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867B1 -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867B1
KR100554867B1 KR1020027011290A KR20027011290A KR100554867B1 KR 100554867 B1 KR100554867 B1 KR 100554867B1 KR 1020027011290 A KR1020027011290 A KR 1020027011290A KR 20027011290 A KR20027011290 A KR 20027011290A KR 100554867 B1 KR100554867 B1 KR 10055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cables
base
nets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514A (ko
Inventor
도미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도미오 후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오 후쿠이 filed Critical 도미오 후쿠이
Publication of KR2002007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4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공사들이나 대량의 비용을 필요로하지 않고, 강철 케이블들 및 강철 네트들을 사용하여 계류의 계안 및 지반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설 공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1)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거점들(2)에 고정하는 단계와, 적절한 간격들로 둘 이상의 측방향 케이블들(5)에 의해 종방향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단계와, 측방향 케이블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둘 이상의 네트들(3)이 계류의 상류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들로 배열되도록, 상기 네트들을 물의 흐름 방향으로 대향시켜,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측방향 케이블들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들에 의해 계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계류물, 호안 공사, 계류 케이블, 거점, 네트

Description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Method for soil erosion control works or shore protection works and structure for soil protection or shore protection}
본 발명은 산 사이에 위치된 계류 및 하천 등에서 자연 환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방 및 호안 공사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계류, 시냇물, 또는 하천의 지반(bed)(이하, "계류 지반"라 칭함)은 항상 수류에 의해 운반되는 모래나 돌들에 의해 침식된다. 특히, 홍수의 경우에, 빠르고 강한 토사류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계류 지반이 크게 침식된다. 이런 침식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 대책도 취하지 않는 경우에, 계안, 하안 또는 제방(이하, "계안(shore)"라 칭함)의 기부가 크게 깍여나가게 되고, 마찬가지로, 계류의 지반도 깎여져 나가게 된다. 이에 의해 계안이 붕괴되고, 그래서, 계류 지반상에 대량의 흙 모래 등이 퇴적되게 한다. 이는 토사류의 발생의 위험을 더 증가시킨다.
종래에는, 이런 토사류로 인하여 계류의 계안 및 지반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천 유역에서 데브리 배리어(debris barrier) 공사, 상고(床固) 공사 또는 호안 공사 등을 행하였다.
오래전부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데브리 배리어(댐) 공사는 일련의 댐들, 펜스들 등을 계류 지반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계류를 횡단하여 제공함으로써, 흙, 모래 및 자갈이 일련의 댐 등의 상류에 퇴적되게 하고, 계류 지반을 상승 및 상고(床固)시켜 수류 및 소정의 토사류의 힘을 약화시킨다.
상고 공사는 자갈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계류 지반을 단단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호안 공사는 콘크리트 등에 의해 계안의 측벽을 덮는 것이다. 이들 공사를 수행함으로써, 계류의 계안 및 지반이 침식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계류 지반은 그 하천 유역에서 장 거리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하류로 진행하면서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수류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계류 지반을 단단하게 하려면, 다수의 대규모 댐들이 구축되어야만하며, 계안의 측벽을 콘크리트로 덮어야만 한다. 이는 방대한 공사와 비용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철 케이블들 및 강철 네트들을 사용하여 방대한 공사와 비용을 필요로하지 않고 계류의 지반 및 계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설 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네트가 흘러내리는 수류 등에 대해 저항을 덜 받지만, 이를 밀어올리는 성향의 소정의 힘에 대하여는 저항이 크기 때문에,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는 아주 효과적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계류 지반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 공사 방법이며, 이 방법은 거점들(고정하는 지점들 또는 개소들)에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둘 이상의 측방향 케이블들에 의해 종방향 케이블들을 적절한 간격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측방향 케이블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둘 이상의 네트들을 제공하고, 이 둘 이상의 네트들을 종방향 케이블 및 측방향 케이블에 의해, 또는, 종방향 케이블들 및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들에 의해, 상기 네트가 수류의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이 네트가 수류에 대면하도록 계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거점들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다.
