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870A -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870A
KR20120002870A KR1020100063599A KR20100063599A KR20120002870A KR 20120002870 A KR20120002870 A KR 20120002870A KR 1020100063599 A KR1020100063599 A KR 1020100063599A KR 20100063599 A KR20100063599 A KR 20100063599A KR 20120002870 A KR20120002870 A KR 2012000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lcium
skin
lo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김영희
한창성
김진국
박선희
김건용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0006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870A/ko
Publication of KR2012000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칼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슘나무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으며, 이러한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도 탁월하다. 따라서 미백 및 항노화 효능을 갖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사용이 기대된다.

Description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anti-ag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Semen Pruni Humilis}
본 발명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칼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미, 주근깨 등 피부에 생기는 색소 침착은 표피 내 멜라닌의 증가에 기인하고,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도 멜라닌에 의한 것이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좀이라는 소기관에서 만들어진다. 즉, 자외선에 의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유사분열이 일어나고, 이어서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에서는 티로시나제의 합성이 촉진되고 멜라닌의 생성이 항진되어 이를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하게 된다 [V. J. Hearing and M. Jimenez., Int. J. Biochem, 19(20), p.1141, 1987; I. Koiso., Fragrance J. 6, p.39, 1990].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멜라닌은 알칼리 난용성의 흑색 멜라린(뉴멜라닌)과 알칼리 가용성의 황색 내지는 적색 멜라닌(페오멜라닌)의 혼합물이다 [Y. Tomita., Fragrance J, 6, p.20, 1990]. 일반적으로 멜라닌 중합체라고 하면 뉴멜라닌을 지칭할 때가 많으며, Prota[G. Prota., J. Invest. Dermatol., 75, p.122, 1980]와 Pavel[S. Pavel et al.,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6, p.311, 1983] 등의 연구에 의해 뉴멜라닌은 이제껏 생각되어 왔던 5,6-디하이드록시인돌(5,6-dihydroxyindole)뿐만 아니라, 별개의 멜라닌 단량체인 5,6-디하이드록시인돌-2-카르보산(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이나, 각종 멜라닌 중간 대사산물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을 알았다. 멜라노좀 내에 있어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은 티로신이 효소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 → 도파퀴논 → 도파크롬 → 5,6-디하이드록시인돌 → 인돌-5,6-퀴논이 되고, 이어서 인돌-5,6-퀴논의 중합에 의해 멜라닌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티로신-도파퀴논까지는 효소 티로시나제가 관여하고, 그 이후는 자동산화의 기여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일광욕 등에서 생기는 색소침착 즉, 흑화현상은 태양광선 중의 자외선에의해 멜라닌 생성이 증가한 결과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분명히 밝혀져 있는 멜라노사이트 내에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억제의 작용기전을 살펴보면, 멜라노사이트에 대한 세포독성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 및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의 두 가지로 대별된다. 최근에 발표된 사실에 의하면 티로시나제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제-릴레이티드 프로테인 1(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및 티로시나제-릴레이티드 프로테인 2(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Dopachrome tautomerase)에 의해서도 멜라닌이 생성된다는 것이 새로이 밝혀져, 이것들 역시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바, 이러한 효소들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도 피부색소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Marmol. V. et al., FEBS letter, 327, p.307, 1993; Winder A. J. et al., Pigment Cell Research, 7, p.305. 1994].
피부의 노화는 주름 증가와 탄력감소, 색소 침착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노화의 현상은 바로 주름이다. 이러한 주름을 생성하게 하는 피부의 노화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인 내적 요인 및 외적 요인으로 인한 노화이다.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 스트레스, 세포 활성의 저하 및 돌연변이화, 세포대사 불균형 등이다 [Peter T., et al., Physiology of the Skin,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p.61-72]. 피부의 구조에 따라 주름 발생 원인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피부는 크게 표피와 진피로 나뉜다. 표피에서의 주름 생성 원인으로는 각질 형성 세포의 턴-오버(turn-over)의 감소로 각질층의 누적과, 이로 인해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각질층의 수분 함유 능력이 감소되고, 각질이 경화되어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위는 표피세포 지지, 부착, 영양물질의 이동, 표피 분화의 조절 등에 관여하는데, 각종 노화 요인으로 특히, UV로 인해 콜라겐 Ⅳ, Ⅶ이 감소되어 표피, 진피 지지기능이 감소되고, 선별 투과 기능이 약화되어 해로운 성분이 쉽게 진피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주름이 생성된다 [Keene, J. Cell Biol, 104, p.611-621, 1987]. 피부의 제일 바깥부분인 표피층은 진피층으로부터 생성되며,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으로 구성된다. 피부에 윤택을 주고 탄력을 주는 것은 진피층의 상기 두성분인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제와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가 활성화되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Herrmann G.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07(3), p.92, 1996; Brenneisen P. et al.,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64(5), p.649, 1996].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해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탕성이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인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 즉, 자외선, 방사선, 배기가스, 담배연기,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 요인과 체내의 미토콘드리아 및 백혈구의 대사과정에 의해서 생성되어, 다단계의 연쇄반응을 통해서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피부 노화와 관련 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 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단일상태의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일어나는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aldehyde) 및 에폭사이드(epoxide)의 다양한 활성 산소 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 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 산소 종들은 암, 조직 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Black HS, Photochemphotobiol, 46(2), p.213, 1987]. 