때 공기 중으로 산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달매질의 기능에 향장품의 기능을 부여하여 피부 보습력이 뛰어나며, 약리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조된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 미용용 겔로써 초음파 검사용, 초음파 응용 피부 관리기용, 재활 치료용, 온 적외선 미용기 사용시 미용용 겔로 사용하는 방법

Description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Synthetic method and Ultrasound transmisson cosmetic gel}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Polyglycer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카복실비닐폴리머(Carboxylvinyl polymer),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thylenediaminetetraacetate) 및 식물 추출물 등으로 제조된 초음파 미용용 겔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는 음의 일종으로 우리들 인간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것으로,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은 16Hz∼18KHz 정도로 이보다 높은 음을 초음파라고 말한다. 초음파는 60여년 전부터 사용되고 있는데 인체에 발산하여 각 장기에서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그래픽 영상화하여 산부인과에서 태아의 감시나 내과에서 내장기능을 검사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재활치료에서는 초음파 물리치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초음파를 미용에 응용하게 된 것은 최근의 일로 주요 피부관리 장비로써 전문 피부관리 숍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초음파 미용기에 사용되는 겔은 초음파 검사용 겔이나 영양크림을 사용하는데 진단용 겔은 단순히 전달매질의 역할을 하며 영양크림은 보통 유화제로써 사용감이 떨어진다.
미국특허공보 공보번호 제2,791,534호에서는 스테로이드를 이용하여 주름방지 활성을 갖는 제제로 사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미국특허공보 공보번호 제4,474,763호에는 주름방지 활성을 갖는 피부단백질인 엘라스틴과 프레그네놀론이 함유된 주름방지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특허등록공보 공고번호 제10-2000-249048호에는 금속 베헤내인트를 함유하는 스틱 및 제익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국내특허등록공보 공고번호 제10-1999-203521호에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가 함유된 유화물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고,국내특허등록공보 공고번호 제 10-1998-163516호에는 실리콘 유화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특허등록공보 공고번호 제10-1999-222641호에는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질 제거용 패치타입 팩제가 기재되어 있고, 국내특허등록공보 공보번호제10-1999-190990호에는 다량의 오일 및 보습제를 함유하면서도 유화입자가 미세한 저점성의 유화물에 관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특허등록공보 공고번호 제10-2000-258674호에는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고 있을뿐 초음파 미용기, 초음파 응용 피부 관리기, 재활 치료기 및 온 적외선 미용기와 같은 응용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음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가 인체의 내부로 전파될 때 공기 중으로 산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달매질의 기능에 향장품의 기능을 부여한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보습력이 뛰어나며, 약리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조된 초음파 미용용 겔로써 초음파 검사용, 초음파 응용 피부 관리기, 물리치료실 및 온 적외선 미용기 사용시 사용할 수 있는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Polyglycer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카복실비닐폴리머(Carboxylvinylpolymer), 글리세린(Glycerine),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하이드록시에틸셀롤로스(Hydroxyethylcellulose),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thylenediamine-tetraacetate), 뽕나무 추출물(Mulberry Root Extract),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 쌀보리 추출물(Borigasol)등의 식물 추출물에 중화제, 방부제등의 첨가물 등으로 제조된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초음파 미용용 겔은 초음파를 인체에 발산하여 각 장기에서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그래픽 영상화하는 초음파 진단용 겔로서 산부인과에서 태아의 감시나 내과에서 내장기능을 검사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재활치료에서는 초음파 물리치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음파가 공기 중으로 산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층(interphase)이라는 매질을 필요로 하는데 사용하는 초음파 전달매질에 해당하는 겔이다.
초음파 겔은 겔화제(gelling agent)와 중화제(neutraling agent), 방부제 (preservative), 염료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종래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urrolidon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젤라틴(gelatin), 소디움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l Cellulose), 폴리우레탄(Poly-urethane)등에 수산화나트륨(NaOH),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등의 중화제에 안식향산(Hydroxyl benzoate)계의 방부제, 아조(Azo)계의 염료(Dye)등을 이용한 초음파용 겔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겔은 의료용 초음파 장비용으로 단순히 초음파 전달매질에 해당할 뿐이다.
