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983A - 차량용 외부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부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983A
KR20000062983A KR1020000014501A KR20000014501A KR20000062983A KR 20000062983 A KR20000062983 A KR 20000062983A KR 1020000014501 A KR1020000014501 A KR 1020000014501A KR 20000014501 A KR20000014501 A KR 20000014501A KR 20000062983 A KR20000062983 A KR 2000006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m
mounting hole
door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제이. 어신더
그래함 레힐
Original Assignee
앤드류 알. 터너
브리탁스 윈가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드류 알. 터너, 브리탁스 윈가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앤드류 알. 터너
Publication of KR2000006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83A/ko
Priority to US10/068,792 priority Critical patent/US6609800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미러(14)는 하우징(16)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6)은 스템(46)을 거쳐 차량 도어(10)에 연결된다. 중간 부재(22)는 하우징(160과 차량도어(10)에 삽입되어 중간 부재(22) 및 하우징(16)사이, 중간부재(22) 및 차량 도어(10)사이의 접촉부를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한다. 원통형 스템(46)은 중간 부재(22) 및 차량 도어 장착 홀(36)을 거쳐 하우징(16)으로 부터 연장된다. 스템(46)은 제 1 결합 부재(54)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54)는 도어(10)의 장착 홀(36)에 형성된 결합부재(38)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54,38)들은 스템(46)이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될때, 장착 홀(36)로 부터의 제거가 방지된다. 스프링(72)은 하우징(16) 및 스템(46)사이로 압축되어 하우징(16)의 내측으로 스템(46)을 수축시킨다. 이러한 내측 이동은 제 1 결합부재(54)를 제 2 결합 부재(38)속으로 결합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외부 미러 {VEHICLE EXTERIOR MIRROR}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 장착되는 차량용 외부 미러 및, 상기 미러가 장착된 차량 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종래 외부 미러들은 3개의 스터드(stud) 또는 필러(pillar)를 갖는 차량 도어에 접촉하도록 적용되는 접촉면을 갖는 베이스를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3개의 스터드 또는 필러는 차량 도어의 구조물 부재에서 홀(hole)들을 통해 돌출하기 위해 접촉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때, 브래킷(bracket)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차량의 내측으로 부터 각 스터드의 단부속으로 나사가 삽입된다. 이러한 형식의 미러는 유럽 특허 A-567,244호에 기술되어 있다. 만약 전기 연결부가 미러 조정 매카니즘 또는 미러 히터에 필요하다면, 이러한 전기 연력부는 별도의 작업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미러의 설치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단순화되는 차량용 외부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 분해된 미러 하우징의 외부 미러부와 끼워맞춤되는 차량 도어의 측면도.
도 2는 차량 도어상에 설치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미러의 부분적으로 분해한 후방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라인 3-3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어상에 설치하기 위한 제 1단계 수행 이후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정면도.
도 5는 설치를 위한 제 1 단계를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라인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삽입의 3단계를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라인 8-8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설치를 위한 제 4단계에서의 미러를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라인 10-10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차량 도어상에 완전히 설치된 미러를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라인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미러가 차량도어로부터 분리된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14는 미러가 차량 도어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15는 미러가 차량으로 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한 부분 절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라인 17-17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라인 18-18을 따라 취한 다면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접촉 링의 하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차량 도어 12 : 윈도우
14 : 도어 미러 16 : 하우징
20 : 풋트 22 : 중간 부재
32 : 개구 36 : 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 미러는 하우징, 차량용 도어의 표면에 접촉하기 위해 적용되는 접촉면을 갖는 중간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축선방향으로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되는 원통형 스템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스템을 수축시키기 위해 스템과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며 그러므로서 베이어닛 형상(bayonet formation)을 결합형태로 변형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템은 차량의 접촉면의 장착 구멍과 결합하도록 중간부재의 접촉면의 구멍으로 부터 돌출하며, 스템이 소정의 상태로 배열될때 장착 구멍으로 부터 스템을 제거하지 않기 위해 원주상에 베이어닛 형상과 결합하도록 적용되는 방사형 돌출 베이어닛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미러는 차량용 도어의 표면에 접촉하기 위해 적용되는 접촉면을 갖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되는 원통형 스템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스템을 수축시키기 위해 스템과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며 그러므로서 베이어닛 형상(bayonet formation)을 결합형태로 변형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템은 소정의 상태로 배열될때 장착 구멍으로 부터 스템을 제거하지 않기 위해 원주상에 베이어닛 형상과 결합하도록 적용되는 방사형 돌출 베이어닛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도, 하우징의 중간 부재는 충격이 일어난 경우 중간 부재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된다. 메인 바디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결합된 위치속으로 편향되는 멈춤쇠로 정상 상태의 배열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설치중에 연결부의 조립을 단순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및 하기의 실시예에서 주요구성요소에 도면부호를 병기한다.
