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870A - 피부 및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및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870A
KR20000075870A KR1019997007949A KR19997007949A KR20000075870A KR 20000075870 A KR20000075870 A KR 20000075870A KR 1019997007949 A KR1019997007949 A KR 1019997007949A KR 19997007949 A KR19997007949 A KR 19997007949A KR 20000075870 A KR20000075870 A KR 2000007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rmula
skin
composition
ra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레똥리오넬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0007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및/또는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화학식 I 의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화학식 I]

Description

피부 및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ASSOCIATION OF PHENOL DERIVATIVES WITH EXTRACT OF IRIDACEAE FAMILY FOR LIGHTENING THE SKIN AND SUPERFICIAL BODY GROWTH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Iridaceae)의 추출물의 조합물, 그 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피부 및/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을 라이트닝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부 및/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에 국소 적용함에 의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 피부색은 여러 가지 인자들, 특히 계절, 인종 및 성별에 따라 좌우되고, 주로 멜라닌 생성 세포(melanocyte)에 의해 생성되는 멜라닌의 성질 및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 생성 세포는 특정 세포 소기관을 통해, 멜라노솜이 멜라닌을 합성하는 특수화된 세포이다. 게다가, 인생 중 여러 때에, 일부 사람들은 피부, 보다 특히 손에 피부에 이형질을 주게 되는 더욱 어둡고/어둡거나 더욱 색이 짙은 점이 나타나게 됨을 경험한다. 이 점들은 또한 피부 표면에 위치한 각질 세포(keratinocyte) 중 고농도의 멜라닌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다.
동일한 식으로, 체모 및 두발의 색은 멜라닌에 기인하는 것으로, 신체 또는 머리의 헤어가 어두운 색일 경우, 일부 사람들은 이를 더욱 밝게 하고 싶어한다. 이는 특히 어두운 색일 때보다 밝은 색일 때 더 잘 안 보이는 체모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게 된다.
피부, 체모 및 두발의 색소 형성 메카니즘, 즉 멜라닌의 형성은 특히 복잡하고, 개략적으로 하기 주요 단계들을 포함한다 :
티로신 → 도파 → 도파퀴논 → 도파크롬 → 멜라닌
티로시나제 (모노페놀 디히드록실 페닐알라닌 : 산소 옥시도리덕타제 EC 1.14.18.1) 은 상기 반응 순서에 관련하는 주효소이다. 그것은 특히 히드록실라제 활성에 의해 티로신을 도파 (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로 전환하는 반응 및, 옥시다제 활성에 의해 도파를 도파퀴논으로 전환하는 반응에 대해 촉매 작용한다. 이 티로시나제는 일부 생물학적 인자들의 작용 하, 성숙 단계에 있을 때에만 작용한다.
멜라닌 형성이 일어나는 상피 멜라닌 생성 세포의 활력에 직접 작용할 경우 및/또는, 멜라닌 형성에 관련하는 효소들 중 하나를 억제하거나, 멜라닌 합성 사슬에서의 화학적 화합물들 중 하나의 구조적 동종체로 관련하여 상기 사슬을 블록킹하여 탈색을 일으킬 수 있게 됨으로써 멜라닌의 생합성 단계들 중 하나를 간섭할 경우, 물질이 탈색된다고 인식된다.
탈색제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질은 보다 특히 히드로퀴논 및 그것의 유도체, 특히 그것의 에테르, 예컨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및 모노에틸 에테르이다. 그것들이 명확히 효과적이나, 이 화합물들은 불행히도 그것들의 독성 때문에 부작용이 없지 않아, 그것들의 사용이 어려워지고, 심지어 위험해 질 수 있다. 이 독성은 그것들이 세포를 죽임으로써 멜라닌 형성의 기본 메카니즘에 대해 작용을 작용함으로써, 그것들의 생물학적 환경을 방해하는 위험을 주고, 궁극적으로 피부가 독소를 생성함으로써 그것을 피하게 하도록 하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히드로퀴논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해 특히 세포 독성을 가지고 자극적인 화합물이며, 그것의 전체 또는 부분적 대체가 많은 저자들에 의해 구상되어 왔다.
