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206A - 랩형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 - Google Patents

랩형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206A
KR20000053206A KR1019990704174A KR19997004174A KR20000053206A KR 20000053206 A KR20000053206 A KR 20000053206A KR 1019990704174 A KR1019990704174 A KR 1019990704174A KR 19997004174 A KR19997004174 A KR 19997004174A KR 20000053206 A KR20000053206 A KR 2000005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core
end seal
cable
co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미쓰러셀피.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0005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연결 폐쇄용 또는 단자용 단부 시일(15)은 가요성 탄성 재료의 코어부(20)를 포함한다. 코어부(20)는 외주연 및 코어부(20)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24)를 갖는다. 개구(24)는 외주연과 연통한다. 미부(22)는 코어부의 주연과 일체로 되고 코어부의 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코어부(20) 및 개구(24) 내에 위치될 케이블 둘레에 감긴다. 밀봉 스트립은 케이블 둘레에 그리고 코어부(20)의 맞닿는 주연면과 감긴 미부(22)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트립은, 밀봉 스트립을 가열시키고 스트립이 케이블과 본체의 인접한 접촉면과 접착되게 하기 위해 전기적 자극 또는 전자기 자극에 응답한다.

Description

랩형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 {WRAP TYPE CABLE CLOSURE END SEAL}
통신 케이블 단부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다. 이렇게 하는 데 있어서, 친화성 재료의 사용, 얼마나 많은 케이블이 연결되는가, 연결된 케이블이 지하에 묻히거나 수중에 잠기거나 대기 중에 매달리는가,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어떠한 열원, 즉 가연성 가스가 요구되는가, 작동 회로의 인터럽션없이 케이블의 연결이 재개방되고 재형성될 필요가 있는가, 연결부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는가, 비용은 적당한가와 같은 많은 중요한 고려 사항들이 있다.
통신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금속 강도 및 혼선 차폐체 및 대체로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외부 보호 피복에 의해 둘러싸인 도체 번들(bundle)로 구성된다. 그러한 케이블이 연결되고 재연결될 때, 재연결된 케이블의 강도 및 완전성이 중요하다. 밀폐체 또는 폐쇄 본체가 연결부를 밀봉 가능하게 둘러싸는 데 사용된다.
연결 폐쇄부의 사용에 있어서의 한가지 미해결 문제는 연결부 또는 폐쇄 본체 둘레를 완전히 밀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많은 종래 기술의 연결 폐쇄부는 볼트 및 너트, 클램프, 개스킷, 열 수축 튜빙의 복잡한 어레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합의 충전 젤, 수지를 제공함으로써 밀봉을 성취한다. 이러한 폐쇄 방법이 상당한 조립 시간을 요구한다는 사실 외에, 폐쇄부가 종종 특히 시일을 따라 누출 또는 파열된다. 이러한 문제는 아주 작은 결함이 외피 또는 폐쇄부의 내면을 따라 침수를 야기할 수 있는 케이블 외피의 폐쇄부의 밀봉에 있어서 매우 민감하다. 불완전한 밀봉은 특히 가압 폐쇄부에 대해 불리하다.
이러한 시일들이 접착제들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 있지만, 형성된 접착 결합은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폐쇄부 또는 케이블 재료의 낮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약화된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밀봉하기 위한 대체 기술은 용융 결합이다. 이러한 기술은 대체로 밀봉면에서 용융할 때까지 재료를 가열하여 경계면에서 함께 유동하도록 하는 기술을 포함하며, 버트 용접, 커플링 조인트 및 수선 슬리브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융 결합의 2가지 특정 방법, 즉 (ⅰ) 직접 가열 및 (ⅱ) 유도 가열이 활성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열-용융) 접착제뿐만 아니라 열탄성(열-수축) 튜빙에 사용될 수 있다. 유도 가열은 종종 전자기 결합(EMB)을 의미하기도 한다.
(저항 가열로서 공지된) 직접 가열에 있어서, 물품에 가열 요소를 직접 부착함으로써 열가소성 물품이 결합되도록 열이 인가된다. 가열 요소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물품을 가열한다. 전류는 요소에 직접 접속된 전원에 의해 인가되지만, 가열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한 시스템의 한가지 이점은 방열의 발산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재료의 불균일한 가열과 같은 단점이 있다.