예컨대, 세포를 구성하는 막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 효소의 누출, 막 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 가교결합 생성,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들 반응 중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이 피부 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기성 생물체들은 이러한 산화제의 생성과 지질 과산화를 막기 위한 보호 기구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구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Vitamin E), β-카로틴(beta-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 항노화 물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여 개발되었다. ① 피부에 수분 공급, ② 항산화 효능, ③ 피부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④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주름의 생성 및 탄력 손실을 가속화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와 엘라스타아제의 활성 억제, ⑤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의 촉진 등이다. 이에,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자유라디칼형 산소 또는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당성하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으나, 화장료에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는 하는 경우, 안전성(safety), 안정성(stability) 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미백 및 항주름 효능이 있는 물질을 찾고자 여러 천연물질들 중에서 미백 및 항노화 효과에 유효한 물질을 스크리닝한 결과, 칼슘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배합 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우수한 미백 및 항노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미백 및 항노화의 효능이 우수하고, 안전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식물성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효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Semen Pruni Humi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칼슘나무(Semen Pruni Humilis)는 쌍떡잎식물 장미과의 식물로 가뭄 추위에 강하고 척박한 땅에도 잘 자라고 자연환경에 잘 적응한다. 유럽의 야생 자두나무로부터 육성된 품종으로써 높이 약 0.5 ~ 1 m의 낙엽활엽 관목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짙은 초록빛으로서 윤이 나고 가장자리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선모(腺毛)가 있다. 꽃은 양성화로서 4 ~ 5월에 피는데, 흰 바탕에 검은 점이 있으며, 가지와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7 ~ 9월에 익는 앵두보다 약간 큰 크기의 선홍색 열매(6 ~ 15 g)는 자두와 비슷한 맛을 지니며, 과즙이 많고 풍미가 매우 좋아 먹기에 좋다. 영하 40도에서 월동 가능하며, 토양은 pH 7.0 ~ 7.5가 이상적이며, pH 8.0에서도 가능하며 퇴경지에 적당한 나무이다. 가뭄에 강하고 강수량이 350 mm이하에서도 생장하고 개화가 가능하다. 중국 북부 0 ~ 10 도 기온이 연 800 시간 이상인 곳에서는 생장 및 개화가 가능하다. 맹아력이 강하고, 병해충이 거의 없으며, 토양을 크게 가리지 않아 재배하기가 쉽다. 섭취 0 ~ 10 도 기온이 연 800 시간 이상인 곳은 생화와 개화가 가능하다. 중국의 흑룡강, 길림, 요녕, 내목고, 하북, 산동에 분포한다. 칼슘나무의 열매는 영양의 보고로서, 열매 100 g당 활성 칼슘 60 mg, 비타민 C 47 mg, 철분 1.5 mg, 17종의 아미노산400 mg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 미량요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최근 의학계에 높은 관심을 모으는 품종이다.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칼슘나무의 전초, 열매, 잎, 가지, 뿌리 또는 이들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종래 알려진 어떠한 추출방법으로 추출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용매 증발을 차단한 상태에서 50 내지 95 ℃, 1 내지 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 ℃에서 1 내지 15 일간 침적시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 중량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칼슘나무 추출물 무게의 1 ~ 2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5 ~ 40 ℃에서 1 ~ 15 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치한 상태에서 50 ~ 95 ℃에서 1 ~ 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과액 및 고형분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칼슘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피부 멜라닌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율속단계 효소인 머쉬룸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저해시켰으며, 또한 멜라노마 세포에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합성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멜라닌의 과다생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멜라닌 과다생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질환 예컨대,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을 예방하여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며, 특히 실시예 1에 의한 칼슘나무 추출물은 항노화 효과를 갖는 빈랑자 추출물(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억제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피부미백 효과뿐만 아니라, 노화 방지 효과도 함께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형들은 당업계에 종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 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 나트륨, 아르긴산 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무방하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 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칼슘나무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으며, 이러한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칼슘나무 추출물이 멜라닌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백 및 항노화 효능을 갖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사용이 기대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1)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열매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실온에서 3일 이상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킴으로써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13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2)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열매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추출(80 ~ 90 ℃)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킴으로써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19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3)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열매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50 ℃로 6 시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18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4)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열매 1 k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어내었다. 먼저, 분쇄한 칼슘나무 열매 분말 1 kg을 반응기에 충진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력 400 bar, 60 ℃의 조건으로 반응기에 유입시켰다. 이때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예열기(pre heater) 및 저장기(reservoir)에 저장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추출반응기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100 ~ 120 ml/min의 속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상온, 상압 상태에서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여 최종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5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내지 10.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5 ~ 10)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득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Figure pat00001

