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228A -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 Google Patents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228A
KR20000049228A KR1019990703331A KR19997003331A KR20000049228A KR 20000049228 A KR20000049228 A KR 20000049228A KR 1019990703331 A KR1019990703331 A KR 1019990703331A KR 19997003331 A KR19997003331 A KR 19997003331A KR 20000049228 A KR20000049228 A KR 2000004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mooring
base
moorings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977B1 (ko
Inventor
후쿠이도미오
Original Assignee
후쿠이 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이 도미오 filed Critical 후쿠이 도미오
Publication of KR2000004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밧줄(강철 밧줄: 1)로 목재, 석재 등을 계류(繫留)하여, 산골짜기의 시냇물(溪流), 하천(河川)의 침식·붕괴를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세로 밧줄(1)로 계류된 목재, 석재 등의 계류물(繫留物: 3)을 산허리의 침식·붕괴 장소 부근의 지상에 대략 계단 모양으로 또는 평행하게 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산허리의 붕괴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EROSION CONTROL OR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VENTING HILLSIDE COLLAPSE}
산지(山地) 및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침식·붕괴는 주로 강우·강설·지진 등에 의해 산지가 붕괴하고, 이 때에 발생하는 흙, 모래, 자갈을 하방(下方)으로 흘려보냄에 따라 발생하며, 한편, 일반 하천의 침식·붕괴는 주로 홍수에 의해서 발생한다. 그러나, 이들의 침식·붕괴를 방지하는 기술에는 공통된 것이 많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산지 또는 산골짜기의 시냇물에 적용되어 온 사방(砂防) 및 호안(護岸) 목적의 치산(治山) 공사 기술에 관해서 서술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침식·붕괴의 방지·복구 방법으로서 최선의 것은 산을 삼림으로 덮음으로써, 그 보수력(保水力), 산허리 안정 능력을 활용하여, 급격한 강우·강설 등이 있더라도 산허리 및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침식·붕괴를 방지·완화할 수 있도록, 산림 환경을 정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산림 환경의 정비·유지에는 막대한 비용과 긴 세월을 요하기 때문에, 산림 환경의 정비(整備)와 더불어 많은 인위적 공사가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공사의 특색은 산지의 특정한 장소에 독립적인 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 구조물의 자중(自重) 또는 구조물을 지탱하는 암반 등의 지지력에 의해서, 물이나 흙, 모래, 자갈이 흘러내리는 속도나 양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담당하는 구조물의 설치에는 많은 자재·노동력·경비를 필요로 하여 왔다. 그 개요는 이하와 같다(추원정부(萩原貞夫)저, 삼림리수(森林理水)·사방(砂防; 임학강좌(林學講座) 제9권), 조창서점(朝倉書店), 1953 년 간행, 및 무거유항(武居有恒)편, 사방공학(砂防工學), 영문당(永文堂) 출판, 1993년 간행을 참조 바람).
1. 산골짜기의 시냇물 공사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침식에는 시냇물의 바닥을 하방으로 깊게하는 하방 침식 또는 종침식과, 계안(溪岸: 시냇물의 기슭)을 횡으로 침식하는 측방 침식 또는 횡침식이 있다. 어느 쪽이던지 침식이 진행되면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양안(兩岸)은 자중에 의해서 무너져 내려, 산사태 등이 생기고, 그 결과 대량의 흙, 모래, 자갈이 시냇물의 바닥에 퇴적한다. 시냇물의 바닥에 퇴적한 대량의 흙, 모래, 자갈은 홍수 등에 의해서 하류로 운반되고, 때로는 강력한 파괴력을 가지는 토석류(土石流)가 되어 하류 주변 지역에 막대한 재해를 야기하게 된다. 산골짜기의 시냇물 공사는 이러한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침식 방지·복구를 위해 행하여지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1) 내지 (5)에 기재된 것이 있다.
(1) 사방 댐 공사.
예전부터 가장 널리 시공되고 있는 것은 사방 댐(언제(堰堤: 둑)) 공사이다. 이 공사는 산골짜기의 시냇물에 이것을 가로지르는 보(堰)를 설치하고, 그 배후에 사력(砂礫)을 고정되도록 배치하여 새로운 완구배(緩句配)의 시냇물의 바닥을 만들어 유수(流水)의 세력을 꺽음에 의해, 하방 침식을 막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댐은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경사나 그 침식의 정도에 따라서, 하나의 산골짜기의 시냇물에 계단 모양으로 복수 설치된다. 댐의 설치에 사용되는 재료와 그 공사 방법은 필요하게 되는 댐의 강도에 따라서 선택된다.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댐이 설치되어 왔다.
a. 석(石) 댐 연적석(練積石) 댐···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
공적석(空積石) 댐···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는 것
혼합 적석 댐··주요부를 연적, 기타를 공적으로 한 것
b. 콘크리트 댐
c. 목(木) 댐
d. 사롱(蛇籠) 댐
e. 편책(編柵) 댐
(2) 상고(床固) 공사
이 공사는 현재의 시냇물의 바닥을 유지(維持)하는 목적을 가지며, 호안은 이것에 의해서 각부 세출(脚部洗出)로부터 보호된다. 이것은 돌, 콘크리트, 사롱(철사나 대를 원통형으로 얽고 돌을 채우는 바구니 모양의 것), 편책(編柵), 침상(沈床: 나무테두리에 돌을 채운 것) 등으로 시냇물의 바닥을 굳히는 공사이다.
(3) 호안 공사
시냇물의 바닥을 측방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일종의 벽을 만드는 것이고, 이 벽은 유로(流路)와 평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종공사(縱工事)라고 일컫는다. 돌, 콘크리트, 사롱(蛇籠), 편책(編柵), 목책(木柵), 판책(板柵) 등으로 시공된다.
(4) 수제(水制) 공사
유심(流心)의 방향을 변경할 목적으로, 기슭(岸)의 한쪽 또는 양안에서 유심(流心)을 향하여, 적절한 길이 및 방향으로 돌출되는 공작물을 만든다. 석적 또는 사롱 등이 사용된다.
