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713A -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Google Patents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69713A KR20000069713A KR1019997005792A KR19997005792A KR20000069713A KR 20000069713 A KR20000069713 A KR 20000069713A KR 1019997005792 A KR1019997005792 A KR 1019997005792A KR 19997005792 A KR19997005792 A KR 19997005792A KR 20000069713 A KR20000069713 A KR 20000069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ony
- ulcerative colitis
- extract
- dry extract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양성 대장염의 손상조직을 수복하는 효과가 강하고, 또한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치료제는 작약, 특히 작약의 침출건조엑기스 또는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침출건조엑기스, 특히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의 침출건조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것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은 주로 대장, 즉 직장에서 맹장까지의 사이에서만 발생하는 미만성 비특이적 염증질환으로서, 연속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염증의 발생부위는 점막 및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으며, 또한 완해와 증악을 반복하여 완전치유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부터 궤양성 대장염의 감별은 비교적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에 대해서는 식사나 생활양식 등에 기인한다는 설 혹은 자기면역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아직 확증되지 않았으며, 그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의 증폭과정에 대해서는 상당히 해명되어져 왔으며, 그 지견은 많은 문헌, 학회 등에서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는 원인요법에 의한 치료는 사실상 불가능하고, 오로지 보존요법에 의한 치료가 실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로서는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의 증폭기구 해명의 지견에 의거한 치료약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예컨대 백혈구나 림프구 제거요법, 항 CD4 항체나 항 TNF-α항체 등의 임상개발시험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던 술파제인 술파사라진 (상품명 : 사라조피린) 이나 스테로이드제의 투여가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이들 약물투여에 의한 치료와 영양관리나 정신면의 관리 등을 조합한 치료를 실시하고, 여전히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외과적 요법을 가하는 치료가 주체이다.
이 약물요법에 사용되는 술파사라진이나 스테로이드제에 대해서는, 술파사라진은 경증예에는 비교적 유효하다고 생각되어,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 있어서의 제 1 선택 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중증예에서의 효과는 비교적 약하며, 또한 경증예에서도 스테로이드제와의 병용이 자주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염증의 완해기에 있어서의 치료에서는 술파사라진의 단독투여로 전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염증의 급성기에 있어서의 효과는 술파사라진의 단독투여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한편, 스테로이드제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내과적 치료의 주체를 이루는 약물이다. 그러나, 그 부작용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투여시에 신중을 요할 뿐만 아니라 투여를 중지하는 소위 이탈시에도 매우 신중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술파사라진의 유효한 활성부분으로 생각되는 5-ASA (5-아미노살리실산) 에 대해서도,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물에 관해서도 술파사라진과 동일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궤양성 대장염 치료의 현상을 감안하여,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의 증폭기구 해명의 지견에 의거한 치료제로서, 염증부위에 있어서의 조직수복효과가 강하고 또한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부작용이 없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최근,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에 한방약을 사용하는 시도가 수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약물요법과 병용하여 예컨대 스테로이드제의 항염증력을 증강하는 예 [일중의약학회지, 8, p516 (199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40931], 정신적인 안정을 얻는 예 [현대동양의학, Vol.13, No.1, p125 (1992)], 변비, 설사 등을 개선하는 예 [현대동양의학, Vol.12, No.1, p115 (1991)], 또한 인삼탕의 투여에 의한 직접적인 염증완해효과를 언급한 것 [일본동양의학잡지, Vol.42, No.3, p337 (1992)] 등, 그 성과가 수많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한방약이 초래하는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치료작용에 주목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한방약 중에서도 작약 및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인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이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부의 조직수복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음을 새롭게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를 제공하고, 그 구체적인 태양에 있어서 작약의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태양으로서,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특히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이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인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의 유효성분인 작약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약의 건조분말 혹은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 뿐만 아니라 작약 또는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침출건조엑기스의 형태여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태양으로서, 작약의 침출건조엑기스 또는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침출건조엑기스, 특히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의 침출건조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를 제공한다.
