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247A - 고압변동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압변동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247A
KR20000067247A KR1019990014884A KR19990014884A KR20000067247A KR 20000067247 A KR20000067247 A KR 20000067247A KR 1019990014884 A KR1019990014884 A KR 1019990014884A KR 19990014884 A KR19990014884 A KR 19990014884A KR 20000067247 A KR20000067247 A KR 2000006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igh pressure
high voltage
capaci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춘덕
이정원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7247A/ko
Publication of KR2000006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2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의해서 텔레비젼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고압에 대한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된 고압을 상기 플라이백 트랜지스포머의 내부 저항을 통해 입력받으며, 상기 내부 저항의 기생커패시턴스에 의한 상기 고압의 변동신호 왜곡을 보상하는 고압변동 왜곡보상부와, 왜곡보상된 고압변동신호에 포함된 매 수평주기를 갖는 펄스성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서 출력된 고압변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에 의거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텔레비젼신호의 수직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갖으며 화면의 좌우 일그려짐을 보정하기 위한 파라볼라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파라볼라신호과 고압변동신호를 이용하여 보정된 파라볼라신호 파형을 만들고, 편향력을 공급하는 편향 요오크에 상기 보정된 파라볼라신호가 엔벨롭된 형태의 편향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수평편향회로로 구성한다.

Description

고압변동 보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HIGH VOLTAGE FLUCTUA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젼(television) 수신기의 수평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관의 애노우드(anode)에 공급하는 고압 전원을 안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 수평편향회로는 수상관의 전자 빔을 좌우로 흔들리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평편향회로는 기본적으로 발진주파수의 변동을 자동제어하는 자동주파수제어회로, 15.75KHz 발진회로, 발진전압을 충분히 증폭하는 드라이브 회로, 수평편향 코일에 편향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회로로 구성되고, 그 밖에 고압회로(고압 전압의 발생, 정류, 안정화), 수상관의 히이터나 수상관 이외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수상관의 애노우드에 공급하는 고압 전원은 플라이백 트랜스(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함)에서 수평 편향 출력의 귀선 기간에 발생하는 펄스을 이용하여 얻고 있다. 이러한 고압 전원의 전압(이하 "고압(High Voltage)"이라 함)은 부하(load)의 변화, 즉 화면의 휘도 변화에 따라 변동한다. 즉, 화면이 밝아지면 부하가 많이 걸리기 때문에 비임(beam) 전류가 많아짐으로써 고압이 낮아지고, 화면이 어두워지면 부하가 적게 걸리기 때문에 애노우드에 흐르는 비임 전류가 적어짐으로써 고압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고압이 변동하면, 화면의 크기가 변하거나 포커스(focus) 또는 콘버어전스(convergence)의 열화 등을 가져오게 된다. 이에 따라 대형화면 등의 텔레비젼 수신기는 고압을 발생하는 고압회로에 고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하기와 같은 일예의 고압 안정화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하기의 방식들에 대한 동작을 설명시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1이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관에 공급되는 고압에 대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들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① FBT(10)에 구비된 FBT 고압단자(12)와 고압변동검출단자(14)(고압변동검출회로 미사용시에는 접지됨) 사이에 커패시터 C를 삽입하여 순간적으로 고압 HV가 떨어는 현상을 방지한다.
② FBT고압변동검출단자(14)로부터 고압 HV가 변동하는 파형을 고압변동검출회로(18)에서 검출하여 EW드라이버(Ease West driver: 24)에 가하여 수평편향회로의 편향력을 수정하고 고압변동에 따른 화면변화를 수정한다. 상기 EW드라이버는 텔레비젼신호의 수직주파수에 해당하는 파라볼라신호(parabola signal)를 내부에서 생성하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파라볼라신호는 화면의 좌우 일그려짐을 보정하기 위해 생성되는 파라볼라 형태의 신호이다.
③ FBT(10)의 ABL(Auto Brightness Limit)단자(16)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크기를 ABL검출회로(20)에서 검출함에 따른 고압 HV의 변동을 인식하여 원칩화된 신호처리부의 편향관련 보정단자(22)에 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수평편향회로의 편향력을 수정하여 고압 변동에 따른 화면변화를 수정한다. 상기 FBT ABL단자(16)는 휘도가 비정상적으로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 등으로 인해 수상관에 과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개략적으로 설명한 상기한 종래의 고압변동 방지를 위한 방식들은 하기와 같은 단점이 있었다.
