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283A -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신경전달물질기능의조절자로서의용도 - Google Patents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신경전달물질기능의조절자로서의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283A
KR20000062283A KR1019997005678A KR19997005678A KR20000062283A KR 20000062283 A KR20000062283 A KR 20000062283A KR 1019997005678 A KR1019997005678 A KR 1019997005678A KR 19997005678 A KR19997005678 A KR 19997005678A KR 20000062283 A KR20000062283 A KR 20000062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lower alkyl
salt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에이치. 메리만
바바라 에스. 라우크만
Original Assignee
게리 디. 스트리트, 스티븐 엘. 네스비트
훽스트 마리온 로우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리 디. 스트리트, 스티븐 엘. 네스비트, 훽스트 마리온 로우셀, 인크. filed Critical 게리 디. 스트리트, 스티븐 엘. 네스비트
Publication of KR2000006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 및 화학식Ⅰ{식중, X 및 Y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저급알콕시, 아실, 히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수소이고,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 -(CH2)NHR1, 화학식 a 및 화학식 b(여기서 R1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Z은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저급 알콕시 또는 아실이고, m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s는 1 또는 2의 정수임)임}의 관련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산 부가염 및 존재하는 그의 광학 이성질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세로토닌계 및 아드레날린계와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자로서 유용하며, 항우울제 및 도파민 기능으로서 유용하고, 도파민성 활성의 상승작용이 도움이 될수 있는 질환, 예를 들면 파킨슨 질환에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신경전달물질 기능의 조절자로서의 용도 {3-Aryl-2-(1-Substituted-4-Piperidinyl)-1(1-Di)Oxo-3H-Benzo[D]-Isothizol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Neurotransmitter Function}
우리가 아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직까지 설명되거나 제안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식중, X 및 Y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아릴저급알콕시, 아실, 히드록시, 니트로, 저급알킬,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수소이고,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 -(CH2)m-NHR1,
이며,
여기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및 아실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m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Z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실이고, s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주어진 화학식 또는 화학명은 존재하는 모든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화합물(Ⅰ)의 바이오-전구체 및 그의 대사물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바이오-전구체"는 인간과 같은 포유류의 몸안으로 도입될 때 예를 들면 섭취될 때,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화합물 Ⅰ로 전환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그러한 바이오-전구체의 예에는 전구의약으로 공지된 유형의 화합물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정의에서, 용어 "저급"은 탄소수 1 내지 6의 기를 설명한다. 용어 "알킬"은 불포화가 아닌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2-부틸, 네오펜틸, n-헥실 등을 가리키고, 용어 "알콕시"는 자유 원자가 결합을 갖는 에테르 산소를 통해 에테르 산소로 부터, 결합된 알킬기로 이루어진 일가의 치환체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펜톡시를 가리키고, 용어 "아릴"은 화학식(식중, Q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아실, CF3, NH2이고, t는 1 내지 3의 정수임)의 페닐기를 가리키고, 용어 "아릴저급알킬"은 저급 알킬렌기의 탄소로부터 자유 원자가 결합을 갖는 저급알킬렌 기를 통해 결합된 아릴기, 예를 들면 페닐, o-톨릴, m-메톡시페닐 등으로 이루어지고 화학식(식중, Q 및 t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의 구조를 갖는 일가의 치환체를 가리키며, 용어 "알킬렌"은 두개의 말단 탄소로 부터 원자가 결합을 가짐으로 부터 유도된 저급 분지쇄 또는 비분지쇄 알킬기의 2가의 라디칼, 예를 들면 에틸렌 (-CH2CH2-), 프로필렌 (-CH2CH2CH2-), 이소프로필렌 (-CH(CH3)CH2-) 등을 가리키고, 용어 "아실"은 화학식 -C(=O)R2(식중, R2는 아릴 또는 저급알킬임)을 갖는 치환체를 가리키고,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 이루어진 군을 가리킨다.
치환체 R, R1, X, Y, Z 및 정수 m, n, p, q, r 및 s가 상기에 정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된다.
하기 화학식 Ⅱ의 화합물이 선택된다.
(식중, Hal은 할로겐이다)
이러한 화합물 Ⅱ은 공지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문헌(Voegel's Textbook of Practical Organic Chemistry 5th Ed.,p.877, 저자: B.S. Furniss, A.J. Hannaford, P.W.G. Smith, A.R. Tatchell)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 Ⅱ는 하기 화학식 Ⅲ의 아민과 반응하여, 하기 화학식 Ⅳ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화합물 Ⅲ은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Crider,A.M., Floss,H.G., Cassady,J.M., Bradner,W.J., J.Med.Chem.(1980), 23(8).848-51)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많은 것이 상업적으로 시판된다. 화합물 Ⅳ을 제조하기 위한 화합물 Ⅱ 와 Ⅲ의 반응은 표준 아실화 반응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반응은 1 내지 5시간 동안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CH2Cl2, CHCl3, 또는 ClCH2CH2Cl와 같은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존재하에서 수행되어 화합물 Ⅳ가 수득된다.
그후, 화합물 Ⅳ은 금속화되고, 하기 화학식 Ⅴ의 알데히드와의 축합 반응에 의하여 화학식 Ⅵ의 화합물이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화합물 Ⅳ은 1 내지 2시간동안 0 내지 25℃의 온도에서 에테르계 용매, 예를 들면 디메톡시에탄(DME) 중에서 적합한 금속화 시약, 예를 들면 n-부틸리튬, s-부틸리튬, t-부틸리튬 등의 존재하에서 화합물 Ⅴ와 반응하여 화합물 Ⅵ을 형성한다.
