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049B1 -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049B1
KR100461049B1 KR10-2001-0079493A KR20010079493A KR100461049B1 KR 100461049 B1 KR100461049 B1 KR 100461049B1 KR 20010079493 A KR20010079493 A KR 20010079493A KR 100461049 B1 KR100461049 B1 KR 10046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el
analgesic
group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310A (ko
Inventor
조영재
조홍식
민병현
Original Assignee
조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재 filed Critical 조영재
Priority to KR10-2001-007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0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61K31/125Camphor; Nuclear substitu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기기의 사용시에 윤활제로 사용되는 초음파용 젤에 진통억제나 소염효과를 갖는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의 제조 방법은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 용제 1 내지 60중량%를 잔량의 물에 용해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탈포된 혼합물에 알칼리 용액 0.2 내지 5중량%를 첨가함으로써 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용 젤에 특정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의 치료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Ultrasonic-wave treatment gel used for arthriti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기기의 사용시에 윤활제로 사용되는 초음파용 젤에 진통억제나 소염효과를 갖는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용 젤은 초음파기기의 스캐너와 피부사이에 공기의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 초음파의 전달을 극대화해주고 스캔이 부드럽게 되도록 하는 윤활제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초음파는 공기 중에서는 약 330m/s, 기름(오일) 중에서는 약 1,390m/s이나, 물 중에서는 1,430m/s로 수중에서 가장 잘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용 젤은 초음파를 잘 통과시키도록 수용액을 근본으로 하는 젤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젤화 물질로서 카보폴(carbopols)류의 주점증제와 보조점증제로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스(hydroxyethyl cellulose)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시킨 후 가성소다(NaOH)나 포타슘히드록시드(KOH)와 같은 알칼리 수용액으로 중화시켜 가교반응(cross-linking)을 일으킴으로써 젤화시킨다.
근래에 초음파용 의료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그 용도에 맞는 초음파용 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초음파를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 연골조직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궁극적으로 연골조직의 자생을 유도하여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기가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초음파 전달체와 윤활제로서의 초음파용 젤의 용도에서 한걸음 나아가 치료에 도움을 주는 초음파용 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한편 종래의 진통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들은 이들 진통성분들이 멘톨, 캄파 또는 살리실산 등은 비수용성 또는 난수용성으로서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주로 유성의 매질(oil base)에 혼합시키거나 또는 유화시스템을 사용하여 로션 타입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성의 매질이나 유화시스템을 사용하는 로션 타입의 피부외용제들은 초음파, 특히 관절염 치료기와 같은 저출력(약 400mW)의 초음파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이는 초음파의 출력이 낮을수록 전도도가 낮은 매질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손실이 많아 의도하는 초음파의 출력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초음파용 젤에 특정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용 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초음파용 젤에 특정의 진통성분이 잘 혼합되어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은, 카보폴(carbopol), 폴리에틸렌 옥시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및 천연 검(g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및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알콜계 용제 1 내지 60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음파용 젤에 있어서,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진통성분이 상기 초음파용 젤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며, 상기 알콜계 용제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의 제조 방법은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 용제 1 내지 60중량%를 잔량의 물에 용해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탈포된 혼합물에 알칼리 용액 0.2 내지 5중량%를 첨가함으로써 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의 다른 제조 방법은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및 알칼리 용액 0.2 내지 5중량%를 혼합하여 젤을 제조하는 단계;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 용제 1 내지 60중량%를 넣어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젤에 상기 진통성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10 : 1의 비율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용 젤은 젤화제로 주점증제와 보조점증제의 유기 고분자를 적당량 물에 섞은 후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킴으로써 상기 유기 고분자들이 가교반응을 일으키면서 서서히 점도가 높은 젤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반적인 초음파용 젤에 진통 및 소염 효과를 갖는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을 적당량 혼합함으로써 초음파용 젤을 관절염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진통 및 소염 효과를 갖는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은 멘톨(menthol), 캄파(camphor) 또는 살리실산메틸(methylsalicilate)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엘-멘톨, 디엘-캄파 또는 살리실산메틸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진통성분은 항균, 항염 및 진정작용을 할 뿐아니라 상쾌한 향기와 청량감도 가져 이들의 혼합으로 젤의 사용감을 향상시켜 준다. 