종래부터 한방처방은 술파사라진, 스테로이드제 등의 투여에 의한 치료에 있어서의 보조적인 역할, 즉 정신적 안정을 초래하는 작용, 설사를 억제하는 작용 등만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인데, 그 한방처방중에서도 작약의 건조분말, 작약의 침출건조엑기스 또는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침출건조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제제는, 후기하는 시험결과로부터도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궤양성 대장염의 손상조직을 수복하는 효과가 강하고, 또한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걱정이 전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양호한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료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의 작약 (Paeoniae radix) 은 중국, 한국, 일본 각지에서 재배되는 목련과의 다년초 작약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또는 근연식물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이다. 작약은 수렴, 완화, 진경, 진통, 냉증, 피부질환약으로서, 나아가서는 복만, 복통, 신체동통, 설사, 화농성 종양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처방인 작약감초탕, 당귀작약산, 십전대보탕, 소청룡탕, 대시호탕, 시호계지탕, 황금탕, 사역산, 당귀건중탕, 온경탕, 진무탕, 계지작약지모탕 등에 배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에 있어서는, 이 작약의 건조분말 혹은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을 유효성분으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인데, 작약의 용량으로서는 1 일 3 ∼ 6 g 을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작약의 침출건조엑기스는 일예를 들면 작약을 잘게 썬 것 20 g 에 물 10 배량 (200 ㎖) 을 첨가하여 3 시간 정도 가열환류한 후, 잔류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분무건조시켜 건조엑기스로 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작약의 용량으로서 1 일 3 ∼ 6 g 정도에 상당하는 엑기스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으로서는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 등을 들 수 있다.
가미소요산은 갱년기장애, 월경불순, 자율신경실조증, 요도염, 만성습진, 변비 등에 사용되는 처방으로서, 일례를 들면 당귀, 작약, 백출, 복령, 시호 각 3.0 g, 감초, 목단피, 산사자 각 2.0 g 및 건생강, 박하 각 1.0 g 의 약량비이며, 이들 생약을 분말로 합하여 산으로 복용하거나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당귀작약산은 부정수소증후군, 자율신경실조증, 갱년기장애, 메니에르병, 저혈압증, 고혈압증, 내분비기능장해, 비염, 습진, 월경곤란증, 자궁내막염, 치질, 탈항 등에 사용되는 처방으로서, 일례를 들면 당귀, 천궁 각 3.0 g, 작약, 백출, 복령, 택사 각 4.0 g 의 약량비이며, 이들 생약을 분말로 복용하거나 달여서 복용한다. 또한, 현재로서는 엑기스과립도 제조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작약감초탕은 복직근의 이상긴장, 횡문평활근의 이상긴장 및 동통, 사지의 경련 등이 있는 각종 동통성 질환에 사용되는 처방으로서, 작약, 감초 각 3.0 g 을 600 ㎖ 의 물에 넣어 300 ㎖ 로 조려서 여과하고, 1 일 3 회로 나누어 온복한다.
또한, 계지복령환은 월경불순으로 인한 제종의 장해, 갱년기장애, 신경증, 노이로제, 우울병, 습진, 심마진, 치핵, 고환염 등에 사용되는 처방으로서, 계지, 복령, 목단피, 도인, 작약을 분말로 하고 꿀을 첨가해서 반죽하여 환약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상기 생약을 각 4.0 g 씩 얻어 600 ㎖ 의 물에 넣고 300 ㎖ 로 조려서 1 일 2 ∼ 3 회로 나누어 온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는, 상기한 각 한방처방에 의거하여 생약을 분말로 한 것, 환약으로 한 것, 달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복용의 용이함, 조제의 용이함, 휴대성 등을 고려한 경우에는 한방의 건조추출엑기스를 그대로 한방엑기스제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것을 다시 산제, 과립제, 세립제, 정제, 캡슐제 등으로 가공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한 한방의 침출건조엑기스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계지복령환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한 생약과 그 배합량에 의거하여 600 ㎖ 의 물을 사용해서 조리고, 300 ㎖ 로 졸아든 시점에서 여과한 액을 분무건조, 동결건조등 적절한 방법으로 건조시켜, 계지복령환의 엑기스분말을 얻어 그대로 한방엑기스제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이 엑기스분말을 사용해서 다른 제제의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통상의 제제에 사용하는 적당한 부형제, 예컨대 유당, 옥수수전분, 결정셀룰로오스 등이나 활택제, 예컨대 탤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 또한 필요에 따라 유동성 촉진제, 예컨대 경질무수규산, 합성규산알루미늄 등이나 붕괴제, 예컨대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 결합제, 예컨대 덱스트린, 아라비아고무,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계면활성제, 예컨대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을 첨가하고, 제제제조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세립제, 정제, 캡슐제 등의 제제로 할 수 있다.