초음파 겔에 사용된 고분자들은 정확하게 피부의 수분량 및 보습능을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전도도(Conductance)와 전기용량(Capacitance)을 이용하여 실험 결과가 우수한 고분자들을 사용하였고, 또한 유동학적수치(Rheological parameter) 및 친점도성(Mucoadheive properties)을 이용하여 가장 좋은 실험결과를 보인 고분자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피부가 수화 된 피부각질층의 전기적 성질이 변화되는데 건조된 각질층은 약한 전기전도도 (Conductance)를, 수화 된 각질층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ce)의 증가로 강한 전기전도도를 갖게 된다. 이런 피부의 전기적 성질은 전기저항(Ohm) 또는 전기전도도(I,mho:I/ohm)로 측정된다. 유전상수의 증가는 임피던스 (Impedance)를 감소시키고 컨덕턴스(Conductance)와 커페시터스(Capacitance)를 증가시켜 일반적으로 피부 컨덕턴스(Conductance)와 커페시터스(Capacitance)는 서로 비례적 관계를 갖고 있다. 컨덕턴스(Conductance)를 외부환경 등에 의해 각질층의 정확한 전기적 성질을 측정할 수 없었으나 3.5MHz의 고주파 전류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각질층의 수분에 따른 전기적 성질을 측정하였고, 유전(Dielectric)으로 작용하는 매체(진공,유리, 플라스틱, 공)에 의해 금속판 양면이 절연되어 있는 물체를 커페시터(Capacitor)라고 하며 양변에 전기를 걸어주면 전기를 담을 수 있게 된다. 유전(Dielectric)성질이 증가할수록 커페시터(Capacitor)의 전기용량은 증가하며 물은 매우 큰 유전(Dielectric)성질을 갖고 있으며 피부의 수분은 그 피부의 전기용량과 비례하게 된다.
뽕나무 추출물( Mulberry Root Extract)은 뽕나무 Morus alb L.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 (뽕나무과 Moraceae)의 근피를 1,3-부틸렌글리콜로 침출하여 얻은 추출액으로 갈색의 투명한 액체로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비중은 d20:1.010∼1.040, pH:5.0∼6.0으로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서 껍질을 그대로 또는 겉껍질을 제거하고 목심과 백피를 분리시켜 건조시킨 후 적절한 용매에 침적하여 숙성시켜 제조한다. 풀라보노이드(flavonoids)와 터페노이드(Terpenoids)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백작용, 노화방지작용, 보습효과, 진정작용, 항염증효과, 항균효과, 항바이러스작용등이 있으며 기타 혈당저하작용, 혈압강하작용, 결핵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가, pp.147-149 : 생약학, 동명사, pp.118-119 :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1996,Springerverlag, pp.669-696 : Planta Medica, 1983, Vol .47, pp.30-34 : Planta Medica,1983, Vol .48, pp.116-119 : Heterocycles, 1984, Vol .22, No .8,pp.1791-1800 ).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은 카테킨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떫은 맛을 내는 차의 주요 성분중의 하나로 지친 피부에 수렴작용과 진정작용을 하며 피부 노화 방지 작용을 해준다. 특히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암이나 피부노화에 주범이 되는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를 예방 및 억제하는 작용과 홍반 억제효과, 과산화지질 생성억제효과를 갖고 있다. 토코페롤은 대표적인 항산화제로써 자연계 중에 녹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주로 세포막의 산화를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여드름 치료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 A, B2가 함유되어 있고 보습효과가 있어 피부의 윤기를 유지해 주고 까칠하고 지친 피부를 산뜻하게 하여 활동이 둔해진 피부를 활성화 시킨다. 녹차에는 비타민C와 비타민E가 레몬의 5∼8배나 함유되어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 기미, 주근깨를 없앨 뿐 아니라 비타민E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해주어 피부 노화를 억제하며, 항염작용이 강해 녹차로 세안을 하면 여드름등 문제성 피부에 효과적이다. [Polyphenolic antioxidant (-)-epigallocatechin-3-gallate from green tea reduces UVB-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and infiltration of leukocytes in human skin. Photochem Photobiol 1999 Feb; 69(2); 148∼53 : Mechanism of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green Tea. Pro Soc Exp Biol Med 1999 Apr; 220(4); 234∼8 ], 최근 녹차가 혈당치의 상승을 막는다는 것이 밝혀 졌는데, 녹차에 함유된 다당체(Polysaccharide) 성분은 인슐린 합성을 촉진시키고 카테킨 성분은 당질의 소화 흡수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포도당이 혈액중으로 흡수되는 것이 늦어져 급격한 혈당치의 상승이 억제되는 것이라 한다. [Anti-hyperglycemic effect of black tea (Camellia sinesis) in rat. J Ethnopharmacol 1995 Mar 45(3) ; 223∼6 : Diphenylamine, an antihyperglycemic agent from onion and tea. J Nat Prod 1984 Sep-Oct ; 47(5); 775∼80 : Anti-diabetes mellitus effect of water-soluble tea polysaccharide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a Science, Japan 1991 ; 240∼242 : Reducti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tea catechin ;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1993;57; 525∼537].