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793A -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의 토션 댐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의 토션 댐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793A
KR20000064793A KR1019980707652A KR19980707652A KR20000064793A KR 20000064793 A KR20000064793 A KR 20000064793A KR 1019980707652 A KR1019980707652 A KR 1019980707652A KR 19980707652 A KR19980707652 A KR 19980707652A KR 20000064793 A KR20000064793 A KR 2000006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damping device
hub plate
hub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질르 르바
파브리스 또브롱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0006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16F15/1231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 or shape of spring-containin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F16F15/129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xially clamping or positioning or otherwise influencing the frictional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디스크(14)와, 가압-형성 섹션(30)으로 구성된 제 2 안내링(14') 및 중간형 허브 디스크(13)를 포함하는 토션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 디스크는 허브 디스크에 작용하는 탄성 클램프(31)를 가지며, 가압-형성 섹션을 허브 디스크를 향하여 밀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의 토션 댐핑 장치
이것은 예컨대 차량용 클러치 마찰 휠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그 주변에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는 방사상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마찰 디스크는, 안내링중 하나에 그 지지판을 통해서 결합된다.
실제로는, 축방향 작용 마찰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수단은 통상적으로 축방향 작용 탄성 링을 포함하며, 축방향 탄성 링은 하나의 안내링을 누르고 적용 링을 누르며, 적용 링은 허브판과 다른 안내링 사이의 마찰 링을 파지하도록 동일한 안내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다수의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형의 토션 댐핑 장치는, 제 2 안내링으로 지칭되는 안내링중 하나는 가압-형성(press-formed) 요소를 포함하며, 가압-형성 요소는 연속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허브판을 향해 배향되며, 지지판은 먼저 제 2 안내링에 대해 허브판의 다른 측면상에 배열되고, 다음으로 가압-형성 요소와 마주보는 관계로 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허브판을 향해 가압-형성 요소를 가압하도록 허브판상에 작용하는 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축방향 작용 탄성 링은 지지판에 의해 대체되고 제 2 안내링이 보다 강성이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수가 감소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마찰 계수를 갖는 링은 허브판과 지지판 사이에 또한/또는 허브판과 제 2 안내링의 가압-형성 요소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제될 수 있어 금속 대 금속 마찰 접촉(metal-to-metal frictional contact)을 방지한다.
이러한 링은 허브판 또는 가압-형성 요소 또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요소중 하나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이 링은 자유상태(free)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것은 허브판, 지지판 또는 가압-형성 요소로 구성된 요소중 하나에 위치된 피복(coating)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 및/또는 가압-형성 요소는 허브판을 직접 눌러 구성요소의 수를 더욱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러그는 스탬핑(stamping) 및 벤딩(bending)에 의해 형성된다.
컷 아웃(cut-out)의 형상 및 벤딩 구조 형상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유의된 제조 공차가 가능한 강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판은 마찰 라이너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판은 구동 샤프트와 같은 제 1 샤프트에 결합된 구동 플라이휠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허브는 종동 샤프트와 같은 제 2 샤프트에 결합된다.
제 1 경우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는 구동 샤프트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게 배열된다. 안내링내의 시팅은 소정의 적절한 형상을 가지며 윈도우(window)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판은 제 3 안내링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자체가 안내링내의 각각의 윈도우를 위해 또한 탄성 부재의 충분한 보유를 위해 통상 아이리드(eyelids)로 불리는 적어도 2개의 플랜지를 갖는 제 1 안내링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2개의 플랜지는 허브판과 반대측으로부터 돌출한다. 즉, 상측 플랜지는 이러한 윈도우중 반경방향에 최외측에 있는 원주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며, 하측 에지는 반경방향 최내측 원주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한다.
이들의 원주방향 에지에서, 탄성 부재는 통상적으로 상기 안내링의 에지를 누른다.
안내링이 적절한 방법으로 생성되는 특정 압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안내링은 적어도 1.5mm의 상당한 두께를 가지며, 그 결과 적절히 처리된다.
비용은 이러한 안내링중 하나가 생략될 때 또한 마찰 디스크의 지지판 기능이 통합될 때 감소된다.
그러나, 소정량의 탄성을 요구하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 이러한 지지판은 안내링보다 대체로 얇으며, 이 두께는 일반적으로 1mm 미만이다.