또한, 한방엑기스제에 있어서 2 종 이상의 처방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처방마다 별도로 한방엑기스제를 만들어 이것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고 혹은 각각의 처방의 엑기스분말을 혼합하여 이것에 부형제, 활택제, 유동성 촉진제, 붕괴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해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제를 만들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작약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궤양성 대장염의 손상조직을 수복하는 효과가 강하고, 또한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작약 또는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으로 이루어지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작약 (제 13 개정 일본약전 적합품) 10 g 에 보통 물 10 배량을 첨가하여 약 100 ℃ 에서 3 시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건조물을 혼합하여 체로 쳐서 균일한 분말상인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2.1 g 을 얻는다.
실시예 2 (가미소요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당귀, 작약, 백출, 복령, 시호 각 3.0 g, 감초, 목단피, 산사자 각 2.0 g 및 건생강, 박하 각 1.0 g 을 잘게 썰어 혼화하고, 보통 물 10 배량을 첨가하여 약 100 ℃ 에서 2 시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건조물을 혼합하여 체로 쳐서 균일한 분말상인 가미소요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4.0 g 을 얻는다.
실시예 3 (당귀작약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당귀, 천궁 각 3.0 g, 작약, 백출, 복령, 택사 각 4.0 g 을 잘게 썰어 혼화하고, 보통 물 10 배량을 첨가하여 약 100 ℃ 에서 2 시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건조물을 혼합하여 체로 쳐서 균일한 분말상인 당귀작약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2.9 g 을 얻는다.
실시예 4 (작약감초탕의 수침출건조엑기스)
작약 및 감초 각 3.0 g 을 잘게 썰어 혼화하고, 보통 물 10 배량을 첨가하여 약 10 ℃ 에서 2 시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건조물을 혼합하여 체로 쳐서 균일한 분말상인 작약감초탕의 수침출건조엑기스 0.9 g 을 얻는다.
실시예 5 (계지복령환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계지, 복령, 목단피, 도인, 작약 각 4.0 g 을 잘게 썰어 혼화하고, 보통 물 10 배량을 첨가하여 약 100 ℃ 에서 2 시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건조물을 혼합하여 체로 쳐서 균일한 분말상인 계지복령환의 수침출건조엑기스 1.8 g 을 얻는다.
실시예 6 (작약 과립제)
작약 10 g 을 잘게 썬 후에 분쇄하여 분말로 한다. 이 분말 6 g 에 유당 6 g, 결정셀룰로오스 2.8 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축성형기를 사용해서 성형하고, 파쇄기를 사용해서 파쇄하고, 체로 쳐서 선별하여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 7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정제)
실시예 1 에서 얻은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25.6 g 에 유당 5 g, 결정셀룰로오스 5 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3 g, 경질무수규산 1.2 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타정기로 압축성형하여 1 정 0.4 g 의 정제를 얻는다.
실시예 8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캡슐제)
실시예 1 에서 얻은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25.6 g 에 옥수수전분 2.4 g 및 경질무수규산 2 g 을 첨가하고, 교반조립기를 사용해서 에탄올을 첨가하면서 교반조립하고, 얻어진 조립물을 40 ℃ 통풍건조기중에서 1 일 건조시킨 후에 체로 쳐서 선별하여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과립을 얻는다. 이 과립 0.3 g 을 1 호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얻는다.
실시예 9 (작약 산제)
작약 10 g 을 잘게 썬 후에 분쇄하여 체로 쳐서 분말로 한다. 이 분말 6 g 에 유당 4 g, 결정셀룰로오스 6 g 및 옥수수전분 2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체로 쳐서 선별하여 산제를 얻는다.
실시예 10 (가미소요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과립제)
실시예 2 에서 얻은 가미소요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4.5 g 에 유당 2.5 g, 결정셀룰로오스 1 g, 합성규산알루미늄 0.9 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축성형기를 사용해서 성형하고, 파쇄기를 사용해서 파쇄하고, 체로 쳐서 선별하여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 11 (당귀작약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과립제)
실시예 3 에서 얻은 당귀작약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3.2 g 에 유당 3.5 g, 결정셀룰로오스 1.2 g, 경질무수규산 1 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02 g 및 탤크 0.08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축성형기를 사용해서 성형하고, 파쇄기를 사용해서 파쇄하고, 체로 쳐서 선별하여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 12 (작약감초탕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과립제)
실시예 4 에서 얻은 작약감초탕의 수침출건조엑기스 1 g 에 유당 3 g, 결정셀룰로오스 1.2 g, 경질무수규산 0.73 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07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축성형기를 사용해서 성형하고, 파쇄기를 사용해서 파쇄하고, 체로 쳐서 선별하여 과립제를 얻는다.