화합물 Ⅵ에 시클로탈수화 반응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Ⅰ을 형성한다. 전형적으로, 에테르계 용매 예를 들면 THF, Et2O 등 중에서 화합물 Ⅵ에 1 내지 2시간 동안 진한 황산 등과 같은 미네랄산 및 DEAD PPH3와 같은 미쏘노부 시약으로 부터 선택된 통상적인 시클로탈수화제를 처리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Ⅰ을 형성한다.
화합물(Ⅰ)에서 R이 H이면, 이 화합물은 추가로 하기 화학식 Ⅶ의 화합물과 반응될 수 있다.
R1-Hal(Ⅶ)
식중, Hal은 할로겐이고 R1은 수소를 제외한 모든 치환체 R, 예를 들면 저급알킬 등을 포함한다.
반응은 전형적으로 10 내지 20시간 동안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2극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면 DMF, DMSO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반응 조건하에서 수행되어 화합물(Ⅰ)(여기서, R은 R1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화합물은 세로토닌성 및 아드레날린성과 같은 신경전달물질 기능의 조절자로서, 항우울제 및 도파민 기능으로서, 및 도파민 활성의 상승작용이 도움이 될수 있는 질환, 예를 들면 파킨슨 질환에 유용하다.
하기에 설명된 세개의 실험 절차, 즉,
(1) 노르에피네프린(NE) 흡수의 억제,
(2) 세로토닌(5HT) 흡수의 억제, 및
(3) 도파민(DA) 흡수의 억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성질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절차의 설명에 이어, 본 발명의 몇몇 화합물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쥐 전뇌 또는 시상하부 연접부(synaptosome)에서의 [3H]-노르에피네프린 흡수의 억제
목적:
본 분석은 노르에피네프린 흡수를 차단하는 잠재적 항우울제에 대한 생화학적 스크린으로서 사용된다.
서론:
노르에피네프린(NE)에 대한 뉴론의 재흡수 기작은 시냅스 열로부터 신경전달물질을 제거하여 NE를 불활성하는 가장 중요한 생리학적 수단이다(1). NE 흡수는 얇은 조각의, 균질하게 정제된 연접부 제조물을 이용하였을 때, 포화성이고, 입체특이성이며, 고 친화도(Km=10-7-10-6M)의 나트륨 의존적인, 능동 수송계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말초 및 중추인 신경계 조직 양쪽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NE 흡수는 코카인, 펜에틸아민 및 트리시클릭 항우울제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된다(3). 또한, 와바인, 대사 억제제 및 페녹시벤즈아민에 의해 억제된다.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트리시클릭 항우울제에 의한 NE 흡수의 억제는 효과적인 장해의 카테콜라민 가설에서의 중요한 연결고리이다(4). 이러한 일련의 화합물에서, 2차 아민(예를 들면 데시프라민)은 3차 아민(예를 들면 이미프라민)보다 더 활성적이다. 과거에 NE 흡수에 대한 방대한 구조 활성 관계가 연구되었다.
내생의 NE 수준와 관련되는 NE 흡수(7-9)의 큰 국소적 편차가 있다. 시상하부는 높은 수준의 NE 및 가장 큰 흡수를 보여준다. 이러한 부위는 전뇌 제조물에서 활성을 보이는 화합물의 추가의 실험에 사용된다.
연접부의 [3H]-NE 흡수는 병변 실험후의 노르에아드레날린성 신경의 통합성에 대한 유용한 마커일 뿐만 아니라, 재흡수 기작을 차단하여 NE의 작용을 상승시키는 화합물의 분석에 유용하다.
절차
A. 동물: 수컷 CR 위스타 쥐(100-125g)
B. 시약:
1. 크랩스-헨셀레이트 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 pH 7.4(KHBB): 하기 염을 함유하는 1리터의 배치를 제조함.
g/L mM
NaCl 6.92 118.4
KCl 0.35 4.7
MgSO47H2O 0.29 2.2
NHCO3 2.10 24.9
CaCl2 0.14 1.3
사용전 첨가:
덱스트로스 2mg/ml 11.1mM
이프로니아지드 포스페이트 0.30mg/ml 0.1mM
60분 동안 95% O2/ 5% CO2로 통기(通氣)하고, pH(7.4±0.1)을 체크한 후, 소 혈청 알부민(시그마 cat#A-7906) 1mg/ml을 첨가함.
2. 0.32M 수크로스: 21.9g의 수크로스, 200ml로 함.
3. L(-)-노르에피네프린 중주석산염은 시그마 케미칼사로 부터 구입된다. A 0.01N HCl중의 0.1mM 원액을 제조한다. 이것은 방사선 표시된 NE의 비활성을 희석하는데 사용된다.
4. 레보-[고리-2,5,6-3H]-노르에피네프린(40-50 Ci/mmol)이 뉴잉글랜드 뉴클리어사로 부터 구입된다.
분석에서 [3H]-NE의 최종 목적하는 농도는 50nM이다. 희석 배수는 0.8이다. 따라서, KHBB는 62.5 nM[3H]-NE을 함유하도록 이루어진다.
100ml의 KHBB에 첨가한다.