따라서, 탄성 부재가 지지판의 에지를 누를 수 있다는 것이 통상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것은 추가의 플랜지(본 명세서에서 측방향 플랜지로 지칭됨)를 제공하도록 제안되었으며, 추가의 플랜지는 윈도우의 원주방향 단부에 상기 지지판의 윈도우의 방사상 에지를 따라 제공되며, 탄성 부재의 결합은 상기 지지판의 에지상에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지지판의 편평한 표면부상에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측방향 플랜지는 이들이 받게되는 특정 압력의 영향하에서 부적절한 굽힘(flexing) 및 이들이 탄성 부재에 제공하는 접합점(abutment)의 손상을 받는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측방향 플랜지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술된 유형이며 제 1 안내링으로 지칭되는 상기 지지판을 구성하는 안내링중 하나가 제 2 안내링으로 불리는 다른 것보다 얇으며, 제 2 안내링은 적어도 제 1 안내링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제 1 안내링과 일체형으로, 허브판에 반대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양한 플랜지, 즉 상측 플랜지, 하측 플랜지 및 2개의 측방향 플랜지를 구비하는, 비틀림 댐핑 장치는, 이러한 다양한 플랜지는 서로간에 일체식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며, 관련된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의 림을 함께 규정하며, 측방향 플랜지는 제 1 안내링의 일반적인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윈도우의 측방향 플랜지는 실제로 윈도우의 상측 및 하측 플랜지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며, 이것은 소망하는 바와 같은 이점으로서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측방향 플랜지는 탄성의 부재에 의한 결합을 위한 양호한 표면을 제공한다.
물론 안내링내의 반원통형 가압-형성 시팅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다.
그러나, 서로 연결된 대응하는 상측 및 하측 플랜지는 탄성의 부재와 정렬된 측방향의 두께를 가지며, 이것은 이 레벨의 조립체의 축방향 크기에 유해하다.
이러한 상황은 본 실시예의 토션 댐핑 장치내에 나타나지 않으며, 윈도우의 상측 플랜지 및 하측 플랜지는 이들이 연장하는 에지 주위에 구멍의 양 측면상에 서로 이격되어 유지된다.
더욱이, 더 얇은 제 1 안내링은 윈도우의 영역에서 강화되어, 전술한 방법으로, 이것으로부터 그 근영역이 2개의 이러한 윈도우 사이로 연장하는 탄성 변형가능한 러그를 당기는 것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며, 이것은 조립체가 축방향 파지 편향 작용을 받도록 한다.
탄성링이 생략되는 것에 의해 조립체의 제조를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가 더욱 감소된다.
그 결과, 제 2 안내링은, 전술한 방법으로, 상기 탄성의 변형가능한 러그와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되며 허브판에 대해 마찰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가압-형성 요소를 가진다.
이러한 안내링과 이러한 가압-형성 요소를 강화되게 하는 것은 또한 유리하게 마찰링이 생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성요소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안내링은 동일한 기능을 갖지 않는다. 제 1 안내링은 탄성이 있고 제 2 안내링은 강체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제 2 안내링은 모든 경우에 절두 원추형 결합면을 그의 내주부에 가지며, 이를 통해 허브의 외주부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형성된 상보적인 절두 원추형 결합면과 함께 협동한다.
이것은 베어링을 이러한 레벨에서 생략되게 일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측방향 플랜지중 하나의 부분은 그의 베이스가 허브판을 향해 돌출한 가압-형성 요소의 부분이다.
이것은 제 1 안내링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이점은 예시의 방법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다음의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각변위의 제한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의 작용에 대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2개의 동축 부분을 포함하는 유형의 토션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축 부분의 하나는 허브판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허브판 측면에 위치되고 허브판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안내링에 결합된 지지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탄성 부재는 허브판내에 형성된 시팅(seatings)내에 또한 안내링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시팅내에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대핑 장치의 부분 입면도로서, 도 2의 화살표(1)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절단선(2-2)을 따라 절취한 축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3-3)을 따라 플랫 돌출부를 절취한 원주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4)의 방향으로 도시한 단편 사시도로서, 거의 내측 표면처럼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도시한 토션 댐핑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안내링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도면과 유사한 단편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의 도면과 유사한 입면도,
도 7은 도 6의 지지판의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선(8-8)을 따라 절취한 지지판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지지판의 특징적인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에 있어서, 공통의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난다.
도면은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핑 장치(10)가 차량용 클러치 마찰 휠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토션 댐핑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동축 부분(10A, 10B)을 포함하며, 2개의 동축 부분은 소정의 각변위의 제한내에, 축방향 작용 탄성 수단(11)의 작용에 대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단지 2개의 동축 부분(10A, 10B)이 제공된다.
이러한 동축 부분(10A, 10B)중 하나는, 동축 부분(10A)의 경우에 있어서, 제 1 샤프트(본 예에서는 종동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열된 제 1 허브(12)와, 허브(12)에 결합된 제 2 허브판(13)을 포함한다.
동축 부분(10A, 10B)중 다른 하나는, 동축 부분(10B)의 경우에 있어서, 허브판(13)의 측면에 있으나 허브판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안내링(14, 14')을 포함한다. 안내링(14, 14')은 이러한 경우에 금속이다.