종방향 케이블들을 거점들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는 보조 케이블에 의해 두 거점들 사이를 연결하고, 보조 케이블에 의해 종방향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네트 및/또는 종방향 및 측방향 케이블들에 펜스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 펜스 부재는 돌로 채워진 길이가 긴 콘서티나(concertina)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콘크리트 블록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계안, 하안, 제방 등을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호안 공사 방법이며, 이 방법은 계류의 계안, 하안 또는 제방을 따라 또는 그 외측에 둘 이상의 거점을 제공하는 단계와, 계류의 수류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네트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가 상기 계안, 하안 또는 제방의 표면상에 매달려지도록 상기 네트의 상부측을 상기 거점에 연결하는 단계와, 계류 지반상에 제공된 제 2 거점에 상기 네트의 하부측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거점들은 인공 구조물 및 나무들일 수 있으며, 제 2 거점은 인공 구조물 또는 바위일 수 있다.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을 제 3 거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들에 의해 상기 네트를 계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거점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계류의 지반 및 계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제 1 거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을 고정하는 단계와,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에 의해 네트가 계류의 상류로부터 계류의 하류로의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둘 이상의 네트들을 계류시키는 단계와, 상기 계류의 계안을 따라 또는 그 외측에 둘 이상의 고정된 제 2 거점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계안의 표면상에 네트들이 매달려지도록 상기 네트들을 그 상부측에서 상기 제 2 거점들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들을 그 하부측에서, 상기 계류 지반상에 제공된 제 3 거점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 중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은 상기 네트들을 그 상부측에서 상기 제 2 거점에 연결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 2 거점과 제 3 거점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중 하나의 사이에 보조 계류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보조 계류물은 나무,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바아를 가지는 바아 블라인드형 커버 또는 격자(grating)이거나, 천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제 1 거점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일 수 있고, 상기 제 2 거점은 나무 또는 인공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제 3 거점은 인공 구조물 또는 바위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철 네트로 제조된 계류물들은, 사방 및/또는 호안 공사를 위해, 계류 지반 및/또는 계안 등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은 방대한 공사 및 비용을 필요로하지 않으면서 계류 지반 및 계안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방 공사를 위한 구조물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사방 공사를 위한 구조물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호안 공사를 위한 구조물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호안 공사를 위한 구조물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사방 및 호안 공사를 위한 구조물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사방 및 호안 공사를 위한 구조물의 개략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강철 케이블 및 강철 네트 등(강철 또는 철 와이어로 제조된 네트 등, 이하 "네트"라 칭함)이 침식으로부터 계류 지반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즉, 사방 공사를 위한 구조물 및 건설 방법이 설명된다.
도 1은 사방 공사를 위한 구조물 및 건설 방법을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구조물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복수의 종방향 케이블들(1)과, 두 개의 거점들(2)(본 실시예에서는 나무들)과, 두 개의 계류물들(3)과, 보조 케이블(4) 및 두 개의 측방향 케이블들(5)을 도시하고 있다.