A) 59.4㎕의 0.1mM NE 59.4 nM
B) 0.31nmol의 [3H]-NE 3.1 nM
55.5 nM
* [3H]-NE의 비활성으로 부터 첨가된 부피 계산
5. 대부분의 분석의 경우, 실험 화합물의 1mM 원액을 적합한 용매로 만들고, 분석에서의 최종 농도 범위가 2×10-8내지 2×10-5M이도록 연속적으로 희석한다. 각 분석에 대해 7개의 농도가 사용된다. 화합물의 효능에 따라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C. 조직 제조
수컷 위스타 쥐의 목을 베어 뇌를 신속히 제거한다. 소뇌를 뺀 전체 뇌 또는 시상하부의 무게를 측정하고, 포터-엘베젬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빙냉의 9 부피의 0.32M 수크로스에서 균질화한다. 균질화는 연접부 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간 속도로 4-5 상하왕복으로 수행 한다. TH 균질물을 0 내지 4℃에서 10분 동안 1000g로 원심분리한다. 상징액(S1)을 기울여 따라 흡수 실험에 사용한다.
D. 분석
800㎕의 KHBB[3H]-NE
20㎕의 부형제 또는 적절한 의약 농축물
200㎕의 조직 현탁액
튜브를 37℃에서 95% O2/ 5% CO2분위기 하에서 5분동안 반응시킨다. 각 분석에 대해, 3 튜브를 얼음 조에서 20㎕의 부형제와 함께 0℃에서 반응시킨다. 반응후 즉시 모든 튜브를 10분 동안 4000g로 원심분리한다. 상징액을 흡인한 후 1ml의 가용화제(트리톤 X-100 + 50% EtOH, 1:4 v/v)를 첨가하여 펠렛을 용해시킨다. 튜브를 격렬히 볼텍싱하고, 신틸레이션 병에 옮겨, 10ml의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칵테일에서 계수한다. 흡수 활성은 37℃ 및 0℃에서 cpm(계수/분)의 차이다. 각 의약 농도에서 억제 백분율은 세 측정치의 평균이다. IC50수치는 로그-프로비트 분석으로부터 유도된다.
쥐 전뇌 연접부에서의 [3H]-세로토닌 흡수의 억제
목적:
본 분석은 항우울제 및 강박 반응 장해와 같은 성격 장해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는 세로토닌(5HT) 흡수를 차단하는 화합물에 대한 생화학적 스크린으로 사용된다.
서론:
아스버그 및 그 일행들은 세로토닌성 기능감퇴가 있는 환자가 우울증 환자의 생화학적 군을 포함한다고 제안했고(1), 변경된 세로토닌성 기능이 정서적인 장해와 관련된 기분 변화를 결정한다는 주장도 있다(2). 우울증의 병인학에서 5HT의 역할은 명확하지 않지만, 수많은 항우울제가 5HT 재흡수 기작을 차단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시험관내의 수용기 결합 분석은 [3H]-이미프라민이 5HT 흡수부위를 표지하는 것을 나타냈다(10). 트라조돈 및 지멜리딘은 5HT 흡수에 상당히 선택적인 효과(4,5)가 있는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항우울제이다(3). 더욱 최근에, 플루오크세틴이 선택적이고 효능있는 5HT 흡수 억제제라는 것이 밝혀졌다.
[3H]-5HT 수송은 CNS조직(6,7)에서의 특징이며, 포화성으로, 나트륨- 및 온도-의존적이고, 와바인, 대사 억제제, 트립타민 유사체(8) 및 트리시클릭 항우울제 (3차 아민 〉〉 2차 아민)(9)에 의해 억제된다는 것이 밝혀 졌다. 후자의 발견은 카테콜라민 흡수로 부터 5HT 흡수를 차별화한다. [3H]-5HT 흡수는 또한 세로토닌 신경 말단에 대한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절차
A. 동물: 수컷 CR 위스타 쥐(100-125g)
B. 시약:
1. 크랩스-헨셀레이트 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 pH 7.4(KHBB): 하기 염을 함유하는 1리터의 배치를 제조함.
g/L mM
NaCl 6.92 118.4
KCl 0.35 4.7
MgSO47H2O 0.29 1.2
KH2PO4 0.16 2.2
NaHCO3 2.10 24.9
CaCl2 0.14 1.3
사용전 첨가:
덱스트로스 2mg/ml 11.1mM
이프로니아지드 포스페이트 0.30mg/ml 0.1mM
60분 동안 95% O2/ 5% CO2로 통기하고, pH(7.4±0.1)을 체크함.
2. 0.32M 수크로스: 21.9g의 수크로스, 200ml로 함.
3. 세로토닌 크레아티닌 SO4는 시그마 케미칼사로 부터 구입된다. 0.01N HCl 중의 0.1mM 원액을 제조한다. 이것을 방사성 표지된 5HT의 비활성을 희석하는데 사용한다.
4. 5-[1,2-3H(N)]-히드록시트립타민 크레아티닌 술페이트(세로토닌) (비활성 20-30 Ci/mmol)을 뉴잉글랜드 뉴클리어사로부터 구입한다.
분석에서 [3H]-5HT의 최종 목적하는 농도는 50nM이다. 희석 배수는 0.8이다. 따라서, KHBB는 62.5 nM[3H]-HT를 함유하도록 이루어진다.
100ml의 KHBB에 첨가한다.
A) 56.1㎕의 0.1mM 5HT 56.1 nM
*B) 0.64nmol의 [3H]-5HT 6.4 nM
62.5 nM
* [3H]-5HT의 비활성으로 부터 첨가된 부피 계산
5. 대부분의 분석에 대해, 실험 화합물의 1mM 용액이 적합한 용매로 이루어지고, 분석에서 최종 농도 범위가 2×10-8내지 2×10-5M이도록 연속적으로 희석된다. 7개의 농도가 각 분석에 대해 사용된다. 화합물의 효능에 따라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C. 조직 제조
수컷 위스타 쥐의 목을 베어 뇌를 신속히 제거한다. 소뇌를 뺀 전뇌의 무게를 측정하고 포터-엘베젬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9 부피의 빙냉의 0.32M 수크로스로 균질화한다. 균질화는 연접부 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간 속도로 4-5 상하왕복으로 수행한다. 균질물을 0 내지 4℃에서 10분 동안 1000g로 원심분리한다. 상징액(S1)은 기울여 따라 흡수 실험에 사용한다.