첨부된 도면 및 하기의 실시예에 병기되어 있는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도어(10)는 윈도우(12)를 포함하며, 차량도어에 장착된 도어 미러(mirror) 조립체(1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도어 미러 조립체(14)는 미러 글라스(18, mirror glass)를 포함하는 하우징(16)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6)은 하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풋트(foot, 20)를 구비하며, 상기 풋트(20)는 중간 부재(22)에서 상대적인 각 이동 및 축선 이동을 위해 저어널된다. 또한, 상기 풋트(20)는 하부면상에 하향으로 돌출한 멈춤쇠(detent, 24)를 구비하며, 상기 멈춤쇠(24)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간부재(22)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하우징(16)을 유지시키기 위해 중간부재(22)에서 대응 리세스(26)와 결합된다.
중간 부재(22)는 개구(32)를 커버하기 위해 차량 도어(10)의 외측면(30, outer skin)의 대응표면에 대하여 인접하게 형성되는 하부 인접 표면(28)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32)는 도어(10)내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10)는 내측 프레임(34)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긴 3개의 아아크 절단부(38, cut-outs)를 구비하는 통상의 3 원통형 홀(36,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홀(36)은 긴 아아크 절단부(38)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된 짧은 아아크 절단부(40)를 구비한다. 멀티-접촉 암형(female) 전기 커넥터(42)는 상부 표면상의 접촉부(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구멍(36)속에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42)는 상부 표면과 동일한 레벨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러그(44)를 구비하며, 상기 러그는 절단부(38)들을 용이하게 통과하는 치수를 갖게된다. 도 3에는, 상기 러그(44)들이 미러(14)를 설치하기 전에 전기 커넥터(40)를 제 위치에 지지하기 위해 절단부(38)와 정렬되어 있지 않게 되어 있다.
커플링 스템(46)은 풋트(20)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며, 바닥 단부에 장착된 숫형(male) 전기 커넥터(48)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48)는 암형 커넥터(40)의 접촉부들과 결합하도록 배열된 핀(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이들 핀과 접촉부들은 종래 기술로 설계된다.
미러(14)가 도어(10)상에 설치될때, 숫형 커넥터(48)가 개구(32)속을 관통하여 암형 커넥터(42)속으로 결합한다. 숫형 커넥터(48)의 측면상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한쌍의 돌출부(50)들은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두 커넥터들을 서로 연결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암형 커넥터(42)의 리세스(52)들과 스냅형식으로 끼워맞춤된다. 상기 한쌍의 돌출부(50)들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돌출부(50)와 리세스(52)의 결합이후에, 미러(14)가 커플링 스템(46)의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암형 전기 커넥터(42)상의 러그(44)들은 장착 홀 또는 개구(36)의 절개부(38)들과 정렬된다. 중간 부재(22)상의 하부 인접 표면(28)이 차량 도어(10)의 외측 표면(30)과 접촉할때까지, 스템(46)의 측면상의 러그(54)가 하향으로의 이동이 계속되는 동안에 절개부(38)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위치로 도어의 내측 프레임(34)의 하향이동에 대해 자유롭게된다.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각각의 러그(54)는 통상 L-형상으로 구성되며, 수평부분의 외측단부상에 램프형(ramped)부(58) 및 수직부(56)를 구비한다. 조립체의 다음 단계는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회전 미러(14)를 반시계 방향(위에서 볼때)으로 회전시켜 각 러그(54)의 수직부(56)를 절개부(38) 에지의 접촉부속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스템(46)의 추가 각도 이동을 저지한다. L-형 러그(54)들의 램프형부(58)각각은 짧은 아아크 절개부(40)들중의 하나와 정렬된다.