이것은 클러치 마찰 휠이며,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안내링(14)은 그 자체가 클러치 마찰 휠(15)의 지지판을 구성하며, 양 측의 외주부에 본 예에서 구동 샤프트인 제 2 샤프트에 안내링(14)을 마찰에 의해 회전결합시키기 위한 마찰 라이너(16)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 1 안내링으로 지칭되는 상기 안내링(14)은, 제 2 안내링으로 지칭되는 다른 안내링(14')보다 실질적으로 얇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16)는 제 1 안내링(14)에 리벳팅 및 접착제 부착에 의해 결합되며, 그들의 지지를 위해 제 1 안내링은 도 1에 도시될 수 있는 슬롯에 의해 그 외주부에 블레이드 및 텅(17)내로 분리된다. 제 1 안내링(14)은 소망하는 탄성을 블레이드에 제공하도록 처리, 특히 열처리된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탄성이 있다.
명료성을 위하여, 마찰 라이너(16)는 도 4 및 도 5에서 생략 되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안내링(14, 14')은 스페이서(18)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스페이서는 여기저기로 원형으로 배열되며 허브판(13)내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형성된 구멍(19)을 통하는 유격을 통과하며, 이러한 구멍(19)의 원주방향의 단부를 갖는 이것은 2개의 동축 부분(10A, 10B) 사이의 가능한 각변위를 규정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11)는 나선형 스프링이며, 이들은 조립체의 공통의 원주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으로 모두 배열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11)는 허브판(13)내에 형성된 윈도우(20)내 및 안내링(14, 14')내에 대응하게 형성된 윈도우(21, 21')내에 각각 부분적으로 들어있다.
각각의 윈도우(21)를 위해, 보다 얇은 안내링(14, 14')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제 1 안내링(14)의 예에 있어서, 허브판(13)에 대향된 측면상에 돌출한 다양한 플랜지가 제 1 안내링과 함께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즉 상측 플랜지(22)는 이러한 윈도우(21)의 방사상의 최외측 원주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며, 하측 플랜지(23)는 반경방향 최내측의 원주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며, 2개의 측방향의 플랜지(24) 각각은 원주방향으로 원주방향의 단부에 2개의 방사상의 에지를 따라 연장한다.
측방향의 플랜지(24)는, 하나는 원주방향으로 및 다른 하나는 대향하는 원주방향으로 그들중 하나에 관련된 탄성 부재(11)를 위한 접합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서로간에 일체형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반면, 개구와 관계된 윈도우(21)의 적어도 일부에 남게되는 구멍(25) 둘레의 림(rim)처럼 서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측방향의 플랜지(24)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가압-형성 요소(27)의 부분이며, 이것의 베이스(28)는 허브판(13)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러한 배열은 측방향 에지(24)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양쪽의 측방향 플랜지(24)는 완전히 이러한 가압-형성 요소(27)의 부분이며, 이러한 요소(27)는 전체의 크기를 감소하도록 반원형의 윤곽 형상을 갖는 블라인드이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안내링(14)의 일반적인 평면에 대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이다.
상측 플랜지(22) 및 하측 플랜지(23)는 탄성 부재(11)의 측면에 대해 다소 만곡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11)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하는 측방향 플랜지(24)는 대조의 편평함을 이루며, 측방향 플랜지는 안내링(14)의 일반적인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스프링(11)을 위한 양호한 결합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11)의 보유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측방향 플랜지(24)중 하나는, 실제로 각각의 측방향 플랜지는, 그 자유단을 따라 연장하는 갈고리(crook)형으로 리턴부(39)를 가진다. 이러한 리턴부(29)는 나선형 스프링(11)을 위한 리세스를 규정하며, 스프링(11)의 단부에 잼밍(jamming)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두꺼운 안내링인 제 2 안내링(14')은 얇은 안내링(14)내의 플랜지(22, 23, 24)와 같이 동일한 형상의 플랜지(22', 23', 24')를 가진다. 또한 제 2 안내링은 가압-형성 요소(27')를 가지며, 가압-형성 요소의 베이스(28')는 허브판(13)을 향하여 돌출하고, 편평한 측면 에지를 가진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얇은 안내링의 스탬핑(stamping) 및 벤딩(bending) 또는 보우윙(bowing)에 의해 얇은 안내링(14)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 탄성의 변형가능한 러그(31)는 허브판(11)을 탄성적으로 누름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조립체에 대한 축방향 클램핑 힘을 가한다.
