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281A -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281A
KR20000051281A KR1019990001626A KR19990001626A KR20000051281A KR 20000051281 A KR20000051281 A KR 20000051281A KR 1019990001626 A KR1019990001626 A KR 1019990001626A KR 19990001626 A KR19990001626 A KR 19990001626A KR 20000051281 A KR20000051281 A KR 2000005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ayer
semiconductor substrate
oxide film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395B1 (ko
Inventor
라기열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0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3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상에 전도층과 다수의 절연층의 복합구조인 소자격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자격리층의 측벽에 산화막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측벽에 제 2 도전형의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상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상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의 측벽에 제 1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게이트상에 ONO층과 제 2 게이트를 수직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스/드레인 과 제 1 게이트 와 소자절연층을 수직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함으로 리쏘그래피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자격리층 측벽에 형성된 도우핑된 다결정실리콘 스페이서(Spacer)가 플로팅게이트(Floating Gate)의 소스 및 드레인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레이 아웃(Layout)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0)은 소자격리층을 한정하는 LOCOS 패턴(Pattern)이고, (20)은
제 1 게이트인 FG(Floating Gate)패턴이고, (30)은 제 2 게이트인 CG(Control Gate)패턴이고, (40)은 SAS(Self-Aligned Source)패턴이고, (50)은 콘택(Contact)패턴이다. 그리고 X - X`방향으로의 단면도는 도 2 에 나타나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자의 활성영역과 격리영역을 한정하는 소자격리층(도시 안함)을 포함하는 P형의 반도체기판(11)표면에 게이트산화막과 제 1 전도층을 성장 또는 증착 형성한다. 이어서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제 1 게이트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 레지스트막(101)을 마스크(Masking)로 하여 레지스트막이 없는 부분을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방법으로 제거하여 제 1 게이트를 패터닝한다.
상기에서 게이트산화막(13)은 두께가 100Å 인 열산화한 실리콘산화막(SiO2)이며, 제 1 전도층(15)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이하 CVD 이라 칭함)방법으로 증착된 두께가 2000Å 인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에 불순물 인(P)을 에너지 30 KeV , 도즈양(Dosage) 1.0 E 15 원자/㎠ 로 전면(Blanket) 이온주입을 함으로 형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레지스트막(101)을 제거한 후 반도체기판 표면전체에 ONO(Oxide -Nitride-Oxide)층(17) 과 제 2 전도층(19) 과 캡절연막(21)을 연속적으로 성장 또는 증착 형성한다. 이어서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제 2 게이트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 레지스트막(10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ONO층(17)은 실리콘산화막(SiO2)/실리콘질화막(Si3N4)/실리콘산화막(SiO2)의 복합구조(Composite Structure)의 유전물질(Dielectrics)로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환산한 두께는 TOx,effective= 200Å 이며, 제 2 전도층(19)은 인 시튜(In-Situ) CVD 방법으로 불순물이 도핑된 두께가 3000Å 인 다결정실리콘이며, 캡절연막은 CVD 방법으로 증착된 두께가 3000Å 인 실리콘산화막(SiO2)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2 게이트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 레지스트막(103)을 마스크(Masking)로 하여 레지스트막이 없는 부분을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방법으로 제거하여 반도체기판상의 게이트산화막(도시 안함)을 노출시키며, 이어서 레지스트막(103)을 제거한 후 자기정렬(Self-Aligned) 이온주입방법으로 반도체기판 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플라즈마 에칭으로 캡절연막(21)인 실리콘산화막(SiO2) 및 제 2 전도층(19)인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및 ONO층(17)을 제거하고, 이어서 제 1 전도층을 제거한다. 반도체기판 내로 에너지 30 KeV, 도즈양(Dosage) 1.0 E 15 원자/㎠를 갖는 비소(As) 또는 인(P)을 이온주입하여 소스/드레인 형성영역에 N+ 영역(23)을 형성한다. 제 2 게이트(19)는 콘트롤게이트(Control Gate)가 되며, 제 1 게이트(15)는 플로팅게이트(Floating Gate)가 되며, 제 1 게이트(15)와 제 2 게이트(19)사이에 ONO층(17)이 개재하며, 반도체기판(11)과 제 1 게이트(15)사이에 게이트산화막(13)이 개재하며, 제 2 게이트(19)상에 캡산화막(21)이 형성된다. 