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594A -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594A
KR20000063594A KR1020000042823A KR20000042823A KR20000063594A KR 20000063594 A KR20000063594 A KR 20000063594A KR 1020000042823 A KR1020000042823 A KR 1020000042823A KR 20000042823 A KR20000042823 A KR 20000042823A KR 20000063594 A KR20000063594 A KR 2000006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input
vowel
basic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정수
정명종
정도상
최운호
Original Assignee
추두련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정회선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두련,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정회선, 주식회사 언어과학 filed Critical 추두련
Priority to KR102000004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594A/ko
Publication of KR2000006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63F2003/0405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relating to specific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다수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하여 만든 다수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소정 형태로 배정하여 상기 각각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 발판부(10)와; 상기 발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함과 더불어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발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군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3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4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 및 상기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50)과; 상기 모음 조합부(30)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60)과;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70)과;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80)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작과 종료 및 전반적인 게임진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90); 및 한글 학습용 게임 진행상태를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기 위한 표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발판을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켜 게임 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발놀림으로 인한 운동 효과는 물론 게임을 진행하는 지적 운동과 사용자가 적극적인 학습참여를 통해 한글 교육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Game System and Method for Studying Hangul}
본 발명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키고 게임 규칙에 따라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발판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발놀림으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게임을 진행하는 지적 운동을 통해 한글 교육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된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9-52648 호, 제 99-52650 호 및 제 2000-7056 호의 기술적 사상을 기반으로 창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을 학습하는 수단으로는 학습 대상자의 나이와 지적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상급 또는 나이에 의한 등급으로 분류하여 그에 적합한 학습지를 학습 대상자의 보호자가 선택하여 한글 학습에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학습 대상자를 테스트하여 학습 대상자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지를 통해 한글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맞춤형 학습지를 이용한 한글 학습은 일정기간 간격으로 방문 교사의 학습지도를 받아 진행되는 바, 학습지도에 따른 고비용과 학습 일자와 시간이 고정되어 학습 대상자와 그 보호자가 상기한 일정계획에 따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발판과 한글 게임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 및 설치하고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켜 게임 규칙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발놀림으로 오락성과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한글 게임을 진행하는 지적 운동을 통해 한글 교육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된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발판과 