러그(31)는 허브판(13)과 접촉하기 위한 횡방향부에 의해 연장된 경사부를 가진다. 경사부는 일정하거나 또는 변형가능한 폭, 예컨대 사다리꼴이 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 2 안내링(14')은, 탄성의 변형가능한 러그(31)와 마주보는 관계에 있으며, 허브판(13)을 누르는 가압-형성 요소(30)를 가진다.
따라서, 국부적 마찰의 금속 대 금속 접촉은 제 2 안내링(14')과 허브판(13) 사이에 보장하여 2개의 동축 부분(10A, 10B) 사이의 진동을 감쇠시킨다.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링 및 적어도 하나의 마찰링으로도 가능하여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수가 감소된다. 구성요소의 저장부가 보다 단순해진다. 게다가, 구성요소의 선택에 대한 실수의 위험이 감소된다.
소망한다면, 가압-형성 요소(27')의 베이스(28')는, 대응하는 마찰을 보강하기 위해서 가압-형성 요소(30)의 베이스의 평면에 놓일 수도 있다. 개괄적인 말로, 안내링(14')은 가압-형성 요소(27', 28')로 인해 매우 강하며, 가압-형성 요소(30)는 가압-형성 요소(27')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2개의 가압-형성 요소(27')는 하나의 가압-형성 요소(30)의 양측면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탄성의 변형가능한 러그(31)의 각각의 근(根)영역은 제 1 안내링(14)의 2개의 윈도우(21) 사이에 놓이며, 제 2 안내링(14')의 가압-형성 요소는 안내링(14')의 윈도우(21')와 조립체의 축 사이의 반경방향에 놓인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또한 제 2 안내링(14')은 그 내주부에 절두 원추형 표면(40)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허브(12)가 이의 외주부에 갖는 절두 원추형 표면(41)과 상보적인 방법으로 협동한다.
이러한 장치는 이러한 위치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베어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허브(12)의 절두 원추형 표면(41)은 허브가 그 외주부에 갖는 플랜지를 규정하는 두께부상에 형성되며, 절두 원추형 표면은 또한 허브판(13)이 결합, 예컨대 시밍(seaming)에 의해 결합되는 이러한 두께부상에 있다. 제 2 안내링(14')은 절두 원추형 표면(40) 및 가압-형성 요소(30)로 인해 매우 안정된다.
도 5에 있어서,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일반적으로 라운드된 앵글 플랜지(3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인 각각의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관련된 윈도우(21)의 국부적 로브형(lobe-shaped) 연장부를 둘러싼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측방향 플랜지(24)중 적어도 하나는 3개의 편평한 면을 포함하며, 즉 2개의 단부면(33)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이고 당해의 탄성 부재(11)를 위한 접촉점을 제공하며, 중앙면(35)은 단부 편평한 면(33)의 평면 뒤에 있고, 대향하는 측방향 플랜지(24)로부터 이러한 후자보다 멀리 이격되고, 리브의 방법으로 조립체의 강화에 유익한 부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중앙면(35)은 허브판(13)으로부터 이격된 가압-형성 요소(36)의 부분이며 그의 베이스부(37)는 허브판으로부터 이격된다. 가압-형성 요소는 허브판(13)을 향해 돌출한다. 따라서 측방향 플랜지(24)는 제 1 안내링의 일반적인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물론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실제적인 다양함을 포함한다.
특히, 2개의 안내링(14, 14')의 윈도우(21, 21')는 제 1 안내링(14)이 더 얇고 변형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으로 인해 동일하지 않은 플랜지를 갖을 수도 있다.
물론 헐거운 결합 수단(도 6)은, 예컨대 프랑스 특허 공개공보 제 FR-A-2 270 49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허브판의 내주부와 허브의 외주부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허브판은 각변위의 섹터의 제한내에서 허브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각변위는 허브판의 치형의 세트와 허브의 치형의 세트 사이의 원주방향의 유격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치형의 세트는, 낮은 강도의 탄성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국부적으로 저지되며, 허브판과 허브는 상기의 프랑스 특허 공개공보 제 FR-A-2 270 491 호의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로간에 마주보는 관계에 있는 슬롯을 가진다.
따라서 도 6에서, 느슨한 결합 수단은 도면부호(140)로 도시될 수 있으며, 허브(13)의 치형 세트는 허브(12)내의 치형의 세트보다 축방향으로 더 짧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스페이서(18)는 슬롯(119)의 형상으로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며, 슬롯(119)은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허브판(13)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슬롯(119)은 도 2의 폐쇄형 구멍(19)과 교체한다.