실시예 11.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1)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전초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실온에서 3일 이상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 12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2)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전초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추출(80 ~ 90 ℃)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 179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3)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전초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50 ℃로 6 시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 17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4)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전초 1 k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어내었다. 먼저, 분쇄한 칼슘나무 전초 분말 1 kg을 반응기에 충진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력 400 bar, 60 ℃의 조건으로 반응기에 유입시켰다. 이때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예열기(pre heater) 및 저장기(reservoir)에 저장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추출반응기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100 ~ 120 ml/min의 속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상온, 상압 상태에서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여 최종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 5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내지 20.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5 ~ 10)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득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 칼슘나무 전초 추출물]
Figure pat00002

실시예 21. 칼슘나무 잎 추출물(1)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잎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실온에서 3일 이상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잎 추출물 9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칼슘나무 잎 추출물(2)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잎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추출(80 ~ 90 ℃)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잎 추출물 136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3. 칼슘나무 잎 추출물(3)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잎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50 ℃로 6 시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잎 추출물 126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4. 칼슘나무 잎 추출물(4)의 제조
건조한 칼슘나무 잎 1 k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어내었다. 먼저, 분쇄한 칼슘나무 잎 분말 1 kg을 반응기에 충진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력 400 bar, 60 ℃의 조건으로 반응기에 유입시켰다. 이때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예열기(pre heater) 및 저장기(reservoir)에 저장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추출반응기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100 ~ 120 ml/min 의 속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상온, 상압 상태에서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여 최종 칼슘나무 잎 추출물 48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5 내지 30. 칼슘나무 잎 추출물(5 ~ 10)의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낸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득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칼슘나무 잎 추출물]
Figure pat00003

실시예 31.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1)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줄기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실온에서 3일 이상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 106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2)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줄기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추출(80 ~ 90 ℃)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 156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3)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줄기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50 ℃로 6 시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 14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4.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4)의 제조
건조한 칼슘나무 줄기 1 k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어내었다. 먼저, 분쇄한 칼슘나무 줄기 분말 1 kg을 반응기에 충진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력 400 bar, 60 ℃의 조건으로 반응기에 유입시켰다. 이때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예열기(pre heater) 및 저장기(reservoir)에 저장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추출반응기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100 ~ 120 ml/min 의 속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상온, 상압 상태에서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여 최종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 6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5 내지 40.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5 ~ 10)의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득량은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4. 칼슘나무 줄기 추출물]
Figure pat00004

실시예 41.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1)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뿌리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실온에서 3일 이상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 13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2.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2)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뿌리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추출(80 ~ 90 ℃)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 17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3.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3)의 제조
건조된 칼슘나무 줄기 1 kg을 70 % 에탄올 10 kg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50 ℃로 6 시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 15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4.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4)의 제조
건조한 칼슘나무 뿌리 1 k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어내었다. 먼저, 분쇄한 칼슘나무 뿌리 분말 1 kg을 반응기에 충진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력 400 bar, 60 ℃의 조건으로 반응기에 유입시켰다. 이때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예열기(pre heater) 및 저장기(reservoir)에 저장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추출반응기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100 ~ 120 ml/min 의 속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상온, 상압 상태에서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여 최종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 5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5 내지 50.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5 ~ 10)의 제조
하기 표 5에 나타낸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의 수득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5. 칼슘나무 뿌리 추출물]
Figure pat00005

