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634A -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 Google Patents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634A
KR20000076634A KR1020000006052A KR20000006052A KR20000076634A KR 20000076634 A KR20000076634 A KR 20000076634A KR 1020000006052 A KR1020000006052 A KR 1020000006052A KR 20000006052 A KR20000006052 A KR 20000006052A KR 20000076634 A KR20000076634 A KR 2000007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issue
garment
sati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763B1 (ko
Inventor
토요사키쥬니찌
Original Assignee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카모토 요시카타
Publication of KR2000007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긴박력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에 단차가 없고,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착용자의 외관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은 무늬의 밀집체에 보다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한다.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더욱이 탄성실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경편지로 이루어지고,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교체하여,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작은 무늬의 밀집체에 전체 형상을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하여, 작은 무늬부분(히프-옆충당부)(23e) 및 24l의 지편을 강 새틴조 네트로 하고, 이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 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으로 한 거들.

Description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GARMENT WITH FIGUR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을 보유하는 자카드편의 경편지로 구성된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을 비교적 작은 무늬를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하고,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의 경계에, 실질적으로 큰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상기 경계에 있어서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갈아 끼워서 이루어지는 경편지로 구성된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거들, 짧은 팬티, 브래지어, 보디슈트, 보디티디, 보디세퍼레이트, 보디슬립 등은,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예컨대 군살부분을 눌러서 말쑥한 보디라인으로 하고 싶은 부분 등의 긴박력을 크게 하고 싶은 부분에는, 적당한 바대를 의류본체옷감의 안측 또는 바깥측에서 대는 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종래와 관련된 방법은, 대표예로서 롱거들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44는 종래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5는 그 뒷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4, 도 45에 있어서, 481은 히프의 불룩한 곳의 하방부에서 히프의 불룩한 곳의 바깥측의 옆을 통하여, 옆구리에 이르는 히프형상을 조정하여 히프업시키기 위한 바대이고, 통상 거들본체옷감의 내측에 댐이 분산되어 봉제되어 있다. 482는 배부분 중앙부에 댐이 분산되는 배눌룸옷감이고, 거들 본체옷감의 표면측 또는 안측에서 댐이 분산되게 봉제되어 있다. 이러한 배눌룸옷감(482)에 의해서, 배부분의 군살의 튀어나옴을 억제하여, 아름다운 배부분의 실루엣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483은 롱타입의 거들의 옷자락의 표면측에서 댐이 분산되어, 봉제되어 있는 비교적 폭넓은 탄력성을 보유하는 테이프형상물이고, 착용자의 넓적다리를 꽉 눌러서, 거들의 다리부의 밀려 오름을 방지함과 아울러, 착용자의 다리부의 실루엣을 실현시키기 위한 바대이다.
또한, 바대를 사용하지 않고, 이 바대를 대야하는 부분에,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액을 도포하여 이 부분의 긴박력을 향상시켜, 마찬가지로 체형보정기능을 가지게 하는 시도도 제안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바대를 사용하지 않고, 이 바대를 대야하는 부분의 긴박력이 크게 되는 형태로, 환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마찬가지로 체형보정기능을 가지게 하는 시도도 제안되고 있다.
이상 롱타입의 거들을 대표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그 외 숏 거들(또, 거들에는 임산부용의 롱 또는 숏 타입의 거들도 포함한다.), 짧은 팬티, 브래지어, 보디슈트, 보디티디, 보디세퍼레이트, 보디슬립 등, 보디에 맞게 하여 착용하는 속옷류로서, 예컨대 배부분이나 허리부분의 군살부분을 눌러서 이 부분의 모양을 말쑥한 모양으로 보정하거나, 히프가 아래로 늘어 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히프형상을 보다 아름다운 모양으로 조정하거나, 상반신 형상을 보다 아름다운 모양으로 조정하는 등,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류의 소정의 부분의 긴박력을 크게 한 의류는, 넓게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바대에 의해서 긴박력이 큰 부분을 형성한 의류는, 바대가 존재하는 부분과 바대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에 두께의 차이에 의한 단차가 있기 때문에, 그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지게 되버려, 착용자의 외관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라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바대는 의류본체에 봉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봉합부분의 두께의 증대에 의해, 촉감이 저하하거나, 피부병(피부상해)의 원인으로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액을 도포하여 긴박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경우에는, 합성수지가, 옷감의 편목을 메워버리기 때문에, 통기성이 대폭적으로 저하되고, 더워지기 쉽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액막이 피부에 직접 닿으므로, 착용감이 저하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편기를 이용하고, 바대를 사용하지 않고, 이 바대를 대야하는 부분의 긴박력이 크게 되는 형태로, 환편조직을 변화시켜서, 체형보정기능을 가지게 한 의류는, 이러한 모양의 긴박력의 변화를 가지게 하면, 환편조직의 안정성이 악화되므로, 같은 환편기를 사용하고, 같은 섬유소재를 사용하여, 같은 치수로 설계하여도, 마무리 치수의 분산이 매우 크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환편품은 소위 "전염"이 생기기 쉽고, 내구성에 문제가 있음과 아울러,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우에, 생산성이 악화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편의 경우에는, 경편만큼 밀도가 높게 될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긴박력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과의 경계에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보여 버린다는 문제가 없고, 착용감도 좋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며,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을,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이며, 이 것에 의해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의류에 미관을 부여한 체형보정기능을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더욱이 합성수지액을 도포하여 긴박력을 부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촉감의 저하도 없는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더구나,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편물밀도를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생산성에도 우수한,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체형보정기능을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게다가 탄성실이 삽입되든가 및/또는 탄성실이 짜 넣어서 이루어지는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의류에 있어서, 긴박력의 강약에 대응하여 상기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 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설치한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을 보유하는 의류로써,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분을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삽입실로서 탄성실을 이용한 경편지로 이루어진 의류에 있어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설치한 경편지로 이루어진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로써,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이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3)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대응하여, 삽입하는 탄성실 및/또는 짜 넣는 탄성실의 개수 및/또는 굵기를 변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상기(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4)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 새틴조 네트조직과 메시조 네트조직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진 상기 (1) 내지 (2)항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5)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2) 항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6)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 새틴조 네트조직과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항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7)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 또는 (6)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8)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 새틴조 네트조직 또는 새틴조 트리콧조직과 메시조 경편 레이스 조직과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항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9)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전자가 새틴조 네트조직 또는 새틴조 트리콧조직, 후자가 메시조 네트조직 또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짜 맞춤으로 형성하고, 상기 짜 맞춤 이외의 부분의 소망 부분을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으로 하여 메시조 경편 레이스조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0)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에 삽입 및/또는 짜 넣어지는 탄성실이, 두 개가 가지런하게 삽입 및/또는 짜 넣어지는 탄성실이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에 삽입 및/또는 짜 넣어지는 탄성실이, 한 개씩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1)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중, 더 한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조직인 상기 (1), (2),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2)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중, 더 한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3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트리콧조직인 상기 (1),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3)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이 20 내지 80 데닐의 나일론 실로 이루어지는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4)삽입 및/또는 짜 넣어지는 탄성실이, 40 내지 560 데닐의 폴리우레탄조직실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5)의류가, 신체에 잘 맞는 속옷류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6)의류가, 거들, 짧은 팬티, 브래지어, 보디슈트, 보디티디, 보디세퍼레이트, 보디슬립에서 선별한 의류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7)의류가 히프부를 가지는 의류로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상기 의류의 좌우의 히프부의 불룩함의 밑에서부터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8)의류가 거들로써,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거들의 좌우의 히프부의 불룩함의 아래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9)의류가 거들로서, 더욱 거들의 복부의 거의 중앙부분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인 상기(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0)의류가 브래지어로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브래지어의 유방컵의 컵하변부 또는 하변부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1)의류가 브래지어로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브래지어의 뒷쪽 옷감의 적어도 인체 옆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2)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부분의 작은 무늬와 무늬의 사이의 간격이 1㎝이하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3)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부분의 작은 무늬와 무늬의 사이의 간격이 0.5㎝이하인 상기 (1), (2), (6), (8),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도 1은,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메시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이다.
도 11은,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 네트조직에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직도이다.
도 12는,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 네트조직에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직도이다.
도 13은,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 네트조직에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직도이다.
도 14는,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에 탄성실이 짜 넣어져 있는 트리콧조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직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의류인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도 15, 도16에 나타낸 거들의 주로서 뒤에서 앞옆 및 다리부에 이용되는 옷감의 재단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도 15, 도 16에 나타낸 거들의 앞측 복부에 이용되는 복부옷감용의 옷감의 재단측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의류인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의 후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의류인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0언, 본 발명의 의류인 다른 모양의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슈트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보디슈트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티디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나타낸 보디티디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세파르트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보디세파르트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슬립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보디슬립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보디슬립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보디슬립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이다.
도 43은,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의 평면도이다.