①의 방식은, 화면 전체가 밝은 경우(비교적 장시간에 걸친 고압의 저하)에는 고압의 변동을 피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화면 전체의 크기에 변화가 생긴다. 또한 FBT고압단자(12)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C는 상당히 큰 내압을 필요로 하므로 필연적으로 부피와 가격이 증가한다. ②의 방식은, 고압변동검출회로(18)를 사용하여 ①의 방식에서 보정되지 않는 부분을 보정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회로의 추가에 따른 부품비 및 공간의 추가가 따른다. ③의 방식은, ABL검출회로(20)에서 검출되는 고압변동정보가 실제의 고압변동과 상이하여 보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다. 그리고 ②,③의 방식은 구현방법이 상이하지만 실제로 같은 원리이므로 같은 동작을 하는 회로를 중복하여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화면상의 부분 또는 전체적인 밝기 변화에 의해 화면이 왜곡되거나 화면의 크기가 변하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고압변동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상의 부분 또는 전체적인 밝기 변화에 의해 화면이 왜곡되거나 화면의 크기가 변하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회로 구현에서 불필요한 회로를 삭제하여 원가를 절감한 고압변동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의해서 텔레비젼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고압에 대한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된 고압을 상기 플라이백 트랜지스포머의 내부 저항을 통해 입력받으며, 상기 내부 저항의 기생커패시턴스에 의한 상기 고압의 변동신호 왜곡을 보상하는 고압변동 왜곡보상부와, 왜곡보상된 고압변동신호에 포함된 매 수평주기를 갖는 펄스성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서 출력된 고압변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에 의거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텔레비젼신호의 수직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갖으며 화면의 좌우 일그려짐을 보정하기 위한 파라볼라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파라볼라신호과 고압변동신호를 이용하여 보정된 파라볼라신호 파형을 만들고, 상기 보정된 파라볼라신호가 엔벨롭된 형태의 편향제어신호를 편향력을 공급하는 편향 요오크에 인가하는 수평편향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관에 공급되는 고압에 대한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a,b는 흑색 바탕 백색 창 화면에서 상의 퍼짐 현상 및 고압 변동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고압변동 보정회로(30)의 구체 회로 구성도,
도 5는 편향요오크에 인가되는 편향제어신호 및 엔벨롭된 파라볼라신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의 고압변동보정회로(30)의 각 부 출력파형 및 수평편향회로(26)에서 편향 요오크로 인가하는 편향제어신호의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4의 필터(104) 대신에 사용되는 피크검출기의 회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시예에서의 피크검출에 따른 고압변동정보의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화면상에 밝은 부분이 존재하면 수상관의 전자빔이 증가하고 FBT의 고압이 감소한다. 이는 수상관 내부의 전자빔의 직진력을 약화시키므로 직진력이 약한 전자빔은 편향요오크(deflect yoke)로부터 공급되는 편향력에 의해 쉽게 편향되어 화면상에서 계획된 곳보다 바깥쪽으로 치우친 곳에 도착한다. 따라서 화면이 부분적으로 밝은 곳에서의 부분적인 상의 퍼짐 현상이 발생하며, 화면 전체가 밝을 경우에는 고압의 DC값의 감소로 인해 전체 화면의 크기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2a,b에서는 흑색 바탕 백색 창 화면에서 상의 퍼짐 현상 및 고압 변동 파형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HV의 DC값이 점점 떨어짐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 점점 커져가는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압의 변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조작하여 수평 편향력에 반영하므로 화면의 왜곡현상 및 화면의 크기의 변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압변동 보정회로(30)의 구체 회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FBT(10)의 내부에 구비된 부피가 크고 비싼 커패시터 C가 제거되고, 고압변동보정회로(30)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압변동보정회로(30)를 사용하여 FBT 고압변동검출단자(14)에서 출력되는 고압변동정보를 정확한 값으로 검출한다. 고압변동보정회로(30)에서 정확한 값으로 검출된 고압변동정보는 원칩화된 신호처리부의 편향관련 보정단자(22) 및 EW드라이버(24)를 거쳐 수평편향회로(26)에 인가되며, 수평편향회로(26)에서는 검출된 정확한 고압변동정보를 이용해서 수평 편향력에 반영함으로써 화면의 왜곡현상 및 화면의 크기의 변화를 방지시킨다.
