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760A -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760A
KR20000068760A KR1019997003210A KR19997003210A KR20000068760A KR 20000068760 A KR20000068760 A KR 20000068760A KR 1019997003210 A KR1019997003210 A KR 1019997003210A KR 19997003210 A KR19997003210 A KR 19997003210A KR 20000068760 A KR20000068760 A KR 20000068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data
identification
read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7897B1 (ko
Inventor
도네노부히로
아라이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6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송신장치는,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제 1기억부와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데이터에 의거하여 선택된 데이터에 제 1식별데이터를 부가하는 데이터생성부와를 갖는다. 단말장치는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소망으로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제 1식별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장치 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억부와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를 갖는다. 재생부에 의한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에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제 2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재생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하는 동시에 데이터의 양도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Data transmission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terminal unit, and transferring method of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회선이나 통신위성을 통해서, 음악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장치에 배신하는 서비스를 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음악의 배신서비스를 행하는 송신장치가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장치와 송신장치가 ISDN회선이나 통신위성 등의 통신매체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장치와 송신장치가 연결되면, 음악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화면이나 검색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메뉴화면이나 검색화면을 보면서,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장치에서 사용자단말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소망의 악곡의 디지털 오디오데이터가 상술한 통신매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배신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이 실현되면, 사용자는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자신의 좋아하는 음악데이터가 입수되게 된다. 또한 송신장치로부터의 음악데이터를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때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부과금이 행해진다.
상술과 같이, 이와 같은 음악배신시스템이 보급하여 오면,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자신의 좋아하는 음악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음악배신시스템이 보급하면, 통신네트워크를 거쳐서 입수한 음악데이터를 부정하게 복사하여 타인에게 판매하거나 하는 것이 행해지고, 저작권이 침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음악배신시스템이 보급되고,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음악데이터를 구입하는 것이 왕성하게 행해져가면, 자신이 작성한 음악데이터나 한번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를 통신네트워크를 거쳐서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이 행해지게 된다고 고려된다. 이와 같이 음악데이터를 양도할 때에도, 데이터가 보호를 도모하는 동시에, 소유권의 이전이 간단히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소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통신네트워크를 거쳐서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보호가 도모되도록 한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정보가 축적되는 송신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장치에 음악데이터를 배신(配信)하도록 한 정보전송시스템에 사용하여 가장 적절한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신장치와 그 수신장치에 탈착자재로 설치되는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신장치의 일형태 및 그 것에 장착되는 단말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듣는 헤드폰이 장착되는 단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단말장치에 커넥터를 거쳐서 여러가지의 입출력기가 접속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단말, 수신장치 및 송신장치를 갖추는 시스템 전체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구성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운로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단말간의 데이터양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휴대단말장치 2. 수신장치
3. 송신장치 5. 통신회선
27. ROM 28. RAM
32.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제 1기억부와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데이터에 의거하여 선택된 데이터에 제 1식별데이터를 부가하는 데이터생성부와를 가지는 송신장치와,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소망으로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제 1식별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장치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억부와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에 의한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에,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제 2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를 갖춘 전송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데이터에 의거한 송신장치는,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선택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 1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제 1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신장치에서 송신하고, 단말장치는 송신되어온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제 2기억부에 기억하고, 단말장치는 제 2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단말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단말장치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와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송신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제 1식별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장치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에 의한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에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갖추는 단말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식별데이터와 전송된 횟수를 나타내는 횟수데이터가 부가된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를 가지며, 장치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단말장치를 서로 데이터의 교신을 가능하게 접속하고, 제 1 및 제 2단말장치중 어느 한편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다른편의 단말장치의 다른편의 기억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다른편의 단말장치의 장치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송신하고, 한편의 단말장치는 다른편의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장치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이용하여 한편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를 고쳐쓴 후, 다른편의 단말장치에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식별데이터와 전송된 횟수를 나타내는 횟수데이터가 부가된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를 가지며, 장치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단말장치를 서로 데이터의 교신을 가능하게 접속하고, 제 1 및 제 2단말장치중 어느 한편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다른편의 단말장치의 다른편의 기억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한편의 단말장치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횟수데이터에 의거하여 한편의 단말장치에서 다른편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의 가부가 판단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체의 정보전송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송신장치(3)는 대용량의 데이터 또는 복수의 정보가 축적되는 기록매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CATV(Cable Television,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통신위성, 전화회선 등의 통신회선(5)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정보를 수신하고, 그 요구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또는 데이터중에서 검색하고, 요구정보와 대응하는 또는 요구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통신회선(5)을 통해서 수신장치(2)에 송신한다. 수신장치(2)는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어온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장치(2)에 접속되어 있는 휴대단말장치(1)에 출력하고, 휴대단말장치(1)는 단말장치(1)에 내장되는 기록매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반도체메모리 등에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어온 데이터 또는 정보를 복사 또는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소위 데이터·온·디맨드가 실현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오디오정보, 텍스트정보, 화상정보, 영상정보 등이 고려된다(이하, 이들의 데이터 또는 정보를 총칭하여 데이터라고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장치(3)는 대량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부(59)와, 그 기억부(59)에 축적되는 데이터에서 소망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60)를 적어도 갖는다. 기억부(59)로서는 현재의 방송국용 기기에 사용되는 자기테이프 등도 고려되는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스템의 특징의 하나인 온·디맨드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가능한 하드디스크, 반도체메모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이 소망스럽다. 송신장치(3)의 전체의 동작의 제어는 제어부(62)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송신장치(3)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신에 이용되는 통신회선(5)으로서는, ISDN, CATV, 통신위성, 전화회선, 무선통신 등을 들 수 있다. 통신회로(5)로서는 온·디맨드를 행하기 위해 쌍방향통신이 필요하나 기존의 통신위성 등을 이용한 통신방법으로는 기지국에서 단말장치측 또는 이와 역의 어느 한방향만의 통신이 되기 때문에, 쌍방향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타방향의 통신에 다른 통신회선을 이용한다는 2개 이상의 통신회선을 이용하거나 2종류 이상의 통신회선(5)을 병용하여도 좋다.