도 44는, 종래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거들의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
2 ㆍㆍㆍ 작은 무늬부분(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2a ㆍㆍㆍ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2b ㆍㆍㆍ 보다 한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
3 ㆍㆍㆍ 좌히프에 충당되는 부분에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
4 ㆍㆍㆍ 좌측의 다리부나 옆부에 충당되는 부분에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
5 ㆍㆍㆍ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
6 ㆍㆍㆍ 새틴조 네트조직의 안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
7 ㆍㆍㆍ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
8 ㆍㆍㆍ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
9 ㆍㆍㆍ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
10 ㆍㆍㆍ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
11 ㆍㆍㆍ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
12 ㆍㆍㆍ 짜 넣어진 탄성실
20 ㆍㆍㆍ 가슴충당부
21a ㆍㆍㆍ 복부옷감의 최외주부
21b ㆍㆍㆍ 복부옷감의 복부삽입용 작은 무늬
22g, 23k ㆍㆍㆍ 히프충당부
23e, 24l ㆍㆍㆍ 히프옆구리충당부
23d ㆍㆍㆍ 하옆구리충당부
24f, 24m, 24n ㆍㆍㆍ 다리부충당부
25 ㆍㆍㆍ 옷감
26 ㆍㆍㆍ 크로츠용의 옷감
27 ㆍㆍㆍ 작은 무늬
28 ㆍㆍㆍ 작은 무늬
37, 37a, 37b ㆍㆍㆍ 작은 무늬
38 ㆍㆍㆍ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
39 ㆍㆍㆍ 옷자락부분
50 ㆍㆍㆍ 브래지어의 컵
50a ㆍㆍㆍ 상컵부
50b ㆍㆍㆍ 하컵부
51, 52 ㆍㆍㆍ 작은 무늬
53 ㆍㆍㆍ 컵(50)의 무늬가 없는 부분
54 ㆍㆍㆍ 토대옷감
55 ㆍㆍㆍ 뒷쪽옷감
56 ㆍㆍㆍ 스트랩
58 ㆍㆍㆍ 접합라인
60 ㆍㆍㆍ 작은 무늬
61 ㆍㆍㆍ 뒷쪽옷감(55)의 그 외의 부분
70 ㆍㆍㆍ 유방컵
71 ㆍㆍㆍ 스트랩(어깨끈)
72 ㆍㆍㆍ 전신경
73 ㆍㆍㆍ 작은 무늬
74 ㆍㆍㆍ 전신경(72)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
75 ㆍㆍㆍ 후신경
76 ㆍㆍㆍ 작은 무늬
77 ㆍㆍㆍ 후신경(75)의 이외의 부분
78, 79 ㆍㆍㆍ 접합라인
80 ㆍㆍㆍ 유방컵의 작은 무늬 외의 부분
81 ㆍㆍㆍ 작은 무늬
82 ㆍㆍㆍ 유방컵
83 ㆍㆍㆍ 스트랩(어깨끈)
84a ㆍㆍㆍ 우반신 전후신경
84b ㆍㆍㆍ 좌반신 전후신경
85 ㆍㆍㆍ 작은 무늬
86 ㆍㆍㆍ 작은 무늬
87 ㆍㆍㆍ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88, 89 ㆍㆍㆍ 접합라인
90 ㆍㆍㆍ 유방컵
90a ㆍㆍㆍ 상컵부
90b ㆍㆍㆍ 하컵부
91 ㆍㆍㆍ 작은 무늬
92 ㆍㆍㆍ 하컵부(90b)의 작은 무늬(93)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93 ㆍㆍㆍ 스트랩(어깨끈)
94 ㆍㆍㆍ 전신경
95 ㆍㆍㆍ 전신경(94)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
96 ㆍㆍㆍ 작은 무늬
97 ㆍㆍㆍ 후신경
98 ㆍㆍㆍ 후신경(97)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
99 ㆍㆍㆍ 작은 무늬
100 ㆍㆍㆍ 접합라인
110 ㆍㆍㆍ 유방컵
111 ㆍㆍㆍ 스트랩(어깨끈)
112 ㆍㆍㆍ 전신경
113 ㆍㆍㆍ 후신경(112)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
114a, 114b ㆍㆍㆍ 작은 무늬
115 ㆍㆍㆍ 작은 무늬
116 ㆍㆍㆍ 후신경
117 ㆍㆍㆍ 후신경(116)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
118a, 118b ㆍㆍㆍ 작은 무늬
119 ㆍㆍㆍ 작은 무늬
120, 121 ㆍㆍㆍ 접합라인
130 ㆍㆍㆍ 유방컵
131 ㆍㆍㆍ 스트랩(어깨끈)
132a ㆍㆍㆍ 우반신 전후신경
132b ㆍㆍㆍ 좌반신 전후신경
133 ㆍㆍㆍ 작은 무늬
134 ㆍㆍㆍ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135, 136 ㆍㆍㆍ 접합라인
200, 200a, 200b ㆍㆍㆍ 작은 무늬
201, 201a, 202b ㆍㆍㆍ 작은 무늬
202, 202a, 202b ㆍㆍㆍ 작은 무늬
481 ㆍㆍㆍ 댐옷감
482 ㆍㆍㆍ 배 눌룸 옷감
483 ㆍㆍㆍ 테이프형상물
본 발명의 의류에 이용하는 옷감은, 표면측에 나타나는 실로 구성되는 비교적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의 패턴 모양을 형성하는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도, 또한 그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도,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경편으로 짜져 있고, 게다가 탄성실이 삽입되든가 및/또는 탄성실이 짜 넣어서 이루어지는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편방향, 즉 실이 공급되는 방향이, 완성한 의류의 거의 횡방향으로 이루는 모양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적용되는 의류의 종류나 적용되는 부위에 의해서는 경사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경편옷감는, 실제로는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예컨대 특개평 6-166934호 등 참조) 등을 이용하여, 이 경편기에 지편용의 비탄성실과 삽입실용 및/또는 짜 넣음용의 탄성실을 공급하여 동시에 짜지는 것이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지편의 부분을 우선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편은,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대응하여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작은 무늬의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형성한다. 게다가 상기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을 보유하고 있다. 예컨대, 거들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를 형성하는 경우에,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거들의 좌우의 히프부의 불룩함의 아래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으로,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으로 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은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형성하는 매우 심플한 케이스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 상술한 모양의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1)의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임시로 2에 나타내는 작은 무늬부분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3이 좌히프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 4는 좌측의 다리부나 옆부분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 이라고 말하는 모양의 강 긴박력과 약 긴박력의 패턴을 보유하는 옷감를 제조하는 것으로한다. 이 경편옷감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즉, 자카드편의 경편기에 의해서 짜져서 경편기로부터 배출되는 옷감의 배출방향이 화살표(S)의 방향이다.
여기서 임시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새틴조 네트조직,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3)과 (4)를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가정하면, 이 지편옷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예컨대 특개평 6-166934호 등 참조, 또는 구체적으로는 실 가이드바에 구부리는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컬마이어텍스타일머신파블릭 GmbH사 제조(일본 마이어 가부시키가이샤 발매)의 고속 자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여, 도 1의 Wn 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m0번째의 코스에서 m1번째의 코스까지는,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짜고, m1번째의 코스와 m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짜며, m2번째의 코스부터 m3번째의 코스는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짜고, 이어서 m3번째의 코스에서 m4번째의 코스까지는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짜며, m4번째의 코스에서 m5번째의 코스는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짜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도 1의 Wn+x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m0번째의 코스에서 q1번째의 코스까지는,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짜고, q1번째의 코스와 q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짜며, q2번째의 코스에서 q3번째의 코스는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짜며, q3번째의 코스에서 q4번째의 코스는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짜며, q4번째의 코스에서 m5번째의 코스까지의 코스는 메슈 조 네트조직으로 짜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짜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울이 각 코스에 관해서 상기의 모양의 지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긴박력의 등급을 두 개이상의 등급으로 원하는 경우,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실현하는 것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 1에 나타낸 도면과 유사한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1)의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2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3이 좌히프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 4는, 좌측의 다리부나 옆부분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고, 도 1의 경우와 다른 것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이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2a)과, (2a)에 비해, 보다 한 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2b)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약 긴박력 부분과 두 개의 등급의 강 긴박력 부분의 패턴을 보유하는 경편옷감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즉, 자카드 경편기에 의해서 짜져서 경편기로부터 배출되는 옷감의 배출방향이 화살표(S)의 방향이다.
여기서 임시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2a 및 2b)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새틴조 네트조직,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3)과 (4)를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가정하면, 이 지편옷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 사용하는 편기는 상기한 편기와 마찬가지의 자카드 제조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예컨대 특개평6-166934호 등 참조, 또는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바에 구부리는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컬마이어텍스타일머신파블릭 GmbH사 제조의 고속 자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3), (4)의 부분의 형성방법은, 도 1에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도 2에는 주로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a)과, 그 보다 한 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2b)을 원하는 패턴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3), (4)의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여 (2a)와 (2b)의 부분만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Wn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m11번째의 코스에서 m12번째의 코스까지는,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비교적 적은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짜고, m13번째의 코스와 m14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짠다. 마찬가지로 도 2의 Wn+x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q11번째의 코스에서 q12번째의 코스까지는,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비교적 적은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짜며, q13번째의 코스와 q14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2 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짠다. 이러한 짜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울과 각 코스에 관해서 상기의 모양의 지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양의 상기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다수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되고, 상기 작은 무늬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으로 경편에 의해서 짜는 것은, 종래의 오래된 경편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실질상 곤란하였지만, 상기 설명에서 명확한 모양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제한없이 지편조직의 조직변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긴박력의 변화도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제한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다. 종래의 오래된 경편기를 이용한 것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작은 무늬의 밀집부분을 전체형상으로 하여 거시적으로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 등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여 실질상 실현가능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분을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부분의 작은 무늬의 사이의 간격은, 본 발명의 목적으로하는 기능이 발휘될 수 있으면 좋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이다. 그리고,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 사이의 간격은 좁을수록 좋다.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의 사이의 간격는, 인접하는 작은 무늬 끼리의 외연 간의 거리의 사이가 가장 짧은 부분의 거리를 의미하고 있다.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의 사이의 간격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에 요구되는 긴박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다. 작은 무늬 밀집부분을 전체형상으로 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 이외의 패턴을 보유하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예컨대, 후술하는 복부 누름용 작은 무늬부(예컨대 도 15의 (21b) 등 참조) 등이, 더욱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경우의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의 사이의 간격도, 상기한 범위 내인 것이 호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이 조직도는, 편업계에 있어서 관용되어 있는 규정에 따라서 묘사한 조직도이다. 따라서, 실제의 편조직의 실의 상태를 충실하는 그대로를 그려낸 것은 아니지만, 해당업자에 있어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조직도이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S)의 방향이 도 2의 화살표(S)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새틴조 네트조직(경편옷감)을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은,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 이외의 새틴조 네트조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은, 자카드 운동의 화살표(X1), (X2), (X3)에 나타낸 코스가 도 3의 좌방향으로 각각의 화살표로 나타낸 모양에 2침의 꿰맴을 넣은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도 3에 있어서 그 좌단에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참조를 위해, 만약 2침의 꿰맴을 넣지 않았다고 가정한 경우의 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 중 일점쇄선(A)와 (B)의 사이가 1 반복단위이고, 이해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 반복단위로서 최저 6 코스를 기재한 것이다.