실시예 51. 칼슘나무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의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부터 수득한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1) 10 g을 정제수 100 g에 용해시킨 후, 헥산 100 g을 가하여 잘 혼합한 뒤, 방치하여 층 분리시키고 헥산층을 얻어내었다. 상기의 헥산 분획 조작을 2회 추가 반복한 후, 얻어낸 헥산층을 감압농축하여 칼슘나무 추출물 헥산 분획물 0.8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2. 칼슘나무 추출물의 초산에틸 분획물의 제조
실시예 51에서 헥산층을 층 분리로 분획하고 남은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층에, 초산에틸 100 g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방치하여 층 분리시키고 초산에틸층을 얻어내었다. 상기의 초산에틸 분획 조작을 2회 추가 반복한 후, 얻어낸 초산에틸층을 감압농축하여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초산에틸 분획물 1.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3. 칼슘나무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의 제조
실시예 52에서 초산에틸층을 층 분리로 분획하고 남은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층에, 포화부탄올 100 g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방치하여 층 분리시키고 부탄올층을 얻어내었다. 상기의 부탄올 분획 조작을 2회 추가 반복한 후, 얻어낸 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부탄올 분획물 4.7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4. 칼슘나무 추출물의 정제수 분획물의 제조
실시예 53에서 부탄올층을 층 분리로 분획하고 남은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층을 감압농축하여 칼슘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 분획물 3.0 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에 대한 타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의 저해활성은 일반적으로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한다. 본 실험에서는 바니 등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Vanni A. e al., Annali di Chimica, 80(35), 1990].
티로시나제는 감자나 버섯으로부터 정제되는 효소로서, 본 실험에서는 버섯류로부터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pH 6.8) 1.0 ml, 0.3 mg/ml L-티로신 수용액 1.0 ml 및 1250 unit/ml 머쉬룸 티로시나제 0.1 ml(Sigma, USA)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 용액에 각 실시예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각각 0.2 ml씩 첨가하여 37 ℃에서 10 분간 효소 반응 시켰다. 이후, 반응용액의 흡광도(JASCO V-550, JAPAN)를 480 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실험군들의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알부틴(바이오랜드 사, KOREA) 0.2 ml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의 대조군으로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칼슘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시료들의 티로시나제 억제율이 양성대조군인 알부틴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더 높은 억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67.23 %의 티로시나제 억제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1>
티로시나제 억제율 (%) = [(A-B)/A] × 100
(A :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80 nm에서의 흡광도,
B :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용액의 480 nm에서의 흡광도)
[표 6. 머쉬룸 티로시나제 억제율]
Figure pat00006

실험예 2.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B16-F1 멜라노마 세포(CRL-6323, ATCC)의 세포 생존율을 MTT 실험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10 % FBS(Fetal bovine serum, Gibco)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에 1×105 세포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Nunc)에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 CO2, 37 ℃로 배양하였다. 이후, 10 % FBS가 함유된 새로운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각 실시예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0.25 mg/ml의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용액 2 ml을 처리하여 37 ℃에서 4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MTT 용액을 제거한 세포에 DMSO(dimethylsulfoxide) 2 ml을 첨가하여 MTT 포르마잔(formazan)을 용해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여 실험군들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알부틴(바이오랜드 사,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의 대조군으로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액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각 실험군들의 세포 생존율이 1000 %에 근접하는바,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2>
세포 생존율 (%) = 흡광도 570(실험군) / 흡광도 570(대조군) × 100
[표 7. 세포 생존율]
Figure pat00007

