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532B1 - 차량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532B1
KR100984532B1 KR1020050045256A KR20050045256A KR100984532B1 KR 100984532 B1 KR100984532 B1 KR 100984532B1 KR 1020050045256 A KR1020050045256 A KR 1020050045256A KR 20050045256 A KR20050045256 A KR 20050045256A KR 100984532 B1 KR100984532 B1 KR 10098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locking device
motor
vehicle locking
tow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637A (ko
Inventor
요지프 슈테파니크
체크랄라 카슈
Original Assignee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to KR102005004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532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 관련 래칫 및 래칫 개방용 모터를 구비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차량용 잠금 장치는 모터를 래칫에 직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가요성 견인 수단을 구비하며, 그 견인 수단은 래칫을 개방하기 위하여 모터에 의하여 감기고, 모터가 오프되면 스프링력에 의해서 풀릴 수 있다.
견인 수단, 래치, 래칫

Description

차량용 잠금 장치{MOTOR VEHICLE LOCK}
도 1은 몇 개의 차량용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잠금 장치의 잠긴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잠금 장치의 해제 또는 개방 상태에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의 잠긴 상태에서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잠금 장치용 견인 수단과 함께 사출 성형물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의 잠긴 상태에서의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잠금 장치의 해제 또는 개방 상태에서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의 잠긴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발췌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잠금 장치 3: 래치
4: 래칫 5: 모터
6: 견인 수단 7: 로커 암
8: 피동(모터) 샤프트 9: 수용부
10: 정지부 11: 케이블 당김부
12: 디플렉션 롤러 14: 스프링
15: 스트라이커 17: 변속 휠
18, 19: 감기 영역
본 발명은 차량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차량용 잠금 장치의 래칫을 개방시키는 모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DE 196 14 122 A1호(미국 특허 제5,934,717호에 대응함)로부터 공지되고,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으로 대중화된 차량용 잠금 장치는 래치(latch)와 할당된 후크형 래칫(ratchet)을 구비한다. 그 래치는 스트라이커(striker)를 유지 또는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것의 부분에 대하여, 래칫에 의해서 봉쇄될 수 있고, 그 래칫은 래치와 주 캐치 위치(main catch position) 및 예비 캐치 위치(preliminary catch position)에서 맞물릴 수 있다.
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DE 20 01 653 A호는 래치와 할당된(즉, 관련된) 래칫을 구비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래칫은 후크형이 아니며, 대신에 선회 핀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 핀은 그 핀을 선회시킴으로써 래치와 봉쇄 맞물림 되도록 이동될 수 있는 맞물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래칫의 조작은 통상적인 레버 장치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DE 101 11 085 A1호는, 예컨대 웜 기어를 매개로 전기 모터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래칫과 래치를 구비한 차량용 잠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기어는 모든 구성 요소들의 높은 정밀도, 따라서 높은 제조 비용을 필요로 한다. 다른 한 가지 단점은 웜 기어가 모터의 소음을 다른 구성 요소들로 전달하여 차량용 잠금 장치가 바람직하지 않은 많은 작동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DE 196 04 724 A1호는 래치와 할당된 래칫을 구비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케이블 당김부라고 불리는 가요성 견인 요소가 래칫을 핸들에 연결시켜, 래칫이 핸들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칫의 모터에 의한 구동은 없다.