2침의 꿰맴을 넣은 부분은, 실이 보다 긴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1 반복단위 중,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많을수록, 보다 긴박력이 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는, 1 반복단위 중,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코스가 (X1), (X2), (X3)의 3 곳 존재하고, 후술하는 도 4나 도 5에 나타내는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가장 긴박력이 강한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은, 자카드 운동의 화살표(X1), (X2)에 나타낸 코스가 도 4에 좌방향에 각각의 화살표에 나타낸 모양으로 2침의 꿰맴을 넣은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또, 도 4 중 일점쇄선(A)와 (B)의 사이가 1 반복단위이다. 도 4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는, 1 반복단위,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코스가 (X1), (X2)의 2 곳 존재하고, 상술한 도 3에 나타내는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긴박력이 약하게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보다 긴박력이 강한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은, 자카드 운동의 화살표(X1)에 나타낸 코스가 도 5의 좌방향에 화살표로 나타낸 모양으로 2침의 꿰맴을 넣은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또, 도 5 중 일점쇄선(A), (B)의 사이가 1 반복단위이다. 도 5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는, 1 반복단위 중, 2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코스가 (X1)의 1 곳만 존재하고, 상기한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는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긴박력이 약하게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내는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보다 긴박력이 강한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메시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의 일례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있어서도 화살표(S)의 방향이 도 2의 화살표(S)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메시조 네트조직(경편옷감)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도 6에 나타낸 메시조 네트조직은,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 이외의 메시조 네트조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시조 네트조직은, 도 6에서도 명확한 모양으로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공간부분이 크고, 단위면적당 실의 밀도가 작고, 따라서, 상기한 도 3 내지 도 5의 새틴조 네트조직에 비해서, 긴박력이 약하게 된다. 또, 도 6 중 일점쇄선(A)와 (B) 및 (B)와 (C)의 사이가 각각 1 반복단위이다. 즉 (A)와 (B)의 사이의 조직과 (B)와 (C)의 사이의 조직은 동일 조직의 반복이다.
이상, 설명한 모양의 상태에 의해서,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컨트롤하는 것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모양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은 새틴조 네트조직이 이용되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은, 메시조 네트조직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2에 예시한 모양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긴박력이 다른 2 개의 등급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의 어느 것 중 2 개를 짜 맞추면 좋다. 또한, 3 개 이상의 등급의 강 긴박력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는, 예컨대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모양의 짜는 방법을 짜 맞추어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동일한 크기의 작은 무늬도, 예컨대 우측의 열의 작은 무늬를 메시조 네트조직 중 예컨대 도 5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으로 짜고, 좌측의 열의 작은 무늬를 메시조 네트조직 중, 우측의 작은 무늬를 짠 조직보다도 보다 한 층 긴박력이 강한 조직, 예컨대 도 4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으로 짠다라고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상태는, 대표예로서,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긴박력이 다른 2 개이상의 등급의 부분에 나누어서 패턴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새틴조 네트조직,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의 어느 2개를 짜 맞춤에 의한 조직의 다른 것의 짜 맞춤으로도 좋지만, 동일한 종류의 새틴조 네트조직을 이용하여, 작은 무늬의 크기나 밀집밀도를 바꾸어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도 3 내지 도 5 등에 설명한 모양의 2침 꿰맴 등이 넣은 편조직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에 설치되어 있다. 피조 소자 등이 사용된 구부리는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 가이드바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2침 꿰맴 등의 편조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의 상세는 예컨대 상기 모양으로 특개평 6-166934호 등에 설명되어 있어, 구체적으로는 컬마이어텍스타일머신파블릭 GmbH사 제조의 고속의 자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은, 지편으로서, 자카드편(경편)에 의한 네트조직을 채용하는 경우의 짜는 조직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다음으로 지편으로서, 자카드편(경편)에 의한 트리콧조직을 채용하는 경우의 짜는 조직에 관해서 설명한다.
트리콧의 경우도, 도 1 이나 도 2에서 설명한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1)의 평면도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 자카드 편에 의한 트리콧 경편옷감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도 화살표(S)의 방향이다. 즉, 자카드 경편기에 의해서 짜져서 경편기에서 배출되는 옷감의 배출방향이 화살표(S)의 방향이다.
여기서 임시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새틴조 트리콧조직,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3)과 (4)를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가정하면, 이 지편옷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즉 자카드제어장치을 보유하는 경편기(예컨대 특개평 6-166934호 등 참조, 도는 구체적으로는 실 가이드바에 구부리는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컬마이어텍스타일머신파블릭 GmbH사 제조(일본 마이어 가부시키가이샤 발매)의 고속 자타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여, 도 1의 Wn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m0번째의 코스에서 m1번째의 코스까지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m1번째의 코스와 m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m2번째의 코스에서 m3번째의 코스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이어서 m3번째의 코스에서 m4번째의 코스까지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m4번째의 코스에서 m5번째의 코스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짜는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Wn+x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m0번째의 코스에서 q1번째의 코스까지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q1번째의 코스와 q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q2번째의 코스에서 q3번째의 코스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q3번째의 코스에서 q4번째의 코스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q4번째의 코스에서 q5번째까지의 코스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짜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짜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울과 각 코스에 관해서 상기의 모양의 지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긴박력의 등급을 2개 이상의 등급으로 원하는 경우, 지편 트리콧조직에 의해서 이것을 실현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2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3이 좌히프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 4는 좌측의 다리부나 옆부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고, 도 1의 경우와 다른 것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a)과, (2a)에 비해서, 보다 한 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2b)으로 되는 점이다.
이 모양의 약 긴박력부분과 2개의 등급의 강 긴박력부분의 패턴을 보유하는 경편옷감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즉, 경편기에 의해서 짜져서 경편기로부터 배출되는 옷감의 배출방향이 화살표(S)의 방향이다.
여기서 임시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2a) 및(2b))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새틴조 트리콧조직,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3)과 (4)를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가정하면, 이 지편옷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 사용하는 편기는 상기 편기와 마찬가지의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예컨대 특개평6-166934호 등 참조, 또는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바에 구부리는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컬마이어텍스타일머신파블릭 GmbH사 제조의 고속 자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3)과 (4)의 부분의 형성방법은, 도 1에 트리콧조직에 관해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도 2에는 주로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2a)과, 이것보다 한 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2b)을 원하는 패턴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3), (4)의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여 (2a)와 (2b)의 부분만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Wn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m11번째의 코스에서 m12번째의 코스까지는, 3 침이상 또는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비교적 적은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m13번째의 코스와 m14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3침이상 또는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짠다. 마찬가지로 도 2의 Wn+x번째의 울을 짜는 경우는, q11번째의 코스에서 q12번째의 코스까지는, 3침이상 또는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비교적 적은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짜고, q13번째의 코스와 q14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3침이상 또는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짠다. 이러한 짜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울과 각 코스에 관해서 상기 모양인 지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를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이 조직도는, 편업계에 있어서 관용되어 있는 규정에 따라서 묘사된 조직도이다. 따라서, 실제의 편조직의 실의 상태를 충실하는 그대로 그려낸 것은 아니지만, 해당업자에 있어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조직도이다.
어느 도에 있어서도 화살표(S)의 방향이 도 2의 화살표(S)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새틴조 트리콧조직(경편옷감)을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은,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 이외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은, 자카드 운동의 화살표(X1), (X2), (X3)에 나타낸 코스가 도 7의 좌방향에 각각의 화살표로 나타낸 모양으로 3침의 꿰맴을 넣은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도 7에 있어서 그 좌단에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참조를 위해, 자카드 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의 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중 일점쇄선(A)과 (B)의 사이가 1 반복단위이다.
3침의 꿰맴을 넣은 부분은, 실이 보다 긴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1반복단위 중,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많은 정도, 보다 긴박력이 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는, 1 반복단위 중, 3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코스가 (X1), (X2), (X3)의 3곳 존재하고, 후술하는 도 8이나 도9에 나타내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가장 긴박력이 강한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은, 자카드 운동의 화살표(X1)에서 나타낸 코스가 도 8의 좌방향에 3침의 꿰맴을 넣은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다. 또, 도 8 중 일점쇄선(A), (B)의 사이가 1 반복단위이다. 도 8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있어서는, 1 반복단위 중, 3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코스가 (X1)의 1 곳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도 7에 나타내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긴박력이 약하게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9에 나타내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보다 긴박력이 강한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은, 자카드 운동의 화살표(X7)에 나타낸 코스가 도 9의 좌방향으로 1침의 꿰맴을 넣은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다. 또, 도 9 중 일점쇄선(A)과 (B)의 사이가 1반복단위 중, 1침의 꿰맴을 넣어 있지 않은 코스가 (X7)의 1 곳 존재하고, 상기 도 7 이나 도 8에 나타내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긴박력이 약하게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10에 나타나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보다 긴박력이 강한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으로 이용하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대표적인 조직도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도 화살표(S)의 방향이 도 2의 화살표(S)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메시조 트리콧조직(경편옷감)을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화살표 (S)의 방향이다. 도 10에 나타낸 메시조 트리콧조직은,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 이외의 메시조 트리콧조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시조 트리콧조직은, 도 10에서도 명확한 모양으로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공간부분이 크고, 단위면적당 실의 밀도가 작고, 따라서, 상기 도 7 내지 도 9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비해서, 긴박력이 약하게 된다. 또, 도 10 중 일점쇄선(A )과 (B) 및 (B)와 (C)의 사이의 조직은 동일 조직의 반복이다.
이상, 설명한 모양의 상태에 의해서,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 트리콧조직을 컨트롤하는 것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모양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은 새틴조 트리콧조직이 이용되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은, 메시조 트리콧조직이 이용되어 진다.
또한, 도 2에 예시한 모양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긴박력이 다른 2개의 등급의 부분에 나누어서 패턴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어느 2 개를 짜 맞추면 좋다. 또한, 3개이상의 등급의 강 긴박력부분을 모양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는, 예컨대 도 7,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낸 모양인 짜는 방법을 짜 맞추어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일한 크기의 작은 무늬에도, 예컨대 좌측의 열의 작은 무늬를 메시조 트리콧조직 중 예컨대 도 9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으로 짜고, 좌측의 열의 작은 무늬를 메시조 트리콧조직 중, 우측의 작은 무늬를 짠 조직보다도 보다 한 층 긴박력이 강한 조직, 예컨대 도 8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에 짠다라고 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상태는, 대표예로서,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긴박력이 다른 2 개이상의 등급의 부분에 나누어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을, 예컨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어느 2개를 짜 맞추는 것에 의한 조직의 다른 것의 짜 맞춤에도 좋지만, 동일한 종류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을 이용하여, 작은 무늬의 크기나 밀집밀도를 바꾸어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모양인 새틴 및 메시조 트리콧조직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보유하는 경편기에 설치되어 있다. 피조 소자 등이 이용된 구부리는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 가이드바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3침이나 2침 등의 꿰맴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의 상세는 예컨대 상기 모양으로 특개평 6-166934호 등에 설명되어 있어, 구체적으로는 컬마이어텍스타일머신파블릭 GmbH사 제조의 고속 자카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모양의 트리콧조직은, 라셀 편기의 1 종인 자카드 라셀편기에 의해서 짜진 트리콧이다. 또한, 상기 트리콧조직은 자카드 트리콧편기에 의해서 짜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이, 새틴조 네트조직과 메시조 네트조직과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나, 새틴조 트리콧조직과 메시조 트리콧조직과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마찬가지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 중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메시조 경편 레이스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레이스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트레치 레이스의 경편조직도, 상기 자카드 라셀편기에 의해서 짜진 스트레치 레이스이다. 이 경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메시조 경편 레이스로서는, 메시조 경편 트리콧 레이스로 하여도 좋고, 메시조경편 네트 레이스로 하여도 좋지만, 통상은 아름다운 레이스의 외관이 나오기 쉬운 점에서는 메시조 경편 트리콧 레이스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의류의 일부가 상기 스트레치 레이스이고, 다른 부분이 상기한 바와 같은 새틴조 또는 메시조 네트 또는 새틴조 또는 메시조 트리콧인 것과 같은 짜 맞춤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전자가 새틴조 네트조직 또는 새틴조 트리콧조직, 후자가 메시조 네트조직 또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짜 맞춰서 구성하고, 상기 짜 맞춤 이외의 부분의 소망 부분을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으로서 메시조 경편레이스조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메시조 경편레이스조직의 부분에 무늬가 형성되어 있어도, 메시조 경편 레이스조직의 부분의 전체의 긴박력이 상기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긴박력에 비해서 약한 것이면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상의 모양의 지편을 구성하는 비탄성실로서는, 나일론실, 폴리에스테르실 등의 합성섬유실, 레이온실, 아세테이트실, 큐프라실 등의 재생섬유실, 목면, 견사, 마사, 울실 등의 천연섬유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나일론실이 특히 바람직하고, 굵기로서는 나일론실로 20 내지 80 데닐로 상당하는 굵기의 실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어진다.
