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492A -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 Google Patents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492A
KR20000061492A KR1019990010556A KR19990010556A KR20000061492A KR 20000061492 A KR20000061492 A KR 20000061492A KR 1019990010556 A KR1019990010556 A KR 1019990010556A KR 19990010556 A KR19990010556 A KR 19990010556A KR 20000061492 A KR20000061492 A KR 2000006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information
signal
audio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득
Original Assignee
이준욱
주식회사 대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욱, 주식회사 대양이앤씨 filed Critical 이준욱
Priority to KR101999001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1492A/ko
Publication of KR2000006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4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2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non-picture data, e.g. of text during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frame
    • H04N7/035Circuits for the digital non-picture data signal, e.g. for slicing of the data signal, for regeneration of the data-clock signal, for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VCR 또는 공중파 방송으로부터 입력되는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재생하는 디코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캡션 정보를 추출하는 캡션 디코더부(11)와; 상기 캡션 디코더부(11)로부터 출력되는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3)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캡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저장부(15)와; 상기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복조부(15)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압축하는 음성신호처리부(17)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제 2저장부(18)와; 상기 변복조부(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9)와; 상기 변환부(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부(20)와; 상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자막과 음성만 재생하고 영상을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수시로 반복 재생할 수 있어서 특히 어학 학습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어느 곳에서도 이를 사용할 수 있고,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이를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Apparatus for Decording Caption/Audio Information}
본 발명은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캡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캡션 정보를 LCD와 같은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음성을 재생하고, 필요에 따라 이 정보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수시로 반복 재생할 수 있는 캡션 디코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장치는 대사를 자막으로 가시화하여 볼 수 있어 특히 외국어 학습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캡션/오디오 디코더 장치는 통상 TV 또는 VCR로부터 캡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아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항상 TV 또는 VCR과 유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TV수상기나 또는 VCR 등에 연결하여 캡션/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처리하여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면서 음성을 재생하며, 이 때 이들 신호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신호를 수시로 반복 재생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캡션 및 오디오 신호 처리하고 이 신호를 재생 및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휴대하면서 수시로 반복 재생할 수 있는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캡션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저장할 때 동기화 신호를 합성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들 신호를 재생할 때 동기화 신호에 따라 재생하는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오디오 정보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디코딩부 12: 제어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제 1 저장부
15: 키 입력부 16: 변복조부
17: 음성신호처리부 18: 제 2 저장부
19: D/A변환부 20: 음성증폭부
21: 음성출력부 22: 튜너
23: 중간주파회로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캡션 정보를 추출하는 캡션 디코더부와; 상기 캡션 디코더부로부터 출력되는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캡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복조부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압축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제 2저장부와; 상기 변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캡션/오디오 디코더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도면이다. 캡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10)는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VCR이 될 수 있다. 이들 장치는 영상 신호 출력 단자 및 음성 신호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영상/음성 신호 입력 단자가 본 발명의 장치에도 구비된다. 따라서, 이들 단자를 각각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영상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는 디코딩부(11)에서 디코딩되어 캡션 정보가 추출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디코팅부(11)는 예컨대 자일로그사(Zilog Inc.) 제조의 Z86128 또는 Z86228 등의 IC가 상용화되어 있다. 이렇게 픽업된 캡션 정보는 제어부(12)로 입력된다.