D. 분석
800㎕의 KHBB +[3H]-5HT
20㎕의 부형제 또는 적절한 의약 농축물
200㎕의 조직 현탁액
튜브를 95% O2/ 5% CO2분위기 하에서 37℃로 5분동안 반응시킨다. 각 분석의 경우, 3 튜브가 얼음 조에서 20㎕의 부형제와 함께 0℃에서 반응시킨다. 반응후 즉시 모든 튜브를 10분 동안 4000g로 원심분리한다. 상징액을 흡인한 후 1ml의 가용화제(트리톤 X-100 + 50% EtOH, 1:4 v/v)를 첨가하여 펠렛을 용해시킨다. 튜브를 격렬히 볼텍싱하고, 신틸레이션 병에 옮겨, 10ml의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칵테일에서 계수한다. 흡수 활성은 37℃ 및 0℃에서의 cpm(계수/분)의 차이다. 각 의약 농도에서 억제 백분율은 세 측정치의 평균이다. IC50수치는 로그-프로비트 분석으로부터 유도된다.
쥐 선조(線條) 연접부에서 [3H]-도파민 흡수의 억제
목적:
본 분석은 도파민 흡수 대 네르에피네프린 흡수에 대한 상이한 의약 효과를 나타내고, 도파민 활성의 상승작용이 도움이 될 수 있는 질환(예를 들면, 파킨슨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서론:
고 친화성, 포화성, 온도- 및 나트륨-의존적인3H-DA 흡수의 수송은 코카인, 펜에틸아민 및 와바인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되지만, NE와 달리 트리시클릭 항우울제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되지 않는다(3). DA 흡수를 억제하는 유일한 항우울제는 노미펜신(4) 및 부프로피온(5)이다. 이들 화합물의 효능에 대한 DA 흡수 관계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코일 및 스나이더(6)는 d- 또는 l-암페타민에 의한 DA 흡수의 억제에 입체 선택성이 없음을 보고하였지만, 다른 연구자에 의해 형태 선택성(고시형 〉 안티형)이 밝혀졌다.
몇몇 저자는 몇몇 화합물에 의한3H-아민 축적 효과의 적어도 일부는 직접적인 방출 활성때문이라는 것을 보고하였다(4,8,9). 그러나, 이들 보고서에는 불일치한 점이 있다. 방출에 대한 효과로 부터 흡수에 대한 효과를 구별하기 위해서, 직접적인 방출 효과가 별도의 실험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라이테리 등(10)에 의해 설명된 초융합 기법이다. 이것은 생체외 임의의 물질의 흡수를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인 고려이지만, 도파민 흡수에 강조된다.
3H-DA 흡수는 특히 병변 실험에 관련하여 도파민 신경 말단에 대한 또한 생화학적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절차
A. 동물: 수컷 CR 위스타 쥐(100-125g)
B. 시약:
1. 크랩스-헨셀레이트 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 pH 7.4(KHBB): 하기 염을 함유하는 1리터의 배치를 제조함.
g/L mM
NaCl 6.92 118.4
KCl 0.35 4.7
MgSO47H2O 0.29 1.2
KH2PO4 0.16 2.2
NaHCO3 2.10 24.9
CaCl2 0.14 1.3
사용전 첨가:
덱스트로스 2mg/ml 11.1
이프로니아지드 포스페이트 0.30mg/ml 0.1
60분 동안 95%O2/ 5%CO2로 통기하고, pH(7.4±0.1)을 체크함.
2. 0.32M 수크로스: 21.9g의 수크로스, 200ml로 함.
3. 도파민 HCl은 시그마 케미칼사로 부터 구입한다. 0.01N HCl중의 0.1mM 원액을 제조한다. 이것은 방사성 표지된 5HT의 비활성을 희석하는데 사용된다.
4. 3,4-[8-3H(N)]-디히드록시페닐에틸아민(도파민) (비활성 4-34 Ci/mmol)을 뉴잉글랜드 뉴클리어사로부터 구입한다.
분석에서 [3H]-DA의 최종 목적하는 농도는 50nM이다. 희석 배수는 0.9이다. 따라서, KHBB는 55.5 nM[3H]-DA를 함유하도록 이루어진다.
100ml의 KHBB에 첨가함.
A) 50㎕의 0.1mM DA 50 nM
*B) 0.55nmol의3HDA 5.5 nM
55.5 nM
* [3H]-5DA의 비활성으로 부터 첨가된 부피 계산
5. 대부분의 분석의 경우, 실험 화합물의 1mM 원액이 적합한 용매로 이루어지고, 분석에서 최종 농도 범위가 2×10-8내지 2×10-5M이도록 연속적으로 희석된다. 7개의 농도가 각 분석에 대해 사용된다. 화합물의 효능에 따라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C. 조직 제조
수컷 위스타 쥐의 목을 베어 뇌를 신속히 제거한다. 선조를 신속히 제거하여, 칭량하고, 포터-엘베젬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9 부피의 빙냉의 0.32M 수크로스로 균질화한다. 균질화는 연접부 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간 속도로 4-5 상하왕복으로 수행한다. 균질물을 0 내지 4℃에서 10분 동안 1000g로 원심분리한다. 상징액(S1)은 기울여 따라 흡수 실험에 사용한다.
