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363A - 자동차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363A
KR20000069363A KR1019997005077A KR19997005077A KR20000069363A KR 20000069363 A KR20000069363 A KR 20000069363A KR 1019997005077 A KR1019997005077 A KR 1019997005077A KR 19997005077 A KR19997005077 A KR 19997005077A KR 20000069363 A KR20000069363 A KR 20000069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harging
relay
curre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359B1 (ko
Inventor
야노우마사유키
마츠모토가츠노리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to KR101999700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3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배터리(41)로부터 대전류 부하(40)에 구동전류를 출력 제어하는 릴레이(46)와, 이 릴레이(46)의 대전류 부하(40) 접속측과 어스간에 접속한 평활용의 콘덴서(42)와 릴레이(46)의 접점을 폐쇄전의 소정시간의 사이에 콘덴서(42)에 전하를 충전한 후, 릴레이(46)의 접점을 폐쇄시키는 예비 충전회로(6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제어장치{Controller for automobile}
자동차용 제어장치의 종래 장치로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도 4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제(평)5-64268호에 명시된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를 일부 블록도에서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부호 "4O"은 차량의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보조 토크를 출력하는 모터, 부호 "41"은 모터(4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전류(IM)를 공급하는 배터리이다.
부호 "42"는 모터 전류(IM)의 리플 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대용량(1000μF 내지 3600μF 정도)의 콘덴서, 부호 "43"은 모터 전류(IM)를 검출하기 위한 션트 저항기, 부호 "44"는 모터 전류(IM)를 보조 토크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전환되기 위한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FET)(Q1 내지 Q4)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회로이다. 부호 "46"은 모터 전류(IM)를 필요에 따라서 통전 차단하기 위한 항상 개방된 릴레이.
부호 "47"은 브리지 회로(44)를 통하여 모터(40)를 구동하는 동시에 릴레이(46)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부호 "48"은 션트 저항기(43)의 한쪽 끝을 통하여 모터 전류(IM)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수단이고, 구동회로(47) 및 모터 전류 검출수단(48)은 후술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주변 회로 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 "50"은 핸들의 조타 토크(T)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 부호 "51"은 차량의 차속(V)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이다.
부호 "55"는 조타 토크(T) 및 차속(V)에 근거하여 보조 토크를 연산하는 동시에 모터 전류(IM)를 피드백하여 보조 토크에 상당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ECU)이고, 브리지 회로(44)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방향지령(D0) 및 전류제어량(I0)을 구동신호로서 구동회로(47)에 입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55)는 모터(40)의 회전 방향지령(D0) 및 보조 토크에 상당하는 모터 전류지령(Im)을 생성하는 모터 전류 결정수단(56)과, 모터 전류지령(Im)과 모터 전류(IM)와의 전류편차(△I)를 연산하는 감산수단(57)과, 전류편차(△I)로부터 P(비례)항, I(적분)항 및 D(미분)항의 보정량을 산출하여 PWM 듀티비에 상당하는 전류제어량(I0)을 생성하는 PID 연산수단(5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마이크로컴퓨터(55)는, AD 변환기나 PWM 타이머 회로 등의 그 외에 주지의 자기진단 기능을 포함하며, 시스템 기동시에 릴레이(46)의 이상검출, 또한 시스템의 고장진단 등을 행하며, 이상이 없으면 릴레이(46)를 온시키고 브리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 작동중도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항상 자기진단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구동회로(47)를 통하여 릴레이(46)를 개방하여, 모터 전류(IM)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55)는 토크 센서(50) 및 차속 센서(51)로부터 조타 토크(T) 및 차속(V)을 넣는 동시에, 션트 저항기(43)로부터 모터 전류(IM)를 피드백 입력하여, 파워 스테어링의 회전 방향지령(D0)과, 보조 토크량에 상당하는 전류제어량(I0)을 생성하여 구동회로(47)에 출력한다.