유도 가열은 중합체 재료의 밀봉 및 결합에 넓게 사용된다. 복합 결합 재료(CMB)는 용접될 열가소성 본체와 친화적인(섞일 수 있는) 열가소성 캐리어 내의 자활성 서스셉터(susceptor)를 분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재료가 교류 전자장 내에 위치될 때, H장은 자기 재료 내의 가열을 유도한다. 가열은 2가지 효과, 즉 히스테리시스 손실 또는 유도된 와전류로부터의 저항 손실 중 하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E장은 자기 입자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직접 가열 및 유도 가열 기술은 조합될 수 있다.
단부 시일은 대체 결합 재료로서 고온 용융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온 용융물은 저항 와이어들 사이에 위치되며, 와이어들은 케이블과 단부 시일면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가열된다. 고온 용융 결합은 포말, 탄성체 및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상이한 단부 시일 재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결합 강도는 용융 결합 시일보다 약하다.
연결 폐쇄부 또는 종단부에 대한 단부 시일에 관한 종래 기술은 다양한 폐쇄 단부를 끼워맞추기 위한 시스템에 충분하다. 이러한 시일들 중 하나는 가요성, 탄성, 자체-접착 재료의 코어부를 포함한다. 코어부는 외주연 및 코어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다. 개구는 외주연과 연통한다. 긴 가요성 미부는 코어 주연과 일체로 되고 코어 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코어부와 개구 내에 위치될 케이블 둘레에 감긴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는 몇몇 적용에 대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불행히도, 용이한 설치, 시일 완전성 및 시일 강도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종래 기술에 의해 만족스럽게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케이블이 위치되는 폐쇄부 또는 단자의 단부에서의 영역을 밀봉하고 수분 또는 다른 오염 물질이 폐쇄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둘레의 영역을 밀봉하는 데 사용되기 위한 단부 시일이다. 용이하게 설치되고 시일 완전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케이블 및 케이블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케이블이 위치되는 폐쇄부 또는 단자의 단부에서의 영역을 밀봉하고 수분 또는 다른 오염 물질이 폐쇄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둘레의 영역을 밀봉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랩형 단부 시일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시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시하기 위해 미부가 부분적으로 파단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3은 도시하기 위해 미부가 부분적으로 파단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4는 도시하기 위해 미부가 부분적으로 파단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5는 미부가 코어부 둘레를 감싸며 케이블이 각 케이블 포트를 통해 연장되는 도4의 단부 시일을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시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부 프로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1의 선 7-7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부 프로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시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11은 미부가 코어부 둘레를 감싸며 케이블이 2개의 케이블 포트를 통해 연장되는 도10의 단부 시일을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12는 연결 폐쇄 하우징 내에 장착된 도5의 단부 시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스트립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스트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홈이 있는 미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스트립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17 내지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 또는 다른 오염 물질이 폐쇄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연결부를 밀봉 가능하게 폐쇄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케이블 폐쇄 본체의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케이블 단부 시일은 연장된 미부에 연결된 코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코어부는 외주연면 및 이격된 단부를 갖는다. 주연면은 코어부를 통해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원통형 개구를 포함한다. 각 개구의 에지는 각 개구로의 도입 슬롯을 형성하기 위해 코어부의 외주연면과 연통한다. 미부는 가요성이며 대향 단부들을 갖는다. 단부들 중 제1 단부는 코어부의 외주연부와 일체로 되고 코어부의 외주연부로부터 접하여 연장된다. 미부는 각 개구의 도입 슬롯과 개구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덮기 위해 맞닿음 상태로 코어부의 주연면 둘레에 감기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미부의 제2 단부는 감소된 두께로 테이퍼진다. 미부와 코어부 사이의 인접부에 인접하여 그리고 각 원통형 개구의 환형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수단이 제공되며, 수단은 각 케이블과 본체를 밀봉된 유닛으로서 결합시키기 위해 인접 재료를 가열하도록 전기적 자극에 응답한다.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은 단일편 단부 시일이 단부 시일 내의 포트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을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기적 자극은 밀봉된 유닛 내의 맞닿는 케이블과 시일 부재면을 함께 가열하여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포트 내의 케이블을 가열 및 밀봉하고 본체부의 결합면들이 함께 연결된 때 이러한 결합면들을 밀봉하기 위해 매설된 도체를 갖는 연속 밀봉 스트립을 사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폴리올레핀(polyolefin) 탄성체 재료로 형성되고 코어부(20)와 미부(22)를 포함하는 본체(18)를 포함하며, 대체로 15로 나타낸 단부 시일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코어부(20)는 원형이며, 도1에는 한 면만 도시되는 한 쌍의 대향 단부(2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호형 벽(25)에 의해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24)를 갖는다. 코어부(20)가 무단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개구(24)와 연통하는 슬롯형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벽(25)은 코어부(20)의 외주연면(30)에서 시작하고 종료된다. 미부(22)의 내면(32)은 대체로 벽(25)에 접하여 개구(24)들 중 하나 및 슬롯이 형성된 개구로부터 연장된다. 미부(22)는 자유 단부(36) 인근까지 길이를 따라 대체로 균일한 두께 및 단면을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에서 미부의 두께는, 코어부(20)의 주연면(30) 및 각 개구(24) 내에 배치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노출부 둘레를 감싼 후에 외면(34)으로의 완만한 천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자유 에지로 감소되거나 테이퍼진다.