D. 분석
900㎕의 KHBB +[3H]-DA
20㎕의 부형제 또는 적절한 의약 농축물
100㎕의 조직 현탁액
튜브를 95% O2/ 5% CO2분위기 하에서 37℃로 5분동안 반응시킨다. 각 분석의 경우, 3 튜브를 얼음 조에서 20㎕의 부형제와 함께 0℃에서 반응시킨다. 반응후 즉시 모든 튜브를 10분 동안 4000g로 원심분리한다. 상징액을 흡인한 후 1ml의 가용화제(트리톤 X-100 + 50% EtOH, 1:4 v/v)를 첨가하여 펠렛을 용해시킨다. 튜브를 격렬히 볼텍싱하고, 신틸레이션 병에 옮겨, 10ml의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칵테일에서 계수된다. 흡수 활성은 37℃ 및 0℃에서 cpm(계수/분)의 차이다. 각 의약 농도에서 억제 백분율은 세 측정치의 평균이다. IC50수치는 로그-프로비트 분석으로부터 유도된다.
화합물 3.16㎛에서 전체 뇌 연접부% 억제
NE 5HT DA
2-(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프로필)이소인돌-1,3-디온말레이트 28.37 29.02 57.36
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틸렌 말레이트 8.71 3.68 18.71
1-[4-(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1-피페리딘-1-일)-프로폭시-3-메톡시페닐]-에틸렌 말레이트 55.23 48.78 67.94
3-(4-플루오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5.02 37.92 30.34
항우울제 활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그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일일 신체 중량의 kg당 0.1 내지 50mg으로 경구, 비경구 또는 정맥내 유효 투여량으로 투여될 때 달성된다. 이 범위내의 바람직한 유효 투여량은 일일 신체 중량의 kg당 약 0.1 내지 5mg이다. 특히, 바람직한 유효량은 일일 신체중량의 kg당 1mg이다. 그러나, 어떠한 특정 환자의 경우, 개인의 필요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거나 투여를 감독하는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구체적인 투여 양생법은 조정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투여량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수행을 결코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항-파킨슨 질환 활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그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일일 신체 중량의 kg당 0.1 내지 50mg의 경구, 비경구 또는 정맥내 유효 투여량으로 투여될 때 달성된다.
이 범위내의 바람직한 유효 투여량은 일일 신체 중량의 kg당 약 0.1 내지 5mg이다. 특히 바람직한 유효량은 일일 신체중량의 1kg당 1mg이다. 그러나, 어떠한 특정 환자의 경우, 개인의 필요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하거나 투여를 감독하는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구체적인 투여 양생법은 조정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기재한 투여량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수행을 결코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켑슐 또는 정제와 같은 경구적으로,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및 어떤 경우에는, 멸균 용액의 형태로 정맥내로의 여러 방법중 하나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 자체로 효과적이지만, 안정성, 결정화의 편리성, 용해도의 증가 등의 목적을 위해 제약상 허용되는 산용액 염의 형태로 제조되고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에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뿐만 아니라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숙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 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젤라틴 켑슐내에 포함되거나 정제로 압축될 수 있다. 경구적 치료 투여의 경우, 본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되어 정제, 트로키, 켑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추잉 검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4%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인 활성 성분을 함유해야 하지만, 특정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통상적으로 단위 중량의 4% 내지 약 70%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투여량이 얻어지는 양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 및 제형는 경구 투여 제형이 5.0-300 밀리그램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함유하도록 제조된다.
정제, 환제, 켑슐, 트로키 등은 또한 하기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미정질의 셀룰로스, 검 트라가칸트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전분 또는 락토스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프리모겔,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붕해제, 망간 스테아레이트 또는 스테로텍스와 같은 윤활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와 같은 활주제,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및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 향미제와 같은 향미제가 첨가될 수 있다. 투여 단위 형태가 켑슐일때, 상기 유형의 물질 이외에, 지방 오일과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투여 단위 형태는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하는 다른 다양한 물질, 예를 들면 도포액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또는 환제는 설탕, 셸락 또는 다른 장용 피복제로 피복될 수 있다. 본 화합물 이외에, 시럽은 감미제로서 수크로스 및 특정 방부제, 염료 및 착색 및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제약상 정제되고 사용되는 양이 무독성이어야 한다.