상기 스템(46)의 상부는 외측 돌출 플랜지(60)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60)는 풋트(20)상의 두 상부 및 하부 플랜지 또는 리브(64,66)들 사이로 결합되며, 상기 리브들은 내측으로 접촉된다. 하부 리브(66)는 연속적이다. 상부 리브(64)는 3개의 아아크형 절개부(68, 도 10참조)를 구비한다. 유사하게도, 스템(64)상의 프랜지(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절개부(68)들을 통과하여 상부 리브(64)와 결합되도록 치수설정되는 3개의 돌출 러그(70)들을 갖는 절개부를 구비한다. 압축 스프링(72)은 상부 리브(64)와 결합한 상태로 러그(70)들을 유지하기 위해 풋트(20)의 하부 및 플랜지(60)의 하부면 사이에 결합한다. 이전에, 스프링(72)으로 인한 마찰이 하우징(16)의 풋트(20) 및 스템(46)을 동시에 이동시키며, 그결과 스프링(72)은 압축 상태로 유지된다.
L-형 러그(54)들의 수직부(56)와 절개부(38)들의 에지의 결합이 스템(46)의 추가 각도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하우징(16)의 연속적인 각도 이동은 플랜지(60)상의 러그(70)들을 절개부(68)상에 정렬시킨다. 이것은 압축 스프링(72)으로 하여금 스템(46)을 하우징(16)에 대해 상향으로 변위시키며, 그러므로서 L-형 러그(54)의 램프형부(58)들은 내측 프레임(34)의 짧은 아아크형 절개부(40)와 결합된다. 그 결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스템(46)은 회전에 대하여 고정된다.
하우징(16)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부터 충격을 받을때,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풋트(20)의 하부면상의 멈춤쇠(24)는 중간부재(22)에서의 리세스(26)들의 에지와 접촉하게 되어 스프링(72)을 압축한다. 플랜지(60)상의 러그(70)들은 풋트(20)상의 상부 리브(64) 바로 위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미러 하우징(16) 및 그 풋트(20)는 서로에 대해 정지 상태로 남아있는 중간 부재(22) 및 스템(46)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자유롭게 된다.
도어(10)로 부터 미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경우, 미러 하우징(16)은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먼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어(10)의 내측 트림(trim)이 제거되며, 공구(도시되지 않음)가 스템(46)의 하부에 적용되어 시계방향(위에서 보았을때)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서, 러그(54)상의 램프형부(58)는 내측 도어 프레임(34)에서 절개부(40)들의 에지에 대해 접촉하여, 플랜지(60)상의 러그(70)들을 풋트(20)상의 상부 및 하부 리브(64,66)들 사이로 변위시킨다.
미러 하우징(16)의 추가 각도 이동은 러그(70)들을 상부 리브(64) 아래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스템(46)상의 러그(54)들이 내측 도어 프레임(34)에서 대형 아아크 절개부(38)와 정렬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 압축 스프링(72)은 압축된 상태로 남게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암형 및 숫형 전기 커넥터(42,48)들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직부(56) 및 램프형부(58)사이의 각 러그(54)의 수평부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전기 콘택트(86,88)에 의해서 대체된다. 암형 커넥터(42)는 내측 도어 프레임(34)의 개구(36)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76)를 갖는 플라스틱 링(74, 도 19에 도시됨)에 의해서 대체된다. 상기 링(74)은 탄성 러그(78)들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고정된다. 스템(46)이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한 쌍의 콘택트(82,84)들은 콘택트(70,72)와 결합하기 위해 링(74)의 하부면상에 위치된다. 상기에 기술된 것 이외의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만약 6개가 불충분하다면, 더 많은 전기 콘택트들이 제공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미러는 조립이 단순화되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여러 실시예가 있을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술된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가 있을수 있다.

