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563Y1 -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563Y1
KR200288563Y1 KR2019970027588U KR19970027588U KR200288563Y1 KR 200288563 Y1 KR200288563 Y1 KR 200288563Y1 KR 2019970027588 U KR2019970027588 U KR 2019970027588U KR 19970027588 U KR19970027588 U KR 19970027588U KR 200288563 Y1 KR200288563 Y1 KR 200288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ashing
motor
driving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468U (ko
Inventor
이득희
오동일
조소영
강경석
이재민
조기철
방종철
김진훈
류창원
박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27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56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0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 중 도어가 개방되면 배수 모터 및 세탁 모터를 정지시키는 배수 모터 및 세탁 모터 정지 단계와, 도어가 개방된 시점부터 제1 설정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1 시간 경과 판별단계와, 상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동안 도어가 폐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시점에서 상기 배수 모터를 구동하는 배수 모터 구동 단계와,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별하는 제2 시간 경과 판별단계와,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2 설정시간(T2)의 경과 시점에서 세탁 모터를 구동시키는 세탁 모터 구동 단계의 순서에 의해 탈수를 진행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서 탈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본 고안은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행정 도중에 도어의 개폐시간을 판별하여 부하구동수단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세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S1) 전체 세탁행정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을 이용해 전체 세탁행정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동작버튼을 누르면 급수행정이 진행되고(S2), 상기 급수행정이 끝나면 세탁포의 세탁을 위한 세탁행정이 진행된다(S3). 상기 세탁행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탁수류의 세기에 의해 세탁모터가 설정속도로 좌우교번 회전하여 진행된다. 상기 세탁행정의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별하여(S4)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으면(YES이면) 세탁행정에 의해 발생된 땟물을 배수한다(S5). 상기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헹굼행정이전에 세탁포를 탈수하기 위한 중간탈수행정이 이루어지고(S6), 이와 동시에 중간탈수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하여(S7)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되면(YES이면) 본탈수로 진행한다(S8). 상기 본탈수가 진행되면 본탈수 시간이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하여(S9)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되면(YES이면) 다시 세탁포의 헹굼을 위한 급수행정이 이루어진다(S10). 상기 급수행정이 끝나면 세탁포를 헹구기 위한 헹굼행정이 진행된다(S1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 판별하여(S12)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되면(YES이면) 헹굼에 의해 발생한 땟물을 배수한다(S13). 상기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세탁포내에 포함된 세탁수를 탈수하기 위해 탈수행정을 진행한다(S14~S17). 전체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설정시간 이후에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킨다(S18).
한편, 중간탈수 설정시간 판별단계(S7, S15)와 본탈수 설정시간 판별단계(S9, S17)에서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되면(NO이면) 제어수단은 도어가 개방되었는가를 판별하고(S19)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별하면(YES이면, 시간T0) 배수모터와 세탁모터를 급제동시켜 정지시킨다(S20, 시간T0). 상기 제어수단은 도어가 개방된 시간이 T1 보다 작은가를 판별한다(S21).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은 도어가 폐쇄되었는가를 판별한다(S22). 이 판별 결과, 상기 제어수단이 T1 보다 작은 시간(YES이면)에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별하면(YES이면, 도 2A 의 시간TC) 상기 T1 시간에 배수모터를 구동시키고(S23), 상기 배수모터 구동시간 이후로부터 설정시간 이후에(시간T2에) 세탁모터를 구동시킨다(S24).