이때 상기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은 각각 0.1 내지 20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피부나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며 세가지 성분을 모두 사용할 경우 0.1 내지 20중량%가 첨가될 수 있으나, 이들 중 하나의 성분만으로도 소염진통의 치료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진통성분들은 모두 비수용성 물질들로 종래의 수용성 젤에 혼합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통성분을 잘 녹일 수 있는 적절한 용제로 알콜 계통의 용제를 선택하여 상기 진통성분을 용액화함으로써 종래의 수용성 젤에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알콜계 용제는 젤의 점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수용액상에서 상기 진통성분을 석출시키지 않는 폴리히드록시드 계통의 알콜계 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히드록시드 계통의 알콜 중에서 특히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폴리히드록시드 계통의 용제는 상기 진통성분을 잘 용해시킬 뿐 아니라 피부에 잘 침투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보습제의 역할도 동시에 한다. 이때 적절한 사용량은 1 내지 60중량%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제의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진통성분을 완전히 용해시키지 못하며,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제의 비용에 따른 제조 단가의 상승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젤화물질로 주점증제는 젤을 잘 형성할 수 있는 수용성의 유기고분자로 카보폴, 폴리에틸렌 옥시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또는 천연 검(gum)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점증제는 셀룰로스 분자에 적어도 1차 알콜(OH)기를 하나씩 갖는 고분자 셀룰로스로서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알콜계 용제 1 내지 6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고속믹서기를 이용하여 잘 분산시킨 후, 잔량의 탈이온화(deionizd)한 물을 섞은 다음 기포 제거 및 알칼리 용액에 의한 중화 단계를 거침으로써 가교반응이 일어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용 젤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용액은 산성을 띄는 젤화제를 중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아민, 에탄올아민, 알칼리메탈히드록시드, 암모늄히드록시드, 가성소다 또는 포타슘히드록시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때 가성소다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및 알칼리 용액 0.2 내지 5중량%를 혼합하여 젤을 만든 다음, 이와는 별도로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알콜계 용제 1 내지 60중량%를 넣어 혼합물을 만든 후, 상기 젤에 상기 진통성분이 든 혼합물을 10 : 1의 비율로 섞어 교반함으로써 고형물의 석출문제가 개선되어 보다 투명한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1]
보존제로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 0.01 내지 0.5중량%를 글리세린 1 내지 60중량%에 녹인 후, 엘-멘톨, 디엘-캄파 및 살리실산메틸을 각각 0.1 내지 20중량% 첨가하고 고속믹서로 잘 교반한 다음 잔량의 물, 카보폴 934 0.75 내지 1.6중량%,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5 내지 0.5중량% 및 색소 0.01중량%를 첨가하여 잘 분산시켰다. 상기 용액을 상온에서 수일동안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하고 용액상에 석출된 소량의 고형물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가성소다 0.2 내지 5중량%를 녹인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젤화가 끝날때까지 교반하여 투명하고 점성이 높은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카보폴 0.75 내지 1.6중량%,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5 내지 0.5중량%, 색소 0.01중량% 및 가성소다 0.2 내지 5중량%를 고속믹서로 잘 교반하여 젤을 제조한 다음,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 0.01 내지 0.5중량%, 엘-멘톨, 디엘-캄파 및 살리실산메틸을 각각 0.1 내지 20중량% 및 글리세린 1 내지 60중량%가 혼합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젤에 상기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이 혼합된 혼합물을 10:1의 비율로 섞어 잘 교반하여 고형물 석출이 전혀 없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은 소염진통 효과를 갖는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을 적절한 알콜계 용제에 용해시켜 사용함으로써 이들이 갖는 약효가 초음파에 의한 치료효과와 동시에 발휘되도록 하며, 상기 용제에 의한 피부보습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2에 따라 제조함으로써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고형물 석출문제가 없는 투명한 초음파용 젤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통성분들은 초음파의 널리 알려진 효과 중의 하나인 미립자 진동 특성에 따라 상기 관절염 치료기에 의해 적용되는 초음파에 의해 보다 잘 침투되도록 분자운동이 촉진되며, 결과적으로 진통효과를 크게 증진시키는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염진통 효과를 갖는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을 초음파용 젤에 혼합함으로써 초음파가 갖는 관절염의 치료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윤활제와 초음파 전달체로서의 용도로 한정되어 있던 초음파용 젤을 직접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그 용도 범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laims (12)

  1. 카보폴(carbopol), 폴리에틸렌 옥시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및 천연 검(g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알콜계 용제 1 내지 60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음파용 젤에 있어서,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진통성분이 상기 초음파용 젤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며, 상기 알콜계 용제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 용제 1 내지 60중량%를 잔량의 물에 용해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탈포된 혼합물에 알칼리 용액 0.2 내지 5중량%를 첨가함으로써 젤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주점증제 0.75 내지 1.6중량%, 보조점증제 0.05 내지 0.5중량% 및 알칼리 용액 0.2 내지 5중량%를 혼합하여 젤을 제조하는 단계;