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DE 102 00 551 A1호는 스트라이커를 차량용 잠금 장치의 입구 슬롯(inlet slot)에 잠금 또는 봉쇄 상태로 직접적으로 고정 또는 유지시키는 데 사용되는 선회 캐치(swivelling catch)를 구비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 캐치는 개방 요소를 매개로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서 개방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그 개방 요소는 외장 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가요성 견인 수단에 의한 개방 구동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특별한 교시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잠금 장치, 그리고 더 적은 구성 요소 및/또는 단순한 트리거링(triggering)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가 가능해지고 마모가 매우 적으며 작동 소음이 거의 없는 내구성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도록 차량용 잠금 장치의 래칫을 개방하는 모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기로는 모터 또는 그 모터의 피동 샤프트에 의해서 직접 감길 수 있고 래칫에 직접 작용하는, 특히 케이블 또는 벨트와 같은 가요성 견인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래칫은 견인 수단에 의하여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단지 적은 구성 요소만을 필요로 하고 특별히 정밀하게 제조되는 구성 요소들은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장점은 모터의 작동 소음이 견인 수단에 의해서 전달되지 않거나 약간만 다른 부분으로 전달된다고 하는 사실에 있다. 다른 한 가지 장점은 웜 기어에서처럼 정밀한 기어 맞물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의 마모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사실에 있다. 마지막으로, 구동 엔지니어링 목적으로 전술한 견인 수단을 사용하면, 오염에 대한 둔감성(invulnerability)이 보장된다. 또한, 치형 기어 장치에서 필요한 그리스 주입이 완전히 배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장점은 저속 자동 잠김(low self-locking)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터가 오프된 후에, 견인 수단은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다시 풀릴 수 있으며, 따라서 래칫이 선회되어 뒤로 그것의 봉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한 복원력(reset force)은 스프링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스프링은 임의의 방식으로 위치하고, 예컨대 래칫 또는 그 래칫에 연결되는 로커 암(rocker arm)에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단하고, 따라서 경제적인 구조, 그리고 간단한 트리거링이 모두 가능해진다.
래칫 또는 할당된 로커 암에는 견인 수단용 디플렉션 롤러(deflection roller)가 있고, 그 견인 수단의 자유단은, 예컨대 차량용 잠금 장치의 하우징에 대하여 스러스트(thrus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변속이 용이하게 달성되고, 기하학적인 비 및 배치의 상응하는 선택에 의해서 필요에 적합한 변속비가 구현될 수 있다.
견인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 모터와 래칫 사이의 연결(개재된 디플렉션 레버가 없는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서 특히 내구성이 있는 구조가 나타난다. 변속을 합치시키는 것은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피동 샤프트 직경의 변동 가능성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다.
자켓 표면(jacket surface)에 부착되는 견인 수단을 거의 원통형 단면의 래칫에 마련하면, 특히 콤팩트하고 경제적인 버전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래칫이 이동되면, 그 견인 수단은 특정 각도 범위에 걸쳐 어느 정도 감기고 풀린다. 그 각도 범위는 확실히 18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특성 및 양태들은 후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도면에서는, 반복된 설명이 생략되더라도,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들, 대응하거나 비교 가능한 성질 또는 얻어지는 장점들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사용 한다.
도 1은 가령 사이드 도어 로크, 후드 로크와 같은 몇 가지 차량용 잠금 장치(2)들을 구비한 차량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화살표들은 차량(1)에 있어서, 예시된 차량용 잠금 장치(2)들의 개략적인 설치 위치를 나타낸다. "차량용 잠금 장치"라 함은 주로 "차량용 도어 로크"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그것은 차량의 트렁크 로크, 후드 로크, 해치 로크 등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잠금 장치(2)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잠긴 상태에서 도시된 차량용 잠금 장치(2)의 한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차량용 잠금 장치(2)는 회전식 래치인 래치(3)와 할당된 래칫(4) 및 그 래칫(4)을 개방하기 위한 모터(5)를 구비한다. 그 래칫(4)은, 대부분의 차량용 잠금 장치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주 캐치 위치 및 예비 캐치 위치(이하, 봉쇄 위치라 함)에 래치(3)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용 잠금 장치(2)를 잠글 수 있다. 그 래칫(4)은 그것이 래치(3)와 맞물려 있거나 또는 그것과 맞물릴 수 있는 봉쇄 위치로부터 벗어나 비맞물림(non-engagement) 위치로 이동(예컨대, 선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것을 래칫(4)의 개방 또는 개방 위치라 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5)는 예컨대 전기 모터이다. 그러나, 그것은 임의의 다른 구동 장치일 수도 있다. 그 차량용 잠금 장치(2)는 가요성 견인 수단(6)을 구비하며, 따라서 모터(5)가 그 견인 수단(6)에 의하여 래칫(4)을 작동(특히,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 수단(6)은 직접적으로 래칫(4)에 작용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견인 수단(6)은 래칫(4)에 할당된 로커 암(7)을 매개로 하여 그 래칫(4)에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그 견인 수단(6)은 케이블,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적으로, 그 견인 수단(6)은 둥글거나 평탄한 단면을 가지며, 선택적으로는 일체형으로, 또는 몇 개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 견인 수단(6)은 바람직하기로는 몇 개의 꼬인 필라멘트들 또는 스트랜드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 견인 수단(6)은 케이블이다. 또한, 그 견인 수단(6)은 플라스틱 및/또는 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그 견인 수단(6)은 편평한 플라스틱 또는 강제 벨트이다.
