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089B1 -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089B1
KR100265089B1 KR1019970077010A KR19970077010A KR100265089B1 KR 100265089 B1 KR100265089 B1 KR 100265089B1 KR 1019970077010 A KR1019970077010 A KR 1019970077010A KR 19970077010 A KR19970077010 A KR 19970077010A KR 100265089 B1 KR100265089 B1 KR 10026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smetic composition
collagenase
gt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976A (ko
Inventor
황재성
조윤기
한용구
선보경
송동혁
오지연
김종일
양규환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7007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0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폴리페놀을 건조중량으로서 0.00000001%-30%(w/v) 양으로 함유함으로써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폴리페놀을 건조중량으로서 0.00000001%-30%(w/v) 양으로 함유함으로써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찻잎에는 차 탄닌이라는 폴리페놀류와 이러한 폴리페놀류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인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가 함유되어 있다. 차는 이 효소에 의한 산화 정도에 따라 녹차, 우롱차, 홍차 같은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차는 성인의 예방의학에 있어서 두 가지 중요한 목표인 암과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제로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녹차의 암에 대한 연구 보고와 함께, 무크타(Mukhtar) 등에 의하면, 녹차 폴리페놀(Green Tea Polyphenols; 이하 GTP라 함)을 음용 시킨 무모생쥐의 경우, 간등에서 항산화 시스템이 활성화된다고 보고하였으며, 정해영 등은 녹차의 항돌연변이 활성은 항산화 효과에 기인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피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 들어 녹차 혹은 녹차의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ic compounds)을 무모생쥐에 음용 시킨 결과 자외선(UVB)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암에 대한 방어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GTP의 주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3-0-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3-0-gallate; EGCG)가 12-0-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12-0-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에 의해 유도되는 에피더말 오르니틴 디카르복실아제 활성(epidermal ornithine decarboxylase actvity)을 억제하므로서 발암 예방 물질로의 가능성도 제시되었다.
노화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중 최근 활성산소와 관련된 자유라디칼 이론이 주목받고 있다. 생체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항산화 시스템이 파괴되거나, 다양한 효소 반응시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잃게 하고 가교결합(cross-linking bridge)의 촉진, DNA, RNA, 효소 및 생체막에 손상을 일으켜 세포사를 유발한다. 자외선조사에 의해 피부세포에서 H2O2및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이 생성되며, 자외선조사에 의해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피부암, 광선성피부증(photodermatoses), 광선성노화증(photoaging) 등의 UV-유발 포토대미지(UV-induced photodamage), 염증, 허혈 등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산소라디칼은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s)인 NF-KB, AP-1의 결합 활성을 증가시키며, 이들 전사 인자의 활성화는 피부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매트릭스 프로테인 (matrixproteins)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인 콜라게네이즈 등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 매트릭스 프로테인을 손상시켜 광에 의한 피부 노화의 한 현상인 피부주름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유라디칼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하여 비타민 E 등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녹차의 주요 폴리페놀 성분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이하, EC라함),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이하 EGC라 함),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picatechin 3-galate; 이하 ECG라 함), (-)-에피갈로카테킨 3-0-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0-gallate; 이하 EGCG라 함)이며 GTP는 화학물질 및 광에 의한 피부암 발생을 억제하며 이는 주로 녹차의 항산화효과에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 무크타(Mukhtar) 등은 GTP를 피부에 전처리할 경우 UV-유발 홍반(UV-induced erythema)을 막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UV에 의한 홍반의 유발 과정 중에 자유라디칼이 관여되고 녹차의 성분이 이를 제거할 수 있다면 UV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손상(노화)를 녹차 혹은 녹차 성분을 이용하여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이 가지는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방지 기능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런 녹차 추출물의 기능을 활용하여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녹차 폴리페놀을 건조중량으로 0.00000001-30%(w/v), 바람직하게는 0.00001-6%(w/v)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험에 사용한 녹차 폴리페놀(GTP)은 녹차(Thea sinesis L.: Theaceae) 10kg을 95% 에탄올(10 L)에 5일간 냉침한 후 여과한 다음 증류수/에틸 아세테이트 (1:1) 용액을 이용, 유기용매 층을 분리하였다. 이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 분리하여 99%의 (-)-에피카테킨(EC), (-)-에피갈로 카테킨(EGC),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CG), (-)-에피갈로카테킨 3-0-갈레이트 (EGCG) 분획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생체외 실험으로는 녹차 분획을 사람으로부터 직접 얻은 세포 또는 시중에서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사람의 세포에 처리하여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콜라겐섬유 단백질 생성 측정용 기구를 사용하여 콜라게네이즈 효소의 생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으며 콜라게네이즈 효소 유전자 생성 저해능을 유전자 측정용 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 동물실험으로는 녹차분획을 기니아피그(Guinea pig)에 발라서 홍반 및 과산화지질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무모생쥐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GTP를 처리하여 콜라겐 생성정도를 측정한 결과 GTP처리군 콜라겐 생성이 무처리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녹차분획의 생체외 콜라게네이즈 효소 단백질 생성 저해능 및 콜라게네이즈 유전자 생성 저해능과 생체내 홍반 및 과산화지질 생성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녹차분획이 자외선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생성을 억제하며 홍반 및 과산화지질의 억제정도가 탁월하기에 이를 이용한 화장료 또는 약제로 활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GTP를 건조중량으로 0.00000001%-30%(w/v), 바람직하게는 0.00001-6%(w/v)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한다.
