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693A -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693A
KR19990030693A KR1019970051023A KR19970051023A KR19990030693A KR 19990030693 A KR19990030693 A KR 19990030693A KR 1019970051023 A KR1019970051023 A KR 1019970051023A KR 19970051023 A KR19970051023 A KR 19970051023A KR 19990030693 A KR19990030693 A KR 1999003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driving
moto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일
조소영
이재민
방종철
류창원
이득희
강경석
조기철
김진훈
박영복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693A/ko
Publication of KR1999003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693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언밸런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세탁조를 정지시킨 후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 판별단계와, 상기 포량 판별의 결과, 포량이 임의의 양 이상이면 경보음 및 경보 표시를 발생시키는 경보 단계와, 상기 포량 판별의 결과 포량이 임의의 양 미만이면 언밸런스가 발생한 탈수부분의 간헐 탈수 패턴을 변경하여 간헐 탈수를 재시도하는 재간헐 탈수 단계로 이루어져서 급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전체 세탁행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의 정지시 세탁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세탁포를 밸런싱시킴으로써 탈수행정을 원활히 진행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S1) 전체 세탁행정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을 이용해 전체 세탁행정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동작버튼을 누르면 급수행정이 진행되고(S2), 상기 급수행정이 끝나면 세탁포의 세탁을 위한 세탁행정이 진행된다(S3). 상기 세탁행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탁수류의 세기에 의해 세탁모터가 설정속도로 좌우교번 회전하여 진행된다. 상기 세탁행정의 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하여(S4) 세탁행정의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되면(YES이면) 세탁행정에 의해 발생된 땟물을 배수한다(S5). 상기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헹굼행정 이전에 세탁포를 탈수하기 위한 중간탈수행정이 이루어지고(S6) 이와 동시에 세탁조의 흔들림량을 판별하여(S7) 상기 세탁조의 흔들림량이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지 않으면(NO이면) 본탈수로 진행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S8).
상기 본탈수를 마치면 다시 세탁포의 헹굼을 위한 급수행정이 이루어진다(S9), 상기 급수행정이 끝나면 세탁포를 헹구기 위한 헹굼행정이 진행된다(S1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헹굼행정 설정시간을 판별하여(S11) 헹굼행정 설정시간에 이르면(YES이면) 헹굼에 의해 발생한 땟물을 배수한다(S12). 상기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세탁포내에 포함된 세탁수를 탈수하기 위해 탈수행정을 진행한다(S13~S15). 전체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설정시간 이후에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킨다(S16).
한편, 세탁조의 흔들림량이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으면(YES이면) 세탁모터를 정지시킨다(S17). 제어수단은 세탁조의 흔들림에 의한 세탁모터의 정지횟수를 1 증가시켜 메모리에 저장하고(S18), 상기 세탁모터의 정지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인가를 판별하여(S19) 설정횟수 이상이면(YES이면) 경보음을 발생시켜 언밸런스에 의해 세탁이 정지되었음을 알리고(S20), 도어가 개방되었는가를 판별하여(S21) 도어가 개방되었으면(YES이면) 사용자에 의해 세탁포가 밸런싱되었다고 판별하고, 동작키가 온되었는가 판별하여(S22) 동작키가 온되면(YES이면) 중간탈수행정으로 진행한다.
한편, 세탁모터의 정지횟수가 설정횟수 미만이면(NO이면) 세탁포를 밸런싱시키기 위한 급수를 진행하고(S23) 상기 급수가 완료되면 세탁포를 푸는 포풀림행정을 진행한다(S24). 상기 포풀림행정이 완료되면 배수가 이루어지고 중간탈수행정이 진행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 중간탈수행정 도중에 세탁포의 언밸런스에 의해 세탁모터가 정지되면 세탁포를 풀기 위해 급수가 이루어져서 세탁포를 풀어 밸런싱시킴으로써 세탁수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포를 풀기 위해 급수가 이루어져 전체 세탁행정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의 정지시 세탁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세탁포를 밸런싱시킴으로써 탈수행정을 원활히 진행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은 언밸런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세탁조를 정지시킨 후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 판별단계와, 상기 포량 판별의 결과, 포량이 임의의 양 이상이면 경보음 및 경보 표시를 발생시키는 경보 단계와, 상기 포량 판별의 결과 포량이 임의의 양 미만이면 언밸런스가 발생한 탈수부분의 간헐 탈수 패턴을 변경하여 간헐 탈수를 재시도하는 재간헐 탈수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1B 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언밸런스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제어회로 블록도,
도 4A, 4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1 : 하우징 103 : 터브
105 : 세탁공 107 : 세탁조 겸 탈수조
108 : 펄세이터 109 : 밸런싱장치
111 : 텐션바 113 : 도어
115 : 키입력수단 117 : 디스플레이수단
118 : 음향발생수단 119 : 전원공급버튼
121 : 세탁모터 123 : 클러치
127 : 전원공급수단 129 : 제어수단
131 : 급수밸브 구동수단 133 : 급수밸브
135 : 배수밸브 구동수단 137 : 배수밸브
138 : 수위감지수단 139 : 세탁모터 구동수단
140 : 도어개폐 감지수단 143 : 메모리
145 : 세탁조 겸 탈수조 흔들림 감지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동세탁기는 형상을 유지하고 내부를 보호하는 하우징(101)이 외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세탁시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터브(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브(103)의 내부에는 탈수행정시 원심분리에 의해 세탁수가 비산되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세탁공(105)을 가진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하단에는 세탁수를 회전시키도록 펄세이터(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상단 둘레에는 탈수행정시 언밸런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에 액체가 장입된 밸런싱장치(10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에는 상기 터브(103)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텐션바(1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중앙에는 절첩할 수 있는 도어(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전면의 표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전체 세탁행정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입력수단(1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5)은 세탁코스,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 온냉수선택, 물살조절, 세탁수량조절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5)의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키입력수단(115)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세탁행정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7)이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측 후면에는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후술하는 전원공급수단(127)에 교류전압을 입력하도록 전원공급버튼(1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하단에는 세탁수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108)와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를 회전시키도록 세탁모터(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일측에는 상기 세탁모터(121)의 회전력을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클러치(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옆에는 세탁포의 언밸런스 상태를 