실시예 13 (계지복령환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과립제)
실시예 5 에서 얻은 계지복령환의 수침출건조엑기스 2 g 에 유당 4 g, 결정셀룰로오스 1.4 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축성형기를 사용해서 성형한 후, 파쇄기를 사용해서 파쇄하고, 체로 쳐서 선별하여 과립제를 얻는다.
이하, 작약 혹은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치유효과를 시험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1
스프라그-돌리 (Sprague-Dawley) 계 수컷 래트 (생후 7 주) 를 사용하여 1 군 8 마리를 시험에 이용한다. 시험약제로서 작약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계지복령환의 수침출건조엑기스, 당귀작약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가미소요산의 수침출건조엑기스 및 작약감초탕의 수침출건조엑기스를 사용한다.
대장염 유발 4 일전부터 각 건조엑기스를 물에 용해 혹은 분산한 것을 1 일 1 회 경구투여하여 부검 전날까지 투여한다. 대조군으로서는 동량의 물을 경구투여한다. 궤양성 대장염 유발은 약물투여개시 4 일후에 래트를 마취한 후, 90 ㎎ 의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TNB) 을 20 % 에탄올 1.5 ㎖ 에 용해한 용액을 경항문적으로 투여하여 대장염을 유발한다 (Gastroenterology, 96, 795 ∼ 803 (1989)).
대장염 유발후 7 일째에 래트를 도살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항목에 대해 평가한다. 또한, 유의차검정에는 Dunnett 검정을 이용한다.
1) 결장 습중량
항문에서 8 ㎝ 까지의 결장을 적출하여 그 습중량을 측정한다.
2) 유착의 육안적 평가
염증성 세포의 침윤에 의한 장막 등의 결합직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 분류에 따라 점수화한다.
0 : 유착을 전혀 일으키지 않은 것
1 : 약간 유착되어 있는 것 (손가락으로 쉽게 박리할 수 있음)
2 : 유착이 강한 것
3 : 완전히 유착되어 있는 것
3) 중증도의 육안적 평가
대장염의 중증도의 정도를 다음 분류에 따라 평가하여 점수화한다.
0 : 대미지 없음
1 : 약간의 장벽의 비후, 국한성 충혈 없음, 점막에로지온 없음
2 : 충혈과 장벽의 비후 혹은 충혈이 없는 강한 장벽의 비후
3 : 충혈을 수반하는 1 개의 에로지온과 장벽의 비후
4 : 2 개 이상의 충혈을 수반하는 에로지온 혹은 장벽의 비후
5 : 2 개 이상의 대미지 혹은 결장에 2.5 ㎝ 이하의 대미지가 있는 것
6 ∼ 9 : 대미지가 2.5 ㎝ 이상인 경우에는 0.5 ㎝ 마다 1 추가
각각의 한방처방마다의 결과를 다음 표 1 ∼ 표 5 에 나타낸다.
군 | 장관 습중량 ±S.E.(㎎) | 유착 ±S.E. | 중증도 ±S.E. |
대조군 | 2136.0 ±148.9 | 1.00 ±0.26 | 7.76 ±0.33 |
12.8 ㎎/㎏/일 투여군 | 1690.0 ±82.3 | 0.71 ±0.18 | 6.29 ±0.29 |
25.6 ㎎/㎏/일 투여군 | 1777.7 ±94.8 | 0.67 ±0.21 | 5.83 ±0.40 |
51.2 ㎎/㎏/일 투여군 | 1662.0 ±105.8 * | 0.57 ±0.30 | 5.00 ±0.52 * |
102.4 ㎎/㎏/일 투여군 | 1498.0 ±97.7 ** | 0.38 ±0.26 | 4.50 ±0.42 ** |
256 ㎎/㎏/일 투여군 | 2437.3 ±231.2 | 2.57 ±0.30 | 7.86 ±0.34 |
* : p<0.05 ** : p<0.01 대대조군 |
상기 표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작약 건조엑기스 12.8 ㎎ ∼ 102.4 ㎎/㎏/일의 경구투여에서 장관 습중량, 유착 및 중증도는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장관 습중량은 12.8 ㎎, 51.2 ㎎ 및 102.4 ㎎/㎏/일 투여군에서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고, 중증도는 51.2 ㎎ 및 102.4 ㎎/㎏/일 투여군에서 유의한 억제를 나타낸다. 그러나, 256 ㎎/㎏/일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억제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작약 건조엑기스의 유효투여량은 약 10 ㎎ ∼ 약 110 ㎎/㎏/일의 범위로 생각된다.