제 1 게이트와 제 2 게이트는 수직적(Vertically)으로 적층(Stacked)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구조의 양측(Both Sides)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소스/드레인 형성 이후 공정(Subsequent Process)에서 단차의 높아짐으로 인하여 리쏘그래피(Lithography)공정 시 상부(Upper Portion) 과 하부(Lower Portion)의 초점(Focus)을 동시에 만족하는 리쏘그래피공정의 마진(Margin)감소 등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쏘그래피공정의 마진을 증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상에 전도층과 다수의 절연층의 복합구조인 소자격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자격리층의 측벽에 산화막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측벽에 제 2 도전형의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상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상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의 측벽에 제 1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게이트상에 ONO층과 제 2 게이트를 수직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레이 아웃(Layout)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얇은 두께의 실리콘산화막(SiO2)(도시 안함)이 형성된 P형의 반도체기판(61)표면 전체에 제 1 전도층(62) 및 제 1 절연층(63) 및 제 2 절연층(64)을 증착 형성한다. 이어서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제 1 트랜지스터 형성영역이외 부분에 레지스트막(201)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전도층은 불순물이 도핑된 두께 2000Å 내지 4000Å인 다결정실리콘 (Polycrystalline Silicon)이며, 제 1 절연층은 두께 500Å 내지 800Å인 실리콘산화막(SiO2)이며, 제 2 절연층은 두께 2000Å 내지 3000Å인 실리콘질화막(Si3N4)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레지스트막(201)을 마스크(Masking)로 하여 레지스트막이 없는 부분을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방법으로 제거하여 반도체기판 표면의 실리콘(Silicon)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레지스트막(201)을 제거한 후 각각 (62a)(63a)(64a) 및 (62b)(63b)(64b)의 측벽(Sidewall)에 제 3 절연층 (65a)(65b)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2 전도층(67)을 반도체기판 전체에 증착 형성한다.
상기에서 반도체기판 전체에 CVD 방법으로 증착된 두께 1500Å 내지 2000Å인 실리콘산화막 (SiO2)을 플라즈마 RIE(Reactive Ion Etching, 이하 RIE 이라 칭함)방법으로 에치-백(Etch-Back)하여 각각 (62a)(63a)(64a) 및 (62b)(63b)(64b)의 측벽(Sidewall)에 제 3 절연층 (65a)(65b)을 형성한다. 상기 제 3 절연층(65a)(65b)으로 각각 (62a)(63a)(64a) 및 (62b)(63b)(64b)을 절연한다(Insulated). 제 2 전도층(67)은 불순물 인(P)이 고농도로 도핑된(Heavily Doped) 두께 3000Å 내지 4000Å인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이다. (62a)(63a)(64a) 및 (62b)(63b)(64b)은 소자활성영역을 한정하는 소자격리층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2 전도층(67)을 플라즈마 RIE 방법으로 에치-백(Etch-Back)하여 각각 (62a)(63a)(64a)(65a) 및 (62b)(63b)(64b)(65b)의 측벽(Sidewall)에 제 2 전도층 (69a)(69b)을 형성한다. 이어서 반도체기판을 열산화하여 반도체기판 및 제 2 전도층(69a)(69b) 표면에 게이트산화막(Gate Oxide, 71)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3 전도층(73)을 반도체기판 전체에 증착 형성한다.
상기에서 (64a) 및 (64b)은 산화방지물질(Oxidation Resistant Material)인 실리콘질화막(Si3N4)으로 열산화한 게이트산화막(71)이 형성되지 않으며, 제 3 전도층(73)은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Heavily Doped) 두께 3000Å내지 4000Å인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 3 전도층(73)을 플라즈마 RIE 방법으로 에치-백(Etch-Back)하여 제 1 트랜지스터 형성영역의 구루브(Groove)내에 제 1 게이트(74)를 형성한다. 이어서 반도체기판표면 전체에 ONO 층(75) 과 제 4 전도층(77) 과 캡절연막(도시 안함)을 연속적으로 성장 또는 증착 형성한다. 이어서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제 2 게이트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 레지스트막(301)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게이트(74)은 FG(Floating Gate)이며, 제 2 전도층(69a)(69b)은 제 1 게이트(74)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고, 게이트산화막(71)은 제 1 게이트(74)의 게이트 산화막이다. ONO층(75)은 실리콘산화막(SiO2)/실리콘질화막(Si3N4)/실리콘산화막(SiO2)의 복합구조(Composite Structure)의 유전물질(Dielectrics)로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환산한 두께는 TOx,effective= 200Å 이며, 제 4 전도층(77)은 인 시튜(In-Situ) CVD 방법으로 불순물이 도핑된 두께가 3000Å 내지 4000Å 인 다결정실리콘이며, 캡절연막은 CVD 방법으로 증착된 두께가 3000Å 내지 4000Å 인 실리콘산화막(SiO2)이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 2 게이트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 레지스트막(301)을 마스크(Masking)로 하여 레지스트막이 없는 부분을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방법으로 제 4 전도층(77) 과 ONO층(75)을 제거한다. 이어서 레지스트막(301)을 제거하여 제 2 게이트(78) 과 제 1 게이트와 제 2 게이트 간에 개재된 ONO (Oxide-Nitride-Oxide, 76)층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게이트(78)는 CG(Control Gate)이며, 인터폴리 절연물질(Inter-Poly Dielectrics)인 ONO층(76)은 제 2 게이트(78)와 제 1 게이트(74)사이에 개재한다.