도2는 코어부(20)에 한 쌍의 개구(24)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시일(15)을 도시한다. 도3은 코어부(20)가 외주연면(30) 둘레에 위치된 상이한 직경의 개구(24)를 갖는 단부 시일(15)을 도시한다. 도4는 비대칭인 복수개의 개구(24)를 구비한 코어부(20)를 도시한다. 미부(22)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미부(22)가 적어도 한 번, 대략 360°정도 중심부를 중심으로 코어부(20)의 외주연면(30) 둘레에 감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미부(22)는 코어부(20)의 외주연의 원주보다 큰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5는 3개의 케이블(28)이 단부 시일(15) 내에 배치되며, 코어부(20) 둘레에 적어도 1번 감겨진 미부(22)를 도시한다.
도6은 미부(22)가 자유 단부(36) 인근에서 좁아지도록 미부의 폭을 변화시키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도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7은 균일한 폭 또는 감소하는 폭의 미부(22)가 시일의 내단부가 외단부에서보다 상이한 외경을 갖게 하여 결과적으로 테이퍼진 또는 원추형 단부 시일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미부(22)의 대향 에지는 미부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갖는다. 더욱이, 에지의 두께 또는 치수는 자유 단부를 향해 감소될 수 있다. 미부는 코어부 둘레에 복수개의 랩을 형성하도록 된다.
도8은 슬릿(31)을 지난 단부를 분리함으로써 미부(22)가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게 하는 예비 형성 슬릿(31)이 제공된 미부(22)를 도시한다. 도9의 횡방향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부(22)에는 결합 리지 또는 리브(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대향면에는 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지(33)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다음 랩 상에 감길 때 미부의 외면(34)을 따라 연장되며, 단부 시일의 축에 따른 축방향 힘이 더 커지고 미부(22)의 랩들이 서로 활주 또는 끼워질 수 없도록 랩들 사이의 시일을 따른 경로 및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홈(35)은 리지(33)를 덮는다.
도10은 대체로 원형으로 대향된 것으로서 타원형인 코어부(20)를 구비한 단부 시일(15)을 도시한다. 코어부(20)는 미부(22)가 폐쇄를 위한 수분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외면 둘레에 팽팽히 감길 수 있도록 대체로 볼록한 표면을 갖는 형상이다. 코어부(2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 수용 개구(24)가 형성된다. 도11에는, 하나 이상의 도체를 구비한 한 쌍의 케이블(28)이 2개의 개구(24)에 위치된 단부 시일(15)이 도시되며, 플러그(40)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시일이 다목적이고 케이블이 요구되지 않을 때에도 시일이 여전히 기능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제3 개구 내에 도시된다. 중실 원형 부재인 플러그(40)는 미부가 감싸는 추가 개구(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개구(24)에는 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가 개구(24) 밖으로 용이하게 밀리지 않도록 홈과 결합하고 외부 원통면을 둘러싸는 리브가 플러그(4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부 시일에 대한 재료 선택은 적절한 밀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염, 수분 및 압력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양호한 결합 능력을 요구한다. 밀봉될 연결부의 결합은 자체에 대해, 케이블 외피에 대해 그리고 사용될 수 있는 밀봉제에 대해 선택된 재료의 결합을 포함한다. 밀봉이 가열에 의해 성취되기 때문에, 선택된 재료는 용융 결합에 대응하여 적절해야 한다. 그러한 재료로서, 폴리올레핀 탄성체가 적절하며,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파니(Dow Chemical Company)에 의해 인게이지(ENGAGE)라는 상표로 판매되는 가요성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그룹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밀봉제에 대한 재료 선택은 만족스러운 용융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친화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밀봉제가 본 발명에 사용될 경우에 여러가지 변경예가 있다. 그러나, 먼저 적절한 결합이, 맞닿음 면에 또는 인근에 니크롬 와이어를 위치시킴으로써 맞닿음 면의 저항열에 의해 성취되는 몇몇 예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와이어의 전기적 자극은 모든 가열된 맞닿음 면을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둘러싸는 재료를 가열시킬 것이며, 경화 공정을 통해 인가된 압력으로 적절한 결합이 생성될 수 있다.
