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281A -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281A
KR20000048281A KR1019990059627A KR19990059627A KR20000048281A KR 20000048281 A KR20000048281 A KR 20000048281A KR 1019990059627 A KR1019990059627 A KR 1019990059627A KR 19990059627 A KR19990059627 A KR 19990059627A KR 20000048281 A KR20000048281 A KR 20000048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digital
registered
signal processing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815B1 (ko
Inventor
이노우에하지메
와카하라타쯔야
무라야마나오키
미쯔타니마사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4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IRD에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도록 한 시스템에 있어서,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IRD에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고, 각각의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 IEEE1394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기기 중에서, 예를 들면 5대의 기기를 선택하고, 5대의 기기에 노드 식별 번호를 할당하여 등록한다. 이렇게 하면, 인터페이스로부터 기기가 벗겨지고, 다시 접속되더라도, IRD는 그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커넥션이 행해지고 있는 기기의 일람 표시에 다수의 기기가 나란히 배열되는 일이 없게 되며, 기기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5대의 기기는, 인터페이스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기기 중 선착인 것이 자동적으로 등록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등록의 변경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등록을 변경할 때, 프로그램 예약이 설정되어 기기나,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에서는, 등록의 변경이 금지된다. 이것에 의해, 등록 변경이 행해지더라도, 오동작이 일어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A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방식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방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IEEE(Institute of Electronic Engineers) 1394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에 보내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비디오 기기나 디지털 오디오 기기 사이에서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IEEE1394가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IEEE1394는, 동기(Isochronous) 전송 모드와, 비동기(Asynchronous) 전송 모드가 지지되고 있다. 동기 전송 모드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지연시간이 보증되어 있고, 이 동기 전송 모드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고속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비동기 전송 모드는, 각종의 커맨드 등의 통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최근, 디지털 위성 방송이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MPEG2 방식에 의해 압축되고, 패킷 스트림에 의해 다중화되어 송신된다. 디지털 위성 방송을 수신할 때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가 접속된다. IRD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의 신호가 선택되고,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디코드된다. 이 IRD의 출력이 텔레비전 수상기에 공급된다.
이러한 디지털 위성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IRD에,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IRD에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면, IRD와, 디지털 비디오 기록/재생 장치나 MD 기록/재생 장치를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하고,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IEEE1394에서는,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노드의 ID 번호가 부여되고, 이 노드의 ID 번호에 의해 상대방이 지정된다. IEEE1394의 버스에 할당 가능한 노드 ID 번호는, 「0」부터 「63」까지 있고, 그 중 최후의 노드 번호는 방송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방송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면, 1개의 버스에 최대 63대의 기기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IRD를 사용하여 디지털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IEEE1394의 규격에 따라서, 최대 63대의 기기에 노드의 ID 번호를 부여하고, 최대 63대의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IEEE1394의 버스에 63대인 기기가 접속되어 사용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고, IEEE1394의 버스에 접속되는 기기의 수는 5대 이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IEEE1394의 규격에 따라서, 최대 63대의 기기와 커넥션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사용의 편이성이 나빠진다. 예를 들면, 녹화 설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을 행하는 기기가 선택된다. 이 때, 커넥션을 행할 수 있는 기기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기기와 비교하여 많으면, 선택 표시 화면에 다수의 기기가 나란히 배열되고, 기기의 지정이 곤란하다.
또한, 미국 특허 제 5,793,366 호 및 제 5,883,621 호에는, IEEE1394의 버스에 접속된 복수의 기기의 조작 및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GUI 화면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어떤 기기가 IEEE1394의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지, 데이터가 어떤 기기로부터 어떤 기기로 전송되고 있는지, 또한, 어떤 기기에 기록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발명에 의하면, IRD는, IEEE1394의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밖에 인식할 수 없으며, 한번 접속이 해제되면 기기의 인식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기가 IEEE1394의 버스에 접속될 때마다, 어떠한 기기가 접속될지 설정을 행하여, 인식을 시키지 않으면 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EEE1394의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IEEE1394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던 기기가 접속 해제되고, 다시 접속된 경우라도, 접속되는 기기의 설정을 하지않고서 기기의 인식을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의 일 예의 개략선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의 배면 패널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의 설명에 사용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에서의 컨트롤 패널 표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에서의 설정 표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도 7(a 내지 c)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에서의 설정 표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기의 등록의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기의 등록의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송에 대한 설명을 위해 이용된 개략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IRD 3: 파라볼라 안테나
6: 텔레비전 수상기 15A, 15B: 디지털 기기
44: IEEE1394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압축되어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보내지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디코더와,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와 서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주고 받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중에서 소정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에 식별 번호를 할당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이다.
IEEE1394의 인터페이스에는, 최대 63대의 기기가 접속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예를 들면 5대의 기기가 선택되고, 이 5대의 기기에 노드 ID 번호가 할당되어 등록된다. 이렇게 하면, 기기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IRD이다. IRD(1)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신호를 디코드하여 예를 들면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IRD(1)의 안테나 단자는, 케이블(2)을 통하여, 파라볼라 안테나(3)에 부착되어 있는 저잡음 컨버터(4)에 접속된다.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는, 예를 들면, 12 GHz대에서 송신되어 온다. 이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는, 파라볼라 안테나(3)에서 수신되고, 파라볼라 안테나(3)에 부착된 저잡음 컨버터(4)에서, 예를 들면, 1 GHz대의 신호로 변환된다.