후술하는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나. 하기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실험예 1]
사람으로부터 직접 채취 혹은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세포에 녹차분획을 처리하여 콜라게네이즈 단백질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1)실험방법 : 사람의 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자외선(UVA)를 10J/㎠ 조사한 후 GTP를 1 일간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저해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GTP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2)실험결과
Figure kpo00001
[실험예 2]
사람으로부터 직접 채취 혹은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세포에 녹차 추출물을 처리하여 콜라게네이즈 유전자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 사람의 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자외선(UVA)를 10J/㎠ 조사한 후 GTP를 1일간 처리한 후 세포를 긁어낸다. GTP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긁은 세포로부터 유전자(RNA)를 분리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콜라겐섬유 유전자 측정용 기구를 이용하여 콜라겐섬유 유전자의 양이 얼마나 저해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Figure kpo00002
[실험예 3]
1) 실험방법 : 기니아피그의 등 부위를 제모한 후 1%의 GTP를 120 μ1로 24시간 첩포를 실시한 다음 자외선(UVB) 500 mJ/㎠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18시간후 피부를 생검한다. 피부를 갈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해 실험에 사용하였다. 과산화지질의 정량은 조직 상등액을 1%의 티오바비투르산(tiobarbituric acid; TBA)과 반응시킨 다음 형광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여기(excitation) 515nm, 방출(emission) 553 nm에서 형광도를 측정하고 표준물질로 1,1,3,3-테트라에톡시 프로판(tetraethoxy propane; TEP)를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 과산화지질을 비교 정량하였다.
2) 실험결과 :
Figure kpo00003
[실험예 4]
1) 실험방법 : 기니아피그의 등 부위를 제모한 후 1%의 GTP를 120 μ1씩 24시간 첩포를 실시한 다음 색차계(CM 2002, 미놀타, 일본)로 피부색을 측정하여 초기값을 설정하였다. 초기값 측정후 첩포 부위에 자외선(UVB) 500 mJ/㎠를 조사하고 16, 18, 24, 48 시간 후에 피부색을 측정, 홍반의 증가 정도를 초기값과 비교하여 홍반 억제 효과를 홍반상대지수(erythema relative index)로 평가하였다.
홍반상대지수 = (UV 조사후 값 - UV 조사전 값)/(UV 조사전 값) X 100
2) 실험결과 :
Figure kpo00004
[실험예 5]
1) 실험방법 : 무모생쥐에 1%의 GTP를 100μl씩 매일 오전에 도포하고 오후에 100mJ/㎠의 자외선(UVA) 조사하는 방법으로 10주간 지속하였다. 대조군은 GTP를 도포하지 않고 자외선(UVA)만 조사하였다. 각 군은 10마리씩 사용하였다. 2달 후 생검하여 조직을 취하고 타입 I pN 콜라겐을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시행하였다. 이 염색법을 이용하여 새로 합성되는 콜라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각 시료를 1-5등급으로 판정하고91이 최저, 5가 최고) 생성율을 구하였다.