도 3의 EW드라이버(24)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파라볼라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오크에 인가되는 편향제어신호(전류형태) D1을 엔벨롭하고 있는 신호 P1이다. 상기 파라볼라신호 P1은 수직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이고 파라볼라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화면의 좌우 일그려짐을 보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편향요오크로 인가되는 편향제어신호 D1의 피크(peak)치 및 버틈(bottom)치가 일정하면 화면에서의 좌우 및 상하 안쪽으로 파라볼라 형태로 일그려진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화면의 중앙은 피크 및 버틈치가 크고 화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피크 및 버틈치가 적은 파라볼라 형태의 파라볼라 신호 P1이 사용된다. 상기 파라볼라 신호 P1은 편향제어신호 D1을 엔벨롭하고 있어 화면 중앙에는 편향력이 많이 걸리게, 화면 상부 및 하부에는 편향력이 적게 걸리게 해주어 화면 좌우 및 상하 안쪽으로의 일그려짐이 없도록 해준다.
그렇지만 이러한 파라볼라 형태를 엔벨롭된 편향제어신호는 도 2a,b와 함께 설명한 고압 변동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를 고려한 회로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압변동 보정회로(30)이다.
도 3에 도시된 고압변동보정회로(30)의 구체회로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변동 왜곡보상회로(100), 버퍼(102), 필터(104), 기준전압 제공부(106), 증폭기(108) 및 분압출력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FBT(10)의 고압 HV는 브리더(bleeder) 저항 RB및 FBT 고압변동 검출단자(14)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변동 보정회로(30)의 고압변동 왜곡보상부(100)에 고압변동정보로서 인가된다. 상기 고압변동 왜곡보상부(100)는 저항 RC및 커패시터 CC로 구성되며, FBT(10)내부에 있는 브리더 저항 RB(수백 메가오옴)와 함께 존재하는 기생커패시턴스 CB로 인한 고압변동정보의 왜곡을 보상한다. 즉 RBCB= RCCC가 되도록 저항 RC와 캐패시터 CC의 값을 정한다. 상기 저항 RC와 캐패시터 CC의 값은 실험에 의해서 구해진다.
왜곡 보상된 고압변동정보는 버퍼(102)를 거쳐서 필터(104)에 인가된다. 상기 버퍼(102)는 전단에 위치한 고압변동 왜곡보상회로(100) 및 후단에 위치한 필터(104)의 특성변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버퍼(102)를 통과한 고압변동정보는 도 6의 (a)와 같은 파형으로서, 매 수평주기(NTSC방식인 경우 62.5μsec)마다 큰 진폭의 펄스성분(약 10μsec)을 포함하므로 상기 필터(104)는 고압변동정보에 포함된 펄스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필터(104)는 저항 RF와, 코일들 LF1,LF2와, 커패시터들 CF1,CF2로 구성된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이다. 상기 저항 RF의 출력선에는 코일들 LF1,LF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코일들 LF1,LF2간의 노드에는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CF1이 접속되어 있고, 코일 LF2의 출력노드에는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CF2가 접속되어 있다.
필터(104)에서 출력된 고압변동정보는 도 6의 (b)와 같은 파형이며 그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증폭기(102)에 인가되어 일정 레벨로 증폭된다. 상기 증폭기(102)는 연산증폭기로 구성되었으며, 반전입력단자(-)로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기준으로 비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고압변동정보를 비반전 증폭한다. 상기 기준전압의 변동은 즉시 DC전압의 변동으로 화면의 크기에 변화를 주므로 안정된 기준전압을 공급해주는 회로의 구성이 필수적이다. 기준전압제공부(106)는 저항 RT,RA1, 커패시터 CT, 다이오드 D, 제너다이오드 DZ로 구성되어, 상기 증폭기(106)의 반전입력단자(-)에 안정된 기준전압을 인가한다. 연결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증폭기(106)의 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된 저항 RA1의 타단 노오드에는 접지에 타단이 연결된 커패시터 CT가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다이오드 D 및 저항 RT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다이오드 D의 타단에는 타단이 접지된 제너다이오드 DZ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항 RT의 타단으로는 전압 VCC2가 인가되고 있다.