군 | 장관 습중량 ±S.E.(㎎) | 유착 ±S.E. | 중증도 ±S.E. |
대조군 | 2314.3 ±133.3 | 1.63 ±0.18 | 8.00 ±0.27 |
235.0 ㎎/㎏/일 투여군 | 1686.4 ±120.0 ** | 1.00 ±0.31 | 4.86 ±0.26 ** |
470.0 ㎎/㎏/일 투여군 | 1832.8 ±44.0 * | 1.40 ±0.24 | 5.60 ±0.24 * |
940.0 ㎎/㎏/일 투여군 | 1884.0 ±115.0 * | 1.00 ±0.31 | 6.30 ±0.42 * |
* : p<0.05 ** : p<0.01 대대조군 |
상기 표 2 에 나타낸 가미소요산 건조엑기스의 결과에서는, 235 ㎎ ∼ 940 ㎎/㎏/일의 투여에서 장관 습중량 및 중증도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착에 관해서도 억제경향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가미소요산중의 작약의 함유량은 235 ㎎ 중에서 25.6 ㎎, 940 ㎎ 중에서 102.4 ㎎ 에 상당한다.
군 | 장관 습중량 ±S.E.(㎎) | 유착 ±S.E. | 중증도 ±S.E. |
대조군 | 2314.3 ±133.3 | 1.63 ±0.18 | 8.00 ±0.27 |
128.0 ㎎/㎏/일 투여군 | 1791.7 ±46.0 ** | 0.71 ±0.29 ** | 5.86 ±0.34 ** |
256.0 ㎎/㎏/일 투여군 | 1880.7 ±76.0 * | 0.86 ±0.26 | 6.29 ±0.47 * |
512.0 ㎎/㎏/일 투여군 | 1853.0 ±121.0 * | 1.57 ±0.20 | 6.29 ±0.47 * |
* : p<0.05 ** : p<0.01 대대조군 |
상기 표 3 에 나타나는 당귀작약산 건조엑기스의 결과에서는, 128 ㎎ ∼ 512 ㎎/㎏/일의 투여에서 장관 습중량 및 중증도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고, 유착에 관해서는 128 ㎎/㎏/일의 투여에서 유의한 억제를, 다른 투여량에서도 억제경향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당귀작약산중의 작약의 함유량은 128 ㎎ 중에서 25.6 ㎎, 512 ㎎ 중에서 102.4 ㎎ 에 상당한다.
군 | 장관 습중량 ±S.E.(㎎) | 유착 ±S.E. | 중증도 ±S.E. |
대조군 | 2136.0 ±148.9 | 1.00 ±0.26 | 7.76 ±0.33 |
71.0 ㎎/㎏/일 투여군 | 1621.0 ±122.6 * | 0.83 ±0.40 | 6.33 ±0.42 |
142.0 ㎎/㎏/일 투여군 | 1606.5 ±118.7 * | 0.67 ±0.33 | 5.33 ±0.49 * |
* : p<0.05 대대조군 |
상기 표 4 에 나타나는 작약감초탕 건조엑기스의 결과에서는, 71 ㎎ ∼ 142 ㎎/㎏/일의 투여에서 장관 습중량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증도에서는 142 ㎎/㎏/일의 투여에서 유의한 억제를, 71 ㎎/㎏/일에서 억제경향을 인정하고, 유착에서는 모든 투여량에서 억제경향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작약감초탕중의 작약의 함유량은 71 ㎎ 중에서 25.6 ㎎, 142 ㎎ 중에서 51.2 ㎎ 에 상당한다.