종방향 케이블(1)은 보조 케이블(4)에 연결되고, 이는 대향하는 하안이나 계안들에 위치된 거점(2)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방향 케이블(1)은 보조 케이블(4)을 통해 거점(2)에 고정된다. 각 계류물(3)은 네트이고, 이는 본 발명의 특징부이며, 계류 지반을 덮기 위해, 종방향 케이블들(1; 본 실시예에서는 세개의 케이블) 및 하나의 측방향 케이블(5)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종방향 케이블(1), 보조 케이블(4), 측방향 케이블(5) 및 계류물(3)의 재료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강도와, 내구성, 특히,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소정의 것일 수 있다. 예로서, 종방향 케이블(1), 보조 케이블(4) 및 측방향 케이블(5)은 강철 케이블일 수 있으며, 네트는 강철 네트일 수 있다. 상업적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강철 케이블 및 네트는, 계류물들에 흘러내린 다량의 돌들이 퇴적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네트가 적절히 계류되는 경우에, 케이블들이 자연력들에 의해 절단되지 않도록, 그리고, 계류물들이 자연력에 의해 변 위되지 않도록 케이블에 의해 네트들을 계류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케이블들은 처리된 표면이건 미처리 표면이건, 그 표면들과, 꼬음 방법과, 그 직경에 따른 다양한 파괴 강도들을 가지는 JIS G 3525 등에 지정된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들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설치되게 되는 위치의 모래, 자갈 및 돌들의 크기 및 계류의 수류의 속도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완전히 고정되어 있거나 움직일 수 없는 나무나 바위 또는 콘크리트 블록들 같은 인공 구조물이 거점(2)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무들이 거점(2)으로서 사용된다. 거점으로서 작용하는 나무는 큰 것일 필요는 없지만, 어느 정도 넓게 뻗은 뿌리를 가지는 것이어야만 한다. 두 나무들(본 실시예에서처럼)이 본 발명의 구조물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지의 여부가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보조 케이블을 둘 이상의 나무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 방책은 후술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나무들은 계류를 위한 사방 및 호안 공사에 거점(2)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케이블(4)은 나무에 감거나, 나무에 묶거나 고정구를 사용하는 것 같은 소정의 공지된 방식으로 거점(2)에 고정될 수 있다. 공지된 클램프 등이 종방향 케이블(1) 및 보조 케이블(4)에 쉽게 연결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계류물(3)은 소정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종방향 케이블(1)에 의해 계류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호한 케이블의 강도가 활용되고, 계류물 및 계류 지반내의 모래나 돌들이 흘러내리지 않는 한, 소정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래는 계류 지반으로부터 유출되고, 다수의 크고 작은 단단한 자갈들이 퇴적된다. 본 실시예에서, 계류 지반은 자갈들이 흘러내리는 것을 정지시키고, 그에 의해, 자연적인 안정한 계류 지반을 형성하도록 계류물(3)인 소정의 네트로 덮혀지고, 동시에, 안정한 거점에 연결된 종방향 케이블들(1)이 계류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측방향 케이블(5)로 연결되며, 그래서, 종방향 케이블(1) 및 측방향 케이블(5)에 의해 네트가 계류 및 고정된다.
비록, 네트에 포획되는 자갈, 모래 및 돌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고 균일하지 않지만, 메시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하는 경우에, 거의 모든 자갈 등이 네트의 메시에 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자갈의 흘러내림 등이 전체적으로 크게 제한된다. 또한, 일단 네트가 설치되고 나면, 상류로부터 흘러내리는 다른 자갈들이 네트상에 퇴적된다. 따라서, 네트에 의해 덮혀진 자갈 등이 추가로 계류 지반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안정한 계류 지반을 형성한다. 보다 안정한 계류 지반이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구조물의 둘 또는 세 개의 네트들이 중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거점으로서의 나무들의 수가 증가되어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된 구조물은 계류 지반에 퇴적된 자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 계류 지반을 안정하게 만들고, 침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네트가 설치되는 계류 지반에 필요한 수보다 작은 수의 자갈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바위 또는 목재 등을 인공적으로 그곳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계류 또는 하천을 위한 사방 공사를 위한 구조물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제 2 실시예는 거점(2)이 산의 일 측면상에 위치되고, 종방향 케이블에 의해 계류되는 계류물(3)을 계류시키기 위해 보조 케이블(4) 대신, 펜스 부재들(6)이 사용된다는 것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에서, 종방향 케이블(1) 및 종방향 케이블(1)에 연결된 측방향 케이블(5)은 적절한 간격으로 계류물(네트; 3)을 계류한다. 계류물(3)을 계류하는 종방향 케이블은 계류 또는 하천이 그 옆으로 연장하는 산의 일 측면상에 위치된 거점에 연결된다. 종방향 케이블들은 산허리에 위치된 거점들을 초과하여 연장할 수 있고, 산정을 통과하여 연장하여 산의 반대편 측면(미도시)에 위치된 하나의 선택적 거점 또는 거점들에 고정될 수 있다.