이상,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에 관해서, 네트조직의 경우와 트리콧조직의 경우 등에 관해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별하여 설명하였지만, 지편조직자체로는, 특히 엄밀한 구별이 있는 이유는 없고, 공통하는 지편조직도 있다. 네트조직이나 트리콧조직 등의 구별은, 통상, 탄성실을 삽입하는 것이 이것과도 탄성실을 루우핑으로 호칭되는 방식으로 짜 넣는 것에 의해서 구별되는 것이 일반적인 분류라고 한다.
한 편, 상기 메시조 레이스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레이스의 경우에는, 탄성실을 삽입하는 경우와 루우핑으로 호칭되는 방식으로 짜 넣는 방식에서 전자를 메시조 네트 레이스조직, 후자를 메시조 트리콧 레이스 조직이라고 하는 구별은 되어 있지 않다. 메시조 네트 레이스조직에도 메시조 트리콧 레이스조직에도, 탄성실을 삽입하는 경우와 탄성실을 루우핑으로 호칭되는 방식으로 짜 넣는 경우의 어느 방식으로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짜 맞춤으로서는, 메시조 트리콧 레이스의 지편조직에 탄성실을 삽입하는 짜 맞춤이 레이스로서의 무늬가 아름답게 나타나는 것에서 바람직하다.
이상, 지편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옷감은, 이러한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더욱이 옷감의 울 방향으로 삽입실로서 탄성실이 삽입되어 있든지, 및/ 또는 탄성실이 짜 넣어져 있다(루우핑으로 되어 있다.). 삽입되는 탄성실 및/또는 짜 넣는 탄성실은, 균등하게 삽입 및/또는 짜 넣어져 있어도 좋지만,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대응하여, 삽입 및/또는 짜 넣는 탄성실의 개수 및/또는 굵기를 변화시켜도 좋다.
도 11 내지 도 13에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 네트조직에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직도를 나타내었다. 탄성실이 삽입되어 있다라는 한다면, 통상 해당업자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조심하기 위하여 그 대표적인 예를 채택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는,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게 한정하고,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그 이외의 상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는, 모두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을 예로서, 이 조직에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또,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은, 표면측의 조직만을 나타내었지만,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는, 모두 새틴조 네트조직의 안측의 조직도 겹쳐서 나타낸다. 그래서,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는, 모두 도 11(b), 도 12(b), 도 13(b)이, 상기 새틴조 네트조직에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조직도이고, 도 11(a), 도 12(a), 도 13(a)이, 그것을 구성하는 각각의 실 1 개씩을 채택하여 각각 조직도에 기재한 것이다.
모든 도에 있어서 화살표(S)의 방향이 실의 공급방향이다.
도 11에 나타낸 상태는,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에 1 개씩의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조직도이다.
도 11(a), (b)에 있어서, 5가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내는 비탄성실이고, 6이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의 안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이고, 7이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다.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각 울(B1), (B2), (B3), (B4), (B5)의 사이에 각각 1 개씩의 삽입실(7)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지편으로서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새틴조 네트조직이나 메시조 네트 그 외의 조직의 경우에서도, 「1개씩의 삽입실이 삽입된다」라는, 지편의 조직이 달라도, 개념적으로는 동일하고, 각 울의 사이에 각각 1개씩의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도 12에 나타낸 상태는,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에 2개씩의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조직도이다.
도 12(a), (b)에 있어서, 5가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이고, 6이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의 안측에 나타내는 비탄성실이며, 8이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다. 도 1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각 울(B1), (B2), (B3), (B4), (B5)의 사이에 각각 2 개씩의 삽입실(8)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지편으로서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새틴조 네트조직이나 메시조 네트 그 외의 조직의 경우에도, 「삽입실 2개가 가지런히 삽입되어 있다」에서는, 지편의 조직이 달라도, 개념적으로는 동일하고, 각 울의 사이에 각각 2개씩의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상태는,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에 2개씩의 삽입실과 1개씩의 삽입실이 교대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조직도이다.
도 13(a), (b)에 있어서, 5가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이고, 6이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네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이고, 7과 9가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삽입실이다. 도 13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울(B1), (B2)의 사이에는 1 본의 삽입실(7)이 삽입되어 있고, 울(B2)과 (B3)의 사이에는 2개의 가지런한 삽입실(9)이 삽입되어 있고, 계속하여, 울(B3)과 (B4)의 사이에는 1개의 삽입실(7)이 삽입되어 있고, 게다가, 울(B4)과 (B5)의 사이에는 2개 가지런한 삽입실(9)이 삽입되어 있다. 지편으로서 도 3에 나타낸 새틴조 네트조직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새틴조 네트조직이나 메시조 네트 그 외의 조직의 경우에도, 「2개씩의 삽입실과 1개씩의 삽입실이 교대로 삽입되어 있다」에서는, 지편의 조직이 달라도, 개념적으로는 동일하고, 각 울의 사이에 교대로 각각 2개씩과 1개씩의 삽입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상 설명한 것은, 삽입실의 개수가 1개 또는 2개씩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3개씩이상 가지런하게 삽입하거나, 3개씩이상 가지런하게 삽입한 부분과 그 보다 삽입개수가 적게 되는 부분을 교대로 설치하는 등, 필요에 대응하여 다른 상태로 하여서도 좋다.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긴박력을 강하게 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삽입실은 2개가 가지런히 삽입되고, 비교적 긴박력을 약하게 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삽입실은 1개씩 삽입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모양의, 지편조직과 삽입실과의 짜 맞추고, 예컨대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모양의 삽입실의 삽입상태와, 도 1 내지 도 6에 설명한 모양의 지편조직에 의한 긴박력의 강약의 상태를 짜 맞추는 것, 게다가 삽입하는 탄성실의 굵기를 삽입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하는 것 등의 짜 맞춤에 의해, 여러 가지의 강함의 등급의 긴박력을 보유하는 부분을 1개의 경편옷감의 위에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모양의, 탄성실이 삽입된 새틴조 네트조직이나 메시조 네트조직의 대표적인 조직의 예로서는, 이것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파워 네트가 올려진다. 도 3 내지 도 6,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 조직은 파워 네트의 일례이다.
도 14에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조직에 탄성실이 짜 넣어져 있다(루우핑으로 되어 있다) 트리콧조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직을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탄성실이 짜 넣어지는 상태는, 대표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탄성실이 짜 넣어지는 이외의 상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을 예로 하여, 이 지편조직에 탄성실이 짜 넣어지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또, 도 7에 있어서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은, 표면측의 조직만을 나타내었지만, 도 14에 있어서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의 조직도 겹쳐서 나타내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 있어서는, 도 14(b)가, 상기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탄성실이 짜 넣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조직도이고, 도 14(a)가, 이것을 구성하는 각각의 실 1개씩을 들어 올려서 각각에 조직도에 기재한 것이다. 또, 화살표(S)의 방향이 실의 공급방향이다.
도 14에 나타낸 상태는,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각 울마다 1개씩의 탄성실이 짜 넣어 지는 상태를 나타낸 조직도이다.
도 14(a), (b)에 있어서, 10이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이고, 11이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비탄성실이고, 12가 짜 넣은 탄성실이다.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각 울(B1), (B2), (B3), (B4), (B5)에 관해서 각각 1개씩의 탄성실(12)이 있는 울과 인접의 울을 교대로 왕복하는 모양으로 짜 넣어진다. 지편으로서 도 7에 나타낸 새틴조 트리콧조직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나 메시조 트리콧의 다른 조직의 경우에도, 「1개씩의 탄성실이 짜 넣어진다」라는, 지편의 조직이 다르더라도, 개념적으로는 동일하고, 어떤 울에 1본의 탄성실이 짜 넣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지편으로서의 새틴조 트리콧조직에 2개씩의 탄성실이 짜 넣어져도 좋고, 각 울마다에 교대로 2개씩의 탄성실과 1개씩의 탄성실이 짜 넣어 있어도 좋고, 탄성실 3개씩이상 가지런히 짜 넣거나, 3개씩이상 가지런히 짜 넣은 부분과 그 보다 탄성실의 개수가 적게 된 부분과를 교대로 설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다른 모양으로 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긴박력을 강하게 하기 원하는 경우에, 탄성실은 2개가 가지런하게 짜 넣어지고, 비교적 긴박력을 약하게 하기 원하는 경우에, 탄성실은 1개씩 짜 넣어진다.
이상에 설명한 모양의, 지편조직과 짜 넣어지는 탄성실과의 짜 맞추고,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모양의 탄성실의 짜 넣은 모양과, 도 7 내지 도 10에 설명한 모양의 지편 트리콧조직에 의한 긴박력의 강약의 모양을 짜 맞춤에 의해, 여러 가지 강도의 등급의 긴박력을 보유하는 부분을 1개의 경편 트리콧옷감의 위에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양의, 탄성실이 짜 넣어지는(루우핑되어 있는) 새틴조 트리콧조직이나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대표적인 조직의 예로서는, 이것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투웨이 트리콧이 알려져 있다. 도 7 내지 도 10과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조직은 투웨이 트리콧의 일례이다.
