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023A -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페기용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페기용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023A
KR20000071023A KR1019997007289A KR19997007289A KR20000071023A KR 20000071023 A KR20000071023 A KR 20000071023A KR 1019997007289 A KR1019997007289 A KR 1019997007289A KR 19997007289 A KR19997007289 A KR 19997007289A KR 20000071023 A KR20000071023 A KR 20000071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locking
latching
la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973B1 (ko
Inventor
존 필립 체발리어
Original Assignee
존 필립 체발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필립 체발리어 filed Critical 존 필립 체발리어
Publication of KR2000007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6Locking several wings simultaneously
    • E05B77/48Locking several wings simultaneously by electr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를 해체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해제 위치에서 해체하하는 형상의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위치로 래치볼트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록킹매커니즘과; 상기 록킹매커니즘을 도어핸들과 같은 래치를 개방하는 수동식 외부 제어기에 연결하는 수단과; 상기 록킹매커니즘을 래칭하거나 래칭해제 및/또는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위치나 래칭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 작동용 록킹매커니즘 및/또는 래치볼트에 결합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전기구동 모터에 결합하는 회전식 클러치; 래치를 개방하는 수동식 외부 제어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및 록킹기구가 구동수단과 차단되도록 상기 수동식 외부 제어기에 결합되는 클러치 해체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페기용 래치 장치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전자 중앙 록킹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중 전형적인 시스템의 예가 GB-A-216748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보다 향상된 시스템은 본 출원인의 PCT 공개공보 WO 97/2833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차량 도어, 그리고 조명과 같은 다른 차량 기능들 중에서, 뒷문, 본네트, 가솔린 뚜껑 등과 같은 다른 폐쇄물의 록킹 및 해제를 중앙 제어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도어를 위한 외부 키이 메카니즘 및 내부 도어 록킹 노브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록킹 메카니즘과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내부 및 외부 도어 핸들은 이러한 록킹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불능 또는 중립 상태에 있게 된다.
차량 도어 래치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WO 97/19242호 "래치 및 래치 액츄에이터 장치", WO 97/19243호 "자동차 도어에 적합한 래치 장치", 및 WO 97/28337호 "래치 액츄에이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래치 내부에 결합되고 중앙 록킹 장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어되는 전기 모터가 래치를 록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을 구동시킨다. EP-A-397966호(Roltra-Moreses Spa) 및 GB-A-2221719호(Kiekert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등과 같은 다른 특허 공보에 따라 제조된 도어 래치가 갖는 문제점은 크기, 중량 및 복잡성과 관련이 있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폐쇄된 도어의 폐쇄물을 완성시키도록 전기 모터를 사용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예를 들어 US-A-5423582호(Kiekert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래치를 해제시키고 도어를 개방하도록 전기 모터를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도 예를 들어 동력에 의한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개시하고 있는 EP-A-625625호(General Motors Corporation)로부터 공지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이들 종래의 시스템 중 어느 것도 전자 중앙 록킹 장치와 통합될 수 없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 중의 일부는 통합된 전기 중앙 록킹 및 전기 도어 개방 및/또는 폐쇄, 및 이들 모든 기능을 위한 공통의 전기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당업계의 기술을 실질적으로 진보시킨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및 뒷문 자물쇠와 같은 폐쇄물을 위한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록 단독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자동차용 전자 중앙 록킹 시스템에 실용적인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래치의 부품, 이러한 부품과 결합되는 시스템, 및 래치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 장치를 단순화시키고 보다 소형으로 만들어서 비용을 감소시키고 자동차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중앙 록킹된 자동차의 개략도.
도 2는 자동차 도어 및 프레임의 부분의 개략도.
도 3은 중앙 록킹 시스템 및 래치 장치 중 한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4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국제출원 제 WO 97/28338호의 도 1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자동차용 전기식 중앙 록킹 시스템의 개략 배선도.
도 5는 자동차용 래치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계적으로 피동되는 스위치 장치의 일측면도.
도 6은 도 5의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캠 조립체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회로의 개략 회로도.
도 8은 도 7에 상응하지만 도어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는 회로의 개략 회로도.
도 9는 전기 도어 개방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기 도어 개방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0의 변형으로서의 전기 도어 개방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3의 변형으로서의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또 다른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또 다른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8a는 전기 록킹과 통합된 도어 개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8b는 양방향 회전 구동 및 인덱싱 장치를 사용하는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동력에 의한 도어 개방은 물론,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를 위한 회전 구동 및 인덱싱 메카니즘을 갖춘 래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부품 중 두 개의 부분도.
도 21은 도 19의 부품 중 두 개의 단순도이지만, 모터 전동 장치가 변형된 단순도.
도 22는 도 16의 변형예와 같은,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또 다른 도어 개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전기적으로 록킹된, 자동차 도어에 적합한 하우징 내의 소형 래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두 개의 도어 핸들 메카니즘 및 내부 도어 노브를 갖춘 도어를 선택적으로 전기 록킹하기 위한 래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5의 래치 장치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 26a는 도 26의 장치를 우편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유형의 도어 핸들 레버를 도시하며, 자체 해제된 핸들 커플링 위치 쪽으로의 메카니즘의 작용이 작동되는 도어 핸들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단된 후에도 어떻게 해서 자동적으로 계속되는지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장치를 위한 회전 커플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유형의 래치 장치 내에 어린이 안전 장치를 자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공통의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통합식 전기 도어 개방 및 폐쇄, 및 중앙 록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래치 장치 내에 세 개의 독립적인 작용 기능을 위하여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네 개의 독립적인 작용 메카니즘을 위한 도 31의 장치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록킹 및 도어 개방의 독립 작용, 특히 뒷문 또는 트렁크 걸쇠에 사용하기 적합한 회전 색인 및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도 34는 도 25 및 26에 도시된 두개의 선형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 색인 및 구동 메커니즘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35는 도 25의 조립체 내에 이용가능한 작동 부재와 회전 구동 부재 사이에 실행가능한 탄성 커플링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6은 회전 구동 부재와 작동 부재 사이의 대한의 탄성 커플링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은 도 36의 조립체 내에서 사용이 적합한 대안의 탄성 커플링을 도시하고 있다.
도 38은 두개의 액츄에이터 및 회전 색인 및 구동 메커니즘 사이의 대안의 선택 커플링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9는 액츄에이터가 양쪽 방향 또는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키이 메카니즘의 회전 이동을 두개의 독립 액츄에이터의 선형 이동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0은 액츄에이터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도 39의 대안의 디스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 41은 액츄에이터의 단부를 도시한 도 39의 디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디스크에 대한 도 4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도 39 내지 도 42 내에 도시된 형태의 회전 출력 구동 디스크를 갖는 키이 메커니즘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4는 방사상 아암을 갖는 원형 키이 메커니즘의 회전 출력 스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4a는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도 44의 키이 메커니즘의 회전 출력측 사이의 하나의 커플링 형태를 한쌍의 선형 액츄에이터에 결합시키는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4b는 선형 액츄에이터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 44a에 대응하는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4c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선형 변환기와 키이 메커니즘의 회전 출력 구동부의 대안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5는 도 25 및 도 26의 다른 도면과 관련되어 기술된 임의의 래치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키이 메커니즘 및 내부 도어 노브용 이중 록킹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6은 게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단부 조립체를 갖는 평면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작동 플레이트, 및 이러한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7은 파손되지 않고 분해된 단일 하우징을 갖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래치 조립체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8은 단일 키이 메커니즘이 차량의 다른 부품 내에 두개의 독립 록킹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배열 가능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9는 도어 개폐 기구에 전기 구동용 클러치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0은 도 49 내에 도시된 클러치 기구의 클러치 작동 레버의 사시도이다.
제조시 조립에 필요한 래치 부품의 수의 감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목이 "차량 도어 래치 조립체"인 EP-A-743413호(Rockwell Light Vehicle System (UK) Limited)로부터 통상적으로 차량 도어 래치에는 매우 많은 수의 부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래치의 기계적인 작동과 이의 전기 모터 구동과의 상호 작용을 단순화시킴으로써 부품의 수를 크게 감소시킨다.
록킹 및 도어 개방 또는 폐쇄와 같은 모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동 시스템이 전기적인 고장 또는 장애의 경우에 상응하는 적절한 수동의 기계적 구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안전 측면에서 중요하다. 각각의 개별적인 발명은 완전하게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래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전기 구동 메카니즘의 동력 고장 또는 장애의 경우에도 도어 핸들에 의해 래치를 작동할 수 있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 구동 메카니즘을 위한 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1.1에 한정되어 있는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도어를 위한 이중 록킹 또는 소위 이중 자물쇠(deadlocking) 또는 "수퍼 록킹" 메카니즘이 공지되어 있다. 만일 도어가 키이 메카니즘 또는 전자 중앙 록킹에 의해 잠가진다면, 내부 도어 노브에 의해 해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어 노브에 의해서 잠겨진 경우에만 내부 도어 노브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2.1에 한정되어 있는 이중 록킹 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도어 래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뒷문 상의 어린이 안전 록크도 물론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록크는 래치 내부에 소형 레버를 포함하지만, 도어가 개방될 때에만 접근할 수 있거나 도어 래치로부터 내부 도어 핸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특별한 공구에 의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3.1에 한정되어 있는 래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전방에 있는 운전자의 콘솔이나 원격 소형 송신기에 의해서 그러한 메카니즘을 래치의 외부로부터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의 비용과 중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4.1의 발명에 따라서 다수의 래치를 하나의 키이 메카니즘에 연결시킴으로써 키이 메카니즘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의 차량용 도어 래치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부의 부품 및 장치의 부피를 크게 만드는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부품을 포함한다. 일례로 Kiekert의 미국특허 제 5,419,5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래치가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하고 케이블에 의해 도어 핸들에 연결되는 레버는 일반적으로 래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다. 본 출원인은 래치 멈춤쇠(때로는 "록킹 부재"로 기재됨)를 위한 공통의 회전축을 제공함으로써, 래치 장치를 단순화시키고 도어 핸들로 작동되는 레버를 래치 하우징에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멈춤쇠는 도어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를 해제시키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멈춤쇠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회전 연결 부재가 레버를 멈춤쇠로 해제시킨다. 이 발명은 청구의 범위 C.5.1에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 래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하우징에 부품들이 영구적으로 리벳 고정되어 있어서 도어 래치는 파괴하지 않고는 분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6.1에 따라서, 해제 가능하게 평행 플레이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갖춘 하우징을 구비한 래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록킹 및 해제를 위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부재와 결합하는 일부 도어 래치 장치에 있어서, 록킹 및 해제는 도어의 핸들 중의 하나가 잡아당겨질 때에는 일시적으로 차단되지만 일단 핸들이 해제되면 차단되지 못한다. 따라서, 록킹 및 해제를 위한 작동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을 반복할 필요 없이 핸들이 일단 해제되면 그러한 작동이 완전하게 연속적으로 완료되도록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7.1에 한정된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자동차용 키이 메카니즘은 예를 들어, 스핀들에 연결되어 있는 방사상 아암 또는 회전축 상의 스핀들에 의한,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소형이며 단순한 래치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록킹 및 해제를 위하여 래치 장치 내부의 적절한 선형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하여 그러한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8.1에 한정된 래치 장치를 포함한다.
도어 개방 및/또는 폐쇄를 위하여 및/또는 록킹 및 해제 또는 어린이 안전 록킹과 같은 다른 기능을 위하여, 래치 장치 내의 다양한 작동 부재에 전기 모터 드라이브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구동 액츄에이터 내의 구성과 회전식 인덱싱 메카니즘의 구성간이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식 인덱싱 메카니즘(rotary indexing mechanism)이 특히 유용함으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결의 탄력성은 작동이 인덱싱 메카니즘의 회전 단계에 걸쳐 일단 완료되면 인덱싱 메카니즘의 연속적인 회전이 액츄에이터를 통과하고, 장애를 예방한다. 또한, 위치 공차를 허용함으로써 기계적 배열을 단순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9.1에 한정된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의 일부는 전기 도어 개방, 즉 도어를 개방하도록 래치 메카니즘을 전기적으로 피동시켜 해제하는 것과 관련된다. 청구의 범위 C.10.1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통의 전기 모터의 제어 하에서 래치 장치의 도어 개방 메카니즘에 대한 도어 핸들의 내부 또는 외부의 선택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이것은 각각의 도어 핸들을 독립적으로 전기 제어함으로써 어린이 안전 록킹에 기계적인 제어를 사용할 필요성을 피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유익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C.10.1에 한정된 바와 같은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기존의 도어 래치 장치 중의 일부는 내부 도어 노브를 올릴 필요 없이 내부 도어 핸들의 작동에 의하여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는 소위, 갑작스런 도어의 개방에 대비하여 제공된다. 그리고, 도어는 외부 도어 핸들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탑승자에 의해서 차량의 외부에서 부주의하게 잠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적으로, 도어 래치는 차량이 운행 중에 있을 때는 해제되지만, 차량이 정치해 있거나 운행 중에 있을 때에도 잠겨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청구의 범위 C.11.1에 따른 본 발명은 소형이며 단순하게 설계된 래치 장치가 갑작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것은 공통의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적 도어 래치 해제(도어 개방)와 전기적 록킹의 결합이며, 이는 청구의 범위 C.12.1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청구의 범위 C.13.1의 발명은 동일한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전기적인 동력에 의한 도어의 폐쇄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래치 장치가 예를 들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내부 또는 외부 도어 핸들의 선택적인 전기 제어를 제공하며,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어린이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래치 장치는 도어 프레임 내에 고정식 스트라이커(striker)를 결합시키기 위한 래치 볼트, 및 이 래치 볼트를 체결하도록 래치 볼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래칭 멈춤쇠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기적 도어 개방은 래치 멈춤쇠를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래치 멈춤쇠 상에 직접 작용하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특히 이로운 장치를 발견하였으며, 이 장치는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기계 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은 청구의 범위 C.16.1에 한정되어 있다.
래치 멈춤쇠상에 직접 작용하는 회전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수동 도어 개방시 전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기 위한 다른 이로운 장치는 청구의 범위 C.17.1에 한정되어 있다.
전기적인 동력에 의한 도어의 폐쇄에는 래치 볼트에 드라이브를 인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자체의 완전한 폐쇄 위치로 도어를 잡아당기도록 고정 스트라이커를 끌어당긴다. 본 출원인은 전력을 받는 하에서 래치 볼트상에 작용하는 회전 액츄에이터를 갖는 특히 유리한 장치를 발견하였다. 이 장치는 청구의 범위 C.18.1에 한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도 도어의 개방, 즉 동일한 전기 드라이브를 제공하며, 동일 회전 액츄에이터가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래치 멈춤쇠를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회전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청구의 범위 C.18.1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선택적 도어 개방하며 래치 볼트상에 직접 작용하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청구의 범위 C.19.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모든 장치에 의하여, 어떠한 전기적 기능도 기계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즉, 독립적인 기계적 작동이 가능하다.
도어 래치 장치에 의하여 도어를 세게 닫았을 때에 도어가 우연히 잠겨질 위험이 있다. 이것은 하나의 도어의 록킹이 모든 도어의 록킹에 연결되는 전기식 중앙 록킹 장치에 있어서 특히 불리하다. 기존의 안티-슬램 장치(anti-slam locking arrangement)는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므로, 청구의 범위 C.20.1에 따른 발명의 목적은 소형성 및 단순성의 이점을 지닌 안티-슬램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래치 장치 내에 왕복 활주식 커플링 부재를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청구의 범위 C.21.1의 발명에 따라서, 안티-슬램 래칭은 장치가 걸려있지 않든지 도어가 개방되어 있든지 간에 래치 장치 내에서의 액츄에이터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상이하게 달성된다. 래치 장치는 자체 해제 배치에 있을 때에만 커플링 액츄에이터와 협력하는 고정된 구성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인 케이블이 래치 장치를 도어 핸들 과 키이 메카니즘 등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케이블 단부를 액츄에이터 아암에 연결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수단은 케이블 단부에 원통형 니플을 맞물리게 하는 아암 상의 특별한 구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케이블 니플을 보유하기 위한 특별히 주조된 액츄에이터 아암을 제공할 필요가 없음을 발견하였으며, 청구의 범위 C.22.1의 발명에 의해 단순한 평판 모재를 사용하여 적절한 액츄에이터 아암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재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는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면서 니플을 수용 및 유지하기에 적절한 구성을 형성하도록 접혀진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지만, 이들은 단지 예에 불과할 뿐이다. 도면 내의 공통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중심 록킹부를 갖는 차량
도 1 및 도 2는 차량 도어 및 다른 밀폐물을 록킹하기 위한 종래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래치(L1 내지 ㅣ4)는 4개의 승객용 도어의 각각에 볼트로 록킹되며, 래치(L5)는 뒷문(트렁크)에, 그리고 래치(L6)는 가솔린 록킹 캡에 각각 볼트로 록킹된다. 차량 밧테리는 (도시되지 않은)전기 캐이블에 의해 래치들에 차례로 연결된 중심 전자 제어 시스템(90)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각각의 도어는 내부 및 외부 핸들, 통상적으로 원통 형상의 키이 메커니즘, 노브가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한 개방된 위치와, 노브가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근소하게 돌출한 록킹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속된 내부 도어 노브를 갖추고 있다. 원통형 바아 형상의 스트라이커는 도어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도어 래치 배열(L1)은 도어에 볼트로 록킹되어 하기에 기술되어질 래치 볼트가 밀폐된 위치내에서 도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스트라이커를 결합시킨다. 도어는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밀폐됨에 따라 변형되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변형가능한 시일을 갖추고 있으며, 스트라이커가 래치 볼트에 의해 해제됨과 동시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래치 볼트는 도어를 개방하도록 개방된 위치로 치우친 스프링이다.