한글 게임 프로그램 및 축소형 한글 키보드를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 및 설치하고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켜 게임 규칙에 따라 발판 및 키보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한글 입력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한글 게임을 진행하는 지적 운동을 통해 한글 교육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된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나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에 구비된 한글 발판부의 한글 배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에 구비된 변형된 한글 발판부의 한글 배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에 구비된 축소형 한글 키보드의 한글 배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한글 발판부 20: 자음음 조합부
30: 모음 조합부 40: 음절 결합부
50: 입력 스택(input stack) 60: 모음 스택(vowel stack)
70: 음절 스택(syllable stack) 80: 게임프로그램 저장부
90: 게임 제어부 100: 표시부
110: 축소형 한글 키보드 120: 스위칭 제어부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다수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하여 만든 다수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소정 형태로 배정하여 상기 각각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함과 더불어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와; 상기 발판부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군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와; 상기 자음 조합부와 상기 모음 조합부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와; 상기 자음 조합부와 상기 모음 조합부 및 상기 음절 결합부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과; 상기 모음 조합부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과;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과;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작과 종료 및 전반적인 게임진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 및 한글 학습용 게임 진행상태를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사용자가 한글 발판부를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프로그램의 문자열과 이 문자열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화면을 통해 출력 제시하는 문자열 표시 단계와; 사용자가 화면으로 출력 제시되는 문자열을 한글 발판부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문자열의 입력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문자열에 해당하는 승점을 부과하여 게임 점수를 업 카운트하고 상기 문자열 표시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 입력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벌점을 부과함과 더불어 벌점 부과 횟수를 업 카운트하고 벌점 부가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벌점 부과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문자열 표시 단계로 복귀하고,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한글 학습용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에 구비된 한글 발판부의 한글 배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은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시작 키버튼과, 예컨대 게임 일시정지와 게임 검색 및 문장 부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R1, R2 키버튼과, 한글 입력시 오기에 의한 입력을 지우기 위한 지우기 키버튼과, 각 키 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ㅗ, ㅜ)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ㅏ, ㅓ)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군 키버튼과 기본 자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여 덧쓰기 위한 덧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나란히 쓰기 위한 나 키버튼 및 한글 입력시에 띄어쓰기를 하기 위한 띄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사용자가 발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 발판부(10)와; 상기 발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발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군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3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4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 및 상기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50, input stack)과; 상기 모음 조합부(30)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60, vowel