송신장치(3)에서 수신장치(2)에 통신회선(5)에 의해 직접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송신장치(3)와 도 1에 도시하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수신장치(2)와의 사이의 통신회선의 접속 등의 인프라에 비용이 들뿐 아니라, 수신장치(2)를 거쳐서 단말장치(1)에서 송신되어 오는 요구정보가 송신장치(3)에 한극 집중하고, 송신되어온 대량의 요구정보에 의거하여 요구정보에 의거한 데이터를 각각의 수신장치(2)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장치(3)에 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송신장치(3)와 수신장치(2)의 사이에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서버(3A)를 설치하도록 하여 회선길이의 절약을 도모하는 동시에, 서버(3A)에 미리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장치(3)에서 다운로드하여 놓고, 서버(3A)와 수신장치(2)와의 사이의 교신만으로 수신장치(2)에서 송신되어 오는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3A)에서 송신하고, 휴대단말장치(1)에 서버(3A)에서 송신되어온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수신장치(2) 및 수신장치(2)에 대하여 탈착가능한 휴대단말장치(1)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수신장치(2)는, 예를 들면 각 역에 있는 매점, 컨비니언스스토어, 공중전화, 각 가정 등에 배치되고, 액정표시 등으로 이루는 표시부(7), 소망의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8), 또한 휴대단말장치(1)를 장착하는 장착부(9)를 갖는다. 장착부(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장치(2)에 설치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접속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장착부(9)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여기서, 수신장치에서는 휴대단말장치(1)의 조작부, 표시부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장치(2)의 기능을 삭감하기 위해 표시부(7), 장착부(9)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장착부(9)에는 수신장치(2)와 휴대단말장치(1)가 정보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단자(6), 휴대단말장치(1)를 장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휴대단말장치(1)의 전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전원(10)과 접속되어 있는 전원단자(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의 전체가 수신장치(2)에 대하여 탈착가능으로 되어 있으나, 수신장치(2) 측과의 데이터의 입출력, 충전전지의 공급을 포함하는 전원공급이 행해지는 것이라면 좋고, 휴대단말장치(1)의 저면, 측면 혹은 선단에 소형장착부를 갖는 전원공급선 및 정보입출력선이 휴대단말장치(1)에서 인출되어 이들의 선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부를 수신장치(2)에 접속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장치(2)에 표시부(7) 및 조작부(8)가 설치되는 동시에, 휴대단말장착부(9)가 설치된다. 휴대단말장착부(9)에 휴대단말장치(1)를 직접 접속함으로써, 또는 휴대단말장착부(9)에 접속케이블을 거쳐서 휴대단말장치(1)를 접속함으로써, 수신장치(2)와 단말장치(1)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및 수신장치(2)에서 단말장치(1)로의 전원의 공급이 행해진다.
또, 하나의 수신장치(2)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휴대단말장치(1)를 접속하여 액세스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나의 수신장치(2)에 복수의 블록(2A, 2B, 2C,…)이 설치되어 있다. 각 블록(2A, 2B, 2C,…)에는, 각각 표시부(7A, 7B, 7C,…) 및 조작부(8A, 8B, 8C,…)가 설치되는 동시에, 휴대단말장치(1)의 장착부(9A, 9B, 9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신장치(2)에서는, 각 블록(2A, 2B, 2C,…)의 각 장착부(9A, 9B, 9C,…)에 휴대단말장치(1A, 1B, 1C,…)를 각각 접속하여 하나의 수신장치(2)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장치(2)에 후술하는 장착판별부(40)에 의해 단말장치(1)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면 자동적으로 전원단자(13)에서 충전전류가 공급됨으로써 휴대단말장치(1)에 내장되는 이차전지가 충전되고, 그 뜻이 표시부(7) 또는 표시부(16)에 표시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표시부(7 또는 16)에 표시되는 메뉴를 표시에 따라서 소망하는 데이터명, 데이터의 종별 등에 관한 항목이나 조건을 선택키(14)에 의해 선택하고, 결정키(15)에 의해 결정한 항목, 조건 등에 대응하는 요구정보를 입출력단자(12)를 통해서 수신장치(2)에 업로드 또는 송신하는 동시에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1)의 기록매체에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선택키 및 결정키는 회전조작부로서의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셀렉트, 다이얼의 가압에 의해 결정이라는 죠그다이얼을 사용하면 조작계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죠그다이얼의 구조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8-203387호에 표시되어 있다.
이 다운로드동작이 종료한 것이 수신장치(2)의 표시부(7), 혹은 휴대단말장치(1)의 표시부(16) 등에 의해 고지된 후, 수신장치(2)에서 휴대단말장치(1)를 떼어낸다. 그 결과, 사용자는 언제라도 어디라도 그 휴대단말장치(1)에 기록된 정보를 표시, 혹은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장치(1)에 설치된 소위 테이프레코더에서 사용되고 있는 빨리보내기, 재생, 되감기에 상당하는 기능을 행하게 하기 위한 키, 정지, 일시정지 등의 복수의 조작키(17)중의 어느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그 표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는 헤드폰(20)을 사용하여 오디오정보를 듣는 경우에, 헤드폰(20)이 접속되는 헤드폰단자(18)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통신회선에 의해 송신장치(3)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중 소망의 정보를 수신장치(2)를 거쳐서 단말(1)의 기록매체에 다운로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메모를 취하도록 필요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마이크로 접속단자(19)를 갖추고 있다. 상술의 조작키(17)에 녹음키를 가함으로써, 이 휴대단말장치(1)는 음성기호의 녹음기 또는 녹음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에는 디스플레이(21), 키보드(22), 모뎀 또는 터미널어댑터(23)를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20)에 디스플레이를 접속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1)에 다운로드한 동화데이터, 정지화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단말장치(1)에 키보드(22)를 접속하고, 사용자가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22)를 사용하여 요구하는 데이터의 선택 또는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소망으로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보다 복잡한 조건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단말장치(1)에 모뎀 또는 터미널어댑터(23)를 접속함으로써 수신장치(2)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장치(3)와 직접데이터의 교신이 가능하게 될뿐 아니라, 다른 컴퓨터 혹은 휴대단말장치(1)와의 데이터교신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끼리의 데이터교환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들 대신에 단말장치(1)에 무선접속 제어기를 접속하고, 무선접속 제어기를 이용하여 송신장치(3)와 휴대단말장치(1)와를 무선접속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1)에는 제어기(30)가 설치된다. 이 제어기(30)로부터는 버스(29)가 도출되어, 버스(29)에 ROM(27), RAM(28), 기록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가 접속된다.