(5) 수로 공사
이것은 유로(流路)를 정리(整理)하여 난류(亂流)를 없애거나, 또는 연약한 기슭(岸)으로부터 강고한 기슭(岸)으로 유로(流路)를 유도하는 등의 유로(流路) 전환 공사를 가리킨다. 부석(敷石), 장석(張石) 또는 콘크리트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2. 산허리 공사
이 공사는 그 목적이 불규칙한 침식 지형의 정형(整形)과 지표 안정의 둘로 나누어진다.
(1) 법절(法切) 공사
이것은 불규칙한 침식 지형을 정형(식수(植樹)에 알맞는 지형으로 만든다)하기 위한 공사이다.
(2) 계단 공사
이것은 법절(法切)을 행한 산허리에 계단을 만드는 것에 의해, 지표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속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양의 흡수(吸水)를 조장하기 위한 공사이다. 계단 전방면의 급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공법이 채용되고 있다.
잔디 공사(잔디를 사용한다)
근공(筋工; 훤(萱)을 사용한다)
산허리 편책 공사
산허리 석적 공사
(3) 산허리 피복 공사
이것은 토양의 응집력이 결핍된 산허리를 피복함에 의해, 지표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의 속도를 줄이고, 빗방울의 지표 충돌을 방해하는 공사이다. 이 공사에서는 산 전체를 덮는다. 구체적인 예로는 산허리를 섶나무 가지 다발로 망상(網狀)으로 피복하는 공사 등이 있다.
(4) 산허리 수로 공사
이것은 산허리의 오목한 부분에서, 물이 모여 흘러내리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잔디 깔기(芝張) 또는 돌 깔기(石張) 공사를 말한다.
3. 사태 공사
이것은 사태가 원인이 되는 지하수를 배제하기 위해서, 섶나무 가지 다발 또는 철선 사롱에 석력(石礫)을 채운 것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암량(暗梁) 공사 등을 가리킨다.
4. 토석류(土石流) 공사
(1) 사방 댐 공사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2) 사력 퇴적지 공사
이것은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유로(流路)에 확장 부분을 설치하고, 이 부분에 흙, 모래, 자갈을 퇴적시킴에 의해 토석류의 세력을 감소시키는 공사를 가리킨다.
상술한 것 같은 종전의 치산 공사의 기술에는 이하에 서술하는 것 같은 문제가 있다.
이의 대부분은 일반 하천의 치수 공사에도 적용된다.
1. 방대한 경비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점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산지가 있는 곳 반드시 어딘가의 치산 공사가 필요하게 되고, 더구나, 하나의 치산 공사에 관해서 보더라도, 통상은 그 시공 대상지는 커다란 넓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대상지에 댐 등이 견고한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대한 노동력, 자재, 경비를 필요로 한다. 국가나 지방자치체의 제한이 있는 재정 능력을 가지고서는 도저히 충분한 공사는 실시할 수 없다. 이 대로의 상태에서 추이하면, 경제상의 이유에 의해서 국토의 붕괴는 진행하게 될 뿐이다.
2. 공사·시공의 곤란성
치산 공사의 대상지는 거의가 산간의 험한 협애(狹隘)한 장소이다. 따라서, 근대적인 공사 기재나 운반 기재를 조작하여 견고한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곤란이 있다. 또한, 공사에 따르는 인신(人身)의 위험도도 높다.
3. 전문적 기술력의 필요성
멈추지 않고 진행되는 자연의 침식을 예방하고, 또한 복구시키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에는 고도의 전문적 지식 기술이 필요하다. 댐의 건설 하나를 가지고 보더라도, 어떠한 장소에 어떠한 강도의 댐을 건설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조사, 연구와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는 설계, 시공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공사는 전문적 토목사업자에게 의존하지 않을 수 없고, 통상의 산림노동자의 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적다.
4. 시공 재료의 조달의 곤란성
댐 등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철재, 골재, 석재, 콘크리트 등의 자재를 필요로 한다. 이들은 어느 것이나 현지에서 조달하는 것은 곤란하고, 생산지에서 장거리를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5. 시설의 비유연성
한번 설치한 댐 등의 구조물은 견고한 고정 시설로 되어, 개조·철거·이동 등이 현저하게 곤란하다.
6. 공사에 의한 환경 파괴의 문제
산지에 대규모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지의 일부를 파괴하거나, 그 형상을 변경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사에 의해서, 오히려 산지의 자연 환경이 파괴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물은 산지에 위화감을 주어서, 자연 경관을 해칠 우려가 많다.