래치(L1)의 기능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질 것이며, 전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카 밧테리 및 중심 전자 제어 유닛(90)을 도시하고 있다. 래치 볼트(11)의 입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스트라이커(1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래칭 멈춤쇠(20)는 종래 방식으로, 래치 볼트를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절반 래칭시키기 위해 래칫 볼트의 엣지를 결합시킨다. 멈춤쇠는 외부 및 내부 핸들, (제공되어진) 내부 도어 노브, 및 (제공되어진) 기계식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장치에 각각 연결된 다양한 커플링 부재의 제어하에서 회전된다. 전기 모터(70)는 래치 볼트(1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중심 전자 제어 유닛(90)에 의해 제어되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기에 기술되어진 바와 같이 래치(L1)내의 위치 센서 및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위치 센서는 도어 록크, 개폐와 연결된 최상의 전기 작동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하기의 설명에서 특정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최상의 래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는 전기식 도어 개방을 위해 래치 볼트를 해제하기 위해 멈춤쇠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된다. 또한, 멈춤쇠를 적절히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 핸들 및 노브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일부 배열에 있어서, 설계 요구량 및 공간 이용도에 따라, 독립된 전기 모터는 상기 목적에 따라 제공된다.
중심 전자 제어 회로(90)는 4개의 도어 및 뒷문 및 충전재(가솔린) 캡 캐치에 대해 A로 도시된 전기 모터, 및 엔진 격실 캐치(보닛 캐치)와 함께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 록크는 전기 스위치(R6)에 의해 간단히 작동되며, 노브가 제공된다 하더라도 내부 도어 노브의 필요성을 제거시킨다. 제어 회로의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되어질 필요는 없으며, WO 97/28338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져 있다.
지금부터 전기 제어 시스템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를 이용한 기계식 위치 센서가 존재하며,이러한 경우 래치 볼트(11)에 의해 구동되는 몸체의 왕복 운동에 대응하여 모터에 전기 양극을 번갈아 공급한다. 이러한 기계식 반응 전력 공급은 도어 개방을 개시하기 위해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전자 신호와 함게 작동될 수 있으며, 도 8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 5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캠 부재(101)는 래치 볼트(11)와 동일한 축(15)에 대해 피봇 운동을 위해 배열되며, 래치 볼트(11) 내의 리세스(141)와 결합하는 돌출부(140)에 의해 구동된다. 도 5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래치 하우징(100)은 3개의 평향한 층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3개의 층은 축(15) 상의 힌지에 의해 단단하게 내부연결 되어있으며, 캠 부재(101) 및 래치 볼트(11)를 모두 제공한다. 캠 부재(101)는 부재의 피봇 축 상에서 상하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며, 캠 종동 마이크로스위치(111,121,131)가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장방형 캠 트랙(C,B,A)이 따르도록 한다. 캠 부재(101)는 도 5에 스프링(19)에 의해 상향으로 치우치며, 도 6에 화살표(191)에 의해 하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렬로 늘어선 3개의 마이크로스위치(110,120,130)는 래치 하우징(100)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대응하는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는 각각의 장방형 캠 트랙을 따라 상승한다.
일렬로 늘어선 마이크로스위치와 접하는 캠 부재(101)의 정면이 도 6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캠 트랙의 밝은 부분은 도 4의 라인(102)에 의해 나타나며, 도 5에 라인(103)으로 포시되어 있다. 각각의 장방형 캠 트랙은 중심 벽(104,105, 106)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장방형 벽으로 형성된다. 핀 형상의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111,121,131)는 도 6에 각각의 캠 트랙을 따라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나타내는 위치에 원형으로 나타나있다. 도어가 개방될 때,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는 도 6에 도시된 캠 트랙의 최상층 우측 모서리에 존재한다. 도어가 폐쇄 작동됨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상대 위치는 도 6에 A,B,C로 도시된 위치로 L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도어는 완전히 폐쇄된다.
중간 캠 트랙(B)을 따라 대각선으로 연장하고 중간 벽(105)의 단부면과 연속하는 구조(H)는 래치 볼트(11)가 도어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M 방향으로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해 전체 캠 조립체(101)가 도 6에서와 같이 상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이는 단계(H) 상에서 핀(121)의 미끄럼식 캠 작동으로 인함이다. 방향(K)으로의 연속된 이동은 스프링 력(19)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우측의 모서리에 액츄에이터가 방환되는 지점에서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가 위치(F)로 거슬러 올라가며, 캠 조립체는 방향(N)으로 이동한다. 램프(E)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오프" 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캠 액츄에이터가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 내부로 침하되도록 한다.
모터의 제어는 도 7 및 8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며, 대안의 회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에서, 각각의 도어는 자체 모터(70)에 의해 제어되며, 각각의 도어는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자동차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적색의 경고등(80)을 갖추고 있다. 차량은 종래 형태의 일체식으로 설치된 전류 센서 회로(91)를 갖는 중심 전자 제어 회로(90)를 갖추고 있다. 제 1 마이크로스위치(110)는 도어의 경고등(80)의 스위칭 작동을 제어한다. 제 2 마이크로 스위치(120)는 도어 폐쇄 제어에 적절한 모터에 한쪽 극의 전력을 제공한다. 제 3 마이크로스위치(130)는 도어 개방 제어에 적절한 모터에 다른 한쪽 극의 전력을 공급한다. 도 5 및 도 6의 기계식 배열은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의 적확한 배열을 보장한다. 종래의 표시법을 이용하여, NO는 전상적으로 개방된 터미날을,NC는 정상적으로 폐쇄된 터미널을, C는 공통 터미널을 나타낸다.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는 도 6의 A,B,C 위치에 놓여져 있으며, 모든 마이크로스위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개구 위치를 향한 이동은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도 6의 화살표 K 방향으로 유도하여, 소량의 중립 이동 이후에, 액츄에이터(131)가 램프(E)로 상승함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130)는 스위칭 작동된다. 이는 도어 개방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한다.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111)는 자체 램프로 상승함에 따라, 도어 경고등 제어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된다. 도어가 전력으로의 이동의 종결부에 달했을 때, 도어 개방 마이크로스위치(130)는 스위칭 작동이 중단되며, 도어 경고등만이 작동된다. 도어가 다시 폐쇄됨에 따라, 도어 폐쇄 제어 마이크로스위치는 즉시 스위칭 작동되며, 액츄에이터(121)가 도 6의 라인(F)으로부터 액츄에티더의 램프를 상승시킨다. 도어 폐쇄중에, 경고등은 스위칭 작동이 중단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때, 액츄에이터(121)가 도 6의 라인(G)에서 단계를 낮춤에 따라, 도어 폐쇄 제어 마이크로스위치(120)는 작동이 중단된다.
도어 개방이 중심 전자 제어 하에서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8의 릴레이 스위치(140)에 의해 제공된다. 라인(150)을 따라 중심 전자 제어 회로(90)로부터 신호는 모터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릴레이(140)를 스위칭 작동시키며, 기계 조립체를 제 3 마이크로스위치(130)가 스위칭 작동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충분한 기간동안 작동이 유지된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는 스위칭 작동이 중단된다.
엔진정지 전류 센서 회로(91)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술되어질 필요는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류 보호를 제공하는 회로 차단기이며, 시동시 수동으로 재 작동가능하다. 구동 모터 전류의 전류 감지는 접지에서 반송 통로내에 위치되며, 전류 감지는 저항기에 의해 작동되며, 그 전압은 적절한 집적 차동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다. 제 2 증폭기는 온도 안정 다이오드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전압 수치와 저항 수치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제 2 차동 증폭기는 비교 측정기로 작동하여, 논리 변환기를 제공하며, 엔진정지 신호를 출력시킨다.
원격 제어 수신기는 통상적으로 중심 록킹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차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중심 제어 시스템, 특정 도어, 원격 제어에 의해 동일한 명령이 이용된다. 그러나, 전기식 어린이 안전 록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원격 제어가 적합하다.
중심 전자식 제어 회로 바람직하게, 센서로부터 수용된 입력측, 및 센서의 일부는 멈춤쇠, 래치 볼트, 및 멈춤쇠 액츄에이터, 또는 래치 기구의 임의의 다른 부분을 측정하기 위해 래치 내부에 위치된다. 일부 다른 센서는 예를 들어, 차량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차량 내부의 다른 곳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엔진이 작동되고 차량이 운행중에 있을 때, 구동 모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류는 중심 전자 제어 회로(90)에 의해 차단된다. 이는 우발적인 전기식 도어 개방시 보호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어가 작동되지 않고 모터 구동이 정지된다면, 전류 센서 회로(91)는 메세지를 소정의 유리한 상태 예를 들어 도어 핸드의 해제를 탐지할 때까지 모터를 활성화시키고 도어를 임의의 위치로 수동으로 위치시키는 전류를 차단하는 중심 전자 제어 회로(90)에 전송한다.
차량의 부품중에 전술한 특정 조립체는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래칭 하우징 내에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배선의 길이를 최소화시킨다. 사실상, 도어 래치를 중심 제어 회로에 연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두개의 와이어, 또는 도 8에 도시된 4개의 와이어(150,151,152)를 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배선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 경고등을 도어 래치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단일 플러그인 램프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서, 배선 및 조립 비용을 감소시킨다. 동일한 열 내에 배열된 도어 개폐 마이크로스위치의 일체식 조립체는 가장 효율적인 조립체이며, 배선을 최소화시킨다.
전기식 도어 개폐
도어의 이동과 관련된 래치 볼트 및 멈춤쇠의 작동은 도 19 내지 도 21, 및 상술한 공개 특허 명세서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 9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를 둘러싼 폐쇄가능한 래치 볼트(11)는 멈춤쇠(20)의 전체 래치 및 반분 래치에 각각 노치(13,14)를 갖추고 있다. 래치 볼트(11)는 개방된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치우친 스프링이며, 멈춤쇠(20)는 래치 볼트가 걸쇠를 거는 래칭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B5)으로 치우친 스프링이다. 전기 모터(70)는 방향(D1)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된 회전 출력 구동부(50)에 크라운 및 베벨 기어를 구비한 회전 출력측을 갖추고 있어 편신 위치된 돌출 핀(30)이 걸쇠가 걸리지 않은 위치인 방향(D2)으로 멈춤쇠를 이동시키기 위해 멈춤쇠(20)에 대해 인접한다. 방향(D1)으로 연속 회전함과 동시에, 핀(30)은 도어가 폐쇄된 후에 다시 래치 볼트를 걸쇠로 걸기 위해 멈춤쇠(20)가 방향(D5)으로 뒤퉁겨지도록 한다.
핀(30)은 도 9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래칭 위치로 반환하는 멈춤쇠(20)의 동력, 또는 전기 모터(70)의 역 구동하에서 원래의 중립 위치(NP)로 반환된다. 이때, 중립 위치에서, 차후의 도어 개방 작동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명백하게, 대안의 출력 구동 커플링 예를 들어, 스크류 기어 또는 스퍼어 기어가 이용가능하다. 또한, 핀(30)은 멈춤쇠에 대해 인접하는 임의의 형태의 캠 조립체로 교체 가능하다.
상기 조립체에서, 멈춤쇠가 탄성 변형된 도어 밀봉력 하에서 래칭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되면, 도어는 개방된다. 래치 볼트(11)의 스프링 바이어스는 도어의 개방에 기여한다.
도어 개방 조립체의 대안의 형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모터(70) 출력측 구동부는 방향(D1)으로 선형 구동을 발생시키고, 랙의 일부가 멈춤쇠(20)에 대해 인접한 랙 및 피니언 조립체(31)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래치 볼트가 완전하게 래칭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감지되었다면, 전기 모터는 스위칭작동이 중단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1)이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역방향으로 동력을 받는다. 스위칭작동이 중단되었었을 때, 랙은 도어가 차단될 때까지 도어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도어의 차단은 멈춤쇠가 래치 결합 위치로 회전되도록 초래하며, 동시에 랙이 중립 위치로 역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는 멈춤쇠(20)의 스프링 편이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물론, 래치 볼트의 위치 감지는 도 9의 조립체에 스위칭 작동 차단 또는 전기 모터의 역전 전류에 대해 또한 적용된다.
도 9 및 도 10의 조립체는 차량 측면 도어에 적합하다. 뒷문 및 트렁크 래치 볼트는 이는 볼트를 완전하게 걸쇠로 걸기 위해 하나의 노치(13)만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도시되어진 것과는 다르다. 또한, 다양한 대안의 기어 조립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래치 조립체는 전기식 도어 개방 뿐만 아니라 동력식 도어 폐쇄를 제공한다.
즉, 동일한 전기 모터(70)에 의해 구동되는 개방 및 폐쇄 기구이다. 전기 모터는 회전 표시 및 구동 부재(50)를 방향(D1) 또는 방향(D4)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 위치(Np)는 핀(34)이 도어 래치(11)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와 대응한다.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는 부재(50)와 동축선 방향으로 장착된 토션 스프링(36)에 의해 중립 위치를 향해 회전식으로 편향되고, 래치 하우징에 고정된 바아(35)에 의해 구속된다. 토션 스프링(36)은 돌출핀(34)의 대향측면과 결합하는 두 개의 돌출부(33a,33b)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부재(50)가 방향(D1)으로 시계방향으로 구동할 때, 핀(34)은 스프링의 돌출부(33a)를 구동시켜서, 이후 부재(50)를 중립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반시계방향 운동(D4)은 핀(34)이 스프링의 돌출부(33B)를 변위시키도록 하며, 이는 부재(50)를 다시 회전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파울(pawl, 20)의 해제는 참조부호(40)에서 파울(20)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작동판(38)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작동판(38)은 부재(50)의 아치형 슬롯(39)과 돌출핀(32)에 의해 부재(50)에 연결된다. 작동판(38)의 아치형 슬롯(39)은 회전 부재(50)와 동심이며, 도어가 방해받지 않고 닫히도록 시계방향(D1)으로 대략 70°정도 회전 부재(50)를 상대 회전시킨다.
래치 볼트(11)의 연장 아암(37)은 핀(34)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를 넘어서 돌출되어 있다.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핀(34)은 래치 볼트(11)가 수동으로 도어를 부분 폐쇄할 수 있는 위치(A)를 향해 시계방향(D1)으로 구동된다. 도어의 완전한 폐쇄는 연장부(37)에 대항하여 접촉되어 있고 완전히 해제된 위치(B)로 도어를 구동시키는 핀(34)에 의해 달성된다. 래치 볼트의 완전한 고정이 전기적으로 감지된다면, 모터가 꺼지고, 회전 부재(50)가 스프링(36)에 의해 중립 위치(Np)로 복귀된다.
도어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해, 모터는 방향(D4)를 향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서 핀(32)이 슬롯(39)의 단부를 즉시 당기도록 하며, 이에 의해 파울(20)이 방향(D6)로 풀려지도록 방향(D5)으로 당겨진다. 이후 도어가 방향(D8)으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 볼트는 방향(D7)으로 가압되어 개방된다. 래치 볼트가 완전하게 풀려진 위치에 도달하였음이 전기적으로 감지된다면, 모터가 꺼지고, 회전 부재(50)는 중립 위치(Np)로 후방으로 가압된다.
전기 위치 센서는 예컨대 파울(20)이 해제 위치로 작동하도록 래치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서, 노치(14)내의 반고정 위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소형이며 제조가 간단한 단일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어서, 소음을 개선시키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12의 래치 구성은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데 있어서 도 11의 구성과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판(38)을 대체한 작동판(41)은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의 피봇 축선(43)에 대해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며, 피봇 축선(43) 위로 안내하는 슬롯(45)을 갖추고 있다. 작동판(41)은 회전 부재(50)의 핀(34)과 결합하도록 하방으로 현가되어 있는 단부 플랜지(44A)를 갖추고 있다. 작동판(41)은 파울(20)의 고정 위치 및 해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C)와 위치(C1)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도어 폐쇄는 위치(A)에서 래치 볼트 연장부(37)에 대항하여 결합하고 위치(A1)으로 이동하도록 핀(34)을 방향(D3)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어난다. 지점(A1)을 초과하여 약간 과이동한 후, 캠 핀(34)은 래치 볼트로부터 해제되는 한편, 제 2중립 위치(Np2)를 향해 방향(D3)으로 회전한다. 제 2중립 위치(Np2)는 바로 이전 지점(A1)에 위치되지만, 이전에 플랜지(44A)와 결합할 수 있다. 래치 볼트로부터 해제된다면, 캠 핀(34)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탄성 변형 수단에 의해 제 2중립 위치(Np2)에서 정지되며, 이후 모터가 적절한 전기 위치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제어하에서 꺼진다. 모터는 또한 반대방향으로의 모터의 제어된 구동력에 의해 제 2중립 위치에서 정지될 수도 있다.