상기 메시조 경편 레이스를 지편조직으로 하는 스트레치 레이스에 관해서의 탄성실의 삽입이나 짜 넣음에 관해서도, 설명은 생략하지만 거의 마찬가지의 취지이다.
삽입실에 이용하는 탄성실 또는 짜 넣어지는 탄성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우레탄조직이 바람직하다.
탄성실의 굵기는, 이용하는 의류의 종류, 지편조직의 종류, 동일 의류에도 어느 부위에 이용하는가에 의해서, 각각 적당한 굵기의 것을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특히, 긴박력의 변화를 탄성실의 굵기를 바꾸어서 실현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가느다란 실로부터 비교적 굵은 실까지 이용하는 것으로 된다. 통상적으로는, 탄성실로서는, 40 내지 560 데닐의 범위에서, 각각의 제품의 종류나 탄성실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당한 범위의 것을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의류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의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에 본 발명의 의류인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6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7에는, 상기 도 15, 도 16에 나타낸 거들의 주로서 뒤에서 앞옆 내지 다리부에 이용되는 옷감의 재단전의 평면도, 도 18에는, 상기 도 15, 도 16에 나타낸 거들의 앞측 복부에 이용되는 복부옷감용의 옷감의 재단전의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15 내지 도 18에 있어서 화살표(S)의 방향의 의미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의 화살표(S)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21a에 나타낸 복부옷감의 최외주부, 21b에 나타낸 복부옷감의 복부 삽입용 작은 무늬부는, 모두 그 지편은 40 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은 280 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복부옷감의 최외주부(21a)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하, 특별히 자르지 않는 한,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을, 단지 지편조직으로 생략한다.)은 도 6에 설명한 모양의 메시조 네트조직(이하의 전체의 실시모양에 있어서는, 특별히 자르지 않는 한, 도 6에 설명한 모양의 메시조 네트조직을 단지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생략하는 것이 있다.)이고, 복부삽입용 작은 무늬부(21b)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조직이다. 따라서 긴박력이 강한 21b〉21a의 순으로 된다. 21a가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으로 상당하고, 21b가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으로 상당하는 것으로 된다. 22g, 23k가 히프의 거의 주요부를 덮는 히프충당부, 23e, 24l의 부분이 히프업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히프의 불룩함의 아래에서 옆구리에 걸쳐있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작은 무늬이고, 이 작은 무늬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굽혀진 띠형상의 패턴으로 되도록 작은 무늬를 다수 밀집시킨 히프-옆구리충당부(23e, 24l)이다. 이것은 히프충당부(23k)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23d는 옆구리부 하부를 덮는 하옆구리충당부이다. 24f, 24m, 24n이 다리부를 덮는 다리부충당부이다. 또, 크러츠용 옷감(26)은, 특별히 한정은 않고, 예컨대 도 17에 나타낸 모양으로 옷감(25)의 남은 부분에서 적당하게 잘라서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또, 도 15, 도 16에 나타낸 허리충당부(20)의 옷감의 소재는, 본 발명으로는 특별히 관계가 없고, 적어도 거들 횡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옷감을 예컨대 2개 구부리게 하여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지편이 40데닐의 나일론실을 이용되고, 삽입실로서 28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된 의류횡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원웨이 플레인 파워네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스트레치 타입 등을 이 내측에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또, 도 17에 나타내어 있는 22p의 부분은, 거들에는 사용되지 않는 폐기된 부분의 옷감이다. 22g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5에 설명한 모양의 새틴조 네트, 22p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6에 설명한 모양의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23k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메시조 네트, 23e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네트조직, 23d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24l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네트, 24f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메시조 네트, 24m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메시조 네트, 24n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또, 이 모양에서는 나타내어 있지 않지만, 24n의 부분은 24l과 마찬가지의 무늬를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집합체의 모양으로 하여도 바람직하다.
도 17에 있어서, 옷감(25) 중에 나타내어진 점선 라인A-B-C-D-E-F-G-A는 거들의 옆에서 뒤 및 다리부에 이용되는 착용자의 좌측 절반의 신경을 얻기 위한 재단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옷감(25) 중에 나타낸 점선라인H-I-J-H는 거들의 크러츠용의 옷감(26)을 얻기 위한 재단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에 있어서는 복부용의 옷감 중에 나타낸 점선라인K-L-M-N-K은 복부옷감의 최외주부(21a), 복부삽입용 작은 무늬(21b)로 이루어지는 복부옷감을 얻기 위한 재단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거들의 옆에서 뒤 및 다리부에 이용되는 착용자의 우측 절반의 신경을 얻기 위한 재단라인은, 도 17 중에 나타낸 재단라인과 좌우선대칭으로 된다. A-B라인은 K-L라인으로 봉합되고, Q-C라인은 E-D라인과 봉합되어서 좌다리부를 형성하고, G-F라인은 도시하지 않은 상기 우측 절반의 신경의 마찬가지인 부분과 봉합되어서 후중심의 봉합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크러츠용 옷감(26)의 O-P라인은 도 18의 L-M라인으로 봉합되고, O-I라인은 B-Q라인과 봉합되고, H-I라인은 F-E라인과 봉합된다. 도시하지 않은 상기 우측 절반의 신경의 봉제도 좌우대칭인 것에서 마찬가지이다. 이것에 허리를 충당부(20)의 옷감을 N-K와 A-G라인 및 도시하지 않았지만, 우측 절반의 신경의 A-G라인에 상당하는 라인으로 봉제에 의해 설치되어 도 15 내지 도 16에 나타낸 거들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롱타입의 거들의 각 부위의 긴박력은, 높은 순으로 부착하면, 대략, 제 1번째가 21b, 24l, 24n의 부분이고, 제 2번째가 22g의 부분이고, 제 3번째가 21a, 24f, 24m, 22p의 부분이고, 제 4번째가 23e의 부분이고, 제 5번째의 가장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 23d와 23k의 부분으로 된다.
질기기로 분류하면, 상기 제 1번째에서 제 2번째까지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범주에 상당하고, 이 이외는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의 범주에 상당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예에서는 실제로는 긴박력의 가장 강한 부분에서 가장 약한 부분까지 5단계의 긴박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모양으로 나타낸 예는, 삽입실의 굵기나, 삽입개수나, 삽입하는 영역을 비교적 상세하게 설정하고, 이 삽입조건으로 지편조직의 종류와의 짜 맞춤하여, 의류 각부위의 긴박력을 비교적 상세하게 변화시켜져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삽입조건과 지편조직과의 종류와의 짜 맞춤시킴을 더욱 상세하게 설계하여도 좋다. 더욱 조잡한 설계로 하여도 좋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조건은 거의 일정하게 해버리고, 지편조직의 변화에 따라서 긴박력의 변화를 실현하여도 바람직하다. 이 점은 다른 모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5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 거들에 관해서는, 상기에 설명한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히프형상을 조정하고, 복부의 팽출을 억제하여, 24n의 옷자락부분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옷자락부분의 밀려 올라감을 방지하고, 또한 굵은 넓적다리의 날씬하게 조정하고,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필요에 따라서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은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그러므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버린다라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 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 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이상에서 나타낸 거들은, 통상시용의 거들의 하나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지만,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다른 모양으로 변경하는 것은 아무런 지장도 없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거들에는, 예컨대 임산부용의 거들도 포함하지만, 임산부용의 거들에 본 발명은 적용하는 경우의 하나의 모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의 모양이다. 즉 예컨대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작은 무늬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 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의 패턴을, 거들 앞측에 있어서 복부의 중앙보다 밑의 부분에서 좌우의 옆측에 향하여 비스듬히 위로 늘어나 있는 모양의 거의 띠형상의 패턴과, 상기 거의 띠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긴박력이 비교적 강한 부분에 둘러싸여지는 부분의 복부는,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편물조직으로 하는 모양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이 모양은 임산부용의 롱타입 또는 숏타입의 거들이나 짧은 팬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9에 본 발명의 의류인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0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거들은, 작은 무늬(27)의 부분의 지편조직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새틴조 네트, 작은 무늬(28)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긴박력이 작은 무늬(27)의 부분보다 작은 무늬(28)의 부분의 방향이 보다 크게 되도록 하여, 긴박력에 의해 그러데이션(guradeshon) 변화를 부여한 모양이다. 지편조직의 실이나 삽입실의 종류나 굵기, 분포상태는, 앞의 도 15 내지 도 18에 설명한 거들과 마찬가지의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러한 거들의 모양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앞의 도 15 내지 도 18에 설명한 거들과 마찬가지의 작용ㆍ효과가 달성될 수 있음과 아울러, 더욱이, 작은 무늬(27)의 부분과 작은 무늬(28)의 부분이 지편조직의 점에서, 긴박력의 그러데이션 변화를 부여한 모양으로 하는 것으로, 보다 착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나타낸 거들은, 롱타입의 거들의 하나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지만, 옷자락부분을 통상의 숏타입의 거들의 모양으로 하거나, 짧은 팬티의 모양으로 하여, 숏타입의 거들이나 짧은 팬티에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1에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2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거들은, 작은 무늬(37)의 부분과 옷자락부분(39)의 지편조직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38)의 지편조직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어느 부분도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은 30으로 나타낸 영역(의류의 거의 횡방향으로 평행한 영역)은 28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고, 31에 나타낸 영역(의류의 거의 횡방향으로 평행한 영역)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고, 32에 나타내 영역(의류의 거의 횡방향에 평행한 영역)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고, 33에 나타낸 영역(의류의 거의 횡방향으로 평행한 영역)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고, 34에 나타낸 영역(의류의 거의 횡방향으로 평행한 영역, 즉 옷자락부분(39))은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히프 형상을 조정하고, 복부의 팽출을 억제하고, 옷자락부분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옷자락부분의 밀려 올라감을 방지하고, 또한 넓적다리의 형을 날씬하게 조정하고,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필요에 따라서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고,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이상에 나타낸 거들은, 롱타입의 거들의 하나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지만, 옷자락부를 통상의 숏타입의 거들의 모양으로 하거나, 짧은 팬티의 모양으로 하여, 숏타입의 거들이나 짧은 팬티에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3에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전측정면도, 도 24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거들은, 작은 무늬(37)의 부분과 옷자락부분(39)의 지편조직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38)의 지편조직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어느 부분도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의 삽입모양은 도 21 및 도 22에 설명한 모양과 거의 마찬가지인 것으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히프 형상을 조정하고, 복부의 팽출을 억제하고, 옷자락부분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옷자락부분의 밀려 올라감을 방지하고, 또한 넓적다리의 형을 날씬하게 조정하고,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필요에 따라서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이상에 나타낸 거들은, 롱타입의 거들의 하나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지만, 옷자락부를 통상의 숏타입의 거들의 모양으로 하거나, 짧은 팬티의 모양으로 하여, 숏타입의 거들이나 짧은 팬티에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5에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전측정면도, 도 26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거들은, 작은 무늬(37a), (37b)의 부분과 옷자락부분(39)의 지편조직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은 부분(38)의 지편조직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의 삽입모양은 도 21 및 도 22에 설명한 모양으로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37b)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으로, 거들의 옆에서 히프하부를 덮고 있고, 따라서 이 부분에 의해 히프업 등의 작용을 발휘하여 히프형상을 조정하고, 또한, 작은 무늬(37a)의 밀집부가 옆측에 존재하는 것으로, 옆의 형상을 세련되게 한 형으로 조정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옷자락부분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옷자락부분의 밀려 올라감을 방지하고, 또한 넓적다리의 형을 날씬하게 조정하고,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필요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고,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고,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이상에 나타낸 거들은, 롱타입의 거들의 하나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지만, 옷자락부분을 통상의 숏타입의 거들의 모양으로 하거나, 짧은 팬티의 모양으로 하여, 숏타입의 거들이나 짧은 팬티에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메시조 네트의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레이스를 도 25, 도 26에 나타낸 거들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38)의 지편조직 중 히프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을 메시조 경편트리콧 레이스의 지편조직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 27에 본 발명의 의류인 더욱 다른 모양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정면도, 도 28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거들은, 작은 무늬(37)의 부분과 옷자락부분(39)의 지편조직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38)의 지편조직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부분의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이 이용되고, 삽입실의 삽입모양은 도 21 및 도 22에 설명한 모양과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37)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으로, 거들의 옆구리 및 옆, 히프의 옆측을 굽혀져 있고, 따라서 이 부분에 의해, 특별히 옆측의 형상을 세련된 형으로 조정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옷자락부분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옷자락부분의 밀려 올라감을 방지하고, 또한 넓적다리의 형을 날씬하게 조정하고,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요구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 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인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이상에 나타낸 거들은, 롱타입의 거들의 하나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지만, 옷자락부분을 통상의 숏타입의 거들의 모양으로 하거나, 짧은 팬티의 모양으로 하여도, 숏타입의 거들이나 짧은 팬티에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9에 본 발명의 의류인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브래지어의 예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으로 된 작은 무늬(51)와 (52)를 브래지어의 컵(50)에 설치한 모양의 브래지어이다. (50)이 브래지어의 컵, (54)가 토대옷감, (55)가 뒷쪽옷감, (56)이 스트랩이다.