stack)과;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70,syllable stack)과; 다양한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80)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작과 종료 및 전반적인 진행 사항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90) 및; 한글 학습용 게임 진행상태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ㄹ, ㅁ, ㅅ, ㅇ」이고, 상기 기본 모음군은 「ㅡ, ㅣ, ㅗ, ㅏ, ㅜ, ㅓ」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행 4열의 키 버튼을 구비한 한글 발판부로서, 제 1 행 4개의 버튼에 시작, R1, R2,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4개의 버튼에 ㄱ, ㄴ, ㅏ/ㅓ, 나(나란히)를 배정하고, 제 3 행 4개의 버튼에 ㄹ, ㅁ, ㅗ/ㅜ, 덧(덧쓰기)을 배정하고, 제 4 행 3개의 버튼에 ㅅ, ㅇ, ㅡ/ㅣ, 띄(띄어쓰기)를 배정하여 이루어진다.
표 1은 한글 발판부(10)를 통해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자음 생성 방식
ㄱ : [ㄱ]ㄲ : [ㄱ] + [나란히]ㅋ : [ㄱ] + [덧쓰기]ㄴ : [ㄴ]ㄷ : [ㄴ] + [덧쓰기]ㄸ : [ㄴ] + [덧쓰기] + [나란히] 또는 [ㄴ] + [나란히]ㅌ : [ㄴ] + [덧쓰기] + [덧쓰기]ㄹ : [ㄹ]ㅁ : [ㅁ]ㅂ : [ㅁ] + [덧쓰기]ㅃ : [ㅁ] + [덧쓰기] + [나란히] 또는 [ㅁ] + [나란히]ㅍ : [ㅁ] + [덧쓰기] + [덧쓰기]ㅅ : [ㅅ]ㅆ : [ㅅ] + [나란히]ㅈ : [ㅅ] + [덧쓰기]ㅉ : [ㅅ] + [덧쓰기] + [나란히] 또는 [ㅅ] + [나란히] + [나란히]ㅊ : [ㅅ] + [덧쓰기] + [덧쓰기]ㅇ : [ㅇ]ㅎ : [ㅇ] + [덧쓰기]
표 2는 한글 발판부(10)를 통해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음 생성 방식
ㅏ : [ㅏ/ㅓ]ㅓ : [ㅏ/ㅓ] + [ㅏ/ㅓ]ㅗ : [ㅗ/ㅜ]ㅜ : [ㅗ/ㅜ] + [ㅗ/ㅜ]ㅡ : [ㅡ/ㅣ]ㅣ : [ㅡ/ㅣ] + [ㅡ/ㅣ]ㅑ : [ㅏ/ㅓ] + [덧쓰기, 나란히]ㅕ : [ㅏ/ㅓ] + [ㅏ/ㅓ] + [덧쓰기, 나란히]ㅛ : [ㅗ/ㅜ] + [덧쓰기, 나란히]ㅠ : [ㅗ/ㅜ] + [ㅗ/ㅜ] + [덧쓰기, 나란히]ㅐ : [ㅏ/ㅓ] + [ㅡ/ㅣ]ㅔ : [ㅏ/ㅓ] + [ㅏ/ㅓ] + [ㅡ/ㅣ]ㅚ : [ㅗ/ㅜ] + [ㅡ/ㅣ]ㅟ : [ㅗ/ㅜ] + [ㅗ/ㅜ] + [ㅡ/ㅣ]ㅒ : [ㅏ/ㅓ] + [덧쓰기, 나란히] + [ㅡ/ㅣ]ㅖ : [ㅏ/ㅓ] + [ㅏ/ㅓ] + [덧쓰기, 나란히] + [ㅡ/ㅣ]ㅘ : [ㅗ/ㅜ] + [ㅏ/ㅓ]ㅝ : [ㅗ/ㅜ] + [ㅗ/ㅜ] + [ㅏ/ㅓ]ㅙ : [ㅗ/ㅜ] + [ㅏ/ㅓ] + [ㅡ/ㅣ]ㅞ : [ㅗ/ㅜ] + [ㅗ/ㅜ] + [ㅏ/ㅓ] + [ㅡ/ㅣ]ㅢ : [ㅡ/ㅣ] + [덧쓰기, 나란히]
상기 한글의 모음 입력은 토글 방식으로, [ㅏ/ㅓ]를 한 번 누르면 'ㅏ'가 생성되고, 한 번 더 누르면 'ㅓ'가 생성되며, 자음에서는 [덧쓰기, 나란히] 버튼은 각각 구분되어 사용하나 모음에서는 [나란히]가 없기 때문에 2개의 버튼이 모두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음 'ㅝ' 등의 생성에서 [ㅗ/ㅜ] + [ㅗ/ㅜ]로 모음 'ㅜ'가 생성되고 [ㅏ/ㅓ]를 2번 눌러야 모음 'ㅓ'가 결합되어서 'ㅝ'가 생성되겠지만 우리말 모음자의 구조가 'ㅜ + ㅏ'는 없기 때문에 [ㅏ/ㅓ]의 토글 없이 바로 'ㅝ'를 생성시키고 'ㅞ' 또한 마찬가지이다. 같은 방식으로 'ㅐ', 'ㅔ', 'ㅚ', 'ㅟ', 'ㅙ', 'ㅞ', 'ㅒ', 'ㅖ'도 생성시켜 한글의 음절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상기 한글 발판부(10)와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을 연결 및 설치한 후, 한글 발판부(10)를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선택하고 시작 키버튼을 조작하여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키게 되면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게임프로그램 저장부(80)에 저장된 한글 학습용 게임프로그램의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함과 더불어 한글 발판부(10)를 통해 입력되는 한글과 게임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영상을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한글 학습용 게임프로그램의 기본 진행 방식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해 정해진 키 입력 시퀀스만을 승인 또는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는 사용자가 한글 발판부(10)에 발을 디딘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제시되는 문자열 이외의 문자에 발을 디디게 되어 다른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이러한 정해진 키 입력 시퀀스 이외의 문자에 대해서는 입력을 무시하고 정해진 키 입력 시퀀스에 대응하는 문자열만을 입력 승인하게 된다.
사용자가 한글 발판부(10)를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선택하게 되면(S11),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한글 학습용 게임프로그램 저장부(8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프로그램의 문자열과 이 문자열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시퀀스를 추출하고(S12)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제시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S13).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00) 화면으로 출력되는 문자열을 한글 발판부(10)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고(S14), 게임 제어부(90)는 상기 문자열의 입력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5)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6).