도어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해, 모터는 캠 핀을 중립 위치(34B)로부터 작동판(41)을 지점(C1)에 접촉시키는 지점(34C)으로 방향(D3)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이는 파울을 방향(D4)으로 회전시켜서 래치 볼트를 방향(D5)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스트라이커를 방향(D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완전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캠 핀(34)은 제 1중립 위치(Np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어느 중립 위치에서든지, 래치 볼트와 파울은 고정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종래의 방식으로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완전히 해제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계적 작동은 전기적으로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동안에만 중단된다. 이는 전기적 기능장애에 대항하여 안전한 측정을 행할 때 완전한 기계적 분리를 제공한다.
도 11의 구성과 비교하여,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는 그가 정지되거나 또는 전기적 역구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더라도 단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2의 구성은 도 11의 구성과 관련하여 소형 및 소음 방지의 장점을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변형예는 동일한 전기 구동 모터(70)를 사용하여 전기적 도어를 개방시키고 폐쇄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50)에서의 회전 출력 구동은 랙 및 피니언 기어에 의해 선형 구동으로 변환된다. 랙(56)은 래체 볼트 연장부(37)와 결합하도록 단부 접촉면을 갖춘 셔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에서, 랙은 압축 및 인장을 위해 래치 하우징의 프레임(59) 상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58)에 지점(57)에서 연결된다. 스프링은 셔틀을 중립 위치(Np)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킨다.
셔틀(56)은 슬롯(53)에 끼워진 핀(54)에 의해 작동판(52)에 구동식으로 연결되어서, 셔틀은 방해받지 않고 도어를 폐쇄시키기 위해 래치 볼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작동판(52)는 지점(51)에서 파울(2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의 구성에 있어서, 전기 구동 메카니즘은 종래의 기계식 래치 작용과 상이하며, 이에 의해 도어 핸들은 파울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파울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셔틀(56)은 방향(D3)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구동되며, 이후 전기 모터가 꺼지고, 셔틀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킨다. 전기 도어의 개방은 중립 위치로부터 제 2최종 위치로 셔틀을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때 셔틀은 작동판(52)을 당기고 파울을 느슨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보다 큰 기어비에 의해 에너지가 다소 작은 구동 모터를 사용한다.
도 14에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 메카니즘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랙 및 피니언 구성을 대신하여, 선형 셔틀(71)이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의 캠 핀(34)에 의해 방향(D1) 또는 방향(D2) 중 어느 하나의 선형 방향으로 구동된다. 캠 핀(34)은 셔틀(71)에 고정된 캠(74)에 대항하여 구동하여서, 제한된 각범위를 초과한 회전 부재(50)의 회전, 예컨대 4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다시, 셔틀(71)은 프레임(73)에 장착된 인장-압축 스프링(72)에 의해 중립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셔틀이 위치(A)로부터 위치(B)로 이동하도록, 셔틀은 래치 볼트 연장부(37)에 대해 구동식으로 부착되는 단부(78)를 갖추고 있다. 전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판(52)에 대응하는 작동판(77)이 셔틀(71)을 파울(20)과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도 13의 구성에서, 셔틀상의 핀(75)은 작동판(77)의 그루우브(76) 내에서 미끄러진다.
도 14의 구성은 적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적 작동이 중단될 때, 구동 기어가 중립 위치로 쉽게 이동하도록 한다.
도 15에는 전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선형 이동이 다시 구속되는 셔틀(83)은 나사(81)와 일체식 나사형 너트(82) 형태의 리드스크류 기어에 의해 전기 모터(70)로부터 구동된다. 리드스크류(81)는 회전 출력 드라이브로부터 베벨 기어(80)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한번, 셔틀은 인장-압축 스프링(86)에 의해 중립 위치로 가압 편향된다. 파울(20)의 핀(85)과 연결되는 슬롯(84)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기계식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해제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구성은 비록 예컨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도어 폐쇄 구성과 결합될 수 있더라도, 도어 폐쇄를 위한 기구는 갖추고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은 단순하며, 셔틀(83)의 단지 하나의 중립 위치(A)와 하나의 작동 위치(B)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기적 도어 개방의 모든 단계에서 전기적 구성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도어를 기계식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다른 장점을 갖는다. 또한, 높은 기어비로 인해 비교적 작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용성이 우수하고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압축-인장 스프링은 모터가 꺼진 후에 기구의 관성을 흡수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키는 안티-백래시(anti-backlash) 구성을 제공하는데, 이는 또한 구동 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16에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 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셔틀(95)은 고정된 브라켓(99,200) 사이의 리드스크류(96) 상에 장착된 두 개의 이격된 인장 스프링(97,98) 사이의 리드스크류(96)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된다. 리드스크류는 모터(70)에 의해 구동되는 베벨 기어(80)에 의해 구동된다. 작동판(91)은 다시 슬롯(94)내에서 미끄러지는 핀(92)에 의해 셔틀(95)에 연결되며, 중립 위치(93B), 위치(A), 하부 위치(93C), 및 파울이 해제되는 위치(C)와 상부 극대 위치(93A), 래치 볼트가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B) 사이에서 이동하는 셔틀(95)의 단부(93A)에는 접촉면이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셔틀과 일체로 형성된 너트(95)와 스크류(96)는 리드스크류(96)의 회전 축선에 대해 45°로 절단된 메싱 티스(meshing teeth)를 갖추고 있으며, 이에 의해 셔틀은 리드스크류를 정방향 및 반대로 구동시킬 수 있다.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너트(95)를 구속시키기 위한 수단은 래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그루우브 및 레일(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스프링(97,98)은 너트(95)에 연결된 압축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단일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구동 기어에 연결된 토션 스프링일 수도 있다.
이전의 구성에 있어서, 전기적 위치 감지 센서가 전기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기 위해 적용된다. 전류 센서는 래치 볼트가 고정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기로서 제어 전자부품과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전기적 드라이브의 극성은 이동 요소의 관성과 반작용하도록 임시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4 및 도 15의 구성의 장점들에 대응하는 장점들을 갖는다.
도 9 내지 도 16의 구성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가 전기 모터(70)의 회전 출력 드라이브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종래의 원심 클러치가 바람직하다. 이는 기계적 요소에 의해 구동될 때 모터내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제거한다. 또한, 모터 작동 후에 기구를 중립 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복귀 스프링에 대한 하중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17에는 이전에 기술된 전기적 도어 개방 및 폐쇄 래치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판(202)은 래치 볼트(11)와 결합되는 지점 부근에서 파울(20)과 지점(203)에서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레버 작용이 없을 때 반대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작동판(202)은 회전 인덱싱 및 구동 기구(50)의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거나, 또는 피봇 축선의 어느 한 측상에서 돌출부(205,206)를 갖춘 단부 포크에 의해 작동 방향(D4)으로 선형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캠 핀(34)은 회전 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고 피봇 축선에 수직한 두 개의 독립 평면내에 배열된 방사형 캠 구성으로 대체된다. 제 1평면에서, 방사형 캠(207)은 래치 볼트 연장부(37)를 접촉시키고 구동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배열된다. 독립 평면에서, 대략 100°까지 이격된 방사형 캠(209,208)은 각각 도어의 작동판(202)의 현가형 돌기부(204) 및 래치 하우징에 고정된 W형 판스프링(210)과 각각 결합한다. W형 스프링(210)은 캠(208)이 돌출부 위로 상승할 때 캠(208)용 충격 흡수기로서 작용하며, 캠(208)을 중심에 위치시킨다. 스프링(210)은 도시된 중립 위치이 구성이 위치되는 것 뿐만 아니라 백래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회전 부재(50)는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래치 볼트 연장부(37)에 대항하여 캠(207)을 구동시키기 위해 방향(D1), 즉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도어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 부재(50)는 또한 중립 위치로부터 방향(D1)으로 구동하여서 돌출부(204)와 결합하며, 이에 의해 작동판(202)이 파울을 해제시키기 위해 방향(D4)으로 구동된다.
전기적 작동은 어떠한 이유에서든 중단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구동 기어는 구동 기어에 연결된 미끄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중립 위치로 후퇴한다. 이는 전기적 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완전한 기계적 분리를 보장한다.
도 18은 한편으로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 기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적 록킹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전기 모터(70)와 하나의 회전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를 사용한 래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어의 개방 및 폐쇄 기구는 도 14를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속되고 인장-압축 스프링(218)에 연결된 셔틀(215)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 부재(50)는 두 개의 중립 위치(Np1,Np2) 사이에서 어느 한 방향(D1 또는 D2)으로 회전가능한 단일 캠 핀(34)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W형 고정 스프링(220,219)에 의해 각각 유지된다. 작동 부재(222)는 위치(C1,C2) 사이에서 어느 한 방향(D11 또는 D12)으로 선형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며, 그의 단부는 캠 핀(34)과 결합하도록 토글 레버(221)를 갖추고 있다. 토글 레버(221)는 도 35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토글 레버는 작동 부재(222)의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작동 부재의 길이에 수직한 중립 위치에서 토션 스프링(223)에 의해 편향된다. 작동 부재(222)를 방향(D11)으로 구동시키고 이후 토션 스프링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때 작동 부재(222)를 해제시키며 캠 핀(34)이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러한 구성에서는 캠 핀(34)이 토글(221)에 대항하여 구동식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예서, 작동 부재는 캠 핀(34)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7의 W형 스프링에 있어서, 핀이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스프링의 외부 돌출부에 대항하여 상승할 때 스프링(219,220)은 회전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이후, 캠 핀은 중앙 리셋스 내에서 핀의 두 개의 외부 돌출부 사이를 고정되도록 이동한다. 이는 돌발적인 과이동을 방지한다.
작동 부재(222)를 사용한 전기 도어의 록킹 및 해제에 대해서는 도 24, 도 26, 및 도 30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간략하게, 작동 부재(222)는 키이 메카니즘과 상호작용하며, 도어 핸들의 작용이 파울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허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파울(20)을 해제하거나 잠근다.
도 18에는 동일한 전기 모터(70)의 제어하에서 전기적 록킹 및 해제를 제공하는 도 10의 도어 개방 메카니즘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선형 셔틀과 일체로 형성된 랙 및 피니언 배열은 접촉면(231)에 의해 파울(20)을 구동시킨다. 파울(20)은 접촉면(231)에 의해, 또는 케이블 또는 또는 다른 링크에 의해 래치 록킹 메카니즘(도시되지 않음)으로 구동된다. 인장-압축 스프링(235)은 중립 위치(N)를 향해 셔틀을 다시 편향시킨다.
전기적 록킹을 위해, 셔틀내의 노치(234)는 그의 중앙부(1812)에 피봇된 레버(1810)의 단부(1814)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피봇 축선(1812) 상의 토션 스프링(1813)에 의해 도시된 중앙 위치를 향해 가압 편향된다. 대향하는 돌출부(1811)는 래치의 록킹 및 해제를 위해 어느 한 방향(D7)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작동 부재(300)의 노치와 결합한다.
도 18b는 도 33을 참조하여 기술될 구성과 유사한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다른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회전 부재(50)는 연장 아암(20A)을 갖추고 있는 파울(20)과 래치 볼트 연장부(37)에 직접 작용한다. 캠 핀(30)은 고정된 록(1801) 주위에 위치된 스프링(1802)에 의해 중립 위치(N)로 편향된다.
도어의 폐쇄는 위치(A)에서 위치(B)를 향해 연장부(37)에 대항하여 캠 핀(30)을 구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데, 이후 캠 핀은 스프링에 의해 중립 위치(N)로 후퇴된다. 모터가 반대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캠 핀(30)은 래치 볼트를 해제하도록 파울(20A)에 대항하여 접촉하기 위해 방향(D2)으로 구동한다. 다시, 캠 핀(30)은 전기적으로 또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파울(20)은 선택적으로 핸들과 같은 외부 작동 수단에 의해 레버(246) 및 케이블(245)을 통해 수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파울(20)의 말단부(20A)는 래치 볼트 연장부(37)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굽힘에 의해 상승된다.
이러한 특별한 장치는 구동 토오크를 감소시키고 적용성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전기 동력으로 도어 개폐
도 19-21의 장치는 전기 도어 개방을 제공하며 먼저 멈춤쇠가 해체되어 걸쇠 볼트가 충분하게 개방하는것을 보장하도록 전기 동력으로 구동된다. 또한 이 장치는 상술한 장치와 같이 동력이 가해져서 도어를 차단하도록 한다.
먼저 도 19 내지 21을 참조로, 차량 도어 밀폐 장치는 차량의 도어 플래임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0) 및 차량 도어의 에지에 지지된 걸쇠 장치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걸쇠 볼트(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9의 걸쇠 볼트(11)의 형태가 특수하지만, 이것의 일반적인 작용은 통상적인 것으로서 본원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할 필요는 없다. 걸쇠 볼트(11)는 화살표(1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운동을 하도록 (15)에서 피봇하게 설치되며, 걸쇠 볼트(11)내에 형성된 U형 노치(12)내에서 스트라이커(10)의 상대 운동(17)에 의해 피구동된다. 걸쇠 볼트(11)는 그것의 외주부내에 형성된 2개의 또 다른 노치(13, 14)를 갖추고 있어서, 록킹 멈춤쇠(20)와 결합하도록 한다. 노치(13)는 걸쇠 록킹 위치에서 걸쇠 볼트를 잠그도록하고, 스트라이커(10)를 보유하여 차량 도어가 차단되어 있도록 유지한다. 도어는 멈춤쇠(20)를 노치(13)에서 록킹 위치로부터 해체됨에 의해 도 1의 우측으로 개방되어 질수 있어서, 스트라이커(10)에 의해 더이상 강제할수 없을때까지 스트라이커(10)가 톱니부(12)의 캐밍 작용하에서 걸쇠 볼트(11)를 시계 방향(18)으로 구동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록킹 멈춤쇠(20)가 소위 절반의 걸쇠 위치에서 또 다른 노치(14)를 결합하도록 한다면, 도어는 절반 정도가 걸쇠가 걸려서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한다.
록킹 멈춤쇠(20)는 (21)에서 피봇하게 설치되며, 피봇 포인트(15, 21) 모두 걸쇠 하우징(도시되지 않았음)에 고정된다. 멈춤쇠(20)는 노치(13, 14)에서 록킹 결합되도록 하는 단부 치차(24)를 갖추고 있다. 동일한 단부에서, 핀(23)이 형성되며 멈춤쇠를 작용시키도록 도어 핸들에 연결된 링크 아암(25)이 피봇하게 설치된다. 도어 핸들이 리프팅되어 링크 아암(25)이 화살표(26)로 도시된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하고 화살표(2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멈춤쇠(20)를 당겨서 멈춤쇠가 록킹 위치(도시되지 않았음)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걸쇠 볼트(11)는 차량 도어의 중앙 록킹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타입의 전기 구동 모터(70)로 구동되게 연결된다. 이 연결 장치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겠지만, 멈춤쇠를 해체시키도록 장치와 결합된다.
모터(70)는 기어(40, 50, 60)에 의해 걸쇠 볼트(11)에 연결된다. 도 20에 분리하여 도시한바와 같이 걸쇠 볼트(11)상의 치차(16)와 (45)에서 결합된다. 축(42)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이 축은 도 21에서 분리하여 도시한바와 같이 더 큰 지름의 기어(50)에 의해 분할된다. 기어(50)의 평판들중 하나에서 한쌍의 슬롯(52, 53)의 수단에 의해 60도의 회전 자유 플래잉을 하도록 기어(50)가 기어(40)에 구동되게 연결되며, 이 기어(50)에 의해 슬롯은 기어(40)에 연결된 한쌍의 구동핀(44, 43)을 돌출시키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60°의 자유 플레잉은 중요하며 멈춤쇠 해체 및 걸쇠 볼트 구동이 적절하게 연속되게한다.
화살표(41)로 도시된 방향으로 기어(50)가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은 모터(70)의 스핀들과 직접 기어 결합에 의해 제어된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커플링은 모터 스핀들상의 기어(71)와 크라운 기어(60)상의 치차(62)의 톱니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지며, 기어(60)는 기어(60)상에서 치차(54)를 구동시키는 작은 지름의 기어(61)에 연결된다. 도 2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웜 기어(72)는 모터 스핀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피구동되며 기어(50)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킨다.