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은 한국산 황과 또는 Cucumis sativus L, 을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기타 용액으로 침출하여 얻은 추출액으로 황색의 투명한 액체로서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다. 비중은 d20:1.010∼1.040, pH: 5.0∼6.0 으로 7∼8월에 과실을 채취하여 신선한 그대로 사용한다. 항악성종양작용, 간염치료 효과, 해독작용, 수렴효과, 몸의 이물질 방출, 화상치료, 목구멍의 아픔, 목적(目赤)의 아픔을 치료하는 데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쌀보리 추출물(Borigasol)은 베타 글로칸(β-Glucan)이 주성분으로 글로코스 (Glucose)의 중합체로서 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그것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선택적인 경로를 통하여 보체(Complement system)를 활성화하여 비 특이적 매개성 면역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있고, 강력한 내피망상세포의 자극제(Reticuloendothelial stimulant)로서 대식구(Macrophage)의 수와 기능을 증가시키며 세포를 활성화하여 피부의 면역기능을 강화시켜주며 외부로부터의 세균침입에 대한 저항성 증가 및 피부종양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다당류로서 경구독성이 전혀 없으며 식품의 배합원료로 사용할수 있고 향장품에 사용시 피부나 모발의 보습능을 증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외부환경에 대한 피부세포의 저항력을 높여준다.[Increased Resistance to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nd Enhancement in Serum Lysozyme Active By Glucan,Kokoshis et.al SCIENCE 199, 1340(1978) ]
카복실비닐폴리머(Carboxylvinylpolymer)은 아크릴 산( Acrylic acid)과 아릴슈크로스(Allysucrose)나 펜타아릴쓰리톨(Pentaerythritol)의 아릴에테르(Allyl ether)가 결합된 합성 고분자이다. 이 고분자에는 카복실 산(Carboxylic acid)이 56∼68% 정도 함유되어 있다. 안과용, 직장용, 국소 치료용 액제 또는 크림, 겔, 연고등과 같은 반고형제의 점증제 또는 현탁제로 많이 사용된다. 보통 유화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0.1∼0.5%, 겔화제로 사용할 경우 0.5∼2.0%, 현탁화제로 사용할 경우 0.5∼1.0%, 정제의 결합제로 사용할 경우 5∼10% 정도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백색이며 흡습성이 강한 분말이며 매우 약한 특이한 향을 가지고 있다. 수용상에서 pH 2.7-3.5( 0.5% w/v) , pH 2.5-3.0( 1% w/v)이며, 밀도는 1.76 g/㎤ (Bulk), 1.4 g/㎤(Tapped)이고 약 260℃에서 분해된다. 기타 특성으로 안정하며 흡습성이 있고 104℃ 이하에서는 2시간 정도 가열하여도 성상에 변화가 없다. 그러나 좀 더 높은 온도에서 변색이 초래되며 안정성이 감소된다. 카복실비닐폴리머 (Carboxylvinylpolymer)에서는 곰팡이 등이 자랄 수 없으나 세균은 생장이 가능하므로 방부제를 0.1%정도 첨가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Polyglycerylmethacrylate)0.1∼5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0.1∼5중량부, 카복실비닐폴리머 (Carboxylvinylpolymer)0.1∼5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0.1∼5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0.1∼5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롤로스 (Hydroxyethylcellulose)0.1∼5중량부,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thylenediaminetetraacetate)0.0005∼0.1중량부 등을 뜨거운 3차 증류수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0.2∼3중량부,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 benzoate)0.01∼5중량부,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ImidazolidinylUrea)0.01∼5중량부 등을 첨가하여 용해 시킨 후, 식물성 추출물인 뽕나무 추출물(Mulberry Root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녹차 추출물 (Green Tea Extract) 0.0001∼5중량부 또는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쌀보리 추출물(Borigasol)0.0001∼5중량부 등에 첨가제들을 첨가하여 2∼3시간 가온(35∼90℃), 교반(30∼3000 rpm)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완전 탈포 및 진공살균, 진공포장 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미용용 겔을 제조한다.