상기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6)에서,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입력된 문자열에 해당하는 승점을 부과하여(S17) 게임 점수를 업 카운트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다음 문자열을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는 단계(S13)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문자열 입력 시간이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5)에서,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문자열 입력 시간 초과에 따른 벌점을 부과함과 더불어 시간 초과 횟수를 카운트하고(S18),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9)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다음 문자열을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는 단계(S13)를 반복 수행하고,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한글 학습용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행 5열의 키버튼을 구비한 한글 발판부로 변형 실시할 수 있으며, 제 1 행 5개의 버튼에 시작, R1, R2, R3,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5개의 버튼에 ㄱ, ㄴ, ㅏ, ㅓ, 나(나란히)를 배정하고, 제 3 행 5개의 버튼에 ㄹ, ㅁ, ㅗ, ㅜ, 덧(덧쓰기)을 배정하고, 제 4 행 5개의 버튼에 ㅅ, ㅇ, ㅡ, ㅣ, 띄(띄어쓰기)를 배정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4행 5열의 한글 발판부를 통한 한글 자음 입력방식은 상기 4행 4열 한글 발판부(10)와 동일하며, 한글 모음 입력방식은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3은 상기 4행 5열의 한글 발판부를 통해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음 생성 방식
ㅏ : [ㅏ]ㅓ : [ㅏ]ㅗ : [ㅗ]ㅜ : [ㅗ]ㅡ : [ㅡ]ㅣ : [ㅣ]ㅑ : [ㅏ] + [덧쓰기, 나란히]ㅕ : [ㅓ] + [덧쓰기, 나란히]ㅛ : [ㅗ] + [덧쓰기, 나란히]ㅠ : [ㅜ] + [덧쓰기, 나란히]ㅐ : [ㅏ] + [ㅣ]ㅔ : [ㅓ] + [ㅣ]ㅚ : [ㅗ] + [ㅣ]ㅟ : [ㅜ] + [ㅣ]ㅒ : [ㅏ] + [덧쓰기, 나란히] + [ㅣ]ㅖ : [ㅓ] + [덧쓰기, 나란히] + [ㅣ]ㅘ : [ㅗ] + [ㅏ]ㅝ : [ㅜ] + [ㅓ]ㅙ : [ㅗ] + [ㅏ] + [ㅣ]ㅞ : [ㅜ] + [ㅓ] + [ㅣ]ㅢ : [ㅡ] + [ㅣ]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덧쓰기, 나란히]는 [덧쓰기] 버튼을 눌러도 되고 [나란히] 버튼을 눌러도 된다는 표시이고, 모음에서는 [나란히]가 없기 때문에 2개의 버튼이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행 4열의 키버튼을 구비한 한글 발판부로 변형 실시할 수 있으며, 제 1 행 4개의 버튼에 시작, R1, R2,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4개의 버튼에 ㄱ, ㄴ, ·, 나(나란히)를 배정하고, 제 3 행 4개의 버튼에 ㄹ, ㅁ, ㅡ, 덧(덧쓰기)을 배정하고, 제 4 행 4개의 버튼에 ㅅ, ㅇ, ㅣ, 띄(띄어쓰기)를 배정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4행 4열의 한글 발판부를 통한 한글 자음 입력방식은 상기 4행 4열 한글 발판부(10)와 동일하며, 한글 모음 입력방식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4는 상기 4행 4열의 한글 발판부를 통해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음 생성 방식
ㅏ : [ㅣ] + [·]ㅓ : [·] + [ㅣ]ㅗ : [·] + [ㅡ]ㅜ : [ㅡ] + [·]ㅡ : [ㅡ]ㅣ : [ㅣ]ㅑ : [ㅣ] + [·] + [·]ㅕ : [·] + [·] + [ㅣ]ㅛ : [·] + [·] + [ㅡ]ㅠ : [ㅡ] + [·] + [·]ㅐ : [ㅣ] + [·] + [ㅣ]ㅔ : [·] + [ㅣ] + [ㅣ]ㅚ : [·] + [ㅡ] + [ㅣ]ㅟ : [ㅡ] + [·] + [ㅣ]ㅒ : [ㅣ] + [·] + [·] + [ㅣ]ㅖ : [·] + [·] + [ㅣ] + [ㅣ]ㅘ : [·] + [ㅡ] + [ㅣ] + [·]ㅝ : [ㅡ] + [·] + [·] + [ㅣ]ㅙ : [·] + [ㅡ] + [ㅣ] + [·] + [ㅣ]ㅞ : [ㅡ] + [·] + [·] + [ㅣ] + [ㅣ]ㅢ : [ㅡ] + [ㅣ]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에 구비된 축소형 한글 키보드의 한글 배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6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은 한글 발판부(10)와;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시작 키버튼과, 예컨대 게임 일시정지와 게임 검색 및 문장 부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R1, R2, R3, R4, R5) 키버튼과, 한글 입력시 오기에 의한 입력을 지우기 위한 지우기 키버튼과, 각 키 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ㅗ, ㅜ)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ㅏ, ㅓ)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군 키버튼과 기본 자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여 덧쓰기 위한 덧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나란히 쓰기 위한 나 키버튼 및 한글 입력시에 띄어쓰기를 하기 위한 띄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사용자가 발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한글 발판부(10)와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20)와; 자음 조합부(20)와; 모음 조합부(30)와; 음절 결합부(40)와; 입력 스택(50, input stack)과; 모음 스택(60, vowel stack)과;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과;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80)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작과 종료 및 전반적인 진행 사항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90) 및; 표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ㄹ, ㅁ, ㅅ, ㅇ」이고, 상기 기본 모음군은 「ㅏ, ㅓ, ㅗ, ㅜ, ㅡ, ㅣ」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행에 배치된 버튼에 