본 발명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및 그 밖의 하천 등에서, 자연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산골짜기의 시냇물 및 하천의 사방 공사, 호안 공사 등을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허리의 지표(地表)를 자연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시냇물의 바닥의 침식 방지를 목적으로 한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호안을 목적으로 한 공사 및 호안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산허리의 토사(土砂) 안정화를 목적으로 한 공사 및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및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세로 밧줄 2: 거점(據點)
3: 계류물(繫留物) 4: 계류(繫留) 밧줄
5: 보조 밧줄 6: 연결 밧줄
7: 가로 밧줄 8: 흙, 모래, 자갈
10: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20: 산허리
30: 산
본 발명 제 1 양태는 (a)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b) 둘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對向)시키고, 상기 세로 밧줄(1)로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繫留: 잡아매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사방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2 양태는 (a) 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b) 상기 세로 밧줄(1) 상호간을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공정과, (c) 둘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시키고,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사방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3 양태는 (a)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b)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기슭(岸)을 따라 존재하도록, 상기 계류물(3)을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호안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4 양태는 (x)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y) 둘 이상의 계류물(3)이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으로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5 양태는 (x) 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y) 상기 세로 밧줄(1) 상호간을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공정과, (z) 둘 이상의 계류물(3)이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으로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6 양태는 (a) 가로 밧줄(7)을 둘 이상의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b)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시키고, 상기 가로 밧줄(7)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가로 밧줄(7)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밧줄(7), 거점(2) 및 계류물(3)을 필수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구조물을 상기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2조(組) 이상 설치하는 사방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7 양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및/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하여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8 양태는 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및/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 밧줄(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하여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9 양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및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및/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호안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기슭(岸)을 따라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10 양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및/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11 양태는 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및/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 밧줄(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및/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12 양태는 가로 밧줄(7), 둘 이상의 거점(2) 및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및/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밧줄(7)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하여 존재하도록, 상기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가로 밧줄(7)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 13 양태는 하나 이상의 밧줄, 하나 이상의 거점(2) 및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밧줄 중의 하나 이상는 하나 이상의 거점(2)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밧줄 중의 하나 이상(거점(2)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밧줄이라도, 기타의 밧줄이라도 좋다)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밧줄」의 개념에는 상기 본 발명 제 1 내지 제 12 양태에 있어서의 세로 밧줄(1), 계류 밧줄(4), 보조 밧줄(5), 연결 밧줄(6) 및 가로 밧줄(7)이 포함되고, 또한, 기타의 밧줄도 포함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는 1개의 세로 밧줄(1)이 사용되고 있다. 세로 밧줄(1)은 산골짜기의 시냇물내에 설치된 콘크리트제의 거점(2)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계류물(3a, 3b, 3c)은 계류 밧줄(4)을 사이에 두고 세로 밧줄(1)에 결합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3개의 계류물이 사용되고 있지만, 계류물(3a)에 대하여 계류물(3b) 및 계류물(3c)은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고, 즉 물의 흐름 방향으로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고 있다. 계류물(3b)과 계류물(3c)은 서로 병치(竝置)되어 있다. 또한, 계류물(3a, 3b, 3c)은 물의 흐름 방향에 거의 대향하여, 바꾸어 말하면, 그 긴쪽 방향이 하천 폭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계류되어 있다. 그 결과, 계류물(3a)에 대하여 계류물(3b) 및 계류물(3c)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계단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계류물(3a, 3b, 3c)은 토낭(土囊)이다.
도 2도는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에서는 2개의 세로 밧줄(1)이 사용되고 있다. 세로 밧줄(1)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거점(구체적으로는 입목(立木); 2)에 고정되어 있다. 계류물(3)은 목재이고, 이것은 세로 밧줄(1)에 의하여 직접 계류되어 있다.
도 3은 시냇물의 바닥의 침식 방지를 목적으로 한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세로 밧줄(1) 2개를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본 예에 있는 대구경의 입목(2) 및 산골짜기의 시냇물 중에 설치한 콘크리트 블럭(2')에 고정하고 있다. 즉,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경사에 따라서 육상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입목과 인공구조물인 콘크리트 블럭를 거점(2, 2')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개개의 거점(2, 2')이 그다지 견고하지 않은 때에는 그 수를 많게 하면 좋다. 세로 밧줄(1)의 길이를 길게하면 할수록, 거점(2, 2')과 세로 밧줄(1)에 걸리는 하방 또는 측방에의 장력에 대한 세로 밧줄(1) 등의 저항력은 증대한다. 이 저항력의 증대는 세로 밧줄(1)의 길이가 길게 됨에 따라, 세로 밧줄(1)의 자중이 증대하는 점과, 일반적으로는 필요한 거점(2)의 수가 늘어나, 이들의 거점(2)에 의한 저항이 가해짐에 따라서 발생한다.
도 3에 있어서는 자연물인 목재가 계류물(3)로서 사용되고 있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류물(3)은 세로 밧줄(1)의 위에 놓이도록 계류되어도 좋고(상류측의 2개의 계류물(3)의 계류 방법), 세로 밧줄(1)의 밑에 숨어들도록 계류되더라도 좋다(하류측의 2개의 계류물의 계류 방법). 전자에서는 세로 밧줄(1)의 안정도가 증가하고, 후자에서는 계류물(3)의 안정도가 증가한다. 산골짜기의 시냇물에는 계류 밧줄(4)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최하류에 있어서, 2개의 세로 밧줄(1) 각각에, 계류물(3) 각 1개가 계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보다 작은(긴쪽 방향의 길이가 짧은) 계류물(3)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천은 하류로 갈수록 하천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넓은 하천폭에 대응하기 위해서, 이와 같이, 계류물(3)을 가로 방향으로 병치시킬 필요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도 3의 예로서는 병치된 계류물(3) 상호간을 연결 밧줄(6)으로써 연결하여, 계류물(3)을 안정화시키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러한 계류물(3)이 댐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그 계류물(3)의 상방에 흙, 모래, 자갈(8)를 고정되도록 배치하여 시냇물의 바닥을 높여, 물의 세력을 약하게 하여 시냇물의 바닥의 종침식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흙, 모래, 자갈(8)의 퇴적에 의해, 계류물(3)은 점차로 확실히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정착성이 증대한다. 본 예에서는 계류물(3)의 수를 늘려 그 간격을 짧게 하면 할수록, 종침식 방지의 효과는 늘어난다.
도 4은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호안을 목적으로 한 공사 및 호안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1개의 세로 밧줄(1)을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외측의 육지에 존재하는 거점(구체적으로는 입목; 2)에 직접 또는 보조 밧줄(5)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거점(2)은 침식되어 있는 계안(溪岸)을 따라 존재하고 있다. 계류물(3)은 수개의 목재를 발(簾) 모양으로 늘어놓은 것이다. 본 예에서는 계류물(3)은 계류 밧줄(4)을 사이에 두고 세로 밧줄(1)에 계류되어 있고, 또한, 계류물(3) 상호간은 연결 밧줄(6)에 의해서 서로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예는 호안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기슭(岸)에 따르도록, 바꾸어 말하면, 그 긴쪽 방향이 흐름과 평행하게 되도록 계류되어 있다.
이러한 호안 공사를 행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계류물(3)의 주위에 흙, 모래, 자갈이 퇴적하고, 마치 제방을 만들은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되게 되어, 계안이 보호된다.