스페이서(18)는 제 3 안내링(214)에 대해 클러치 마찰 휠(15)의 지지판(114)을 고정하도록 조력하며, 제 3 안내링은 여기서 제 2 안내링(214')과 동일하며, 이것은 허브(12)의 외주부에 형성된 절두 원추형 표면(41)과 상보적인 방법으로 협동하는 것에 의해 그 내주부에 절두 원추형 표면(40)을 가진다. 제 2 안내링(124')은 윈도우(21')의 반경방향 내측에 가압-형성 요소(30)를 가지며 나선형 스프링의 형상으로 탄성 부재(11)가 장착된다.
안내링(214, 214')보다 얇은 지지판(114)은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스탬핑 및 벤딩 또는 보우윙에 의해 내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러그(131)를 가진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러그(131)는 환상 링(132)에 대해 그들의 내주부에 연결되며, 따라서 허브판(13)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른다. 따라서, 러그(131)는 허브판(13)상에 간접적으로 누르며, 따라서 조립체를 축방향의 클램핑 힘에 대해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의 러그(131)는 가압-형성 요소(30)가 허브판(13)과 접촉하도록 가압한다.
도 6에서 지지판(114)은 제 3 안내링(214)과 다른데, 지지판은 그 외주부에 제 3 안내링과 부착된다.
특히, 판(114)은 제 3 안내링(214)의 내측면과 함께 스페이서(18)의 레벨에 접촉하며, 제 3 안내링은 허브판(13)을 향해 마주본다. 따라서 스페이서(18)는 판을 링(214, 214')에 대해 고정한다.
이러한 판(114)은 탄성 및 만곡된 중앙부(도 7 및 도 8)를 가진다.
이러한 중앙부는 러그(131), 링부(132) 및 윈도우(121)의 부분을 포함하며, 윈도우는 유격을 갖고 윈도우를 통과하도록 판(114)을 가진다.
각각의 러그(131)는, 먼저 스페이서(18)의 통로를 위한 구멍(61)의 내측에 놓인 초승달 형상의 구멍(60)에 의해, 그 다음 지지의 중앙 부분의 만곡선(62)에 의해 외측에 한정된다. 이러한 라인(62)은 한 구멍(60)의 양 측면상에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분은 구멍(60)에서 윈도우(121)의 측방향 에지(124)로 연장되는데, 윈도우는 링부(132)에 의해 내측면에 한정된다.
러그(131)는 2개의 연속적인 윈도우(121)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연속적인 윈도우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된다. 내측에서, 러그(131)는 링부(132)와 연결된다. 윈도우의 반경방향의 최내측의 코너(221)는 원주방향으로 확장되어 코너(221) 사이의 재료의 얇은 반경방향 스트립의 형상을 가지며, 코너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멍(60)의 형상을 기계가공하는 2개의 만곡된 부분을 규정하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인지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커트 아웃(cut-out)(60, 121, 221) 및 만곡부(또는 벤드)는 지지판(114)내에 형성된다.
축방향의 탄성 러그(131)의 강도는 커트 아웃의 형상, 특히 구멍(60) 및 코너(221) 및/또는 벤딩의 각도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코너(221)는 생략될 수 있다.
동일함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사실이다.
통상적으로, 벤딩 때문에, 러그(31, 131)의 내주부는 상기 러그의 외주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며, 윈도우는 윈도우의 내주부에 경사진다.
지지판(114)은 삼각형의 블레이드(70)를 구비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레이드(70)는, 프랑스 특허 공개공보 제 FR-A-2 702 811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한 세트의 반경방향의 텅(71)을 갖는 원주방향의 센스내에 번갈아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참조는 프랑스 특허 공개공보 제 FR-A-2 702 811 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미국 특허 공보 제 US-A-5,452,783 호에 따라 제조되어야 하며, 또한 참조는 허브판(13)과 허브(12) 사이에 개재된 느슨한 결합 부재 및 작은 두께의 탄성 부재를 도시한다.
따라서, 블레이드(70)는 벤드(77, 78)에 의해 중앙 결합 영역(74)과 중앙 결합 영역의 양 측면상에 2개의 주변 결합 영역(75)을 구비한다.
텅(71)은 텅의 자유 단부에 접합 벤드(73)에 의해 규정되는 보충의 접합 영역(74)을 구비하며, 접합 벤드는 접선방향, 즉 텅(71)에 대칭의 반경방향의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놓이게 된다.
하나의 형상부에 있어서, 주변 영역(75)은 텅(71)의 내측부와 연결되며, 즉 각각의 텅은 벤드(73)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판(114)에 평면으로 놓이는 텅(71)의 일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114)에 의해 제공된 표면이 마찰 라이너(16)에 대한 결합이 더 증가되며, 마찰 라이너는 리벳팅에 의해 각각 텅(71) 및 블레이드(73)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은 접착제 부착에 의해 달성된다.