반도체기판(61)과 제 1 게이트(74)사이에 게이트산화막(71)이 개재하며, 제 2 게이트(78)상에 캡산화막(도시 안함)이 형성된다. 제 1 게이트와 제 2 게이트는 수직적(Vertically)으로 적층(Stacked)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구조의 양측(Both Sides)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된다. 소자격리층으로 사용하는 복합구조인 (62a)(63a)(64a) 및 (62b)(63b)(64b)에서 전도층인 (62a) 와 (62b)는 CG(Control Gate)인 제 2 게이트(78)에 인가된 바이어스로, 인접한 드레인((69a)(69b)사이에 턴온(Turn-On)이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게이트(78)에서 반도체 기판으로 가해지는 전장(Electric Field)을 중간의 실딩플레이트(Shielding Plate)로 차폐시키며, 상기 전도층인 (62a)(62b)가 실딩플레이트의 기능을 한다.
층간절연층 과 콘택 과 메탈층은 통상의 잘 알려진 방법으로 진행하여 상기 반도체장치를 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상에 전도층과 다수의 절연층의 복합구조인 소자격리층을 형성하며, 상기 소자격리층의 측벽에 산화막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측벽에 제 2 도전형의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상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상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의 측벽에 제 1 게이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게이트상에 ONO층과 제 2 게이트를 수직적으로 적층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스/드레인 과 제 1 게이트 와 소자절연층을 수직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함으로 리쏘그래피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상에 전도층과 다수의 절연층의 복합구조인 소자격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자격리층의 측벽에 산화막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측벽에 제 2 도전형의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상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상 및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의 측벽에 제 1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게이트상에 ONO층과 제 2 게이트를 수직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제 2 도전형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실딩플레이트로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절연층의 상부는 산화방지물질로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9-0001626A 1999-01-20 1999-01-20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50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26A KR100505395B1 (ko) 1999-01-20 1999-01-20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26A KR100505395B1 (ko) 1999-01-20 1999-01-20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281A true KR20000051281A (ko) 2000-08-16
KR100505395B1 KR100505395B1 (ko) 2005-08-04

Family

ID=1957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626A KR100505395B1 (ko) 1999-01-20 1999-01-20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160B1 (ko) * 2003-11-20 2006-02-22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468B1 (ko) * 2005-12-01 2006-11-1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절연막 스페이서가 형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840B1 (ko) * 1995-05-12 1999-01-15 문정환 리세스 채널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18141A (ko) * 1997-08-26 1999-03-15 박민규 동선용 피복조성물
JP2000200840A (ja) * 1999-01-06 2000-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160B1 (ko) * 2003-11-20 2006-02-22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468B1 (ko) * 2005-12-01 2006-11-1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절연막 스페이서가 형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395B1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4170B2 (en) Recess gate transistor structure for use i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thereof
EP0054117B1 (en) Method of forming integrated mosfet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US5283455A (en) Thin film field effect element having an LDD structure
KR100260577B1 (ko) 자기정렬형 콘택 형성방법
JPH045265B2 (ko)
US5073510A (en) Fabrication method of contact window in semiconductor device
US5612240A (en) Method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to self-aligned contacts that extends beyond the photo-lithographic resolution limit
KR19980018751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436798B2 (en) MOSFET device
JPH0821694B2 (ja) 超高集積半導体メモリ装置の製造方法
GB2087647A (en) Semiconductor memory manufacture
KR10050539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CN116960061A (zh) 具有不同工作电压的mos晶体管的集成结构和制造方法
KR100310512B1 (ko) 트랜지스터절연방법
KR0129984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29893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872874B2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法
KR100311177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281889B1 (ko) 필드 실드 분리영역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30000718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0126641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60001952B1 (ko) 스택형 트렌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0358140B1 (ko) 플래쉬메모리제조방법
JPH0531562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920006189B1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