ROM(27) 혹은 RAM(28)에는, 송신장치(3)에 축적되는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 메뉴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동시에, RAM(28)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설정된 요구정보가 축적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는, 다운로드한 데이터가 축적된다.
휴대단말장치(1)에는 조작키(17), 표시부(16), 수신장치(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부(26), 음성압축, 신장처리를 행하는 음성압축 신장회로(35)가 설치된다. 또 휴대단말장치(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20)가 접속되어 있는 I/O보드(39)를 거쳐서 디스플레이(21), 키보드(22), 모뎀 또는 터미널어댑터(23)를 접속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1)에는, 이차전지(31)에서 전원전압이 각 부에 공급된다.
또한, ROM(27)에는 각 휴대단말장치에 고유의 소유자 ID데이터(ID1)가 기억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ROM(27)의 소유자 ID데이터(ID1)와,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 ID데이터(ID2)와가 제어기(30)로 비교되고, ROM(27)에 기억되어 있는 소유자 ID데이터(ID1)와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 ID데이터(ID2)와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만, 단말장치(1)에서 출력 또는 단말장치(1)에서의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수신장치(2)에는, 송신장치(3)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휴대단말장치(1)로부터의 요구정보를 송신장치(3)에 송신하기 위한 입/출력부(24)가 설치된다. 수신장치(2)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전체의 동작은, 제어부(57)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수신장치(2)에는, 휴대단말장치(1)의 이차전지(31)에 전원단자(13) 및 전원단자(11)를 거쳐서 충전을 위한 충전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25)가 설치된다. 기억부(25)는 송신장치(3)와 단말장치(1)와의 사이의 교신을 행할 때의 버퍼로서 이용된다.
송신장치(3)는, 대량 또는 복수의 데이터가 축적되는 기억부(59),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정보에 의해 기억부(59)에서 요구정보와 대응하는 또는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60), 수신부(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부(61)가 갖추어져 있다. 송신장치(3)의 송수신을 포함한 전체동작은, 제어부(62)에 의해 제어된다. 송신장치(3)에는, 사용자가 소망으로 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자 할 때에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허용되어 있는 정규의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합(照合)을 행하는 조합처리부(63), 입/출력부(61)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데이터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ID데이터와 양도횟수와 양도허용횟수에 관한 데이터와를 부가하여 송신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형성부(64)와, 수신장치를 통해서 송신되어온 요구정보에 알맞는 부과금처리를 행하는 부과금처리부(42)가 설치된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ID데이터란, 상술한 ID데이터(ID2)에 상당한다, 조합처리부(6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에서 송신되어 오는 소유자 ID데이터에 의거하여 정규의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조합처리부(63)는 단말장치(1)에서 송신되어 온 소유자 ID데이터가 처리부(63)에 등록되어 있는 ID데이터와 조합한다. 이 조합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62)는 후술하는 도 10의 동작을 허가하거나 허가하지 않는다던지 한다.
휴대단말장치(1)의 ROM(27)에는 후술하는 소유자 ID데이터를 비롯하여 단말장치(1)의 동작에 필요하게 되는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RAM(28)에는 단말장치(1)를 통신회선(5)을 통해서 송신장치(3)와 접속하였을 때에,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어 오는 기억부(59)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의 콘텐츠데이터가 기입된다. 송신장치(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항 때에, 표시부(16)에는 RAM(28)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에 의거한 선택메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표시부(16)를 보면서 검색조건을 설정한다. 설정된 검색조건은 요구정보로서 RAM(28)에 기입된다. 이 휴대단말장치(1)를 수신장치(2)의 장착부(9)에 장착함으로써, 수신장치(2)가 송신장치(3)와 소정의 통신회선(5)에 의해 입/출력부(24)를 거쳐서 서로 교신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동일하게 송신장치(3)가 입/출력부(24) 및 휴대단말장치(1)의 입/출력부(26)를 거쳐서 휴대단말장치(1)의 버스(29)에 접속된다.
또한, 수신장치(2)의 장착부(9)에 단말장치(1)가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는, 수신장치(2)의 장착부(9)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검출스위치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장착판별부(46)에서 판별된다. 물론, 이것 이외에 입출력단자(6, 12)를 거쳐서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게 되었는지를 제어부(57)에서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RAM(28)에 축적되는 요구정보가 제어기(30)에 의한 제어하에 자동적으로 입/출력부(24, 26)를 거쳐서 송신장치(3)에 송신된다.
송신장치(3)에는, 단말장치(1)에서 송신되어온 요구정보가 입/출력부(61)에서 입력되고, 입력된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또는 해당하는 데이터가 기억부(59)에서 검색부(60)에 의해 검색되고, 색출된 데이터가 수신장치(2)에 송신된다. 수신장치(2)에 데이터가 송신될 때에 데이터형성부(64)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소유자를 나타내는 ID데이터, 양도허용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부과금에 관한 데이터가 부가된다. 이들의 송수신을 포함한 전체의 제어는 제어부(62)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또, 이 기억부(59)에는 복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더구나 대량의 데이터를 기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는 것이 소망스럽다. 압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3-139923호나 특개평3-13992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변형DCT(Modified Discreat Cosine Transform), TwinVQ(Transform 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 등(상표)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되는바, 수신장치(2) 측에서 신장할 수 있는 압축방법이라면 좋다.