니크롬 와이어는 통상적인 원형 와이어 형태 또는 편평한 스트립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밀봉 재료의 스트립 내에 피복되거나, 매설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와이어의 전기적 자극은 둘러싸는 밀봉 재료 및 밀봉될 맞닿음 면을 가열한다. 모든 맞닿음 면들은 용융 과정을 통해 인가된 압력으로 적절한 시일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추가 또는 잔여 밀봉 재료에 의해 강화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밀봉 재료의 스트립에 의해 피복되거나, 매설되거나, 적층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외에, RF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서스셉터(susceptor) 함유 재료가 밀봉제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와이어는 양호하게는 구리이며,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생성된 열은 폴리에틸렌 결합제를 포함하는 서스셉터 함유 재료와 맞닿음 면을 밀봉되게 한다. 여기에서 다시, 밀봉은 용융 과정을 통해 인가된 압력으로 적절한 시일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추가 또는 잔여 밀봉 재료에 의해 강화된다.
밀봉 재료, 서스셉터 재료 및 와이어 종류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논의할 필요는 없으며, 밀봉이 전술한 측면에 의해 강화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라, 용융 결합 시일은 도5의 코어부(20)의 외주연면(30)과 미부(22)의 내면(32) 사이의 인접부(50)를 따라 제공된다. 용융 결합 시일은 예컨대, 도2의 각 원통형 개구(24)의 환형벽(25)을 따라서도 제공된다. 시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표면 내에 매설된 또는 적용된 도2 내지 도10의 점선에 의해 도시된 저항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저항 와이어(52)는 전력으로 교류(AC) 또는 직류(DC)가 인가되는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더욱이, 저항 와이어(52)는 도1의 미부(22)의 외면(34)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부(22)가 코어부(20) 둘레에 감길 때 외주연 미부면(34)은, 단부 시일(15)이 위치되도록 제공되는 도12의 맞닿는 연결 폐쇄 하우징(54)에 접착된다. 또한, 케이블(28)은 개구(24) 내에 접착된다. 저항 와이어(52)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도13 및 도14의 편복선 또는 편평한 리본의 형태일 수 있다. 와이어(52)는 적층 밀봉 스트립(58)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재료의 밀봉 스트립(56) 내로 성형될 수 있거나, 적층 폴리에틸렌 시트의 스트립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56 또는 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표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도15의 홈(60)은 돌기 탭(62)을 포함하는 미부(22)의 내면(32)에 제공될 수 있다. 각 스트립(56, 58)들은 홈(60)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탭(62)과 보유 결합하기 위해 스트립 내에 도16의 개구(64)를 제공함으로써 보유된다. 도17 내지 도21의 다양한 구성 및 패턴의 저항 와이어(52)가 코어(15)에 적용될 수 있다. 도11 및 도12의 케이블(28)의 외부 환형 표면(66) 주위의 적절한 가열 및 개구(24) 내의 케이블(28)의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원통형 개구(24) 내의 저항 와이어의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그러한 패턴을 고려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을 알 것이다.