거점(2)으로서 이용가능한 인공 구조물들의 크기, 위치, 재료 등은 경우에 따라선택될 수 있다. 급준한 협곡으로 인해 거점 위치에 불충분한 수의 나무가 존재하기 때문에, 적절한 나무가 없거나, 거점(2)으로서 불충분한 수의 나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방체 또는 원통형 콘크리트 블록 등 같은 거점(2)을 설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제 1 실시예에 사용되는 네트만으로는 계류의 급한 수류로 인해 네트내의 자갈들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 네트의 상부 표면들 상에 또는 네트의 하부 표면들 아래에 계류의 흐름에 수직으로 무거운 펜스 부재(6)가 제공될 수 있다. 각 펜스 부재(6)는 돌로 체워진 길이가 긴 콘서티나(concertina) 와이어에 의해 결합된 일련의 콘크리트 블록들일 수 있으며, 이는 자갈이 흘러내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네트 및/또는 종방향 및 측방향 케이블(1, 4)에 의해 계류될 수 있다.
단 하나의 펜스 부재(6)가 제공되는 경우에, 많은 자갈이 그에 적재되게 되고, 과도한 하중이 하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에 걸릴 수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류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펜스 부재들(6)을 설치하고, 이들을 네트 또는 종방향 케이블에 계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넓은 계류 지반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견고해진다. 본 실시예들의 공사를 수행하는 것은 환경 파괴를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계류 지반이 네트로 덮혀진 이후에, 계류 지반이 자갈에 의해 형성된 거의 전체 자연 볼록 및 오목형상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계류 지반도, 계류의 흐름의 힘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댐, 펜스 등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계류 지반이 급속히 떨어지는 흐름의 수압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즉, "침식 현상"을 방지한다)
산, 나무, 인공 구조물 및 댐의 융기부가 데브리 배리어 등과 같은 방식으로 종방향 케이블(1)에 작용되는 큰 장력을 지지할 수 있는 안정한 거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종래 기술 공보(일본 특개평 10-519215, 또는, WO98/1786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공보의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다.
단 하나의 계류물(3)이 사용되는 경우에, 이는 긴 것이어야만 한다. 따라서, 둘 이상의 부재를 사용하고, 이들을 상류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계류물들(3)은 타이 케이블(tie cable)(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돌 등이 계류물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계류물에 작용되는 힘이 분산된다. 따라서, 이 분산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안, 하안 또는 제방을 위한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3은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서, 개류물로서의 네트(3)는 그 상단 측면에서, 안정한 거점(7)에 연결되고, 이 거점은 계안(또는 제방의 외측)에 제공되어 있으며, 그래서, 상기 네트가 계류의 표면상에 걸려지고, 또한, 그 하부 측면들이 계류 지반에 위치된 다른 거점(7')에 연결되어 네트가 이 표면상에 고정되게 된다. 거점(7')은 이들이 거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한, 예로서, 바위 같은 중량체일 수 있다.
본 제 3 실시예에서, 구조물은 계안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계류물(3)은 계안을 따라 배열된다. 달리 말해서, 네트(3)의 종방향은 계류 흐름에 평행하다.