송신장치(3)에서 송신될 때 또는 수신장치(2)를 거쳐서 휴대단말장치(1)에서 요구정보의 송신시의 전송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독자의 프로토콜, 또는 인터넷에서 범용으로 되어 있는 TCP/IP(Transmission control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에서 패킷화되어서 데이터송신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어온 데이터, 즉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또는 해당하는 데이터는 수신장치(2)의 입/출력부(24)에 의해 수신되는 동시에, 입출력단자(6, 12)를 거쳐서 휴대단말장치(1)의 입/출력부(26)에 공급된다. 이 요구정보의 송신에서 소망의 정보의 수신의 사이에 요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장치(1)의 이차전지(31)에는, 수신장치(2)의 전원회로(25)로부터의 충전전류가 공급되어서 이차전지(31)가 충전된다. 전원회로(25)로부터의 충전전류는, 장착부(9)에 단말장치(1)가 장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수신장치(2)의 전원단자(11)와 단말장치(1) 측의 전원단자(13)를 거쳐서 이차전지(31)에 공급되어서 이차전지(31)가 충전된다. 또는 도시하지 않은 충전회로에 의해 직접 이차전지(31)에 충전전류가 공급되어서 이차전지(31)가 충전된다. 이차전지(31)의 충전동작은, 수신장치(2)의 제어부(57)에 의해 제어된다.
휴대단말장치(1)에 입/출력부(26)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서 부과금에 관한 데이터 등의 필요한 정보가 추출되는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공급되어서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사용자의 소망의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종료하면 수신장치(2)에 설치한, 혹은 휴대단말장치(1)에 설치한 표시부(16)에 다운로드종료의 표시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사용자는 이 다운로드 종료표시를 확인한 후, 휴대단말장치(1)를 수신장치(2)에서 떼어낸다. 그 결과, 휴대단말장치(1)는 장치 단일체로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재생하고싶은 경우에는, 먼저 선택키(14) 또는 복수의 조작키(17) 중의 어느 조작키를 조작하여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의 일람의 데이터에서 재생하고싶은 데이터를 선택하고 결정한다. 그러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가 독출되고, 독출된 데이터를 음성압축 신장회로(35)에 공급되어서 신장처리가 실시된다. 이 신장된 디지털신호는 D/A컨버터(36)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서 헤드폰(29)에 공급되고, 사용자는 헤드폰(29)을 사용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들을 수 있다.
마이크로폰(38)을 사용하여 음성신호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작키(17)중 녹음 또는 기록을 행하기 위한 조작키를 조작하여 기록개시의 지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기(30)에 공급하고 기록동작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폰(38)으로부터의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A/D컨버터(37)에 의해 디지털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A/D컨버터(37)에서 출력된 디지털오디오신호가 압축신장회로(35)에 의해 상술한 어느 압축방법으로 압축되어서 버스(29)를 거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공급되어서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하여 마치 메모를 취하는 것같이 하여 사용자가 마이크로폰(38)을 사용하여 음성신호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20) 및 I/O포트(39)를 거쳐서 휴대단말장치(1)에 디스플레이(21), 키보드(22), 모뎀(23) 또는 터미널어댑터(23)를 접속할 수 있다. 커넥터(20)에 디스플레이를 접속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1)에 다운로드되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동화데이터, 문자데이터 등을 대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에 접속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1)로서는 CRT(Cathode Ray Tube)디스플레이, TFT(Thin Film Transistor) 액정디스플레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등이 고려되고, 헤드마운트형의 액정디스플레이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이동중에 있어서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볼 수 있다.
키보드(22)를 커넥터(20)를 거쳐서 단말장치(1)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요구하는 또는 욕망하고 있는 데이터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뿐 아니라, 송신장치(3)의 기억부(59)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필요정보가 되는 것보다 복잡한 커맨드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 이외에 사용자는 키보드(22)를 사용하여 의견이나 정보 등을 문자데이터로서 입력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므로, 키보드(22)를 거쳐서 입력된 문자정보를 송신장치(3)에 업로드 송신하면, 사용자의 리퀘스트수집, 또는 사용자끼리의 정보나 의견교환의 장으로서의 네트워크 상의 회의실 등의 제공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모뎀 또는 터미널어댑터(23)를 접속함으로써 휴대단말장치(1)는, 수신장치(2)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장치(3)와 직접 데이터교신이 가능하게 될 뿐만아니라, 다른 컴퓨터 혹은 다른 휴대단말장치(1)와 교신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끼리의 데이터교환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휴대전화와 모뎀 등을 조합하여서 사용하면 언제든지 어디서도 휴대단말장치(1)에서 요구정보를 송신장치(3)에 송신할 수 있고, 마땅히 온·디맨드가 될 수 있다.
도 8은, 통신회선(5)을 통해서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어 휴대단말장치(1)에 다운로드되는 음악데이터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즉 데이터형성부(64)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선두에는, 소유자 ID데이터와 양도횟수에 관한 데이터와, 양도허용횟수에 관한 데이터가 설치되고, 이것에 계속하여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또는 해당하는 음악데이터가 배치된다. 소유자 ID데이터는 각 사용자의 단말장치(1)의 ROM(27)에 기억되어 있는 각 장치(1)의 고유의 ID데이터(ID)이다. 이 각 장치(1)의 고유의 ID데이터(ID)는, ROM(27)에 단말장치(1)의 출하시에 단말장치(1)마다 미리 기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쳐쓸 수 없다. 양도횟수 데이터에는, 어느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는 휴대단말장치(1)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타인에게 양도하였을 때, 즉 다른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단말장치(1)에 음악데이터를 전송 및 기록하였을 때의 횟수, 즉 양도횟수가 기록된다. 음악데이터를 양도할 때에는 단순히 음악데이터가 전송, 기록될 뿐만아니라,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유자ID를 갈아붙인다. 양도허용횟수 데이터는, 이와 같은 양도의 횟수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9에 시퀀스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를 수신장치(2)를 거쳐서 음악데이터의 송신장치(3)에 접속하여, 소망의 음악데이터를 송신장치(3)에서 휴대단말장치(1)에 다운로드할 때에, 휴대단말장치(1)에서 송신장치(3)에 ROM(27)에 기억되어 있는 소유자ID가 보내진다. 송신장치(3)측은 휴대단말장치(1)에서 송신되어온 소유자 ID데이터를 수신하면, 소유자 ID데이터를 데이터형성부(64)에서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또는 해당하는 음악데이터에 부가하여, 휴대단말장치(1)에 송신한다. 휴대단말장치(1)에서는, 송신장치(3)에서 소유자 ID데이터가 부가되어서 음악데이터가 수신된다.