시험성적결과
1.초음파 미용용 겔의 특성(충북대학교 화학과 고분자 연구실)
2.팔목 혹은 겨드랑이 부근에 500원 동전 크기로 오전 오후 60분씩 바른 후 가려움증, 붉은 반점, 염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 30명 모두 상기 증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영상도 비교
- 영상선명도가 수입품보다 뒤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4. 초음파 미용기, 초음파 응용 피부 관리기, 온 적외선 미용기 및 재활치료기에 사용한 결과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 미용기, 초음파 응용 피부 관리기 그리고 초음파 응용 재활 치료기 및 온 적외선 미용기 사용시 전달매질의 기능에 화장품의 기능을 부여 하므로서 시너지(Synergy) 효과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보습력이 뛰어나며 피부에 약리적 기능 효과가 있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Claims (7)

  1.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Polyglycerylmethacrylate)0.1∼5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0.1∼5중량부, 카복실비닐폴리머 (Carboxylvinyl polymer)0.1∼5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0.1∼5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3-Butylene Glycol) 0.1∼5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롤로스 (Hydroxyethylcellulose)0.1∼5중량부,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thylenediaminetetraacetate)0.0005∼0.1중량부 등을 뜨거운 3차 증류수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0.2∼3중량부,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0.01∼5중량부,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ImidazolidinylUrea)0.01∼5중량부 등을 첨가하여 용해 시킨 후, 식물성 추출물인 뽕나무 추출물(Mulberry Root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녹차 추출물 (Green Tea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0.0001∼ 5중량부 또는 쌀보리 추출물(Borigasol)0.0001∼5중량부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미용용 겔
  2. 폴리글리세릴메타아크릴레이트(Polyglycerylmethacrylate)0.1∼5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0.1∼5중량부, 카복실비닐폴리머 (Carboxylvinyl polymer)0.1∼5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0.1∼5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3-Butylene Glycol) 0.1∼5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롤로스 (Hydroxyethylcellulose)0.1∼5중량부,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thylenediaminetetraacetate)0.0005∼0.1중량부 등을 뜨거운 3차 증류수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0.2∼3중량부,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benzoate)0.01∼5중량부,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ImidazolidinylUrea)0.01∼5중량부 등을 첨가하여 용해 시킨 후, 식물성 추출물인 뽕나무 추출물(Mulberry Root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녹차 추출물 (Green Tea Extract)0.0001∼5중량부 또는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0.0001∼ 5중량부 또는 쌀보리 추출물(Borigasol)0.0001∼5중량부로 제조된 조성물을 완전 탈포 및 진공살균, 진공포장 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3. 상기 제 1항의 초음파 미용용 겔을 온 적외선 미용기 사용시 사용하는 방법
  4. 상기 제 1항의 초음파 미용용 겔을 초음파 응용 피부 관리기 사용시 사용하는 방법
  5. 상기 제 1항의 초음파 미용용 겔을 일반 미용용 겔로 사용하는 방법
  6. 상기 제 1항의 초음파 미용용 겔을 인체에 보습제로 사용하는 방법
  7. 상기 제 1항의 초음파 미용용 겔을 재활 치료시 사용하는 방법
KR1020000056048A 2000-09-23 2000-09-23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010000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48A KR20010000373A (ko) 2000-09-23 2000-09-23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48A KR20010000373A (ko) 2000-09-23 2000-09-23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73A true KR20010000373A (ko) 2001-01-05

Family

ID=1969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048A KR20010000373A (ko) 2000-09-23 2000-09-23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3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49B1 (ko) * 2001-12-14 2004-12-13 조영재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5004830A1 (en) * 2003-06-13 2005-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skin lightening agent
US7758864B2 (en) * 2003-12-05 2010-07-20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KR102566124B1 (ko) * 2023-04-18 2023-08-14 제너럴바이오(주) 초음파 미용기기용 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26A (ko) * 1989-06-28 1991-01-29 노자기 쇼오헤이 가리비(帆立具風) 상태의 어육연제품(練製品) 제조방법