이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컵(50)의 컵 하변부에서 옆에 걸쳐있는 부분에 약간 크기가 큰 작은 무늬(52)와 이 보다 작은 눈의 작은 무늬(51)가 2열로 배치되어 있고, 이것의 작은 무늬(51)와 (52)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바라본 경우의 전체형상은 거의 원호형상으로 각각 굽혀진 띠형상으로 되어 있다. 컵(50)의 작은 무늬(51)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약간 큰 새틴조 네트로, 작은 무늬(52)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더욱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컵(50)의 그 다른 부분(53)의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29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컵(50)의 작은 무늬(51)의 부분의 지편조직을 도 8에 설명한 바와 같은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약간 큰 새틴조 네트로 하고, 작은 무늬(52)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7에 설명한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더욱 큰 새틴조 네트로 하고, 컵(50)의 그 다른 부분(53)은 메시조 트리콧으로 하여, 모든 지편은 3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컵(50)의 모든 부분에 탄성실로서 12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도 14에 설명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짜 넣어지는 브래지어도 작성하였다.
상기 모든 모양의 브래지어는, 작은 무늬(51)의 밀집부분의 긴박력이 무늬가 없는 부분(53)의 긴박력보다도 크고, 더욱 약간 큰눈의 작은 무늬(52)의 밀집부분의 긴박력은. 작은 무늬(51)의 긴박력보다도 더욱 크게 되고, 무늬가 없는 부분(53), 작은 무늬(51), 작은 무늬(52)의 순으로 차제에 긴박력이 크게되는 그러데이션 작용이 발휘되는 것으로, 급격하게 유방의 형을 변형하는 것 없이, 유방을 업시켜, 또한 앞중심방향으로 바싹되어서 아름다운 유방의 형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는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에 본 발명의 의류인 다른 모양의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브래지어는, 컵(50)이 상컵부(50a)와 하컵부(50b)가 접합라인(58)에 접합되어 있는 2장접합타입의 컵으로 이루어지는 브래지어이고, 이 예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으로 되는 작은 무늬(51)와 (52)를 도면과 같이 브래지어의 컵(50)에 설치한 모양의 브래지어이다. (54)가 토대옷감, (55)가 뒷쪽옷감, (56)이 스트랩이다.
이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하컵부(50b)의 컵하변부의 부분에 약간 크기가 큰 작은 무늬(52)와 그 보다 작은눈의 작은 무늬(51)가 2열로 배치되어 있고, 이 작은 무늬(51)와 (52)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바라본 경우의 전체형상은 거의 위로 볼록한 원호형상에 각각 굽혀진 띠형상으로 되어 있다. 컵(50)의 작은 무늬(51)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약간 큰 새틴조 네트로, 작은 무늬(52)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더욱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컵(50)의 그 다른 부분(53)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고, 또한, 컵(50)의 모든 부분에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0에 나타냄과 마찬가지의 모양으로 컵(50)의 작은 무늬(51)의 부분의 지편조직을 도 8에 설명한 바와 같은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약간 큰 새틴조 트리콧으로 하여, 작은 무늬(52)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7에 설명한 모양의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더욱 큰 새틴조 트리콧으로 하고, 컵(50)의 그 다른 부분(53)은 메시조 트리콧으로 하여, 모든 지편은 30데닐의 나일론실로 되고, 또한, 컵(50)의 모든 부분에 탄성실로서 120데닐의 폴리우레탄이 1개씩 도 14에 설명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짜 넣어있는 브래지어도 작성되었다.
상기 모든 모양의 브래지어는, 작은 무늬(51)의 밀집부분의 긴박력이 무늬가 없는 부분(53)의 긴박력보다도 크고, 더욱 약간 큰눈의 작은 무늬(52)의 밀집부분의 긴박력은, 작은 무늬(51)의 긴박력보다도 더욱 크게 되고, 무늬가 없는 부분(53 ), 작은 무늬(51), 작은 무늬(52)의 순으로 차츰 긴박력이 크게되는 그러데이션 작용이 발휘되는 것에서, 급격하게 유방의 형을 변형하는 것 없이, 특별히 유방을 업시켜서 아름다운 유방의 형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는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에 본 발명의 의류인 다른 모양의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브래지어도, 컵(50)이 상컵부(50a)와 하컵부(50b)가 접합라인(58)에 접합되어 있는 2장접합타입의 컵으로 이루어지는 브래지어이고, 이 예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으로 되는 작은 무늬(60)의 부분이 도면과 같이 브래지어의 뒷쪽옷감(55)에 설치된 모양의 브래지어이다. (54)가 토대옷감, (56)이 스트랩이다.
이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뒷쪽옷감(55)에 있어서 토대옷감(54)의 단에 가까운 경우 때문에 비스듬이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작은 무늬(60)의 집합체가 4열 형성되어 있다. 작은 무늬(60)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뒷쪽옷감(55)의 그 외의 부분(61)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어느 뒷쪽옷감의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뒷쪽옷감에는 삽입실로서 28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뒷쪽옷감을 보유하는 브래지어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60 )의 존재밀도가 비교적 토대옷감측에 가까운 경우이지만, 크게 되어 있는 것에서, 이 긴박력에 의해, 가슴옆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여 세련된 날씬한 가슴옆부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는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컵을 예컨대 도 29나 도 30에 설명한 바와 같은 컵에 바꾸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1에 나타냄과 마찬가지의 모양으로 작은 무늬(60)의 부분의 지편조직을 도 7에 설명한 바와 같은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트리콧으로 하고, 뒷쪽옷감(55)의 그 외의 부분(61)은 메시조 트리콧으로 하여, 지편은 뒷쪽옷감(55)는 모든 부분은 3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뒷쪽옷감(55)의 모든 부분은 탄성실로서 2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도 14에 설명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짜 넣어져 있는 브래지어도 작성한 경우, 상기 브래지어와 거의 마찬가지로, 가슴옆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여 세련된 날씬한 가슴옆부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고, 그 외의 상기 작용ㆍ효과도 거의 마찬가지로 달성할 수 있는 브래지어가 얻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컵을 예컨대 도 29나 도 30에 설명한 바와 같은 컵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2에 본 발명의 의류인 다른 모양의 브래지어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 브래지어도, 컵(50)이 상컵부(50a)와 하컵부(50b)가 접합라인(58)에 접합되어 있는 2장접합타입의 컵으로 이루어지는 브래지어이고, 이 예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으로 되는 작은 무늬(60)의 부분이 도면과 같이 브래지어의 뒷쪽옷감(55)에 설치된 모양의 브래지어이다. (54)가 토대옷감, (56)이 스트랩이다.
