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306A -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 Google Patents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306A
KR20000076306A KR1019997008407A KR19997008407A KR20000076306A KR 20000076306 A KR20000076306 A KR 20000076306A KR 1019997008407 A KR1019997008407 A KR 1019997008407A KR 19997008407 A KR19997008407 A KR 19997008407A KR 20000076306 A KR20000076306 A KR 20000076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hydrogen
hydroxy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914B1 (ko
Inventor
헥터 에프. 델루카
라팔 알. 시신스키
Original Assignee
리차드 에이취 리저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2287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763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에이취 리저,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filed Critical 리차드 에이취 리저
Publication of KR2000007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1/00Irradiation products of cholesterol or its derivatives; Vitamin D derivatives, 9,10-seco cyclopenta[a]phenanthrene or analogues obtained by chemical preparation without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종류의 비타민 D 관련 화합물, 즉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유도체 뿐만 아니라 이들의 일반적인 화학적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을 가진다.
〈화학식 I〉
식중,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기는 비타민 D형 화합물의 경우 공지된 임의의 전형적인 측쇄를 나타낸다. 이러한 2-치환된 화합물은 낮은 장내 칼슘 수송 활성 및 높은 골 칼슘 이동 활성을 특징으로 하여 골 형성이 필요한 질환, 특히 낮은 골 교체도의 골다공증의 신규한 치료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합물은 분화되지 않은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단핵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현저한 활성을 나타내어, 항암제 및 건선과 같은 질환의 치료용으로서의 용도가 입증된다.

Description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2-Alk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본 발명은 비타민 D 화합물, 특히 탄소 2 위치에서 치환된 비타민 D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천연 호르몬,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및 에르고스테롤 계의 이의 동족체, 즉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2는 동물 및 인간 내의 칼슘 항상성의 매우 효능있는 조절자로 공지되어 있고, 최근에 세포 분화에서 이의 활성이 확립되었다 [Ostre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4, 2610(1987)]. 1α-히드록시비타민 D3, 1α-히드록시비타민 D2, 다양한 측쇄 동족체화된 비타민 및 플루오르화 동족체를 포함해서, 그러한 대사 물질의 많은 구조 동족체가 제조되었고 실험되었다. 이러한 화합물의 몇몇은 세포 분화 및 칼슘 조절에서 유의하는 별도의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활성의 차이점은 신성 골이영양증, 비타민 D-저항성 구루병, 골다공증, 건선 및 특정 악성 종양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최근에, 신규한 유형 비타민 D 동족체, 즉 전형적인 비타민 D계의 A-고리 엑소시클릭 메틸렌기(탄소 19)가 두개의 수소 원자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위 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생물학적 실험을 통해 19-노르-동족체(예를 들면, 1α,25-히드록시-19-노르-비타민 D3)가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고 성능의 선택적 활성 프로파일 및 매우 낮은 칼슘 이동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악성 종양의 치료용, 또는 다양한 피부 질환의 치료용의 치료제로서 강력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19-노르-비타민 D 동족체 합성의 두가지 다른 방법이 설명되었다[Periman et al., Tetrahedron Lett. 31, 1823(1990); Periman et al., Tetrahedron Lett. 32, 7663(1991) 및 Deluca et al., U.S. Pat. No. 5,086,191].
추가이(Chugai) 그룹에 의해 미국 특허 제4,666,634호에서,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2β-히드록시 및 알콕시(예를 들면, ED-71) 동족체가 골다공증용의 효과적인 의약 및 항종양제로서 설명되었고 조사되었다[또한, 문헌(Okano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63, 1444(1989))을 참고]. 또한,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다른 2-치환된(히드록시알킬, 예를 들면 ED-120 및 플루오로알킬기로 치환) A-고리 동족체가 제조되었고 실험되었다[Miyamoto et al., Chem. Pharm. Bull. 41, 1111(1993); Nishii et al., Osteoporosis Int. Suppl. 1, 190(1993); Posner et al., J. Org. Chem. 59, 7855(1994) 및 J. Org. Chem. 60, 4617(1995)].
최근에, 또한 유의한 선택적 활성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1α,25-디히드록시-19-노르비타민 D3의 2-치환된 동족체, 즉 2-위치에서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화합물(DeLuca et al., U.S. Pat. No. 5,536,713)이 합성되었다. 이러한 모든 연구에서, 비타민 D 수용기의 결합 부위는 합성된 비타민 D 동족체의 C-2 위치에서 상이한 치환기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약리학적으로 중요한 비타민 D 화합물의 19-노르류를 찾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본 발명자들은 탄소 2 위치 (C-2)에 알킬리덴 (특히, 메틸렌) 치환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들의 동족체, 즉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을 합성하고 시험하였다. 이들 중 탄소 10 (C-10)에서 탄소 2 (C-2)의 정상 비타민 D 골격에 존재하는 고리 A 엑소시클릭 메틸렌기의 전위를 특징으로 하는 동족체, 즉 2-메틸렌-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이 특히 흥미롭다. 이러한 비타민 D 동족체는 C-2에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인 알킬리덴 (특히, 메틸렌)기가 비타민 D 수용체와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므로, 유리한 타겟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델 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에 대해 분자 역학 연구는 상기 분자 개질이 실질적으로 시클로헥산디올 고리 A의 구조를 변화시키지는 않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19-노르-비타민 D 탄소 골격에 2-메틸렌기의 도입은 이의 1α- 및 3β-A-고리 히드록실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때, 이들 모두는 천연 호르몬 분자, 즉 1α,25-(OH)2D3의 알릴 위치에 1α-히드록실기 (생물학적 활성을 위해 중요함)가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종류의 1α-히드록실화 비타민 D 화합물은 2-위치에 알킬리덴 (특히, 메틸렌)기를 가지는 19-노르-비타민 D 동족체, 즉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특히 2-메틸렌-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이다. 이들 중 후자는 모든 비타민 D계의 전형인 A-고리 엑소시클릭 메틸렌기가 탄소 2로 전위된 화합물, 즉 2-위치에 메틸렌기를 가지는 19-노르-비타민 D 동족체이다.
구조적으로, 이러한 신규한 동족체는 하기 화학식 I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은 비타민 D형 화합물에 알려진 전형적인 측쇄를 나타낸다.
특히 R은, 직쇄, 분지 또는 시클릭일 수 있으며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기, 플루오로, 카르보닐, 에스테르, 에폭시, 아미노 또는 다른 헤테로원자기와 같은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치환기를 함유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35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유형의 바람직한 측쇄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식중, 입체화학적 중심(스테로이드 넘버링에서 C-20에 해당함)은 R 또는 S 배열을 가질 수 있고(예를 들면, 탄소 20에서 자연 배열 또는 20-에피 배열), Z는 Y, -OY, -CH2OY, -C≡CY 및 -CH=CHY로부터 선택되고, 이 때 이중 결합은 시스 또는 트랜스 기하학을 가질 수 있으며 Y는 수소, 메틸, -COR5및 하기 화학식의 라디칼로 부터 선택된다.
(식중,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C1-5-알킬(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짐)로 부터 선택되고, R2, R3및 R4각각은 독립적으로 중수소, 중수소알킬, 수소,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C1-5-알킬(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짐)로 부터 선택되고, R1와 R2는 함께 옥소기, 또는 알킬리덴기, =CR2R3또는 -(CH2)p-(식중, p는 2 내지 5의 정수임)을 나타내고, R3와 R4는 함께 옥소기, 또는 -(CH2)q-(식중, q는 2 내지 5의 정수임)을 나타내고, R5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또는 C1-5-알킬을 나타내고, 측쇄에서 위치 20, 22 또는 23에서의 임의의 CH-기는 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위치 20, 22 및 23에서의 -CH(CH3)-, -CH(R3)- 또는 -CH(R2)-의 임의의 기는 각각 산소 또는 황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C-20의 치환기로의 물결무늬선은 탄소 20이 R 또는 S 배열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자연적인 20R-배열을 갖는 측쇄의 중요한 특정 예는 하기 화학식 (a), (b), (c), (d) 및 (e)로 나타낸 구조, 즉 25-히드록시비타민 D3(a), 비타민 D3(b), 25-히드록시비타민 D2(c), 비타민 D2(d) 및 25-히드록시비타민 D2의 C-24 에피머(e)에서 발생되는 측쇄이다.
상기 신규한 화합물은 소망되며 매우 이점이 있는 형태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화합물에 비교하여, 이들 화합물은 장내 칼슘 수송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으며, 반면 골(骨)로 부터 칼슘을 이동시키는 능력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칼슘 활성에서 매우 특이성이다. 골로 부터 칼슘을 이동시키는데 대한 선택적 활성 및 감소된 장내 칼슘 수송 활성으로 인해 골 손실이 주요 문제인 대사성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들 화합물을 생체내 투여할 수 있다. 골에서의 선택적인 칼슘 활성때문에, 골다공증, 특히 낮은 골 교체도(turnover)의 골다공증, 스테로이드-유도 골다공증, 노인성 골다공증 또는 폐경기 후의 골다공증 뿐만 아니라 골연화증 및 신성 골이영양증과 같은 골 형성이 소망되는 질환 치료에, 이들 화합물은 바람직한 치료제일 수 있다. 치료는 경피,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일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조성물의 약 0.1 ㎍/gm 내지 약 50 ㎍/gm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약 0.1 ㎍/일 내지 약 5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다발성 경화증, 진성 당뇨병, 숙주 대 조직이식 반응, 및 조직이식의 거부를 포함하는 자기면역 질환과 같은 면역계의 불균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질환들의 치료 및 예방, 이외에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천식과 같은 염증 질환의 치료 뿐만 아니라, 골 골절 치료의 개선 및 개선된 골이식에 적합하다. 좌창, 원형탈모증, 건조 피부(피부 수화의 결핍), 과도한 피부 완화(불충분한 피부 견고성), 불충분한 피지 분비 및 주름과 같은 피부 질환, 및 고혈압증은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될 수 있는 그밖의 질환들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높은 세포 분화 활성의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또한 건선 치료용 치료제, 또는 특히 백혈병, 결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에 대한 항암제로서 제공된다. 이 화합물은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 조성물의 약 0.01 ㎍/gm 내지 약 100 ㎍/gm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고, 국소적으로, 경피적으로,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최종 생성물의 합성 동안 형성되는 신규한 중간 화합물을 제공한다. 구조적으로, 이들 신규 중간체들은 화학식 V, VI, VII, VIII, IX 및 X를 특징으로 하고, 이 식들에서 Y1, Y2, R6및 R8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신규 합성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비타민 D 돼지 장내 핵 수용기에 대하여 [3H]-1,25-(OH)2-D3의 결합과 경쟁하는 2-메틸렌-19-노르-20S-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2-메틸렌-19-노르-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및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및
도 2는 2-메틸렌-19-노르-20S-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2-메틸렌-19-노르-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및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농도에 대한 함수로서 HL-60 세포 분화 백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히드록시-보호기"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알콕시카르보닐, 아실, 알킬실릴 또는 알킬아릴실릴기(이하, 간단히 "실릴"기로 언급됨), 및 알콕시알킬기와 같은, 히드록시 관능기의 일시적인 보호에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카르보닐 보호기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또는 알릴옥시카르보닐과 같은 알킬-O-CO-이다. "아실"이라는 용어는 모든 이성질체 형태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카노일기, 또는 옥살릴, 말로닐, 숙시닐, 글루타릴기와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카르복시알카노일기, 또는 벤조일과 같은 방향족 아실기, 또는 할로, 니트로 또는 알킬 치환된 벤조일기를 의미한다. 명세서 또는 청구의 범위에 사용되는 "알킬"이라는 용어는 모든 이성질체 형태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콕시알킬 보호기는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메톡시에톡시메틸,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 및 테트라히드로피라닐과 같은 기이다. 바람직한 실릴-보호기는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디부틸메틸실릴, 디페닐메틸실릴, 페닐디메틸실릴, 디페닐-t-부틸실릴 및 동족체인 알킬화된 실릴 라디칼기이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페닐-, 또는 알킬-, 니트로- 또는 할로-치환된 페닐기로 구체화된다.