한편, 상기 제어수단이 T1 보다 큰 시간(NO일 경우)에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별하면(YES이면, 도 2B 의 시간TC) 도어가 폐쇄됨과 동시에 배수모터를 구동시키고(S26, 시간TC), 상기 배수모터 구동시간 이후로부터 설정시간 이후에(시간T3에) 세탁모터를 구동시킨다(S27).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 탈수행정 도중에 도어가 개방되어 배수모터 및 세탁모터의 부하구동수단이 급제동되어 정지하면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폐쇄되어야만 상기 부하구동수단이 구동되었고, 이 결과 탈수행정으로 진행하는데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탈수행정중에 도어의 개폐시간을 판별하여 부하구동수단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세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는 탈수 중 도어가 개방되면 배수 모터 및 세탁 모터를 정지시키는 배수 모터 및 세탁 모터 정지 단계와, 도어가 개방된 시점부터 제1 설정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1 시간 경과 판별단계와, 상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동안 도어가 폐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시점에서 상기 배수 모터를 구동하는 배수 모터 구동 단계와,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별하는 제2 시간 경과 판별단계와,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2 설정시간(T2)의 경과 시점에서 세탁 모터를 구동시키는 세탁 모터 구동 단계의 순서에 의해 탈수를 진행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탈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2 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탈수행정중에 도어개폐시 부하구동의 시간흐름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제어회로 블록도,
도 5A, 5B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탈수행정중에 도어개폐시 부하구동의 시간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1 : 하우징 103 : 터브
105 : 세탁공 107 : 세탁조 겸 탈수조
108 : 펄세이터 109 : 밸런싱장치
111 : 텐션바 113 : 도어
115 : 키입력수단 117 : 디스플레이수단
119 : 전원공급버튼 121 : 세탁모터
123 : 클러치 127 : 전원공급수단
129 : 제어수단 131 : 급수밸브 구동수단
133 : 급수밸브 135 : 배수모터 구동수단
137 : 배수모터 138 : 수위감지수단
139 : 세탁모터 구동수단 140 : 도어개폐 감지수단
143 : 메모리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동세탁기는 형상을 유지하고 내부를 보호하는 하우징(101)이 외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세탁시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터브(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브(103)의 내부에는 탈수행정시 원심분리에 의해 세탁수가 비산되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세탁공(105)을 가진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하단에는 세탁수를 회전시키도록 펄세이터(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상단 둘레에는 탈수행정시 언밸런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에 액체가 장입된 밸런싱장치(10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에는 상기 터브(103)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텐션바(1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중앙에는 절첩할 수 있는 도어(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전면의 표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전체 세탁행정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입력수단(1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5)은 세탁코스,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 온냉수선택, 물살조절, 세탁수량조절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5)의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키입력수단(115)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세탁행정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7)이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후면에는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후술하는 전원공급수단(127)에 교류전압을 입력하도록 전원공급버튼(1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하단에는 세탁수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108)와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를 회전시키도록 세탁모터(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일측에는 상기 세탁모터(121)의 회전력을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클러치(123)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버튼(119)을 눌러 상기 전자동세탁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7)은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220V의 교류전압을 받아 후술하는 제어수단(129)에 5V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도록 후술하는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129)은 전체 세탁행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후술하는 급수밸브(133)를 개폐시키는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이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의 구동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133)가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에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후술하는 배수모터(137)를 구동시키는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이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배수모터(137)가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133)와 배수모터(13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공급되고 배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138)이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세탁모터 구동회로(139)는 상기 제어수단(129)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서 세탁모터(121)에 방향을 갖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도어(113)의 개방과 폐쇄를 감지하도록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은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5)에 의해 입력된 입력데이터의 내용을 기억하고 입력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143)는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와 연관하여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도어(113)를 열어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세탁포를 넣었다고 가정한다.
한편,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27)에 아직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한편,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133)는 폐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5 에 있어서, S는 단계(STEP)를 의미한다.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 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원공급버튼(119)을 누르면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27)에 220V의 교류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공급수단(127)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29)에 정류된 5V의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사용자는 세탁행정의 전체행정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115)을 이용해서 상기 제어수단(129)에 입력한다. 상기 제어수단(129)은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7)에 디스플레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17)은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단계 S2 에서 사용자가 동작버튼(도시생략)을 누르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급수밸브(133)를 개방시키기 위해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급수밸브(133)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개방되고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138)은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어수단(129)에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감지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129)은 급수밸브(133)를 폐쇄시키기 위해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급수밸브(133)에 세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폐쇄되어 급수가 정지된다.
단계 S3 에서 상기 급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12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좌우 교번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39)의 구동에 의해 세탁포가 세탁된다.