도 10에 송신장치(3)에서 휴대단말장치(1)에 데이터, 예를 들면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의 처리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악데이터를 구입, 즉 다운로드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구입하고 싶은, 다운로드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단말장치(1)를 수신장치(2)에 장착, 접속하고, 수신장치(2)와 송신장치(3)와를 통신회선(5)을 통해서 접속한다(스텝(S1)). 휴대단말장치(1)가 수신장치(2), 통신회선(5)을 통해서 송신장치(3)에 접속되면, 이 휴대단말장치(1)의 ROM(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치(1)의 고유의 소유자 ID데이터가 송신장치(3)에 송신된다(스텝(S2)). 송신장치(3)측에서 휴대단말장치(1)에서 송신되어 오는 요구정보로서의 사용자측으로부터의 지정되는 음악데이터를 검색부(60)에 의해 기억부(59)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데이터 중에서 검색하고, 요구정보와 대응하는 또는 해당하는 음악데이터를 기억부(59)에서 독출되고, 이 음악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단말장치(1)로 향해서 송신된다(스텝(S3)).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59)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에는, 데이터형성부(64)에 의해 소유자 ID데이터 등의 상술한 데이터가 부가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서는,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한 위에서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단말장치(1)를 수신장치(2)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단말장치(1)를 수신장치(2)에 장착, 접속한 후에 다운로드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때, 송신장치(3)와 수신장치(2)를 거쳐서 휴대단말장치(1)와가 접속되고, 휴대단말장치(1)에서 송신장치(3)에 송신된 소유자 ID데이터가 조합처리부(63)에서 조합되고, 정규의 사용자인 것이 확인되었을 때만 제어부(6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순서로 음악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1)에 다운로드되는 것을 허가한다. 혹시 조합처리부(63)에서의 조합의 결과가, 정규의 사용자가 아니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62)는 도 10에 도시하는 다운로드동작을 허가하지 않는다. 송신장치(3)에 휴대단말장치(1)가 접속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별은, 수신장치(2)의 장착판별부(40)에서 단말장치(1)가 장착되면 제어부(57)에서 장착된 뜻의 확인신호 또는 확인데이터를 송신장치(3)에 송신하고, 송신장치(3)의 제어부(62)가 송신되어온 확인신호 또는 확인데이터에 의거하여 행한다. 제어부(62)는 송신되어온 확인신호 또는 확인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유자 ID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명령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1)에 송신하고, 단말장치(1)는 이 명령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유자 ID데이터를 송신장치(3)에 송신한다. 부과금처리부(42)로부터는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의 수량에 의거한 부과금데이터를 도 10에 도시하는 다운로드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 단말장치(1)에 송신한다.
도 11은 재생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에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일람정보에 의거하여, 재생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하고(스텝(S11)), 사용자의 소망의 음악데이터를 조작키(17)를 사용하여 소망으로 하는 음악데이터의 번호나 다이얼 등의 소망으로 하는 음악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키입력이 된다(스텝(S12)), 소망의 음악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입력이 되면, 제어기(3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를 동작시켜서 키입력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이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 ID코드와 ROM(27)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마다 고유의 소유자 ID코드와를 비교한다(스텝(S13)).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 ID코드와 ROM(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치(1)의 고유의 소유자 ID코드와가 일치하고 있으면, 제어기(3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서 독출한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스텝(S14)).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 ID코드와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제어기(30)는 경고표시를 표시부(16)에 표시시켜서(스텝(S15)),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지 않고 종료된다.
이와 같이, 송신장치(3)에서 송신되는 음악데이터에 단말장치(1)의 소유자 ID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음악데이터가 부정복사되어도 재생할 수 없으므로, 결과로서 다운로드된 음악데이터의 부정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다운로드되는 음악데이터에는 반드시 소유자 ID데이터가 부가되고,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를 재생시에는, 음악데이터의 소유자 ID데이터와 장치(1)에 기억되어 있는 소유자 ID데이터와가 합치하고 있는 경우만.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의 재생이 허가된다. 따라서,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가 부정하게 복사된 타인에게 배부되었다고 하여도, 소유자 ID데이터가 다른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재생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송신장치(3)에서 음악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음악데이터에 소유자 ID데이터를 부가하여 놓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부정복사가 방지될뿐 아니라, 소유자 ID데이터는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에 대한 소유자를 나타내게 되므로, 소유권의 이전이 행해진다. 즉, 현재 불필요하게 된 소위 콤팩트디스크를 중고시장에서 매매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으나, 이 불필요하게 된 디스크의 매매와 같은 것이 네트워크 상에서도 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음악데이터를 양도할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어느 휴대단말장치(1A)에서 다른 휴대단말장치(1B)에 단말장치(1A)에 기억되어 있는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의 양도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말장치(1A, 1B)가 예를 들면 수신장치에 장착되어서 통신회선(5)을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스텝(S21)).
단말장치(1A)의 사용자에 따라서 조작키(17)에 의해 음악데이터를 양도하는 동작모드가 선택되고(스텝(S22)), 사용자는 단말장치(1B)의 사용자에게 양도하는 음악데이터를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데이터 중에서 조작키(17) 등을 사용하여 선택한다(스텝(S23)).