"보호된 히드록시"기는 히드록시 관능기의 일시적 또는 지속적 보호에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상기 기들, 예를 들면 상기 정의된 것처럼 실릴, 알콕시알킬, 아실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에 의해 유도되거나 보호된 히드록시기이다. "히드록시알킬", "듀테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이라는 용어는 각각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 중수소 또는 플루오로기에 의해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24-호모"라는 용어는 측쇄의 탄소 24 위치에서 한 메틸렌기의 첨가를 가리키고 "24-디호모"라는 용어는 측쇄의 탄소 24 위치에서 두개의 메틸렌기의 첨가를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트리호모"라는 용어는 3개의 메틸렌기의 첨가를 가리킨다. 또한 "26,27-디메틸"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R3및 R4가 에틸기이도록 탄소 26 및 27 위치에서 메틸기의 첨가를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26,27-디에틸"이라는 용어는 R3및 R4가 프로필기이도록 탄소 26 및 27 위치에서 에틸기의 첨가를 가리킨다.
화합물의 하기 목록에서, 탄소 2 위치에 부착된 특정 알킬리덴 치환기는 명명에 부가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메틸렌기가 알킬리덴 치환기라면 "2-메틸렌"이라는 용어가 각각의 명명된 화합물에 포함되어야 한다. 에틸렌기가 알킬리덴 치환기라면 "2-에틸렌"이라는 용어가 각각의 명명된 화합물에 포함되어야 하고, 기타도 동일하다. 이외에, 탄소 20 위치에 부착된 메틸기가 에피 또는 부자연한 배열로 있을 때, "20(S)" 또는 "20-에피"라는 용어는 각각의 하기 명명된 화합물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명명된 화합물은 또한 소망한다면 비타민 D2형태일 수 있다.
측쇄가 불포화인 경우 화학식 I의 2-알킬리덴-화합물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예는
19-노르-24-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4-디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메틸-24-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메틸-24-디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메틸-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에틸-24-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에틸-24-디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에틸-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프로필-24-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19-노르-26,27-디프로필-24-디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 및
19-노르-26,27-디프로필-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22-디히드로비타민 D3이다.
측쇄가 포화될 때 화학식 I의 2-알킬리덴-화합물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예는
19-노르-24-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4-디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메틸-24-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메틸-24-디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메틸-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에틸-24-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에틸-24-디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에틸-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프로필-24-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9-노르-26,27-디프로필-24-디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및
19-노르-26,27-디프로필-24-트리호모-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이다.
화학식 I의 기본 구조를 갖는 1α-히드록시-2-알킬-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특히 1α-히드록시-2-메틸-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의 제조는 통상 일반적인 방법, 즉 알릴 포스핀 옥시드(III)와 비시클릭 빈다우스-그룬트만 형 케톤(II)의 축합 반응으로 해당 2-메틸렌-19-노르-비타민 D 동족체(IV)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 화합물의 C-1 및 C-3에서 보호기를 제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II, III 및 IV에서, Y1및 Y2및 R은 상기 정의된 기를 나타내고, Y1및 Y2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보호기이고, 또한 민감할 수 있거나 축합 반응을 방해할 수 있는 R 중의 임의의 관능기가 당업계에 공지된 것처럼 적합하게 보호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나타낸 방법은 비타민 D 화합물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전환 합성 개념의 적용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Lythgoe et al., J. Chem. Soc. Perkin Trans. I, 590(1978); Lythgoe, Chem. Soc. Rev. 9, 449(1983); Toh et al., J. Org. Chem. 48, 1414(1983); Baggiolini et al., J. Org. Chem. 51, 3098(1986); Sardina et al., J. Org. Chem. 51, 1264(1986); J. Org. Chem. 51, 1269(1986); Deluca et al., U.S. Pat. No. 5,086,191;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536,713호].
화학식 II의 히드린다논은 공지되어 있고, 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공지된 비시클릭 케톤의 구체적인 중요한 예는 상기 설명된 측쇄 (a), (b), (c) 및 (d)를 갖는 구조, 즉 25-히드록시 그룬트만의 케톤(f)[Baggiolini et al., J. Org. Chem. 51, 3098(1986)], 그룬트만의 케톤(g)[Inhoffen et al., Chem. Ber. 90, 664(1957)], 25-히드록시 빈다우스 케톤(h)[Baggiolini et al., J. Org. Chem. 51, 3098(1986)] 및 빈다우스 케톤(i)[Windaus et al., Ann., 524, 297(1936)]이다.
화학식 III에 필요한 포스핀 산화물의 제조를 위해, 문헌[Perlman et al., Tetrahedron Lett. 32, 7663(1991) 및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086,191호]에서 설명된 상업적인 (1R,3R,4S,5R)-(-)-퀴닌산에서 쉽게 수득되는 메틸 퀴니케이트 유도체(1)로 부터 출발하는 새로운 합성 경로가 개발되었다. 목적하는 A-고리 합성단위체로의 출발 메틸에스테르(1) 변환의 전체 공정이 반응식(1)에 요약되어 있다. 따라서, 화학식(1)의 2급 4-히드록실기는 RuO4로 산화되었다(공-산화제로서 RuCl3및 NaIO4와의 촉매적 방법). 이러한 강한 산화제의 사용은 매우 입체장해를 받는 이 히드록실의 효과적인 산화 공정에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반응 완료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산화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합성의 제2 단계는 브롬화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및 n-부틸리튬으로 부터 제조된 일리드와 입체장해된 4-케토 화합물(2)의 비티히 반응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염기, 예를 들면 t-BuOK, NaNH2, NaH, K/HMPT, NaN(TMS)2등이 반응성 메틸렌포스포란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4-메틸렌 화합물(3)의 제조에 대해, 몇몇 설명된 비티히 공정의 변형, 예를 들어 활성화된 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과 화학식(2)의 화합물의 반응이 사용될 수 있다[Corey et al., Tetrahedron Lett. 26, 555(1985)]. 이외에, 미반응된 케톤의 메틸렌화에 폭넓게 사용되는 다른 방법들, 예를 들어 n-부틸리튬의 탈양성자화 반응에 따라 메틸렌디페닐포스핀 산화물로 부터 수득된 PO-일리드와의 비티히-호너 반응[Schosse et al., Chimia 30, 197(1976)], 또는 나트륨 메틸술피네이트와 케톤의 반응[Corey et al., J. Org. Chem. 28, 1128(1963)] 및 칼륨 메틸술피네이트와 케톤의 반응[Greene et al., Tetrahedron Lett. 3755(1976)]이 적용될 수 있다.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 또는 다른 적합한 환원제(예를 들면, DIBALH)와 에스테르(3)의 환원 반응은 과요오드산나트륨에 의해 시클로헥산온 유도체(5)로 연속적으로 산화되는 디올(4)를 제공했다. 공정의 다음 단계는 메틸(트리메틸실릴)아세테이트와 케톤(5)의 페터슨 반응을 포함한다. 생성된 알릴 에스테르(6)은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리드로 처리되고, 형성된 알릴 알코올(7)은 목적하는 A-고리 포스핀 산화물(8)로 변환되었다. 화학식(7)에서 화학식(8)로의 전환은 세 단계, 즉 n-부틸리튬 및 염화p-톨루엔술포닐과의 토실화 반응, 이어서 디페닐포스핀 리튬염과의 반응 및 과산화수소와의 산화반응을 포함한다.
화학식 IV의 몇몇 2-메틸렌-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은 A-고리 합성단위체 (8) 및 목적하는 측쇄 구조를 갖는 적합한 빈다우스-그룬트만 케톤(II)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화학식(8) 및 n-부틸리튬으로 부터 생성된 리튬 포스피녹시 카르바니온과 공개된 방법[Sicinski et al., J. Med. Chem. 37, 3730(1994)]에 따라 제조된 보호된 25-히드록시 그룬트만의 케톤(9)의 비티히-호너 결합을 통해 기대되는 보호된 비타민 화합물(10)을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은 AG 50W-X4 양이온 교환수지로 탈보호되어 1α,25-디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11)가 되었다.
C-20 에피머화 반응은 보호된 (20S)-25-히드록시 그룬트만의 케톤(13)와 포스핀 산화물(8)의 동족체 결합에 의해 수행되어(반응식 II) 19-노르-비타민(14)이 제공되고, 히드록시-보호기의 가수분해 후 (20S)-1α,25-디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15)이 수득되었다. 상기 설명된 것처럼, 다른 2-메틸렌-19-노르-비타민 D 동족체들이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룬트만의 케톤(g)을 제공하여 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가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리비아 숫자(예를 들면 1, 2, 3 등)로 표시된 특정 생성물은 상기 명세서 및 반응식(I) 및 반응식(II)에서 표시된 특정 화학식을 가리킨다.
〈실시예 1〉
1α,25-디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11)의 제조.
먼저 반응식(I)을 참고로 하여, 앞서 문헌[Perlman et al., Tetrahedron Lett. 32, 7663(1991) 및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086,191호]에서 설명된 것처럼 시판되는 (-)-퀴닌산으로 부터 출발 메틸 퀴니케이트 유도체(1)을 수득하였다. 화학식(1): 융점 82-82.5℃(헥산으로 부터),1H NMR(CDCl3) δ 0.098, 0.110, 0.142 및 0.159(각각 3H, 각각 s, 4×SiCH3), 0.896 및 0.911(9H 및 9H, 각각 s, 2×Si-t-Bu), 1.820(1H, dd, J=13.1, 10.3 Hz), 2.02(1H, ddd, J=14.3, 4.3, 2.4 Hz), 2.09(1H, dd, J=14.3, 2.8 Hz), 2.19(1H, ddd, J=13.1, 4.4, 2.4 Hz), 2.31(1H, d, J=2.8 Hz, OH), 3.42(1H, m;D2O dd 후, J=8.6, 2.6 Hz), 3.77(3H, s), 4.12(1H, m), 4.37(1H, m), 4.53(1H, br s, OH).