시작, 다수의 기능키(R1, R2, R3, R4, R5),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5개의 버튼에 ㄱ, ㄴ, 덧쓰기, ㅏ, ㅓ를 배정하고, 제 3 행 5개의 버튼에 ㄹ, ㅁ, 나란히, ㅗ, ㅜ를 배정하고, 제 4 행 5개의 버튼에 ㅅ, ㅇ, 띄기, ㅡ, ㅣ를 배정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상기 한글 발판부(10)와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 및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을 연결 및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글 학습용 게임을 진행할 입력 수단 즉, 한글 발판(10) 또는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로 게임을 진행할 것인지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의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선택 설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한글 학습용 게임을 진행할 키 입력수단을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를 선택하기 위해 스위칭 제어부(12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예컨대 키보드 스캔 코드를 출력하여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를 스캔하게 된다(S21).
사용자가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를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선택하게 되면(S22),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한글 학습용 게임프로그램 저장부(8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프로그램의 문자열과 이 문자열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시퀀스를 추출하고(S23)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제시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S24).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는 문자열을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고(S25), 게임 제어부(90)는 상기 문자열의 입력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6)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7).
상기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6)에서,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문자열 입력이 잘못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된 키 입력 시퀀스와 입력된 문자의 키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고(S28) 상기 입력된 문자열의 키 입력 시퀀스가 일치하게 되면 입력된 문자열에 해당하는 승점을 부과하여(S29) 게임 점수를 업 카운트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다음 문자열을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는 단계(S24)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문자열 입력 시간이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6)에서, 설정된 시간이 초과하였거나, 또한 상기 키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는 단계(S28)에서 입력된 키 입력 시퀀스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게임 제어부(90)는 문자열 입력 시간 초과 및 잘못 입력한 문자열에 따른 벌점을 부과함과 더불어 벌점 부과 횟수를 업 카운트하고(S30),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31)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다음 문자열을 표시부(10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는 단계(S24)를 반복 수행하고,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한글 학습용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한글 발판부(10)와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을 연결 및 설치한 후,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키게 되면 게임 제어부(90)는 게임프로그램 저장부(80)에 저장된 한글 학습용 게임프로그램의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함과 더불어 한글 발판부(10)를 통해 입력되는 한글과 게임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한글 교육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발판을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시켜 게임 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발놀림으로 인한 운동 효과는 물론 게임에 의한 지적 운동과 사용자가 적극적인 학습참여를 통해 한글 교육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다수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하여 만든 다수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소정 형태로 배정하여 상기 각각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 발판부(10)와;
    상기 발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함과 더불어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발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군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나란히 코드 및 덧쓰기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3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4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 및 상기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50)과;