기어(50)의 하나의 영역은 멈춤쇠 액츄에이터(30)의 단부에서 고리(32)로 부터 돌출되는 림에 대한 U형 톱니부(51)를 갖추고 있다. 액츄에이터(30)는 멈춤쇠(20)의 핀(23)과 기계식으로 링크되도록 도 19의 화살표(3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왕복운동되도록 걸쇠 하우징(도시되지 않았음)상에서 형성됨에 의해 작용된다. 멈춤쇠 액츄에이터(30)의 상부 단부는 핀(23)을 둘러싸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를 갖춘 도그 레그로서 형성된다. 이 장치는 멈춤쇠 액츄에이터(30)와 멈춤쇠(20)사이에서 구동되게 연결됨에 의해 자유롭게 운동된다.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도어 걸쇠의 조작을 다음에 기술할것이다. 예상할수 있는 것은 도어 걸쇠는 모터 동력없이 기계식으로 또는 모터 동력에 의해 작동될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코오스는 안전성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동력 조작을 먼저 기술할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 볼트(11)는 이것의 걸쇠 위치에 있으며 록킹 멈춤쇠(20)는 이것의 록킹 위치에 있다. 멈춤쇠(20)는 록킹 위치에 있게된다. 멈춤쇠 액츄에이터(30)는 기어(50)에 의해 맞물린다. 도어를 개방하라는 명령을 받을때, 중앙 전기 제어 회로(90)로부터 기어(40)는 정치식으로 유지되며, 걸쇠 볼트(11)를 회전시키지는 않는다. 또한, 걸쇠 및 멈춤쇠가 째밍될수도 있다. 톱니부(51)가 화살표(34)의 방향으로 멈춤쇠 액츄에이터(30)를 밀어낸후, 이것은 핀(23)에 대해 밀어내고 화살표(22)로 도시된바와 같이 멈춤쇠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이것은 해체위치로 이동시킨다. 기어(5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멈춤쇠 액츄에이터(30)의 연장부(33)가 왕복되어서, 이것이 기어의 외주부상에 놓여지도록 하고 임시적으로 재진입이 방지되도록 한다. 먼저 60°를 너머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슬롯(52, 53)의 벽이 작은 기어(40)의 핀(44, 43)와 맞물리도록 하고, 화살표(18)로 도시된 방향으로 걸쇠 볼트(11)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동력을 조작함에 의해, 절반만이 걸리는 것이 신중하게 방지된다. 이에따라, 걸쇠 볼트는 노치(14)가 치차(24)를 지나치도록 하고 걸쇠 볼트(11)의 외부 표면이 치차(24)가 멈춤쇠(20)를 맞물리도록 하여 멈춤쇠가 재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음에 기술할 전기 위치 센서는 차량 도어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지점에서 스위칭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것의 걸려져 있지 않은 위치로 통과된다. 이어서 도어는 승객 및 운전자에 의해 완전하게 편리하게 개방되도록 한다.
걸쇠 볼트(11)를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스트라이커(10)에 대해 반응함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게 밀어내는 효과적인 작용을 하도록 한다. 이것은 도어의 개방운동을 가속화시켜서 도어 힌지의 마찰에 의해 차량의 경사에 따른 양에 따라 감속될때까지 개방 운동이 계속되도록 한다.
도어가 차단될때, 절반이 걸린 위치를 바로 너머 동일한 위치에 이르게 된후 (하기게 기술된 바와 같이)극성이 바뀌어서 전기 모터가 스위칭되도록 한다. 이어서 모터는 동력에 의해 도어가 차단되게 하여 도어가 적절하게 차단되어 걸리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다시 동력에 의해 차단되어 절반이 걸린 위치에 있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도어가 충분하게 밀폐되기 시작할때 걸쇠 볼트(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큰 기어(50)와 함께 작은 기어(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이 제 1 위상에 도달한후, 멈춤쇠 액츄에이터(30)의 연장부(33)가 다시 하향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멈춤쇠 액츄에이터와 멈춤쇠(20)사이의 자유로운 운동은 멈춤쇠(20)가 째밍없이 시계 방향의 스프링 바이어스(도시되지 않았음)하에서 슬롯(14)을 너머 슬롯(13)으로 얹혀지도록 한다. 치차(24)가 슬롯(13)에 박히면서, 장치는 도 19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
동력의 조력없이, 걸쇠는 링크 아암(25)을 통해 도어 손잡이에 의해 제어될수있다. 기계적 상호 작용이 유지되며 도어를 개방하고 차단하는 것은 모터 스핀들을 회전하도록 하지만, 이것은 소량의 기계 저항을 간단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링크 아암(25)을 상승시켜서 멈춤쇠를 해체하도록 하여, 도어가 개방되게 하여서 걸쇠 볼트(11)가 스트라이커(1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다시, 도어가 재차단될때까지 기어(50)와 맞물리는 것으로부터 해체된다. 또한 기계적 순서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력에 의해 차단되는 것은 동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지 않거나 그역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예상할수 있다. 걸쇠가 순수하게 기계식으로 조작될때, 멈춤쇠(20)의 치차가 노치(14)에 제공되어, 절반이 걸린 위치에 꼽혀질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또 다른 편리성과 안정성이다.
도어가 개방되고 차단되는 것을 제공하는 도 10 및 18A의 장치의 변형예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명백해지겠지만, 셔틀(233)상의 인접 표면(231)은 연장 아암(232)에 의해 멈춤쇠를 구동시켜서 위치(232A)로 운동시킨다.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동하여 걸쇠 볼트 연장부(37)가 걸려지지 않은 위치(37A)로 구동시킨다. 도 18A의 장치와 관련하여, 노치(234)가 링크 레버(1810, 도 18A)와 맞물려서 전기적으로 잠궈지고 풀리도록 한다.
부트 또는 테일게이트 걸쇠에 특히 적절한 전기 개방 장치는 도 23에 도시되었다. 모터(70)의 회전 출력 구동부(50)는 리드스크류(240)와 단단하게 연결되도록하며 상기 리드스크류는 너트 부분(243)내에서 내삽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스크류(240)를 수용하도록하는 내부 보어를 갖추고 있는 셔틀 블록(242)이 선형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한다. 셔틀(242)의 단부 인접 표면은 멈춤쇠(20)와 맞물려서 구동되어 도어를 개방시킨다. 다른 장치와 관련하여, 멈춤쇠의 한부분(244)은 링크(245)에 의해 레버(246)를 통해 핸들과 같은 외부 수동 제어부에 연결되어, 키이 장치, 내부 도어 노브 또는 전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걸쇠가 먼저 잠궈지지 않는다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수있다. 다음 장치, 너트상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 멈춤쇠상에 작용하는 복귀 너트, 및 너트를 방향 D6로 운동시키도록 모터에 동력을 다시 가하는 수단들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장치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의 위치로 각각 작용한후, 너트(243) 및 셔틀이 복귀된다. 너트(243)는 하우징에 고정된 레일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선형으로 운동되도록 강제된다.
다른 장치에 있어서, 리드스크류(240)는 회전 구동 기어(50)내의 내부 나사부와 톱니식으로 맞물리고, 리드스크류는 셔틀(242)과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기계적으로 동등한 다른 배치가 당해업자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소형의 도어 걸쇠 장치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50)은 둥근 코너를 갖춘 평편한 장방형 박스 및 스트라이커(10)를 수용하도록 하는 U형 개구의 형태를 갖는다. 하우징은 상호 대칭되어 있는 단부 플레이트(252) 및 측벽(251)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전기 모터(70)와 회전식 출력 기어(50)를 하우징하는 내부 구획부(253)를 형성한다. 각각의 레버(255 및 257)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256 및 258)은 측벽을 통해 돌출되어 있고 단부 형성부내에 유지된 니플에 의해 레버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특별한 연결부는 도 46과 관련하여 하기에 기술하였다.
수개의 부품이 멈춤쇠(20)를 구비한 동일한 피봇 축(21)상에 모두 설치되도록 하는 장치의 소형화가 특히 중요하다. 이 걸쇠 장치는 전기 록킹 및 해제를 제공한다.
멈춤쇠(20)는 회전식으로 피구동될수 있도록 할수 있는 포크(259)가 형성되어 있는 레버 아암을 갖추고 있다. 내부 또는 외부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수동 제어에 의해 작용하도록 멈춤쇠 해체 레버(255)는 멈춤쇠 축(21)상에 피봇하게 연결된다. 멈춤쇠 해체 레버(255)의 회전 운동은 단지 회전 커플링 부재(300, 400)이ㅡ 수단에 의해서만 멈춤쇠 포크(259)로 전달되며, 상기 부재는 피봇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종속된 기다란 러그(262)를 지지한다. 멈춤쇠 해체 레버의 시계 방향 작용은 단부 노치(263)가 러그(262)와 맞물리도록 한후 포크(259)에 대해 피구동되게 한다. 이것은 멈춤쇠(20)를 걸쇠가 풀린 위치로 유도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
회전 연결 부재(300, 400)는 피봇축(21)에서 피봇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양쪽 부품(300, 400)내에 형성된 타원형 슬롯의 특징에 의해 피봇축에 대해 근소하게 활주 운동을 할수 있는 2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록킹 부재(300)는 도어가 해제되는 도 24에 도시된바와 같은 극좌측 위치와 멈춤쇠 해체 레버(225)가 더 이상 멈춤쇠(20)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가 잠궈지는, 에컨데 중립 위치에 있는 극우측 위치사이에서 선형으로 운동되도록 강제된다. 회전 활주 부재(400)는 록킹 부재(300)상에서 핀(301)위에 놓여지는 궁형 슬롯을 갖추고 있으며 종속 러그(26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러그의 특징에 의해 연결될때 이 슬롯은 회전 활주 부재가 멈춤쇠 해체 레버(255)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록킹 부재(300)가 멈춤쇠 해체 레버가 중립위치에 있게 하는 록킹 위치로 우측으로 이동될때, 러그(262)와 함께 이동되어 멈춤쇠 해체 레버의 노치(263)에 의해 더이상 맞물릴수 없도록 한다.
회전 커플링 부재(300, 400)는 모터(70)의 베벨 기어(50)에 의해 피구동되는 편심 핀을 갖춘 출력 디스크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구동된다. 핀은 노치 또는 다른 형성부(302)에 의해 록킹 부재(300)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커플링 장치는 도 25, 26, 35-38과 관련하여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것이다.
기계식 록킹 및 해체는 키이 장치 또는 내부 도어 노브로부터 레버(257)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록킹 부재(300)를 구동시키고 동력이 가해지지 않을때 전기 모터가 구동되게 한다. 이에따라 걸쇠 장치는 독립적인 기계식 및 전기식 록킹 및 해체를 제공한다.
단지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는 부재(254)는 또한 록킹 부재(300) 부분을 구동되게 연결시켜서 록킹 및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멈춤쇠(20)의 포크(259)와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러그(262)를 갖춘 회전 활주 부재(400)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보스 또는 기다란 블록(260)의 수단에 의해 회전 작용되는한 록킹 및 해체 위치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포크(259)가 놓여지면서, 러그(262)는 반경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보스(260)를 지나 피봇축(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수 없다.
안티-슬램 록킹
보스(260)는 또한 걸쇠의 안티 슬램 록킹을 제공하도록 하는 바람직한 작용을 갖는다. 보스(260)와 러그(262)가 반경 방향으로 결합함으로 인해, 록킹 부재(300)의 활주 운동을 방지함에 의해 도어 핸들이 개방되어 유지되고 멈춤쇠가 해체 위치에 있으면서 보스(260)는 도어의 부주의한 록킹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에따라 만약 도어 걸쇠가 해제된후 도어가 세게 잠귄다면, 회전 커플링 부재(300, 400)는 하우징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잠궈질수 없다.
보스(260)를 구비한 록킹 장치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걸쇠 장치는 문이 세게 잠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될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배치에 있어서, 또한 도 25 및 26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록킹 부재(300)의 록킹 위치는 스트라이커(10)로부터 벗어나서 우측편에 위치된다. 걸쇠 볼트의 배향은 도어가 좌측 방향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이에따라, 도어가 차단되기 전에 걸쇠가 해제된다면, 록킹 부재(300)는 충분히 좌측에 있을것이고 문이 세게 닺힐때의 충격은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것이다. 그러나 도어가 잠궈진후 도어가 세게 잠궈진다면, 이러한 충격하에서 록킹 부재(300)가 강제되어, 록킹 위치로 좌측 방향으로 운동이 연속되고 록킹위치로 복귀될수도 있지만 해체 내지 록킹 위치로 부터 부주의하게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따라, 걸쇠 볼트의 배향 및 커플링 부재(300)의 경로는 사용시 록킹 위치는 실질적으로 스트라이커(10)으로부터 커플링 부재(300)의 해제 위치보다는 더 이동된다.
선택적 전기식 록킹
전기 록킹 및 해제를 위한 2개의 다른 걸쇠 장치는 도 25 및 26을 참조로 기술될것이다. 각각의 장치는 내부 및 외부 손잡이와 같은 외부 수동 제어부와 연결시키도록 하는 2개의 멈춤쇠 해제 레버(700, 800)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 일반적으로 도 2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멈춤쇠 해제 레버(255)와 대응된다. 각각의 멈춤쇠 해제 레버는 자체 회전 커플링 부재(300, 400 및 350, 450)에 의해 멈춤쇠(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회전 커플링 부재는 회전 활주 부재(400, 450)에 각각 연결된 록킹 부재(300, 350)를 포함하고 이 활주 부재는 도 24와 관련하여 상수한 바와 같은 대응 부품에 아나로그 작용을 한다. 이들은 모두 공통의 피봇 축(21)둘레에 배치되어 최대한 소형화하고 단순성을 최대화하며, 멈춤쇠 해제 레버가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충분한 지레작용을 하도록 한다.
또한, 장치가 후면 도어 또는 전면 도어중 어느것에 사용되는 가에 따라 각각의 걸쇠 장치는 어린이 안전 스위치와 같은 케이블(901)과 같은 케이블(901)을 통해 외부 제어 장치에 연결된 추가 레버(900) 또는 내부 도어 노브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추가의 노브는 하우징내에서 (902)에서 피봇 지점을 갖추고 있으며 회전 커플링 부재들중 적절한 것 하나에 연결된 단부 핀(903)을 갖춘 레버 아암에 연결된다.
도 25의 장치에 있어서, 록킹 부재(300 및 350)는 각각 회전 지시 및 구동 부재(500)상에서 캠 핀(501)과 결합하는 각각의 돌출 핀(304 및 354)를 갖추고 있다. 도 25에서, 록킹 부재는 반대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피구동되고, 도 26의 장치에 있어서, 이들은 선택적으로 독립적으로 피구동될수도 있지만, 방향 D7 및 D8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서로 피구동될수도 있다. 도 25 및 26의 걸쇠 장치는 어린이 안전 록킹 및/또는 비상 도어 개방을 위해 사용되기에 적절하게 융통성을 가지며 외부 도어 손잡이들중 하나 또는 모두와 선택적으로 결합할수 있도록 한다. 이들은 또한 전기식 록킹 장치와 일체식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한 전기 모터 또는 다른 모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도 25의 경우에, 예를들어 전면 도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외부 도어 손잡이는 케이블(701)을 통해 멈춤쇠 해제 레버(700)에 연결될수도 있으며 레버(900)를 통해 내부 도어 노브에 의해 잠궈질수도 있다. 내부 손잡이는 레버(800)를 구동시킬수 있다. 그러나, 후면 도어에 있어서, 도어 핸들을 갖춘 연결부는 역전되며, 레버(900)가 과도하게 작용될수 있거나 기계식 어린이 안정 레버로서 사용될수 있다.
도 25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회전식 커플링 부재(300,400)는 우측의 최대 위치 및 도시된바와 같이 좌측의 최대 위치사이의 러그(410,420)를 구동시키며, 상기 우측의 최대 위치에서는 러그(420)가 노치(803)로부터 자유로울수 있고, 러그(410)는 노치(453)로 부터 자유로울수 있다. 러그(420)는 포크(fork,259)의 죠오(jaw)로 멈춤쇠(pawl,20)상에 영구 결합된다.
회전식 커플링 부재(350,450)는 노치(702)에 의해서 멈춤쇠 해제 레버(700)상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동될수 있는 좌측면상의 러그(451)를 구비한다. 상술된바와 같이, 핀(903)을 통하여 레버(900)에 피봇 결합된다. 상기 회전식 미끄럼 부재(450)에는 멈춤쇠 해제 레버(800)상의 러그(802)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구동될수 있는 노치(4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부재에는 또한 노치(4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치(453)는 좌측 최대 위치에 있을때, 다른 회전식 미끄럼 부재(400)의 러그(410)를 구동시킨다.
그래서, 레버의 작동은 도시된 위치에서만 러그(451,420)를 통해 멈춤쇠를 구동시킨다. 회전식 미끄럼 부재(450)가 좌측으로 이동될때, 러그(451)는 노치(702)와 더이상 결합되지 않고, 레버(700)는 중립으로 된다.
노치(803)를 통한 레버(800)의 작동은 회전식 미끄럼 부재(400)가 도시된바와 같이 부재의 좌측 최대 위치에 있을때를 제외하고 바로 러그(420)을 구동시킨다. 이때, 멈춤쇠가 구동된다.