(a) 메틸 퀴니케이트 유도체(1) 중의 4-히드록시기의 산화.
(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히드록시-4-옥소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2).
물(42ml)중의 염화루테늄(III) 수화물(434 mg, 2.1 mmol) 및 과요오드산나트륨(10.8 g, 50.6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CCl4/CH3CN(1:1, 64 ml) 중의 메틸 퀴니케이트(1)(6.09 g, 1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격렬한 교반을 8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2-프로판올 몇 방울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물중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여 어두운 유상 잔류물(약 5 g)을 수득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정제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8:2)로 용출하여 순수한, 유상의 4-케톤(2)(3.4 g, 56 %)을 수득하였다:1H NMR(CDCl3) δ 0.054, 0.091, 0.127 및 0.132(각각 3H, 각각 s, 4×SiCH3), 0.908 및 0.913(9H 및 9H, 각각 s, 2×Si-t-Bu), 2.22(1H, dd, J=13.2, 11.7 Hz), 2.28(1H, ~dt, J=14.9, 3.6 Hz), 2.37(1H, dd, J=14.9, 3.2 Hz), 2.55(1H, ddd, J=13.2, 6.4, 3.4 Hz), 3.79(3H, s), 4.41(1H, t, J ~ 3.5 Hz), 4.64(1H, s, OH), 5.04(1H, dd, J=11.7, 6.4 Hz); MS m/z(상대 강도) M+없음, 375(M+-t-Bu, 32), 357(M+-t-Bu-H2O, 47), 243(31), 225(57), 73(100).
(b) 4-케톤(2)의 비티히 반응.
(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히드록시-4-메틸렌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3).
0℃의 무수 THF(32 ml)중의 브롬화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2.813 g, 7.88 mmol)에, 교반하면서 아르곤하에서 n-BuLi(헥산중의 2.5 M, 6.0 mL, 15 mmol)을 적가하였다. 그 후, 또다른 부분의 MePh3P+Br-(2.813 g, 7.88 mmol)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0℃에서 10분 동안,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오랜지-적색 혼합물을 다시 0℃로 냉각하고, 무수 THF(16 + 2 ml) 중의 4-케톤(2)(1.558 g, 3.6 mmol)의 용액을 20분 동안 반응 플라스크에 사이펀으로 옮겼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주의깊게 1% HCl 함유 소금물 중에 부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벤젠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아 희석된 NaHCO3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여 오랜지색 유상 잔류물(약 2.6 g)을 수득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정제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로 용출하여 무색 오일(368 mg, 24 %)로서 순수한 4-메틸렌 화합물(3)을 수득하였다:1H NMR(CDCl3) δ 0.078, 0.083, 0.092 및 0.115(각각 3H, 각각 s, 4×SiCH3), 0.889 및 0.920(9H 및 9H, 각각 s, 2×Si-t-Bu), 1.811(1H, dd, J=12.6, 11.2 Hz), 2.10(2H, m), 2.31(1H, dd, J=12.6, 5.1 Hz), 3.76(3H, s), 4.69(1H, t, J=3.1 Hz), 4.78(1H, m), 4.96(2H, m;D2O 1H 후, br s), 5.17(1H, t, J=1.9 Hz); MS m/z(상대 강도) M+없음, 373(M+-t-Bu, 57), 355(M+-t-Bu-H2O, 13), 341(19), 313(25), 241(33), 223(37), 209(56), 73(100).
(c) 4-메틸렌 화합물(3)중의 에스테르 기의 환원.
[(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1-히드록시-4-메틸렌시클로헥실]메탄올(4).
(i) 무수 THF(8 ml) 중의 에스테르(3)(90 mg, 0.21 mmol)의 교반된 용액에,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60 mg, 1.6 mmol)를 아르곤하의 0℃에서 첨가하였다. 1시간 후, 냉각조를 제거하고 6℃에서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초과량의 시약을 포화 수성 Na2SO4으로 분해하였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에테르로 추출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미반응된 기질(12 mg) 및 순수한 결정형 디올(4)(35 mg, 회수된 에스테르(3)를 기준으로 48 %)을 수득하였다:1H NMR(CDCl3+D2O) δ 0.079, 0.091, 0.100 및 0.121(각각 3H, 각각 s, 4×SiCH3), 0.895 및 0.927(9H 및 9H, 각각 s, 2×Si-t-Bu), 1.339(1H, t, J ~ 12 Hz), 1.510(1H, dd, J=14.3, 2.7 Hz), 2.10(2H, m), 3.29 및 3.40(1H 및 1H, 각각 d, J=11.0 Hz), 4.66(1H, t, J ~ 2.8 Hz), 4.78(1H, m), 4.92(1H, t, J=1.7 Hz), 5.13(1H, t, J=2.0 Hz); MS m/z(상대 강도) M+없음, 345(M+-t-Bu, 8), 327(M+-t-Bu-H2O, 22), 213(28), 195(11), 73(100).
(ii)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리드(톨루엔 중의 1.5 M, 2.0 ml, 3 mmol)를 무수 에테르(3 ml) 중의 에스테르(3)(215 mg, 0.5 mmol)의 용액에 아르곤하에서 -78℃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3시간 동안, -24℃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테르(10 ml)로 희석시키고, 2 N 칼륨 나트륨 타르트레이트를 서서히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이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5분 동안 교반한 후, 소금물 중에 부어 에틸 아세테이트 및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아 희석된(약 1%) HCl 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결정형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정제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로 용출하여 결정형 디올(4)(43 mg, 24 %)을 수득하였다.
(d) 비시날 디올(4)의 분해.
(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4-메틸렌시클로헥산온(5).
포화 과요오드산나트륨 수용액(2.2 ml)을 0℃의 메탄올(9 ml) 중의 디올(4)(146 mg, 0.3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소금물에 부어 에테르 및 벤젠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아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유상 잔류물을 헥산(1 ml)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셉-팍(Sep-Pak) 카트리지 상에 적용하였다. 순수한 4-메틸렌시클로헥산온 유도체(5)(110 mg, 82 %)를 무색 오일로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5:5)로 용출시켰다:1H NMR(CDCl3) δ 0.050 및 0.069(6H 및 6H, 각각 s, 4×SiCH3), 0.881(18H, s, 2×Si-t-Bu), 2.45(2H, ddd, J=14.2, 6.9, 1.4 Hz), 2.64(2H, ddd, J=14.2, 4.6, 1.4 Hz), 4.69(2H, dd, J=6.9, 4.6 Hz), 5.16(2H, s); MS m/z(상대 강도) M+없음, 355(M+-Me, 3), 313(M+-t-Bu, 100), 73(76).
(e) 알릴 에스테르(6)의 제조.
[(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4'-메틸렌시클로헥실리덴]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6).
무수 THF(200 ㎕)중의 디이소프로필아민(37 ㎕, 0.28 mmol)의 용액에, 교반하면서 -78℃의 아르곤하에서 n-BuLi(헥산중의 2.5 M, 113 ㎕, 0.28 mmol)을 첨가하고, 그 후 메틸(트리메틸실릴)아세테이트(46 ㎕, 0.28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후, 무수 THF(200 + 80 ㎕)중의 케토 화합물(5)(49 mg, 0.132 mmol)을 적가하였다. 이 용액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포화 NH4Cl로 켄칭시키고, 소금물 중에 부어 에테르 및 벤젠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아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헥산(1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셉-팍(Sep-Pak) 카트리지 상에 적용하였다. 헥산 및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8:2)로 용출시켜 순수한 알릴 에스테르(6)(50 mg, 89 %)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H NMR(CDCl3) δ 0.039, 0.064 및 0.076(6H, 3H 및 3H, 각각 s, 4×SiCH3), 0.864 및 0.884(9H 및 9H, 각각 s, 2×Si-t-Bu), 2.26(1H, dd, J=12.8, 7.4 Hz), 2.47(1H, dd, J=12.8, 4.2 Hz), 2.98(1H, dd, J=13.3, 4.0 Hz), 3.06(1H, dd, J=13.3, 6.6 Hz), 3.69(3H, s), 4.48(2H, m), 4.99(2H, s), 5.74(1H, s); MS m/z(상대 강도) 426(M+, 2), 411(M+-Me,4), 369(M+-t-Bu, 100), 263(69).
(f) 알릴 에스테르(6)의 환원.
2-[(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4'-메틸렌시클로헥실리덴]에탄올(7).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리드(톨루엔 중의 1.5 M, 1.6 ml, 2.4 mmol)를 아르곤하의 -78℃에서 톨루엔/염화메틸렌(2:1, 5.7 ml) 중의 알릴 에스테르(6)(143 mg, 0.3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교반을 -78℃에서 1시간 동안, -46℃(시클로헥산온/드라이아이스 조)에서 2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칼륨 나트륨 타르트레이트(2 N, 3 ml), 수성 HCl(2 N, 3 ml) 및 H2O(12 ml)를 서서히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염화메틸렌(12 ml)으로 희석시키고, 에테르 및 벤젠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아 희석된(약 1%) HCl 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정제하였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로 용출하여 결정형 알릴 알코올(7)(130 mg, 97 %)을 수득하였다:1H NMR(CDCl3) δ 0.038, 0.050 및 0.075(3H, 3H 및 6H, 각각 s, 4×SiCH3), 0.876 및 0.904(9H 및 9H, 각각 s, 2×Si-t-Bu), 2.12(1H, dd, J=12.3, 8.8 Hz), 2.23(1H, dd, J=13.3, 2.7 Hz), 2.45(1H, dd, J=12.3, 4.8 Hz), 2.51(1H, dd, J=13.3, 5.4 Hz), 4.04(1H, m;D2O dd 후, J=12.0, 7.0 Hz), 4.17(1H, m;D2O dd 후, J=12.0, 7.4 Hz), 4.38(1H, m), 4.49(1H, m), 4.95(1H, br s), 5.05(1H, t, J=1.7 Hz), 5.69(1H, ~ t, J=7.2 Hz); MS m/z(상대 강도) 398(M+, 2), 383(M+-Me, 2), 365(M+-Me-H2O, 4), 341(M+-t-Bu, 78), 323(M+-t-Bu-H2O, 10), 73(100).
(g) 포스핀 산화물(8)로의 알릴 알코올(7)의 전환.
[2-[(3'R,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4'-메틸렌시클로헥실리덴]에틸]디페닐포스핀 산화물(8).