실험예 3.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melanogenesis) 저해 효과를 푸쿠다[Fukuda et al., J. Soc. Cosmetic Chem, 42(361), 1991]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모든 농도에 따른 웰 수는 3 배수로 준비하였다.
먼저,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10 % FBS 첨가한 DMEM에 1×105 세포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Nunc)에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 CO2, 37 ℃로 배양하였다. 이후, 10 % FBS가 함유된 새로운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각 실시예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배지를 제거시키고,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 saline) 2 ml로 세척한 후, 1 N NaOH 0.5 ml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1.5 ml 튜브에 수거하여 세포내 멜라닌을 얻어내었다. 수거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일정 단백질당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100 μg/ml 농도의 알부틴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의 대조군으로는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반응액을 사용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칼슘나무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10 μg/ml의 작은 양으로도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양성대조군)과 비교해보아도, 추출물 양의 10 배에 해당하는 알부틴 100 μg/ml을 첨가했을 때와 동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수학식 3>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 = [1-MCa/CVa] × 100
(CVa : 추출물을 처리한 반응용액의 세포 생존율
MCa : [(A-B)/A]×100
A :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50 nm에서의 흡광도
B :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용액의 450 nm에서의 흡광도)
[표 8.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Figure pat00008

실험예 4. 엘레스타제 ( Elastase ) 억제 효과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James A.E.K., Timothy D.W. and Gordon L., Biochemistry, 35, p.9090-9096, 1996].
먼저, 0.267 M 트리스 용액은 pH 8.0이 되도록 0.237 M 염산(HCl) 용액으로 조정하여 완충액을 제조하고, 엘라스타제 기질은 Succ-Ala-Ala-p-nitroanilide 표준품을 8.8 mM 농도로 하여 기질액을 제조하였으며,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을 10 μg/ml하여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 대신 정제수 100 μl로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공시험액으로 하여 흡광도 A를 측정하고, 효소액 및 검액 대신 정제수 120 μl를 넣어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색 보정액으로 하여 흡광도 D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완충액 60 μl에 기질액 20 μl와 각 실시예의 칼슘나무 추출물 100 μl를 넣어 혼합한 뒤, 효소액 20 μl를 넣어 흔들어 섞고 25 ℃에서 15 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p-니트로아닐린의 생성량을 410 nm에서 흡광도 B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완충액 60 μl에 기질액 20 μl과 정제수 20 μl, 각 실시예의 칼슘나무 추출물 100 μl를 넣어 혼합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 C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항노화 효과가 알려진 빈랑자 추출물(바이오랜드, Korea)을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하기 수학식 4로 계산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모두에서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1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인 빈랑자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의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항노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수학식 4>
엘라스타제 저해율 (%) = [1-{(B-C)/(A-D)}] × 100
[표 9. 엘라스타제 억제율]
Figure pat00009

실험예 5. MMP -1 mRNA 발현 저해 효과
피부내의 콜라겐 붕괴를 촉진하는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Mtrix Metallo-Proteinase)-1는 UVA에 의해 발현이 촉진된다.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의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를 보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다.
먼저, 섬유아세포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트리졸(Trizol. Invitrogen, USA) 1 ml을 첨가하여 인비트로젠 사의 RNA 분리법에 따라 분리하였다. 그 후,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260 nm에서 RNA 양을 정량한 후, 역전사 중합 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역전사 중합 반응은 올인원 역전사 중합 반응 키트(All-in-one RT-PCR kit, SuperBio, Korea)를 사용하였으며, 프라이머와 반응조건은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상기 올인원 역전사 중합 반응 키트의 매뉴얼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으로는 항노화 효과가 알려진 EGCG를 사용하였다. MMP-1 발현 억제 효과에 대한 측정 결과는 액틴에 대해 보정을 하여 표 11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모두에서 MMP-1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1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UVA에 의해 유도된 MMP-1의 활성을 대조군(EGCG) 수준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은 항노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표 10. 프라이머 및 반응조건]
Figure pat00010

[표 11. MMP-1 발현 억제]
Figure pat00011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을 하기 표 12에 기재된 배합성분으로 제조하여 임상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제형예 1은 칼슘나무 추출물 대신 동량의 1,3-부틸렌글리콜을 더 추가하여 첨가하였다.
[표 12.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
Figure pat00012

임상 실험예 1.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미백에 대한 칼슘나무 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피부를 가진 19 ~ 22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인공색소 침착을 유도한 뒤, 이중맹검법과 무작위화된 인체시험 방법을 적용하여 6 주간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시험 제형을 사용하게 한 후, 칼슘나무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1-1. 육안 평가
제형 사용 전과 사용 1주, 2주, 4주, 6주 후 시점에서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 ~ 7 점 척도를 사용하여 2 명의 관찰자가 평가하였다 (표 13). 시험군과 대조군을 시점 별로 반복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반복 측정 분산분석법을 적용하여 군간, 시점별 차이를 검정하였다(p<0.05).
피부 미백에 대한 육안 평가 실험 결과,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슘나무 추출물의 첨가된 제형을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표 13. 관찰자에 의한 피부 미백 육안 평가]
Figure pat00013