그 견인 수단(6)은 모터(5)에 의하여, 그 모터(5)의 피동 샤프트(8)에, 바람직하기로는 무기어식으로, 직접 감긴다. 이를 위하여, 그 견인 수단(6)은 일단에서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피동 샤프트(8)에 연결된다. 그 견인 수단(6)은 피동 샤프트(8)에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용부(9)에, 예컨대 사출 또는 프레스되거나, 또는 몇 가지 다른 방법으로 그 수용부(9)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용부(9)는 플랜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피동 샤프트(8)상에 견인 수단(6)을 감기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한다.
그 피동 샤프트(8)는, 예컨대 비교적 길게 제작되는 모터(5)의 샤프트를 구성한다. 그러나, 그 피동 샤프트(8)는 또한 신장되거나 추가적인 샤프트 부분을 포 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샤프트 부분은 모터(5)의 실제의 모터 샤프트에 플랜지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몇 가지 다른 방법으로 실제의 모터 샤프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피동 샤프트(8)는 또한 기어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모터(5)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기어 장치는 모터(5)에 합체되거나, 또는 그 모터에 직접 플랜지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기어가 구비된 모터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차량용 잠금 장치(2)는 견인 수단(6)이 피동 샤프트(8)상에 나선형으로(한 층으로만) 감기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감는 과정 동안에 래칫(4) 또는 로커 암(7)의 선회 위치에 따라 견인 수단(6)이 적절히 측방으로 오프셋 또는 안내된다. 그러므로, 견인 수단의 최소의 마모, 성형된 구동 트레인의 정밀 반복 작동 거동이 가능해진다(도 2 및 도 3 참조).
바람직하기로는, 피동 샤프트(8)상에서, 감기 정지부(10)는 수용부(9)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따라서 견인 수단(6)은 수용부(9)와 감기 정지부(10) 사이에서 피동 샤프트(8)상에 감길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감기 정지부(10)는 플랜지이다. 그러므로, 피동 샤프트(8)상에서 견인 수단(6)이 신뢰성 있게 안내된다.
그 견인 수단(6)은 케이블 당김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 견인 수단(6)은 래칫(4)상에서,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 암(7)상에서 "이완 롤러"로서 사용되는 디플렉션 롤러(12) 둘레로 안내된다. 견인 수단(6)은 그것의 타단 또는 자유단으로 차량용 잠금 장치(2) 또는 그것 의 하우징(13)에 대하여 스러스트된다. 그 견인 수단(6)은, 그것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3) 특히 대응하게 제작된 베어링 블록 등에 현수 또는 프레스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그 견인 수단(6)은, 예컨대 일단부 부위에서 사출되거나 몇 가지 다른 방법으로 하우징(13)에 연결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기하학적 배치에 종속하여, 또한 피동 샤프트(8)로부터 디플렉션 롤러(12)로, 그리고 그 디플렉션 롤러(12)로부터 하우징(13)으로 주행하는 견인 수단(6)의 방향에 종속하여, 그리고 또한 로커 암(7)(또는 래칫(4))의 이동 방향(여기에서는 선회 운동 방향)에 종속하여, 원하는 바에 적합하게 될 수 있고 개방 운동과 함께 선회 위치에 종속하여 변동될 수 있는 기어 감속이 존재한다.