작동 중에, 케이블은 단부 시일의 적절한 개구에 위치되며, 미부는 코어부 둘레에 감긴다. 미부와 코어부 사이의 맞닿음 면을 따라 연장되며 개구의 환형벽과 케이블의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저항 와이어는 전력이 인가된 때에 둘러싸는 밀봉 재료가 모든 접촉면에 접착되게 하는 데 충분한 열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단부 시일이 연결 폐쇄 본체 내에 위치될 때, 감긴 미부의 외주연 둘레의 와이어는 폐쇄 본체 내의 단부 시일을 밀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접착을 제공할 수 있다. 밀봉을 강화시키기 위해, 매설된 와이어를 갖는 밀봉 스트립의 형태의 추가 밀봉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된 밀봉제는 용융 접착 공정 및 밀봉 완전성을 강화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은, 포트를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 둘레에 결합된 때 케이블 주연면과 포트 사이의 시일을 형성하며, 단부 시일의 가동 본체부들이 함께 결합된 때 그러한 부분들 사이의 시일을 형성하는 단일편 장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용융 접착 단부 시일은 단부 시일의 완전성에 대한 종래의 접근법에 대해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단부 시일은 다양한 범위의 케이블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는다. 케이블과 시일 사이의 용융 접착력은 종래의 고온 용융 시스템에서보다 강하다. 단부 시일은 다중 케이블 직경에 대해 트리밍을 요구하지 않는 단일편 설계이다. 단부 시일 재료는 재료를 절단함으로써 케이블로부터 재진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부 시일은 가열용 토치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용성은 단부 시일이 케이블 표면에 대해 밀봉하며 인접 케이블 폐쇄 본체에 대해 밀봉되므로, 단부 시일이 케이블 폐쇄 본체용 주요 밀봉 부재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 요소에 대한 기밀, 압력 및 수분 시일을 형성한다. 단부 시일의 기본 특징은 기본 변형 경감과, 상이한 케이블 직경의 수용과, 비교적 이동 가능한 단부 시일 본체부, 본체부를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 및 케이블이 장착된 폐쇄 본체 사이의 전체 밀봉 완전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포트 내의 케이블을 밀봉하며 함께 결합된 때에 본체부의 결합된 면들을 밀봉하는 연속 밀봉 스트립의 사용은 용이한 설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가 보여지며 설명되었지만, 광범위한 변경, 변화 및 대체가 전술한 개시에 있어서 고려되며, 예컨대 본 발명의 몇몇 특징은 다른 특징을 상응하여 사용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넓게 그리고 본 발명의 범주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케이블 단부 시일에 있어서,
    연장된 미부에 연결된 코어부를 갖는 본체와,
    미부와 코어부 사이의 인접부에 인접하게 그리고 각 원통형 개구의 환형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와 그 안에 위치하게 될 각 케이블을 밀봉된 유닛으로서 결합하기 위해 인접 재료를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외주연면 및 이격된 단부들을 갖고, 상기 외주연면이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통형 개구와 이들 각 개구로의 도입 슬롯을 형성하도록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연통하는 각 개구의 에지를 갖고,
    상기 미부는 가요성을 갖고,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일체로 되고 이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개구의 도입 슬롯 및 그 안에 위치한 케이블을 덮도록 이와 함께 인접부에서 코어부의 주연면 주위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1 단부와, 감소된 두께로 테이퍼진 제2 자유 단부 등 대향 단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2. 제1항에 있어서, 각 원통형 개구가 다른 각 원통형 개구와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3. 제1항에 있어서, 미부가 이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슬릿에서 미부를 선택적으로 절단하도록 길이를 따라 이격 관계의 사선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4. 제1항에 있어서, 코어부가 대체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5. 제1항에 있어서, 코어부가 대체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6. 제1항에 있어서, 미부가 한 면 상에 리브를 형성하고 대향면 상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7. 케이블 단부 시일에 있어서,
    연장된 미부에 연결된 코어부를 갖는 본체와,
    미부와 코어부 사이의 인접부를 따라 그리고 각 원통형 개구의 환형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밀봉 스트립과,
    본체 및 그 안에 위치될 각 케이블을 밀봉된 유닛으로서 결합하기 위해 밀봉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스트립 내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외주연면 및 이격된 단부들을 갖고, 상기 외주연면이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통형 개구와 이들 각 개구로의 도입 슬롯을 형성하도록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연통하는 각 개구의 에지를 갖고,
    상기 미부는 가요성을 갖고,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일체로 되고 이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개구의 도입 슬롯 및 그 안에 위치한 케이블을 덮도록 이와 함께 인접부에서 코어부의 주연면 주위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1 단부와, 감소된 두께로 테이퍼진 제2 자유 단부 등 대향 단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8. 제7항에 있어서, 각 원통형 개구가 다른 각 원통형 개구와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9. 제7항에 있어서, 미부가 이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슬릿에서 미부를 선택적으로 절단하도록 길이를 따라 이격 관계의 사선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0. 제7항에 있어서, 코어부가 대체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1. 제7항에 있어서, 코어부가 대체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2. 