도 5는 산허리의 토사안정화를 목적으로 한 공사 및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붕괴가 진행하고 있는 넓은 벌거벗은 산허리(20)에, 4개의 세로 밧줄(1)이 1개의 세로 밧줄(1)당 수개 장소의 거점(2)에 고정되는 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세로 밧줄(1)은 산의 산등성이(산정)을 타고 넘고, 도시되지 않은 산의 반대측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물론, 산의 반대측에도 거점(2)이 존재한다. 필요에 따라서, 산의 산등성이에도 거점(2)을 설치하여도 좋다. 세로 밧줄(1) 상호간의 간격은 적상기도 무방하다. 또한, 이것들의 세로 밧줄(1) 상호간은 가로 밧줄(7)에 의해서도 연결되어 있다. 이들 세로 밧줄(1), 가로 밧줄(7)에는 다수의 계류물(3)이 계류 밧줄(4)를 사이에 두고 계류되어 있다. 또한, 계류물(3) 상호간은 연결 밧줄(6)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병치되어 있다. 본 예와 같이, 계류물(3)은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계류물(3) 상호간이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도록, 계류물(3)은 산허리에 놓여지지만, 계류물(3) 상호간의 간격은 전부 같을 필요는 없다. 즉, 본 예와 같이, 계단 모양으로 규칙 바르게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산허리 전체가 되도록 많은 계류물(3)을 불규칙하게 계류함에 의해서도, 토사의 붕괴를 막아 산허리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계류물(3)의 상방에 흙, 모래, 자갈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산허리(20)가 안정화되기 때문에, 이들 안정화된 산허리(20)에, 식수·잔디부착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중의 상류측의 구조물에 있어서는 가로 밧줄(7)은 입목(2)과 콘크리트 블럭(2')에 고정되어 있다. 한쪽, 하류측의 구조물에 있어서는 가로 밧줄(7)은 2개의 입목(2)에 고정되어 있다. 하류측에서는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양안의 거의 같은 위치에, 거점(2)으로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입목(2)이 각각 존재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거점(2)으로서 이용하였다. 한편, 상류측에는 한쪽의 기슭(岸)에는 입목(2)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입목(2)이 존재하는 기슭(岸)과는 반대측의 기슭(岸)이 적절한 장소에, 콘크리트 블럭(2')을 박아넣어 거점(2')으로 하였다.
거점(2)에 알맞은 입목 등이 적절한 위치에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인공의 거점(2)을 만들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입목은 존재하지만 강도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한쪽의 기슭(岸)에 관하여, 복수의 입목에 보조 밧줄(5)를 감아붙여, 이들의 보조 밧줄(5) 상호간의 결삭(結索) 장소에, 가로 밧줄(7)을 결합시켜도 좋다.
본 예에서는 계류물(3)로서 콘크리트 블록(3)을 사용하고, 계류 밧줄(4)을 사용하여 상기 계류물(3)을 가로 밧줄(4)에 계류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하나는 복수의 계류물을 사용하여, 토석류 등의 발생시에 계류물 등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키는 것에 있다. 따라서, 도 6의 예와 같이, 세로 밧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계류물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 존재하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및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산의 산정(山頂) 가까이(예를 들면 8/10 높이 부근)에, 밧줄(2)을 걸어 돌려, 상기 밧줄(2)을 거점(2)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상기 밧줄을 콘크리트 블럭 등의 거점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상기 밧줄은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보조 밧줄(5)이 된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세로 밧줄(1)은 산(30)의 특정한 사면(산허리)에만 존재한다. 그러나, 세로 밧줄(1)을 산의 전체 사면(斜面)에 존재시켜도 좋다. 또한, 세로 밧줄(1) 상호간의 간격은 적상기도 무방하다. 세로 밧줄(1) 상호간은 가로 밧줄(7)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로 밧줄(7)의 위치는 가로 밧줄(7)이 존재하는 열(列)마다 달라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토석류 등에 의한 힘(부하)이 본 발명의 구조물에 걸렸을 때에, 그 힘의 방향이 어떠한 것이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계류물(3)은 가로 밧줄(7)에는 계류 밧줄(4)을 사이에 두고, 세로 밧줄(1)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계류물(3)의 상방에 흙, 모래, 자갈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산허리(20)가 안정화되기 때문에, 그 다음은 식수·잔디부착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8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사방 공사 및 사방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계류물(3)을 계류하고 있는 세로 밧줄(1)은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이 존재하는 측의 사면(산허리)에 설치된 거점(2)에 결합되고, 또한, 산의 산등성이를 타고 넘어, 도시되지 않은 산의 반대측에까지 연장되어, 상기 반대측의 사면에 존재하는 거점(2)에 의해서도 고정되어 있다.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 2의 예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 밧줄(1)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희망하는 강도를 나타내고, 내수성(耐水性)이 뛰어난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 일례로서, 강철 밧줄(鋼索)을 들 수 있다. 오늘날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강철 밧줄의 강도를 가지면, 강철 밧줄을 가지고 목재, 석재 등을 계류하고,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여도, 강철 밧줄이 자연의 힘에 의해서 절단되어, 계류물이 크게 이동하거나 일시에 대량의 계류물이 흘러가게 되는 등의 사태는 초래되지 않는다. 또한, 강철 밧줄에는 JIS G 3525에 기재된 것 등, 각종의 것이 있고, 그 표면 처리의 유무, 꼬는 방법, 직경 등에 따라, 절단 하중도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물의 설치 장소의 다양한 조건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는 강철 밧줄을 선택하면 좋다. 세로 밧줄(1)의 다른 예로서는 강철제 사슬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산허리의 붕괴 방지 공사의 경우 등에 있어서, 공사대상지가 광범위하게 미치는 경우에도, 강철 밧줄은 그 길이를 희망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서 적절하다. 이 경우, 대상지를 커버하는 데 큰 곤란은 없고, 또한, 유구조(柔構造)의 공사이기(즉, 강고한 건조물을 만드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때문에, 필요로 하는 장소에 긴급히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구조(柔構造)의 공사의 경우, 설치된 시설의 개조·보수·이동이 용이하다고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산지의 산등성이를 넘어서, 밧줄을 긴 구간 설치할 수가 있으면, 개개의 거점의 강도는 그다지 클 필요는 없다. 따라서, 공사가 산간 벽지에서 행하여진다고 해도, 그렇게 곤란한 것은 아니다.