Claims (7)

  1. 차량용 도어 미러(14)에 있어서,
    하우징(16)과,
    차량용 도어(10)의 표면(30)에 접촉하기 위해 적용되는 접촉면(28)을 갖는 중간 부재(22)와,
    상기 하우징(16)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우징(16)에 장착되는 원통형 스템(46)과,
    상기 하우징(16)의 내측으로 스템(46)을 수축시키기 위해 스템(46)과 하우징 (16)사이에 결합되며 그러므로서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54,38)를 결합형태로 변형시키는 스프링(72)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템(46)은 도어의 장착 구멍(36)과 결합하도록 중간부재(28)의 접촉면의 구멍으로 부터 돌출하는 제 2 단부와; 스템(46)이 장착 구멍(36)에 대해 소정의 상태로 배열될때 장착 구멍(36)으로 부터 스템(46)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장착 구멍(36)의 원주상에 결합부재(38)와 결합하도록 적용되는 방사형 제 1 결합 부재(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46)의 제 1 단부는 제 2 결합부재(70)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결합 부재(70)는 스프링(70)의 작용에 대해 돌출된 위치에서 스템(46)을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6)상에 형성된 제 2 결합 부재(64)와 결합하도록 적용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54,38)들의 결합후 도어(10)에 대한 하우징(16)의 각도 이동은 제 2 결합부재(70.64)의 분리를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36)의 원주상에 결합하도록 적용되는 내부로킹(interlocking) 형상(44)으로 구성된 제 1 전기 커넥터(42)와,
    상기 스템(46)을 장착 구멍(36)에 삽입시키기 위해 장착 구멍(36)의 원주로부터 내부로킹 형상(44)을 분리하도록 제 1 전기 커넥터(42)에 적용되며, 스템(46)의 제 2 단부에 적용되는 제 2 전기 커넥터(4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결합 부재(38)상에 배열된 제 2 전기 콘택트(82,84)셋트와,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82,84)셋트와 결합되며, 제 1 결합부재(54)에 배열된 제 1 전기 콘택트(70,72)셋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5. 상기 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46)은 중간 부재(22)에 하우징(16)을 결합시키며, 상기 하우징(16)내의 멈춤쇠(24)는 중간 부재(22)에 대해 하우징(16)을 정상 배열상태로 유지하며, 하우징(16)이 충격의 발생시에 중간 부재(22)에 대해 변위가능하도록 스프링(72)에 의해서 결합 위치속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6. 상기 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54)는 베이어닛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 1 결합 부재(38)는 장착 구멍(36)의 원주상에서 절개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7. 상기 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70)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템(46)으로 부터 돌출하는 플랜지에 의해서 한정되며, 제 2 결합 부재(64)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으로 부터 돌출하는 플랜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미러.
KR1020000014501A 1999-03-22 2000-03-22 차량용 외부 미러 KR20000062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68,792 US6609800B2 (en) 1999-03-22 2002-02-05 Vehicle exterior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06491.7A GB9906491D0 (en) 1999-03-22 1999-03-22 Vehicle exterior mirror
GB9906491.7 199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83A true KR20000062983A (ko) 2000-10-25

Family

ID=1085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501A KR20000062983A (ko) 1999-03-22 2000-03-22 차량용 외부 미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371619B1 (ko)
EP (1) EP1038730B1 (ko)
JP (1) JP2000280824A (ko)
KR (1) KR20000062983A (ko)
DE (1) DE60003248T2 (ko)
GB (1) GB9906491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6491D0 (en) * 1999-03-22 1999-05-12 Britax Wingard Ltd Vehicle exterior mirror
US7137715B2 (en) * 2001-03-26 2006-11-21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External vehicle mirror having a self-loading pivot and an end stop
FR2827232B1 (fr) * 2001-07-16 2003-10-31 Ficomirrors France Sas Dispositif de fixation d'un retroviseur exterieur sur un vehicule automobile
NL1019258C2 (nl) * 2001-10-30 2003-05-02 Iku Holding Montfoort Bv Bevestigingsconstructie, in het bijzonder voor een buitenspiegel van een motorvoertuig.