영역(74)은 블레이드(70)의 중앙 결합 영역(76)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며, 블레이드는 텅(71)에 대해 접선방향에 있는 접합 벤드(77)에 의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기울어진 접합 벤드(78)는 영역(76)으로부터 영역(75)을 분리한다. 벤드(78)는 벤드(77)에 직각으로 블레이드와 대칭의 반경방향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다. 러그(79)는 벤드(77)의 양 측면상에 배치된다.
러그(79)는 벤드(78)에 의해 규정되며, 주변 영역(75)에 평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텅(71) 및 지지판(114)에 평면으로 근영역을 구비한다. 러그(79)의 단부는 중앙 영역(76)의 평면에 있다.
축방향의 작용 탄성링(78)은 허브(12)와 안내링(214)의 내주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링(80)은 안내링(214')의 절두 원추형 부분(40)을 편향시켜 허브(12)의 절두 원추형 결합 표면(41)과 축방향으로 접촉한다.
링(80)은 텅(131)보다 작은 축방향 힘을 가하며, 회전가능하게, 예컨대 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 3 안내링(214)에 결합된다.
인지된 바와 같이, 안내링(214, 214')과 허브(12) 사이의 상대적 각변위의 제 1 위상에서, 허브판(13)과 허브(12) 사이에 개재된 작은 강도의 탄성 부재는 스프링(11)이 더 강하기 때문에 가압된다. 따라서 상대 이동은 허브판(13)과 안내링(214, 214') 사이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 1 위상에 있어서, 상대 이동은 링(80)의 편향 영향하에서 결합 표면(40, 41) 사이에 발생한다.
유격이 허브판(13)의 치형과 허브(12) 사이에서 차지한 후에, 작은 강도의 탄성 부재는 가압되며, 상대 이동은 허브판(13)과 안내링(214, 214') 사이에서 발생하며, 판(11)은 허브(1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형성 요소(30) 및 환상 링부(132)는 러그(131)의 편향 영향하에서 마찰적으로 허브판(30)에 문지르게 된다.
링(80)은 그의 외주부에 테이형이 되며, 그의 외주부에서 허브상에 형성되는 플랜지(141)의 측방향 면와 접촉하는 큰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허브(12)의 치형의 외부 세트가 형성되는 것이 이러한 플랜지의 외주부상에 있다. 플랜지의 다른 면은 표면(41)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가압-형성의 안내링(214, 214')은 가압-형성 요소(30)에 의한 외측상에 반경방향으로 및 절두 원추형 표면(40)상에 반경방향으로 한정되며 이들의 내주부에서 더 넓어진다. 가압-형성 요소(30)는 탄성링(80)을 동심으로 하는 환상링을 구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에서 탄성링(80)은 플라스틱 물질로 성형가능하며, 그 내주부에서 더 넓어진다. 링(80)은 만곡되며 따라서 축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클러치 마찰 휠은 모든 경우에 금속 대 금속 마찰 접촉을 갖는 구성요소의 최소의 수를 포함한다.
환상 링부(132)는 가압-형성 요소(30)와 마주보는 관계에 있다. 텅(131)(도 9)의 특성 곡선(F)은 특히 이점이 된다는 것이 도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곡선은, 러그의 변위 또는 편향(D)의 영향으로서 러그(131)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또는 힘)(C)를 나타낸다. 따라서, 결합되면, 텅은 실질적으로 허브판(13)상에 일정한 부하를 가하며, 허브판은 제조 공차를 차지할 수 있다.
물론, 안내링(214, 214')은 단지 2개의 플랜지를 가지며, 2개의 플랜지는 반겨앙향 최내측 및 최외측의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이것은 도 6의 경우이다.
유사하게, 지지판(114)은 플라이휠을 회전시키기 위해 엔진 플라이휠상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금속 대 금속 접촉은 금속 표면 사이의 링 또는 피복을 개재하는 것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가압-형성 요소(30)는 연속하여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형성 요소(30)는 좁은 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가압-형성 요소가 압축상태에 있는 동안에 오일을 주유하여 배출될 수 있다.
허브판(13)의 윈도우는 외측으로 개방된 노치에 의해 교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프링(11)은 허브판(13)내의 시팅(20)내에 장착되며, 허브판은 여기에 구멍 형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허브판(13)은 변하지 않으며 일정한 두께이다.
상이한 실시예가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허브판(13)은 허브(12)에 결합되며, 링(80)은 생략된다.