JPH0429914A (ja) * 1990-05-28 1992-01-31 Roothe Tokushu Keshiyouriyou:Kk 基礎化粧品
KR920009587A (ko) * 1990-11-03 1992-06-25 한태희 레이저 빔 프린터의 프론트 판넬 인터베이스 방식 및 구성회로
KR19990076367A (ko) * 1998-03-31 1999-10-15 이상미 화장용 마사지 팩
KR20000002401A (ko) * 1998-06-19 2000-01-15 김정식 천연재료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용 겔
KR100265089B1 (ko) * 1997-12-29 2000-11-01 서경배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88066A (ko) * 2000-03-10 2001-09-26 김정엽 초음파 프로브용 교화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18049B1 (ko) * 1999-04-12 2001-12-22 김정식 바이오소닉(Biosonic) 초음파 검사용 겔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26A (ko) * 1989-06-28 1991-01-29 노자기 쇼오헤이 가리비(帆立具風) 상태의 어육연제품(練製品) 제조방법
JPH0429914A (ja) * 1990-05-28 1992-01-31 Roothe Tokushu Keshiyouriyou:Kk 基礎化粧品
KR920009587A (ko) * 1990-11-03 1992-06-25 한태희 레이저 빔 프린터의 프론트 판넬 인터베이스 방식 및 구성회로
KR100265089B1 (ko) * 1997-12-29 2000-11-01 서경배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76367A (ko) * 1998-03-31 1999-10-15 이상미 화장용 마사지 팩
KR20000002401A (ko) * 1998-06-19 2000-01-15 김정식 천연재료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용 겔
KR100318049B1 (ko) * 1999-04-12 2001-12-22 김정식 바이오소닉(Biosonic) 초음파 검사용 겔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8066A (ko) * 2000-03-10 2001-09-26 김정엽 초음파 프로브용 교화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49B1 (ko) * 2001-12-14 2004-12-13 조영재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5004830A1 (en) * 2003-06-13 2005-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skin lightening agent
US7758864B2 (en) * 2003-12-05 2010-07-20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8114413B2 (en) 2003-12-05 2012-02-14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8318178B2 (en) 2003-12-05 2012-11-27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8388978B2 (en) 2003-12-05 2013-03-05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9877914B2 (en) 2003-12-05 2018-01-30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10668008B2 (en) 2003-12-05 2020-06-02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11406586B2 (en) 2003-12-05 2022-08-09 Belaj Innovations Ll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KR102566124B1 (ko) * 2023-04-18 2023-08-14 제너럴바이오(주) 초음파 미용기기용 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3153B (zh) 包含蓝铜胜肽的活性组合物及化妆品或护肤品
CN105769698A (zh) 一种不含防腐剂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20220044764A (ko) 항-여드름 효과를 가진 외용 피부 조성물
CN105168038B (zh) 金花葵花朵泥面膜及其制备方法
CN103976907A (zh) 一种包含具有舒缓抗敏作用的组合物的化妆品、其制备方法及应用
CN104434768A (zh) 一种具有缓释功效的保湿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10731921A (zh) 具有祛痘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14432225A (zh) 一种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Mamillapalli et al. Formulation, phytochemical, physical, biological evaluation of polyherbal vanishing cream, and facewash
CN108866124A (zh) 一种刺山柑淀粉酶解多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13897A1 (en) Dermatological composition for rebalancing the skin, for increasing its hydration and elasticity and for reducing dynamic disorders
CN108451863A (zh) 一种长效保湿48小时护肤精华水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KR20010000373A (ko)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JP2007008888A (ja) メラニン合成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CN106333886A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EP3509706B1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JP20030125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阻害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肌荒れ改善化粧料
KR20160121268A (ko) 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CN111202821B (zh) 具有舒敏抗炎功效的中药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587767A (zh) 一种冷敷罩、眼部冷敷眼贴及其制备工艺
KR20060104807A (ko) 발아현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318049B1 (ko) 바이오소닉(Biosonic) 초음파 검사용 겔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