계안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네트는 계안의 형상에 부합되는 것일 수 있다. 네트는 그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계안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계류를 따라 배열된 긴 것들인 것이 적합하다.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가 이를 덮도록 표면상에 배치된 이후에, 모래, 돌, 자갈이 네트의 후방측 뒤 및 둘레에 퇴적된다. 자갈 등은 흘러내리지 않으며, 따라서, 계안이 침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계안에 네트가 충분히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에(예로서, 계안의 흙이 연성 점토인 경우 또는, 수류 속도가 큰 경우에), 소정의 다른 거점(2)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에, 계안을 따라 위치된 둘 이상의 나무들이 거점(2)으로서 선택될 수 있고, 종방향 케이블이 거점들(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종방향 케이블은 계류물이 계안의 표면상에 매달리도록 계류물(3)을 계류시킨다.
도 4는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조물의 제 4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종방향 케이블(1)이 거점에 계류물(3)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다르다.
제 3 실시예(도 3)의 방법에서, 홍수의 경우에, 네트 뒤의 모래 및 자갈들이 대량의 급류에 의해 떠내려갈 수 있다. 이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실시예(도 1)에서 사용되는 종방향 케이블(1)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4에서, 종방향 케이블(1)이 안정한 또는 비이동성 거점(나무)에 고정되어 있는 보조 케이블(4)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방향 케이블(1)은 보조 케이블(4)을 통해 거점(2)에 고정된다. 계류를 따라 배열된 종방향 케이블(1)은 계류의 물내에, 또는 그 위의 공간에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계류물(3)이 종방향 케이블(1) 및 계류 케이블(8)에 의해 계류된다. 따라서, 계류물(3)은 계안에 보다 견고히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계안은 침식 및 붕괴로부터 보호되고, 그 이유는, 계안의 기부(제방 포함)가 침식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되기 때문이다.
도 5는 사방 공사 및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및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의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구조물과, 도 3에 도시된 구조물 양자 모두를 가진다.
도 5에서, 계류 지반을 보호하기 위해 작용하는 두 개의 계류물(3)이 종방향 케이블(1) 및 계류 케이블(8)에 연결되고, 계안을 보호하기 위해 작용하는 두 개의 다른 계류물(3)이 종방향 케이블(1) 또는 계류 지반에 위치된 고정 거점들(7'; 예로서 바위 같은 거점으로서 작용하는 중량체) 중 하나에 대한 그 상단측 및 그 하단측에서 거점(7)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계류 지반를 한 계류물(3) 뿐만 아니라, 계안을 위한 계류물(3)도 계류시키기 위해 종방향 케이블(1)을 사용함으로써, 계류 지반 및 계안이 보다 안정하게 보호된다.
도 6은 사방 공사 및 호안 공사를 위한 본 발명의 구조 및 방법의 제 6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제 6 실시예에서, 그 구조는 제 5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하지만, 계안을 보호하기 위해 그를 덮도록 작용하는 두 개의 계류물(3) 이전 및 이후에서 보조 계류물(9)이 계안을 덮는 것이 상이하다.
제 5 실시예에서(도 5), 계안은 계안의 흙이 부서지기 쉬운 경우에, 네트(3; 계류물)를 통과한 수류에 의해 침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계류물(3)의 배치 이전 및 이후에, 보조 계류물(9)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6에서, 각 보조 계류물(9)은 두 개의 케이블들을 가지며, 이들은 종방향 케이블들(1) 및 소정 간격으로 두 케이블들에 수직으로 연결된 복수의 나무 바아들 중 하나에 대해 보조 계류물(9) 위에 위치된 두 거점들(7)을 연결한다. 나무 바아의 길이는 두 케이블들 사이의 거리 보다 커서 그들이 두 케이블들에 견고히 연결되게 되는 것이 적합하다.
보조 계류물(9)은 계안을 덮기 위한 계류물(3)이 배치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계안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계류물(9) 및 계류물(3) 양자 모두가 계안을 덮기 때문에, 그 흙이 부서지기 쉬운 경우에도 계안은 침식으로부터 양호하게 보호된다.