비경구적 치료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혼입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0.1%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해야 하지만, 그 중량의 0.1 내지 약 50%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투여량이 얻어지는 양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 및 제형은 비경구적 투여 단위가 5.0 내지 100밀리그램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도록 제조된다.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하기 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주사용 물, 식염 용액, 비휘발성 기름,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른 합성 용매와 같은 멸균 희석제;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과 같은 항균제, 아스코르브산 또는 중아황산 나트륨과 같은 산화방지제;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과 같은 킬레이트제,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완충제; 및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와 같은 등장성 조절 작용제. 상기 비경구적 제형은 앰풀제, 1회용 주사기 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중 투여 병에 포함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다. 표 2에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이 나타나 있다. 표 2에 이어서, 본 발명 화합물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실시예 1〉
N-(1-벤질피페리딘-4-일)벤젠술폰아미드
150ml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10.0g(52.6mmol)의 4-아미노-1-벤질-피페리딘의 용액에 1.36g(53mmol)의 벤젠 술포닐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500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5%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였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16.6g의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2〉
2-(1-벤질피페리딘-4-일)-3-(4-클로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0℃에서 300ml의 디메톡시에탄 중의 19.16g(58.1mmol)의 N-(1-벤질피페리딘-4-일)-벤젠 술폰아미드 용액에 첨가 깔대기를 통해 46.4ml(116.1mmol)의 n-부틸리튬(2.5M)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오버헤드 교반기를 사용하여 0℃에서 45분 동안 교반한 후, 9.61g(63.9mmol)의 p-클로로벤즈알데히드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 리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2×500ml의 물로 세척한 후 이어서 500ml의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300g의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헵탄=2:1으로 용출)하여 오렌지 페이스트로서 17.3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언급된 잔류물을 실온에서 40ml의 진한 황산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상에 붓고, 고상 침전물을 모았다. 침전물을 200ml의 5%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및 25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2×200ml의 물로 세척하고 이어서 200ml의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00g의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헵탄=1:1으로 용출)하여 7.42g(28%)의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융점 174-175℃
〈실시예 3〉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반수화물
질소하의 0℃에서 50ml의 디클로로에탄 중의 실시예 6(a)의 2-(1-벤질피페리딘-4-일)-3-(4-클로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7.25g, 16mmol) 용액에 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1.9ml, 17.6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고, 그 후 30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고, 30℃에서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이어서 실리카겔 상에서 헵탄:에틸아세테이트(1:1)로 용출시키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수득된 중간체를 10분 동안 메탄올 중에서 가열하고, 냉각하고 여과하여 5.35g(84% 수율)의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유사한 제조로 부터 생성된 4.1g과 합하여 CH2Cl2으로 부터 재결정화하여 염산염으로서 9.0g(77.5% 수율)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융점 〉285℃
분석
C18H19ClN2O2S-HCl-0.5H2O에 대한 이론치 52.95% C 5.18% H 6.86% N
실측치 53.26% C 5.20% H 6.82% N
〈실시예 4〉
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탄올 말레이트
20ml의 디메틸포름마미드 중의 2.0g(5.01mmol)의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딘-일)-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반수화물[실시예 1(a)]의 용액에 930mg(7.5mmol)의 2-브로모에탄올을 첨가하고 이어서 2.7g(20.0mmol)의 탄산 칼륨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온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CHCl3:MeOH=1:6으로 용출)하여 823mg의 아미노 알코올을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20ml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유리 아민의 용액에 235mg(2.03mmol)의 말레산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진공중에서 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980mg(37%)의 말레산염 염을 고형물로 수득하였다. 융점 182-184℃
분석
C20H23ClN2O3S-C4H4O4에 대한 이론치 55.12% C 5.20% H 5.36% N
실측치 54.97% C 4.94% H 5.24% N
〈실시예 5〉
2-(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프로필)-이소인돌-1,3-디온 말레이트
10ml의 디메틸포르마미드 중의 2.30g(5.76mmol)의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딘-일)-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반수화물의 용액에 1.70g(6.34mmol)의 N-(3-브로모프로필)-프탈이미드를 첨가하고 이어서 2.38g(17.28mmol)의 탄산칼륨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였고, Mg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여 1.93g의 유상의 고형물를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10ml의 에틸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0.5ml의 진한 염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켰다. 염산염을 디에틸에테르로 침전시켜서 2.34g(69%)의 생성물을 고형물로 수득하였다.
200ml의 에틸아세테이트 중의 1.77g(3.0mmol)의 염산염 용액을 200ml의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고 이어서 200ml의 물 및 200ml의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20ml의 에틸아세테이트 중의 잔류물의 용액에 371mg(3.2mmol)의 말레산을 첨가하였다. 혼
합물을 가온 한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 시클로헥산 (1:10)로 재결정화하여 1.95g(97%)의 말레산염을 고형물로 수득하였다. 융점 191-192℃
분석
C33H32ClN3O8S에 대한 이론치 59.50% C 4.84% H 6.15% N
실측치 59.22% C 4.57% H 6.15% N
〈실시예 6〉
2-(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이소인돌-1,3-디온 말레이트
20ml의 디메틸포르마미드 중의 실시예 6(b)의 2.00g(5.0mmol)의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용액에 N-(2-브로모에틸)-프탈이미드(1.5g, 6.0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탄산칼륨(2.1g, 15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교반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 : 헵탄 = 1:1으로 용출)하여 1.05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20ml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1당량의 말레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재결정화하여 0.48g(15% 수율)의 말레산염을 고형물로 수득하였다. 융점 189-191℃
분석
C28H26ClN3O4S-C4H4O7에 대한 이론치 58.94% C 4.64% H 6.44% N
실측치 58.85% C 4.65% H 6.31% N
〈실시예 7〉
1-[4-(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1-피페리딘-1-일}-프로폭시)-3-메톡시페닐]-에탄온 말레이트
15ml의 디메틸포름마미드 중의 실시예 1(a)의 2.0g(5.0mmol)의 3-(4-클로로페닐)-2-피페리딘-4-일-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용액에 1.24g(5.1mmol)의 4-(3-클로로프로폭시)-3-메톡시 아세토페논을 첨가하고 이어서 2.0g(15mmol)의 탄산칼륨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15시간 동안 가온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1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이어서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여 2.10g의 생성물을 페이스트로 수득하였다.