    상기 모음 조합부(30)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60)과;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70)과;
    한글 학습용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80)와;
    한글 학습용 게임 시작과 종료 및 전반적인 게임진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부(90); 및
    한글 학습용 게임 진행상태를 화면으로 출력 제시하기 위한 표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시작 키버튼과, 부가 기능이 부여된 다수의 기능 키버튼과 오기에 의한 한글 입력을 지우기 위한 지우기 키버튼과, 각 키 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다수의 「ㄱ, ㄴ, ㄹ, ㅁ, ㅅ, ㅇ」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ㅗ, ㅜ)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ㅏ, ㅓ)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군 키버튼과, 기본 자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여 덧쓰기 위한 덧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나란히 쓰기 위한 나 키버튼 및 한글 입력시에 띄어쓰기를 하기 위한 띄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사용자가 발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4행 4열의 키버튼이 구비되고,
    제 1 행 4개의 버튼에 시작, R1, R2,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4개의 버튼에 ㄱ, ㄴ, ㅏ/ㅓ, 나(나란히)를 배정하고, 제 3 행 4개의 버튼에 ㄹ, ㅁ, ㅗ/ㅜ, 덧(덧쓰기)을 배정하고, 제 4 행 3개의 버튼에 ㅅ, ㅇ, ㅡ/ㅣ, 띄(띄어쓰기)를 배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4행 5열의 키버튼이 구비되고,
    제 1 행 5개의 버튼에 시작, R1, R2, R3,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5개의 버튼에 ㄱ, ㄴ, ㅏ, ㅓ, 나(나란히)를 배정하고, 제 3 행 5개의 버튼에 ㄹ, ㅁ, ㅗ, ㅜ, 덧(덧쓰기)을 배정하고, 제 4 행 5개의 버튼에 ㅅ, ㅇ, ㅡ, ㅣ, 띄(띄어쓰기)를 배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판부(10)는 4행 4열의 키버튼가 구비되고,
    제 1 행 4개의 버튼에 시작, R1, R2,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4개의 버튼에 ㄱ, ㄴ, ·, 나(나란히)를 배정하고, 제 3 행 4개의 버튼에 ㄹ, ㅁ, ㅡ, 덧(덧쓰기)을 배정하고, 제 4 행 4개의 버튼에 ㅅ, ㅇ, ㅣ, 띄(띄어쓰기)를 배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다수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하여 만든 다수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소정 형태로 배정하여 상기 각각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한글 발판부(10)와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은 한글 학습용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시작 키버튼과, 부가 기능이 부여된 다수의 기능키 키버튼과, 오기에 의한 한글 입력을 지우기 위한 지우기 키버튼과, 각 키 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다수의 「ㄱ, ㄴ, ㄹ, ㅁ, ㅅ, ㅇ」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ㅗ, ㅜ)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ㅏ, ㅓ)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군 키버튼과 기본 자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여 덧쓰기 위한 덧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나란히 쓰기 위한 나 키버튼 및 한글 입력시에 띄어쓰기를 하기 위한 띄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키보드(110)는 제 1 행 배치된 버튼에 시작, 다수의 기능키(R1, R2, R3, R4, R5), 지우기를 배정하고, 제 2 행 5개의 버튼에 ㄱ, ㄴ, 덧쓰기, ㅏ, ㅓ를 배정하고, 제 3 행 5개의 버튼에 ㄹ, ㅁ, 나란히, ㅗ, ㅜ를 배정하고, 제 4 행 5개의 버튼에 ㅅ, ㅇ, 띄기, ㅡ, ㅣ를 배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9. 사용자가 한글 발판부를 통해 한글 학습용 게임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프로그램의 문자열과 이 문자열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화면을 통해 출력 제시하는 문자열 표시 단계와;
    사용자가 화면으로 출력 제시되는 문자열을 한글 발판부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문자열의 입력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문자열에 해당하는 승점을 부과하여 게임 점수를 업 카운트하고 상기 문자열 표시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 입력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벌점을 부과함과 더불어 벌점 부과 횟수를 업 카운트하고 벌점 부가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벌점 부과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문자열 표시 단계로 복귀하고, 벌점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한글 학습용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글 학습용 게임을 진행할 키 입력수단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축소형 한글 키보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키보드 스캔 코드를 출력하여 축소형 한글 키보드를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문자열 입력이 완료되면 추출된 키 입력 시퀀스와 입력된 문자의 키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열의 키 입력 시퀀스가 일치하게 되면 입력된 문자열에 해당하는 승점을 부과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입력된 키 입력 시퀀스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벌점을 부과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게임방법.