군 | 장관 습중량 ±S.E.(㎎) | 유착 ±S.E. | 중증도 ±S.E. |
대조군 | 2478.3 ±185.0 | 3.00 ±0.40 | 6.57 ±0.53 |
40.6 ㎎/㎏/일 투여군 | 2007.7 ±105.7 * | 2.00 ±0.63 | 5.00 ±0.52 |
203.0 ㎎/㎏/일 투여군 | 1915.4 ±115.5 * | 1.14 ±0.51 | 5.00 ±0.44 |
406.0 ㎎/㎏/일 투여군 | 1804.0 ±94.9 * | 1.43 ±0.69 | 4.00 ±0.22 * |
* : p<0.05 ** : p<0.01 대대조군 |
상기 표 5 에 나타나는 계지복령환 건조엑기스의 결과에서는, 40.6 ㎎ ∼ 406 ㎎/㎏/일의 투여에서 장관 습중량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증도에서는 406 ㎎/㎏/일의 투여에서 유의한 억제를, 그 외의 투여량에서 억제경향을 인정하고, 유착에서는 모든 투여량에서 억제경향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계지복령환중의 작약의 함유량은 40.6 ㎎ 중에서 12.8 ㎎, 406 ㎎ 중에서 128 ㎎ 에 상당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약 및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에 있어서 이들을 경구투여함으로써 궤양성 대장염을 억제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그러나, 작약 건조엑기스의 투여량이 128 ㎎/㎏/일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억제효과가 상실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서는 작약 건조엑기스의 투여량으로서 약 10 ㎎/㎏/일 ∼ 약 11 ㎎/㎏/일의 투여량이 되는 배합으로 처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작약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는 뛰어난 궤양성 대장염 치료작용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는 궤양성 대장염의 손상조직을 수복하는 효과가 강한 것이며, 또한 스테로이드제와 같은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 작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작약의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제 3 항에 있어서,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이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인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작약의 침출건조엑기스 또는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침출건조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제 5 항에 있어서, 작약을 함유하는 한방처방의 침출건조엑기스가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작약감초탕 또는 계지복령환의 침출건조엑기스인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1662997A JP5054863B2 (ja) | 1997-11-04 | 1997-11-04 | 潰瘍性大腸炎治療剤 |
JP97-316629 | 1997-11-04 | ||
PCT/JP1998/004950 WO1999022748A1 (fr) | 1997-11-04 | 1998-11-02 | Remedes pour la recto-colite hemorragiqu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9713A true KR20000069713A (ko) | 2000-11-25 |
KR100558126B1 KR100558126B1 (ko) | 2006-03-10 |
Family
ID=1807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05792A KR100558126B1 (ko) | 1997-11-04 | 1998-11-02 |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6586022B2 (ko) |
EP (1) | EP0968718B1 (ko) |
JP (1) | JP5054863B2 (ko) |
KR (1) | KR100558126B1 (ko) |
AU (1) | AU754776B2 (ko) |
CA (1) | CA2276676C (ko) |
DE (1) | DE69842084D1 (ko) |
ES (1) | ES2355289T3 (ko) |
HK (1) | HK1024174A1 (ko) |
WO (1) | WO199902274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34769A3 (ko) * | 2009-05-22 | 2011-03-17 |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0130198A1 (ko) * | 2018-12-20 | 2020-06-25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87495A1 (en) * | 2007-10-25 | 2016-02-24 | Yale University | Use of phy906 as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or irritable bowel syndrome |
US20120003342A1 (en) | 2010-06-30 | 2012-01-05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relei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
CN102920820A (zh) * | 2012-11-21 | 2013-02-13 | 杨文琳 | 一种治疗慢性结肠炎的中药组合物 |
CN103860844B (zh) * | 2014-03-31 | 2016-03-02 | 袁志贤 | 一种治疗慢性结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CN105248907A (zh) * | 2015-11-07 | 2016-01-20 | 黑龙江省农业科学院畜牧研究所 | 防治民猪肠炎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9908344A (zh) * | 2017-12-12 | 2019-06-21 | 广州汇高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治疗溃疡性结肠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