구동회로(47)는 정상 구동상태에서는, 항상 개방된 릴레이(46)를 폐쇄하고 있고, 회전 방향지령(DO) 및 전류제어량(I0)이 입력되면 , PWM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브리지 회로(44)의 각 반도체 스위칭 소자(Q1 내지 Q4)에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 전류(IM)는 배터리(41)로부터, 릴레이(46), 션트 저항기(43),브리지 회로(44)를 통하여, 모터(40)에 공급된다. 모터(40)는 이 모터 전류(IM)에 의해 구동되며, 소요 방향으로 소요량의 보조 토크를 출력한다.
이 때, 모터 전류(IM)는 션트 저항기(43) 및 모터 전류 검출수단(48)을 통하여 검출되며, 마이크로컴퓨터(55) 내의 감산수단(57)에 피드백됨으로써, 모터 전류지령(Im)과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모터 전류(IM)는 브리지 회로(44)의 PWM 구동시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리플 성분을 포함하지만, 대용량의 콘덴서(42)에 의해 평활되어 억제된다.
그런데, 이 종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가 기동될 때에, 고장 진단을 한 후, 릴레이(46)를 온 시키고 상기 설명과 같이 원하는 조타 토크(T)에 따른 제어 전류를 모터에 통전하여 소요량의 보조 토크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콘덴서(42)는, 대용량의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릴레이(46) 온(on) 시에, 릴레이 접점에 과대한 돌입 전류가 흐른다. 그 결과, 제어장치의 기동이 반복 행하여진 경우에, 전이에 의해 접점이 용착하고, 시스템 이상시에 모터(40)에의 통전전류를 차단할 수 없는 상황으로 된다.
그러나, 릴레이(46)는 원하는 최대 통전전류를 만족시키는 이외에, 제어장치의 기동을 반복하여 행하여진 경우의 상기 돌입 전류에 대한 접점의 내구성능이 중요하게 된다. 대응책으로서 상위의 통전 전류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게 되어, 부품 비용의 증대, 나아가서는 제품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보조 토크가 큰 시스템에 관해서는, 제어전류가 더욱 증가하여, 리플 전류의 증대에 의한 콘덴서(42)의 발열을 낮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낮출 필요가 있고, 그것에 따라서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돌입 전류가 더욱 커지며 높은 비용뿐만아니라 제어장치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의 신뢰성 향상 및 제품 비용의 감소를 목적으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돌입 전류의 감소화를 꾀함으로써 최대 제어 전류치를 바탕으로 릴레이의 선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부터 저 비용의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품 비용의 감소화 및 신뢰성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은 직류 전원장치로부터 릴레이 접점을 통하여 부하에 동작 전류를 공급할 때, 동작 전류중의 리플(ripple) 성분을 감소시키는 평활 콘덴서에 미리 전하를 충전한 후, 릴레이 접점을 폐쇄하여 직류 전원장치로부터 부하에 동작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콘덴서에의 돌입 전류, 즉 릴레이 접점에 흐르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충전 회로.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시스템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구성도.
1. 직류 전원으로부터 대전류 부하에 구동전류를 출력제어하는 릴레이 접점과, 이 릴레이 접점의 상기 대전류 부하 접속측과 어스간에 접속한 평활용의 콘덴서와, 이 콘덴서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 접점 폐쇄전의 소정시간의 사이에 상기 콘덴서에 전하를 충전한 후, 상기 릴레이 접점을 폐쇄시키는 예비 충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2.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콘덴서에 대한 예비 충전 전압 레벨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3.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콘덴서에 소정시간 전하를 충전한 후에 충전을 차단하여 두는 것이다.
4.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릴레이 용착시 등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콘덴서의 충전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회로이다.
5.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제어장치 기동과 동시에 내부 정전압 회로의 동작을 개시하고, 즉시 콘덴서의 충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실시예 1을 도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의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면중, 도 4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60"은 예비 충전회로(precharging cirait)이고, 이 예비 충전 회로(6O)는 콘덴서(42)에 미리 전하를 충전하는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5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콘덴서(42)에의 충전을 정지한다.