제어기(30)는 선택된 음악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의 하드디스크에서 독출하여, 독출된 음악데이터와 소유자 ID데이터와 단말장치(1A)의 소유자 ID데이터와를 비교한다(스텝(S24)). 선택되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의 소유자 ID데이터와 단말장치(1A)의 소유자 ID데이터와가 다르게 되어 있으면, 제어기(3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정당한 소유자의 것이 아니라고 하여 양도에 관한 동작모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16) 또는 수신장치의 표시부(7)에 경고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선택되어서 독출된 음악데이터의 소유자 ID데이터와 단말장치(1A)의 소유자 ID데이터와가 일치되어 있으면, 독출된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양도횟수데이터가 제어기(30)에 의해 검출되고, 이 양도횟수데이터에 의거한 양도횟수가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양도허용횟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횟수인지 아닌지가 제어기(30)에 의해 판단된다(스텝(S25)). 제어기(30)에 의해 독출된 음악데이터의 양도횟수데이터에 의거한 양도횟수가 허용횟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허용되고 있는 횟수를 초과하고 있으면, 허용된 양도횟수를 초과하였다고 하여, 제어기(30)는 양도에 관한 동작모드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도 표시부(16) 또는 표시부(7)에 양도횟수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를 초과하고 있다는 표시를 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어기(30)에 의해 독출된 음악데이터의 양도횟수에 의거한 양도횟수가 양도허용횟수 이하라면 패스워드가 입력되고(스텝(S26)), 제어기(30)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억되어 있는 패스워드가 일치한지 아닌지의 패스워드가 체크된다(스텝(S27)). 입력된 패스워드가 합치하고 있으면, 양도동작모드를 개시시키는 실행키가 입력을 받아들인다(스텝(S28)). 스텝(S27)에서 패스워드가 상위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패스워드의 재입력이 예를 들면 3회까지 허용되고, 3회 이상 입력된 패스워드가 이미 기억되어 있는 패스워드와 상위하고 있으면 처리가 종료된다. 이 스텝(S26)에서 입력되는 패스워드는, 휴대단말장치(1)를 사용자가 구입하였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다. 설정된 패스워드는 제어기(30)의 메모리영역 또는 RAM(28)에 유지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는 휴대단말장치(1)의 전원을 투입하여 동작을 개시할 때에 입력이 구해지고, 패스워드가 합치하지 않으면 단말장치(1)는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1A)중의 데이터가 부정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S29)에서 복수의 조작키(17)중 양도동작을 개시시키는 실행키가 조작되면, 단말장치(1B)에서 단말장치(1A)에 단말장치(1B)의 소유자 ID데이터와가 송신된다(스텝(S29)).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A)로부터 단말장치(1B)에 송신되는 음악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 ID데이터가 단말장치(1A)의 ID데이터에서 송신되어온 단말장치(1B)의 소유자 ID데이터에의 고쳐쓰기가 행해진다(스텝(S30)). 동시에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송신, 양도되는 음악데이터의 양도횟수가 하나만 증가된다(스텝(S31)).
제어기(30)에 의해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송신, 양도되는 음악데이터의 소유자 ID데이터가 단말장치(1B)의 ID데이터가 단말장치(1B)의 ID데이터에 고쳐쓰이고, 양도횟수데이터가 하나만 증가되면, 이 음악데이터가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송신된다(스텝(S32)). 송신되온 음악데이터는 단말장치(1B)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드디스크에 기억된다. 이 양도된 음악데이터의 소유자 ID데이터는, 단말장치(1B)의 ID데이터에 고쳐쓰여져 있으므로, 이 양도된 음악데이터는 단말장치(1B)에서 재생할 수 있다.
단말장치(1A)의 제어기(30)는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양도되는 음악데이터가 송신이 완료하면, 단말장치(1A)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2)에 남아있는 양도한 음악데이터를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송신한 데이터가 재생할 수 없는 상태, 즉 데이터소거, 삭제하고(스텝(S32)), 양도에 관한 동작모드에 의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서는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단말장치(1A)의 데이터를 장치(1B)에 양도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단말장치(1A)에서 단말장치(1B)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전송의 경우, 단말장치(1B)에서는 전송되어온 데이터의 ID데이터가 고쳐쓰여지므로, 단말장치(1B)에서 전송되어온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기기에 고유의 소유자ID가 기억되어 있고, 데이터에는 각 기기에서 송신장치에 소유자ID가 보내져서, 이 소유자ID가 데이터에 부가된다. 또 데이터를 양도할 경우에는, 소유자ID가 양도한 상대측의 소유자ID에 고쳐쓰여진다.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에는, 각 기기의 소유자ID와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ID와가 비교되고, 각 기기의 소유자ID와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소유자ID와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만 재생이 허가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하면서 데이터의 이전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은, 특히 정보가 축적되는 송신장치에서 단말에 음악데이터를 배신하도록 한 정보전송 시스템에서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9)

  1.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제 1기억부와 상기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데이터에 의거하여 선택된 데이터에 제 1식별데이터를 부가하는 데이터생성부와를 가지는 송신장치와,
    상기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소망으로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상기 제 1식별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장치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억부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에,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제 2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제 2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을 때만 상기 재생부에 의한 재생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제 2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재생부에 의한 재생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부는,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부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식별데이터 기억부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 1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는 제 1식별데이터는, 상기 제 2식별데이터와 같은 내용을 갖는 제 1식별데이터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6.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데이터에 의거한 송신장치는, 제 1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중에서 상기 선택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 1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제 1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송신되어온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제 2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제 2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단말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단말장치 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제 2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을 때만,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제 2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 2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송신장치와를 데이터의 교신가능하게 접속하였을 때에 상기 단말장치측에서 상기 제 2식별데이터를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제 1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제 1식별데이터를 부가할 때에 상기 단말장치에서 송신된 제 2식별데이터와 같은 내용을 갖는 제 1식별데이터를 생성하여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방법.
