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90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909A
KR20000075909A KR1019997007989A KR19997007989A KR20000075909A KR 20000075909 A KR20000075909 A KR 20000075909A KR 1019997007989 A KR1019997007989 A KR 1019997007989A KR 19997007989 A KR19997007989 A KR 19997007989A KR 20000075909 A KR20000075909 A KR 20000075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connector
terminal pi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810B1 (ko
Inventor
나가하타다카야
기시모토도키히코
와다고이치
스즈키시게미스
Original Assignee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하라 스미토
야마가타 고쿠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하라 스미토, 야마가타 고쿠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게니치로
Publication of KR20000075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1Gluing or ta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1)은, 하우징(2)와, 상기 하우징(2)에 부착되며 회로기판(15)의 접속단자(16)과 평형케이블(11)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3)을 갖고, 상기 하우징(2)를 접착제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15)에 접착하므로서 상기 회로기판(15)와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에는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17)를 회로기판(15)과 함께 형성하는 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종래, 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하우징을 수지 등의 접착제로 고정하는 경우,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1)의 하우징(32)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핀(33)을 회로기판(34)의 복수의 접속단자(35)의 위치에 회로기판(34)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삽입관통시키고, 회로기판(34)와 하우징(32)를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 맞춤시킨 후에, 디스펜서(dispenser) 등의 고가인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비교적 점도가 높은 접착제를 회로기판(34)와 하우징(32) 사이에 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고정방법에서는, 하우징(32)의 내부로 접착제가 유입하여 단자핀(33)과 피접속체로서의 평형케이블(flat cable) 등의 도체부의 도통이 불량으로 되거나, 하우징(32)와의 사이에 피접속체를 끼워넣는 용수철부재가 접착되어 피접속체를 삽입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32)와 회로기판(34) 사이에 접착제를 유입하기 때문에 하우징(32)와 회로기판(34)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거나, 회로기판(34)가 하우징(32)로부터 부상(浮上)하거나 한다는 부조화도 발생하기 쉬웠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의 도포량을 적게하면, 기계적인 접속강도가 부족하여 회로기판(34)로부터 커넥터(31)이 어긋난다는 부조화가 생긴다.
이들 부조화는, 비교적 점도가 높은 접착제를 사용하고, 또한 적정량의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디스펜서 등의 고가인 도포장치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소될 수가 없었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인 도포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정밀도 양호하고 또한 강고히 회로기판에 접착할 수 있으며, 또한 도통불량이나 피접속체와의 기계적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일 없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있고,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하우징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는, 직선상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제1의 굴곡부와,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제1의 굴곡부와 동일방향으로 굴곡하는 제2의 굴곡부를 갖고, 이들 제1 및 제2의 굴곡부의 선단면이 회로기판의 끝면에 맞접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에, 회로기판을 하우징과의 사이에 끼워넣는 탄성체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체는, 단자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부에 맞접하는 제1의 콘택트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핀의 타단부에는, 피접속체의 도체부에 맞접하여 피접속체를 하우징과의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끼워넣는 제2의 콘택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핀은, 제2의 콘택트부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핀은, 제2의 콘택트부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있고,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하우징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멍은, 하우징을 관통하고 있으며, 이 구멍의 한쪽끝의 개구가 회로기판의 한쪽의 주면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에 의해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멍은 긴구멍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은, 회로기판으로의 장착면이 대략 장방형이고, 구멍은 2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구멍이 대략 장방형의 장착면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개방되어 있고, 다른쪽의 구멍이 대략 장방형의 장착면의 긴쪽 방향 타단부에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3의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있고,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하우징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돌출부와,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각종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있고,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에 피접속체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종래의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종래의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1)은 하우징(2)와 복수의 단자핀(3)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상면은 대략 장방형이며, 단자핀(3)을 수용하기 위해 짧은 변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홈(4)가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 상면의 짧은 변 방향 일단부에는, 긴 변 방향에 따른 돌출부(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는, 직선상의 본체부(5a)와, 본체부(5a)의 일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제1의 굴곡부(5b)와, 본체부(5a)의 타단부로부터 제1의 굴곡부(5b)와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제2의 굴곡부(5c)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긴쪽 방향의 일단측의 측면에는 돌출부(6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돌출부(6a)는 상면이 하우징(2)의 상면과 같은 면이다.
돌출부(6a)에는 긴구멍(7a)가 형성되어 있으며, 긴구멍(7a)는 돌출부(6a)를 관통하고 있다.
하우징(2)의 긴쪽 방향의 타단측의 측면에는 돌출부(6b)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돌출부(6b)는 상면이 하우징(2)의 상면과 같은 면이다.