예비 충전회로(6O)는 그 구성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에 마이크로컴퓨터(5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전압(Vcc)에 의해 베이스 전류를 공급시키는 저항(R1)을 접속한 이미터 접지의 트랜지스터(Q1), 이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를 베이스에 접속하는 동시에, 베이스와 이미터간에 바이어스 저항(R2)을 접속하고, 이미터에 배터리 전압(VB)이 인가된 파워 트랜지스터(Q2), 파워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양극이 접속된 역내압 보호용 다이오드(D1), 이 역내압보호용 다이오드(D1)의 음극과 콘덴서(42)의 양(十)단자간에 접속된 저항(R3), 저항(R3)과 콘덴서(42)의 접속측과 어스간에 접속된 저항(R4)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마이크로컴퓨터(55)측의 제어 논리회로와 접속되어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어 논리회로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압(Vcc)에 대하여 마이너스 레벨의 신호를 입력하여 베이스 전류를 차단하고 트랜지스터(Q1)를 오프하여, 예비 충전회로(6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각 트랜지스터(Q1, Q2)에 전압(Vcc, VB)을 공급하여 온 동작시키고, 콘덴서(42)에 충전 전류를 보내는 경우는, 이그니션 키(SW)를 온하는 것으로 배터리(41)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정전압 회로를 통해서 전압(Vcc, VB)이 각각 트랜지스터(Q1, Q2)에 공급된다. 전압(Vcc)이 공급되면 트랜지스터(Q1)는 온하고, 바이어스 저항(R2)간에 전압(VB)이 발생한다. 그 결과, 파워 트랜지스터(Q2)에 베이스 전류가 흘러 온하는 것으로, 역내압 보호용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저항(R3, R4)간에 전압(VB)이 발생한다. 이 전압(VB)은 저항(R3, R4)의 저항치 비율로 분압되어, 저항(R4)에 의해 콘덴서(42)의 양단에 인가되어 충전된다. 파워 트랜지스터(Q2)는 역내압 보호용 다이오드(D1)에 의해 콘덴서(42)의 충전 전압으로부터 보호된다. 콘덴서(42)의 충전 전압 레벨은, R3 및 R4의 비율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이상 검출 전압 레벨 이하로, 또한, 될 수 있는 한 돌입 전류 방지의 효과가 높아지도록 충전 전압 레벨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장치 기동시의 예비 충전회로(60)의 동작을 도 3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의 시스템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에 있어서, TO는 마이크로컴퓨터(55)의 리셋 시간, T1은 콘덴서(42)의 충전시간, T2는 충전 완료후의 마이크로컴퓨터(55)에 의한 시스템 고장 검출시간, V1은 예비 충전 설정 전압, V2는 릴레이 용착 등 이상 판정 전압, V3은 릴레이(46) 온 후의 콘덴서(42)의 포화 전압이다.
자동차용 제어장치를 예로서 든 전동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그니션 키(70)가, 온되고 나서 시스템이 작동하기 까지의 시간은 될 수 있는 한 단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예비 충전회로(60)는 이그니션 키(70)의 온에 따르는 시스템의 기동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정전압 회로가 상승하여 배터리(41)의 전압을 전압(Vcc, VB)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의 전원 전압에 안정화하여 트랜지스터(Q1, Q2), 마이크로컴퓨터(55)에 시스템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트랜지스터(Q1, Q2)는 전압(Vcc, VB)이 공급되어 온 동작하고, 또한, 마이크로컴퓨터(55)도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콘덴서(42)는 저항(R3과 R4)과의 저항치 비율인 전압(VB)의 분압 전압이 인가되어 충전된다. 따라서, 콘덴서(42)에 대한 충전은 마이크로컴퓨터(55)의 리셋시간(TO) 뒤에서 충전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비하여 충전의 단축화가 도모된다.
다음에, 마이크로컴퓨터(55)는 저항(R3과 R4)과의 저항치 비율로 설정된 예비 충전 설정 전압(V1)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시간(T1)후에, 전압(Vcc)에 대하여 마이너스 레벨의 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베이스 전류를 차단하고, 트랜지스터(Q1, Q2)를 오프하여 예비 충전회로(60)를 콘덴서(42)로부터 동작적으로 차단한다.