도 1에 있어서, 안내링(14')은 안내링(214')과 교체될 수도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도 6의 러그(131)는 도 1의 러그(31)와 교체될 수도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윈도우(121)와 코너(221)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링(214)은 생략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소정의 각변위의 제한내에서 또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11)의 작용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2개의 동심 부분(10A, 10B)을 포함하며, 상기 동심 부분(11A, 11B)중 하나는 허브판(13)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허브판(13)의 옆에 있고 상기 허브판(13)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안내링(14, 14')과 결합되는 지지판(14, 114)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탄성 부재(11)는 상기 허브판(13)에 형성된 시팅(20)내에 부분적으로 장착되며 또한 상기 안내링(14, 14')에 형성된 대응하는 상기 시팅(21, 21')내에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토션 댐핑 장치에 있어서,
    제 2 안내링(14', 214')으로 지칭되는 상기 안내링중 하나는 연속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허브판(13)을 향해 지향되는 가압-형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14, 114)은 먼저 상기 제 2 안내링(14', 214')에 대해 상기 허브판(13)의 다른 측에 배열되며, 그 다음 상기 가압-형성 요소(30)와 마주보는 관계로 러그(31, 131)를 구비하며 상기 러그(31, 131)는 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상기 허브판(30)을 향해 상기 가압-형성 요소(30)를 가압하도록 상기 허브판(13)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4, 114)의 상기 러그(31, 131)는 만곡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131)는 그 내주부가 환상 링부(13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131)는 개구(60) 및 만곡선(61)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4)은 상기 탄성 부재(11)를 위한 윈도우(121)을 구비하며, 상기 윈도우(121)의 반경방향의 최내측의 코너(221)는 상기 러그(131)가 상기 윈도우(121) 및 상기 코너(221)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4)은 그 외주부가 제 3 안내링으로 지칭되는 다른 안내링(2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링(14, 14')내의 상기 시팅은 윈도우로 구성되며, 제 1 안내링으로 지칭되며 제 2 안내링보다 얇은 상기 다른 링(14)은 상기 제 1 안내링(14)내의 각각의 상기 윈도우(21)를 위해 상기 지지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판은, 둘 중 더 얇은 상기 제 1 안내링(14)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상기 제 1 안내링(14)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플랜지(22, 23, 24)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플랜지(22, 23, 24)는 상기 허브판(13)의 반대측으로부터 돌출하며, 즉 상측 플랜지(22)는 상기 윈도우(21)의 상기 반경방향 최외측의 원주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고, 하측 플랜지(23)는 그의 최내측의 원주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며, 각각의 2개의 측방향 플랜지(24)는 그의 2개의 반경방향의 에지를 따라 각각 연장되며, 이러한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속하여 연결되고 개구(25)의 림을 서로 규정하며, 상기 개구의 림은 관련된 상기 윈도우(21)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 상태로 두며, 상기 측방향의 플랜지(24)는 상기 제 1 안내링(14')의 전체 평면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플랜지(24)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가압-형성 요소(27)의 일부이며, 상기 가압-형성 요소의 베이스(28)는 상기 허브판(13)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앵글 플랜지(3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앵글 플랜지는 대체로 라운드되고 상기 각각의 앵글 플랜지는 당해의 상기 윈도우(21)의 로브형(lobe-shaped) 국부적 확대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플랜지(24)중 적어도 하나는 3개의 편평한 면(33, 35)을 구비하며, 이 중 2개의 단부면(33)은 대체로 동일 평면이며, 중앙면(35)은 상기 단부면(33)에 대해 후방으로 설정되며, 상기 대향하는 측방향 플랜지(24)로부터 상기 단부면보다 멀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플랜지(24)중 적어도 하나는 그의 자유단을 따라 갈고리(crook)형의 리턴부(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플랜지(22, 23, 24)는 모두 대체로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윈도우(21')의 에지를 따라, 상기 두꺼운 안내링, 즉 상기 제 2 안내링(14')은 상기 얇은 제 1 안내링(14)의 플랜지(22, 23, 24)와 동일한 유형의 플랜지(22', 23', 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링(1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탄성 변형가능한 러그(31)는 상기 허브판(13)을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의 변형가능한 러그(31)와 마주보는 관계로, 상기 제 2 안내링(14')은 상기 허브판(13)을 누르는 상기 가압-형성 요소(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링(14, 114)은 그 내주부에 절두 원추형 결합 표면(40)을 구비하며, 상기 절두 원추형 결합 표면에 의해 상기 제 2 안내링은 상기 허브상에 배치된 상보적인 절두 원추형 결합 표면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핑 장치.