단계 S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5 로 진행한다. 상기 세탁설정시간은 예를들면 30분이다.
단계 S5 에서 상기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모터(137)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은 상기 배수모터(137)에 상기 세탁행정에 의해 발생된 땟물을 배수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배수모터(137)가 구동되어 땟물이 배수모터(137)를 통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단계 S6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시켜 중간탈수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탈수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세탁모터의 회전속도는 예를 들면 100rpm 이다.
단계 S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8 로 진행한다. 상기 중간탈수 설정시간은 예를 들면 20초이다.
단계 S8 에서 상기 세탁모터(121)가 100rpm 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고속으로 구동시켜 본탈수를 진행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시키기 위해 고속회전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고속회전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고속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세탁모터의 회전속도는 예를 들면 600rpm 이다.
단계 S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0 로 진행한다. 상기 본탈수 설정시간은 예를 들면 2분이다.
단계 S10 에서는 상기 본탈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급수밸브(133)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세탁포를 헹구기 위해 상기 급수밸브(133)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공급된다. 상기 세탁수량은 상기 제어수단(129)에 입력된 수위만큼 유입된다. 상기 수량감지수단(138)에서 세탁수량을 감지하여 입력된 세탁수량에 이르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급수밸브(133)를 폐쇄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급수밸브(133)에 세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폐쇄되어 세탁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단계 S11 에서 상기 급수밸브(133)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헹구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되어 세탁포가 헹구어진다.
단계 S12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3 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에 배수모터(137)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은 상기 배수모터(137)에 헹굼에 의해 발생한 땟물을 배수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배수모터(137)가 구동되고 상기 헹굼에 의해 발생한 땟물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수된다.
단계 S1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시켜 중간탈수를 진행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탈수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세탁모터의 회전속도는 예를 들면 100rpm 이다.
단계 S15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6 로 진행한다. 상기 중간탈수 설정시간은 예를 들면 20초이다.
단계 S16 에서 상기 세탁모터(121)가 100rpm 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고속으로 구동시켜 본탈수로 진행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시키기 위해 고속회전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고속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고속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세탁모터의 회전속도는 예를 들면 600rpm 이다.
단계 S1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8 로 진행한다. 상기 본탈수 설정시간은 예를 들면 7분이다.
단계 S18 에서 상기 전체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메모리(143)에 남아 있는 입력데이터의 내용을 초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143)에 있는 입력데이터의 내용이 모두 초기화되고, 설정시간 이후에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된다.
한편, 단계 S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시간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3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9 로 진행한다.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개방되었을 경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개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도어(113)가 개방되었을 경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개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0 으로 진행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0 에서 상기 도어(113)가 개방된다.
단계 S20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모터(137)와 세탁모터(121)를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과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과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배수모터(137)와 세탁모터(121)에 각각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137)와 세탁모터(121)가 정지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0 에서 상기 배수모터(137)와 세탁모터(121)가 정지된다.
단계 S21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 보다 이전시간인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 이전이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2 로 진행한다. 상기 설정시간 T1 은 도어(113) 개방이후 예를 들면 5초이다.
단계 S22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도어(113)가 폐쇄되었을 경우 (YES일 경우에는) 단계 S23 으로 진행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C 에서 상기 도어(113)가 폐쇄된다.
단계 S23 에서 상기 설정시간 T1 에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모터(137)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은 상기 배수모터(137)에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137)가 구동된다. 상기 배수모터(137)의 구동에 의해 세탁수가 배수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 에서 상기 배수모터(137)가 구동된다.