증폭기(102)에서 증폭된 고압변동정보는 원칩화된 신호처리부의 편향관련 보정단자로 입력되는데, 원칩화된 신호처리부의 편향관련 보정단자에서 허용되는 입력사양을 맞추기 위해 고압변동보정회로(30)에는 저항 RD1과 RD2로 구성된 분압출력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분압출력부(110)에서 적절한 비로 고압변동정보의 전압이 분압되어 도 3에 도시된 편향관련 보정단자(22)에 인가된다.
원칩화된 신호처리부의 편향관련보정단자(22)로 입력된 고압 변동분은 도 3의 EW드라이버(24)를 통해 수평편향회로(26)에 인가되고, EW드라이버(24) 내부에서 발생되는 도 5의 도시된 파라볼라신호 P1도 증폭된 후 수평편향회로(26)에 인가된다.
수평편향회로(26)에서는 EW드라이버(24)에서 출력되는 파라볼라신호 P1과 고압변동정보를 이용하여 도 6의 (c)에 엔벨롭된 것과 같은 보정 파라볼라신호 파형 P2를 만들고, 상기 보정파라볼라신호 P2에 해당하는 도 6의 (c)에 도시된 편향제어신호 D2를 편향요오크에 가함으로써, 전자 빔의 직진력 저하에 따른 영향을 상쇄할 수 있도록 편향력을 수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원칩화 신호처리부에 고압변동 파형을 입력받기 위한 편향관련 보정단자가 있어 이를 사용한 것을 그 예로 들었지만, 상기 편향관련 보정단자가 없는 칩을 사용할 경우에는 직접 EW드라이버(24)에 증폭기의 출력선을 연결하여 고압 변동분에 대한 보정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보정파형의 증폭율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3의 고압변동보정회로(30)를 도 4의 필터(104)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크검출기를 사용하여 고압변동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피크검출기는 다이오드 Dp와, 저항 Rp 및 커패시터 Cp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6의 (a)와 같은 파형에 포함된 매 수평주기(NTSC방식인 경우 62.5μsec)마다 큰 진폭을 가지는 펄스성분(약 10μsec)의 피크를 검출한다. 상기 피크검출기는 다이오드 Dp의 출력선에 타단이 접지된 저항 Rp 및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Cp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며, 커패시터 Cp로의 충전이 빠르게 그리고 방전은 느리게 되도록 RpCp 시정수가 설정된다.
도 8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크검출기를 사용함에 따라 고압변동정보를 검출한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회로에서 FBT내부의 부피가 크고 비싼 커패시터(현재 가격으로 2달러 정도, FBT의 전체 크기의 1/2정도)를 제거함으로써 가격 저하 및 공간절약의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하는 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통합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공간도 절약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회로에 비하여 정확하고 고압변동에 관한 AC 및 DC성분을 검출하여 보정을 행하므로 보정효과를 상승시킨다.