20ml의 에틸아세테이트 중의 유리 아민의 용액에 425mg(3.89mmol)의 말레산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천천히 가온하면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말레산염을 침전시켜 2.34g의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고형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1.62g(47%)의 생성물을 고형물로 수득하였다. 융점 141-145℃
분석
C30H33ClN2O5S-C4H4O4에 대한 이론치 59.60% C 5.44% H 4.09% N
실측치 59.53% C 5.45% H 3.99% N
〈실시예 8〉
2-(1-벤질피페리딘-4-일)-3-(4-플루오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상기 실시예 1의 N-(1-벤질피페리딘-4-일)벤젠술폰아미드 및 210ml의 디메톡시에탄의 용액을 N2하에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15℃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5분 동안 2.3당량의 n-부틸리튬(52ml, 2.5N/헥산, 130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기계적으로 35분 동안 더 교반한 후, 50ml의 디메톡시에탄 중의 4-플루오르벤즈알데히드(7.4g, 59mmol)을 5℃에서 첨가하였고, 반응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에테르(400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물 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CHCl3에서 CHCl3:5% MeOH으로 용출)하여 11.85g(46% 수율)의 중간체를 발포제로서 수득하였다.
대부분의 중간체(10.85g)가 35ml의 진한 황산 중에 용해될 때 까지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후 얼음 상에 붓고 생성된 고형물을 여과하였다. 고형물을 pH 10까지 에틸아세테이트 및 5% 수산화 나트륨 용액으로 분배하고, 유기 층을 MgSO4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것을 CHCl3:1% 메탄올으로 용출시키는 실리카겔 상에서 정제하고 그 후 에테르로 재결정하여 4.9g(24% 수율)의 생성물을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118-119℃
분석
C25H25FN2O2S에 대한 이론치 68.78% C 5.77% H 6.42% N
실측치 68.75% C 5.67% H 6.37% N
〈실시예 9〉
3-(4-플루오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질소하의 5℃에서 80ml의 디클로로에탄 중의 실시예 8의 2-(1-벤질피페리딘-4-일)-3-(4-플루오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8.5g, 19.4mmol) 용액에 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2.3ml, 21.4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 시간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가온한 후 30-35℃에서 진공중에 오일로 농축시키고, 오일을 CHCl3에서 CHCl3:2% 메탄올로 용출시키는 실리카겔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수득된 중간체를 1시간 동안 메탄올에서 가열하고, 증발시켜 에틸아세테이트에 현탁하여 5.4g(72% 수율)의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메탄올로 재결정화하여 3.4g(45.5% 수율)의 생성물을 염산염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271-272℃
분석
C18H19FN2O2SHCl에 대한 이론치 56.47% C 5.27% H 7.32% N
실측치 56.28% C 5.13% H 7.16% N

Claims (50)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존재하는 그의 광학 이성질체.
    식중, X 및 Y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저급알콕시, 아실, 히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수소이고,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 -(CH2)NHR1,이고, 여기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Z은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아실이고, m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s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이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또는 -(CH2)NHR1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이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2-(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프로필)-이소인돌-1,3-디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탄올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1-{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1-피페리딘-1-일}-프로폭시-3-메톡시페닐]-에탄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2-(1-벤질피페리딘-4-일)-3-(4-플루오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3-(4-플루오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산염인 화합물.
  13. 제1항에 있어서,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산염 반수화물인 화합물.
  15. 제1항에 있어서, 2-(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틸)이소인돌-1,3-디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화합물.
  17. 항우울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또는 존재하는 그의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항우울제 조성물.
    식중, X 및 Y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저급알콕시, 아실, 히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수소이고,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 -(CH2)NHR1,이고, 여기서 R1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Z은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또는 아실이고, m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s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18. 제17항에 있어서, R이 수소, 저급 알킬 및 아릴저급알킬인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R이 수소, 저급알킬,인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프로필)-이소인돌-1,3-디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말레산염인 조성물.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탄올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조성물.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프로폭시-3-메톡시페닐]-에탄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조성물.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1-벤질피페리딘-4-일)-3-(4-플루오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3-(4-플루오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조성물.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산염 반수화물인 조성물.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틸)이소인돌-1,3-디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조성물.
  3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조성물.
  33. 항우울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존재하는 그의 광학 이성질체를 그를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우울증 감소 방법.
    식중, X 및 Y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저급알콕시, 아실, 히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수소이고,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 -(CH2)NHR1,
    이고, 여기서 R1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Z은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또는 아실이고, m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s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34. 제33항에 있어서, R이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또는 -(CH2)NHR1인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R이인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3-[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프로필)-이소인돌-1,3-디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방법.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탄올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방법.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1-피페리딘-1-일}-프로폭시-3-메톡시페닐]-에탄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방법.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1-벤질피페리딘-4-일)-3-(4-플루오로페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3-(4-플루오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4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산염인 방법.
  4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3-(4-클로로페닐)-2-(4-피페리디닐)-2,3-디히드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4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염산염 반수화물인 방법.
  4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2-(2-{4-[3-(4-클로로페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틸)이소인돌-1,3-디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4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말레산염인 방법.
  49. 항우울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존재하는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항-파킨슨 질환 조성물.
    식중, X 및 Y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저급알콕시, 아실, 히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수소이고,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CH2)m-OR1, -(CH2)NHR1,
    이고, 여기서 R1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저급알킬, 아실 또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Z은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또는 아실이고, m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s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50. 항-파킨슨 질환 유효량의 제49항의 화합물을 그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파킨슨 질환의 치료 방법.