다음에, 마이크로컴퓨터(55)는 계속되는 고장 검출시간(T2)의 사이에 릴레이(46)의 이상 그 밖의 고장 진단을 행하고, 정상이면 구동회로(47)를 동작시키고 릴레이(46)를 온 시킨다. 콘덴서(42)는 이미 예비 충전 설정 전압(V1)까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릴레이(46)가 온된 후, 또한 배터리(41)에 의해 릴레이 온 후의 포화전압(V3)까지 충전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배터리(41)로부터 콘덴서(42)에의 돌입 전류, 즉 릴레이(46)의 접점 전류를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릴레이(46)가 접점 용착 또는 구동회로(47)의 이상에 의해 폐쇄회로의 경우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는 시스템 전원 온/오프에 관계없이 릴레이(46)는 온과 같은 상태가 되고, 콘덴서(42)는 포화전압(V3)까지 항상 충전 상태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시스템 온시에 배터리(41)로부터 릴레이(46)의 접점을 통하여 포화전압(V3)까지 충전되지만, 어느 경우도 다이오드(D1)에 의해 예비 충전회로의 설정전압(V1)에 관계없이 포화전압(V3)까지 충전되므로 고장 진단은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릴레이(46)의 접점 용착시에, 또한, 시스템 전원 오프 시에도 충전된 콘덴서(42)로부터 내부 회로에의 전압의 회전이 차단되기 때문에 이상시의 시스템 오동작은 없다.
또한 예비 충전회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55)에 의해 시스템 기동하고 나서 소정시간(T1) 후에 차단되어 콘덴서(42)에의 충전동작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시스템 작동중에 고장 진단에 의해 이상 발생이 검출되고, 릴레이(46)가 즉시 오프되어 배터리(41)로부터 브리지 회로(44)에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예비 충전회로(60)로부터 브리지 회로(44)에 구동전압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원래의 동작을 손상하지 않는 비교적 간단한 회로에서 릴레이 접점에의 콘덴서 돌입 전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제어장치의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직류 전원장치로부터 릴레이 접점을 통하여 부하에 동작 전류를 공급할 때, 동작 전류중의 리플 성분을 감소시키는 평활 콘덴서에 미리 전하를 충전한 후에, 릴레이 접점을 폐쇄하여 직류 전원장치로부터 부하에 동작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콘덴서에의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릴레이를 종래의 릴레이보다 접점의 전류용량이 작고 저비용의 것을 채용할 수 있게 되어, 제품 비용의 감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직류 전원으로부터 대전류 부하에 구동전류를 출력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과, 이 릴레이 접점의 상기 대전류 부하 접속측과 어스간에 접속한 평활용의 콘덴서와, 상기 릴레이 접점 폐쇄전의 소정시간의 사이에 상기 콘덴서에 전하를 충전한 후, 상기 릴레이 접점을 폐쇄시키는 예비 충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콘덴서에 대한 예비 충전 전압 레벨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콘덴서에 소정시간 전하를 충전한 후에 충전을 차단하여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어장치.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릴레이 용착시 등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콘덴서의 충전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어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 충전 제어수단은, 제어장치 기동과 동시에 내부 정전압 회로의 동작을 개시하고, 즉시 콘덴서의 충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어장치.
KR1019997005077A 1999-06-08 1997-10-0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 KR10035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5077A KR100352359B1 (ko) 1999-06-08 1997-10-0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5077A KR100352359B1 (ko) 1999-06-08 1997-10-0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363A true KR20000069363A (ko) 2000-11-25
KR100352359B1 KR100352359B1 (ko) 2002-09-11

Family

ID=5477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077A KR100352359B1 (ko) 1999-06-08 1997-10-0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3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33U (ja) * 1992-09-07 1994-04-12 光洋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359B1 (ko)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159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CN101959745B (zh) 电力转向装置
JP3750871B2 (ja) 自動車用制御装置
US11283389B2 (en) Motor system
JP488246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H0824463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200915480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5003858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CA2355019C (en) Electrically-driven power steering system having failure detection function
JP2007019293A (ja) リニアソレノイドの駆動装置
KR10035235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장치
JP3663890B2 (ja)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355097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200203709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ための電子制御装置
JP3473779B2 (ja) 電流検出器の故障検出方法
EP1495944A1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H1126324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2013091424A (ja) 電子制御装置
JPH1020338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3663887B2 (ja)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351156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H0627433U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56212B2 (ja) 駆動装置
JPH1115204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2023136782A (ja) 制御装置の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