Claims (13)

  1.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의해서 텔레비젼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고압에 대한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된 고압을 상기 플라이백 트랜지스포머의 내부 저항을 통해 입력받으며, 상기 내부 저항의 기생커패시턴스에 의한 상기 고압의 변동신호 왜곡을 보상하는 고압변동 왜곡보상부와,
    왜곡보상된 고압변동신호에 포함된 매 수평주기를 갖는 펄스성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서 출력된 고압변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에 의거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텔레비젼신호의 수직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갖으며 화면의 좌우 일그려짐을 보정하기 위한 파라볼라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파라볼라신호과 고압변동신호를 이용하여 보정된 파라볼라신호 파형을 만들고, 편향력을 공급하는 편향 요오크에 상기 보정된 파라볼라신호가 엔벨롭된 형태의 편향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수평편향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동 왜곡 보상부와 필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압변동 왜곡보상부 및 필터의 특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버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동 왜곡보상부는, 상기 내부저항과 기생커패시터의 곱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로우패스필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패스필터는 저항 RF와, 코일들 LF1,LF2와, 커패시터들 CF1,CF2로 구성되며, 상기 저항 RF의 출력선에는 코일들 LF1,LF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코일들 LF1,LF2간의 노드에는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CF1이 접속되어 있고, 코일 LF2의 출력노드에는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CF2가 접속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전압 제공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제공부는, 저항 RT,RA1, 커패시터 CT, 다이오드 D, 제너다이오드 DZ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저항 RA1의 타단 노오드에는 접지에 타단이 연결된 커패시터 CT와, 다이오드 D 및 저항 RT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 D의 타단에는 타단이 접지된 제너다이오드 DZ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항 RT의 타단으로는 전압 VCC2가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8.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의해서 텔레비젼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고압에 대한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된 고압을 상기 플라이백 트랜지스포머의 내부 저항을 통해 입력받으며, 상기 내부 저항의 기생커패시턴스에 의한 상기 고압의 변동신호 왜곡을 보상하는 고압변동 왜곡보상부와,
    왜곡보상된 고압변동신호에 포함된 매 수평주기를 갖는 펄스성분의 피크를 검출하여 고압변동신호로 출력하는 피크검출부와,
    상기 피크검출부에서 출력된 고압변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에 의거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텔레비젼신호의 수직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갖으며 화면의 좌우 일그려짐을 보정하기 위한 파라볼라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파라볼라신호과 고압변동신호를 이용하여 보정된 파라볼라신호 파형을 만들고, 편향력을 공급하는 편향 요오크에 상기 보정된 파라볼라신호가 엔벨롭된 형태의 편향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수평편향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동 왜곡 보상부와 피크검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압변동 왜곡보상부 및 피크검출부의 특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버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동 왜곡보상부는, 상기 내부저항과 기생커패시터의 곱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검출부는, 다이오드 Dp와, 저항 Rp 및 커패시터 Cp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오드 Dp의 출력선에 타단이 접지된 저항 Rp 및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 Cp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 Cp로의 충전이 빠르게 그리고 방전은 느리게 되도록 RpCp 시정수가 설정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전압 제공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제공부는, 저항 RT,RA1, 커패시터 CT, 다이오드 D, 제너다이오드 DZ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된 상기 저항 RA1의 타단 노오드에는 접지에 타단이 연결된 커패시터 CT와, 다이오드 D 및 저항 RT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 D의 타단에는 타단이 접지된 제너다이오드 DZ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항 RT의 타단으로는 전압 VCC2가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변동 보정장치.
KR1019990014884A 1999-04-26 1999-04-26 고압변동 보정장치 KR20000067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884A KR20000067247A (ko) 1999-04-26 1999-04-26 고압변동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884A KR20000067247A (ko) 1999-04-26 1999-04-26 고압변동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247A true KR20000067247A (ko) 2000-11-15

Family

ID=1958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884A KR20000067247A (ko) 1999-04-26 1999-04-26 고압변동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72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29B1 (ko) * 2000-01-14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압보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29B1 (ko) * 2000-01-14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압보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69B1 (ko)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US3444426A (en) Horizontal sweep system with automatic raster size regulation
US5627437A (en) Horizontal raster size controller for a monitor
GB2243751A (en) Power supply
JPS61142869A (ja) ラスタ幅調整装置
US5357175A (en) Deflection and high voltage circuit
JP2989614B2 (ja) ラスタサイズ調整回路
KR100302967B1 (ko) 고전압발생회로
KR20000067247A (ko) 고압변동 보정장치
JP3128651B2 (ja) 偏向制御回路
JPH0683383B2 (ja) 水平偏向・高圧回路
KR20000017145A (ko) 영상 표시 장치용 고전압 전원
US6326743B1 (en)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ng circuit
JP3139530B2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KR20010080642A (ko) 라인 편향 회로, 동적 s 수정 회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30773Y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940009478B1 (ko) 화면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US6555976B2 (en) East-west distortion correction
JP3201476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JP2881786B2 (ja) 画像歪補正回路
KR100279152B1 (ko) 모니터의 내부 핀쿠션 보정장치
KR20000035493A (ko)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 진폭 제어 및 고주파 보상 장치
JP3858815B2 (ja) 陰極線管装置
KR20050004640A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43628Y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