거점(2)에는 입목, 바위나, 콘크리트 블럭 등의 인공구조물을 사용한다.
입목을 사용하는 경우, 거목일 필요는 없지만,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린 것은 필요하다. 입목의 거점(2)으로서의 강도에 불안한 점이 있는 경우에는 1개의 세로 밧줄(1)을 2개 이상의 입목에 고정하여도 좋다. 특히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사방, 호안 공사에서는 입목이 거점(2)으로서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또한, 인공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크기나 재료는 그 경우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산허리의 붕괴 방지 공사에서는 입목만으로서는 거점(2)의 수가 부족하거나, 적절한 장소에 입목이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입방형상이나 원주형상의 콘크리트 블록 등의 거점(2)의 설치가 추천 장려된다. 한쪽, 산골짜기의 시냇물나 하천 내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하여 거점(2)으로 하는 경우에는 소파(消波: 파도를 약하게 하는) 효과도 있는 테트라포트(상표)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을 산허리의 붕괴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는 산의 예를 들면, 8/10 높이 부근의 주위에 밧줄을 걸어 돌려, 밧줄을 거점(2)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점(2)은 사방용 구조물이나 호안용 구조물에서는 산골짜기의 시냇물이나 하천의 기슭(岸), 또는 산골짜기의 시냇물이나 하천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산골짜기의 시냇물이나 하천이 존재하는 산의 사면이나 그 산의 산등성이에 거점(2)을 설치하고, 그 거점(2)까지 세로 밧줄(1)을 연장하여도 좋다.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이나 하천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사면에 거점(2)을 설치하고, 상기 거점(2)까지 세로 밧줄(1)을 연장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산의 반대측에는 지반이 안정하고 있는 장소를 찾아낼 수 있고, 그 결과, 강고한 거점(2)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의 경우도, 같은 이유에 의해, 계류물(3)이 존재하는 산허리와는 반대측의 산의 사면이나 필요에 따라서 산등성이에도 거점(2)을 설치하고, 세로 밧줄(1)을 상기 거점(2)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류물(3)로서 사용되는 것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 특히 무거운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토낭 등이다.
침식이 진행하고 있는 시냇물의 바닥에 적당한 간격으로 자연의 목재인 계류물(3)을 단독으로 또는 연결하여 계단 모양으로 설치하는 경우, 목재로서, 뿌리 또는 가지의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사용하면, 흘러내리는 물이나 흙, 모래, 자갈을 유지(留止)하는 효과를 늘릴 수 있다. 또한, 호안 공사의 경우에도, 계류물(3)로서, 가지나 뿌리의 부분을 남긴 자연의 목재의 형 그대로의 것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산골짜기의 시냇물·하천의 하류측이나, 산의 기슭 가까이 설치되는 계류물(3)은 1개만으로 하면 길이가 긴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2개 이상을 사용하여, 병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류물(3) 상호간은 연결 밧줄(6)로써 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토사 등의 일부가 계류물(3) 사이에서 또한 하류(또는 기슭)측으로 흘러내리지만, 계류물(3)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조물의 파괴는 방지된다.
산허리의 붕괴에 의해서 생기는 재해를 예방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세로 밧줄(1)을 산의 산등성이를 넘어서 산의 양측에 걸어 건네주고, 계류물(3)을 그 세로 밧줄(1)의 양끝에 계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광범위한, 경우에 따라서는 예측 외의 장소의 붕괴에 대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점(2)에 가하여 비붕괴측의 계류물(3)의 힘에 의해, 토사 등을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밧줄(1)을 산정을 넘어서 걸어 건네주는 대신에, 산의 8/10 높이 부근을 일주(一周)하도록 보조 밧줄(5)을 거점(2)에 고정하고, 그 보조 밧줄(5)에 복수의 세로 밧줄(1)을 결합하고, 각 세로 밧줄(1)의 하단에 계류물(3)을 계류시켜도 좋다.
계류 밧줄(4), 보조 밧줄(5), 연결 밧줄(6), 가로 밧줄(7)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세로 밧줄(1)과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밧줄(1) 또는 보조 밧줄(5)의 거점(2)에의 고정은 감아붙임, 쇠장식에의 고정, 결삭 등의 공지 방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밧줄 상호간의 연결도, 예를 들면 강철 밧줄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쇠장식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세로 밧줄(1) 또는 계류 밧줄(4)에 의한 계류물(3)의 계류도, 특별한 방법은 필요하지 않다. 요는 밧줄의 강도를 살리는 방법에 있어서, 계류물(3)이 하류에 흐르지 않은 방법이면 충분하다. 또한, 여기서의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한다」란, 계류 밧줄(4)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쇠장식 등의 보조구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계류 밧줄(4)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쇠장식(쇠로 만든 걸쇠 등) 등의 보조구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공사 방법의 실시에 임하여, 장대하고 중량이 있는 목재 등의 계류물(3)을 상당한 거리를 운반, 이동시켜 소요의 장소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가선(架線)에 의한 수집·운반의 기술을 이용하면 좋다.