각 보조 계류물(9)의 나무 바아는 제 2 실시예의 펜스 부재(6)와 유사한 펜스 부재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펜스 부재는 비부식성 재료 또는 콘크리트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비록, 도 6에 도시된 보조 계류물(9)이 바아 블라인드의 형태의 커버이지만, 계류물(3)의 것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천의 시트일 수 있다. 계안을 보호할 수 있는 소정의 재료가 커버 또는 시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방 및 호안 공사를 위한 방법의 본 실시예에 따라서, 강철 네트가 계류 지반 및 계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네트의 메시에서 나무가 자잘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조물은 지반 및 계안을 침식으로부터 보다 견고히 보호하고, 계안의 외관을 그 자연상태와 유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방 및 호안 공사를 위한 방법의 본 실시예에서, 계류물로서 네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네트의 메시의 크기가 침식 제어 및 계류의 외관을 그 자연상태와 가깝게 하기 위해 계류의 속도와 계류 지반 및 계안의 흙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Claims (32)

  1. 계류(溪流) 지반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방 공사 방법에 있어서,
    거점들에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둘 이상의 측방향 케이블들에 의해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을 적절한 간격들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측방향 케이블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둘 이상의 네트들을 제공하고, 상기 네트들이 수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들로 배열되고, 상기 네트가 상기 수류에 대면하도록 상기 둘 이상의 네트들을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측방향 케이블에 의해,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들에 의해 계류(係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방 공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거점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사방 공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을 상기 거점들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는 보조 케이블에 의해 두 거점들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방 공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또는 상기 종방향 및 측방향 케이블들에 펜스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방 공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펜스 부재는 돌로 채워진 길이가 긴 콘서티나 와이어들(elongated concertina wires)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콘크리트 블록들인, 사방 공사 방법.
  6. 계류 지반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방용 구조물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거점과,
    상기 거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과,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을 소정 간격들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측방향 케이블과,
    상기 측방향 케이블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하나 이상의 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는 수류의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들로 배열되고, 상기 수류에 대면하도록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측방향 케이블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에 의해 계류되는, 사방용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인, 사방용 구조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을 간접적으로 복수의 거점들에 연결하기 위한 보조 케이블을 포함하는, 사방용 구조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들 및/또는 상기 종방향 및 측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펜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사방용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펜스 부재는 돌로 채워진 길이가 긴 콘서티나 와이어들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콘크리트 블록들인, 사방용 구조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계류의 지반과 계안이 침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에 있어서,
    제 1 거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을 고정하는 단계와,
    네트들이 상기 계류의 상류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들로 배열되도록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에 의해 둘 이상의 네트들을 계류시키는 단계와,
    상기 계류의 계안을 따라 또는 그 외측에 둘 이상의 안정한 제 2 거점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계안의 표면상에 네트들이 매달려지도록 상기 네트들을 그 상부측에서 상기 제 2 거점들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들을 그 하부측에서, 상기 계류 지반상에 제공된 제 3 거점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중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들을 그 상부측에서 상기 제 2 거점들에 연결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 2 거점들과 제 3 거점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중 하나의 사이에 보조 계류물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 계류물은 천의 시트와, 나무,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바아들(plastic bars)을 가지는 바아 블라인드형 커버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점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
  25.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거점은 나무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로 선택되는,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
  26.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거점은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로로부터 선택되는, 사방 및 호안 공사 방법.
  27. 계류 지반 및 계안이 침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용 구조물로서,
    둘 이상의 제 1 거점들과,
    상기 제 1 거점들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둘 이상의 종방향 케이블들과,
    계류의 상류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들로 배열되도록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및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에 의해 계류된 하나 이상의 제 1 네트와,
    상기 계류의 계안을 따라 또는 그 외측에 제공된 둘 이상의 안정한 제 2 거점들과,
    상기 계안의 표면상에 매달려지도록 그 상부측에서 상기 제 2 거점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네트와,
    상기 네트의 하부측을 상기 계류 지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계류 지반상에 제공된 제 3 거점을 포함하는, 호안용 구조물.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점들과 상기 제 3 거점 또는 상기 종방향 케이블들 중 하나의 사이에 보조 계류물을 더 포함하는, 호안용 구조물.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계류물은 천의 시트 및 나무,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바아들을 가지는 바아 블라인드형 커버 중 하나인, 호안용 구조물.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점은 나무,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인, 호안용 구조물.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점은 나무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인, 호안용 구조물.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거점은 바위 및 인공 구조물 중 하나인, 호안용 구조물.