제7항에 있어서, 미부가 한 면 상에 리브를 형성하고 대향면 상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3. 제7항에 있어서, 미부가 한 면 상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4. 제13항에 있어서, 밀봉 스트립이 홈 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5. 제14항에 있어서, 홈이 돌기 탭을 포함하며, 밀봉 스트립이 이를 홈 내에 보유하도록 탭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자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6. 제7항에 있어서,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수단이 도체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7. 제7항에 있어서,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수단이 도체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8. 제1항에 있어서, 미부가 코어 둘레에 감기고, 상기 코어 주위의 미부의 외주연면은 단부 시일이 위치되게 되는 인접 연결 폐쇄 하우징에 외주연 미부면이 접착될 수 있도록 외주연 미부면을 가열하기 위해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고 자체의 주위로 연장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19. 제7항에 있어서, 미부가 코어 둘레에 감기고, 상기 코어 주위의 미부의 외주연면은 단부 시일이 위치되게 되는 인접 연결 폐쇄 하우징에 외주연 미부면이 접착될 수 있도록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해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수단을 자체에 갖는 추가 밀봉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20. 케이블 단부 시일에 있어서,
    연장된 미부에 연결된 코어부를 갖는 본체와,
    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연장되는 케이블과,
    미부와 코어부 사이의 인접부를 따라 그리고 각 원통형 개구의 환형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와 그 안에 있는 각 케이블을 밀봉된 유닛으로서 결합하기 위해 인접 재료를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외주연면 및 이격된 단부들을 갖고, 상기 외주연면이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통형 개구와 이들 각 개구로의 도입 슬롯을 형성하도록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연통하는 각 개구의 에지를 갖고,
    상기 미부는 가요성을 갖고,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일체로 되고 이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개구의 도입 슬롯 및 그 안에 위치한 각 케이블을 덮도록 이와 함께 인접부에서 코어부의 주연면 주위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1 단부와, 감소된 두께로 테이퍼진 제2 자유 단부 등 대향 단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21. 케이블 단부 시일에 있어서,
    연장된 미부에 연결된 코어부를 갖는 본체와,
    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연장되는 케이블과,
    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밀봉 플러그와,
    미부와 코어부 사이의 인접부를 따라 그리고 각 원통형 개구의 환형 표면과 그 안에 있는 각 케이블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스트립과,
    각 케이블과 본체를 밀봉된 유닛으로서 결합하기 위해 밀봉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적 자극에 응답하는 스트립 내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외주연면 및 이격된 단부들을 갖고, 상기 외주연면이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통형 개구와 이들 각 개구로의 도입 슬롯을 형성하도록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연통하는 각 개구의 에지를 갖고,
    상기 미부는 가요성을 갖고, 코어부의 외주연면에 일체로 되고 이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개구의 도입 슬롯 및 그 안에 위치한 각 케이블을 덮도록 이와 함께 인접부에서 코어부의 주연면 주위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1 단부와, 감소된 두께로 테이퍼진 제2 자유 단부 등 대향 단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시일.
KR1019990704174A 1996-11-12 1997-02-12 랩형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 KR20000053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47,132 US5792989A (en) 1996-11-12 1996-11-12 Wrap type cable closure end seal
US8/747,132 1996-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206A true KR20000053206A (ko) 2000-08-25

Family

ID=2500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4174A KR20000053206A (ko) 1996-11-12 1997-02-12 랩형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92989A (ko)
EP (1) EP0938765A1 (ko)
JP (1) JP2001503955A (ko)
KR (1) KR20000053206A (ko)
CN (1) CN1235705A (ko)
AU (1) AU2134997A (ko)
BR (1) BR9713006A (ko)
CA (1) CA2269522A1 (ko)
WO (1) WO19980217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96B1 (ko) * 2013-10-16 2014-11-13 강대희 전력 케이블의 종단부 마감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2700B1 (en) * 1999-01-27 2001-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d seal assembly for a splice case
SE515160C2 (sv) * 1999-10-08 2001-06-18 Roxtec Ab Kabelgenomföring
US6627818B2 (en) * 2000-10-02 2003-09-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protector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NL1016894C2 (nl) * 2000-12-18 2002-06-19 Koninkl Kpn Nv Werkwijze voor het installeren van een duct;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en een bandvormig element ten gebruike bij deze werkwijze.