무수 THF(2.4 ml)중의 알릴 알코올(7)(105 mg, 0.263 mmol)에, 0℃의 아르곤하에서 n-BuLi(헥산중의 2.5 M, 105 ㎕, 0.263 mmol)을 첨가하였다. 새롭게 재결정화된 염화토실(50.4 mg, 0.264 mmol)을 무수 THF(480 ㎕) 중에 용해시키고, 알릴 알코올-BuLi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0℃에서 준비하였다. 아르곤에 의해 공기가 대체된 또 다른 건조 플라스크에서, n-BuLi(헥산중의 2.5 M, 210 ㎕, 0.525 mmol)을 교반하면서 0℃의 THF 무수물(750 ㎕) 중의 Ph2PH(93 ㎕, 0.534 mmol)에 첨가하였다. 이 적색 용액을 오랜지색이 유지될 때 까지 아르곤 가압하에서 사이폰으로 톨실레이트 용액에 옮겼다(약 용액의 1/2이 첨가되었다). 이 혼합물을 0℃에서 30분 더 교반하고, H2O(30 ㎕)를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2.4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0℃에서 1시간 동안 10% H2O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냉각된 수성 아황산나트륨 및 H2O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벤젠/에틸 아세테이트(6:4)로 용출하여 반결정형 포스핀 산화물(8)(134 mg, 87 %)을 수득하였다:1H NMR(CDCl3) δ 0.002, 0.011 및 0.019(3H, 3H 및 6H, 각각 s, 4×SiCH3), 0.855 및 0.860(9H 및 9H, 각각 s, 2×Si-t-Bu), 2.0-2.1(3H, br m), 2.34(1H, m), 3.08(1H, m), 3.19(1H, m), 4.34(2H, m), 4.90 및 4.94(1H 및 1H, 각각 s), 5.35(1H, ~ q, J=7.4 Hz), 7.46(4H, m), 7.52(2H, m), 7.72(4H, m); MS m/z(상대 강도) M+없음, 581(M+-1, 1), 567(M+-Me, 3), 525(M+-t-Bu, 100), 450(10), 393(48).
(h) 포스핀 산화물(8)과 보호된 25-히드록시 그룬트만의 케톤(9)의 비티히-호너 결합.
1α,25-디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11).
0℃의 무수 THF(450 ㎕)중의 포스핀 산화물(8)(33.1 mg, 56.8 ㎛ol) 용액에, 교반하면서 아르곤하에서 n-BuLi(헥산중의 2.5 M, 23 ㎕, 57.5 ㎛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용액은 짙은 오랜지색으로 변했다. 이 혼합물을 -78℃로 냉각시키고, 무수 THF(200 + 100 ㎕)중의 공개된 방법[Sicinski et al., J. Med. Chem. 37, 3730(1994)]에 따라 제조된, 미리 냉각된(-78℃) 보호된 히드록시 케톤(9)(9.0 mg, 22.8 ㎛ol)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르곤하에서 -78℃에서 1시간 동안 및 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상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셉-팍 카트리지 상에 적용하고,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9:1, 20 ml)로 세척하여 19-노르-비타민 유도체(10)(13.5 mg, 78%)을 수득하였다. 그 후, 셉-팍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6:4, 10 ml)로 세척하여 몇몇 불변하는 C,D-고리 케톤(9)(2 mg)을 회수하였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세척하여 디페닐포스핀 산화물(20 mg)을 회수하였다. 분석 목적으로, 보호된 비타민(10)의 시료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9.9:0.1) 용매계를 사용하는 HPLC(6.2 mm × 25 cm 졸박스-실(Zorbax-Sil) 칼럼, 4 ml/분)의해 더 정제하였다. 순수한 화합물(10)은 무색 오일로서 RV26 ml에서 용출하였다: UV(헥산 중에서) λmax244, 253, 263 nm;1H NMR(CDCl3) δ 0.025, 0.049, 0.066 및 0.080(각각 3H, 각각 s, 4×SiCH3), 0.546(3H, s, 18-H3), 0.565(6H, q, J=7.9 Hz, 3×SiCH2), 0.864 및 0.896(9H 및 9H, 각각 s, Si-t-Bu), 0.931(3H, d, J=6.0 Hz, 21-H3), 0.947(9H, t, J=7.9 Hz, 3×SiCH2CH3), 1.188(6H, s, 26- 및 27-H3), 2.00(2H, m), 2.18(1H, dd, J=12.5, 8.5 Hz, 4β-H), 2.33(1H, dd, J=13.1, 2.9 Hz, 10β-H), 2.46(1H, dd, J=12.5, 4.5 Hz, 4α-H), 2.52(1H, dd, J=13.1, 5.8 Hz, 10α-H), 2.82(1H, br d, J=12 Hz, 9β-H), 4.43(2H, m, 1β- 및 3α-H), 4.92 및 4.97(1H 및 1H, 각각 s, =CH2), 5.84 및 6.22(1H 및 1H, 각각 d, J=11.0 Hz, 7- 및 6-H); MS m/z(상대 강도) 758(M+, 17), 729(M+-Et, 6), 701(M+-t-Bu, 4), 626(100), 494(23), 366(50), 73(92).
보호된 비타민(10)(4.3 mg)을 벤젠(150 ㎕)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800 ㎕) 중의 수지(AG 50W-X4, 60 mg; 메탄올로 미리 세척함)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르곤하의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에테르(1:1, 4 ml)로 희석하고,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이 수지를 에테르(8 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모아 소금물 및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이 잔류물을 헥산/2-프로판올(9:1) 용매계를 사용하는 HPLC(6.2 mm × 25 cm 졸박스-실 칼럼, 4 ml/분)의해 정제하였다. 분석적으로 순수한 2-메틸렌-19-노르-비타민(11) (2.3 mg, 97%)을 RV29 ml(동일계에서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은 RV52 ml에서 용출됨)에서 백색 고형물로서 수집하였다: UV(EtOH 중에서) λmax243.5, 252, 262.5 nm;1H NMR(CDCl3) δ 0.552(3H, s, 18-H3), 0.941(3H, d, J=6.4 Hz, 21-H3), 1.222(6H, s, 26- 및 27-H3), 2.01(2H, m), 2.27-2.36(2H, m), 2.58(1H, m), 2.80-2.88(2H, m), 4.49(2H, m, 1β- 및 3α-H), 5.10 및 5.11(1H 및 1H, 각각 s, =CH2), 5.89 및 6.37(1H 및 1H, 각각 d, J=11.3 Hz, 7- 및 6-H); MS m/z(상대 강도) 416(M+, 83), 398(25), 384(31), 380(14), 351(20), 313(100).
〈실시예 2〉
(20S)-1α,25-디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15)의 제조.
반응식(II)는 보호된 (20S)-25-히드록시 그룬트만 케톤(13)의 제조, 포스핀 산화물(8)(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처럼 수득됨)과 이의 결합을 설명한다.
(a) 히드록시 케톤(12)의 실릴화.
(20S)-25-[(트리에틸실릴)옥시]-데스-A,B-콜레스탄-8-온(13).
무수 DMF(1.2 ml) 중의 케톤(12)(테트리오닉스, 인크사; 56 mg, 0.2 mmol) 및 이미다졸(65 mg, 0.95 mmol) 용액을 염화트리에틸실릴(95 ㎕, 0.56 mmol)로 처리하고, 이 혼합물을 아르곤하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 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를 사용하여 실리카 셉-팍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증발시킨 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 용매계를 사용하는 HPLC(9.4 mm × 25 cm 졸박스-실 칼럼, 4 ml/분)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보호된 히드록시 케톤(13)(55 mg, 70%)은 무색 오일로서 RV35 ml에서 용출되었다:1H NMR(CDCl3) δ 0.566(6H, q, J=7.9 Hz, 3×SiCH2), 0.638(3H, s, 18-H3), 0.859(3H, d, J=6.0 Hz, 21-H3), 0.947(9H, t, J=7.9 Hz, 3×SiCH2CH3), 1.196(6H, s, 26- 및 27-H3), 2.45(1H, dd, J=11.4, 7.5 Hz, 14α-H).
(b) 포스핀 산화물(8)과 보호된 (20S)-25-히드록시 그룬트만의 케톤(13)의 비티히-호너 결합.
(20S)-1α,25-디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 D3(15).
0℃의 무수 THF(200 ㎕)중의 포스핀 산화물(8)(15.8 mg, 27.1 ㎛ol) 용액에, 교반하면서 아르곤하에서 n-BuLi(헥산중의 2.5 M, 11 ㎕, 27.5 ㎛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용액은 짙은 오랜지색으로 변했다. 이 혼합물을 -78℃로 냉각시키고, 무수 THF(100 ㎕)중의 미리 냉각된(-78℃) 보호된 히드록시 케톤(13)(8.0 mg, 20.3 ㎛ol)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르곤하에서 -78℃에서 1시간 동안 및 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상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셉-팍 카트리지 상에 적용하고,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9.5:0.5, 20 ml)로 세척하여 무색 오일로서 19-노르-비타민 유도체(14)(7 mg, 45%)을 수득하였다. 그 후, 셉-팍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6:4, 10 ml)로 세척하여 몇몇 불변하는 C,D-고리 케톤(13)(4 mg)을 회수하였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세척하여 디페닐포스핀 산화물(9 mg)을 회수하였다. 분석 목적으로, 보호된 비타민(14)의 시료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9.9:0.1) 용매계를 사용하여 HPLC(6.2 mm × 25 cm 졸박스-실 칼럼, 4 ml/분)의해 더 정제하였다.
화학식(14): UV(헥산 중에서) λmax244, 253.5, 263 nm;1H NMR(CDCl3) δ 0.026, 0.049, 0.066 및 0.080(각각 3H, 각각 s, 4×SiCH3), 0.541(3H, s, 18-H3), 0.564(6H, q, J=7.9 Hz, 3×SiCH2), 0.848(3H, d, J=6.5 Hz, 21-H3), 0.864 및 0.896(9H 및 9H, 각각 s, 2×Si-t-Bu), 0.945(9H, t, J=7.9 Hz, 3×SiCH2CH3), 1.188(6H, s, 26- 및 27-H3), 2.15-2.35(4H, br m), 2.43-2.53(3H, br m), 2.82(1H, br d, J=12.9 Hz, 9β-H), 4.42(2H, m, 1β- 및 3α-H), 4.92 및 4.97(1H 및 1H, 각각 s, =CH2), 5.84 및 6.22(1H 및 1H, 각각 d, J=11.1 Hz, 7- 및 6-H); MS m/z(상대 강도) 758(M+, 33), 729(M+-Et, 7), 701(M+-t-Bu, 5), 626(100), 494(25), 366(52), 75(82), 73(69).