  10. 송신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중에서 사용자의 소망으로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온 제 1식별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장치 고유의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에,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을 때만 상기 재생부에 의한 재생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제 2식별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제 1식별데이터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재생부에 의한 재생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부와 상기 제 2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식별데이터 기억부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개별데이터와 전송된 횟수를 나타내는 횟수데이터와가 부가된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를 가지며, 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단말장치를 서로 데이터의 교신을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단말장치중 어느 한쪽의 단말장치의 다른쪽의 기억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의 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다른쪽의 송신장치에서 송신되온 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를 고쳐쓴 후,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가 송신된 후,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의 원래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횟수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의 가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가 소정의 횟수 이상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가 소정의 횟수 이하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의 횟수데이터가 경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공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가 일치하였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양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가 일치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3. 식별데이터와 전송된 횟수를 나타내는 횟수데이터와가 부가된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를 가지며, 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단말장치를 서로 데이터의 교신을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단말장치중 어느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의 다른쪽의 기억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횟수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의 가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양도를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가 소정의 횟수 이상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횟수데이터가 소정의 횟수 이상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고쳐쓰여진 데이터의 횟수데이터가 경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양도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가 일치하였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양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를 비교하고,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의 기억부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식별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 고유의 식별데이터와가 일치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는 상기 한쪽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다른쪽의 단말장치에 데이터의 양도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KR1019997003210A 1997-08-15 1998-08-12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KR100557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20398 1997-08-15
JP22039897 1997-08-15
PCT/JP1998/003585 WO1999009718A1 (fr) 1997-08-15 1998-08-12 Emetteur de donnees, procede de reproduction de donnees et procede de transfert de l'emetteur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760A true KR20000068760A (ko) 2000-11-25
KR100557897B1 KR100557897B1 (ko) 2006-03-10

Family

ID=1675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210A KR100557897B1 (ko) 1997-08-15 1998-08-12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40306B1 (ko)
EP (2) EP1467529B1 (ko)
KR (1) KR100557897B1 (ko)
CN (1) CN1153418C (ko)
AU (1) AU747780B2 (ko)
DE (2) DE69826976T2 (ko)
WO (1) WO1999009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76B1 (ko) * 2000-12-30 2007-11-08 강민수 학습자의 정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349B1 (en) 1994-10-21 2003-05-06 Digimarc Corporation Audio monitoring using steganographic information
US8094949B1 (en) 1994-10-21 2012-01-10 Digimarc Corporation Music methods and systems
US7805500B2 (en) 1995-05-08 2010-09-28 Digimarc Corporation Network linking methods and apparatus
US6760463B2 (en) 1995-05-08 2004-07-06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ing methods and media
US7224819B2 (en) 1995-05-08 2007-05-29 Digimarc Corporation Integrating digital watermarks in multimedia content
US6505160B1 (en) 1995-07-27 2003-01-07 Digimarc Corporation Connected audio and other media objects
US6411725B1 (en) 1995-07-27 2002-06-25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 enabled video objects
US7562392B1 (en) * 1999-05-19 2009-07-14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udio and ambient music
US6965682B1 (en) 1999-05-19 2005-11-15 Digimarc Corp Data transmission by watermark proxy
US6829368B2 (en) 2000-01-26 2004-12-07 Digimarc Corporation Establishing and interacting with on-line media collections using identifiers in media signals
US7689532B1 (en) 2000-07-20 2010-03-30 Digimarc Corporation Using embedded data with file sharing
JPH11328851A (ja) * 1998-05-19 1999-11-30 Sony Corp 端末装置及び再生方法
WO2000052690A1 (fr) * 1999-02-26 2000-09-08 Hitachi, Ltd. Enregistreur, lecteur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signal numerique
JP2000339345A (ja) 1999-03-25 2000-12-08 Sony Corp 検索システム、検索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入力装置および方法
US6728713B1 (en) 1999-03-30 2004-04-27 Tivo, Inc. Distribu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US9607328B2 (en) 1999-03-30 2017-03-28 Tivo Solutions Inc.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and exchange system
US8131648B2 (en) * 1999-10-20 2012-03-06 Tivo Inc.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and exchange system
US8874244B2 (en) 1999-05-19 2014-10-28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employing digital content
US8055588B2 (en) * 1999-05-19 2011-11-08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media methods
AUPQ439299A0 (en)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JP2001061020A (ja) * 1999-08-20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EP1134670A4 (en) * 1999-08-27 2006-04-26 Sony Corp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WO2001016821A2 (en) 1999-09-01 2001-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tribution system, semiconductor memory card, receiv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ceiving method
KR100682290B1 (ko) 1999-09-07 2007-02-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관리 시스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격납 매체
JP2001093226A (ja)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3982787B2 (ja) * 1999-10-08 2007-09-26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配布方法および電話端末装置
CA2359131C (en) * 1999-12-08 2006-02-07 Ntt Docomo, Inc. Portable telephone and terminal equipment
AU2001245800A1 (en) 2000-03-17 2001-10-03 Mark Nai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semination of digital works
US7187947B1 (en)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JP4360750B2 (ja) 2000-06-16 2009-11-11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同配信システムに利用される配信サーバ。
JP2002108350A (ja) * 2000-09-28 2002-04-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音楽配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4505701B2 (ja) * 2000-10-31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2158747A (ja) * 2000-11-20 2002-05-31 Kenwood Corp 移動体通信端末
JP4341175B2 (ja) * 2000-12-07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並びに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JP4624545B2 (ja) * 2000-12-15 2011-02-02 ハーティーウェア株式会社 著作物管理装置