또한, 이들의 밧줄의 설치나 목재 등의 운반, 계류 등은 전문적이고 또한 고도의 토목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조물의 필요 강도는 그 설치 장소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강도는 설치 장소의 기상 조건이나 토질, 하천의 유속이나 유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들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한 공지의 계산식에 따라서 산출되는 값을 예를 들면 1.2배(안전율이 20%)하여, 필요 강도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하나는 복수의 계류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계류물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계류물을 1개만 갖는 구조물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도 6의 예에서는 각 구조물이 갖는 계류물의 수는 1 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에 있어서, 계류물을 1개만 가지는 것의 다른 예로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a)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 내에 설치된 거점(2)으로서의 테트라포트(상표)에, 밧줄을 걸어 돌려 고정하고, 그 밧줄의 일단을 계류물(3)의 중앙 부근에 걸어 돌려, 또는 양끝을 계류물(3)의 양끝 부근에 걸어 돌려, 1개의 계류물(3)을 계류하고 있다고 하는 구조의 것, (b)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의 한쪽의 기슭(岸)에 존재하는 2개의 나무(거점) 각각에, 세로 밧줄(1)을 1개씩 고정하고, 이 2개의 세로 밧줄(1)로 1개의 계류물(3)을 계류하고 있다고 하는 구조의 것, (c) 산허리에 설치된 거점(2; 콘크리트제의 것, 또는 적당한 입목이나 바위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에, 계류 밧줄(4)을 사이에 두고 계류물(3)을 계류하고 있는 세로 밧줄(1)이 고정되어 있다고 하는 구조의 것 등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구조물을 복수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사 방법도,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또한, 토석류 등의 발생에 의해서 생기는 계류물(3)에 걸리는 힘의 예측치가 작은 경우에는 계류물(3)을 1개만 갖는 구조물을 1개만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공사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방, 호안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는 강철 밧줄과 산지 또는 하천에서 생산되는 목재 또는 석재이다. 이들의 재료는 양적으로도 가격적으로도 종래의 공사 재료에 비교하면 비교가 되지 않은 정도로 조달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제성이 높다. 또한, 강철 밧줄을 장거리에 걸쳐 설치하는 경우라도, 지상에 설치하면 대규모의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간편하고, 그 대부분은 통상의 산림 노동의 연장으로서, 전문적 능력을 갖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이 공사는 시공지를 파괴하는 일은 거의 없고, 또한 그 외관을 상처입힐 우려도 지극히 적다. 자연의 목재·석재 등을 이용하면, 긴 세월의 사이에 이들이 매몰하거나 썩어 부패해도, 수질 오탁(汚濁) 등에 의해서 환경을 파괴하는 일은 거의 생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의 자력 재생력을 활용하고, 자연의 것은 자연으로 돌아간다고 하는 사상을 실현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삼림(입목)에 의해서 자연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입목에서도, 이것이 벌채된 후에 있어서도 또한, 자연보호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에 있어서는 계류물 개개에 의한 사방 또는 호안의 효과는 작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계류물의 수를 늘림에 의해, 전체로서 큰 인공의 댐이나 호안 공사에 뒤떨어지지 않는 침식 방지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산골짜기의 시냇물 공사에 기대되는 이러한 댐 기능은 침식·붕괴가 진행하는 광범한 산허리의 붕괴 방지를 목적으로 한 본 발명의 다른 구조물에 있어서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조물은 대량의 자연의 목재 또는 철선 사롱 등을 산허리에 배치하고, 이들을 강철 밧줄에 의해서 연결·고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 구조물에 의해, 비교적 짧은 기간내에, 중요한 산허리 기능이 회복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인공의 콘크리트 블럭 등에 의한 사방, 호안 공사는 경승지(景勝地)의 귀중한 자연 경관을 현저히 상처를 입히는 것이지만, 본 공사는 콘크리트 블럭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장소에는 경관을 상처를 입히지 않고 자연 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
이상 그대로, 본 기술을 응용하면, 지극히 대규모인 산골짜기의 시냇물, 하천이나 산허리의 침식에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성 4년(1992년) 3월말에서의 일본국의 급경사지 붕괴 위험 장소는 약 1만 9,000 장소, 또한 평성 5년(1993년) 조사에 의한 토석류 위험 산골짜기의 시냇물 수는 약 7만 9,000 장소, 사태 위험 장소는 약 1만 1,000 장소로 되어있다(치산연구회(治山硏究會)편, 평성 8년판 치산편람(治山便覽), 23페이지 참조할 것). 또한, 평성 7년도(1995.4∼1996.3)의 일본 전체의 치산사업비 총예산은 약 4,530억엔으로 되어있다(1996년판 치산편람, 87페이지 참조할 것).
일반의 하천에 관해서도, 사방, 호안 공사를 필요로 하는 장소의 수 및 이를 위한 예산은 상기한 바에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대로, 본 발명의 실시는 종래 방법에 비교하여 훨씬 간단하고, 거액의 공사비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의 것과 같은 위기적인 실정에 있는 국토, 특히 산지에 있어서의 침식·붕괴의 방지, 복구를 위한 공사 범위·장소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목재·석재를 주요 재료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 이용 가치가 적던 대량의 풍도목(風倒木)이나 간벌재 및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흙, 모래, 자갈 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치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반 하천의 사방·호안을 위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 같은 능률 한가지만으로 밀고 나가는 습기가 없는 것과는 다른, 자연을 배려한 안전한 하천의 실현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의 임업 노동자에 대하여 큰 취업기회를 주고, 농산촌(農山村)의 활성화에 공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시공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온 산지의 대규모의 침식·붕괴 등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이들을 인위적으로 방지, 복구하는 것이 가능해져, 극언하면, 후지산의 침식 방지조차 실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가져오는 이러한 효과에는 막대한 장점이 있다.