효능이 큰 물질의 무해한 국소적 탈색의 이용은 가장 특히, 멜라닌 생성 세포의 과도활성에 의해 일어나는 국소적 색소침착과도증, 예컨대 임신 또는 에스트로-프로게스토겐 피임 중에 일어나는 특발성 피부 흑색증 ("마스크 옵 프레그넌시(mask of pregnancy)", 또는 간반), 양성 멜라닌 생성 세포의 과도활성 및 증식으로 인해 일어나는 국재적 색소침착과도증, 예컨대 화학작용의 흑점이라고 불리는 노인성 착색된 점, 감광 작용 또는 후-병변 반흔 형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는 우연적 발생의 색소침착과도증 또는 탈색, 또한 백반병, 예컨대 백전풍의 치료를 해결하고자 추구되었다. 후자의 경우 (반흔 형성은 피부에 더욱 밝은 외관 및 백반병을 주는 상흔을 줄 수 있음), 손상을 입은 피부의 재착색 가능성이 적어, 나머지 정상적 피부 부위의 탈색이 완료되어, 전체 피부에 균일한 밝은 피부색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해, 살리실산 유도체 및 파라세타몰은 티로시나제의 억제제이고, 그 자체로서 탈색제로 기술된다.
그 효소의 활성 사이트에 존재하는 구리를 착화시키는 코지산도 또한 티로시나제의 억제제로서 통상 사용된다. 불행히도, 이 화합물은 알레르기 반응 ("피부 케어 제품 중 코지산에 대한 접촉 알레르기") 를 일으킬 수 있다 [Nakagawa M. 등, Contact Dermatitis, 1995. 1월, Vol. 42(1), pp. 9 - 13]. 이 화합물은 또한 용액 중 불안정하고, 이는 조성물의 제조를 다소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특히 효과적인 탈색 활성을 가지나, 독성 및 알레르기 유발력과 같은 상기 결점들을 나타내지 않는 신규 생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과 조합된 일부 페놀 유도체들은 피부 및/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의 탈색 성질과 관련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내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어떠한 이론에 구애받으려 하지 않으면서, 피부 신경펩타이드, 예컨대 CGRP 의 효과를 길항하고자 하는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의 전혀 예기하지 못한 성질로 인해, 이 추출물은 CGRP 때문에 멜라닌 생성 세포의 세포 내 cAMP 분비에 대한 양성 작용을 통한 멜라닌 합성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부 페놀 유도체의 탈색 활성과 조합된,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의 탈색 활성으로써, 완전 확실하게 피부 또는 표면 신체 생장물을 라이트닝 또는 탈색시킬 수 있다.
살리실산 및 그것의 유도체는 큰 용량 (3 중량 % 초과)으로 피부 표면에 있는 죽은 세포, 특히 이 점들로부터 그것들을 제거함으로써, 착색된 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각질용해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은 또한 적은 용량 (3 중량 % 미만) 으로, 멜라닌 생성 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도 있어,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도록 하면서, 큰 용량으로 사용될 때와 같은 염증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페놀 유도체의 조합물 및 그것의 화장용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합 생성물이다 :
[식 중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산 라디칼을 나타내고,
R2은 수소 원자, 화학식 -NHCOCH3의 라디칼 및 화학식 -COR3(식 중, R3은 직쇄, 측쇄 또는 고리의 포화 지방족 사슬, 하나 이상의 공액 또는 비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사슬로서, 탄소수 2 내지 22 의, 할로겐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유리 형태 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산이나, 그와 달리 카르복실 관능기로 에스테르화되거나, 유리 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저급 알콜로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사슬임)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원자 또는 라디칼을 나타내며,
단, R1이 수소 원자를 나타낼 경우, R2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R1이 수소 원자를 나타낼 경우, R2은 라디칼 -NHCOCH3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R1이 산 라디칼을 나타낼 경우, R2은 화학식 -COR3의 라디칼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라디칼 R3이 4 이상의 탄소수를 가진다. 예컨대, 그것은 탄소수 4 내지 11 의 포화 직쇄 알킬 라디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페놀 유도체는 파라세타몰 (N-(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불림), 살리실산 및 살리실산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페놀 유도체가 살리실산 유도체인 경우, 그것은 바람직하게 5-(n-옥타노일)살리실산, 5-(n-데카노일)살리실산 및 5-(n-도데카노일)살리실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것은 또한 그 산들의 염, 특히 염기로 염화(salification)되어 수득된 염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살리실산 유도체를 염화할 수 있는 염기로는,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소듐 및 포타슘 히드록시드) 또는 암모늄 히드록시드과 같은 무기 염기, 또는 보다 좋게는 유기 염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양쪽성 염기는 살리실산 유도체의 염화에 사용되는데, 이는 즉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관능기를 모두 갖는 염기를 말한다. 양쪽성 염기는 1차, 2차, 3차 또는 고리의 유기 아민, 보다 특히 아미노산일 수 있다. 