보호된 비타민(14)(5.0 mg)을 벤젠(160 ㎕)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900 ㎕) 중의 수지(AG 50W-X4, 70 mg; 메탄올로 미리 세척함)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르곤하의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에테르(1:1, 4 ml)로 희석하고,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이 수지를 에테르(8 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모아 소금물 및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증발하였다. 이 잔류물을 헥산/2-프로판올(9:1) 용매계를 사용하는 HPLC(6.2 mm × 25 cm 졸박스-실 칼럼, 4 ml/분)의해 정제하였다. 분석적으로 순수한 2-메틸렌-19-노르-비타민 (15)(2.6 mg, 95%)을 RV28 ml[동일계에서 (20R)-동족체는 RV29 ml에서 용출되고,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는 RV52 ml에서 용출됨)에서 백색 고형물로서 용출시켰다: UV(EtOH 중에서) λmax243.5, 252.5, 262.5 nm;1H NMR(CDCl3) δ 0.551(3H, s, 18-H3), 0.858(3H, d, J=6.6 Hz, 21-H3), 1.215(6H, s, 26- 및 27-H3), 1.95-2.04(2H, m), 2.27-2.35(2H, m), 2.58(1H, dd, J=13.3, 3.7 Hz), 2.80-2.87(2H, m), 4.49(2H, m, 1β- 및 3α-H), 5.09 및 5.11(1H 및 1H, 각각 s, =CH2), 5.89 및 6.36(1H 및 1H, 각각 d, J=11.3 Hz, 7- 및 6-H); MS m/z(상대 강도) 416(M+, 100), 398(26), 380(13), 366(21), 313(31).
2-메틸렌-치환된 19-노르-1,25-(OH)2D3화합물 및 그의 20S-이성질체의 생물학적 활성
19-노르-1,25-(OH)2D3또는 그의 20S-이성질체의 2-위치에 메틸렌기의 도입은 돼지 장내 비타민 D 수용기에 결합하는데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표준 1,25-(OH)2D3를 포함해서 모든 화합물이 돼지 수용기에 동일하게 잘 결합되었다(도 1). 이러한 결과로 부터 이러한 모든 화합물이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2-메틸렌 치환은 골에 대한 주요 작용을 갖는 매우 선택적인 동족체를 생성시켰다. 만성적으로 7일 동안 수행되는 경우, 실험된 대부분의 효능있는 화합물은 2-메틸렌-19-노르-20S-1,25-(OH)2D3였다(표 1). 130 pmol/일로 수행되는 경우, 골 칼슘 이동(혈청 칼슘)에 대한 이 화합물의 활성은 천연 호르몬의 활성에 비해 대체로 10배 이상, 가능하게는 100 또는 1000 배 더 컸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1,25-(OH)2D3의 2배의 투여량은 9.6 mg/100 ml의 혈청 칼슘 수치를 나타내었다. 260 pmol/일의 경우, 이 화합물은 골의 소비로 14 mg/100 ml의 놀라운 혈청 칼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의 선택도를 나타내기 위해, 1,25-(OH)2D3이 오직 시험한 투여량, 즉 260 pmol/일에서만 장내 칼슘 수송이 예상된 증가를 일으킨 반면, 이 화합물은 130이나 260 pmol의 투여량에서 장내 칼슘 수송의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2-메틸렌-19-노르-1,25-(OH)2D3는 상기 투여 수준 모두에서 강력한 골 칼슘 이동을 가지나, 장내 칼슘 수송 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 화합물의 골 칼슘 이동 활성은 1,25-(OH)2D3의 10 - 100배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19-노르-1,25-(OH)2D3의 2-메틸렌 및 20S-2-메틸렌 유도체가 골로부터의 칼슘 이동에 선택적이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2는 다양한 화합물의 단일 대량 투여에 대한 장내 및 혈청 칼슘 모두의 반응을 나타내고, 이것은 표 1에서 유도된 결론을 지지한다.
도 2에서의 결과는 2-메틸렌-19-노르-20S-1,25-(OH)2D3가 HL-60 세포들의 단핵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데 매우 강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2-메틸렌-19-노르 화합물은 1,25-(OH)2D3에 유사한 활성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백혈병, 결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에 대한 항암제로서, 또는 건선 치료용 치료제로서 2-메틸렌-19-노르-20S-1,25-(OH)2D3및 2-메틸렌-19-노르-1,25-(OH)2D3화합물의 효능을 나타낸다.
돼지 장내 수용기에 대한 동족체들의 경쟁적 결합은 문헌 (Dame et al., Biochemistry 25, 4523-4534, 1986)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HL-60 전골수세포의 단핵세포로의 분화는 문헌(Ostrem et al., J. Biol. Chem. 262, 14164-14171, 1987)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측정되었다.
19-노르-1,25-(OH)2D3의 2-메틸렌 유도체 및 그의 20S 이성질체의 만성적 투여에 대한 장내 칼슘 수송 및 혈청 칼슘(골 칼슘 이동) 활성의 반응
투여량(pmol/일/7일) 장내 칼슘 수송(S/M) 혈청 칼슘(mg/100 ml)
비타민 D 결핍 비히클 5.5±0.2 5.1±0.16
1,25-(OH)2D3처리 260 6.2±0.4 7.2±0.5
2-메틸렌-19-노르-1,25-(OH)2D3 130260 5.3±0.44.9±0.6 9.9±0.29.6±0.3
2-메틸렌-19-노르-20S-1,25-(OH)2D3 130260 5.7±0.84.6±0.7 13.8±0.514.4±0.6
수컷의 젖뗀 쥐를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의 스프래그 돌레이사(Sprague Dawley Co.)로 부터 구입하여, 0.47% 칼슘, 0.3% 인 비타민 D-결핍 음식물을 1주 동안 먹인 후, 2주 동안 0.02% 칼슘 및 0.3% 인을 함유하는 동일한 음식물을 먹였다. 마지막 주 동안, 7일 동안 매일 복강 내 주사로 95%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에탄올 0.1 ml 중의 표시된 투여량의 화합물을 쥐에게 주입하였다. 대조 동물은 단지 0.1 ml의 95%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에탄올만을 주사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24시간 후, 쥐를 죽이고 앞서 설명된 것처럼 외번된 낭 기술(everted sac technology)에 의해 장내 칼슘 수송을 측정하고, 혈청 칼슘은 모델 3110 퍼킨 엘머(Perkin Elmer) 기구(코넥티커트주 노워크)의 원자 흡수 분광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군당 5마리 쥐를 실험하였고, 수치는 평균 ±SEM으로 표현하였다.
19-노르-1,25-(OH)2D3의 2-메틸렌-유도체 및 그의 20S 이성질체의 단일 투여에 대한 장내 칼슘 수송 및 혈청 칼슘(골 칼슘 이동) 활성의 반응
장내 칼슘 수송(S/M) 혈청 칼슘(mg/100 ml)
-D 대조 4.2±0.3 4.7±0.1
1,25-(OH)2D3 5.8±0.3 5.7±0.2
2-메틸렌-19-노르-1,25-(OH)2D3 5.3±0.5 6.4±0.1
2-메틸렌-19-노르-20S-1,25-(OH)2D3 5.5±0.6 8.0±0.1
수컷 홀쯔만 계통 젖뗀 쥐를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의 스프래그 돌레이사로 부터 구입하여, 문헌(Suda et al., J. Nutr. 100, 1049-1052, 1970)에 설명된 0.47% 칼슘, 0.3% 인을 함유한 음식물을 1주 동안 먹인 후, 2주 더 0.02% 칼슘 및 0.3% 인을 함유하는 동일한 음식물을 먹였다. 이 시점에서, 95% 프로필렌 글리콜/5% 에탄올 0.1 ml 중에 용해된 표시된 투여량을 쥐에게 단일 경정맥공 내 주사하였다. 24시간 후, 쥐를 죽이고 장내 칼슘 수송 및 혈청 칼슘을 표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투여량은 650 pmol이었고 군당 5마리 동물을 실험하였다. 자료는 평균 ±SEM으로 표현하였다.
치료 목적상, 화학식 I으로 정의된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종래의 방법에 따라 무해성 용매의 용액으로서, 또는 적합한 용매 또는 담체 중의 에멀젼, 현탁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또는 고체 담체와 함께 환제, 정제 또는 캡슐로서 제약 용도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이러한 제형은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결합제, 착색제, 또는 유화 또는 향미제와 같은 다른 제약상-허용되는 무독성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국소적으로, 비경구적으로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이롭게는 주사로, 또는 정맥내 주입 또는 적합한 멸균 용액으로, 또는 소화관을 통한 액체 또는 고체 투여물의 형태로, 또는 경피 용도에 적합한 크림, 연고, 패치 또는 유사한 비히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하루에 0.1 ㎍ 내지 50 ㎍의 화합물 투여량이 치료 목적에 적합하고, 이러한 투여량은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치료된 질환, 질환의 심각도 및 환자의 반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골 미네랄 이동 및 칼슘 수송 자극의 상이한 정도가 이롭다고 밝혀진 상황에서, 신규한 화합물은 작용의 특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등급이 매겨진 투여량의 또 다른 활성 비타민 D 화합물, 예를 들어 1α-히드록시비타민 D2또는 D3, 또는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와 함께 적합하게 투여될 수 있다.
건선 및 다른 악성 종양의 상기 설명된 치료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I로 정의된 하나 이상의 2-치환된-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의 유효량 및 적합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이러한 화합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의 약 0.01 ㎍/gm 내지 약 100 ㎍/gm이고, 국소적으로, 경피적으로,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약 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크림, 로션, 연고, 국소적 패치, 환제, 캡슐 또는 정제로서, 또는 제약상 무해성 및 허용되는 용매 또는 오일 중의 용액, 에멀젼, 분산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 형태로 제형될 수 있고, 이러한 제제는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유화제, 착색제, 결합제 또는 향미제와 같은 다른 제약상 무해성 또는 이로운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롭게는, 화합물은 전골수세포의 정상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상기 설명된 투여량은 적합하고, 소정량은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질환의 심각도, 환자의 조건 및 반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연관된 활성 성분 및 선택적으로 다른 치료 성분을 포함한다. 담체는 제형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 있어야 하고 이의 수용자가 유해하지 않는 의미에서 "허용가능"해야 한다.
경구적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각각 소정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세쉐이(sachet), 정제 또는 로젠지와 같은 구별된 단위 형태, 분말 또는 과립의 형태,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체의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 또는 수-중-유 에멀젼 또는 유-중-수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제형은 활성 성분 및 코코아 버터와 같은 담체가 혼입된 좌약 또는 관장액의 형태일 수 있다.
통상 비경구적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인 활성 성분의 멸균의 유성 또는 수성 제제를 포함한다.
국소적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크림, 연고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찰제, 로션, 애플리컨트(applicant),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 또는 점적약 또는 분무액과 같은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 또는 반-액체 제제를 포함한다.
천식 치료로는, 분무 캔, 연무기(nebulizer) 또는 분무기(atomizer)로 분배되는 분말, 자기-추진 또는 분무 제형의 흡입법이 사용될 수 있다. 조제될 때, 제형물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μ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통상 제형물은 투여량 단위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제약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투여량 단위"라는 용어는 단위체, 즉 활성 성분, 또는 고체 또는 액체 제약 희석제 또는 담체와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 단위로서 환자에 투여될 수 있는 단일 투여량을 의미한다.