돌출부(6b)에는 긴구멍(7b)가 형성되어 있으며, 긴구멍(7b)는 돌출부(6b)를 관통하고 있다.
하우징(2)의 정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피접속체로서의 평형케이블(11)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배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핀(3)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12)와 개구부(13)은 연통하고 있다.
단자핀(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상의 지지부(3a)와, 회로기판(15)의 한쪽의 주면(15a)에 형성된 접속단자(16)에 맞접하는 제1의 콘택트부(3b)와, 지지부(3a)의 일단과 제1의 콘택트부(3b)를 접속하는 제1의 접속부(3c)와, 평형케이블(11)의 도체부에 맞접하는 제2의 콘택트부(3d)와, 지지부(3a)의 타단과 제2의 콘택트부(3d)를 접속하는 제2의 접속부(3e)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핀(3)은, 금속제이며, 제1의 콘택트부(3b) 및 제2의 콘택트부(3d)는 각각 용수철을 구성하고 있다.
제1의 콘택트부(3b)는 회로기판(15)를 하우징(2)로 가압하고, 제2의 콘택트부(3d)는 평형케이블(11)을 하우징(2)로 가압한다.
하우징(2)의 개구부(12)에 평형케이블(11)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단자핀(3)은 제2의 콘택트부(3d)가 지지부(3a)와의 사이에 하우징(2)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1)을 회로기판(15)에 접착하는데에 있어서는, 회로기판(15)의 접속단자(16)을 커넥터(1)의 단자핀(3)의 위치에 맞추어, 회로기판(15)에 의해 단자핀(3)의 제1의 콘택트부(3b)를 밀어 넓히도록 하여 삽입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5)의 끝면(15b)가 하우징(2)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돌출부(5)의 굴곡부(5b)(5c)의 선단면에 맞접할 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 상태에서, 단자핀(3)의 제1의 콘택트부(3b)에 의해 회로기판(15)가 하우징(2)에 가압되어 커넥터(1)이 회로기판(15)에 임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1)을 회로기판(15)에 장착하면, 하우징(2)의 돌출부(5)와 회로기판(15)에 의해 오목부(17)이 형성되며, 또한, 하우징(2)의 돌출부(6a)(6b)의 긴구멍(7a)(7b)의 둘레벽과 회로기판(15)에 의해 오목부(18a)(18b)가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17)(18a)(18b)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접착제(21)(22)를 도포하여 고화시키는 것에 의해 커넥터(1)과 회로기판(15)가 기계적으로 강고히 접속된다.
접착제(21)(22)가 고화한 후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형케이블(11)의 보강부재(23)이 부착된 부분을 하우징(2)의 개구부(1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평형케이블(11)이 단자핀(3)의 제2의 콘택트부(3d)에 의해 강고히 지지되며, 또한, 평형케이블(11)의 도체부분과 회로기판(15)의 접속단자(16)이 단자핀(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1)을 회로기판(15)에 고정하는데에 있어서, 회로기판(15)에 하우징(2)를 장착한 때에 형성되는 오목부(17)(18a)(18b)에 접착제(21)(22)를 도포하기 때문에 접착제(21)(22)의 점도의 고저에 관계없이 접착제(21)(22)의 유출을 양호하게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5)의 접속단자(16)과 단자핀(3)의 콘택트부(3b) 사이나, 평형케이블(11)의 도체부와 단자핀(3)의 제2의 콘택트부(3d) 사이에 접착제(21)(22)가 유입하여 도통불량을 일으키거나 또는 제1의 콘택트부(3b)나 제2의 콘택트부(3d)가 접착제(21)(22)에 의해 고정되어 움직일수 없게 되는 일도 없다.
또한, 오목부(17)(18a)(18b)에 의해 적정량의 접착제(21)(22)이 확보되기 때문에 고가인 도포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강고히 하우징(2)와 회로기판(15)를 접착할 수 있다.
더욱이, 회로기판(15)가 하우징(2)와의 사이의 접착제(21)(22)에 의해 회로기판(15)가 하우징(2)로부터 부상(浮上)하는 일이 없다.
또, 단자핀(3)의 제1의 콘택트부(3b)에 의해 회로기판(15)를 하우징(2)와의 사이에 끼워넣기 때문에, 접착제(21)(22)에 의한 회로기판(15)의 부상을 더 한층 양호하게 저지할 수 있고, 더욱이 임시 고정시에 있어서의 회로기판(15)와 커넥터(1)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접착제(21)(22)의 고화 이후까지 유지할수 있다.