양쪽성 염기의 예로는, 글리신, 라이신, 아르기닌, 타우린, 히스티딘, 알라닌, 발린, 시스테인, 티르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TRISTA)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이 염기들은 에멀션의 pH 를 5 내지 7 로 조정함으로써 피부의 pH 와 근접하게 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에멀션과 피부 간의 상용성이 커지게 된다.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 및 생체 외 또는 생체 내에서 수득되는 상기 식물의 하나의 추출물.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 이라는 용어는 "붓꽃과 식물 세포의 추출물", 이에 따라 "붓꽃과 식물계 하나 이상의 식물의 세포 추출물"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은 붓꽃과 식물계로부터 유도된, 생체 외 또는 생체 내 배양으로 수득된 임의의 식물 재료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생체 외 식물 세포 성장 중에, 물리화학적 조건에 의해 부여된 선택 압력으로써, 생체 내 배양으로 수득된 식물과 달리, 연간 이용가능한 표준 식물 재료를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생체 외 배양으로 수득된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생체 외 초기 배양된 붓꽃과 식물을 계속해서 생체 내 배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제하지 않는다.
생체 외 배양은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를 인공적으로 제조하도록 하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기술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추출물은 생체 외 배양으로 수득된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 (뿌리, 줄기, 잎) 의 유기 추출물, 심지어 유기 세포 추출물, 또는 그와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미분화된 세포의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생체 외 배양에 의해 수득된 미분화된 세포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사용한다.
미분화 식물 세포는 어떠한 특별한 특수화(specialization) 특성도 나타내지 않고, 홀로 생존가능하여, 다른 세포에 의존하지 않는 임의의 식물 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 미분화 식물 세포는 잠정적으로, 유도 효과 하에, 그것의 게놈에 따른 임의의 분화가 가능하다.
선택된 배양 방법에 따라, 특히 선택된 배지에 따라, 동일한 외식(外植)으로부터 다른 특성을 갖는 미분화 식물 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붓꽃과 식물계에는 약 750 종이 있다
붓꽃과 식물계 식물은 특히 그것의 방향 및 장식적 성질 때문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붓꽃과 식물속 중에서, 예로서 속 로물레아(Romulea), 크로커스(Crocus), 붓꽃(Iris), 글라디올러스(Gladiolus), 시시린키움(Sisyrinchium) 또는 헤르모다크틸러스(Hermodactylus) 를 들 수 있다.
사용가능한 식물 재료로서, 이리스 게르마니카(Iris germanica), 이리스 플로렌티나(Iris florentina), 이리스 팔리다(Iris pallida), 크로커스 베르시콜러(Crocus versicolor), 로물레아 벌버코듐(Romulea bulbucodium) 또는 글라디올러스 코무니스(Gladiolus communis) 를 들 수 있다.
보다 특별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속 붓꽃(Iris), 보다 특별하게는 이리스 팔리다로부터 유도된 식물 재료를 사용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임의의 추출 방법을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알콜성, 특히 에탄올성 추출물 및 수성-알콜성 추출물을 들 수 있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5-02379 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도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단계에서, 식물 재료를 저온에서 수용액 중에 분쇄하고, 제 2 단계에서, 현탁액 중 입자를 제 1 단계로부터 유도된 수용액으로부터 제거하며, 제 3 단계에서, 제 2 단계에서 유도된 수용액을 멸균한다. 이 수용액은 추출물에 상응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단계는 식물 조직을 (예컨대 -20 ℃ 에서) 동결하는 단순 작업으로 유리하게 대체한 후, 상기 제 2 및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성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추출물의 한 제조예가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들에 따른 추출물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응축될 수 있다. 그것들은 또한 용매 제거, 특히 냉동 건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라이트닝제 또는 탈색제로서의 상기 정의된 조합물 및 화장용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서 또는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합물의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을 라이트닝 및/또는 탈색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조합물 및 화장용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화장용 국소 조성물을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을 라이트닝 또는 탈색하기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 신체 생장물은 바람직하게 체모 또는 두발이다.