특히, 래치(3)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큰 부하가 가해지는 래칫(4)에 개방력 또는 상승력을 가할 수 있기 위하여 및/또는 마손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봉쇄 위치로부터 진행하는 케이블 당김부(11)는 우선 모터의 비교적 큰 기어 감속부를 형성한다. 개방이 더 진행함에 따라, 래칫(4)의 비교적 신속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기어 감속비가 감소한다.
래칫(4)은 스프링력에 의하여 봉쇄 위치로 예인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커 암(7)도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예인장된다. 이는, 래칫(4)의 맞물림 또는 봉쇄 기능을 허용하고, 로커 암(7)이 스프링력에 의해서 래칫(4)의 피봇 위치와 관계없이 그 위치로 예인장될 수 있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4) 및 로커 암(7)은, 두 개 의 별도의 스프링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또는 래칫(4) 및/또는 로커 암(7)의 선회 축선상에 배치되는 공통 스프링(14)에 의하여, 도시된 방향으로 예인장될 수 있다. 견인 수단(6)은 모터(5)에 의하여 이들 스프링(14)들의 힘에 저항하여 감길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래칫(4)이 개방되고, 로커 암(7)이 개방되며, 견인 수단(6)은 감긴 개방 상태의 차량용 잠금 장치(2)를 보여주고 있다. 래칫(4)에 작용하는 예인장력 및/또는 로커 암(7)에 작용하는 예인장력은 바람직하게는 선택되어, 모터(5)의 슬러기쉬니스(sluggishness)와 같은 다른 기계적인 영향들은 물론 케이블 당김부(11)의 스텝업 또는 스텝다운 비에 합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5)가 오프되면, 견인 수단(6)은 표시된 예인장력 또는 예인장력들로 인하여 피동 샤프트(8)로부터 다시 자동적으로 풀릴 수 있으며, 따라서 로커 암(7) 및/또는 래칫(4)은 봉쇄 위치 또는 래칫(4)의 봉쇄 상태를 허용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리셋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차량용 잠금 장치(2)의 매우 간단한 구조 및 매우 간단한 트리거링(triggering)이 가능해진다.
도 2는 잠긴 폐쇄 상태의 차량용 잠금 장치(2)를 보여준다. 입구 슬롯(16) 내에 스트라이커(15) 등을 유지 또는 고정시키는 래치(3)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것의 부분이 이러한 상태에 있는 래치(3)는 맞물린 래칫(4)에 의하여 개방에 대하여 봉쇄 또는 고정된다.
래칫(4)은 또한 후크 형상일 수도 있으며, 스트라이커(15) 등을 직접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래칫(4)은 또한 적어도 두 개의 후크부를 구비하여, 래치를 구비한 통상적인 도어 로크의 주 캐치 위치 및 예비 캐치 위치를 모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잠금 장치(2)의 다른 한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주요 차이점들만을 설명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응하거나 비교 가능한 특성 및 장점들이 발생하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이 적용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견인 수단(6)은 디플렉션 롤러(12) 둘레가 아닌 변속 휠(17)을 거쳐 래칫(4)으로, 또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로커 암(7)으로 안내된다.
변속 휠(17)은 래칫(4) 또는 로커 암(7)에 대하여 모터(5)의 감기 동작을 감속시키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변속 휠(17)은 견인 수단(6)의 기어 장치를 구성한다. 그 변속 휠(17)은 제1 모터측 감기 영역(18)과 제2 피동측 감기 영역(19)을 구비한다. 이들 감기 영역(18, 19)은 적어도 거의 동축(同軸)으로 배치되고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변속 휠(17)은 바람직하기로는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단일체로 제작된다.