가장 넓은 용도로, 본 발명은 비타민 D 핵을 갖는 임의의 19-노르-2-알킬렌동족체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D 핵이란 용어는 비타민 D의 위치 8, 14, 13, 17 및 20에 해당하는 5개의 탄소 원자의 치환된 사슬, 위치 20에서 연결된 말단에 비타민 D형 화합물의 경우 공지된 임의의 전형적인 측쇄로 나타내는 구조적 부분(예를 들면 앞서 본원에서 정의된 R), 및 위치 8에서 활성 1α-히드록시 비타민 D 동족체의 A-고리에 연결된 5,7-디엔 부분으로 이루어진 중심부분을 의미한다(본원의 화학식 I로 설명됨). 따라서, 통상 비타민 D 중에 존재하는 6원 C-고리 및 5원 D-고리의 다양한 공지된 변형, 예를 들어 C-고리 또는 D-고리의 결핍 또는 이 모두의 결핍이 본 발명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의 것과 함께,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a에서, Y1, Y2, R6, R8및 Z의 정의는 앞서 본원에서 나타낸 것과 같다. X1, X2, X3, X4, X5, X6, X7, X8및 X9에 대해, 이들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수소 또는 저급 알킬, 즉 메틸, 에틸, n-프로필과 같은 C1-5알킬로 부터 선택된다. 이외에, 각각 위치 8, 14, 13 또는 14, 13, 17 또는 13, 17, 20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중심 부분의 3개의 인접 탄소 원자와 함께, 쌍으로 된 치환기 X1, 및 X4또는 X5, X2또는 X3, 및 X6또는 X7, X4또는 X5, 및 X8또는 X9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포화 또는 불포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카르보시클릭 3, 4, 5, 6 또는 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b, Ic, Id, Ie, If, Ig 및 Ih에서, Y1, Y2, R6, R8, R, Z, X1, X2, X3, X4, X5, X6, X7및 X8의 정의는 앞서 본원에서 설명한 것이다. 치환기 Q는 포화 또는 불포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0, 1, 2, 3 또는 4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사슬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k가 2 또는 3의 정수인 -(CH2)k- 기이다.
화학식 Ia-Ih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국제 공개 번호 WO95/01960로 1995년 1월 19일 공개된 1994년 7월 7일 출원된 국제 출원 번호 PCT/EP94/02294에 설명되어 있다.

Claims (45)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조
    [여기서, 20 위치의 탄소에 있는 입체화학 중심은 R 또는 S형일 수 있으며, Z는 Y, -OY, -CH2OY, -C≡CY 및 -CH=CHY (여기서, 이중 결합의 기하 구조는 시스 또는 트랜스일 수 있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수소, 메틸, -COR5및 화학식
    (여기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정수 0 내지 5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직쇄이거나 분지쇄이고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체를 가지는 C1-5-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 듀테로알킬, 수소,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직쇄이거나 분지쇄이고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체를 가지는 C1-5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1및 R2는 함께 옥소기, 알킬리덴기, =CR2R3, 또는 -(CH2)p- (여기서, p는 정수 2 내지 5임)을 나타내고, R3및 R4는 함께 옥소기 또는 -(CH2)q- (여기서, q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또는 C1-5알킬기를 나타내고, 측쇄의 20, 22 또는 23 위치에 있는 CH 기는 어느 것이나 질소 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거나, 각각 측쇄의 20, 22 또는 23 위치에 있는 -CH(CH3)-, -CH(R3)- 또는 -CH(R2)- 기는 어느 것이나 산소 또는 황 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의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임]로 나타내어진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의 측쇄인 화합물.
  12. 2-메틸렌-19-노르-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3. 2-메틸렌-19-노르-20(S)-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4. 제1항에서 청구된 화합물 1종 이상과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15. 제16항에 있어서, 2-메틸렌-19-노르-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를 약 0.1 ㎍ 내지 약 50 ㎍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16. 제16항에 있어서, 2-메틸렌-19-노르-20(S)-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를 약 0.1 ㎍ 내지 약 50 ㎍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17.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7은 알킬을 나타낸다.
  18. 제17항에 있어서, Y1및 Y2가 모두 t-부틸디메틸실릴이고, R6및 R8가 모두 수소인 화합물.
  19.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7은 알킬을 나타낸다.
  20. 제19항에 있어서, Y1및 Y2가 모두 t-부틸디메틸실릴이고, R6및 R8가 모두 수소이고, R7이 메틸인 화합물.
  21.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낸다.
  22. 제21항에 있어서, Y1및 Y2가 모두 t-부틸디메틸실릴이고, R6및 R8가 모두 수소인 화합물.
  23.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7은 알킬을 나타낸다.
  24. 제23항에 있어서, Y1및 Y2가 모두 t-부틸디메틸실릴이고, R6및 R8가 모두 수소이고, R7이 메틸인 화합물.
  25.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낸다.
  26. 제25항에 있어서, Y1및 Y2가 모두 t-부틸디메틸실릴이고, R6및 R8가 모두 수소인 화합물.
  27.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낸다.
  28. 제27항에 있어서, Y1및 Y2가 모두 t-부틸디메틸실릴이고, R6및 R8가 모두 수소인 화합물.
  29. 뼈 질량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대사성 골질환 환자에게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사성 골질환의 치료법.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조
    [여기서, 20 위치의 탄소에 있는 입체화학 중심은 R 또는 S형일 수 있으며, Z는 Y, -OY, -CH2OY, -C≡CY 및 -CH=CHY (여기서, 이중 결합의 기하 구조는 시스 또는 트랜스일 수 있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수소, 메틸, -COR5및 화학식
    (여기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정수 0 내지 5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직쇄이거나 분지쇄이고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체를 가지는 C1-5-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 듀테로알킬, 수소,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직쇄이거나 분지쇄이고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체를 가지는 C1-5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1및 R2는 함께 옥소기, 알킬리덴기, =CR2R3, 또는 -(CH2)p- (여기서, p는 정수 2 내지 5임)을 나타내고, R3및 R4는 함께 옥소기 또는 -(CH2)q- (여기서, q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또는 C1-5알킬기를 나타내고, 측쇄의 20, 22 또는 23 위치에 있는 CH 기는 어느 것이나 질소 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거나, 각각 측쇄의 20, 22 또는 23 위치에 있는 -CH(CH3)-, -CH(R3)- 또는 -CH(R2)- 기는 어느 것이나 산소 또는 황 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의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임]로 나타내어진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노인성 골다공증인 치료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폐경기후 골다공증인 치료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스테로이드성 골다공증인 치료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저(底)골교체성 골다공증인 치료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골연화증인 치료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신성골이영양증인 치료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는 치료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비경구 투여하는 치료법.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경피 투여하는 치료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일일 0.1 ㎍ 내지 50 ㎍의 투여량으로 투여하는 치료법.
  4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메틸렌-19-노르-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인 치료법.
  4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메틸렌-19-노르-20(S)-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인 치료법.
  42. 건선 환자에게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선 치료법.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Y1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및 히드록시-보호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6및 R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함께 기 -(CH2)x- (여기서, x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조
    [여기서, 20 위치의 탄소에 있는 입체화학 중심은 R 또는 S형일 수 있으며, Z는 Y, -OY, -CH2OY, -C≡CY 및 -CH=CHY (여기서, 이중 결합의 기하 구조는 시스 또는 트랜스일 수 있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수소, 메틸, -COR5및 화학식
    (여기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정수 0 내지 5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직쇄이거나 분지쇄이고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체를 가지는 C1-5-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 듀테로알킬, 수소, 플루오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직쇄이거나 분지쇄이고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히드록시 치환체를 가지는 C1-5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1및 R2는 함께 옥소기, 알킬리덴기, =CR2R3, 또는 -(CH2)p- (여기서, p는 정수 2 내지 5임)을 나타내고, R3및 R4는 함께 옥소기 또는 -(CH2)q- (여기서, q는 정수 2 내지 5임)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된 히드록시, 또는 C1-5알킬기를 나타내고, 측쇄의 20, 22 또는 23 위치에 있는 CH 기는 어느 것이나 질소 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거나, 각각 측쇄의 20, 22 또는 23 위치에 있는 -CH(CH3)-, -CH(R3)- 또는 -CH(R2)- 기는 어느 것이나 산소 또는 황 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의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임]로 나타내어진다.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메틸렌-19-노르-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인 치료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메틸렌-19-노르-20(S)-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인 치료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상기 화합물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인 치료법.