KR1019980707652A 1997-01-28 1998-01-28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의 토션 댐핑 장치 KR20000064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0875 1997-01-28
FR9700875A FR2758863B1 (fr) 1997-01-28 1997-01-28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CT/FR1998/000153 WO1998032991A1 (fr) 1997-01-28 1998-01-28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793A true KR20000064793A (ko) 2000-11-06

Family

ID=950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652A KR20000064793A (ko) 1997-01-28 1998-01-28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의 토션 댐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46279A (ko)
EP (1) EP0892898B1 (ko)
JP (1) JP2000508746A (ko)
KR (1) KR20000064793A (ko)
DE (1) DE19880171T1 (ko)
ES (1) ES2169498T3 (ko)
FR (1) FR2758863B1 (ko)
WO (1) WO1998032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890A (ja) * 1998-04-17 1999-11-02 Exedy Corp プレート及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DE19918278A1 (de) * 1999-04-22 2000-10-26 Mannesmann Sachs A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JP2001153182A (ja) 1999-11-30 2001-06-08 Exedy Corp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US7161954B2 (en) 2002-05-28 2007-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a write adapter from multiple adapters connected to a high speed switch
DE102012211423A1 (de) * 2011-07-11 2013-01-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nietetes Hysteresepaket mit Membranfeder
WO2015110105A1 (de) * 2014-01-22 2015-07-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cheibe mit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02016214686A1 (de) * 2016-08-08 2018-02-08 Zf Friedrichshafen Ag Koppl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4174A (en) * 1939-07-21 1942-02-24 Ernest E Wemp Clutch member
GB561107A (en) * 1942-05-29 1944-05-05 Wilbur Vincent Thelander Friction clutch plate
US3799309A (en) * 1972-07-10 1974-03-26 Borg Warner Clutch driven member assembly with vibration damper
GB1527915A (en) * 1977-01-04 1978-10-11 Automotive Prod Co Ltd Clutches
US4254855A (en) * 1979-06-18 1981-03-10 Dana Corporation Coaxial spring damper drive
FR2459914A1 (fr) * 1979-06-25 1981-01-16 Ferodo Sa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DE3248119A1 (de) * 1982-12-24 1984-06-2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7580 Bühl Kupplungsscheibe
US4555009A (en) * 1983-12-22 1985-11-26 Borg-Warner Corporation Minimum complexity vibration damper
DE3405949A1 (de) * 1984-02-18 1985-08-22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Torsionsschwingungsdaempfer mit mehrfunktionen-bauteil
DE3624496C2 (de) * 1986-07-19 1996-04-18 Fichtel &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dichtem Aufbau
FR2609771B1 (fr) * 1987-01-19 1991-03-22 Valeo Ensemble de verrouillage pour appareil hydrocinetique et appareil hydrocinetique comportant un tel ensemble de verrouill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2283558B (en) * 1993-11-05 1998-03-25 Luk Lamellen & Kupplungsbau Rotary vibration damper
DE69621677T2 (de) * 1995-03-17 2003-01-02 Toyota Motor Co Ltd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Ueberbrückungskupplung und eingebautem Schwingungsdämpfer
DE19626687B4 (de) * 1995-07-14 2007-04-2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9614002C2 (de) * 1995-08-01 2001-06-28 Mannesmann Sachs Ag Kupplungsscheibe mit einer Verbundreib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8746A (ja) 2000-07-11
US6146279A (en) 2000-11-14
FR2758863A1 (fr) 1998-07-31
WO1998032991A1 (fr) 1998-07-30
DE19880171T1 (de) 1999-05-27
ES2169498T3 (es) 2002-07-01
EP0892898A1 (fr) 1999-01-27
EP0892898B1 (fr) 2001-12-12
FR2758863B1 (fr) 199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476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friction plate having a flexible center
US7374023B2 (en) Floating-type brake disk
CS216694B2 (en) Membrane couple
JPH0754921A (ja) トーションダンパー用一体型摩擦アセンブリ、およびトーションダンパー
KR100349770B1 (ko) 토션프리댐퍼
KR20000064793A (ko) 차량용 클러치 마찰부의 토션 댐핑 장치
US4655334A (en) Clutch cover and clutch cover assembly
JP3637498B2 (ja) ねじり緩衝器用のサブアセンブリ
JP4423236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2857876B2 (ja) ねじれダンパ
JPS60252826A (ja) クラツチカバー組立体
KR100310562B1 (ko) 자동차용클러치다이어프램
JPH07508823A (ja) 特に自動車用のクラッチ機構
KR100376039B1 (ko) 차량용다이아프램클러치장치
KR0131201B1 (ko) 마찰클러치 및 마찰클러치의 조립방법
JP3076555B2 (ja) エラストマーを介して結合させられたピストンを有する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GB2102899A (en) Cover assembly for diaphragm spring clutch
JPS60252825A (ja) クラツチカバー組立体
GB2292783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H0650355A (ja) クラッチ機構
JP5667904B2 (ja) 動力伝達装置
JPS5947527A (ja) 摩擦クラツチ
JPH0227238Y2 (ko)
JPH084835A (ja) ダンパ用コイルスプリング
US6006884A (en) Clutch dis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