이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뒷쪽옷감(55)에 있어서 토대옷감(54)의 단에 가까운 경우 때문에 비스듬히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작은 무늬(60)의 집합체가 4열로 비스듬히 위로 올라가도록 작은 무늬(60)의 집합체가 4열 형성 되고, 작은 무늬(60)의 열이 교차하여 있는 바와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작은 무늬(60)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뒷쪽옷감(55)의 그 외의 부분(61)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뒷쪽옷감의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뒷쪽옷감에는 삽입실로서 28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뒷쪽옷감을 보유하는 브래지어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60)의 존재밀도가 비교적 토대옷감측에 가까운 경우이지만, 크게 되어 있는 것에서, 그러나 작은 무늬(6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예가 비스듬히 밑으로 내리면 비스듬히 위로 올려서 교차하여 있으므로, 이 부분의 긴박력이 도 31에 서 설명한 브래지어에 비해서 한층 강하게 되어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쪼임감이 좋은 착용자나 가슴옆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여 세련된 날씬한 가슴옆부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는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컵을 예컨대 도 29나 도 30에 설명한 바와 같은 컵에 바꾸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2에 나타냄과 마찬가지의 모양으로 작은 무늬(60)의 부분의 지편조직을 도 7에 설명한 바와 같은 3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트리콧으로 하고, 뒷쪽옷감(55)의 그 외의 부분(61)은 메시조 트리콧으로 하여, 지편은 뒷쪽옷감(55)은 모든 부분에 3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뒷쪽옷감(55)의 모든 부분에 탄성실로서 2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도 14에 설명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짜 넣어져 있는 브래지어도 작성한 경우, 상기 브래지어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가슴옆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여 세련된 날씬한 가슴옆부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고, 그 외의 상기 작용ㆍ효과도 거의 마찬가지로 달성할 수 있는 브래지어를 얻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컵을 예컨대 도 29나 도 30에 설명한 바와 같은 컵에 바꾸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3에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슈트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 도 34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사시도로는, 도의 지면의 평면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라는 의미이고, 예컨대 도 34에 있어서는 보디슈트의 도면의 상방에, 또 하나의 유방컵부나 그 어깨끈(스트랩) 등이 보여져야 하는 것이지만, 도의 지면의 평면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에 하측으로 바라본 부분(다시 말하면 도의 지면에서 이 보디슈트를 절단한 것으로 가정하여 지면의 속측에 이루는 부분)은 도시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만약 전체를 도시하면 복잡하게 되어 오히려 이해하기 어렵게 되는 것과, 해당업자이라면 도 33과 도 34로부터 본 발명품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보디슈트에 있어서, 70은 유방컵이고, 이 부분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앞에 도 29나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 브래지어의 컵부와 마찬가지의 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와 같이 하는가 안 하는가는 임의이다. 71은 스트랩(어깨끈), 72가 전신경, 75가 후신경이고, 2장의 후신경은 후중심에 접합라인(79)으로 이어져 있다. 78은 전신경(72)과 후신경(75)의 접합라인이다.
이러한 보디슈트에 있어서, 전신경(72)에 있어서는, 다수의 작은 무늬(73)가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무늬(73)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옆 위에서 옆옷자락으로 향하여 복부측에 볼록하게 되는 모양인 3중의 굽혀진 패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신경(75)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다수의 작은 무늬(76)가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무늬(76)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옆 위에서 옆옷자락으로 향하여 후중심측에 볼록하게 되는 모양인 3중의 굽혀진 패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은 무늬(73)와 (76)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인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전신경(72)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74)과 후신경(75)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77)의 지편조직은 도 6에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전신경(72), 후신경(75)의 모든 지편조직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전신경(72), 후신경(75)의 모든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73)와 (74)의 밀집부분의 긴박력이 강하게 되어 있는 것에서, 복부 옆의 군살과 옆하 가슴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고, 가슴의 늘어짐을 억제하여 옆측의 보디라인을 세련된 형으로 조정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요구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 35에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티디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 도 36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측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사시도로는, 상기와 같은 의미이다.
이 보디티디에 있어서, 82는 유방컵, 83은 스트랩(어깨끈), 84a가 우반신 전후신경, 84b가 좌반신 전후신경이고, 2장의 상기 신경(84a)과 (84b)는 앞중심의 접합라인(89)으로 이어져 있다.
이 보디티디에 있어서는 유방컵(82)의 컵하변부에서 옆측의 부분에 작은 무늬(81)가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컵(82)의 작은 무늬(81)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컵(82)의 그 외의 부분(80)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컵(82)의 모든 부분에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우반신과 좌반신용의 신경(84a), (84b)에는 복부에서 양옆에 비스듬히 내리고 후측의 옆측에서 히프의 하부에 수선해서(후측 옷자락부분에 수선해) 약간 작은눈의 작은 무늬(86)와 그 보다 큰눈의 작은 무늬(85)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반신과 좌반신용의 신경(84a), (84b)의 경편옷감의 상기 옷감을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방향은 도 안에 나타낸 화살표(S)의 방향으로 되도록 옷감을 재단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약간 작은눈의 작은 무늬(86)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5에 설명한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하고, 보다 큰눈의 작은 무늬(85)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긴박력이 작은 무늬(86)의 부분보다 작은 무늬(85)의 부분이 보다 크게 되도록 하여, 긴박력의 그러데이션 변화를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신경(84a), (84b)의 상기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6에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신경(84a), (84b)의 지편은 상기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도 존재하는 부분도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삽입실로서는 작은 무늬(85)와 작은 무늬(86)의 존재하는 전체로서 바라본 경우에 띠형상의 패턴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작은 무늬 모양의 띠의 길이 방향으로 수선한 방향(화살표(S)로 표시된 방향)으로 수선하여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다. 상기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87)에는 화살표(S)의 방향에 수선하여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81)에 의해 유방을 업시켜, 앞중심측에 바싹대서, 유방의 형이 아름답게 조정됨과 동시에, 복부에서 양옆으로 비스듬히 내려서 후측의 옆측에서 히프의 하부에 수선하여(후측옷자락부분에 수선해서)존재하는 작은 무늬(85)와 (86)에 의해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고, 히프의 불룩함을 아름다운 둥그스름으로 조정 또한 히프를 높은 위치로 지지하는 체형보정기능을 보유하는 보디티디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게 되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요구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 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 37에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세퍼레이트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 도 38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사시도로는, 상기와 같은 의미이다.
이 보디세퍼레이트에 있어서, 90은 유방컵이고, 90a가 상컵부, 90b가 하컵부, 93은 스트랩(어깨끈), 94가 전신경, 97이 후신경이고, 전신경(94)과 후신경(97 )은 옆측의 접합라인(100)에 이어져 있다.
이러한 보디세퍼레이트에 있어서, 유방컵(90)의 하컵부(90b)의 하변부에 복수의 작은 무늬(91)가 거의 원호형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고, 92는 하컵부(90b)의 작은 무늬(91)의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작은 무늬(91)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의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상컵부(90a) 및 하컵부의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92)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지편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또한, 유방컵(90)의 모든 부분에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전신경(94)에 있어서는, 다수의 작은 무늬(96)가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무늬(96)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이 작은 무늬의 밀집부가 가슴부 중심근방에서 복부 및 하복부까지 존재하고, 복부 거의 중앙부의 폭이 크게 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후신경(97)에 있어서는, 다수의 작은 무늬(99)가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무늬(99)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이 작은 무늬의 집합체가 거의 띠형상이고 후측의 가슴부위에 횡으로 긴 띠형상의 패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은 무늬(96)와 (99)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전신경(94)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95)과 후신경(97)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98)의 지편조직은 도 6에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고, 전신경(94), 후신경(97)의 모든 지편조직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전신경(94)에는 의류횡방향으로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후신경(97)의 거의 작은 무늬(99)가 존재하는 부분에는 의류횡방향으로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고, 후신경(97)의 작은 무늬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98)에는 의류횡방향으로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은 무늬(91)에 의해 유방을 업시켜서 유방의 형을 아름답게 조정함과 아울러, 유방컵의 밑의 가슴부 중심근방에 존재하는 작은 무늬(96)에 의해서 이 부분의 긴박력이 강해지는 것으로, 착용 중에 이 부분이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서, 유방의 옆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복부에 존재하는 작은 무늬(96)에 의해서,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는 세련된 보디라인으로 조정함과 아울러, 작은 무늬(99)에 의해서 가슴의 늘어짐을 억제하여 세련된 가슴라인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요구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지는 것에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 39에서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슬립의 앞측에서 바라본(표면사시도), 도 40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사시도로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이 보디슬립에 있어서, 110은 유방컵이고, 이 부분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앞에 도 29나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 브래지어의 컵부나 도 35의 보디티디의 유방컵 또는 도 37의 보디세퍼레이트의 유방컵과 마찬가지의 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와 같이 하는가 안 하는가는 임의이다. 111은 스트랩(어깨끈), 112가 전신경, 116이 후신경이고, 2장의 후신경(116)은 후중심에 접합라인(121)에 이어져 있다. 120은 전신경(112)과 후신경(116)의 접합라인이다.
이러한 보디슬립에 있어서, 전신경(112)에 있어서는, 다수의 약간 작은눈의 작은 무늬(114a)와 (114b) 및 그 보다 약간 큰눈의 작은 무늬(115)가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작은 무늬(114a), (114b) 또는 (115)의 각각의 작은 무늬의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앞중심에서 양옆측에 열려 있는 V장형의 띠형상 패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후신경(116)에 있어서도, 거의 마찬가지로 다수의 약간 작은 눈의 작은 무늬(118a)와 (118b) 및 그 보다 약간 큰눈의 작은 무늬(119)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중심에서 양옆측으로 열려 있는 V자형의 띠형상 패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작은 무늬(114a), (114b), (115), (118a), (118b), (119)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전신경(112)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113)과 후신경(116)의 작은 무늬 이외의 부분(117)의 지편조직은 도 6에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전신경(112), 후신경(116)의 모든 지편조직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전신경(112), 후신경(116)의 모든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각 작은 무늬(114a), (114b), (115), (118a), (118b), (119)의 각각의 밀집부분의 긴박력이 강하게 되어 있는 것에서, 복부, 옆부, 가슴부의 늘어짐을 억제하여 보디라인을 세련된 형으로 조정하고, 신체에 잘 맞도록 하여 아름다운 실루엣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요구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하여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 41에 본 발명의 의류인 보디슬립의 앞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 도 42에 그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표면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사시도로는, 상기와 같은 의미이다.
이러한 보디슬립에 있어서는, 다수의 작은 무늬(133)가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에서 가슴 근방을 양옆방향으로 향하는 더욱 가슴 근방을 양옆에서 후중심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작은 무늬(133)는, 작은 무늬 밀집부를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 복부 거의 중앙부의 폭이 크게 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설치되어 있다. 134는 전후신경(132a), (132b)에 있어서,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작은 무늬(133)의 부분의 지편조직은 도 3에 설명한 모양의 2침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로 이루고, 전신경(132a), (132b)의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134)의 지편조직은 도 6에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조 네트로 이루어지고, 전신경(132a), (132b)의 모든 지편조직은 4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고, 삽입실로서는, 작은 무늬(133)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거의 덮도록 의류횡방향으로 띠형상에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2개씩 삽입되어 있고, 작은 무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134)에는 의류횡방향으로 삽입실로서 140데닐의 폴리우레탄실이 1개씩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복부에 존재하는 작은 무늬(133)에 의해서,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억제하는 세련된 보디라인으로 조정함과 아울러, 작은 무늬(133)가 가슴부를 거의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가슴의 늘어짐을 억제하여 세련된 가슴라인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남은 긴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긴박력이 걸리게 되는 모양으로, 각 부분의 요구에 따른 긴박력을 부여하여, 착용감이 저하하지 않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긴박력에 차가 있는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무늬가 짜 넣어져 있는 것에서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한 층 향상하여 얻는다. 또한,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움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다. 또한,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한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여, 생산성에도 우수하다.