US6719462B2 (en) 2001-06-20 2004-04-13 Chemque, Inc. Splice protection system
US20060254799A1 (en) * 2005-05-24 2006-11-16 Gregorek Mark R Instant wire splice wrap
US7378593B2 (en) * 2005-07-26 2008-05-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protector kits, insert assembli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7109423B1 (en) 2005-07-26 2006-09-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protector kits, insert assembli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4653676B2 (ja) * 2006-03-07 2011-03-16 日本通信電材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US7447414B1 (en) * 2006-06-19 2008-11-04 Wayne Camick Cable protector apparatus
EP2608336A1 (en) * 2011-12-23 2013-06-26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Sealing unit
CN103257416B (zh) * 2012-02-20 2016-08-2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密封环、线缆接续盒以及在线缆接续盒中密封线缆的方法
PL2950411T3 (pl) * 2013-01-23 2018-12-31 Chi, Yu-Fen Obudowa złącza kablowego
US9802253B2 (en) * 2013-12-16 2017-10-31 Arcam Ab Additiv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articles
US11257612B2 (en) 2018-07-26 2022-02-22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Assembly and method for sealing a bundle of wires
CO2019015116A1 (es) * 2019-12-31 2020-06-09 Cardona Santiago Tovar Sello que abraza los conductores eléctricos que atraviesan la cabeza de pozo y dispositivo que lo comprend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7072A (en) * 1947-06-16 1953-07-28 Firestone Tire & Rubber Co Method of joining plastic elements
FR1168267A (fr) * 1955-12-27 1958-12-05 Ansonia Wire & Cable Company Procédé d'épissage de câbles de communication
US2906810A (en) * 1956-02-15 1959-09-29 Anaconda Wire & Cable Co Insulated electric conductor splice
DE1114564B (de) * 1960-05-27 1961-10-05 Nordddeutsche Kabelwerke Ag Verbindung von Kunststoffmantelkabeln
US3467761A (en) * 1968-09-23 1969-09-16 Walter A Plummer Electrically shielded heat-reactive jacket for conductors
DE1909322A1 (de) * 1969-02-25 1970-09-10 Kabel Metallwerke Ghh Verbindungsmuff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1943886A1 (de) * 1969-08-29 1971-03-11 Kabel Metallwerke Ghh Verbindungsmuff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3781459A (en) * 1972-07-20 1973-12-25 Anderson Electric Corp Compressio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US3941641A (en) * 1974-02-26 1976-03-02 William C. Heller, Jr.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DE7425454U (de) * 1974-07-25 1974-11-07 Siemens Ag Lippenförmiger Dichtungskörper für Kabelmuffen
US4095044A (en) * 1976-10-26 1978-06-13 Raychem Corporation Multiple cable adapter and splice case including the same
ATE6169T1 (de) * 1980-03-10 1984-02-15 Georg Fischer Aktiengesellschaft Schweissverbindung fuer kunststoffrohre.
US4358634A (en) * 1980-04-24 1982-11-09 Thomas & Betts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use in sealed cable splices
US4732628A (en) * 1980-04-24 1988-03-22 Thomas & Betts Corporation Method of sealing and repairing electrical cables
DE8118563U1 (de) * 1981-06-26 1981-10-29 Walter Rose Gmbh & Co Kg, 5800 Hagen "Vorrichtung zur Abdichtung eines Endes eines Fernmeldekabels mit Tragseil"
DE3129570C2 (de) * 1981-07-27 1985-05-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ufteilungsmuffe
CH652473A5 (de) * 1981-10-02 1985-11-15 Fischer Ag Georg Schweissverbindung fuer kunststoffrohre.
US4436988A (en) * 1982-03-01 1984-03-13 R & G Sloane Mfg. Co., Inc. Spiral bifilar welding sleeve
US4864725A (en) * 1982-10-12 1989-09-12 Raychem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splicing wires
DE3310377A1 (de) * 1983-03-22 1984-10-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uellstuecke aus plastischem dichtungsmaterial fuer kabelgarnituren
US4647716A (en) * 1984-11-06 1987-03-03 Sigmaform Corporation Article having heat expandable sealing member
EP0188777B1 (de) * 1985-01-16 1989-03-15 Walter Rose GmbH & Co. KG Kabelmuffe mit einer querschnittlich kreuzförmigen Vorrichtung zum Stützen von in Kabelmuffen einlaufenden Kabelenden
US4963698A (en) * 1985-05-02 1990-10-16 Raychem Corporation Cable sealing
EP0225370A4 (en) * 1985-05-02 1987-07-23 Raychem Corp SEALING ELEMENT AND THEIR PRODUCTION.