제어부(12)는 본 발명 장치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컨트롤하는 기능을 하며,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로는 가격과 성능을 고려할 때 LC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2)는 이와 같이 캡션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함과 동시에 그 정보를 제 1저장부(14)에 기록한다. 저장된 캡션 정보는 제어부(12)가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저장부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보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래시 메모리, E2PRO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정보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한 오디오 신호는 변복조부(16)에 의해 변조 및 복조되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1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압축된다. 압축된 신호는 제 2저장부(18)에 저장된다. 제 2 저장부도 제 1저장부와 마찬가지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보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래시 메모리, E2PRO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음성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9)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며, 음성증폭부(20)가 이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부(21)로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TV수상기 또는 VCR과 연결되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이들 신호가 각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및 음성 재생되며, 동시에 비디오 및 음성 신호가 각각 제 1 및 제 2저장부(14)(18)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10)와 본 발명의 장치 사이의 연결을 해제한 이후에도 사용자의 키 입력부(15)를 통한 명령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일단 저장부(14)(18)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재생할 때 이들 정보 사이에 시차가 발생한다면 캡션 디스플레이와 음성의 재생이 불일치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가 캡션 정보 및 음성 정보를 각각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할 때 동기화 컨트롤 신호(동기 펄스)를 합성하여 저장한다. 계속해서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재생할 때는 이 동기화 신호를 기준으로 재생함으로써 캡션 디스플레이와 음성 재생의 불일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동기 펄스의 발생 및 정보와의 합성은 제어부(12)에 의해 수행된다.
추가적으로, 재생되는 음성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오디오 가변 신호처리부가 제공되어 재생되는 음성을 천천히 또는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외국어 학습을 하는 경우에 빠른 대사를 천천히 재생하여 이해하기 쉽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는 정보 소스와 연결이 없는 상태 정보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휴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인 블록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캡션 정보를 포함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 및 저장을 하며, 음성 신호를 출력 및 저장하는 것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의 장치는 도 1의 장치에 안테나와 튜너(22) 및 중간주파회로부(23)가 추가되어 있어, 공중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캡션/음성 정보의 소스로서 TV나 VCR을 사용하는 도 1과는 달리, 캡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을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및 음성 재생하며, 이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키 입력부(15)에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선택키가 부착되어 있어 일 채널에 대한 채널선택신호를 제어부(12)로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12)는 인가되는 채널선택신호에 따라 튜너(22)에 튜닝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튜닝한다.
이렇게 수신된 방송신호는 중간주파회로부(23)로 인가되게 되고, 인가된 방송신호는 중간주파회로부(23)에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복조되어 영상신호는 디코딩부(11)로 출력하게 되고, 음성신호는 변.복조부(16)로 출력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음성을 듣고 그 대사를 문자로 확인하는 것으로 특히 외국어 학습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더욱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심리적, 정신적 상태가 안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의 뇌파는 크게 4종류로 구분되어 α파(7 내지 12㎐), β파(13 내지 30㎐), θ파(4 내지 7㎐) 및 δ파(1 내지 4㎐)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들 4종의 뇌파에 대한 주파수의 범위는 논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이들 4종류의 뇌파 중에서 사람의 심리적, 정신적 이완 상태에서는 α파, 명상 상태에서는 θ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α파 또는 θ파를 발생시켜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이에 동조되어 심리적 이완 상태 또는 명상 상태에서 공부하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국어 학습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람의 긴장을 이완 또는 명상 상태에 해당하는 α파 또는 θ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본 발명의 장치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귀로 들으면서, 동시에 α파 또는 θ파의 소리 또는 빛의 신호를 받아 정신적 안정 상태에서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α파 내지 θ파는 저주파로서 사람의 가청주파수 이하이므로, 이렇게 낮은 주파수를 직접 사용자에게 공급하면 상기 동조화가 잘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가청주파수의 음을 사용자에게 들려주되 한쪽 귀에서 듣는 주파수와 다른 쪽 귀로 듣는 주파수를 다르게 하고 그 주파수의 차이를 상기 α파 또는 θ파 정도로 하여도 동조화를 유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노랄 비트 사운드(binaural beat sound)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한국 특허출원 제 1997-71345 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에 사람의 정신적 안정을 유도하는 뇌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을 추가한다. 여기서 사람의 정신적 안정을 유도하는 뇌파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α파(7 내지 12㎐), θ파(4 내지 7㎐)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캡션 정보 및 음성 정보 디코딩 장치는 자막과 음성만 재생하고 영상을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고, 특히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어느 곳에서도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TV 또는 라디오 방송과 같은 공중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된 본 발명의 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캡션 정보와 함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특히, 어학 학습용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장된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수시로 반복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캡션 정보를 추출하는 캡션 디코더부(11)와;