KR1020027011290A 2000-12-28 2001-12-26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KR100554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02632A JP2002201627A (ja) 2000-12-28 2000-12-28 砂防又は護岸工事方法、並びに、砂防又は護岸用構造物
JPJP-P-2000-00402632 200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514A KR20020077514A (ko) 2002-10-11
KR100554867B1 true KR100554867B1 (ko) 2006-02-24

Family

ID=1886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290A KR100554867B1 (ko) 2000-12-28 2001-12-26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30012604A1 (ko)
EP (1) EP1347101B1 (ko)
JP (1) JP2002201627A (ko)
KR (1) KR100554867B1 (ko)
CN (1) CN1211538C (ko)
AT (1) ATE409779T1 (ko)
AU (1) AU2002217504B2 (ko)
BR (1) BR0108742A (ko)
CA (1) CA2401992C (ko)
DE (1) DE60136008D1 (ko)
EA (1) EA003809B1 (ko)
ES (1) ES2315258T3 (ko)
HK (1) HK1052732B (ko)
MX (1) MXPA02008399A (ko)
NO (1) NO20024080L (ko)
NZ (1) NZ521010A (ko)
WO (1) WO20020538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5907B2 (en) * 2020-03-06 2022-11-22 Institute Of Mountain Hazards And Environment, Chinese Academy Of Sciences Method for regulating and controlling discharge flow of dammed lak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9145B2 (en) * 2005-07-25 2008-07-15 Clark Kevin L Multi-layer liner assembly for a sand trap
US7699562B2 (en) * 2006-05-31 2010-04-20 Clark Kevin L Liner assembly for a sand trap
KR100653276B1 (ko) 2006-08-16 2006-12-0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현수식 코퍼댐
US20090038214A1 (en) * 2007-08-10 2009-02-12 Indian Valley Industries, Inc. Golf course bunker boundary protection system
CN102242545A (zh) * 2010-05-14 2011-11-16 鋐源企业有限公司 钢索式水土保持施工方法以及植生网
CN102409640B (zh) * 2011-09-02 2013-07-17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土石坝溃坝被动泄流抢险方法
US9644333B2 (en) * 2013-09-06 2017-05-09 Urethane Technology Company, Inc. Erosion control sediment barrier
US20180153143A1 (en) * 2016-07-20 2018-06-07 James Patrick Barb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tream restoration
CN113792363B (zh) * 2021-07-15 2022-07-12 西南交通大学 一种以树木为支撑的柔性防护系统的连接装置及设计方法
CN113863178B (zh) * 2021-07-15 2022-07-22 西南交通大学 一种树锚式柔性防护系统及其检验评估方法
CN114411655B (zh) * 2021-12-29 2024-04-12 长春工程学院 一种用于水土保持的多级拦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781A (en) * 1904-02-23 Gabion
USRE16976E (en) * 1928-05-22 Poration
US1662578A (en) * 1928-03-13 Jetty
US1748444A (en) * 1927-03-25 1930-02-25 Dutton George Edson Means for protecting river banks
US1834060A (en) * 1929-06-22 1931-12-01 Woods Brothers Construction Co River bed protective construction
US1873496A (en) * 1930-08-04 1932-08-23 Charles E Snyder River revetment
US2092183A (en) * 1935-12-02 1937-09-07 Rehfeld George William Mat for protecting banks of streams
US2844005A (en) * 1955-03-24 1958-07-22 George W Rehfeld Jetty installation
US3161026A (en) * 1961-03-23 1964-12-15 Lee E Smedley Metal-sod dam
JPS5540061U (ko) * 1978-09-07 1980-03-14
US5158395A (en) * 1985-01-17 1992-10-27 Holmberg Dick L Erosion control foundation mat and method
US4946308A (en) * 1986-09-22 1990-08-07 Chevalier Donald M Erosion-control mat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259696A (en) * 1992-02-24 1993-11-09 Beardsley Melville W Means for and method of beach rebuilding and erosion control