KR10-1999-7008407A 1997-03-17 1998-02-11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KR100380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19,693 1997-03-17
US8/819,693 1997-03-17
US08/819,693 US5843928A (en) 1997-03-17 1997-03-17 2-alk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306A true KR20000076306A (ko) 2000-12-26
KR100380914B1 KR100380914B1 (ko) 2003-04-21

Family

ID=2522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407A KR100380914B1 (ko) 1997-03-17 1998-02-11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5843928A (ko)
EP (1) EP0970047B1 (ko)
JP (2) JP3786713B2 (ko)
KR (1) KR100380914B1 (ko)
AT (1) ATE223890T1 (ko)
AU (1) AU714253B2 (ko)
CA (1) CA2283829C (ko)
DE (1) DE69807852T2 (ko)
DK (1) DK0970047T3 (ko)
ES (1) ES2179451T3 (ko)
NO (1) NO322535B1 (ko)
NZ (1) NZ337503A (ko)
PT (1) PT970047E (ko)
WO (1) WO1998041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6642B1 (en) * 1997-03-17 2001-11-1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6,27-Homologated-20-EPI-2alkyl-19-nor-vitamin D compounds
US5945410A (en) * 1997-03-17 1999-08-3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alkyl-19-nor-vitamin D compounds
US6392071B1 (en) * 1997-03-17 2002-05-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6,27-homologated-20-EPI-2-alk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MA26481A1 (fr) * 1997-04-21 2004-12-20 Hoffmann La Roche Derives d'arylsecocholadiene
US5936105A (en) * 1997-06-13 1999-08-10 Tetrionics, Inc. 14-EPI-19-nor-vitamin D compounds and methods
US20030188756A1 (en) * 2002-08-19 2003-10-09 Cantorna Margherita T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vitamin d compounds
US6359012B1 (en) * 1999-12-22 2002-03-19 Bone Care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making 24(S)-hydroxyvitamin D2
ATE399151T1 (de) * 2000-05-31 2008-07-15 Wisconsin Alumni Res Found 2-ethyl und 2-ethyliden-19-nor-vitamin d- verbindungen
CN1217664C (zh) * 2000-07-14 2005-09-07 威斯康星校友研究基金会 2-亚甲基-19-去甲-20(S)-1α,25-二羟维生素D3增加骨强度的用途
CN1473048A (zh) * 2000-09-08 2004-02-04 ��˹����У���о������ 1α-羟基-2-亚甲基-19-去甲-同型孕钙佛醇及其治疗应用
EP1373222A2 (de) * 2001-03-15 2004-01-02 Basf Aktiengesellschaft 5-phenylpyrimidine, verfahren und zwischenprodukte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bekaempfung von schadpilzen
US6683219B2 (en) * 2001-07-30 2004-01-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Synthesis of A-ring synthon of 19-nor-1α,25-dihydroxyvitamin D3 from (D)-glucose
SI1453798T1 (sl) * 2001-12-13 2009-04-30 Wisconsin Alumni Res Found (20S)-1alfa -hidroksi-2-metilen-19-nor-bishomopregnakalciferol in njegove uporabe
US6835723B2 (en) * 2001-12-13 2004-12-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nor-20(S)-1α-hydroxy-bis-homo-pregnacalciferol in crystalline form
US6627622B2 (en) * 2002-02-18 2003-09-3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S)-1α-hydroxy-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US6566352B1 (en) 2002-02-18 2003-05-2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dation 1 α-hydroxy-2-methylene-19-nor-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US6964784B2 (en) * 2002-03-07 2005-11-15 Optigenex, Inc. Method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 of a water soluble extract of the bioactive component of the plant species uncaria for enhancing immune,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dna repair processes of warm blooded animals
US20030195175A1 (en) * 2002-03-25 2003-10-16 Deluca Hector F. Use of carbon-2-modified-vitamin D analogs to induce the formation of new bone
JP3957303B2 (ja) * 2002-03-29 2007-08-15 ウィスコンシン・アルムニ・リサーチ・ファウンデーション 1α−ヒドロキシ−2−メチレン−19−ノル−ホモプレグナカルシフェロールの合成法
US6846811B2 (en) * 2002-04-22 2005-01-2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S) 1α-hydroxy-2α-methyl and 2β-methyl-19-nor-vitamin D3 and their uses
US7259143B2 (en) * 2002-09-05 2007-08-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extending the dose range of vitamin D compounds
US20080249068A1 (en) * 2002-09-05 2008-10-09 Deluca Hector F Method of Extending the Dose Range of Vitamin D Compounds
RU2317992C2 (ru) 2003-02-25 2008-02-27 Кей Эн Си Лэборэтериз Ко., Лтд. Новые промежуточные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синтеза производных витамина d
MXPA05009336A (es) * 2003-04-10 2005-11-04 Wisconsin Alumni Res Found Compuestos de 2-propiliden-19-nor-vitamina d.
US6894037B2 (en) * 2003-07-03 2005-05-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nor-20(S)-25-methyl-1α-hydroxycalciferol and its uses
MXPA06000060A (es) * 2003-07-03 2006-04-07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ilen-19-nor-20(s)-25-metil-1alfa-hidroxicalciferol y sus usos.
US20050009792A1 (en) * 2003-07-08 2005-01-13 Deluca Hector F. (20S)-1alpha-hydroxy-2-methylene-19-nor-vitamin D3 and its uses
US20050209203A1 (en) * 2003-07-30 2005-09-22 Jin Tian Use of vitamin Ds or vitamin D analogs to treat cardiovascular disease
JP5009617B2 (ja) * 2003-08-20 2012-08-22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2−メチレン−19−ノル−ビタミンd2化合物
WO2005027926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 bone morphogenetic protein
WO2005027931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n ep2 or ep4 selective agonist
RU2326695C2 (ru) * 2003-09-19 2008-06-20 Пфайзер Продактс Инк.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включающие комбинации 2-алкилиденовых производных 9-нор-витамина d и бисфосфоната
WO2005027925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norexia or low bone mass in females exhibiting aggressive athletic behavior
EP1667689A1 (en) * 2003-09-19 2006-06-14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parathyroid hormone
WO2005027927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enhancement of peak bone mass in adolescence
CA2539361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n estrogen agonist/antagonist
CA2539358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osteopenia or male osteoporosis
CN1852718A (zh) * 2003-09-19 2006-10-25 辉瑞产品公司 用于治疗虚弱、肌肉损伤或少肌症的2-亚烷基-19-去甲-维生素d衍生物
WO2005027920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rickets or vitamin d deficiency
WO2005027929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n estrogen
WO2005027919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 second hip fracture
WO2005027930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osteosarcoma
WO2005027916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romatase inhibitors
WO2005027922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ypogonadism or andropause
WO2005027928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2-alkylidene-19-nor-vit amin 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ypocalcemic tetany or hyproparathyroidism
WO2005027918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 cyclooxgenase-2 inhibitor
WO2005027913A1 (en) * 2003-09-19 2005-03-31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mbinations of 2-alkylidene-19-nor-vitamin d derivatives and a growth hormone secretagogue
US7214670B2 (en) * 2003-09-24 2007-05-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Use of 2-methylene-19-nor-20(S)-1α,25-dihydroxyvitamin D3 to increase th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US7704980B2 (en) * 2003-10-08 2010-04-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2-methylene-19-nor-vitamin D compounds
WO2005051396A2 (en) * 2003-11-25 2005-06-09 Deltanoi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reducing body fat using vitamin d compounds
MXPA06005887A (es) * 2003-11-25 2006-06-27 Wisconsin Alumni Res Found Analogos de vitamina d para la prevencion y el tratamiento de la obesidad.
US7915242B2 (en) * 2004-02-17 2011-03-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Vitamin D receptor antagonists and their use in treating asthma
US7214671B2 (en) * 2004-02-19 2007-05-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Use of 2-methylene-19-nor-20(S)-1α,25-dihydroxyvitamin D3 for the prophylaxis of bone diseases
US7713951B2 (en) * 2004-04-09 2010-05-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alkylidene-18,19-dinor-vitamin D compounds
AU2005303773A1 (en) 2004-11-12 2006-05-18 Bioxell Spa Combined use of vitamin D derivatives and anti-proliferative agents for treating bladder cancer
CA2588396C (en) * 2004-11-22 2013-04-2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7,20(e)-dehydro 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MX2007006545A (es) * 2004-11-22 2007-09-21 Wisconsin Alumni Res Found 2a-metil-19-nor-1a-hidroxi-homopregnacalciferol y sus usos.
US8222235B2 (en) * 2004-11-22 2012-07-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nor-(20R)-1α-hydroxy-bishomopregnacalciferol
WO2006057932A2 (en) * 2004-11-22 2006-06-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8,19-DINOR-1α-HYDROXY-HOMO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MX2007006094A (es) * 2004-11-22 2007-07-11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ilen-19,21-dinor-1a-hidroxi-bishomopregnacalciferol.
NZ555281A (en) * 2004-11-22 2011-01-28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hylene-19,26,27-trinor-(20s)-1alpha-alpha-hydroxyvitamin D3 and its uses
EP1828115A4 (en) * 2004-11-22 2010-05-05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HYLENE-19-nor (20S) -1ALPHA-HYDROXY-TRISHOMOPREGNACALCIFEROL
AU2006213722B2 (en) * 2005-02-11 2011-09-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nor-(20S-24epi)-1alpha,25-dihydroxyvitamin-D2
WO2006086613A2 (en) * 2005-02-11 2006-08-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NOR- (20S-24S) - 1α, 25-D IHYDROXYVITAMIN-D2
EP1865965A4 (en) * 2005-03-29 2010-06-02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HYLENE-19-NOR- (23S) -25-DEHYDRO-1-HYDROXYVITAMINE-D3-26,23-LACTONE AND 2-METHYLENE-19-NOR- (23R) -25-DEHYDRO-1-HYDROXYVITAMINE-D3- 26.23-lACTONE
WO2006119309A2 (en) * 2005-05-03 2006-11-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9,26,27-TRINOR-1α,25-DIHYDROXYVITAMIN D3 COMPOUNDS
ES2533719T3 (es) * 2005-08-30 2015-04-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Análogos Des-C,D de 1alfa,25-dihidroxi-19-norvitamina D3
CA2623481A1 (en) * 2005-09-22 2007-04-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9,23,24,25,26,27-hexanor-1alpha-hydroxyvitamin d3
US7803789B2 (en) * 2006-02-02 2010-09-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Vitamin D analog—RAK, methods and uses thereof
US7528122B2 (en) * 2006-02-02 2009-05-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Vitamin D analog—NEL, methods and uses thereof
US20090281340A1 (en) * 2006-04-05 2009-11-12 Deluca Hector F 1alpha-hydroxy-2-(3'-hydroxyprop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treatment thereof
NZ571896A (en) * 2006-04-05 2011-09-30 Wisconsin Alumni Res Found 1-Alpha.-hydroxy-2-(3'-hydroxyprop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JP2009532457A (ja) * 2006-04-06 2009-09-10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2−メチレン−1α−ヒドロキシ−18,19,21−トリノルビタミンD3類縁体およびその使用
JP2009532459A (ja) * 2006-04-06 2009-09-10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1,2または3,2複素環を有する19−ノル−ビタミンdアナログ
WO2008035228A2 (en) * 2006-04-06 2008-03-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 substituted-1alpha, 25-dihydroxy-19,26,27-trinor vitamin d analogs and uses thereof
MX2008012913A (es) * 2006-04-06 2009-03-06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ilen-1a,25-dihidroxi-18,19,21-trinorvitamina d3 y sus usos.
AU2007298652A1 (en) * 2006-04-06 2008-03-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alpha-hydroxy-19,21-dinorvitamin D3 analogs and uses thereof
JP2010505739A (ja) 2006-04-06 2010-02-25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2−メチレン−1α,25−ジヒドロキシ−19,21−ジノルビタミンD3類縁体およびその使用
US8193169B2 (en) * 2006-04-06 2012-06-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R)-2α-methyl-19,26,2-trinor-vitamin D analogs
AU2007287263A1 (en) * 2006-04-10 2008-02-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Lalpha-hydroxy-2- (3 ' -hydroxypropylidene) -19-nor- vitamin D compounds with a 1,1-dimethylpropyl side chain
WO2008039754A1 (en) * 2006-09-28 2008-04-0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r,25s)-19,27-dinor-(22e)-vitamin d analogs
WO2008039751A2 (en) * 2006-09-28 2008-04-0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s,25s)-19,27-dinor-(22e)-vitamin d analogs
US20080171728A1 (en) * 2007-01-12 2008-07-17 Quatrx Pharmaceuticals Co. Efficient Process for Preparing Steroids and Vitamin D Derivatives With the Unnatural Configuration at C20 (20 Alpha-Methyl) from Pregnenolone
AU2008345083B2 (en) * 2007-12-28 2014-05-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R)-23,23-difluoro-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vitamin D analogs
EP2240439B1 (en) * 2007-12-28 2015-03-1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s)-23,23-difluoro-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vitamin d analogs
CA2710970A1 (en) * 2007-12-28 2009-07-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s,25r)-19,26-dinor-vitamin d analogs
US7943601B2 (en) * 2007-12-28 2011-05-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methyl-19,24,25,26,27-pentanor-vitamin D analogs
WO2009086439A2 (en) * 2007-12-28 2009-07-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s,25s)-19,26-dinor-vitamin d analogs
MX2010007956A (es) * 2008-01-22 2010-09-14 Wisconsin Alumni Reasearch Fou Analogos de 13,13-dimetil-des-c,d de compuestos de 1a,25-dihidroxi-19-nor-vitamina d3 y formas de dosificacion de composicion topica y metodos de tratamiento de condiciones de la piel.