    상기 캡션 디코더부(11)로부터 출력되는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3)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캡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저장부(15)와;
    상기 캡션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복조부(15)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압축하는 음성신호처리부(17)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제 2저장부(18)와;
    상기 변복조부(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9)와;
    상기 변환부(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증폭부(20)와;
    상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1);를 포함하는 캡션/오디오 디코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 정보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회로로 구성되는 튜너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오디오 가변 신호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부(14)에 저장된 캡션 정보와 제 2 저장부(18)에 캡션 및 음성 정보를 저장할 때 동기화 컨트롤 신호를 합성하여 저장함으로써 캡션 정보와 음성 정보의 재생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람의 정신적 안정을 유도하는 뇌파를 발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10556A 1999-03-26 1999-03-26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KR20000061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56A KR20000061492A (ko) 1999-03-26 1999-03-26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56A KR20000061492A (ko) 1999-03-26 1999-03-26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492A true KR20000061492A (ko) 2000-10-25

Family

ID=1957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556A KR20000061492A (ko) 1999-03-26 1999-03-26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14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09A (ko) * 2000-02-28 2000-06-05 구자홍 디브이디 재생기에서의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 선택재생장치 및 방법
KR100402832B1 (ko) * 2001-03-12 2003-10-22 유태욱 캡션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KR100559964B1 (ko) * 2004-08-26 2006-03-15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디브이디 디스크의 오디오 데이터를 엠피쓰리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디브이디 플레이어
KR100563966B1 (ko) * 2004-07-16 2006-03-29 (주)토트피아 음원 포획기와 그를 포함하는 음원저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09A (ko) * 2000-02-28 2000-06-05 구자홍 디브이디 재생기에서의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 선택재생장치 및 방법
KR100402832B1 (ko) * 2001-03-12 2003-10-22 유태욱 캡션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KR100563966B1 (ko) * 2004-07-16 2006-03-29 (주)토트피아 음원 포획기와 그를 포함하는 음원저장장치
KR100559964B1 (ko) * 2004-08-26 2006-03-15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디브이디 디스크의 오디오 데이터를 엠피쓰리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디브이디 플레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1492A (ko) 캡션/오디오 정보의 디코더 장치
EP0806758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KR100652676B1 (ko) 이동단말기의 위성방송 편집 장치 및 방법
JPH0974498A (ja) 映像表示装置と映像発信装置
JP201000284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H10243307A (ja) 電子機器
JPH01199268A (ja) 暗示装置
JPH07226017A (ja) 演奏記録再生装置
JPH09244668A (ja) 無線歌謡伴奏装置
JP7359896B1 (ja) 音処理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KR970000798B1 (ko)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KR100205205B1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한 유무선 겸용 휴대용 영상가요 반주기
JP2945047B2 (ja) 文字放送受信装置
JP3019608U (ja) 時刻報知装置
JP2009278221A (ja) コンテンツ放送装置、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放送システム
KR960004819B1 (ko) 영상가요반주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JP3148516B2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及びその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を備えてなる映像信号再生装置
KR100331798B1 (ko) 티브이 수신기의 방송신호 저장/재생 장치
KR100316682B1 (ko) 비휘발성메모리를이용한환경음재생장치
KR0172464B1 (ko) 수직블랭킹구간내의 음향정보신호 송수신장치
KR100516511B1 (ko) 주파수 여유대역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박스
JPH07298154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及びその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を備えてなる映像信号再生装置
JPH01105283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を用いた語学学習システム
CA2175961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KR20010002739A (ko) 음성인식기를 이용한 자동 캡션 삽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