    파라벤류 보존제 0.01 내지 0.5중량%, 자연추출물 유래의 진통성분으로서 멘톨, 캄파 및 살리실산메틸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진통성분 0.1 내지 20중량%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드 알콜 용제 1 내지 60중량%를 넣어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젤에 상기 진통성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10 : 1의 비율로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1-0079493A 2001-12-14 2001-12-14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6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93A KR100461049B1 (ko) 2001-12-14 2001-12-14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93A KR100461049B1 (ko) 2001-12-14 2001-12-14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310A KR20030049310A (ko) 2003-06-25
KR100461049B1 true KR100461049B1 (ko) 2004-12-13

Family

ID=2957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493A KR100461049B1 (ko) 2001-12-14 2001-12-14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35B1 (ko) * 2007-01-22 2009-07-08 주식회사 지니메디 초음파 전달용 로션 조성물
JP2014000339A (ja) * 2012-06-20 2014-01-09 Neoinvent Co Ltd 超音波治療器用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25311B1 (ko) * 2016-11-03 2017-04-10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초음파 검사용 수용성 하이드로겔 패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패드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753A (en) * 1983-05-16 1984-10-02 Merck & Co., Inc.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KR19990064566A (ko) * 1999-04-12 1999-08-05 김정식 바이오 소닉 초음파겔 및 그의 용도
KR20000002401A (ko) * 1998-06-19 2000-01-15 김정식 천연재료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용 겔
KR20010000373A (ko) * 2000-09-23 2001-01-05 최만철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JP2001097847A (ja) * 1999-09-29 2001-04-10 Pola Chem Ind Inc ゲル組成物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753A (en) * 1983-05-16 1984-10-02 Merck & Co., Inc.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KR20000002401A (ko) * 1998-06-19 2000-01-15 김정식 천연재료를 이용한 초음파 검사용 겔
KR19990064566A (ko) * 1999-04-12 1999-08-05 김정식 바이오 소닉 초음파겔 및 그의 용도
JP2001097847A (ja) * 1999-09-29 2001-04-10 Pola Chem Ind Inc ゲル組成物の製造法
KR20010000373A (ko) * 2000-09-23 2001-01-05 최만철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310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6864B2 (en) Film prepara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1613663B1 (en) Cross-linked polysaccharide composition
US4514385A (en) Anti-acne compositions
AU597164B2 (en) New macromolecular surface-active quaternary n-substituted chitosan derivatives, as well as cosmetic means based on these new chitosan derivatives
JP3167645B2 (ja) 中性化された架橋ポリ(2−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を含有しない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の形態での局所への使用のための組成物
US5002974A (en) Anesthetic/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RU97110872A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и/ил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 форме эмульсии масло-в- воде и способ нетерапев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указан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KR20030020446A (ko) 신규한 미녹시딜 조성물
CZ302598B6 (cs) Vodný kapalný cisticí a zvlhcovací prostredek a zpusob jeho výroby
JPH11180824A (ja) 安定なw/o/wエマルション及び化粧品及び/又は皮膚科用組成物としてのその使用
KR101816792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JP2001520180A (ja) 少なくとも1種のポリヒドロキシル化有機化合物と組み合わされた本質的に非晶質のセルロースナノフィブリルの、化粧品調合物中における使用
RU2673342C2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лучшения внешнего вида и формирования рубцовой ткани
KR20170103628A (ko)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수분산체 조성물
KR100461049B1 (ko) 관절염 치료용 초음파용 젤 및 그의 제조방법
EA008022B1 (ru) Способ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апсона для лечения угревой сыпи
JP2013508359A (ja) 過酸化ベンゾイルを含む粉末を湿潤させるための方法
JP2009143898A (ja) 外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保湿剤
JP2010018645A (ja) 後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該後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を用いるエアゾール製品
JPH07233045A (ja) 皮膚外用剤
JPH0782131A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及び水中油型クリーム基剤
JPS582341A (ja) カルボキシビニル重合物−尿素ゲル組成物
KR102610937B1 (ko) 가교 히알루론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0940A (ko) 표피 병소를 치료하기 위한 히알루론산의 염에 기초한조성물
JP4524254B2 (ja) 低置換度ヒドロキシプロピルセルロースを含む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