이 조합물은 피부 상의 착색된 점들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하는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적 사용에 적합하여,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체, 즉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 보다 특히 체모 또는 두발에 대해 상용성을 갖는 매체를 함유한다.
페놀 유도체 및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의 양은 넓은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고, 특히 목적하는 탈색 활성에 좌우된다.
따라서, 대략적 양으로는, 페놀 유도체가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된다.
대략적 양으로는,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은 그 부분에 있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 0.0001 내지 2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 의 건조량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 및 페놀 유도체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적용으로, 당 기술의 현황 하의 권고량 미만인 양의 페놀 유도체, 특히 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사용을 통해, 점의 형성을 확실히 감소시키고, 심지어 완전히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갈레누스의 형태, 예컨대 수성액, 수성-알콜성 용액 또는 유성액, 로션 또는 장액(serum) 유형의 분산액, 수성, 무수 또는 유성 겔, 지방상을 수성상에 (O/W) 또는 그 반대로 (W/O) 분산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유제 유형의 액체 또는 반액체 견고도를 갖는 에멀션, 또는 크림이나 겔 유형의 견고도를 갖는 연체, 반고체 또는 고체 견고도를 갖는 현탁액이나 에멀션, 또는 그와 다르게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유형의 마이크로에멀션,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입자 또는 소포성 분산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더 크거나 적은 정도로 유동성을 가질 수 있고, 백색 또는 칼라의 크림, 연고, 유제, 로션, 장액, 페이스트 또는 포옴(foam)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것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에 적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그것은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샴푸 또는 컨디셔너 형태일 수도 있다.
이 조성물들은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은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분야에서 일반적인 보조제, 예컨대 유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료, 항산화제, 향제, 충전제, 일광차단제 및 착색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각종 보조제의 양은 화장용 및/또는 피부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예컨대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20 % 이다. 이 보조제는 그것의 성질에 따라, 지방상, 수성상 및/또는 지질 소포에 도입될 수 있다.
유화제로서, 원하는 최종 에멀션에 따라 유중수 (W/O) 또는 수중유 (O/W)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로서, 예를 들어 PEG-20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ICI 사 시판의 트윈(Tween) 6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ICI 사 시판의 스판(Span) 60) 및 PPG-3 미리스틸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유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조유화제(coemulsifier) 를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 내지 10 중량 % 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조유화제로서,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를 들 수 있다.
지질 소포의 분산액에서, 유화제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지질 소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오일로는,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해바라기유, 아프리코트 스톤 오일(apricot stone oil), 동물성 오일 (라놀린),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 (시클로메티콘) 및 플루오르화 오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를 들 수 있다. 지방 알콜 (스테아릴 알콜), 지방산 (스테아르산) 및 왁스를 상기 오일들에 첨가할 수 있다.
친수성 겔화제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천연 검 (잔탄) 및 점토를 들 수 있고, 친유성 겔화제로서는, 변성 점토, 예를 들어 벤톤, 지방산의 금속염,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및 소수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친수성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아미노산, 폴리올, 특히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우레아, 알란토인, 슈거 및 그것들의 유도체, 및 글리시르레틴산을 들 수 있다.
친유성 활성제로는, 토코페롤 (비타민 E) 및 그것의 유도체, 필수 지방산, 세라미드 및 필수 오일을 들 수 있다.
특히 UV 조사에 대한 보호성이 좋은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친유성 또는 친수성을 갖는 UV-차단제,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예컨대, 나노산화물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물론 당 기술 분야의 숙련가는 기대하는 효과, 특히 조성물의 탈색 효과를 간섭하는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조성물은 특히 얼굴, 손 또는 신체의 보호, 트리트먼트 또는 케어 크림, 보호 또는 케어 신체 유제, 케어 또는 트리트먼트 로션, 피부용 겔 또는 포옴, 클렌징 또는 소독 로션, 목욕 조성물, 파운데이션 및 칼라 크림을 구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조성물은 안료를 함유한다.