판별하도록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세탁조 겸 탈수조 흔들림 감지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세탁행정 도중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정지와 전체 세탁행정이 끝났음을 알리도록 음향발생수단(118)은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버튼(119)을 눌러 상기 전자동세탁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7)은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220V의 교류전압을 받아 후술하는 제어수단(129)에 5V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도록 후술하는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129)은 전체 세탁행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후술하는 급수밸브(133)를 개폐시키는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이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의 구동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133)가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에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후술하는 배수밸브(137)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이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의 구동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밸브(137)가 상기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밸브(133)와 배수밸브(137)의 개폐에 의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공급되고 배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138)이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제어수단(129)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서 세탁모터(121)에 방향을 갖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도어(113)의 개방과 폐쇄를 감지하도록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은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115)에 의해 입력된 입력데이터의 내용을 기억하고 입력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143)는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의 세탁포의 언밸런스 상태를 판별하도록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세탁조 겸 탈수조 흔들림 감지수단(145)은 상기 제어수단(129)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과 연관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전자동세탁기의 도어(113)를 열어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세탁포를 넣었다고 가정한다.
한편,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27)에 아직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한편,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133)는 폐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면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고 도어를 반드시 폐쇄한다고 가정한다.
도 4 에 있어서, S는 단계(STEP)를 의미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 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원공급버튼(119)을 누르면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수단(127)에 220V의 교류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공급수단(127)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129)에 정류된 5V의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사용자는 세탁행정의 전체행정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115)을 이용해서 상기 제어수단(129)에 입력한다. 상기 제어수단(129)은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7)에 디스플레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17)은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단계 S2 에서 사용자가 동작버튼(도시생략)을 누르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급수밸브(133)를 개방시키기 위해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급수밸브(133)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개방되고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138)은 세탁수가 설정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어수단(129)에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감지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129)은 급수밸브(133)를 폐쇄시키기 위해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급수밸브(133)에 세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폐쇄되어 급수가 정지된다.
단계 S3 에서 상기 급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12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좌우 교번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39)의 구동에 의해 세탁포가 세탁된다.
단계 S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5 로 진행한다. 상기 세탁설정시간은 예를 들면 30분이다.
단계 S5 에서 상기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밸브(137)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를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은 상기 배수밸브(137)에 상기 세탁행정에 의해 발생된 땟물을 배수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배수밸부(137)가 개방되어 땟물이 배수밸브(137)를 통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단계 S6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밸런싱시킴과 동시에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탈수시키는 중간탈수행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단계 S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은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8 로 진행한다.
단계 S8 에서 상기 세탁모터(12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시키기 위해 고속회전시키는 본탈수행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고속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고속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고속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단계 S9 에서는 상기 본탈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급수밸브(133)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세탁포를 헹구기 위해 상기 급수밸브(133)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세탁조 겸 탈수조(107)내로 공급된다. 상기 세탁수량은 상기 메모리(143)에 입력된 수위만큼 유입된다. 상기 수량감지수단(138)에서 세탁수량을 감지하여 입력된 세탁수량에 이르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급수밸브(133)를 폐쇄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급수밸브 구동수단(131)은 상기 급수밸브(133)에 세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급수밸브(133)가 폐쇄되어 세탁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단계 S10 에서 상기 급수밸브(133)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헹구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되어 세탁포가 헹구어진다.
단계 S11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2 로 진행한다.
단계 S12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에 배수밸부(137)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배수밸브 구동수단(135)은 상기 배수밸브(137)에 헹굼에 의해 발생한 땟물을 배수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배수밸브(137)가 개방되고 상기 헹굼에 의해 발생한 땟물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수된다.