1-2. 색차계를 이용한 멜라닌 지수 측정
색차계(MPA-580)를 이용하여 시험군과 대조군의 제형 사용전과 사용 1주, 2주, 4주, 6주 후 시점에서 멜라닌 지수 측정을 통해 피부색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멜라닌 지수는 각 시점별로 평가한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각 시점별 멜라닌 지수 분석 결과, 칼슘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을 사용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지수가 감소되었다.
[표 14. 멜라닌 지수]
Figure pat00014

임상 실험예 2. 주름 깊이 감소에 의한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
피부 주름에 대한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형예 1을 여성 20 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왼쪽 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세안 후 아침, 저녁 두 번 적용하였다. 그리고, 비교제형예 1(대조군)은 오른쪽 눈 가장자리에 적용하였다. 적용 15 일, 30 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주름 깊이를 피부탄력도 측정기(Cutometer SEM 47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피부탄력도 측정기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비교제형예 1)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 명의 평균값을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을 처리한 군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탄력성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5. 피부 탄력도 효과]
Figure pat00015

임상 시험예 3. 피부상태 개선 효과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에 대한 피부도포시 피부상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36 ~ 69 세의 건강한 여성층으로서 30 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안면 왼쪽 부분에는 제형예 1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제형예 1(대조군)을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피부에 1 일 2회 4 주간 도포한 후, 피부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상태 평가는 (1) 피부의 탄력 및 늘어짐에 대한 개선 효과 및 (2) 주름, 잔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에 관해서 평점(표 16)으로 판정하였으며, 30 명의 평균점으로 평가한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을 처리한 군에서는 피부의 탄력 및 늘어짐에 대한 개선 효과와 주름 및 잔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 모두에서 비교제형에 1을 사용한 군과 비교하여 훨씬 뛰어난 피부 개선 효과를 보였다.
[표 16. 피부상태 평가 평점]
Figure pat00016

[표 17. 피부상태 개선 효과]
Figure pat00017

제제예 1. 유연화장수( 스킨 )의 제조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스킨)의 제제는 다음 표 18과 같다.
[표 18. 유연화장수(스킨)]
Figure pat00018

제제예 2. 밀크로션의 제조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밀크로션의 제제는 다음 표 19와 같다.
[표 19. 밀크로션]
Figure pat00019

제제예 3. 영양 크림의 제조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제제는 다음 표 20과 같다.
[표 20. 영양 크림]
Figure pat00020

제제예 4. 마사지 크림의 제조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마사지 크림의 제제는 다음 표 21과 같다.
[표 21. 마사지 크림]
Figure pat00021

Claims (7)

  1.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Semen Pruni Humi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나무 추출물은 칼슘나무의 전초, 열매, 잎, 가지, 뿌리 또는 이들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나무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용매 증발을 차단한 상태에서 50 내지 95 ℃, 1 내지 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 ℃에서 1 내지 15 일간 침적시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 중량으로서 0.01 내지 10 중량 %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 제형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63599A 2010-07-01 2010-07-01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2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599A KR20120002870A (ko) 2010-07-01 2010-07-01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599A KR20120002870A (ko) 2010-07-01 2010-07-01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70A true KR20120002870A (ko) 2012-01-09

Family

ID=4561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599A KR20120002870A (ko) 2010-07-01 2010-07-01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8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21A1 (ko) * 2015-12-07 2017-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욱리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85156A (zh) * 2017-05-04 2018-11-13 李卫东 一种欧李果汁的新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21A1 (ko) * 2015-12-07 2017-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욱리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85156A (zh) * 2017-05-04 2018-11-13 李卫东 一种欧李果汁的新用途
CN108785156B (zh) * 2017-05-04 2021-07-23 李卫东 一种欧李果汁的新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80004367A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246578B2 (ja) 皮膚化粧料
JP6754166B2 (ja) 化粧料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2870A (ko)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6375087B2 (ja) 化粧料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5395B1 (ko) 굴피나무의 수피, 심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4018B1 (ko) 모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0624B1 (ko) 모시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0527A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8984A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110032670A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60004593A (ko) 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8852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KR20150045010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