회전식 커플링 부재(350,450)가 중립, 좌측 최대 위치(도시되지 않음), 중립 레버(700)에 있을때에는, 회전식 미끄럼 부재(450)의 노치(452)상에 작동하는 러그(802)를 갖는 다른 해제 레버(800)의 작동에 의해서 도시된바와 같이, 결합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그래서, 외부 도어 핸들이 도어 래치상에서 작동하며, 상기 도어 래치상에서 내부 도어 핸들이 어린이 안전 레버에 의해서 중립으로 되고, 이어서 내부 도어 핸들의 작동이 도어를 개방시킨다. 다시 말해서, 외부 핸들의 작동은 우선적으로 어린이 안전 기능 역할을 한다. 유사하게도, 이러한 장치는 내부 전방 도어 핸들이 작동될때 레버(800)에 의해서 레버(900)에 결합된 내부 도어 노브를 들어 올릴수 있는 도어 록킹의 보강완충판(override)용으로 제공된다.
도 26의 장치는 두 회전식 미끄럼 부재(400,450)가 장치의 우측면상에서 멈춤쇠 포크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25의 장치에 대해 아날로그식으로 작동된다.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한다. 도 26a는 상기 장치의 우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내부 도어 핸들의 선택적인 작동이 전자 중심 제어 유니트로 부터 전기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기계적인 어린이-안전 레버용으로 필요한 물품을 필요없게 한다. 기계적인 보강완충판(override)으로서 외부 도어 핸들을 사용하면, 내부 핸들이 개방되고, 이것은 어린이 안전 뿐만아니라 경찰용자동차에 유용하다.
상기 장치는 도 25에서 레버(900)에 연결된 내부 도어 노브(knob)를 중립에 위치시키므로서, 이중록킹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단일 전기 모터가 이중록킹으로 제어될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내부 및 외부 핸들의 록킹 및, 어린이 안전 제어가 이루어질수 있다. 전기적인 어린이 안정 록킹은 임의의 개별적인 장치가 없더라도 내부 도어 핸들의 독립적인 제어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현행 도어 래치는 이중 록킹을 위한 다수의 기계적인 유니트를 필요로 하며, 때때로 두 모터가 실시된다.
기계적인 도어 핸들 작동으로서 일시적인 차단이후에 록킹 및
언록킹(unlocking)의 연속
도 25 및 도 26의 멈춤쇠 해제 레버(700)는 중립 위치(700A)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의 멈춤쇠 해제 레버(700)는 전체 작동 위치(700B)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중에, 위치(d)에서 대응하는 회전식 커플링 부재의 러그(420)는 언록킹 상태에서 부분적으로만 구동될수 있고, 완전한 록킹 상태를 위해 중립 위치(420A)에서 결합 위치(420C)로 이동된다. 이것은 러그가 레버(700)의 에지에 대해 위치(420B)에 인접하기 때문이다. 도어 핸들이 해제되어 위치(e)로 복귀되고, 노치가 위치(702A)로 상승될때, 러그(420)는 위치(420B)로부터 그 완전한 결합 위치(420C)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초기 시도가 차단된후에라도, B 로부터 C로 왼쪽으로 연속적인 이동을 위해, 전기 모터는 중심 록킹 제어 유니트(90)의 제어하에서 다시 구동된다. 그러나, 임의의 기계적인 장치는 러그를 위치(420B)로 부터 위치(420C)로 이동시키는 기계적인 탄성 편향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420A) 및 위치(420C)사이의 러그의 중간 위치와 대응하는 불안전한 중심 위치를 갖는 오버-중심 스프링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것은 레버(700)와 결합되는 순간 위치(420B)의 약간 오른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러그는 중심위치로 이동될때까지 오른쪽으로 편향되며, 중심위치를 넘어서 왼쪽으로 편향된다. 이러한 오버-중심 스프링 장치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비틀림 스프링이 적용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그 단부가 러그 및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의 멈춤쇠(20) 및 회전식 미끄럼 부재(400)의 임의 형상은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서로 길이가 다른 포크 아암(430,431)을을 구비한 포크는 멈춤쇠에 형성되는 대신에 회전식 미끄럼 부재(400)에 형성된다. 멈춤쇠에는 포크와 결합되는 하향의 디펜딩(depending) 핀(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회전식 결합 부재 및 레버의 밀봉 또는 격리를 용이하게 하며, 구동 기어 및 모터로 연결되어 밀봉된다. 멈춤쇠 및 래치 볼트는 핀(20A)이 피봇(21)위로 하우징의 밀봉 개구를 를 통과할수 있기 때문에, 도 28의 장치와 함께 상기 밀봉된 조립체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수 있다. 이것은 보다 양호한 방수효과를 얻을수 있고, 그릿(grit) 및 다른 마모물질을 제외하므로서 래치 작동기의 상승을 개선할수 있다.
전자 기계적인 어린이-안전 장치
도 29에는 상술된 래치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계적인 어린이-안전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 전기 모터(70)는 슬롯(193)을 통해 도면번호 192에서 피봇되는 미끄럼 블록(191)에 의해서 도면번호 195에서 피봇되는 레버(194)를 구동시킨다. 상기 블록(191)은 선형적으로 이동이 억제되고, 감속기어를 통해 모터에 의해서 구동된 리드스크류(leadscrew,198)에 의해 구동된다. 그 피봇된 단부에서 레버(194)는 위치(c) 및 위치(d)사이의 방향(D3 및 D4)에서 선형적으로 왕복 이동할수 있는 작동레버(197)에 연결된 핀(196)을 구비하므로, 어린이-안전 매카니즘을 작동시킨다. 상술된바와 같이, 이것은 내부 도어 핸들의 분리를 위해 상기 매카니즘을 멈춤쇠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전기제어는 후방 도어 래치에서 어린이-안전 레버 또는 스위치에 필요한 부품을 필요없게 한다.
결합된 전기적인 록킹 및, 도어의 개폐
도 30 내지 도 38에 도시된 장치는 전기적인 도어 록킹 및 언록킹(중심록킹) 및, 도어의 개폐와 같은 래치 장치를 위한 독립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단일 전기 모터를 구비한다. 다양한 독립적인 혁신은 다른 장치와 비슷하다.
도 30에서의 래치 장치는 두 중립위치(Np1 및 Np2)를 갖는 단일 캠 핀(30) 을 갖는 회전식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와,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1009)에 의해서 상기 위치속으로 편향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방향(D1 및 D2)에서 제어된 작동은 셔틀 매카니즘(1006)의 캠 핑거(1004)와, 도어 록킹용 레버 아암(1001)의 독립적인 작동을 일으킨다. 전기 록킹은 복귀 비틀림 스프링(1002)에 대해 방향(D11,또는 D12)으로 레버(1001)를 회전하므로서 이루어지므로, 록킹부재(300,350)는 함께 작동된다. 도시된바와 같이, 레버(1001)의 캠(1003)은 캠 핀(30)의 회전 방향에 의존되어 중립 위치(C)에서 최극단 위치(C1,C2)중의 하나로 회전된다.
멈춤쇠(20)의 레버상(1008)에 작동하는 인접 표면(1005)을 구비한 셔틀(1006)에 의해서 도어는 개방된다. 셔틀의 하부단부에서 인접면(1010)에 의해 도어는 밀폐되며, 상기 셔틀은 도어를 위치(B)에서 위치(B1)로 이동시키기 위해 래치 볼트 연장부(37)에 대해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바와 같이, 캠 핑거(1004)는 중립 위치(Np) 및 최극단 위치(P1 및 P2)사이를 이동시킨다. 상술된바와 같이, 셔틀은 인장 압축 코일 스프링(1007)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31의 장치는 회전식 인덱싱 및 구동 부재(50)상의 단일 캠 핑거(1012)가 3가지 기능으로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30의 단일 레버(1001)는 상기 회전식 부재(50)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배열된 두 레버(1010,1011)에 의해서 대체될수 있다. 상기 캠 핑거(1012)는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서 3개의 중립 위치(Np1,Np2 및 Np3)를 갖는다. 이것은 도시된바와 같이 2개의 부재(300 및 35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수 있다.
도 32에는 또다른 상이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4개의 작동부재가 캠 핑거(1012)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4개의 작동 부재(1020 내지 1023)는 회전식 부재(50)주위로 동일한 각도로 배열된다. 이것은 단일 전기 모터가 도 31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기 도어 개폐 및 두 핸들의 선택적인 록킹을 제어할수 있고, 보조적인 기능으로서 어린이-안전 작동을 이룰수 있다. 도 32의 장치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상이한 캠(1012)들이 다수의 기능에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캠 축상에서 회전식 부재(50)의 축선으로 이격된 다른 면상에 배열된다.
도 33에는 뒷문 또는 부트(boot)래치에 이용하는데 적합한 또다른 상이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일 캠 핀(30)은 멈춤쇠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멈춤쇠의 작동없이 D7 방향이 아닌 D3 방향으로 멈춤쇠를 구동시키기 위해 독립 플랜지(1031)에 배열된 회전식 레버(1030)를 통해 멈춤쇠(2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그래서, 캠 핀(30)은 멈춤쇠에 의해서 방해되는 일 없이 레버(1030)를 회전시키기 위해 D6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수 있다. 캠 핀(30)은 록킹 부재(300)를 작동시키기 위해 레버 아암(1034)을 작동시키며, 상기 록킹 부재는 링크(245)를 통해 핸들 또는 노브를 멈춤쇠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다른 장치에서 기술된바와 같이, 회전식 부재(50)는 판 스프링(1037)이 반경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에 대해 회전식 캠에 의해서 중립 위치속으로 편향된 스프링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도 34에는 캠 핀(30)이 적절한 핀 또는 돌출부(304,305)를 통해 두 미끄럼 록킹 부재(300,350)를 구동시키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354)는 위치(A,A1,A2 및 A3)사이로 캠 핀(3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고, 돌출부(304)는 위치(B,B1,B2 및 B3)사이로 이동가능하다. 돌출부(304,354)의 안정된 위치는 도시된바와 같이 점선상의 위치(A1,A2 및 B1,B2)이며, 캠핀(30)에 의해서 상기 위치들 사이로 변위되며, 캠핀(30)의 통과후 상기 위치들로 복귀된다. 캠핀(30)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치들은 대응하는 최극단 위치(A,A3,B,B3)에 대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예를들어, 고정 블록(1054)에 의해 유지되고 피봇상에 배열된 비틀림 스프링(1053)에 의해서 중심 위치속으로 편향되고 위치(1052)에서 피봇되는 토글(toggle, 1050)의 형태를 취하기 위해 록킹부재(300,350)상에 돌출부를 배열하므로서, 도 35에 도시된바와 같이 탄성이 이루어진다. 토글 또는 핑거(1050)는 스프링 아암(1051)에 의해서 중립 위치(P)에 복귀되도록 위치(P1)에 회전가능하게 변위될수 있다. 유사하게도, 위치(P2)는 스프링 아암(1055)에 의해서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변위된다.
임의의 탄성 변형이 물론 가능하다. 도 36에 도시된바와 같이, 캠 핀(30)은 고정되고 액츄에이터(1080)에서 박스변형 내에 유지되는 V-형상의 판 스프링(1070)위로 주행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록킹부재들중의 하나의 일부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도 37에 도시된바와 같이, 핀 또는 버튼(30)은 하우징내의 미끄럼 부재를 위해 회전식 부재(60)의 작동기에 장착되므로, 관련 캠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압축될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장치에서, 회전식 캠(1083)은 회전 작동이후 캠(1083)이 통과할수 있도록 회전식 부재(50)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할수 있는 가요성 신장 아암(1081,1082)과 결합된다.
키이 작동 매카니즘
도 25 및 26에 도시된 래치 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키이 매카니즘의 작동은 도 29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통상의 원통형 키이 매카니즘은 회전식 출력을 갖고 있으며, 상기 출력은 록킹부재(300,350)의 선형 변위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것은 키이 매카니즘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배열된 특수 형상의 캠 디스크(500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39 및 41의 장치에서는, 캠 표면이 록킹 부재의 반대방향의 선형 이동을 일으키고, 도 40 및 도 42의 장치에서도, 상기 캠 표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장치들은 동일한 록킹부재의 독립적인 기계 작동이 이루어진다.
도 39 및 도 41에 도시된바와 같이, 캠 디스크(5000)는 디스크 평면에서 낮은 위치로 부터 높은 위치로 경사져 있으며, 록킹부재를 소정의 선형거리로 변위시키기 위해 디스크 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4분원(Q1 내지 Q4)의 각분원에서 웨지형 캠 표면을 구비한다. 예를들어, 캠 표면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4분원들은 디스크의 대향면상에 위치된다. 도 40 및 도 42의 실시예에서, 캠 표면의 대향 4분원들은 디스크의 동일한 면상에 있게된다. 도 39 및 도 40에서의 영역(D3 및 D4)은 록킹부재가 이동되는 디스크면과 직각인 방향을 나타낸다.
작동중에, 키이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디스크(5000)를 1/4 회전하도록 구동하므로서 록킹 및 언록킹상태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이동은 변환된다.
도 43에 도시된 또다른 록킹장치는 작동될때 록킹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도 39 및 도41의 시스템에 대응된다. 키형상의 원통형 리세스를 갖는 어댑터(2007)는 변환기 디스크(5000)를 구동하도록 결합되며, 키 형상의 단부(2005)를 갖는 키이(2001)에 의해 구동될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각도 오차는 아아크 스플라인(2005)에 의해서 원뿔(2003)위로 허용된다. 방향(2004)으로의 키이의 회전은 어댑더(2007)를 구동시키고, 상기 어댑터(2007)는 적절한 회전방향으로 디스크(5000)를 구동시킨다.
그외 도난으로 부터의 안전을 위해, 관형 슬리브(2002)는 키이(2001)의 축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테플론, 실리콘 또는 부착성 그리이스와 같은 항-부착 재료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물림으로 인하여 톱니 잇빨이 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임의의 장치에서, 통상의 키이 매카니즘은 케이블 또는 로드 또는 레버에 의해서 래치와 결합된다.
도 44에 도시된 원통형 키이 매카니즘은 키이 축(2001)에 연결된 반경방향의 아암(2011)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형 레버(2011)와 함께, 도 44a 및 도 44b의 자치는 록킹부재의 단부플랜지에서 사방형상의 구멍(2010, 도 44a 참조) 또는 구멍(2100,2200, 도 44b 참조)을 제공하므로서 각각의 록킹부재(300,350)를 구동하는데 이용될수 있다. 사방형상의 구멍의 에지는 레버(2011)의 회전에 의해 캠표면으로서 작동하며, 도 44a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향 또는 도 44b에서와 같이 반대방향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록킹부재를 선형적으로 구동시킨다. 도 44c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키이 록킹 장치(3003)는 피봇되는 레버(3001)의 노치(3001)에서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레버(3001)는 방향(3008)으로 선형 이동가능한 작동 레버(3002)에서의 노치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것은 물론 록킹부재(300,350)들중의 하나 일수도 있다. 두 록킹부재의 경우에, 두 레버(3001)는 동일한 회전식 축선(3006)상에 제공된다.
이중 록킹
상술된 전기적인 이중 록킹 장치이외에도, 기계적인 장치가 도 45에 도시되어 있다. 키이 매카니즘(451)은 내부 도어 노브 매카니즘(452)과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배열되며, 이들 매카니즘의 단부들은 도시된바와 같이 두 매카니즘에 피봇 결합된 피봇 레버(453)에 의해서 결합된다. 키이 매카니즘(451)상의 레버(453)의 피봇 축상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455)은 정지 가이드(456)주위에 배치되며 레버(453)상의 캠 핀(457)주위로 또한 연장되는 두 림(limb)을 구비한다. 회전식 인장 방향들중의 한방향에서 도 45에 도시된 중립위치로부터 멀리 레버(453)를 회전시키면, 스프링의 적절한 림은 핀 상에 작동되어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키이 매카니즘(451)상의 돌출부(460)는 AA로 도시된 위치를 넘는 레버의 회전을 방지한다.
두 평행 가이드 레일(458,459)들은 래치 하우징에 고정되며, 도시된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선형적으로 변위된다.
도 45에 도시된바와 같이 록킹되지 않은 위치에서, 도어는 키이 매카니즘을 D1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록크되며, 핀(457)을 라인 BB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키이 매카니즘에 의해서 록크되지 않을수 있으며, 진행과정은 역전된다. 언록킹이 D3방향에서 내부 도어 노브(452)를 들어 올리므로서 시작되다면, 레버(453)가 D4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핀은 우측 가이드 레일(458)에 의해서 유지되는 위치(457A)로 이동된다. 이것은 이중 록팅, 데드(dead)록킹 또는 우수한 록킹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어가 내부 도어 노브(452)에 의해서 록킹되며, 이때 레버(453)가 D2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핀은 라인AA를 따라 가이드 레일(459)의 좌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핀(457)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될수 있다. 가이드 레일(459)은 라인AA를 따라 핀(457)의 복귀를 차단하지 않도록 충분히 하향으로 연장된다.