또한, 단자핀(3)은, 제1의 콘택트부(3b)와 제2의 콘택트부(3d)를 일체로 갖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더욱이 하우징(2)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또, 돌출부(5)의 굴곡부(5b)(5c)의 선단면에 회로기판(15)의 끝면(15b)를 맞접함시키기 때문에 회로기판(15)와 커넥터(1)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히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평형케이블 등의 피접속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장치에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1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상기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상기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상기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직선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제1의 굴곡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의 굴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제2의 굴곡부를 갖고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의 굴곡부의 선단면이 상기 회로기판의 끝면에 맞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끼워넣는 탄성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단자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부에 맞접하는 제1의 콘택트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의 타단부에는, 상기 피접속체의 도체부에 맞접하며 상기 피접속체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끼워넣는 제2의 콘택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은, 상기 제2의 콘택트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상기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상기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상기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구멍의 한쪽끝 개구가 상기 회로기판의 한쪽의 주면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긴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으로의 접착면이 대략 장방형이며, 상기 구멍은 2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구멍이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착면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개방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구멍이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착면의 긴쪽 방향 타단부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끼워넣는 탄성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단자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부에 맞접하는 제1의 콘택트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의 타단부에는, 상기 피접속체의 도체부에 맞접하며 상기 피접속체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끼워넣는 제2의 콘택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은, 상기 제2의 콘택트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의 접속단자와 피접속체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핀을 갖고, 상기 하우징을 접착제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착하므로서 상기 회로기판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상기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돌출부와,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를 상기 회로기판과 함께 형성하는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97007989A 1997-03-18 1998-03-18 커넥터 KR100347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4483 1997-03-18
JP6448397 1997-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909A true KR20000075909A (ko) 2000-12-26
KR100347810B1 KR100347810B1 (ko) 2002-08-07

Family

ID=1325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989A KR100347810B1 (ko) 1997-03-18 1998-03-18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38237B1 (ko)
EP (1) EP0969557B1 (ko)
JP (1) JP3930054B2 (ko)
KR (1) KR100347810B1 (ko)
CN (1) CN1186856C (ko)
DE (1) DE69834906T2 (ko)
TW (1) TW445681B (ko)
WO (1) WO1998042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8472B2 (ja) * 1998-12-10 2010-03-10 ローム株式会社 クリップ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クリップコネクタの取付け方法、およびクリップコネクタ
JP4327328B2 (ja) 2000-04-04 2009-09-09 ローム株式会社 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電気的接続構造
DE10030228C2 (de) * 2000-06-20 2002-07-11 Itt Mfg Enterprises Inc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048466C1 (de) 2000-09-29 2002-03-28 Siemens Ag Falt- und Verschiebeschutz für flexible Leiterplatte im Kontaktierungsbereich
FR2814858B1 (fr) * 2000-10-02 2002-12-20 Cit Alcatel Connecteur a ressort pour la connexion electrique de pistes d'un ecran d'affichage avec un circuit electrique
US6783371B2 (en) * 2001-04-17 2004-08-31 Agilent Technologies, Inc. Solder-dow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structure
US20040033717A1 (en) * 2002-08-13 2004-02-19 Fred Peng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US6975135B1 (en) 2002-12-10 2005-12-13 Altera Corporation Universally programmable output buffer
CN100373995C (zh) * 2004-01-05 2008-03-0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导电体植设方法及使用这种方法的电路板与芯片
JP4778388B2 (ja) * 2006-09-29 2011-09-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2008218224A (ja) * 2007-03-05 2008-09-1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Led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ATE459112T1 (de) * 2007-04-25 2010-03-15 Research In Motion Ltd Verbinder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7537458B2 (en) 2007-04-25 2009-05-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TW200919276A (en) * 2007-10-31 2009-05-01 Kye Systems Corp Electrical connector of computer input device
