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478A - 세탁기의 청소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478A
KR20000060478A KR1019990008798A KR19990008798A KR20000060478A KR 20000060478 A KR20000060478 A KR 20000060478A KR 1019990008798 A KR1019990008798 A KR 1019990008798A KR 19990008798 A KR19990008798 A KR 19990008798A KR 20000060478 A KR20000060478 A KR 2000006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laundry
water supply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0478A/ko
Publication of KR2000006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에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급수, 고속회전, 배수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세탁조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있어서, 탈수행정후 세탁조 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에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세탁조의 문이 닫혀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에서 세탁조의 문이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배수밸브를 열고 급수를 시작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제3 과정에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때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청소방법 { A clean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
본 발명은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조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탁시 이물질이 세탁물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가 세워져 있는 직립형 세탁기와, 세탁조가 옆으로 뉘워져 있는 드럼형 세탁기로 구분된다. 상기 각각의 세탁기는 크게 세탁물을 포함하기 위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동작모드에 따라 세탁조로 전달하여 원하는 행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세탁이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세탁조의 문을 열어서 세탁물을 집어넣고 세탁기 외부의 제어패널에 장착된 세탁시작 버튼을 누르면(S1 참조), 세탁기 내의 포량감지 센서에서는 포량을 감지한다.(S2 참조)
그후, 세탁행정으로 진입하여 상기 단계 S2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물과 세제를 세탁조 내부로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회전시키거나 물의 흐름을 변경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한다.(S3 참조) 상기 세탁행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는데 세제를 뺀 물만을 공급하여 세탁행정과 동일한 동작을 함으로써 세탁물에 남아있는 세제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4 참조) 또한, 상기 헹굼행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탈수행정을 수행하는데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5 참조)
상기의 과정에 의해 탈수행정까지 완료되면 세탁기에서는 부저를 울려 사용자에게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S6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세탁을 수행하는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탈수행정후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면 세탁물에서 분리된 실밥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세탁조에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다음 세탁시 세탁물에 상기의 이물질들이 붙게 되어 세탁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탁조에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급수, 고속회전, 배수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세탁조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세탁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탁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탁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있어서, 탈수행정후 세탁조 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에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세탁조의 문이 닫혀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에서 세탁조의 문이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배수밸브를 열고 급수를 시작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제3 과정에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때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세탁조 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에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배수밸브를 열고 급수를 시작하는 제2 과정; 및 상기 제2 과정에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때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과정의 동작신호는 세탁시작 버튼 또는 세탁조 청소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청소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세탁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세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세탁조에 세탁물을 집어넣고 세탁시작 버튼을 누르면(S11 참조), 세탁기 내의 포량감지 센서에서는 포량을 감지한다.(S12 참조)
그후, 세탁행정으로 진입하여 물과 세제를 세탁조 내부로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회전시키거나 물의 흐름을 변경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한다.(S13 참조) 상기 세탁행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는데 세탁물에 남아있는 세제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4 참조) 또한, 상기 헹굼행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탈수행정을 수행하는데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5 참조)
상기의 과정에 의해 탈수행정까지 완료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에서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기 위하여 세탁조의 문을 열었는지를 판단한다.(S16 참조) 이때, 문이 열리면 포량을 감지하고(S17 참조), 포량이 "0"인지를 판단한다.(S18 참조)
상기 단계 S18에서의 판단결과가 포량이 "0"이 아니면 세탁기는 대기상태로 진입하고(S19 참조), 포량이 "0"이면 세탁조의 문이 닫혔는지를 판단한다.(S20 참조) 이때, 상기 단계 S20에서의 판단결과가 문이 닫히지 않았으면 세탁기는 대기상태로 진입하고(S19 참조), 세탁조의 문이 닫혔으면 본 발명에 의한 세탁조 청소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세탁조 청소행정의 수행시 먼저, 배수밸브를 열고 세탁조 내부로 급수를 시작한다.(S21 참조) 이때,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고(S22 참조), 세탁조의 고속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타이머(timer)등을 이용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한다.(S23 참조)
상기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 정지, 세탁조 정지, 배수밸브 닫음을 수행하여(S24 참조) 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세탁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조 청소행정을 탈수행정이 완료된 후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세탁조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시작 버튼 또는 별도의 세탁조 청소버튼을 누르면(S30 참조), 세탁기 내의 포량감지 센서에서 포량을 감지하고(S31 참조), 포량이 "0"인지를 판단한다.(S32 참조)
상기 단계 S32에서의 판단결과가 포량이 "0"이 아니면 세탁기는 세탁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세탁행정(S33), 헹굼행정(S34), 탈수행정(S35)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세탁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S32에서의 판단결과가 포량이 "0"이면 배수밸브를 열고 세탁조 내부로 급수를 시작한다.(S36 참조) 이때,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고(S37 참조), 세탁조의 고속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타이머를 이용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한다.(S38 참조)
상기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 정지, 세탁조 정지, 배수밸브 닫음을 수행하여(S39 참조) 동작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청소방법은 탈수행정이 이루어진 후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세탁조 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세탁시에 깨끗한 세탁조로 세탁물을 집어넣기 때문에 세턱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키입력에 따라 급수, 고속회전, 배수의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세탁조의 청소를 행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있어서,
    탈수행정후 세탁조 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에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세탁조의 문이 닫혀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에서 세탁조의 문이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배수밸브를 열고 급수를 시작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제3 과정에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때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
  2.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세탁조 내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에서 세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배수밸브를 열고 급수를 시작하는 제2 과정; 및
    상기 제2 과정에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때 소정시간 동안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청소방법.
KR1019990008798A 1999-03-16 1999-03-16 세탁기의 청소방법 KR20000060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798A KR20000060478A (ko) 1999-03-16 1999-03-16 세탁기의 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798A KR20000060478A (ko) 1999-03-16 1999-03-16 세탁기의 청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478A true KR20000060478A (ko) 2000-10-16

Family

ID=1957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798A KR20000060478A (ko) 1999-03-16 1999-03-16 세탁기의 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04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1741A (ja) ドラム式洗濯機
TW201229351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JP2018130238A (ja) 洗濯機
JP2018121899A (ja) 洗濯機
KR20000060478A (ko) 세탁기의 청소방법
JP2001204986A (ja) 洗濯機及び洗濯方法
JP2000102695A (ja) 全自動洗濯機
JP607185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3421647B2 (ja) 洗濯機
JP451078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15839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13957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0324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3157429B2 (ja) 洗濯機
JP3162958B2 (ja) 洗濯機
JPH0223995A (ja) 洗濯機の運転方法
JPH11300075A (ja) 脱水槽を用いて洗濯物を洗濯できる洗濯機
JPH115727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433176B2 (ja) 洗濯機
JP201903789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966188A (ja) 洗濯機
KR0172896B1 (ko)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JPH0928975A (ja) 洗濯機
KR10136931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8856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