Claims (78)

  1.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시키고,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을 따라 육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입목, 바위 또는 인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및 토낭(土囊)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병치되어 있으며, 연결 밧줄(6)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해서, 세개 이상의 계류물(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1. 두개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세로 밧줄(1) 상호간을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공정과,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시키고,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을 따라 육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입목, 바위 또는 인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및 토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병치되어 있으며, 연결 밧줄(6)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해서 세개 이상의 계류물(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21.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기슭(岸)을 따라 존재하도록, 상기 계류물(3)을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을 따라 육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입목, 바위 또는 인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및 토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연결 밧줄(6)로 서로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31.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이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입목, 바위 또는 인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주위에 걸어 돌린 밧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및 토낭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산허리에 계단 모양으로 존재하도록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0. 제 31 항에 있어서, 병치되어 있으며, 연결 밧줄(6)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해서 세개 이상의 계류물(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1.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산의 산등성이를 타고 넘어 양쪽 방향의 산허리에 존재하도록 상기 거점(2)에 고정되고,
    각 산허리에 둘 이상의 상기 계류물(3)을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의 양쪽 하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물(3)을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3. 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세로 밧줄(1) 상호간을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공정과,
    둘 이상의 계류물(3)이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입목, 바위 또는 인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주위에 걸어 돌린 밧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및 토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4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산허리에 계단 모양으로 존재하도록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50.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51.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52. 제 43 항에 있어서, 병치되어 있으며, 연결 밧줄(6)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해서 셋 이상의 계류물(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53.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산의 산등성이를 타고 넘어 양쪽 방향의 산허리에 존재하도록 상기 거점(2)에 고정되고,
    각 산허리에 각각 둘 이상의 상기 계류물(3)을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의 양하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물(3)을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55. 가로 밧줄(7)을 둘 이상의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시키고, 상기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가로 밧줄(7)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밧줄(7), 거점(2) 및 계류물(3)을 필수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구조물을 상기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2조(組) 이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을 따라 육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58.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입목, 바위 또는 인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59.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밧줄(7)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0.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밧줄(7)은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1.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및 토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2.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3.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3)은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4.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중 1조 이상은 병치되어 있으면서 연결 밧줄(6)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계류물(3)을 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65.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 있는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하여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용 구조물.
  66. 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밧줄(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하여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용 구조물.
  67.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및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호안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기슭을 따라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구조물.
  68.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
  69. 둘 이상의 세로 밧줄(1), 거점(2), 하나 이상의 가로 밧줄(7) 및 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밧줄(1)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밧줄(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산의 높이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또한, 그 긴쪽 방향이 산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존재하도록,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 또는 가로 밧줄(7)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용 구조물.
  70. 가로 밧줄(7), 둘 이상의 거점(2) 및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고, 또한, 계류 밧줄(4) 또는 보조 밧줄(5)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밧줄(7)은 상기 거점(2)에 직접 또는 상기 보조 밧줄(5)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하여 존재하도록, 상기 가로 밧줄(7)로 직접적으로 계류되거나, 또는, 상기 가로 밧줄(7)에 결합된 상기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용 구조물.
  71. 하나 이상의 밧줄, 하나 이상의 거점(2) 및 하나 이상의 계류물(3)을 포함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밧줄 중의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거점(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계류물(3)은 상기 밧줄 중의 하나 이상(거점(2)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밧줄이나, 기타 밧줄)에 의하여 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7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이 존재하는 측의 사면(斜面), 산의 산등성이 및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사면 중의 어느 한 장소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7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이 존재하는 측의 사면, 산의 산등성이 및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사면 중의 어느 한 장소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
  7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이 존재하는 측의 사면, 산의 산등성이 및 산의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사면 중의 어느 한 장소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공사 방법.
  7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상기 계류물(3)이 존재하는 산허리와는 반대측의 산의 사면에 존재하고,
    상기 세로 밧줄(1)은 산의 산등성이를 타고 넘어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산등성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7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상기 계류물(3)이 존재하는 산허리와는 반대측의 산의 사면에 존재하고,
    상기 세로 밧줄(1)은 산의 산등성이를 타고 넘어 상기 거점(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2)은 산의 산등성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KR1019997003331A 1996-10-18 1997-10-20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KR100356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14696 1996-10-18
JP96-311146 1996-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28A true KR20000049228A (ko) 2000-07-25
KR100356977B1 KR100356977B1 (ko) 2002-10-18

Family

ID=1801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331A KR100356977B1 (ko) 1996-10-18 1997-10-20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6247873B1 (ko)
EP (1) EP0937823B1 (ko)
JP (1) JP3045779B2 (ko)
KR (1) KR100356977B1 (ko)
CN (1) CN1129689C (ko)
AT (1) ATE349575T1 (ko)
AU (1) AU725488B2 (ko)
BR (1) BR9711917A (ko)
CA (1) CA2268189C (ko)
DE (1) DE69737147T2 (ko)
EA (1) EA000655B1 (ko)
ES (1) ES2278397T3 (ko)
HK (1) HK1022940A1 (ko)
ID (1) ID21558A (ko)
NO (1) NO991609L (ko)
NZ (1) NZ334812A (ko)
WO (1) WO1998017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4996A1 (fr) * 1999-01-28 2000-08-03 Tomio Fukui Procede permettant l'installation d'une conduite ou d'un tube similaire sur une montagne au moyen d'un cable
CN1091198C (zh) * 1999-12-07 2002-09-18 刘平 干根网状护坡法
JP2002201627A (ja) * 2000-12-28 2002-07-19 Tomio Fukui 砂防又は護岸工事方法、並びに、砂防又は護岸用構造物
US6402426B1 (en) * 2001-01-12 2002-06-11 Forest Concepts Llc Engineered environmental structure and method of its use
US11047124B2 (en) * 2005-07-08 2021-06-29 Keith R. Underwood Sand seepage stream and wetland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cological restoration
BRPI0713521A2 (pt) * 2006-06-23 2012-02-14 Hans Christian Behm escoadouro ajustável para instalações de barragem hidroéletrica
US8287209B2 (en) * 2008-12-11 2012-10-16 Boris Feldman Protective flood barrier system
US8486273B2 (en) * 2010-03-26 2013-07-16 John Berger Water deflection silt collection system
KR101171743B1 (ko) 2012-03-15 2012-08-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사 거동 표준 시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사 거동 추적 방법
RU2550120C1 (ru) * 2014-03-11 2015-05-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т селевых потоков
RU2634290C1 (ru) * 2016-07-05 2017-10-24 Борис Валерьевич Журавлев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верхнего слоя водного потока реки или канала
RU2634547C1 (ru) * 2016-07-05 2017-10-31 Борис Валерьевич Журавлев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верхнего слоя водного потока реки или канала
RU2634542C1 (ru) * 2016-07-05 2017-10-31 Борис Валерьевич Журавлев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верхнего слоя водного потока реки или канала
RU2634292C1 (ru) * 2016-07-05 2017-10-24 Борис Валерьевич Журавлев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верхнего слоя водного потока реки или канала
US10738424B2 (en) 2017-08-04 2020-08-11 R&B Lea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ockfalls
US11391005B2 (en) 2017-08-04 2022-07-19 R&B Lea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ockfalls
CN108520132B (zh) * 2018-03-30 2022-06-24 湖北省水利水电规划勘测设计院 一种河段阻隔性特征识别及阻隔程度分类的方法
CN108755586A (zh) * 2018-07-09 2018-11-06 黑龙江省水土保持科学研究院 一种用于治理侵蚀沟的挡墙
JP2020016070A (ja) *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捕捉体の設置方法および捕捉体
CN114875857B (zh) * 2022-06-20 2022-11-29 西南交通大学 适用于火烧迹地火后泥石流综合治理的装置和方法
CN115075184B (zh) * 2022-07-08 2024-05-17 江苏百绿园林集团有限公司 一种城市内河弯曲河道防侵蚀护岸结构布局与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07A (en) * 1890-04-29 Wire riprap and jetty work
USRE16976E (en) 1928-05-22 Poration
US752781A (en) * 1904-02-23 Gabion
US554777A (en) * 1896-02-18 Method of bracing and lashing riprap and jetty work
US864481A (en) * 1907-02-01 1907-08-27 David Neale Wing-dam or dike construction for riprap.