또, 이상의 모양인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작은 무늬 모양의 의류에 있어서의 존재위치는, 의류의 종류나 어느 부분의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하는가 등에 의해서 적당한 위치로 설치하면 좋고,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기 실시의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다른 형상의 작은 무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긴박력이 비교적 약한 부분은 상기 실시예에는 무늬모양이 존재하지 않는 모양(무지)으로 하였지만, 긴박력이 비교적 약하다라고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무지일 필요는 없고, 무늬가 형성되어 있어도 양호한 것은 아무런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되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것은 이미 본 출원인이, 어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간극이 없는 일련의 늘어서 있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구성한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을 보유하는 의류에 관해서 별도로 특허출원하였고, 그것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비교적 작은 무늬로 구성하고, 이 작은 무늬가, 긴체력을 비교적 강하게 하기 소망하는 부분의 원하는 패턴으로 되도록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하고,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와의 요건을 부가한 것이다. 이 부분의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가 전부 늘어서 있는 경우는 상기 특허출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라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양의 거들의 좌측용의 뒤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신경옷감(1)의 평면도로 무늬의 모양이 약간 다른 도면인 도 43의 모양인 경우에도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인 것에 주의해야만 한다. 도 43의 예에서는, 작은 무늬(200a)와 작은 무늬(200b)는 접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작은 무늬(201a)와 작은 무늬(201b), 및 작은 무늬(202a)와 작은 무늬(202b)는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 무늬(200a)와 작은 무늬(200b)를 통합하여 1개의 작은 무늬(200), 동일하게 작은 무늬(201a)와 작은 무늬(201b)를 통합하여 1개의 작은 무늬(201), 작은 무늬(202a)와 작은 무늬(202b)를 통합하여 1개의 작은 무늬(202)로 하면, 작은 무늬(200), (201), (202) 끼리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작은 무늬가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합체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바라봐서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면,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가 접촉하지 않는다라는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작은 무늬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작은 무늬 밀집부분을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에 바라본 경우에, 자카드 경편에는 종래 보여지게 된,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모양의 울 방향으로 평행하지 않고,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에 관해서도 실현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의 1개이다. 따라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소정부분에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작은 무늬의 집합체로 하여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양의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을 작은 무늬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작은 밀집부분을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에 나타낸 경우에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으로 경편에 의해서 짜는 것은, 종래의 오래된 경편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실질상 곤란하지만, 예컨대 도 1이나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모양의 방법을 이용하면,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제한 없이 지편조직의 조직변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긴박력의 변화도 폭방향, 길이방향에 제한 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다. 종래의 오래된 경편기을 이용한 것에서는, 작은 무늬의 밀집체로서 굽혀진 띠형상 패턴 등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여, 실질상 실현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는,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진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더욱이 탄성실이 삽입되든가 및/또는 탄성실이 짜 넣어지게 되는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의류에 있어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설치한 경편지로 구성되고,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텅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어,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1개가, 상기 작은 무늬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인 것으로, 긴박력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과의 경계에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여져 버린다라고 하는 문제가 없고, 착용감도 좋고,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보존하여, 또한 필요한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적당한 작은 무늬가 채용되어 있는 것에서, 상기 작은 무늬에 의해, 체형보정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의류의 의장적인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은 무늬의 크기나 밀집의 비율, 지편조직의 종류의 선정, 삽입 및/또는 짜 넣는 탄성실의 크기, 개수, 존재밀도, 존재위치 등을 적당히 짜 맞추는 것에 의해서, 의류에 미묘한 긴박력의 변화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체(작은 무늬밀집부분)로 형성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은, 지편의 편조직을 교체하는 등,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상세하게 설명한 모양으로 소정부분으로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체로서 비교적 임의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체로서 작은 무늬밀집부분을 거시적으로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 종래 경편에는 보이게 되었고, 예컨대 울 방향으로 평행하지는 않고,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비교적 큰 패턴에 관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소정부분에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더욱이 긴박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액을 도포한 의류에 비해서 통기성의 저하가 없고, 더욱 등이 생기기 어렵고, 피부접촉의 저하도 없는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는, 환편품에 비해서, 마무리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동일 마무리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도 양호하게 전염 등의 흐트러짐의 문제도 없고, 생산성도 우수한, 체형보정기능을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환편품에 비해서, 짬밀도를 보다 고밀도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긴박력이 보다 한층 큰 것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3)

  1.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더욱이 탄성실이 삽입되든가 및/또는 탄성실이 짜 넣어져 이루어지는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의류에 있어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설치한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로서,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이 비탄성실로 짜지고, 삽입실로서 탄성실을 이용한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의류에 있어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지편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교체하여, 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형상으로 설치한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로서, 소정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의 패턴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지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무늬를 상기 무늬와 무늬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다수 밀집시킨 작은 무늬의 일련의 집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또한 상기 패턴의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하여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긴박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삽입하는 탄성실 및/또는 짜 넣는 탄성실의 개수 및/또는 굵기를 변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브래지어 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 새틴조 네트조직과 메시조 네트조직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 메시조 네트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6. 제 1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 새틴조 트리콧조직과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새틴조 트리콧조직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이 메시조 트리콧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8. 제 1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이, 새틴조 네트조직 또는 새틴조 트리콧조직과 메시조 경편레이스조직의 짜 맞춤으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9. 제 1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을, 전자가 새틴조 네트조직 또는 새틴조 트리콧조직, 후자가 메시조 네트조직 또는 메시조 트리콧조직의 짜 맞춤으로 구성되고, 상기 짜 맞춤 이외의 부분의 소망 부분을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으로서 메시조경편레이스조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0.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에 삽입 및/또는 짜 넣어져 있는 탄성실이, 2개가 가지런하게 삽입 및/또는 짜 넣어져 있는 탄성실이고, 비교적 긴박력이 약한 부분에 삽입 및/또는 짜 넣어져 있는 탄성실이, 1개씩의 탄성실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1. 제 1항, 제 2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중, 더 한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2침 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네트조직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2. 제 1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의 표면측에 나타나는 지편조직에서,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 중, 더 한층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3침이상의 꿰맴을 넣은 비율이 큰 새틴조 트리콧조직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3.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이 20 내지 80데닐의 나일론실로 이루어지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4.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삽입 및/또는 짜 넣어지는 탄성실이, 40 내지 560데닐의 폴리우레탄 섬유실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5.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의류가, 신체에 잘 맞는 속옷류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6.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의류가. 거들, 짧은 팬티, 브래지어, 보디슈트, 보디티디, 보디세퍼레이트, 보디슬립으로 선택된 의류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7.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의류가 히프부를 보유하는 의류로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상기 의류의 좌우의 히프부의 불룩함의 아래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8.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거들의 좌우의 히프의 불룩함의 아래에서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19.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의류가 거들로서, 더욱이 거들의 복부의 거의 중앙부분이,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0.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의류가 브래지어로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브래지어의 유방컵의 컵하변부 또는 하변부로부터 옆으로 걸쳐있는 부분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1.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의류가 브래지어로서,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비교적 긴박력이 강한 부분이 브래지어의 뒷쪽옷감의 적어도 인체옆부에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2.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부분의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 사이의 간격이 1㎝이하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23. 제 1항, 제 2항, 제 6항,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작은 무늬 밀집부를 전체형상으로서 바라본 경우에, 거의 띠형상이고 또한 굽혀진 패턴의 부분의 작은 무늬와 작은 무늬 사이의 간격이 0.5㎝이하인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KR10-2000-0006052A 1999-02-09 2000-02-09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KR100528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1888 1999-02-09
JP3188899 1999-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634A true KR20000076634A (ko) 2000-12-26
KR100528763B1 KR100528763B1 (ko) 2005-11-15

Family

ID=1234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052A KR100528763B1 (ko) 1999-02-09 2000-02-09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28763B1 (ko)
CN (1) CN1175134C (ko)
TW (1) TW4524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72606B (zh) * 2004-03-22 2010-09-01 Mic有限公司 与人体骨架有机地对应的女性用衣料
CN102232622A (zh) * 2010-04-30 2011-11-09 吕志强 塑身衣
CN102232621A (zh) * 2010-04-30 2011-11-09 吕志强 塑身衣
CN102560863B (zh) * 2012-01-09 2014-02-12 德庆泰禾实业发展有限公司 经编棉拉架面料及其制备工艺
JP6179156B2 (ja) * 2013-03-27 2017-08-16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KR102363908B1 (ko) 2014-10-08 2022-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장 가능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661669A (zh) * 2015-11-27 2016-06-15 赵技峰 呼吸性保暖袜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69A (en) * 1975-06-24 1977-01-17 Takeda Maiyaa Kk Knitted fabric with jacquard warp knitting machine
JPH07116663B2 (ja) * 1986-09-24 1995-12-13 東洋紡績株式会社 伸縮性編地
JPH0788231B2 (ja) * 1989-06-06 1995-09-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JPH0342861A (ja) * 1989-07-11 1991-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JP3008737U (ja) * 1994-09-08 1995-03-20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ファウンデーションなどのための一体成形用編地
JP2921737B2 (ja) * 1994-11-28 1999-07-19 株式会社ワコール 股部を有し、且つ脚部を有するフィットタイプの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763B1 (ko) 2005-11-15
CN1268592A (zh) 2000-10-04
CN1175134C (zh) 2004-11-10
TW452483B (en)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351B1 (ko) 체형보정기능 또는 근육서포트기능을 갖는 의류
CN1209055C (zh) 内裤
US7631521B2 (en) Garment having a warp-knitted fabric
US11896063B2 (en) Raw edge contouring gusset
JP4368102B2 (ja) 身体に密着する衣類
KR100540739B1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갖는 의료
CN103189557A (zh) 织物以及带裆服装
JP2007023427A (ja) 部分伸縮変化ラッセルレース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8763B1 (ko)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JP2002115102A (ja) ずれ防止部改良衣料
JP3817690B2 (ja) 衣料用の伸縮性経編地
JP2004324003A (ja) 衣料
JP4589653B2 (ja) 衣料
JP3461316B2 (ja) 体型補整機能を有する衣類
JP4063517B2 (ja) 縁始末不要な裾を有する衣料
WO2005061771A1 (ja) 伸縮性経編地及びそれを用いた衣料
JP3996372B2 (ja) 経編地を用いた伸縮性を有する衣類
JP3796619B2 (ja) 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2005054347A (ja) 衣料
JP2003119653A (ja) レース編地
JP2009215696A (ja) 身体に密着する衣類
JP2002327359A (ja) 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3007948U (ja) ガードル
JP2003301306A (ja) 体型補整機能を有するブラ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