DE60320433T2 (de) * 2002-10-15 2009-06-04 Visiocorp Patents S.á.r.l. Rückspiegelanordnung
US6880940B1 (en) * 2003-11-10 2005-04-19 Honda Motor Co., Ltd. Magnesium mirror base with countermeasures for galvanic corrosion
JP2005199820A (ja) * 2004-01-14 2005-07-28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EP1711853B1 (en) * 2004-02-05 2009-11-18 SMR PATENTS S.à.r.l. Mirror retention system
DE102004029229A1 (de) * 2004-06-17 2006-01-05 Rücker GmbH Außenspiegel eines Kraftfahrzeuges
BRPI0706807B1 (pt) * 2006-01-24 2018-03-13 Fico Mirrors Sa Espelho retrovisor externo para veículos automotores
DE102007056671B4 (de) * 2007-11-24 2019-03-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anordnung
DE102008046980B3 (de) * 2008-09-11 2010-06-02 Mekra Lang Gmbh & Co. Kg Spiegelhalterung zum Befestigen eines Spiegels an einem Fahrzeug und Spiegel mit einer solchen Spiegelhalterung
US8297584B2 (en) * 2009-12-24 2012-10-30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having an exterior rearview mirror
EP2399778B1 (de) * 2010-06-28 2013-01-02 SMR Patents S.à.r.l. Außenrückblickspiegelanordnung
JP6051499B2 (ja) * 2010-12-14 2016-12-2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DE102011087539B3 (de) * 2011-12-01 2013-05-29 Mekra Lang Gmbh & Co. Kg Verbindungsstruktur zur Verbindung von Komponenten einer mehrteiligen Tragstruktur für Kraftfahrzeugspiegel
EP2639111B1 (de) * 2012-03-14 2015-07-29 Magna Auteca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Außenrückspiegels
DE102012018294A1 (de) * 2012-09-14 2014-03-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ußenspiegel mit Halterung für ein Kraftfahrzeug
EP3165404B1 (en) * 2015-11-03 2018-09-12 Fico Mirrors S.A. Fold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DE102017104755B3 (de) 2017-03-07 2018-07-19 SMR Patents S.à.r.l. Rückbli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3634808B1 (en) * 2017-05-24 2021-04-07 SMR Patents S.à.r.l. Pivot joint system and rear view device therewith
WO2018215336A1 (en) * 2017-05-24 2018-11-29 SMR Patents S.à.r.l. Pivot detent system and rear view device therewith
EP3597486B1 (en) * 2018-07-16 2022-09-14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Exterior mirror with reduced folding noise
ES2781125B2 (es) * 2019-02-26 2021-02-25 Compania Levantina De Reductores S L Conjunto de fijacion de la estructura de montaje de espejo retrovisor exterior para vehiculos y espejo retrovisor que lo incluye
WO2020246967A1 (en) * 2019-06-04 2020-12-10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ide mirror
WO2023023679A1 (de) 2021-08-23 2023-03-02 Alois Pichler Tiefbauwerk für das führen einer leit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4996A (en) * 1951-12-06 1955-11-29 O'shei William Edward Rear viewing mirrors
DE2522121C3 (de) * 1975-05-17 1981-02-2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Halterung für ein von der Außenhaut einer Fahrzeugkarosserie abragendes flaches Bauteil, insbesondere für ein Firmenemblem oder eine Kiihleraufsatzfigur
US4197762A (en) * 1977-04-04 1980-04-15 Murakami Kaimeido Co., Ltd. Remote control rear-view mirror
JPS5640580Y2 (ko) 1978-05-26 1981-09-22
JPS554955U (ko) * 1978-06-27 1980-01-12
FR2473436A1 (fr) * 1980-01-09 1981-07-17 Manzoni Stephane Dispositif de commande d'un retroviseur de vehicule