KR1019997005678A 1996-12-23 1997-11-13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신경전달물질기능의조절자로서의용도 KR20000062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486696A 1996-12-23 1996-12-23
US8/774,866 1996-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283A true KR20000062283A (ko) 2000-10-25

Family

ID=2510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678A KR20000062283A (ko) 1996-12-23 1997-11-13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신경전달물질기능의조절자로서의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956287B1 (ko)
JP (1) JP3282827B2 (ko)
KR (1) KR20000062283A (ko)
AR (1) AR009440A1 (ko)
AT (1) ATE247111T1 (ko)
AU (1) AU716689B2 (ko)
BR (1) BR9714432A (ko)
CA (1) CA2273181C (ko)
DE (1) DE69724148T2 (ko)
DK (1) DK0956287T3 (ko)
ES (1) ES2200205T3 (ko)
HU (1) HUP9904071A3 (ko)
IL (1) IL130605A0 (ko)
NO (1) NO993085L (ko)
PT (1) PT956287E (ko)
WO (1) WO1998028295A1 (ko)
ZA (1) ZA9711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3351B1 (it) * 2009-03-16 2012-04-20 Eos Ethical Oncology Science Spa In Forma Abbreviata Eos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ella 6-(7-((1-amminociclopropil)metossi)-6-metossichinolin-4-ilossi)-n-metil-1-naftammide e suoi intermedi di sintesi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9797C2 (de) * 1975-03-06 1985-07-18 Dr. Karl Thomae Gmbh, 7950 Biberach Phthalimidine, deren physiologisch verträgliche Säureadditionssal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AT345806B (de) * 1975-03-06 1978-10-10 Thomae Gmbh Dr K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substituierter arylalkylamine und deren salze
EP0429341A3 (en) * 1989-11-20 1991-11-13 Rhone-Poulenc Sante Heterocyclic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s containing them
FR2662696A2 (fr) * 1989-12-13 1991-12-06 Rhone Poulenc Sante Antagonistes de la serotonine, leur preparation et medicaments les contenant.
US5567718A (en) * 1994-08-11 1996-10-22 Hoechst Marion Roussel Inc. 2,3-dihydro-1h-isoind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358898A (en) 1998-07-17
JP2001520641A (ja) 2001-10-30
PT956287E (pt) 2003-11-28
AR009440A1 (es) 2000-04-12
AU716689B2 (en) 2000-03-02
HUP9904071A2 (hu) 2000-05-28
JP3282827B2 (ja) 2002-05-20
DK0956287T3 (da) 2003-11-24
NO993085D0 (no) 1999-06-22
IL130605A0 (en) 2000-06-01
EP0956287B1 (en) 2003-08-13
HUP9904071A3 (en) 2000-07-28
BR9714432A (pt) 2000-05-02
WO1998028295A1 (en) 1998-07-02
EP0956287A1 (en) 1999-11-17
NO993085L (no) 1999-08-20
CA2273181C (en) 2004-01-20
ES2200205T3 (es) 2004-03-01
CA2273181A1 (en) 1998-07-02
ZA9711337B (en) 1998-06-23
DE69724148T2 (de) 2004-06-09
ATE247111T1 (de) 2003-08-15
DE69724148D1 (de) 200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8472B1 (en) NPY antagonists: spiroisoquinolinone derivatives
US7012085B2 (en) 1,3 disubstituted pyrrolidines as α-2-adrenoceptor antagonists
EP1499589B1 (fr) Derives de n-¬phenyl(piperidin-2-yl)methyl|benzamid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8273733B2 (en) Tetrahydroisoquinoline sulfonamide derivatives,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of the same in therapeutics
CZ197498A3 (cs) Fenyl- a aminofenyl-alkylsulfonamidové a močovinové deriváty
KR19990072616A (ko) 심부전증치료용약학조성물
EP0694536A1 (fr) Dérivés de 1-benzyl-1,3-dihydro-2H-benzimidazol-2-one, leur pré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EP0090733A1 (fr) Polyméthylènes-imines disubstituées, leurs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CA2065986C (en) 1-(pyrido[3,4-b]-1,4-oxazinyl-4-yl)-1h-indoles, intermediat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EP0846688B1 (fr) Nouveaux dérivés de l'imidazoline ayant une affinité pour les récepteurs aux imidazolines
EP1960387B1 (fr) Derives de isoquinoline et benzo[h]isoquinolin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herapeutique en tant qu antagonistes du recepteur de l histamine h3
EP0841330B1 (fr) Nouveaux dérivés aminométhyl hétérocycliqu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US5972963A (en) 3-aryl-2-(1-substituted 4-piperidinyl)-1,1-dioxo-3H-benzo[D]isothiazoles and related compounds
US20060106106A1 (en) Beta-hydroxyphenylalkylamines and their use for treating glaucoma
US6342498B1 (en) Arylpiperazines as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5-HT1Dα antagonists
KR20010043546A (ko) 도파민 수용체로서 유용한 페닐술폰아미드-페닐에틸아민
KR20000062283A (ko) 3-아릴-2-(1-치환된-4-피페리디닐)-1(1-디)옥소-3H-벤조[d]-이소티아졸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신경전달물질기능의조절자로서의용도
US6806283B2 (en) Selective serotonin receptor antagonist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of
KR20010024766A (ko) 1,4-디아자시클로헵탄 유도체
KR20040095329A (ko) 2-페닐벤조티아졸린 유도체로 이루어진 κ- 아편양 수용체작용약
US5472966A (en) Antidepressant heteroarylaminoalkyl derivatives of naphthyl-monazines
US4304790A (en) 2-(Alkylthio, alkylsulfinyl or alkylsulfonyl)-4-[2-anilinoalkylamino)-1-hydroxyethyl]phenols and derivatives thereof
FR2809725A1 (fr) Propanolaminotetralines,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contenant
US6458821B1 (en) N-substituted azabicycloheptane derivatives,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H09100418A (ja) 蛍光発現基を有するベンゾチアジ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