하기 조성물의 예는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이리스 팔리다(Iris pallida) 추출물의 제조 :
무균 조건 하에 생체 외 배양에 의해 수득된 이리스 팔리다의 미분화된 세포를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및 발효조에서 배양한 후, 50 ㎛ 체로 여과하여 회수한다. 이에 수득된 55 g 의 새로운 재료에 27.5 ml 의 탈염수를 첨가한다. 전체를 Turrax 에서 24,000 rpm 으로 1 분간 4 ℃ 에서 분쇄 (Potter, Ultra Turrax 등) 한다 (얼음조). 분쇄된 생성물을 4 ℃ 에서 15 내지 10,000 G 로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을 0.22 ㎛ 로 여과한다 (멸균 여과).
이에 제조된 추출물을 4 ℃ 에 저장한다. 그것은 리터 당 약 15 g 의 건조물을 함유한다. 수득된 추출물을 냉동 건조할 수 있다.
식물 재료가 전체 식물일 경우, 처리할 새로운 재료는 생체 외에서와 동일한 추출 조건 하가 될 수 있도록 건조 중량의 기능으로 표현된다. 식물의 각종 부분을 그것의 각 부분의 상대 중량에 따라 제거한다. 저온 처리로써, 효소 활성을 냉동시킬 수 있고, 멸균 여과는 주위 미생물에 의한 활성제의 분해를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물 부형제는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조제를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2
탈색 로션
성분 %
실시예 1 의 냉동 건조된 추출물 2.00
카프릴로일살리실산 2.00
에탄올 48.00
9.40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8) 38.50
보존료 0.10
실시예 3
탈색 겔
성분 %
실시예 1 의 냉동 건조된 추출물 2.00
카프릴로일살리실산 2.00
에탄올 45.50
9.00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8) 36.40
보존료 0.10
겔화제 (폴리아크릴아미드 + C13-14이소파라핀 + 라우레트-7) 5.00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페놀 유도체의 조합물 및 그것의 화장용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합 생성물 :
    [화학식 I]
    [식 중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산 라디칼을 나타내고,
    R2은 수소 원자, 화학식 -NHCOCH3의 라디칼 및 화학식 -COR3(식 중, R3은 직쇄, 측쇄 또는 고리의 포화 지방족 사슬, 하나 이상의 공액 또는 비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사슬로서, 탄소수 2 내지 22 의, 할로겐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유리 형태 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산이나, 그와 달리 카르복실 관능기로 에스테르화되거나, 유리 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저급 알콜로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사슬임) 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원자 또는 라디칼을 나타내며,
    단, R1이 수소 원자를 나타낼 경우, R2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 않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페놀 유도체가 R1이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가 라디칼 -NHCOCH3을 나타내는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생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페놀 유도체가 R1이 산 라디칼을 나타내고, R2가 화학식 -COR3의 라디칼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생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페놀 유도체가 파라세타몰, 살리실산 및 살리실산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생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살리실산 유도체가 5-(n-옥타노일)살리실산, 5-(n-데카노일)살리실산 및 5-(n-도데카노일)살리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이 로물레아(Romulea), 크로커스(Crocus), 붓꽃(Iris), 글라디올러스(Gladiolus), 시시린키움(Sisyrinchium) 또는 헤르모다크틸러스(Hermodactylus) 로부터 선택된 속 붓꽃과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붓꽃(Iris)으로부터 수득된 식물 재료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이리스 팔리다(Iris pallida)로부터 수득된 식물 재료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조합물 및 화장용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국소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페놀 유도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 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붓꽃과 식물의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2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 의 건조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화장용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서 또는 제조하기 위한,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 및/또는 탈색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생성물의 용도.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화장용 조성물을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또는 그것의 표면 신체 생장물을 라이트닝 또는 탈색하기 위한 화장 방법.