도 4는 잠긴 상태의 차량용 잠금 장치(2)를 보여주고 있다. 모터(5)가 온(ON)되면, 견인 수단(6)은 직접 모터 샤프트(8)상에 감기고, 그렇게 함에 있어서, 제1 감기 영역(18)으로부터 풀리며, 이에 의해 변속 휠(17)이 회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견인 수단(6)의 구동측 부분이 제2 감기 영역(19)상에 감기고, 이에 의해 래칫(4) 또는 로커 암(7)의 원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1 감기 영역(18)의 반경은 제2 감기 영역(19)의 반경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의 배수만큼 더 크다. 이러한 방법으로, 견인 수단의 운동의 감속이 달성된다.
제1 감기 영역(18)의 유효 감기 반경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 감기 반경은 변속 휠(1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감소하여, 웜형 또는 나선형 윤곽을 형성한다. 이러한 변화, 특히 제1 감기 영역(18)의 반경의 감소 또는 증가는 견인 수단(6)의 측방 안내에 영향을 주어 견인 수단(6)이 모터 샤프트(8)상에 나선형으로 또는 1층으로만 감기게 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감기 영역(18) 및/또는 제2 감기 영역(19)의 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기어 감속이 변동될 수 있다. 상당한 기어 감속(gear reduction)을 갖는(큰 유지 또는 접착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잠긴 상태로부터 점점 더 작아지는 기어 감속을 갖는 신속한 개방 또는 해제 상태에 이르기까지 기어 감속이 변동될 수 있다.
디플렉션 롤러(12)와는 반대로, 변속 휠(17)은 차량용 잠금 장치(2)의 하우징상에 피벗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변속 휠(17)의 회전축은 감기축(모터 샤프트(8)) 및/또는 래칫(4) 또는 로커 암(7)의 운동 또는 선회 평면과 교차하게(예를 들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샤프트(8)의 리셋(즉, 감기 수단(6)을 푸는 것)은 모터(5)가 오프된 후에 스프링(14) 또는 기타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 수단(6)의 제1 부분(제1 감기 영역(18)만큼 멀리 연장됨) 및 견인 수단(6)의 제2 부분(제2 감기 영역(19)으로부터 로커 암(7)까지 연장됨)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견인 수단(6)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다른 단편들 및/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그것들의 다른 견인 하중으로 인하여)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견인 수단(6)의 두 부분들은 단일편의 견인 수단, 특히 케이블 단편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표시된 제1 및 제2 부분을 구비하는 견인 수단(6)은 단일편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견인 수단(6)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속 휠(17)에서 제1 감기 영역(18)으로부터 제2 감기 영역(19)으로 안내된다.
견인 수단(6)의 제2 부분의 자유단은 확실하게 및/또는 잠금식 인서트(21)에 의해서 래칫(4)에, 또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로커 암(7)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서트(21)는 직접 견인 수단(6)에 성형된다.
도 5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견인 수단(6)은 수용부(9), 변속 휠(17) 및 인서트(21)가 동시에 성형되고 그렇게 제조되도록 사출 몰드 내에 직접 삽입되는 재료 단편으로 형성된다. 동시에, 견인 수단(6)과 구성 요소들(즉, 수용부(9), 변속부(17) 및 인서트(21)) 사이에는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는, 신뢰성 있는 확실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견인 수단(6)에는, 특히 변속 휠(17) 영역 및/또는 그것의 자유단들의 영역에 트위스트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그 구성 요소들은 그것들의 제조 후에 우선 연결편(22)을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되어, 견인 수단(6)이 어느 정도 직선으로 또는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견인 수단(6)의 바람직하지 못한 회전, 엉킴 또는 부착이 방 지되기 때문에 설치할 때까지의 지지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수용부(9), 변속 휠(17), 인서트(21) 및 견인 수단(6)은 함께 차량용 잠금 장치(2) 내에 적절히 설치될 수 있다.
단 하나의 견인 수단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견인 수단(6)의 두 단부들만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도 4에 특히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들을 매우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구성 요소들의 전체적인 배치가 임의적이다.