US4622436A (en) * 1985-05-21 1986-11-11 L & F Company Plug assembly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a cable within a conduit
NZ222263A (en) * 1986-10-24 1990-10-26 Fujikura Ltd Heat-conducting insert melts block to seal cable branch junction
FR2627026A1 (fr) * 1988-02-08 1989-08-11 Kerboul Michel Procede pour realiser l'etancheite entre un cable ou element analogue et une conduite externe recevant ce cable et bande composit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880676A (en) * 1988-04-05 1989-11-14 Raychem Corporation Cable sealing apparatus
US4962286A (en) * 1988-10-06 1990-10-09 Raychem Corporation Environmental control, liner for splice enclosure
US4902855A (en) * 1988-10-25 1990-02-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d seal for splice closure
TR24079A (tr) * 1988-11-09 1991-03-01 Raychem Sa Nv Kapama duezenegi
GB2225493B (en) * 1988-11-19 1992-10-21 Bowthorpe Hellermann Ltd Sealing cable splice closures
US5245151A (en) * 1989-04-07 1993-09-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rticle for microwave bonding of splice closure
US5100494A (en) * 1989-09-05 1992-03-31 Hughes Aircraft Company Structural bonding and debonding system
DE8912585U1 (ko) * 1989-10-24 1990-01-04 Minnesota Mining & Mfg. Co., Saint Paul, Minn., Us
US5313034A (en) * 1992-01-15 1994-05-17 Edison Welding Institute, Inc. Thermoplastic welding
US5258578A (en) * 1992-02-18 1993-11-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losure end seal
DE59305534D1 (de) * 1992-12-08 1997-04-03 Rxs Schrumpftech Garnitur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ichten Abschlusses an den Enden einer schrumpfbaren Kabelmuffe und Abdichtelement hierfür
KR19980703184A (ko) * 1995-03-29 1998-10-15 더글라스브루스리틀 전자기력 흡수 합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96B1 (ko) * 2013-10-16 2014-11-13 강대희 전력 케이블의 종단부 마감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9522A1 (en) 1998-05-22
AU2134997A (en) 1998-06-03
EP0938765A1 (en) 1999-09-01
BR9713006A (pt) 2000-01-25
CN1235705A (zh) 1999-11-17
WO1998021795A1 (en) 1998-05-22
US5792989A (en) 1998-08-11
JP2001503955A (ja)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3206A (ko) 랩형 케이블 폐쇄 단부 시일
EP0725985B1 (en) Wire connector
EP1857848B1 (en) Optical cable shield layer connection
CA2123689C (en) Method and article for microwave bonding of splice closure
US4252849A (en) Heat shrinkable covers
CA1209655A (en) Cable joint protection comprising recoverable sleeve and a liner
JPH028596A (ja) クロージャー物品およびその用途
EP0008912A1 (en) Heat shrinkable covers
US4378323A (en) Method of producing plastic collar integral with a cable jacket
US4216351A (en) Plastic collar integral with a cable jacket
TW202023123A (zh) 用於連接不同導體的連接導體和電力電纜的連接結構
CA1148712A (en) Heat-shrinkable cable-fitting with permanently plastic sealing insert
EP0196767B1 (en) Pressurizable splice case
MXPA99004147A (es) Sello del extremo de cierre de cable tipo envolvente
WO1998021799A1 (en) Clamp type cable closure end seal
CA1202388A (en) Forming cable splice closures
CA1197580A (en) Water-proofing joint assembly for power cables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EP0483210B1 (en) Environmental sealing
WO1998021802A1 (en) Helical spiral closure with bondline sealing
GB2136074A (en) Weldable Pipe Fittings
CN212209787U (zh) 一种高连接稳定性建筑电气用电线连接装置
WO1998021796A1 (en) Sealed closure with support core systems and methods
WO1998021798A1 (en) Bonded sealed closure systems and methods
WO1998021797A1 (en) Insert parts for sealed closure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