단계 S13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밸런싱시킴과 동시에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탈수시키는 중간탈수행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단계 S14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은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5 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 상기 세탁모터(12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세탁포를 탈수시키기 위해 고속회전시키는 본탈수행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고속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세탁모터(121)의 고속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조 겸 탈수조(107)가 회전하여 상기 세탁공(105)을 통해 상기 세탁포에 포함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단계 S16 에서 상기 전체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메모리(143)에 남아 있는 입력데이터의 내용을 초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143)에 있는 입력데이터의 내용이 모두 초기화되고, 설정시간 이후에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된다.
한편, 단계 S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세탁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세탁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3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은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7 로 진행한다.
단계 S17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121)를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정지한다.
단계 S18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포량의 많고 적음을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세탁포량이 적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9 로 진행한다.
단계 S19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에 세탁모터(12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모터 구동수단(139)은 상기 세탁모터(121)에 단계S6이나 단계S13에서 사용했던 중간 탈수 패턴과는 다른 온,오프 시간(ON, OFF TIME)을 가지는 변형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세탁모터(121)가 구동된다.
단계 S20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은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1 로 진행한다.
단계 S21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다고 판별되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121)의 구동정지 횟수(N)에 1을 증가시켜 상기 메모리(143)에 저장한다.
단계 S22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121)의 구동정지 횟수(N)가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보다 이상인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121)의 구동정지 횟수(N)가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 이상이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3 로 진행한다.
단계 S23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포의 언밸런스가 발생하여 세탁이 정지되었음을 알리는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발생수단(118)에 출력한다. 상기 음향신호에 의해 상기 음향발생수단(118)으로부터 사용자에게 경고음향이 발생된다.
단계 S2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에서 도어(113)가 개방되었는가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에서 도어(113)가 개방되었는가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5 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언밸런스 상태를 확인하고 세탁포를 직접 밸런싱시켰다고 가정한다.
단계 S25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사용자에 의해 동작키가 온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사용자에 의해 동작키가 온되었는가를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6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1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헹굼시간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헹굼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0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은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17 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7 에서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5)의 흔들림량이 상기 설정흔들림량보다 많다고 판별하였을 경우(YES인 경우)와 같은 행정을 반복하고 단계 S25 에서 동작키가 온되면 단계 S13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8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세탁포량이 많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단계 S23 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0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이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은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흔들림량이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흔들림량보다 많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세탁행정 이후이면 단계 S8 로, 헹굼행정 이후이면 단계 S15 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2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121)의 구동정지 횟수(N)가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 이상인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세탁조 겸 탈수조(107)의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모터(121)의 구동정지 횟수(N)가 상기 메모리(143)에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 이상이 아니라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17 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4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에서 도어(113)가 개방되었는가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 결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140)에서 도어(113)가 개방되었는가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23 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5 에서 상기 제어수단(129)은 사용자에 의해 동작키가 온되었는가를 판별한 결과, 사용자에 의해 동작키가 온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단계 S23 로 진행한다.
탈수행정 도중에 발생한 언밸런스에 의해 세탁모터가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세탁포량을 감지하여 설정값 이하이면 세탁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세탁포를 밸런싱시켜 세탁포의 탈수를 원활히 진행함으로써 급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전체 세탁행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언밸런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세탁조를 정지시킨 후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 판별단계와,
    상기 포량 판별의 결과, 포량이 임의의 양 이상이면 경보음 및 경보 표시를 발생시키는 경보 단계와,
    상기 포량 판별의 결과 포량이 임의의 양 미만이면 언밸런스가 발생한 탈수부분의 간헐 탈수 패턴을 변경하여 간헐 탈수를 재시도하는 재간헐 탈수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1019970051023A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19990030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23A KR19990030693A (ko)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23A KR19990030693A (ko)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93A true KR19990030693A (ko) 1999-05-06

Family

ID=6604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023A KR19990030693A (ko) 1997-10-02 1997-10-02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730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92237B1 (ko) * 2005-09-05 2008-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730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92237B1 (ko) * 2005-09-05 2008-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1864C (en)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9990030693A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100249688B1 (ko) 전자동세탁기의세탁행정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5774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JP2003245490A (ja) 洗濯機
KR19990015870A (ko) 전자동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20028856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제어장치
KR100249687B1 (ko) 전자동세탁기의 의류별 세탁행정 제어방법(Control method corresponding to kinds of clothes of the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00286821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20000055285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JP3304244B2 (ja) 洗濯機
KR20000055286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20000051555A (ko)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JPH07213778A (ja) 脱水兼用洗濯機
KR20040046227A (ko) 세탁기 및 그 급수 제어방법
JP3131518B2 (ja) 全自動洗濯機
KR20000009965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239696A (ja) 洗濯機
JP200313588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043207B2 (ja) 洗濯機
JPH1033879A (ja) 全自動洗濯機
KR100223240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해제방법
KR19980039512A (ko) 세탁기의 운전 제어방법 및 운전제어장치
JPH09122376A (ja) 脱水兼用洗濯機
JP3319280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