차량용 잠금 장치(2)의 특히 내구성이 있는 실시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래치(3), 래칫(4) 및 모터(5)를 구비하는 전술한 기본 구조가 있다. 여기에서도, 전술한 방식으로 가요성 견인 수단(6)을 이용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견인 수단(6)을 매개로 모터(5)와 래칫(4)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은 개재된 디플렉션 수단 등이 없는 직접적인 연결이다. 그러므로, 모터(5)의 피동 샤프트(8)로부터 오는 견인 수단(6)은 직접 래칫(4)으로 주행하고 그 래칫(4)에 부착된다. 잠긴 상태(도 6에 도시됨)로부터 시작하여, 모터(5)를 작동시키면 견인 수단(6)이 래칫(4)의 해제 또는 개방 상태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오버스트로크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모터(5)의 피동 샤프트(8)상에 나선형으로 감긴다. 그 래칫(4)은 또한 스프링(14)에 의해서 봉쇄 방향으로 예인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14)은 레그 스프링(leg spring)이다.
모든 실시예의 래칫(4)은 래칫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피벗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칫(4)에는 또한 래치(3)를 봉쇄 상태(도 6에 도 시됨)에 봉쇄시키는 맞물림 요소(24)가 장착된다. 맞물림 요소(24)가 비교적 래칫 축(23)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터(5)는 비교적 작은 토크를 래칫(4)에 인가하여 그 래칫을 상승시킬 수 있다.
맞물림 요소(24)가 비교적 래칫 축(23) 근처에 배치되고, 동시에 견인 수단(6)에 힘을 인가하는 지점이 래칫 축(23)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서 래칫(4)상에 배치되면 유리하다. 따라서, 견인 수단(6)을 거쳐 전달되는 구동력이 작다.
도 8에 도시된 차량용 잠금 장치(2)에 의하여 특히 콤팩트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래치(3), 래칫(4) 및 모터(5)(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전술한 기본적인 구성도 또한 구현된다. 또한, 래칫(4)을 개방시키기 위한 가요성 견인 수단(6)도 있다. 래칫(4)은 래칫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피벗될 수 있고,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봉쇄 방향(도 8의 우측)으로 예인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차량용 잠금 장치는 잠긴 상태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래칫(4)은 거의 원통형 부분(25)을 구비한다. 그 원통형 부분(25)은 래칫 축(23)에 대하여 중심으로 정렬되거나 편심된다. 견인 수단(6)이 모터(5)를 래칫(4)에 연결하기 위하여 원통형 부분(24)의 재킷 표면에 부착되고 재킷 표면에 의하여 편향되는 것을 주목하라. 그러한 배치는 래칫(4)의 피벗 동작이 견인 수단(6)을 매개로 모터(5)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래칫(4)의 조작과 관련하여, 견인 수단(6)의 연결을 위하여 래칫에 마련되는 레버 등이 불필요하다. 이러한 레버의 역할은 래칫(4)의 원통형 부분(25)에 의하여 수행된다. 래칫 축(23)에 대한 원통형 부분(25)의 중심 정렬에 있어서는, 견인 수단(6)을 거쳐 전달된 일정한 구동력이 래칫(4)의 전체 이동 범위에 걸쳐 래칫(4)에 일정한 구동 모멘트를 초래한다. 역으로, 래칫 축(23)에 대한 원통형 부분(25)의 편심 정렬은 래칫(4)의 동작과 함께 변하는 변속을 초래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할 수 있다. 이 래칫(4)은 또한 비교적 래칫 축(23) 근처에 배치되는 맞물림 요소(24)를 구비한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래칫(4)의 조작을 위하여 인가될 필요가 있는 구동력을 비교적 작게 한다.