멈춤쇠 해제 레버(460) 또는 임의 액츄에이터는 도 46에 도시된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조중에는, 시트 금속 블랭크(460)에는 양단부에 형성되어 레버상에 횡축으로 정렬된 원형 구멍(461,462)과, 한 단부에 형성된 횡축 플랜지(469)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슬롯(463)은 구멍(462)을 외측으로 개방시키기 위해 플랜지(469)에서 절단된다. 제조중에, 플랜지(469)는 구멍(461,462)이 정렬되는 위치(467,468)에서 접혀지므로 도시된바와 같이 메인부(460)와 대면하게 된다. 케이블(465), 예를들어 바우던(Bowden) 케이블 단부에서 원통형 니플(466)은 플랜지면으로 부터 구멍곳으로 니플을 삽입시키고, 슬롯(463)을 통해 케이블(465)을 구멍속으로 삽입시키고, 자유스럽게 회전가능한 위치속으로 록킹하기 위해 시게방향으로 케이블을 회전시키므로서 최종 레버(460)와 결합된다. 제조중에 플랜지가 접혀지듯이 케이블 니플이 트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리벳 또는 해제 레버의 성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레버는 성형하는 것보다 더 콤팩트하게 제조될수 있다.
래치 액츄에이터용 하우징
상술된바와 같이, 래치 액츄에이터는 소형 박스형 하우징속에 형성될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우징은 측벽(3027)과 함께 두 대향 단부판(3017,3018)으로부터 형성될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적절한 볼트(3024,3025, 3026)에 의해서 축(3019)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3023)과, 멈춤쇠 및 다른 매카니즘(3020,3021,3022)용 피봇축(21)과, 래치 볼트(11)용 피봇축(15)에 고정된다. 이러한 피봇 축(21,15)들은 판(3017)을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의 상향 돌출부를 구비하고, 반경방향의 확대부(3015, 3028)를 각각 포함한다.
신장된 밀폐판(3010)은 돌출형 피봇축(3015,3028)과 결합되는 키이홀-형상의 구멍(3012,3013)을 구비한다. 제조중에, 래치장치 부재가 도시된바와 같이 조립될때, 상기 판(3017)은 3 스핀들위로 삽입되고, 밀폐판(3010)은 확대부(3015,3028)위를 통과하는 키이홀(3012,3013)의 대형 원통부에 위치된다. 이시점에서, 밀페판에서 대응구멍(3011)은 도시된바와 같이, 스핀들(3019)축과 약간 정렬에서 벗어나 있다. 이때, 상기 밀폐판(3010)은 A방향으로 상기 판(3017)위로 미끄럼 이동되어 록킹위치에 있게 된다. 각 키이홀의 내부는 미끄럼 이동되고, 피봇축(21,15)상의 각 스핀들을 유지시킨다. 이때, 밀페 판은 확대부 또는 스터드(3015,3028)를 지지한다. 밀폐 캡(3014)은 구멍(3011)을 통해 푸쉬 피트와, 상기 판(3017)에서의 대응구멍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밀폐판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밀폐판(3010)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캡(3014)을 제거시키고, 이때 밀폐판을 제거시키고, 래치조립체의 나머지를 분해하므로서, 래치 장치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분해할수 있다. 그래서, 고장난 부품은 항상 교체될수 있다. 래치하우징의 각 단부는 그 자신의 밀폐판을 구비한다.
멀티 록킹을 작동시키는 키이 매카니즘
도 48에 도시된바와 같이, D1 또는 D2의 어느 한방향으로 회전할수 있는 출력방향의 레버(482)를 갖는 단일 회전식 키이 매카니즘은 두개의 상이한 록킹 매카니즘(485,486)을 작동시키기 위해 케이블(483,484) 각각을 통해 배열된다. 비록 임의의 링키지가 물론 가능하지만, 바우던(Bowden)케이블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차량 도어상의 키이 매카니즘은 동일한 도어 및 상이한 도어상의 래치들에 각각의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될수 있다. 그러나, 키이 매카니즘은 외측으로 부터 도달할수 있는 차량 바디상의 어디에라도 위치될수 있다. 이것은 요구되는 키이 매카니즘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보다 양호한 유선형을 갖는 도어를 만들수 있다. 물론, 이것이 도어가 아닌 다른 밀폐부에 적용될수 있고, 3개 또는 그이상의 록크가 동일한 키이 매카니즘에 각각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수 있다.
클러치 매커니즘
도 49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 개폐를 위한 전기 구동 매커니즘은 도어 핸들과 같은 기계식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는 동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매커니즘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터 출력 스핀들(60A)은 하우징(491)을 통해 연장하는 스핀들(492)로부터 회전식 출력 구동기(60)를 구동한다. 상기 회전식 구동기(60)는 내측으로 스플라인 결합된 기어(498)와 메쉬 결합하는 스플라인 기어(496)에 연결된다. 상기 커플링 기어(498)는 원추형 캠면(497)으로 형성되고 회전식 캠유닛(1493)을 구동하는 출력기어(1490)와 메쉬 결합하여 축방향으로 편향된 스프링이며, 상기 제 1 캠(1495)은 링크아암(1491)에 의해 포올을 작동시키고 제 2 캠(1494)은 래치 볼트(11)를 구동시킨다. 상기 커플링 기어(498)는 도면부호 499에서 서로 대향하는 치형에 의해 최종 출력기어(1490)과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커플링 기어(498)는 단부가 도 50에 도시되어 있는 링크아암(495)에 의해 구동될 때 출력기어와 결합으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링크아암상의 단부 플랜지(494)는 커플링 기어(498)를 구동시키도록 원추형 캠면(497)과 축방향으로 공동 작동하여 스프링을 압축하는 웨지형 캠(4941)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아암(495)은 스프링(493)에 의해 도 49에 도시한 바와같은 중립위치로 탄력적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링크아암은 클러치와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전기적 구동이 기계적 구동과, 또는 이와 반대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55)

  1. 스트라이커를 해체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장치로서,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해제 위치에서 해체하하는 형상의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위치로 래치볼트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록킹매커니즘과,
    상기 록킹매커니즘을 도어핸들과 같은 래치를 개방하는 수동식 외부 제어기에 연결하는 수단과,
    상기 록킹매커니즘을 래칭하거나 래칭해제 및/또는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위치나 래칭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 작동용 록킹매커니즘 및/또는 래치볼트에 결합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전기구동 모터에 결합하는 회전식 클러치, 및
    래치를 개방하는 수동식 외부 제어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및 록킹기구가 구동수단과 차단되도록 상기 수동식 외부 제어기에 결합되는 클러치 해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커를 해체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클러치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고 상기 록킹매커니즘 및/또는 래치볼트와 회전구동에 의해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편향되는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해체매커니즘은 클러치 링상의 캠면과 공동 작동하여 상기 구동수단이 전기구동 모터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아암의 선형운동에 의해 상기 링을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캠면을 갖는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4. 전술한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구비하고 전기 구동식 개폐 도어를 갖는 차량용 도어 래치.
  5. 전술한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에 사용하기 위한 클러치 매커니즘.
  6. 데드록킹 장치를 갖는 차량용 도어 래치로서,
    상기 도어 래치를 사용중에 각각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위치와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키이 매커니즘 및/또는 전기식 중앙 록킹매커니즘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되도록 배열된 1차 작동부재와,
    2차 작동부재로서, 두 개의 횡방향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차 작동부재의 상대운동의 결과로 1차 작동부재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아암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차 작동부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레버를 상기 1차 작동부재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도록 사용중에 내부 도어 노브에 연결되게 구동된 2차 작동부재, 및
    상기 레버아암을 안내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2차 작동부재를 당김으로써 록킹해제를 방지하도록 상기 레버아암을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래치 프레임에 고정된 종방향 포메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데드록킹 장치는 1차 작동부재에 의한 록킹으로 종방향 포메이션중 하나에 인접된 선택적으로 록킹이능한 위치로 상기 종방향 포메이션을 따라 상기 레버아암이 제 1 통로를 이동하며, 상기 레버아암이 1차 작동부재를 후퇴시킴으로써만 제 1 통로를 따라 복귀가능하고 상기 제 2 작동부재가 당겨져 있는 동안에 상기 레버아암이 종방향 포메이션에 대해 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래버아암은 종방향 포메이션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는 핀과 같은 캠 종동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프레임에 고정된 종방향 포메이션은 1차 작동부재의 이동통로에 평행한 한 쌍의 팽행한 레일과, 록킹이 1차 작동부재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레버아암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고 1차 작동부재에 의해 실행될 때에만 상방향 운동을 허용하도록 배열되는 제 1 레일, 및 2차 작동부재에 의해 록킹이 실행될 때 방해없이 상기 래버아암을 상하로 안내하도록 배열되는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9.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록킹장치가 전기적 중앙 록킹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상기 1차 작동부재용 전기식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10. 도어를 래칭해제하고 개방하기 위한 내외부 손잡이를 갖는 차량용 래치장치로서,
    상기 내부 손잡이를 상기 래칭장치내의 래칭부재와 구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래칭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어린이 안전로크 제어매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어린이 안전로크 제어매커니즘은 액츄에이터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래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래칭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 역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래치장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부재는 키이매커니즘과 같은 외부 기계장치의 제어하에 로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래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부재의 록킹은 전기식 중앙 록킹매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록킹매커니즘의 모터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전기모터 또는 기타의 보조 모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래치장치.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용 위치센서는 신호를 상기 전기식 중앙 록킹매커니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래치장치.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매커니즘의 전기 제어를 무효화하기 위한,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기계식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래치장치.
  16. 래치장치를 각각 구비한 도어를 각각 갖는 전후방 객실을 갖춘 차량으로서,
    상기 후방도어는 제 10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한항에 따른 래치장치를 가지며, 상기 전방 객실로부터 수동 제어되거나 원격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제 10항 내지 제 15항에 따른 래치장치내의 전기작동식 어린이 안전매커니즘.
  18. 차량용으로 적합한 록킹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및 뒷문 도어와 같은 폐쇄장치를 위한 적어도 두 개의 분리형 래치장치로서, 상기 폐쇄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래치 및 상기 래치장치를 선택적으로 해제 또는 록킹하기 위한 래치 액츄에이터를 갖는 래치장치, 및
    키이에 의해 작동가능한 단일의 키이매커니즘로서, 두 개 또는 모든 래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각각의 케이블에 의해 상기 래치 액츄에이터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키이매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록킹 시스템.
  19. 제 18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보든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록킹 시스템.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매커니즘은 상기 각각의 케이블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출력 레버를 갖는 원통형 키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록킹 시스템.
  21.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뒷문 도어 및 제 18항 내지 제 20항들중 어느한 항에 따른 록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단일의 키이매커니즘가 차량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록킹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액츄에이터가 각각의 도어내에 배열되며 상기 단일의 키이매커니즘가 도어의 외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록킹 시스템.
  23. 복수의 도어 래치를 하나의 키이매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제 18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24.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차량 도어 또는 다른 폐쇄장치용 래치 조립체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치 볼트의 래칭 회전식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회전식 위치에서 해제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피봇장착식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 회전식 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가 래칭해제 회전식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포올, 및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제어기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포올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포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내의 포올과 공동으로 피봇하게 장착되는 포올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또는 폐쇄장치용 래치 조립체.
  25. 제 24항에 있어서, 회전식 구동장치를 포올 해제 레버로부터 포올로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그렇지 않은 중립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회전식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조립체.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연결부재는 포올의 피복운동 축선 주위에서 회전 및 미끄럼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조립체.
  27. 제 24항 내지 제 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외부 도어 핸들과 같은 분리형 외부 제어기에 의해 작동하도록 상기 하우징내의 공통 피봇축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조립체.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올 해제 레버는 포올의 피봇운동 공통 축선 주위에서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조립체.
  29. 제 24항 내지 제 2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의 분리형 피봇축상에 장착되고 내부 도어 노브와 같은 외부 제어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중 하나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조립체.
  30.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차량 도어 또는 다른 폐쇄장치용 래치 조립체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치 볼트의 래칭 회전식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치볼트 및 록킹부재의 래칭해제 회전식 위치에서 해제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피봇장착식 래치볼트, 및
    상기 평판을 비파괴식으로 해제될 수 있게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측벽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평행하게 대향된 단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볼트용 피봇의 단부는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피봇을 갖는 각각의 단부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래치 조립체.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래칭 회전식 위치에 상기 래치볼트를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래칭해제 회전식 위치로 상기 래칭볼트가 이동되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내에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포올이며, 상기 포올 피봇의 양단부는 상기 단부판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포올 피봇을 갖는 각각의 단부판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래치 조립체.
  32. 제 30항 또는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각각의 단부판 또는 단부판들위에서 미끄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또는 피봇들은 상기 하나의 단부판 및 폐쇄판 내부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며, 상기 폐쇄판은 폐쇄판이 피봇으로부터 제거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이 분해되는 로크해제 위치와 상기 폐쇄판이 피봇 또는 피봇판의 단부에 있는 확대부에 의해 하나의 단부판에 대해 고정되는 로크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래치 조립체.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은 각각 하나의 단부판과 폐쇄판 내부에 있는 두 개의 상부구멍 내측으로 밀려진 폐쇄장치에 의해 로크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유지됨으로써 폐쇄장치의 제거가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래치 조립체.
  34. 제 30항 내지 제 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볼트 및/또는 포올-록킹 및 록킹해제 매커니즘을 구동시키도록 배열된 전기모터를 더 포함하며, 분리형 하우징을 갖는 상기 전기모터는 경질의 조인트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전기모터, 래치볼트 및 포올이 모터와 상기 하우징내부의 부품들을 상호 구동시키기 위한 서로 대향된 개구들을 제외하고 독립적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래치 조립체.
  35. 제 30항 내지 제 3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래치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을 단부판 위에 위치시키고, 폐쇄판을 피봇에 대해 로크되도록 미끄럼시키며 상기 폐쇄판을 미끄럼운동에 대해 제거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조립체의 조립방법.
  36. 스트라이커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래치볼트로서, 래칭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고 상기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위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가 래칭해제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록킹매커니즘과,
    상기 록킹매커니즘을 도어 노브와 같은 래치-개구 외측의 수동 제어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록킹매커니즘을 래칭 또는 래칭해제하도록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수동 제어장체에 의해 구동되고 회전식 커플링부재에 의해 록킹매커니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피봇 해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레버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식 커플링부재와 록킹부재를 구동시키며, 상기 회전식 커플링부재는 상기 래제 레버로부터 록킹매커니즘로 회전구동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커플링 위치와 그렇지 않은 중립위치 사이에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해제레버는 해제레버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식 커플링 부재가 커플링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식 커플링부재는 제 2 위치에 있는 해제레버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동안에 커플링 위치쪽으로 완전하게 어떤 이동을 계속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해제레버가 제 1 위치로 복귀한 후에 상기 회전식 커플링부재를 커플링 위치로 구동시키는 전기 록킹매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커플링부재는 커플링 위치와 중립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조절하는 오버센터 스프링에 의해 고정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식 커플링부재가 오버센터 스프링 위치를 통과할 때에만 해제 레버와 먼저 접촉함으로써 오버센터 스프링이 상기 회전식 커플링 부재를 커플링 위치쪽으로 완전하게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9. 차량용 도어 또는 다른 폐쇄부재용 래치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의 외측에서 도어 노브와 같은 수동 제어장치에 의해 해제되는 래치, 및
    상기 도어 또는 폐쇄부재를 로크해제하도록 상기 래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동제어장치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해제 시키는 록킹/록킹해제 매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수동제어가 수행되었지만 정상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상기 록킹/록킹해제 매커니즘가 수동제어장치의 운동을 상기 래치에 연결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중립상태를 유지하며, 일단 상기 수동제어에 의해 정상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록킹/록킹해제 매커니즘가 중립상태로부터 커플링 위치로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40. 제 36항 내지 제 3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작동되면 록킹해제 작동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41.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를 구비한 키이 매커니즘과,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 아암이 키이 매커니즘의 회전과 함께 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에 연결되는 회전-선형 운동 변환기와,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 아암의 제어하에서 선택적으로 잠길 수 있는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래치 어셈블리 내에서 독립적인 록킹 매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평행한 액츄에이터 아암이 선형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선형 운동 변환기가 배치되는 래치 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한 액츄에이터 아암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래치 장치.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한 액츄에이터 아암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래치 장치.
  45. 제 41항 내지 제 4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선형 운동 변환기가 상기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캠 디스크와,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 아암 또는 각각의 액츄에이터 아암내의 캠 종동부 표면을 포함하는 래치 장치.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캠 종동부 표면이 상기 액츄에이터 아암 또는 각각의 액츄에이터 아암내의 노치 또는 구멍의 가장자리인 래치 장치.
  47.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은 상기 캠 디스크의 회전각의 함수인 거리 만큼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인 래치 장치.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은, 서로 다른 각각의 액츄에이터 아암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향으로 동일한 액츄에이터 아암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캠 디스크의 양쪽 면 모두에 형성되는 래치 장치.
  49. 제 41항 내지 제 4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래치 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키이 매커니즘에 연결되기 위한 회전-선형 운동 변환기.
  50. 키이 매커니즘을 자동차 도어 래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 41항 내지 제 4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장치.