단계 S24 에서 배수 모터 구동 후 T2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12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39)의 구동에 의해 세탁포가 탈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시간 T2 는 배수 모터 구동 이후 10초이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모터 구동 후 T2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한편, 단계 S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9 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S7 에서 중간탈수 시간이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NO일 경우)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한다. 상기 세탁모터 회전속도는 600rpm 으로 본탈수 단계인 단계 S8 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2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1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5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중간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9 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S7 에서 중간탈수 시간이 중간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NO일 경우)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한다. 상기 세탁모터 회전속도는 100rpm 으로 중간탈수 단계인 단계 S14 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본탈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9 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S9 에서 본탈수 시간이 본탈수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NO일 경우)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한다. 상기 세탁모터 회전속도는 600rpm 으로 본탈수 단계인 단계 S16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개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세탁행정이후 중간탈수행정중이면 단계 S6 으로, 세탁행정이후 본탈수행정중이면 단계 S8 로, 헹굼행정이후 중간탈수행정중이면 단계 S14 으로, 헹굼행정이후 본탈수행정중이면 단계 S16 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1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 보다 이전시간인가를 판별한 결과,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 보다 이전시간이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25 로 진행한다.
단계 S25 에서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T1 시간에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모터(137)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 구동수단(135)은 상기 배수모터(137)에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모터(137)가 구동된다. 상기 배수모터(137)의 구동에 의해 세탁수가 배수된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 에서 상기 배수모터(137)가 구동된다.
단계 S26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T2 보다 이전시간인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도어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T2 보다 이전시간이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7 로 진행한다.
단계 S2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폐쇄되었을 경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도어(113)가 폐쇄되었을 경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8 로 진행한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C 에서 상기 도어(113)가 폐쇄된다.
단계 S28 에서 배수 모터 구동 후 T2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12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39)의 구동에 의해 세탁포가 탈수된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T2 에서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한편, 단계 S26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T2 보다 이전시간인가를 판별한 결과, 도어(113)가 개방된 이후의 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T1+T2 보다 이전시간이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29 로 진행한다.
단계 S2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113)가 폐쇄되었을 경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도어(113)가 폐쇄되었을 경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30 로 진행한다.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C 에서 상기 도어(113)가 폐쇄된다.
단계 S30 에서 상기 도어(113)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12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39)의 구동에 의해 세탁포가 탈수된다.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C 에서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한편, 단계 S2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20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으로부터 감지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20 으로 진행한다.
탈수행정 도중에 도어의 개방에 의해 세탁모터가 급제동되었을 경우 배수모터와 세탁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설정시간과 제 2 설정시간 전후에 도어가 폐쇄될 경우에 배수모터와 세탁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탈수행정의 진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탈수 중 도어가 개방되면 배수 모터 및 세탁 모터를 정지시키는 배수 모터 및 세탁 모터 정지 단계와, 도어가 개방된 시점부터 제1 설정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1 시간 경과 판별단계와, 상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동안 도어가 폐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시점에서 상기 배수 모터를 구동하는 배수 모터 구동 단계와,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별하는 제2 시간 경과 판별단계와,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2 설정시간(T2)의 경과 시점에서 세탁 모터를 구동시키는 세탁 모터 구동 단계의 순서에 의해 탈수를 진행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 시간 경과 판별단계에서 상기 배수 모터의 구동 시점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하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시점에서 세탁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세탁 모터 구동단계를 진행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KR2019970027588U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KR200288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588U KR200288563Y1 (ko)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588U KR200288563Y1 (ko)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68U KR19990014468U (ko) 1999-05-06
KR200288563Y1 true KR200288563Y1 (ko) 2002-11-25

Family

ID=5389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588U KR200288563Y1 (ko)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5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68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856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KR20050105731A (ko)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5774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100249688B1 (ko) 전자동세탁기의세탁행정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49687B1 (ko) 전자동세탁기의 의류별 세탁행정 제어방법(Control method corresponding to kinds of clothes of the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9990030693A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20140084952A (ko) 히팅 세탁 제어 방법
KR100286821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19990015870A (ko)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20000055285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20000055286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0261714B1 (ko) 세탁기의 간헐탈수 제어방법
KR10028234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정전보상방법
JP3304244B2 (ja) 洗濯機
KR19980082406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22034361A (ja) 洗濯機
JPH11239696A (ja) 洗濯機
JP3319280B2 (ja) 洗濯機
KR19990008570A (ko)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포 구겨짐방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51555A (ko)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223240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해제방법
KR19990039453A (ko)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19990066640A (ko) 드럼식 세탁기의 자동도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5023A (ko) 세탁기의 포 초기화 방법
JPH07289776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