래칫(4)의 원통형 부분(25)의 실시예에 대하여, 일련의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원통형 부분은 래칫(4)상에 또는 그 래칫으로부터 견인 수단(6)의 대응하는 감김 또는 풀림을 보장하기에 충분할 정도만큼 좁을 수 있다. 그러나, 원통형 부분(25)은 또한 래칫(4)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두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 맞물림 요소(24)가 래칫(4)으로부터(도 6 내지 8에서, 도면의 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맞물림 요소(24)와 래치(3) 사이의 맞물림이 보장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13), 피동 샤프트(8) 및 수용부(9)에 대한, 또는 래칫(4) 또는 로커 암(7)에 대한 견인 수단(6)의 부착으로 특히 중요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몇 가지 가능성은 위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요약하면, 여기에서는 모든 인식 가능한 부착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것의 예로는 현가, 결속, 루핑(looping) 또는 클램핑, 레이저 용접, 접착, 압출 코팅 또는 캐스팅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잠금 장치, 그리고 더 적은 구성 요소 및/또는 단순한 트리거링(triggering)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가 가능해지고 마모가 매우 적으며 작동 소음이 거의 없는 내구성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의 래칫을 개방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Claims (39)

  1. 차량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래치 및 관련 래칫;
    상기 래칫 개방용 모터;
    상기 모터를 상기 래칫에 연결시키고, 그 래칫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서 상기 모터의 피동 샤프트상에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는 가요성 견인 수단; 및
    상기 래치, 상기 래칫, 상기 모터, 및 상기 가요성 견인 수단이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견인 수단에 의해 상기 래칫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상기 견인 수단이 직접 상기 래칫에 작용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상기 래칫에 할당된 로커 암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래칫에 작용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케이블, 벨트 및 체인 중 하나인 차량용 잠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둥근 단면 및 편평한 단면 중 하나를 갖는 차량용 잠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비탄성(inelastic)인 차량용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몇 개의 꼬인 필라멘트들 또는 스트랜드들로 형성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플라스틱 또는 강으로 제조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전기 모터인 차량용 잠금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상기 모터에 의해서 그 모터의 피동 샤프트상에 직접적으로 감길 수 있는 차량용 잠금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상기 모터에 의해서 그 모터의 상기 피동 샤프트상에 직접적으로 감길 수 있는 차량용 잠금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일단부에서 상기 피동 샤프트에 연결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나선으로 단층으로 감길 수 있는 차량용 잠금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또는 그 래칫과 관련된 로커 암이 피벗 가능하고, 상기 견인 수단은 상기 래칫의 피벗 위치에 종속하여 측방으로 안내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에 대한 반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고, 그 스프링의 힘이 상기 래칫 또는 그 래칫과 관련된 로커 암에 봉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견인 수단이 자동적으로 풀리는 차량용 잠금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블록 및 태클형 케이블 당김부를 형성하 는 차량용 잠금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는 블록 및 태클형 케이블 당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견인 수단용 디플렉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잠금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션 롤러가 상기 래칫 또는 그 래칫과 관련된 로커 암에 부착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의 자유단은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의 자유단은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의 상기 하우징에 현수, 사출 또는 프레스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는 상기 견인 수단용 변속 휠을 구비하고, 그 변속 휠은 상기 래칫 또는 그 래칫과 관련된 로커 암에 대하여 모터측 동작에 대한 기어 감속부를 형성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휠은 제1 감기 영역 및 제2 감기 영역을 구비하고, 그 제1 감기 영역의 반경이 제2 감기 영역의 반경보다 더 큰 차량용 잠금 장 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기 영역의 유효 반경은 상기 변속 휠의 회전 위치에 종속하여 변동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은 상기 모터로부터 그 견인 수단을 감음으로써 상기 제1 감기 영역으로부터 풀리고, 동시에, 상기 래칫 또는 로커 암에 연결되는 그 견인 수단은 상기 제2 감기 영역상으로 풀리는 차량용 잠금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휠은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의 상기 하우징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휠의 회전축은 감기축, 상기 모터의 상기 피동 샤프트, 상기 래칫의 피벗 평면 및 상기 로커 암의 피벗 평면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여 연장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은 상기 변속 휠에 확실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휠로부터 진행하는 상기 견인 수단은 상기 래칫 및 로커 암 중 하나에 부착되는 인서트에 의해서 일단부에서 상기 래칫 및 로커 암 중 상기 하나에 부착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성형에 의해서 상기 견인 수단에 연결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휠은 단일편인 차량용 잠금 장치.