US7888339B2 (en) * 2008-07-10 2011-02-1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21)-dehydro-19-nor-vitamin D analogs
US7879829B2 (en) * 2008-07-10 2011-02-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9-nor-vitamin D analogs with 1,2-dihydrofuran ring
US7713953B2 (en) * 2008-07-10 2010-05-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2E)-25-(1-methylene-hexyl)-26,27-cyclo-22-dehydro-19-nor-vitamin D analogs
US7648974B1 (en) * 2008-07-10 2010-01-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9-nor-vitamin D analogs with 3,2-dihydrofuran ring
US8193170B2 (en) 2008-07-10 2012-06-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26-dinor-(20R,22E,25R)-vitamin D analogs
US8222236B2 (en) * 2008-07-10 2012-07-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E)-20(22)-dehydro-19-nor-vitamin D analogs
US8399439B2 (en) * 2008-07-10 2013-03-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26-dinor-(20S,22E,25R)-vitamin D analogs
US7893043B2 (en) * 2008-07-10 2011-02-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7Z)-17(20)-dehydro-19,21-dinor-vitamin D analogs
NZ595727A (en) * 2009-04-17 2013-11-29 Vidasym Inc Vitamin d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JP5908402B2 (ja) 2009-08-03 2016-04-26 ウィスコンシン・アルムニ・リサーチ・ファウンデーション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腎疾患の予防方法およびその症状を処置する方法
WO2011041599A2 (en) * 2009-10-02 2011-04-0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6-methylvitamin d3 analogs and their uses
AU2010300528B2 (en) 2009-10-02 2016-02-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S,22E)-2-methylene-19-nor-22-ene-1alpha,25-dihydroxyvitamin D3 analogs
US8217023B2 (en) * 2009-10-02 2012-07-1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9-nor-vitamin D analogs with 1,2- or 3,2-cyclopentene ring
NZ599216A (en) 2009-10-02 2014-01-31 Wisconsin Alumni Res Found 1-desoxy-2-methylene-19-nor-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WO2011050163A1 (en) 2009-10-21 2011-04-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preventing type 1 diabetes
US8664206B2 (en) 2010-03-23 2014-03-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Diastereomers of 2-methylene-19-nor-22-methyl-1α,25-dihydroxyvitamin D3
WO2011119610A2 (en) 2010-03-23 2011-09-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S)-2-METHYLENE-19-NOR-22-DIMETHYL-1α,25- DIHYDROXYVITAMIN D3 AND (20R)-2-METHYLENE-19-NOR-22- DIMETHYL-1α,25-HYDROXYVITAMIN D3
JP5931845B2 (ja) * 2010-03-23 2016-06-08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2−メチレン−19−ノル−22−メチル−1α,25−ジヒドロキシビタミンD3のジアステレオマー
MX339926B (es) 2010-09-30 2016-06-16 Wisconsin Alumni Res Found * (20r, 25s)-metilen-19,26-dinor-1a,25-dihidroxivitamina d3 en forma cristalina.
US8754067B2 (en) 2010-11-12 2014-06-1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2-haloacetoxy-homopregnacalciferol analogs and their uses
US9290447B2 (en) 2011-05-03 2016-03-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0R) and (20S)-24-(p-toluenesulfonyloxy)-25,26,27-trinorvitamin D3 analogs and their uses
US8987235B2 (en) 2011-05-17 2015-03-2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N-cyclopropyl-(20R)-2-methylene-19,26,27-trinor-25-aza-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CA2837882C (en) 2011-06-03 2019-03-2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2e)-2-methylene-26,27-cyclo-22-dehydro-1.alpha.-hydroxy-19-norvitamin d3 derivatives
US8993547B2 (en) 2011-06-14 2015-03-3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3-desoxy-2-methylene-19-nor-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WO2013003307A1 (en) 2011-06-28 2013-01-0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2e)-25-hexanoyl-24-oxo-26,27-cyclo-22-dehydro-19-nor-vitamin d analogs
WO2013012644A1 (en) 2011-07-18 2013-01-24 Wisconsin Alumni 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21)-dehydro-19,24,25,26,27,-pentanor-vitamin d analogs
US20130053356A1 (en) 2011-08-26 2013-02-28 Hector F. DeLuca 2-methylene-19,23,24-trinor-1alpha-hydroxyvitamin d3
WO2013032740A1 (en) 2011-08-30 2013-03-0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rystallization of 1 alpha-hydroxy-20-methylene-19,24,25,26,27-pentanorvitamin d3
US8420839B1 (en) 2011-10-05 2013-04-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rystallization of 1α-hydroxy-2-methylene-18,19-dinor-homopregnacalciferol
CA2851275C (en) * 2011-10-21 2020-07-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AU2012326485B2 (en) 2011-10-21 2016-12-08 Wisconso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US8729054B2 (en) 2011-10-21 2014-05-2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3-desoxy-2-methylene-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US9040728B2 (en) 2012-05-30 2015-05-2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rystallization of (20R) 19-nor-24-difluoro-1α,25-dihydroxyvitamin D3
US9212137B2 (en) 2012-05-30 2015-12-1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rystallization of (20R,22R)-2-methylene-19-nor-22-methyl-1α,25-dihydroxyvitamin D3 and related precursors
US8884039B2 (en) 2012-05-30 2014-11-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rystallization of (20R) and (20S) analogs of 2-methylene-19-nor-24-dimethyl-1α,25-dihydroxyvitamin D3
US8940916B2 (en) * 2012-05-30 2015-01-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rystallization of (20R)-2-methylene-19-nor-24-difluoro-1α,25-dihydroxyvitamin D3
US8785422B2 (en) 2012-06-06 2014-07-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A-ring modified 19-nor-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NZ703347A (en) 2012-06-29 2016-05-27 Wisconsin Alumni Res Found Use of 2-methylene-19-nor-(20s)-1α,25-dihydroxyvitamin d3 to trea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EP2746252A1 (en) 2012-12-21 2014-06-2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WARF) Crystallization of 1alpha-hydroxy-2-methylene- 18,19-dinor-homopregnacalciferol
US9416102B2 (en) 2013-01-23 2016-08-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2E)-2-methylene-22-dehydro-1α,24,25-trihydroxy-19-nor-vitamin D3 analogs
US10369161B2 (en) 2014-12-30 2019-08-0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Use of 2-methylene-19-NOR-(20S)-1-alpha,25-dihydroxyvitamin D3 to treat primary hyperparathyroidism
US9539264B2 (en) 2014-12-30 2017-01-1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Use of 2-methylene-19-nor-(20S)-1-alpha,25-dihydroxyvitamin D3 to trea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patients previously treated with calcimimetics
CA2986694A1 (en) 2015-05-26 2016-12-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alpha.,25-dihydroxy-24,24-difluoro-19-nor-vitamin d3 analog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US20170296558A1 (en) 2016-04-18 2017-10-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Use of 2amd and 2md to treat fibrosis
WO2018044468A1 (en) 2016-08-30 2018-03-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BINATION OF LOW DOSE 2-METHYLENE-19-NOR-(20S)-1α, 25-DIHYDROXYVITAMIN D3 AND CALCIMIMETICS TO TREA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634A (en) * 1984-12-05 1987-05-19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vitamin D3 derivatives having a substituent at 2-position
CA1333616C (en) * 1989-03-09 1994-12-20 Hector F. Deluca 19-nor-vitamin d compounds
US5246925A (en) * 1989-03-09 1993-09-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9-nor-vitamin D compounds for use in treating hyperparathyroidism
NZ232734A (en) * 1989-03-09 1991-11-26 Wisconsin Alumni Res Found 19-nor vitamin 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650751B2 (en) * 1991-05-28 1994-06-3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Novel synthesis of 19-nor vitamin D compounds
US5086191A (en) * 1991-05-28 1992-02-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Intermediates for the synthesis of 19-nor vitamin D compounds
JP3213092B2 (ja) * 1991-11-01 2001-09-25 中外製薬株式会社 2β位に置換基を有するビタミンD誘導体
JP2898882B2 (ja) * 1993-04-05 1999-06-02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ナイ リサーチ フオンデーシヨン 2−位に置換基を有する19−ノル−ビタミンd3 化合物
US5565589A (en) * 1993-11-03 1996-10-1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17-formyl-5,6-trans-vitamin D compounds
US5428029A (en) * 1993-11-24 1995-06-27 Hoffmann-La Roche Inc. Vitamin D3 fluorinated analogs
WO1996001811A1 (en) * 1994-07-11 1996-01-25 The Johns-Hopkins University 2-substituted 1,25-dihydroxyvitamin d3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3829A1 (en) 1998-09-24
NO322535B1 (no) 2006-10-23
JP2006117680A (ja) 2006-05-11
AU6280198A (en) 1998-10-12
ATE223890T1 (de) 2002-09-15
NO994398L (no) 1999-09-10
JP4035144B2 (ja) 2008-01-16
KR100380914B1 (ko) 2003-04-21
NO994398D0 (no) 1999-09-10
NZ337503A (en) 2000-09-29
EP0970047B1 (en) 2002-09-11
JP2001504135A (ja) 2001-03-27
US5936133A (en) 1999-08-10
DE69807852D1 (de) 2002-10-17
ES2179451T3 (es) 2003-01-16
DK0970047T3 (da) 2002-11-11
US5843928A (en) 1998-12-01
AU714253B2 (en) 1999-12-23
CA2283829C (en) 2006-07-11
WO1998041501A1 (en) 1998-09-24
DE69807852T2 (de) 2009-09-24
EP0970047A1 (en) 2000-01-12
JP3786713B2 (ja) 2006-06-14
PT970047E (pt) 200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914B1 (ko)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KR100345820B1 (ko) 2-알킬-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JP4022071B2 (ja) 2−アルキリデン−19−ノル−ビタミンd化合物及びその治療的使用
EP1268415B1 (en) 26,27-homologated-20-epi-2-alkyl-19-nor-vitamin d compounds
WO1998041500A9 (en) 2-alkyl-19-nor-vitamin d compounds
AU2001247905A1 (en) 2-alk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s
US7232810B2 (en) 2-methylene-19-nor-vitamin D2 compounds
EP1613588B1 (en) 2-prop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