US4523736A (en) * 1982-03-02 1985-06-18 Societe Manzoni-Bouchot Device for mounting a rearview mirror casing on a support member
IT8453862V0 (it) * 1984-09-27 1984-09-27 Fiat Auto Spa Specchio retrovisore esterno regolabile dall interno per autoveicoli
DE3713579A1 (de) * 1987-04-23 1988-11-03 Bernhard Mittelhaeuser Aussenrueckblickspiegel fuer kraftfahrzeuge
EP0402465A1 (en) 1987-07-16 1990-12-19 Ichikoh Industries Limited Door mirror for automobiles
DE3734393A1 (de) * 1987-10-10 1989-04-20 Bernhard Mittelhaeuser Rueckblickspiegel fuer kraftfahrzeuge
JP2506070Y2 (ja) * 1989-03-23 1996-08-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自動車用電動式リモコンミラ―のコネクタ保持装置
GB8914707D0 (en) 1989-06-27 1989-08-16 Britax Geco Sa Exterior 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JPH04136949U (ja) 1991-06-17 1992-12-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可倒式ドアミラー
US5148325A (en) * 1991-12-11 1992-09-15 Wang Min Chih Vehicular external mirror assembly
DE4141163C1 (ko) 1991-12-13 1993-06-09 Hohe Kg, 6981 Collenberg, De
GB9208848D0 (en) 1992-04-23 1992-06-10 Britax Geco Sa Antenna for vehicle radio
JPH0840146A (ja) * 1994-08-03 1996-02-13 Murakami Kaimeidou:Kk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制御装置
JP3008334U (ja) * 1994-08-25 1995-03-1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減速機構
US5516073A (en) * 1995-01-04 1996-05-14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outside mirror attaching arrangement
GB9501965D0 (en) 1995-02-01 1995-03-22 Rover Group Vehicle mirror assemblies
US5889624A (en) * 1996-05-01 1999-03-30 Paccar Inc Plug-in mirror
GB9610256D0 (en) 1996-05-16 1996-07-24 Britax Geco Sa Exterior mirror for a vehicle
BR9604028A (pt) 1996-07-30 1999-04-27 Oswaldo Luiz Junior Ravanini Aperfeiçoamento em espelho retrovisor externo reversível
GB9906491D0 (en) * 1999-03-22 1999-05-12 Britax Wingard Ltd Vehicle exterior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8730B1 (en) 2003-06-11
EP1038730A2 (en) 2000-09-27
EP1038730A3 (en) 2001-07-25
US20020075578A1 (en) 2002-06-20
US6609800B2 (en) 2003-08-26
DE60003248T2 (de) 2004-05-06
DE60003248D1 (de) 2003-07-17
GB9906491D0 (en) 1999-05-12
JP2000280824A (ja) 2000-10-10
US6371619B1 (en) 200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2983A (ko) 차량용 외부 미러
US4944695A (en) Connector terminal retaining construction
JP3463636B2 (ja) コネクタ
JP6539634B2 (ja) コネクタ
US5893768A (en) Self-aligning connection system
JPH06310216A (ja) コネクタ
JPH07106033A (ja) 待ち受けコネクタ
GB2398438A (en) Incomplete fitting prevention connector
JPH081856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装置
JP2001260649A (ja) 補器の車体取付用ブラケット
US10859234B2 (en) Lighting unit
JP2000058190A (ja) 雄型コネクタ及び雄型コネクタ用キャップ
AU2003248384B2 (en) Bracket Coupling Structure
US20010005642A1 (en) Modular connector fitting structure
US9099801B2 (en) Short circuit protection for electric cigar lighter and power outlet sockets
JP2000260519A (ja) 雄型コネクタ
JP2000150076A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JP2002151211A (ja) コネクタのパネル取付構造
JPH08148218A (ja) グロメットの位置決め構造及び逆付け検知機構
US20040175987A1 (en) Connector structure
JP2002270294A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US6568749B2 (en) Bracket attached to vehicle body
JP3171064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KR100320847B1 (ko) 자동차용 이그니션 스위치와 캠 샤프트의 조립구조
KR100482152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