  3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이 상기 모터와 상기 래칫을 직접 연결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5. 삭제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래칫 축을 중심으로 하여 피벗 가능하고, 그 래칫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분을 구비하며, 그 원통형 부분은 상기 래칫 축에 대하여 중심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편심으로 정렬되고, 상기 모터를 상기 래칫에 연결시키는 상기 견인 수단은 그 원통형 부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래칫이 상기 견인 수단을 매개로 상기 모터에 의하여 피벗 가능하도록, 그 외면에 의하여 편향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7. 가요성 견인 수단에 의하여 차량용 잠금 장치의 래칫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가요성 견인 수단을 상기 모터의 피동 샤프트상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하여 상기 래칫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터가 오프된 경우에 스프링력을 매개로 상기 가요성 견인 수단을 풀어줌으로써 상기 래칫을 봉쇄 위치에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이 후크형으로서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의 스트라이커를 봉쇄 상태로 입구 슬롯 내에 직접 고정시키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이 상기 차량용 잠금 장치의 래치를 고정시키는 방법.
KR1020050045256A 2005-05-27 2005-05-27 차량용 잠금 장치 KR10098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256A KR100984532B1 (ko) 2005-05-27 2005-05-27 차량용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256A KR100984532B1 (ko) 2005-05-27 2005-05-27 차량용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637A KR20060122637A (ko) 2006-11-30
KR100984532B1 true KR100984532B1 (ko) 2010-10-01

Family

ID=3770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256A KR100984532B1 (ko) 2005-05-27 2005-05-27 차량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5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750A (ja) * 1993-12-13 1995-06-2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KR20000071023A (ko) * 1996-12-16 2000-11-25 존 필립 체발리어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페기용 래치 장치
KR100290201B1 (ko) 1996-05-24 2001-05-15 미야무라 신페이 안전 장치가 장착된 차량 도어용 동력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750A (ja) * 1993-12-13 1995-06-2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KR100290201B1 (ko) 1996-05-24 2001-05-15 미야무라 신페이 안전 장치가 장착된 차량 도어용 동력 폐쇄 장치
KR20000071023A (ko) * 1996-12-16 2000-11-25 존 필립 체발리어 차량 도어 또는 다른 밀페기용 래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637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523B2 (en) Motor vehicle lock
US10352080B2 (en) Device for manually and/or electromotively adjusting or securing a first vehicle part and a second vehicle part relative to each other
US7575270B2 (en)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JP6902022B2 (ja) 第1の車両部品および第2の車両部品を互いに手動および/または電動で調節または固定するための装置
JP5231882B2 (ja) 車両用開閉装置
JP2005163535A5 (ko)
DE4322689C2 (de) Verriegelungsvorrichtung
EP0697826B1 (de) Schuhverschluss
JP6899376B2 (ja) 第1の車両部品および第2の車両部品を互いに対して手動および/または電動で調節または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8033584B2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US5852943A (en) Door lock mechanism for an automotive vehicle
DE3715846A1 (de)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rueckstrammvorrichtung
EP1992529B1 (en) Seat belt retractor comprising a torsion bar support structure
JP2837306B2 (ja) ロックストランド用の緊締兼ロック装置
KR100984532B1 (ko) 차량용 잠금 장치
TW200306266A (en) Release-mechanism for a trigger-switch
FI118371B (fi) Kuormaliinajärjestelmän käyttölaite
JP5231881B2 (ja) 車両用開閉装置
DE102006011083A1 (de) Kraftfahrzeugschloß
DE102006044403A1 (de) Ratschenanordnung zum Spannen aufwickelbarer Gegenstände
JP2000006701A (ja) 自動的に調整しなおす長さ平衡装置
DE202005004042U1 (de) Kraftfahrzeugschloß
DE102015122999A1 (de) Elektromechanisches Schloss
DE10356976A1 (de) Drehfallenantrieb eines Schlosses an einem Kraftfahrzeug
DE10362364B3 (de) Kraftfahrzeugsch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