KR1020000042823A 2000-07-25 2000-07-25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23A KR20000063594A (ko) 2000-07-25 2000-07-25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23A KR20000063594A (ko) 2000-07-25 2000-07-25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94A true KR20000063594A (ko) 2000-11-06

Family

ID=1967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823A KR20000063594A (ko) 2000-07-25 2000-07-25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5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97B1 (ko) * 2002-04-22 2004-11-26 닌텐도가부시키가이샤 한글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게임장치와 이것에 사용되는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
KR101017598B1 (ko) * 2008-11-25 2011-0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KR20210119594A (ko) 2020-03-24 2021-10-06 윤승윤 한글 학습용 게임 장치 및 방법
KR20220030775A (ko) * 2020-09-03 2022-03-11 (주)젬블로 타일 소진 미션 게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596A (en) * 1978-03-30 1980-10-21 Jerry W. Daniel Illuminated teaching device and board game
KR950020592U (ko) * 1993-12-17 1995-07-26 장병일 컴퓨터 및 게임기의 발조작기
KR20000058419A (ko) * 1998-07-24 2000-10-05 고즈키 가게마사 댄스 게임장치 및 댄스 게임용 발판
KR20010090238A (ko) * 2000-03-24 2001-10-18 윤재환 게임용 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596A (en) * 1978-03-30 1980-10-21 Jerry W. Daniel Illuminated teaching device and board game
KR950020592U (ko) * 1993-12-17 1995-07-26 장병일 컴퓨터 및 게임기의 발조작기
KR20000058419A (ko) * 1998-07-24 2000-10-05 고즈키 가게마사 댄스 게임장치 및 댄스 게임용 발판
KR20010090238A (ko) * 2000-03-24 2001-10-18 윤재환 게임용 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97B1 (ko) * 2002-04-22 2004-11-26 닌텐도가부시키가이샤 한글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게임장치와 이것에 사용되는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
KR101017598B1 (ko) * 2008-11-25 2011-0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KR20210119594A (ko) 2020-03-24 2021-10-06 윤승윤 한글 학습용 게임 장치 및 방법
KR20220030775A (ko) * 2020-09-03 2022-03-11 (주)젬블로 타일 소진 미션 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5983A1 (en) Character input using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4151659A (en) Machine for teaching reading
CA2621114A1 (en) An interactive audio puzzle solving, game playing, and learning tutorial system and method
CA1312300C (en) Keyboard for a word typewriter
US20060183092A1 (en) Typing game machine
US4245405A (en) Machine for teaching reading
KR100689015B1 (ko) 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KR100291838B1 (ko)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JP4816435B2 (ja) 文字入力処理方法
KR20000063594A (ko) 한글 학습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747037B1 (ko) 문자 입력 방법
US20060188856A1 (en) Typing game machine
KR100291839B1 (ko)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3062331A (ja) タイピングゲーム装置
JP2007190252A (ja) 漢字パズルゲーム装置及び漢字パズル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6317785A (ja) 携帯端末装置
Aveni et al. A preliminary apparatus and teaching structure for passive tactile training of stenography
JP355486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
KR200244891Y1 (ko)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KR101129687B1 (ko) 속기 겸용 영문 키보드
KR20200143104A (ko) 문자 입력 장치
KR100332389B1 (ko)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247427Y1 (ko)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JP2879098B2 (ja) テレビゲーム機及びその音響信号発生方法
KR102418569B1 (ko) 문제은행식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