US1058879A (en) * 1912-09-30 1913-04-15 James M Maher Current-deflector.
US1151445A (en) * 1914-06-23 1915-08-24 William Henry Dean Stream-deflector.
US1281022A (en) * 1918-04-27 1918-10-08 Henry F Kellner Jetty construction.
US1409140A (en) * 1919-07-21 1922-03-07 Concrete Piling Company Method and means for current and channel control in moving bodies of water
US1389513A (en) * 1921-03-25 1921-08-30 Henry F Kellner Silt-accumulator
US1748444A (en) * 1927-03-25 1930-02-25 Dutton George Edson Means for protecting river banks
US1873496A (en) * 1930-08-04 1932-08-23 Charles E Snyder River revetment
US2315351A (en) * 1941-07-02 1943-03-30 Schaefer Frederic Embankment retainer
US2844005A (en) 1955-03-24 1958-07-22 George W Rehfeld Jetty installation
GB1341957A (en) 1969-12-24 1973-12-25 Gregory L E Method of and system for protecting and/or stabilising an inclined face
FR2109196A5 (ko) 1970-10-06 1972-05-26 Creissels Denis
JPS5519325B2 (ko) 1973-07-24 1980-05-26
US3971221A (en) 1974-10-04 1976-07-27 Greenleaf Charles W Breakwater system for creating artificial sandbars
JPS57184131A (en) * 1982-04-03 1982-11-12 Kiyoshi Yamamoto Sheathing fence for slope and its construction
JP2531200B2 (ja) 1987-10-07 1996-09-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式砂防堰堤
CH674998A5 (en) * 1988-07-13 1990-08-15 Streiff Ag Mathias Device for prevention of avalanches - consists of pyramidal structure suspended at end of cable to support snow mass
JP2589375B2 (ja) 1989-06-09 1997-03-12 住金鋼材工業 株式会社 鋼製セルを使用した堰堤
US5259696A (en) 1992-02-24 1993-11-09 Beardsley Melville W Means for and method of beach rebuilding and eros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8189C (en) 2005-01-04
CN1129689C (zh) 2003-12-03
NZ334812A (en) 2001-10-26
EA000655B1 (ru) 1999-12-29
DE69737147D1 (de) 2007-02-08
US6247873B1 (en) 2001-06-19
HK1022940A1 (en) 2000-08-25
ES2278397T3 (es) 2007-08-01
ID21558A (id) 1999-06-24
CA2268189A1 (en) 1998-04-30
EP0937823A4 (ko) 1999-08-25
AU725488B2 (en) 2000-10-12
DE69737147T2 (de) 2007-09-27
NO991609D0 (no) 1999-03-31
US20010026731A1 (en) 2001-10-04
BR9711917A (pt) 2000-01-18
ATE349575T1 (de) 2007-01-15
CN1234086A (zh) 1999-11-03
JP3045779B2 (ja) 2000-05-29
AU4574397A (en) 1998-05-15
KR100356977B1 (ko) 2002-10-18
EP0937823B1 (en) 2006-12-27
EP0937823A1 (en) 1999-08-25
WO1998017869A1 (fr) 1998-04-30
NO991609L (no) 1999-03-31
EA199900390A1 (ru) 199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97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CN202323965U (zh) 格栅格式绿化固土装置
Lowdermilk Erosion control in Japan
CN208517892U (zh) 一种用于治理侵蚀沟的挡墙
CN216892473U (zh) 一种不破坏坡体结构的直立陡崖生态修复系统
AU745606B2 (en)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mountain landslides
AU727462B2 (en) Construction methods for revetments
Jones Tukiangyien: China's ancient irrigation system
KR20090112357A (ko) 반쪽통나무와 코이어 넷 매트를 이용한 토사쓸림방지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N108755586A (zh) 一种用于治理侵蚀沟的挡墙
CN108716193A (zh) 一种边坡主动防护网
CN217078955U (zh) 一种与临水山体护坡结合的立体碧道系统
RU232081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репления из габионных тюфяков в период паводков
MXPA99003571A (es) Metodos de construcción para prevenir la erosión del terreno y mejorar las corrientes, o para muros de sostenimiento de tierras y métodos de construcción para prevenir derrumbes en laderas
Abbe et al. New innovative, habitat-creating bank protection method
TUFNELL Economical River-Training in India.
KR100483754B1 (ko) 퇴적유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호안공법
Montoya Pacific Coast Highway in California
Bates et al. Five Years of Restoration at Sinmax Creek
Justo Alpañés et al. The restoration of San Pedro cliff at La Alhambra
KR19990086701A (ko) 세굴된 하안의 복구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