KR1019997007949A 1997-03-03 1998-03-02 피부 및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00075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2504A FR2760191B1 (fr) 1997-03-03 1997-03-03 Association de derives du phenol et d'un extrait d'iridacees pour la depigmentation de la peau ou de ses phaneres et composition la comprenant
FR97/02,504 1997-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870A true KR20000075870A (ko) 2000-12-26

Family

ID=950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949A KR20000075870A (ko) 1997-03-03 1998-03-02 피부 및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19017B1 (ko)
JP (1) JP2000510165A (ko)
KR (1) KR20000075870A (ko)
CN (1) CN1138523C (ko)
AU (1) AU6736098A (ko)
DE (1) DE69809080T2 (ko)
ES (1) ES2187011T3 (ko)
FR (1) FR2760191B1 (ko)
WO (1) WO19980389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45B1 (ko) * 2008-12-19 2012-05-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라디올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3027274A1 (ko) *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1353B1 (ko) * 2023-03-14 2024-03-26 (주)프로유화장품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2607B1 (fr) * 1997-12-19 2000-02-04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amides d'amino phenol comme agents depigmentants
JP4698810B2 (ja) * 2000-10-13 2011-06-0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
BR112020024706B1 (pt) * 2018-07-31 2023-04-04 L'oreal Composição de proteção solar, uso de uma composição e processo de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811A (ja) * 1984-02-25 1985-09-12 Matsuda Iyakuhin Kk 粉末ガイヨウを含む生薬配合入浴剤の製造方法
ATE171616T1 (de) * 1992-05-15 1998-10-15 Shiseido Co Ltd Äusserliches hautpräparat
JP3605420B2 (ja) * 1993-07-14 2004-12-22 三省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FR2730408B1 (fr) * 1995-02-09 1997-09-05 Hanna Claude Compositions a activite depigmentante ainsi que leurs applications
FR2732594B1 (fr) * 1995-04-07 1997-06-06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acide salicylique pour la depigmentation de la peau
JPH08301758A (ja) * 1995-04-28 1996-11-1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3481386B2 (ja) * 1995-05-17 2003-12-22 株式会社資生堂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9301883A (ja) * 1996-05-15 1997-11-25 Ichimaru Pharcos Co Ltd ヒオウギ抽出物とα−ヒドロキシ酸を含有する細胞賦活剤とその応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45B1 (ko) * 2008-12-19 2012-05-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라디올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3027274A1 (ko) *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1353B1 (ko) * 2023-03-14 2024-03-26 (주)프로유화장품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0191B1 (fr) 1999-05-14
CN1138523C (zh) 2004-02-18
AU6736098A (en) 1998-09-22
FR2760191A1 (fr) 1998-09-04
JP2000510165A (ja) 2000-08-08
DE69809080D1 (de) 2002-12-05
DE69809080T2 (de) 2003-11-20
EP1019017A1 (fr) 2000-07-19
EP1019017B1 (fr) 2002-10-30
CN1253495A (zh) 2000-05-17
WO1998038978A1 (fr) 1998-09-11
ES2187011T3 (es)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096B1 (ko) 하나 이상의 뽕나무 추출물, 하나 이상의 골무꽃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US8231916B2 (en) Use of a rice protein hydrolysate as pigmenting active principle
JP2005537332A (ja) 新規ノルアポルフィン誘導体
RU2197945C2 (ru) ПРИМЕНЕНИ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ЭКСТРАКТА РАСТЕНИЯ ИЗ РОДА Chrysanthemum ДЛЯ СТИМУЛЯЦИИ ПИГМЕНТАЦИИ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KR101735996B1 (ko) 레스베라트릴 트리글리콜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6956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114493A (ko) 황칠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00075870A (ko) 피부 및 표면 신체 생장물의 라이트닝을 위한, 페놀 유도체 및 붓꽃과 식물계의 추출물의 조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203504B1 (ko) 비단나무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04677B1 (ko) 밤송이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554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781069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740373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114629A (ja) 化粧料
KR102017078B1 (ko) 매실을 이용한 복령 균사체 배양액 추출물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089B1 (ko) 산하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2870A (ko)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1070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107614B1 (ko) 제비꽃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1068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20220169835A (ko) 크산토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4959103B2 (ja) 美白剤及び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