  51.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회전식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에 연결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로부터 각각의 돌출부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션 부재와, 그리고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를 위치시키고 따라서 래치 어셈블리 내에서 래치의 록킹 또는 해제 및/또는 도어 또는 기타 개폐 부재의 완전한 폐쇄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기 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또는 각각의 돌출부 및/또는 상기 액츄에이션 부재들 또는 각각의 액츄에이션 부재가 필요한 동작이 완료된 후에 제한된 변위가 허용되고 따라서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가 완전한 원을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상호 접점에서 충분하게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래치 장치.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래치 장치.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볼 베어링과 같은 스풀을 포함하고, 스프링은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의 외측으로 편향되는 래치 장치.
  54.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션 부재들 또는 각각의 액츄에이션 부재가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와의 그 접점을 향하여 스프링-편향되는 래치 장치.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션 부재가 고정된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피벗 결합되고, 그리고 그 피벗 운동이 스프링-편향되는 래치 장치.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션 부재가 그 단부에서 관절부로 되고, 상기 관절부가 스프링-편향되는 래치 장치.
  57. 제 51항 내지 제 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가 그들의 중립 안정 회전 위치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상기 안정 회전 위치는 2 또는 그 이상의 액츄에이션 부재 사이에 있으며, 따라서 이것이 중간의 비안정적인 위치로부터 이와 같은 위치로 우선적으로 구동되는 래치 장치.
  58. 제 57항에 있어서, 회전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탄성적 편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의 회전식 캠 표면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편향 장치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59. 제 57항에 있어서, 회전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탄성적 편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가 고정된 캠 표면을 지탱하는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는 래치 장치.
  60. 제 51항 내지 제 5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래치 장치 내의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식 인덱싱 매커니즘.
  61.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칭을 개방하는 회전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래치 볼트가 그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회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의 이동을 위한 록킹 부재와, 내측 도어 핸들 및 외측 도어 핸들과 같은 각각의 외부 제어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것의 해제를 위하여 상기 록킹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와, 각각이 상기 각각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로부터의 구동력을 록킹 부재로 연결시키는 위치인 연결 위치와 그러하지 않은 중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각각의 커플링 부재와, 그리고 그들을 분리하거나 또는 함께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커플링 부재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어된 이동이 각각의 외부 제어부의 선택적인 연결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래치 장치.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시키기 위하며 그리고 또한 상기 외부 제어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상기 전기 모터의 제어를 위하여 전자적 중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63.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적 중앙 록킹 장치 및/또는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부품에 대한 전기적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64. 제 62항 또는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제어들 또는 각각의 전기적 제어는 적절한 각각의 외부-접근가능한 기계적 제어에 의해 번복될 수 있는 래치 장치.
  65.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래치 어셈블리를 개방하기 위한 2개의 외부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래치의 록킹 및 해제를 위한 전기 모터와, 외부 제어부가 래치 어셈블리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외부 제어부 중 하나 또는 양자가 래치 어셈블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적인 연결 매커니즘을 구비한 래치 장치.
  66. 제 61항 내지 제 6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전기 모터가 상기 록킹 부재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고 이로써 개폐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록킹 부재에도 또한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래치 장치.
  67. 제 61항 내지 제 66항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래치 장치를 포함하고, 단지 하나의 모터 만을 사용하는 선택적 중앙 록킹 래치.
  68. 제 66항에 따라서, 단지 하나의 모터 만을 사용하는 선택적 중앙 록킹 래치 및 전동식 도어 개방 래치의 조합.
  69.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칭을 개방하는 회전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래치 볼트가 그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회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의 이동을 위한 록킹 부재와, 내측 도어 핸들 및 외측 도어 핸들과 같은 각각의 외부 제어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것의 해제를 위하여 상기 록킹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와, 각각이 상기 각각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록킹 부재로 연결시키는 위치인 연결 위치와 그러하지 않은 중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각각의 회전식 커플링 부재와, 그리고 그들을 분리하거나 또는 함께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커플링 부재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커플링 부재의 제 1 회전식 커플링 부재는 제 2 회전식 커플링 부재와 연관된 상기 록킹 부재 해제 레버와 협동하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상기 제 1 회전식 커플링 부재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다른 멈춤쇠 해제 레버 및 멈춤쇠를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 부재 해제 레버의 동작이 상기 제 1 회전식 커플링 부재를 그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래치 장치.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식 제어 부재를 그 중립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 매커니즘과 조합하여 자동차의 후방 도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래치 장치로서, 상기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 매커니즘의 중립화 동작이 상기 록킹 부재 해제 레버의 작용에 의해 번복되는 래치 장치.
  71. 제 70항에 있어서, 외부 후방 도어 핸들의 작동시와 같은 경우에 상기 해제 레버의 작동에 의해 번복될 수 있는 전기적인 어린이 안전 록킹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 매커니즘이 상기 제 2 회전식 커플링 부재를 중립화시키고 연결시키는 각각의 위치들 사이에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장치.
  72.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 매커니즘이 상기 래치 장치에 인접하게 또는 상기 래치 장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래치 장치.
  73. 제 69항에 있어서, 도어를 록킹하고, 상기 록킹 부재 해제 레버의 작동이 도어 노브가 상승하도록 제 1 회전식 커플링 부재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도어 핸들이 상기 해제 레버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로크의 돌발적인 번복(Panic Override)을 제공하기 위하며, 해제를 보장하고, 그리고 이로써 외부 도어 핸들의 작동에 의해 재-진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내부 도어 노브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74. 제 69항 내지 제 7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가 멈춤쇠인 래치 장치.
  75. 제 69항 내지 제 7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자동차 도어 래치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돌발적인 도어 개방 장치.
  76.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칭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래치 볼트가 그 래칭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록킹 부재와, 상기 록킹 부재를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 수단과, 그리고 전기적 도어 개방을 위하여서는 상기 록킹 부재를 그리고 전기적 록킹 및 해제를 위해서는 상기 록킹 수단을 선택적이고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드라이빙 및 인덱싱 출력 드라이브를 구비한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77.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선택적으로 잠그고 해제시키도록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적 중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78. 제 76 항 또는 제 77항에 있어서,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제어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록킹 부재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79. 제 76항 내지 제 7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의 수동적인 록킹 및 해제를 위하여 상기 록킹 부재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키이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래치 장치.
  80. 제 76항 내지 제 7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가 멈춤쇠인 래치 장치.
  81.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에 사용되는 래치 장치로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칭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래치 볼트가 그 래칭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록킹 부재와, 그리고 상기 록킹 부재의 선택적인 록킹 및 해제를 위하여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록킹 수단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그리고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의 닫힘을 완료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전기 모터가 래치 볼트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장치되는 래치 장치.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회전식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를 구동시키며 그 회전 운동의 다른 위상을 초과하는 출력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식 드라이빙 및 인덱싱 부재는 상기 록킹 및 해제 수단과 래치 볼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래치 장치.
  83. 제 81항 내지 또는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전기 모터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록킹 부재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록 장치되는 래치 장치.
  84. 제 81항 내지 제 8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가 멈춤쇠인 래치 장치.
  85. 제 81항 내지 제 8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측 도어 핸들 및 외측 도어 핸들과 같은 각각의 외부 제어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것의 해제를 위하여 상기 록킹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와, 각각이 상기 각각의 록킹 부재 해제 레버로부터의 회전식 구동력을 상기 록킹 부재로 연결시키는 위치인 연결 위치와 그러하지 않은 중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상응하는 회전식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로서, 도어 또는 다른 개폐부의 닫힘을 위한 외부 제어부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일한 전기 모터가 상기 회전식 커플링 부재의 위치에 대한 선택적인 전기적 제어를 제공하는 래치 장치.
  86. 제 81항 또는 제 82항의 종속항으로서 제 85항에 따라, 단지 하나의 모터 만을 사용하는 선택적 중앙 록킹 래치 및 동력-지원 도어 폐쇄 래치의 조합.
  87. 제 83항의 종속항으로서 제 85항에 따라, 단지 하나의 모터 만을 사용하는 선택적 중앙 록킹 래치와 동력-지원 도어 개방 및 폐쇄 래치의 조합.
  88. 제 81항 내지 제 8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후방 도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래치 장치로서, 내부 도어 핸들과 같은 대응하는 외부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고립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식 커플링 부재 중 하나를 그 중립 위치와 그 연결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록크 제어 매커니즘이 독립적인 드라이빙 커플링을 통하여 동일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장치.
  89.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래치 장치로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칭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래치 볼트가 그 래칭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멈춤쇠와, 도어 핸들과 같은 래치-개방 외부 수동 제어부에 상기 멈춤쇠를 링크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멈춤쇠를 잠그거나 해제시켜 도어 개방을 제어하기 위하여 동력을 받는 멈춤쇠의 작동을 위하여 상기 감금쇠에 연결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역전가능한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를 구비한 전기적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를 소정 경로를 따라서 역전가능한 선형 드라이브로 변환시키는 기어부와, 그리고 상기 기어부에 의해 소정 경로를 따라 구동되고 상기 멈춤쇠를 그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돌출시키고 회전시키며 또한 상기 멈춤쇠가 그 록킹 위치로 복귀하는 자유로운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배치되는 멈춤쇠 드라이브 부재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90.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출력 드라이브는 동심의 리드 스크류에 고정되는 기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멈춤쇠 드라이브 부재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내부-나사부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
  91.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랙 및 피니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멈춤쇠 드라이브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멈춤쇠 드라이브 부재에 고정되는 래치 장치.
  92. 제 9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 드라이브 부재가 도어 폐쇄의 완료에 영향을 미치도록 상기 래치 볼트를 구동시키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래치 장치.
  93.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 드라이브 부재의 일 방향 선형 운동은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상기 멈춤쇠를 해제시키고, 그리 반대 방향의 선형 운동은 폐쇄되도록 래치 볼트를 구동시키는 래치 장치.
  94. 제 89항 내지 제 9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가 그 래칭 위치로 복귀하는 자유로운 위치로 상기 기어부를 복귀시키도록 상기 기어부 상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래치 장치.
  95. 제 91항의 래치장치에 따라, 랙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동식 도어 개방 래치 장치.
  96. 제 90항의 래치장치에 따라, 리드 스크류를 사용하는 전동식 도어 개방 래치 장치.
  97. 스트라이커를 해체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해제 위치에서 해체하하는 형상의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위치로 래치볼트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멈춤쇠와,
    상기 멈춤쇠를 도어핸들과 같은 래치를 개방하는 수동식 외부 제어기에 연결하는 수단과,
    상기 멈춤쇠를 래칭하거나 래칭해제 및/또는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위치나 래칭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 작동용 록킹매커니즘 및/또는 래치볼트에 결합되는 구동수단과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래치를 개방하는 수동식 외부 제어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및 록킹기구가 구동수단과 차단되도록 상기 수동식 외부 제어기에 결합되는 클러치 해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98. 제 97 항에 있어서, 회전식 출력 구동기 및 멈춤쇠의 피봇축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99. 제 97 항 또는 제 9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형상부는 핀 또는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노브는 멈춤쇠와 일체되는 해제레버의 에지와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0. 제 97항 내지 99항들중의 어느 한항에 따라,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 동력형 도어 개방식 래치 장치.
  101. 스트라이커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폐기용 래치장치에 있어서,
    래치볼트로서, 래칭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고 상기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위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가 래칭해제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와,
    회전식 출력 구동기와, 원형통로에서 회전되는 회전식 출력 구동기 상의 특수형상부로 구성되는 전기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특수 형상부는 래치 볼트의 밀폐를 완성하기 위해 인접부에 직접 또는 기계적인 구도 커플링을 통해 래치볼트를 구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형상부는 인접부에 직접 또는 기계적인 구동 커플링을 통해 록킹부재를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록킹부재 및 래치볼트의 구동기는 회전식 출력 구동기의 회전의 상이한 단계위로 효과적이므로, 구동 래치 볼트는 래치볼트의 밀폐를 완성시키는데 영향을 주며, 도어는 래치볼트 및 도어의 개방에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3. 제 101 항 또는 제 102항에 따라 회전식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동력형 도어 밀폐식 래치 장치.
  104. 제 101항 내지 제 102항들중의 어느 한항에 따라, 회전식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동력형 도어 개폐식 래치 장치.
  105. 스트라이커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폐기용 래치장치에 있어서,
    래치볼트로서, 래칭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고 상기 래치볼트의 래칭해제 위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래치볼트가 래칭해제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와,
    회전식 출력 구동기와, 상기 회전식 출력을 셔터부재의 선형 구동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장치로 구성되는 전기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셔터부재는 통상의 선형 통로를 따라 한방향으로 이동될때, 래치 볼트의 밀폐를 완성하기 위해 래치 볼트에 구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셔틀 부재는 도어 또는 밀폐기를 개방시키기 위해 록킹부재를 록킹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록킹부재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7. 제 10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를 록킹위치로 복귀할수 있는 위치로 셔틀부재를 복귀시키는 셔틀부재상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8. 제 105항 내지 제 107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회전식 출력 구동기상의 특수 형상부와, 셔틀부재상의 결합 형상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형상부는 셔틀부재를 중립위치에서 최극단 위치로 변위하기 위해 회전식 출력 구동기의 회전상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09. 제 105항 내지 제 107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장치는 래크 및 피니언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래크는 셔틀부재와 일체되거나 셔틀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10. 제 105항 내지 제 107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장치는 회전식 출력 구동기 및 셔틀 부재에 또는 이와 반대로 각각 결합된 볼트 및 리드 스크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11. 제 105항 내지 제 110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셔틀 부재는 래치볼트에 인접하게 결합 구동되어 그것을 밀폐시키므로서 도어 또는 다른 밀폐기의 밀폐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112. 제 110항에 따라, 리드스크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동력형 도어 밀폐식 래치 장치.
  113. 제 109항에 따라, 래크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동력형 도어 밀폐식 래치 장치.
  114. 제 106항에 종속되는 제 109항에 따라, 래크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동력형 도어 개폐식 래치 장치.
  115. 제 106항에 종속되는 제 110항에 따라, 리드스크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전기-동력형 도어 개폐식 래치 장치.
  116.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안티-슬램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치볼트의 래칭 해제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상기 래치 볼트가 그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회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의 이동을 위한 록킹 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해제를 위해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제어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해제 매카니즘과,
    록킹 매카니즘으로부터 해제 매카니즘으로 격리되는 록킹위치와, 해제 매카니즘과 록킹 매카니즘을 연결시키는 록킹 해제 위치사이로 미끄럼 왕복 이동하도록 배열된 전기-피동의 커플링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링 부재의 통로에 대해 래치 볼트는 사용중에 록킹위치가 스트라이커로부터 커플링 부재의 록킹해제 위치보다 더 가까이 있도록 정렬되고,
    상기 커플링 부재의 통로에 대해 래치 볼트는, 도어의 밀페가 래치장치의 임의 부분을 이동시켜 스트라이커를 항해 밀폐방향으로 래치 장치의 나머지부분에 대해 이동을 계속유지할때, 충돌전 록킹해제 위치에서 커플링 부재가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고 충돌후 그대로 남게되어 도어 슬램밍 상태에서 부주의한 록킹을 방지할수 있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117. 제 116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 전자 중신 록킹 제어 매카니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118. 제 116항 또는 제 117항에 있어서, 록킹 매카니즘을 해제하기 위해 상이한 외부 제어기에 대해 구동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매카니즘과, 록킹위치 및 록킹 해제위치 사이 왕복 미끄럼 이동을 위해 정렬되는 적기적으로 구동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119. 제 116항 내지 제 118항에 한정된바와 같이, 모터 차량 도어에 사용되는 안티-슬램 록킹 장치.
  120. 스트라이커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안티-슬램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래칭 위치에서 보유하고, 래치볼트의 래칭 해제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 볼트와,
    상기 래치 볼트가 그 래칭 회전 위치에서 보유되는 록킹 위치와 래치 볼트가 래칭을 개방하는 회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의 이동을 위한 록킹 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해제를 위해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제어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해제 매카니즘과,
    록킹 매카니즘으로부터 해제 매카니즘으로 격리되는 록킹위치와, 해제 매카니즘과 록킹 매카니즘을 연결시키는 록킹 해제 위치사이로 미끄럼 왕복 이동하도록 배열된 전기-구동의 커플링 부재로서, 록킹 매카니즘으로부터 해제 매카니즘으로 격리되는 록킹형상과, 해제 매카니즘과 록킹 매카니즘을 연결시키는 록킹 해제 형상사이로 이동가능한 커플링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 장치는 도어가 밀폐되고 록킹부재가 밀폐될때까지 록킹형상에 대해 커플링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해제 형상에서만 커플링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그러므로서 도어를 슬램밍하여 래치장치상의 반발력은 래치에 부주의하게 록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121. 제 1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형상은 커플링 부재가 록킹해제 형상에 있을때 병진이동을 하지 않으면서 커플링 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신장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122. 제 120항 또는 제 121항에 한정된바와 같이, 모터 차량 도어 래치에 사용되는 안티-슬램 록킹 장치.