DE9317168U1 (de) * 1993-11-10 1994-03-03 Citadel Investments Element zum Aufbau von Flächengebilden sowie mit dem Element aufgebrachte Flächengebilde
US5768128A (en) * 1995-09-18 1998-06-16 Iboco, Inc. System for determining fertilizer blend and application ra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timum fertilizer blends, based on a plurality of factors, to match field nutrient requirements
CA2268189C (en) * 1996-10-18 2005-01-04 Tomio Fukui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land erosion and improving streams, or for revet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mountain landslides
US5951202A (en) * 1997-05-05 1999-09-14 Brown; Gregory Benn Shoreline erosion-preventing bank instal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5907B2 (en) * 2020-03-06 2022-11-22 Institute Of Mountain Hazards And Environment, Chinese Academy Of Sciences Method for regulating and controlling discharge flow of dammed l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7101B1 (en) 2008-10-01
EA003809B1 (ru) 2003-10-30
KR20020077514A (ko) 2002-10-11
DE60136008D1 (de) 2008-11-13
CN1211538C (zh) 2005-07-20
CA2401992A1 (en) 2002-07-11
HK1052732A1 (en) 2003-09-26
NO20024080L (no) 2002-09-17
ATE409779T1 (de) 2008-10-15
ES2315258T3 (es) 2009-04-01
US20030012604A1 (en) 2003-01-16
AU2002217504B2 (en) 2006-08-31
EP1347101A4 (en) 2004-03-24
CN1406303A (zh) 2003-03-26
HK1052732B (zh) 2005-12-09
EA200200930A1 (ru) 2003-02-27
BR0108742A (pt) 2002-12-24
WO2002053842A1 (fr) 2002-07-11
CA2401992C (en) 2006-05-02
JP2002201627A (ja) 2002-07-19
MXPA02008399A (es) 2002-12-13
EP1347101A1 (en) 2003-09-24
NZ521010A (en) 2005-02-25
NO20024080D0 (no)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8189C (en)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land erosion and improving streams, or for revet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mountain landslides
US20110236132A1 (en) Erosion Control Barrier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US5174681A (en) Permeable breakwater
US5011328A (en) Permeable breakwater
US5224794A (en) Permeable breakwater
US20050158122A1 (en) Method for contructing check dam or fire prevention dam using gear-type block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Charlier et al. Beach protection and restoration part I: hard structures and beach erosion
JP7282949B1 (ja) 石や岩による自然の土砂堆積を利用する洗掘防止工法
KR200405341Y1 (ko) 생태계 보호용 하천 시설물
Heerten et al. Environmental benefits of sand filled geotextile structures for coastal applications
KR101147143B1 (ko) 꺽쇠를 이용한 유속 감쇠형 호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7624B1 (ko) 하천용 옹벽
AU750782B2 (en)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mountain landslides
CA1295842C (en) Erosion control foundation mat and method
AU727462B2 (en) Construction methods for revetments
Sen Effect of Human Interference on the alluvial river morphology
Alexandrakis Deliverable Title: Contributing to the Joint guidelines on'soft'engineering techniques
MXPA99003571A (es) Metodos de construcción para prevenir la erosión del terreno y mejorar las corrientes, o para muros de sostenimiento de tierras y métodos de construcción para prevenir derrumbes en lad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