US20230390207A1 (en) * | 2020-08-25 | 2023-12-07 | Wenmin DU | Instant traditional-chinese-medicine dried powder for deco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6229A (ja) | 1985-07-26 | 1987-02-04 | Tsumura Juntendo Inc | 神経細胞分化促進剤 |
CN1003978B (zh) | 1987-09-05 | 1989-04-26 | 广州陈李济药厂 | 一种补脾益肠丸的制备工艺 |
JP2701385B2 (ja) * | 1988-12-05 | 1998-01-21 | 株式会社ツムラ | 脳浮腫抑制剤 |
JPH0640931A (ja) | 1992-07-20 | 1994-02-15 | Kanebo Ltd | 自己免疫疾患治療効果増強剤 |
JPH06226229A (ja) * | 1993-02-08 | 1994-08-16 | Sanyo Electric Co Ltd | 厨芥処理装置 |
CN1121422A (zh) * | 1994-09-19 | 1996-05-01 | 田振国 | 一种治疗慢性结肠炎的药物 |
-
1997
- 1997-11-04 JP JP31662997A patent/JP505486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11-02 AU AU96519/98A patent/AU754776B2/en not_active Ceased
- 1998-11-02 CA CA2276676A patent/CA227667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1-02 EP EP98950489A patent/EP096871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1-02 DE DE69842084T patent/DE6984208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1-02 WO PCT/JP1998/004950 patent/WO1999022748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8-11-02 KR KR1019997005792A patent/KR1005581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1-02 ES ES98950489T patent/ES235528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
- 2000-06-12 HK HK00103499.0A patent/HK1024174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
- 2001-08-09 US US09/924,539 patent/US658602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34769A3 (ko) * | 2009-05-22 | 2011-03-17 |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WO2020130198A1 (ko) * | 2018-12-20 | 2020-06-25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11139980A (ja) | 1999-05-25 |
EP0968718B1 (en) | 2011-01-05 |
ES2355289T3 (es) | 2011-03-24 |
KR100558126B1 (ko) | 2006-03-10 |
EP0968718A1 (en) | 2000-01-05 |
CA2276676A1 (en) | 1999-05-14 |
AU9651998A (en) | 1999-05-24 |
WO1999022748A1 (fr) | 1999-05-14 |
AU754776B2 (en) | 2002-11-21 |
DE69842084D1 (de) | 2011-02-17 |
US6586022B2 (en) | 2003-07-01 |
CA2276676C (en) | 2010-06-22 |
JP5054863B2 (ja) | 2012-10-24 |
EP0968718A4 (en) | 2004-01-07 |
US20020025351A1 (en) | 2002-02-28 |
HK1024174A1 (en) | 2000-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8126B1 (ko) |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 |
CN108403939B (zh) | 治疗痔疮及便秘的中药复方制剂及所用中药组合物 | |
JPH0725777A (ja) | 神経栄養因子合成促進剤 | |
CN102106965B (zh) | 一种治疗软组织急性损伤的组合物及其应用 | |
CN112656877A (zh) | 一种治疗颈椎间盘突出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0601390B1 (ko) |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 |
JPH04243832A (ja) | 自己免疫疾患治療剤 | |
CN111888396A (zh) | 一种治疗颈椎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01485835B (zh) | 一种治疗骨关节炎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和检测方法 | |
CN114667156A (zh) | 一种治疗骨性关节炎的中西药组合物 | |
AU2003255854A1 (en) | Use of fermented wheat germ extract as anti-inflammatory agent | |
US7556828B2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BPH and preparation thereof | |
US20090297643A1 (en) | Botanical composition and its uses | |
JPH09208480A (ja) | サブスタンスp拮抗剤 | |
CN117959361B (zh) | 一种用于强筋壮骨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 |
CN115737729B (zh) | 一种治疗骨质疏松的民族药制剂及其制备方法 | |
JP2941160B2 (ja) | 帯状疱疹による苦痛の緩和剤 | |
CN101647930A (zh) | 盾叶冠心宁口腔崩解片及其制备方法 | |
CN113876919B (zh) | 一种活血化瘀的中药组合物和药物制剂及其应用 | |
CN108354998B (zh) | 一种治疗盆腔炎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 |
JPH1129488A (ja) | ピコスルファートナトリウム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 |
CN106389872A (zh) | 一种预防和治疗肿瘤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 |
CN115006509A (zh) | 治疗子宫疾病的中药方剂 | |
JPH10306031A (ja) | 生薬製剤 | |
CN113171406A (zh) | 治疗关节肿痛的蒙药组合物、制备方法、制剂及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