  123. 길다란 평판으로서, 평판과 대향하고 사이에 채널을 한정하도록 위로 겹쳐진 플랜지를 한 단부에 가지며, 상기 평판과 플랜지는 위에 놓인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들중 하나는 슬롯으로서 상기 평판 또는 플랜지의 에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평판, 및
    상기 채널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에 수직한 축선 주위에서의 자유운동을 위해 상기 양 구멍을 통해 돌출하는 단부 닢을 갖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24. 제 12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보든 케이블의 일부이며 상기 길다란 평판은 피봇가능한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25. 단부 닢을 갖는 케이블을 블랭크로서 형성된 길다란 평판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평판은 길다란 평판의 한 측면으로부터 늘어져 있는 공통 평면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 및 플랜지는 평판의 횡방향으로 정렬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중 하나는 플랜지 또는 평판의 외측 에지에 슬롯으로서 케이스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닢을 평판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케이블을 갖는 구멍중 하나의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닢이 구멍내에 결합되어 있는 닢의 일부분으로 닢을 포획하도록 상기 평판 위로 상기 플랜지가 반정도 회전되게 겹치는 단계, 및
    상기 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정위치에 로크하지만 여전히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방법.
  126. 제 12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보든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7. 제 123항 내지 제 12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츄에이터 레버와 보든 케이블을 커플링하기 위한 장치.
  128. 프레임상에 장착된 도어 또는 다른 폐쇄장치용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는 스트라이커와 결합한 래치에 의해 프레임에 래치가능하며, 상기 래치는 래치 및 래치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므로 래칭위치로부터 래칭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스트라이커로부터 래치상으로의 반발력이 개구를 개방하며, 상기 래치를 래칭위치로부터 래칭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도어를 래치해제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29. 프레임상에 장착된 도어 또는 다른 폐쇄장치용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는 스트라이커와 결합한 래치에 의해 프레임에 래치가능하며, 상기 래치는 래치 및 래치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a) 상기 래치를 래칭위치로부터 래칭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고 (b) 또한, 이와는 역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각각 (a) 상기 도어를 래치해제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b) 도어를 폐쇄를 완료하여 도어를 래치하도록 선택적으로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0. 제 12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차량용 도어이며, 상기 차량은 차량용 도어를 위한 중앙 록킹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중앙 록킹 시스템은 도어 또는 도어들의 선택적인 개방을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1. 제 12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차량용 도어이며 도어 또는 도어들을 개폐하도록 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갖춘 차량 중앙 로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2. 제 128항 내지 제 13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모터 제어수단과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식 원격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3. 제 128항 내지 제 13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래치위치에 록킹하는 수단, 및 상기 록킹수단을 래치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록킹수단에 연결된 기계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4. 제 13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록킹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연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도어가 폐쇄되고 래치가 래칭위치에 있을 때 모터의 최초 운동으로 록킹수단이 록킹위치로부터 록킹해제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래치를 자유롭게 하며 모터의 추가의 운동에 의해 래치가 래칭위치로부터 래칭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5. 제 133항 또는 제 13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래칭위치 및 래칭해제 위치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래치볼트를 포함하며, 그 내부에 있는 상기 록킹수단은 래치볼트를 로크하도록 배열된 포올이며, 상기 기계식 액츄에이터는 포올을 해제하기 위한 포올에 연결되어 래치볼트를 로크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6. 제 136항에 있어서, 동력을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모터 제어회로, 및 상기 모터 제어회로내에 배열된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스위치의 폐쇄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도록 래치를 구동시키는 방향으로 모터가 구동되며, 다른 마이크로스위치의 폐쇄에 의해 도어를 폐쇄하도록 래치를 구동시키는 방향으로 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7. 제 13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와 이동가능한 캠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의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캠밍운동시키도록 배열되어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교대의 극성으로 모터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8. 제 137항에 있어서, 상기 캠밍부재는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용 캠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캠 트랙은 일반적으로 장방형이고 서로 평행하며, 상기 캠밍부재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단지 하나의 운동방향으로만 트랙을 따르게 허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39. 제 13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가 각각의 트랙을 따르게 하는 수단은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해 트랙평면의 방향으로 상기 캠밍부재를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캠밍부재는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상기 캠밍부재 및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의 상대운동을 캠 종동자로서의 양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를 상기 하나의 운동방향으로 다음 트랙부에 안내하도록 횡방향으로 상대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트랙중 하나를 가로지르는 캠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40. 제 136항 내지 13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에 인접 배열되고 위험 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는 캠밍부재내에 있는 제 3 캠 트랙내의 캠 종동자로서 작용하여 도어가 각각 개폐될 때 위험 광회로를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41. 제 128항 내지 제 14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를 래칭해제 및 부분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모터를 전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42. 제 136항에 있어서, 도어가 부분적으로 개방될 때 작동되도록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가 위치되어 있으며, 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를 래칭해제하고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모터를 전기적으로 스위칭하는 릴레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스위치는 도어 개방스위치가 작동되는 지점으로 모터가 도어를 개방시키기에 충분한 주기동안에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43. 제 128항 내지 제 14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속 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 동력공급원과 모터를 일시적으로 분리시키기위해 모터의 동력 공급원과 연결된 실속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44.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같은 차량용 전기제어식 도어 개방시스템.
  145. 중앙 전기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시스템과 적어도 두 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중앙 제어 시스템.
  146. 몸체의 극단위치 사이의 두 대향방향중 모터로의 동력공급 회로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몸체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 및 마이크로스위치중 하나를 폐쇄함으로써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다른 마이크로스위치중 다른 하나를 폐쇄함으로써 다른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동력 공급회로에 배열되는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극단위치 사이에서의 몸체의 운동방향 및 상기 위치에 대해 기계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시스템.
  147. 제 14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이동가능한 캠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의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캠밍운동시키도록 배열되어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교대의 극성으로 모터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시스템.
  148. 제 147항에 있어서, 상기 캠밍부재는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용 캠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캠 트랙은 일반적으로 장방형이고 서로 평행하며, 상기 캠밍부재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단지 하나의 운동방향으로만 트랙을 따르게 허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시스템.
  149. 제 14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가 각각의 트랙을 따르게 하는 수단은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해 트랙평면의 방향으로 상기 캠밍부재를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캠밍부재는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상기 캠밍부재 및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의 상대운동을 캠 종동자로서의 양 마이크로스위치 액츄에이터를 상기 하나의 운동방향으로 다음 트랙부에 안내하도록 횡방향으로 상대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트랙중 하나를 가로지르는 캠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시스템.
  150. 첨부도면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은 모터 제어시스템.
  151. 제 147항 내지 제 149항중 어느 항에 따른 모터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며, 마이크로스위치가 차량 도어위치에 따라 위험 광을 작동시키도록 배열되는, 모터 구동 및 모터 구동장치 및 차량용 도어 위험 광을 위한 마이크로스위치 제어 시스템.
  152. 차량용 도어래치내의 적어도 하나의 래치 액츄에이터를 검색 및 구동시키기에 적합하고 회전 구동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구동은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각각의 래치 액츄에이터에 대한 각각의 예정된 한계각도 범위에서 구동될 때 발생하며, 상기 회전식 액츄에이터와, 사용중에는 고정된 프레임과 공동작동하는 탄성수단이 상기 한계 각도범위 밖으로 예정된 적합한 위치쪽으로 상기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회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
  153. 제 15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사용중에 액츄에이터를 각각의 한계각도 범위 밖으로 복수의 예정된 안정위치중 하나의 위치로 편향시켜 래치 액츄에이터가 구동되지 않는 중립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
  154. 제 152항 또는 제 15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회전식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되는 방사상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
  155. 제 152항 또는 제 15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액츄에이터상의 캠과 공동작동하는 상기 회전식 액츄에이터 주위의 주변 스프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
KR1019997007289A 1996-12-16 1997-12-12 차량 도어 또는 다른 클로져용 래치 장치 KR100567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26098A GB2322409B (en) 1996-12-16 1996-12-16 Control system for opening a door
PCT/GB1997/003434 WO1998027301A2 (en) 1996-12-16 1997-12-12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023A true KR20000071023A (ko) 2000-11-25
KR100567973B1 KR100567973B1 (ko) 2006-04-07

Family

ID=1080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289A KR100567973B1 (ko) 1996-12-16 1997-12-12 차량 도어 또는 다른 클로져용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68348B1 (ko)
JP (1) JP2009007927A (ko)
KR (1) KR100567973B1 (ko)
AU (1) AU7739098A (ko)
DE (1) DE69739518D1 (ko)
GB (2) GB2322409B (ko)
WO (1) WO199802730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563A (ko) * 2003-09-03 2005-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데드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85113B1 (ko) * 2006-03-24 2007-02-22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무소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KR100984532B1 (ko) * 2005-05-27 2010-10-01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차량용 잠금 장치
US9960727B2 (en) 2014-12-04 2018-05-01 Hyundai Motor Company Stall diagnosis apparatus for motor of air conditioning actu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94837C2 (ru) * 1997-12-12 2002-12-20 Джон Филлип ШЕВАЛЬЕ Запир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ых дверей или других запорных элементов
SE9804470L (sv) * 1998-12-21 2000-06-22 Volvo Ab Anordning vid ett för ett motorfordon avsett dörrlåssystem
CA2362889C (en) * 1999-02-18 2008-05-13 Atoma International Corp. Power door latch assembly
US6848727B1 (en) 1999-02-18 2005-02-01 Atoma International Corp Power door latch assembly
IT1308427B1 (it) * 1999-03-12 2001-12-17 Atoma Roltra Spa Sistema di chiusura per una porta di un autoveicolo.
IT1308430B1 (it) * 1999-03-12 2001-12-17 Atoma Roltra Spa Serratura per una porta di un autoveicolo.
FR2803619B1 (fr) * 2000-01-07 2002-09-13 Coutier Moulage Gen Ind Module de serrure electrique pour une porte d'un vehicule
FR2805560B1 (fr) * 2000-02-29 2003-07-18 Coutier Moulage Gen Ind Module de serrure electrique pour une porte d'un vehicule
DE10010809A1 (de) * 2000-03-08 2001-09-20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GB2360333B (en) 2000-03-15 2004-03-24 John Phillip Chevalier Centrifugal clutch
FR2809438B1 (fr) * 2000-05-23 2004-02-13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portiere de vehicule, comportant une fonction securite enfant et une fonction supercondamnation
FR2817898B1 (fr) * 2000-12-12 2003-09-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errure a actionneur commande a decouplage partiel et application
FR2821109B1 (fr) * 2001-02-22 2003-04-11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a actionnement de secours
GB2381034B (en) * 2001-07-04 2005-02-16 John Phillip Chevalier Closur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latch arrangement
JP2003214004A (ja) * 2002-01-24 2003-07-30 Aisin Seiki Co Ltd ドアロックの制御方法及びドアロック装置
DE10229675B4 (de) * 2002-06-27 2005-06-09 Bos Gmbh & Co. K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GB0306671D0 (en) 2003-03-22 2003-04-30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DE10327997A1 (de) 2003-06-21 2005-01-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DE102004002756A1 (de) * 2004-01-20 2005-08-11 Daimlerchrysler Ag Schloss einer Fahrzeugtür
GB2415995B (en) * 2004-07-06 2006-07-19 John Phillip Chevalier Latch arrangement
DE102004040157B3 (de) * 2004-08-19 2006-07-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FR2880377B1 (fr) * 2005-01-04 2008-09-05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Serrure electronique disposant d'un moyen de couplage/decouplage de la chaine cinematique
KR100795300B1 (ko) 2006-10-20 2008-01-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무소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US8444189B2 (en) 2006-12-07 2013-05-21 Yazaki Corporation Door open/close system for a vehicle
GB2474846A (en) * 2009-10-27 2011-05-0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system comprising key barrel operably coupled to latch via a clutch mechanism
RU2409731C1 (ru) 2009-10-29 2011-0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ет-Сейф"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ок
US8800402B2 (en) 2010-03-04 2014-08-12 Vingcard Elsafe As Motor mechanism
KR101321289B1 (ko) 2011-05-30 2013-10-28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높이 조절 장치
DE102012111298A1 (de) * 2012-11-22 2014-05-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9809999B2 (en) * 2013-11-25 2017-11-07 The Eastern Company Latch apparatus
DE102014001160A1 (de) 2014-01-31 2015-08-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Kraftfahrzeugtürverschluss mit erhöter Betriebssicherheit
US9650815B2 (en) 2014-05-1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detecting mechanical interference of a power closure member for a vehicle
EP3061894B1 (en) * 2015-02-27 2019-07-03 FAP S.r.l. Automatic safety lock
DE102015108739A1 (de) *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DE102015108738A1 (de)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N113431448B (zh) * 2016-04-08 2022-06-14 J·P·希瓦利埃 用于锁定可移动面板的锁定系统
US20180087294A1 (en) * 2016-09-23 2018-03-29 Inteva Products, Llc Liftgate latch
DE102017101417A1 (de) * 2017-01-25 2018-07-26 Daimler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Fahrzeugtür
DE102017124523A1 (de) *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TR201716675A2 (tr) * 2017-10-27 2017-12-21 Arikan Kriko Ve Makin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Kapi ki̇li̇t mekani̇zmasi
DE102018100254A1 (de) * 2018-01-08 2019-07-1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CN109339592A (zh) * 2018-09-17 2019-02-15 苏州云巢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两线制可通讯的电子锁
FR3092494B1 (fr) * 2019-02-08 2021-09-24 Ceclean Système de nettoyage et/ou de désinfection d’un tube creux, notamment une béquille de poignée de porte
US20220282530A1 (en) * 2021-03-08 2022-09-08 Magna Closures Inc. Closure latch assembly and electronic control systems for the closure latch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8082A (en) * 1939-04-27 1940-10-22 Rudolf Ignatius Schonitz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oor holding and control mechanisms
JPS5810853Y2 (ja) * 1978-04-28 1983-02-28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自動車扉ロツク用駆動装置
JPS57172083A (en) * 1981-04-15 1982-10-22 Nissan Motor Door lock manipulating apparatus
FR2534303B1 (fr) * 1982-10-12 1985-08-16 Vachette Sa Serrure a commande electrique et circuit de commande de serrure de porte pour automobile
US4763936A (en) * 1986-10-20 1988-08-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operated door latch
US5088347A (en) * 1987-12-09 1992-02-18 Auto-Vation Inc. Door lock actuator
US4966266A (en) * 1988-03-19 1990-10-30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Clutch for automobile door lock actuator
JPH0723658B2 (ja) * 1988-12-21 1995-03-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機構
JPH0814216B2 (ja) * 1991-03-29 1996-02-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クロージャ装置
DE4240013A1 (de) * 1992-08-25 1994-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ernsteuerbares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JP2855557B2 (ja) * 1993-07-30 1999-02-1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952152B2 (ja) * 1994-05-20 1999-09-2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扉のワンモーション開扉とセルフキャンセル装置
US5577583A (en) * 1995-03-16 1996-11-26 Kelsey-Hayes Company Free wheel double lock clutch mechanism
JP3518042B2 (ja) * 1995-04-14 2004-04-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US5639130A (en) * 1995-05-31 1997-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tary door cinching mechanism with manual overrid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563A (ko) * 2003-09-03 2005-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데드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84532B1 (ko) * 2005-05-27 2010-10-01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차량용 잠금 장치
KR100685113B1 (ko) * 2006-03-24 2007-02-22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무소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US9960727B2 (en) 2014-12-04 2018-05-01 Hyundai Motor Company Stall diagnosis apparatus for motor of air conditioning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8348A2 (en) 2000-01-05
EP0968348B1 (en) 2005-09-14
JP2009007927A (ja) 2009-01-15
GB2322409B (en) 2001-05-23
GB9726341D0 (en) 1998-02-11
DE69739518D1 (de) 2009-09-10
WO1998027301A2 (en) 1998-06-25
GB2320943A (en) 1998-07-08
KR100567973B1 (ko) 2006-04-07
AU7739098A (en) 1998-07-15
WO1998027301A3 (en) 1998-10-08
GB9626098D0 (en) 1997-02-05
GB2322409A (en) 199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1023A (ko)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페기용 래치 장치
US6948745B2 (en)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EP1778936B1 (en) Latch arrangement
US7032937B2 (en) Lock, particularly a tailgate lock for a motor vehicle
US5634677A (en) Power-locking motor-vehicle door latch
US9004552B2 (en) Intuitive control system for power assisted vehicle doors
EP1518982B1 (en)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US20150284977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11101801B (zh) 用于操作车辆的闭合面板的动力致动机构
US7000956B2 (en) Last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latch assembly
EP2580414B1 (en) Intuitive exterior door handle
KR19990071588A (ko) 차량 도어 잠금 작동기
CN102858565A (zh) 车门锁闩
GB2457680A (en) A latch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door
US20020148702A1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clutch for the same
CN115306237B (zh) 机动车锁的锁定装置、机动车锁及机动车
US20220268077A1 (en) Actuating apparatus for a flap which is mounted movably on a component, and a component with such an actuating apparatus
CN117027567A (zh) 车门锁及车辆
MXPA99007402A (en)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