US8458754B2 (en) 2001-01-22 2013-06-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start multimedia content
US20020116283A1 (en) * 2001-02-20 2002-08-22 Masayuki Chatani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 of disc ownership based on disc and user identification
US7228342B2 (en) 2001-02-20 2007-06-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ystem for utilizing an incentive point system based on disc and user identification
EP2432190A3 (en) 2001-06-27 2014-02-19 SKKY Incorporated Improved media delivery platform
JP4523280B2 (ja) * 2002-01-08 2010-08-11 ティヴォ インク 電子コンテンツの分散および交換システム
US7142891B2 (en) * 2003-10-10 2006-1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vice bound flashing/booting for cloning prevention
JP3947978B2 (ja) 2003-12-24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0678063B1 (ko) * 2003-12-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의 저장 및 재생 방법
US7747872B2 (en) * 2004-03-25 2010-06-29 Franklin Electronic Publishers, Inc. Secure portable electronic reference device
JP2005309745A (ja) * 2004-04-21 2005-11-04 Nec Corp オリジナル画像文書情報と追記情報とを管理する文書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画像文書配信サーバ
CA2588630C (en) * 2004-11-19 2013-08-20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of previously broadcasted content
US20070266443A1 (en) * 2006-05-12 2007-11-15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Certified HDD with network validation
US8185709B2 (en) * 2006-10-10 2012-05-22 Data Locker International Llc Security system for external data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96409B2 (en) 2007-06-06 2015-03-3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anagement of online trading services using mediated communications
US9483405B2 (en) 2007-09-20 2016-11-0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implified run-time program translation for emulating complex processor pipelines
US8447421B2 (en) * 2008-08-19 2013-05-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Traffic-based media selection
US8290604B2 (en) * 2008-08-19 2012-10-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Audience-condition based media selection
US9390167B2 (en) 2010-07-29 2016-07-12 Soundhound, Inc. System and methods for continuous audio matching
US10325266B2 (en) 2009-05-28 2019-06-1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Rewarding classes of purchasers
US20110016182A1 (en) * 2009-07-20 2011-01-20 Adam Harris Managing Gifts of Digital Media
US8433759B2 (en) 2010-05-24 2013-04-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rection-conscious information sharing
US9047371B2 (en) 2010-07-29 2015-06-02 Soundh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 query against a broadcast stream
US8504487B2 (en) 2010-09-21 2013-08-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Evolution of a user interface based on learned idiosyncrasies and collected data of a user
US8484219B2 (en) 2010-09-21 2013-07-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eveloping a knowledge base associated with a user that facilitates evolution of an intelligent user interface
US9035163B1 (en) 2011-05-10 2015-05-19 Soundb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content based on identified audio and multimedia
US10957310B1 (en) 2012-07-23 2021-03-23 Soundhound, Inc. Integrated programming framework for speech and text understanding with meaning parsing
US9105178B2 (en) 2012-12-03 2015-08-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Remote dynamic configuration of telemetry reporting through regular expressions
US9507849B2 (en) 2013-11-28 2016-11-29 Soundhound, Inc. Method for combining a query and a communication command in a natural language computer system
US9292488B2 (en) 2014-02-01 2016-03-22 Soundhound, Inc. Method for embedding voice mail in a spoken utterance using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system
US11295730B1 (en) 2014-02-27 2022-04-05 Soundhound, Inc. Using phonetic variants in a local context to improve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9564123B1 (en) 2014-05-12 2017-02-07 Soundhound, Inc.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an integrated user profile
GB2607846B (en) 2018-06-06 2023-06-14 Istorage Ltd Dongle for ciphering data
US11144978B1 (en) * 2021-02-25 2021-10-12 Mythical, Inc.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custom bundling of virtual items within an online g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939A (ja) 1984-11-29 1986-06-17 Sony Corp 情報受信装置
JPS63195754A (ja) 1987-02-06 1988-08-12 Mitsuboshi Belting Ltd 端末器における外部メモリカ−ドの転用規制方式
JP2513349B2 (ja) 1990-07-31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Catvにおけるリクエスト同報化装置
JPH04108451A (ja) 1990-08-29 1992-04-09 Rajie Kogyo Kk 電子ビーム照射の信頼性高度化方法
JP3047116B2 (ja) * 1990-11-15 2000-05-29 喜也 丸本 情報配給方式
US5414721A (en) * 1991-05-29 1995-05-09 Sharp Kabushiki Kaisha Serial data receiving device
JPH06236325A (ja) * 1993-02-08 1994-08-23 Sansei Denshi Japan Kk データ記憶装置
DE4404327C2 (de) * 1994-02-11 1996-08-29 Janussoft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Daten
US6002694A (en) * 1994-02-17 1999-12-14 Hitachi, Ltd. Interactive chargeable communication system with billing system therefor
JPH0877263A (ja) * 1994-09-09 1996-03-22 Fujitsu Ltd ソフトウェア処理装置
US5812663A (en) * 1994-12-29 1998-09-22 Fujitsu Limited Data reproducing device
KR0166923B1 (ko) * 1995-09-18 1999-03-20 구자홍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불법 시청 및 복사 방지방법 및 장치
JPH09160899A (ja) * 1995-12-06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サービス処理装置
JPH09297798A (ja) * 1996-05-08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機器のコピー防止装置
US6298443B1 (en) * 1998-04-24 2001-10-02 Dell Usa, L.P.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a custom software image to a comput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76B1 (ko) * 2000-12-30 2007-11-08 강민수 학습자의 정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2899A (zh) 2000-01-26
EP1467529A2 (en) 2004-10-13
EP0933901B1 (en) 2004-10-13
EP0933901A4 (en) 2002-05-29
DE69826976T2 (de) 2006-02-23
EP1467529A3 (en) 2004-10-20
US6640306B1 (en) 2003-10-28
KR100557897B1 (ko) 2006-03-10
DE69837569T2 (de) 2007-12-27
AU8647298A (en) 1999-03-08
DE69837569D1 (de) 2007-05-24
WO1999009718A1 (fr) 1999-02-25
EP0933901A1 (en) 1999-08-04
EP1467529B1 (en) 2007-04-11
CN1153418C (zh) 2004-06-09
DE69826976D1 (de) 2004-11-18
AU747780B2 (en)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897B1 (ko) 데이터전송장치, 데이터재생방법, 단말장치 및 데이터전송장치의 전송방법
AU751522B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US8468369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semination of digital works
US6512722B2 (e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erminal device,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6594740B1 (e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6956833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ireless data storage on a server and data retrieval
US20020091848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providing, accessing and using personal entertainment media
US20070214260A1 (en) Music Distribution System
EP0977200A1 (en) Recorder / reproducer,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data processor
JP2006301777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GB23599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and reproducing data
JPH1168994A (ja) 情報伝送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充電装置
JP2008010009A (ja) 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2002091449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と再生装置
JP2002300505A (ja) オンライン仮想記憶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仮想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