2) 실험결과 :
Figure kpo0000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녹차 폴리페놀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을 억제효과를 갖고, 결과적으로 우수한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 억제능이 있는 녹차폴리페놀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녹차 폴리페놀을 건조중량으로서 0.00000001-30%(w/v)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녹차 폴리페놀은 0.00001-6%(w/v)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77010A 1997-12-29 1997-12-29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6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10A KR100265089B1 (ko) 1997-12-29 1997-12-29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10A KR100265089B1 (ko) 1997-12-29 1997-12-29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976A KR19990056976A (ko) 1999-07-15
KR100265089B1 true KR100265089B1 (ko) 2000-11-01

Family

ID=1952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010A KR100265089B1 (ko) 1997-12-29 1997-12-29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0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73A (ko) * 2000-09-23 2001-01-05 최만철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100360691B1 (ko) * 2000-10-30 2002-11-13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새싹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465484B1 (ko) * 2002-07-16 2005-01-13 (주)리젠메드 콜라겐-카테킨 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보형재 조성물
CN103315939A (zh) * 2012-03-23 2013-09-25 徐州医学院 一种含茶多酚及林蛙油的美容护肤霜及其配制工艺
CN104840403A (zh) * 2015-05-28 2015-08-19 梧州市天誉茶业有限公司 具有祛斑抗皱的六堡茶面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317B1 (ko) * 2000-02-24 2003-09-19 삼아약품 주식회사 녹차카테킨(gtc)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보호제
KR20050007883A (ko) * 2003-07-12 2005-01-21 (주)현덕비엔티 녹차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함유하는 피부 광 손상 방지용 조성물
TWI727206B (zh) * 2017-10-23 2021-05-1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武威山烏皮茶萃取物之應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8712A (ja) * 1983-02-15 1984-08-25 Kingo Yoshida タンニン配合化粧品・医薬品
US5686082A (en) * 1992-12-24 1997-11-11 L'oreal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bination of a polyphenol and a ginkgo extr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8712A (ja) * 1983-02-15 1984-08-25 Kingo Yoshida タンニン配合化粧品・医薬品
US5686082A (en) * 1992-12-24 1997-11-11 L'oreal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bination of a polyphenol and a ginkgo extrac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73A (ko) * 2000-09-23 2001-01-05 최만철 초음파 미용용 겔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100360691B1 (ko) * 2000-10-30 2002-11-13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새싹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465484B1 (ko) * 2002-07-16 2005-01-13 (주)리젠메드 콜라겐-카테킨 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보형재 조성물
CN103315939A (zh) * 2012-03-23 2013-09-25 徐州医学院 一种含茶多酚及林蛙油的美容护肤霜及其配制工艺
CN104840403A (zh) * 2015-05-28 2015-08-19 梧州市天誉茶业有限公司 具有祛斑抗皱的六堡茶面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97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 et al. Effects of irradiance on UVA-induced skin aging
Hu et al. Effects of hydroquinone and its glucoside derivatives on melanogenesis and antioxidation: Biosafety as skin whitening agents
JP5703318B2 (ja) 植物Cassiaalataの抽出物の使用
KR100893301B1 (ko) 패오닥틸륨 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제 및 화장제 조성물
Kim et al. Anti-melanogenic effects of black, green, and white tea extracts on immortalized melanocytes
CN109862878B (zh) 桃花的水性提取物和制备其的方法
JP5642353B2 (ja) ブラソカトレア・マーセラ・コス(Brassocattleya marcella Koss)のラン抽出物および皮膚脱色素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0534720A (ja) ジベンゾ−p−ダイオキシ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した皮膚保護及び改善剤
Kim et al. Anti-wrinkle activity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KR100265089B1 (ko) 녹차 폴리페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생성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42424A (ko) 괭생이 모자반 유래 크로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656928B1 (ko) 끈끈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을 위한 조성물
FR2913336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algue phaeodactylum pour depigmenter la peau
JP2015510924A (ja) 大豆及び酵母のペプチド抽出物の組み合わせから成る相乗的trf2タンパク質活性化システムを含む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
Shanuja et al. Pre-treatment of extracellular water soluble pigmented secondary metabolites of marine imperfect fungus protects HDF cells from UVB induced oxidative stress
JP2011184392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幹細胞増殖因子(SCF)mRNA発現抑制剤、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bFGF)mRNA発現抑制剤、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過酸化水素に対するダメージ抑制剤、及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
KR101686521B1 (ko)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JP5405597B2 (ja) Uva/uvb線に対する皮膚の光保護特性を有する光保護組成物、及び美容処理方法
US9668961B2 (en) Screening method and substances for contrasting aging
KR20180078869A (ko) Dhpv를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008325A1 (en) White pine bark extract for decreasing endothelin-1 secretion, stem cell factor synthesis and protein carbonylation
JP2004051580A (ja) 抗老化剤、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
Samivel et al. Research Article Inhibitory Effect of Ursolic Acid on Ultraviolet B Radi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Proinflammatory Response-Mediated Senescence in Human Skin Dermal Fibroblasts
Sun-Il et al. Ulmus macrocarpa Hance Extracts Attenuated H 2 O 2 and UVB-Induced Skin Photo-Aging by Activating Antioxidant Enzymes and Inhibiting MAPK Pathways
Vitchit et al.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Callus Culture from Three Rice Varieties. Cosmetics 2022, 9, 7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