TWI345343B (en) 2008-09-05 2011-07-11 Au Optronics Corp Multi-slot connecte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2396116B (zh) 2009-02-16 2015-02-11 莫列斯公司 共边缘连接器
US8206162B1 (en) * 2011-02-01 2012-06-26 Transcend Information, Inc. Connector module and retractable connector device
US8430684B1 (en) * 2011-08-04 2013-04-30 George F. Glatts, III Ribbon cable connector
EP3026760A1 (de) * 2014-11-27 2016-06-01 odelo GmbH Direktsteckverbind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flexibler Leiterbahnträger in Fahrzeugleuchten
EP3278405A4 (en) 2016-04-25 2018-11-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Company LP Sockets including wicking regions
KR102308283B1 (ko) * 2017-08-21 2021-10-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TWI631777B (zh) * 2017-11-17 2018-08-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簡易式連接器結構
US11088066B2 (en) 2018-03-19 2021-08-10 Tactotek Oy Multilayer structur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for electronics
DE102018109543A1 (de) * 2018-04-20 2019-10-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einrichtung sowie elektrischer LIN-Verbinder für den Kraftfahrzeugbereich
DE102019123829A1 (de) * 2019-09-05 2021-03-11 HARTING Electronics GmbH Kartenrand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7926A (en) * 1970-07-23 1972-10-10 Molex Products Co Plural circuit board connecting arrangement and terminal therefor
US3706954A (en) * 1970-12-28 1972-12-19 Molex Inc Connector and arrangement for circuit board assembly therewith
JPS5511087Y2 (ko) * 1975-12-10 1980-03-11
GB1541366A (en) * 1977-01-05 1979-02-28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S5412885A (en) 1977-06-30 1979-01-30 Shimadzu Corp Function inspecting method and device for eddy current flaw detecting machine
JPS5412885U (ko) * 1977-06-30 1979-01-27
DE2819623C3 (de) 1978-05-05 1981-07-16 Hans Grohe Gmbh & Co Kg, 7622 Schiltach Brausevorrichtung
US4550959A (en) * 1983-04-13 1985-11-05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able coefficient of expansion matching connector
US4629278A (en) * 1985-04-15 1986-12-16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able connector retention means and method
US4738625A (en) * 1986-09-29 1988-04-1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panels
JPS6440176A (en) 1987-08-06 1989-02-10 Nippon Kokan Kk Measuring instrument for molten pool
JPS6440176U (ko) * 1987-09-04 1989-03-09
CH675034A5 (ko) * 1987-11-03 1990-08-15 Schurter Ag
JPH01129875A (ja) 1987-11-09 1989-05-23 Ray Garnett Asbery 鞘付き切断装置
JPH01129875U (ko) * 1988-02-26 1989-09-04
JP2796813B2 (ja) * 1988-11-10 1998-09-10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5009605A (en) * 1990-03-13 1991-04-23 Hughes Aircraft Company Flat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recisely aligned soldering traces
JPH03280368A (ja) * 1990-03-28 1991-12-11 Nec Corp 回路基板の表面実装コネクタ
JP2626868B2 (ja) * 1993-03-08 1997-07-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の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77168U (ja) * 1993-04-05 1994-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H0837048A (ja) * 1994-07-22 1996-02-06 Nippondenso Co Ltd コネクタ
JPH0845582A (ja) * 1994-08-01 1996-02-16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用表面実装コネクタの固定構造
US5944536A (en) * 1996-10-31 1999-08-31 Thomas & Betts Corporation Cover for an edge mounte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JP2989569B2 (ja) 1997-09-01 1999-12-13 株式会社山陽精機 電縫管のブレイクダウン成形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5681B (en) 2001-07-11
KR100347810B1 (ko) 2002-08-07
CN1186856C (zh) 2005-01-26
JP3930054B2 (ja) 2007-06-13
EP0969557A4 (en) 2002-01-16
EP0969557A1 (en) 2000-01-05
DE69834906T2 (de) 2007-12-13
WO1998042044A1 (fr) 1998-09-24
CN1250550A (zh) 2000-04-12
US6238237B1 (en) 2001-05-29
DE69834906D1 (de) 2006-07-27
EP0969557B1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810B1 (ko) 커넥터
JP4931417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5392371A (en) Connector assembly
KR100800729B1 (ko) 배터리 커넥터
US7448923B2 (en) Connection for flex circuit and rigid circuit board
CN113224576B (zh) 连接器
JP2000077125A (ja) 雌雄嵌合型コネクタ
US615584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a panel-like device on a printed board
US6530787B2 (en) Coaxial plug connecto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KR20100105748A (ko) 카드 어댑터
JP2000357855A (ja) 電気回路及び部品を相互接続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2138823A2 (en) Circuit board connector
KR20040050819A (ko) 커넥터 장치
CN108429029B (zh) 连接器、插座以及连接系统
JPH0686290U (ja) 電気コネクタ
US5951315A (en) Electrical connector of a turn contact type which is simple in shape
JP2013235844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20010012705A1 (en) Self-aligning lcd connector assembly
JP7294871B2 (ja) 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WO2024116791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H1032062A (ja) 電気コネクタ
JP323384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JP3276715B2 (ja) 平板状導体の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接続装置
TW202410563A (zh) 連接器、連接器對以及連接器的製造方法
JP202407852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