저잡음 컨버터(4)의 출력이 케이블(2)을 통하여 IRD(1)의 안테나 단자에 공급된다. IRD(1)에서, 수신신호 중에서 원하는 반송파의 신호가 선택되고, MPEG2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복조된다. 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의 영상 패킷 및 음성 패킷이 추출되고, 이 영상 패킷 및 음성 패킷의 디코드 처리가 행해지며, 예를 들면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디코드된다.
IRD(1)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케이블(5)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6)에 공급된다. 텔레비전 수상기(6)에 의해, 원하는 위성 방송의 프로그램의 수신 화면이 인출됨과 동시에, 그 음성이 출력된다.
IRD(1)에는, IC 카드(7)가 장착된다. 이 IC 카드(7)에 수신 정보가 격납된다. 또한, IRD(1)는, 케이블(9)을 통하여, 전화 회선 분배기(8)에 접속되며, 전화회선을 통하여, 과금 정보가 보내진다.
IRD(1)의 조작은, 리모트 컨트롤러(11)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비디오 마우스(10)를 부착하면, 텔레비전 수상기(6)에 영출되는 화면을 보면서, 예약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IRD(1)의 배면 패널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EEE1394의 단자(21A 및 21B)와, 광디지털 음성 출력단자(22)와, MD 마우스 단자(23)와, 아날로그 음성출력단자(24A 내지 24D)와, 비디오 출력단자(25A 및 25B)와, 비디오 출력단자(26A 및 26B)와, 데이터 출력 고속 병렬 단자(27)가 설치된다.
IEEE1394의 단자(21A 및 21B)는,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IEEE1394에서는, 동기전송 모드와 비동기 전송 모드가 지지되고 있다. 동기 전송 모드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지연시간이 보증되어 있고, 이 동기 전송 모드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고속 전송할 수 있다. 비동기 전송 모드는, 각종 커맨드 등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광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22)는, IEC958의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광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22)는, IEC958의 광 케이블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 등을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아날로그 음성 출력 단자(24A 내지 24D)는, 아날로그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비디오 영출력 단자(25A 및 25B)나 비디오 출력단자(26A 및 26B)는,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3은 IRD(1)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2GHz대의 전파로 위성을 통하여 보내져오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전파는, 파라볼라 안테나(3)로 수신되고, 파라볼라 안테나(3)에 부착된 저잡음 컨버터(4)에서, 1GHz 대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 저잡음 컨버터(4)의 출력이 케이블(2)을 통하여 IRD(1)의 안테나 단자(31)에 공급된다. 안테나 단자(31)로부터의 신호는, 튜너 회로(32)에 공급된다.
튜너 회로(32)는, 수신신호 중에서 소정의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회로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복조처리를 행하는 복조회로와, 에러 정정 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튜너 회로(32)에서, 제어용 CPU(Central Processing Unit)(33)로부터의 설정신호에 근거하여, 수신신호 중에서 원하는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가 선택된다. 이 수신신호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복조되고, 또한, 잘못하여 정정처리가 시행된다.
튜너 회로(32)의 출력은, 디스크램블러(34)에 공급된다. 디스크램블러(34)에는, 수신된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 데이터 및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IC 카드 슬롯(36)에 장착되어 있는 IC 카드(7)에 기억되어 있는 디스크램블용의 키 데이터가 공급된다. 디스크램블러(34)는, 이 수신된 ECM 데이터 및 EMM 데이터와, IC 카드(7)의 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디스크램블을 행한다. 디스크램블된 MPEG2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디멀티플렉서(37)에 보내진다.
디멀티플렉서(37)는, CPU(23)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디스크램블러(34)로부터의 스트림 중에서,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는 것이다. 전송 패킷에는, 헤더부에 패킷 식별자(PID)가 설치된다. 디멀티플렉서(37)에서, 이 PID에 근거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의 영상 패킷 및 음성 패킷이 추출된다. 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영상 패킷은, MPEG2 비디오 디코더(38)에 보내지고, 음성 패킷은, MPEG 오디오 디코더(39)에 보내진다.
MPEG2 비디오 디코더(38)는, 디멀티플렉서(37)로부터의 영상신호의 패킷을 받아들이고, MPEG2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 비디오 데이터는, NTSC 변환회로(40)에 공급된다. NTSC 변환회로(40)에서, MPEG 비디오 디코더(38)에서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가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NTSC 변환회로(40)에 대하여, 표시 제어 회로(51) 및 카피 금지 제어회로(52)가 설치된다. 표시 제어 회로(51)는, 화면상에 여러 가지의 표시화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카피 금지 제어회로(52)는, 영상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카피 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NTSC 변환회로(40)의 출력이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25) 및 S 비디오 출력단자(26)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25)로부터 NTSC 방식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며, S 비디오 출력단자(26)로부터, S 비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MPEG 오디오 디코더(39)는, 디멀티플렉서(37)로부터의 음성 패킷을 받아들이고, MPEG 방식의 음성 디코드 처리를 하고, 데이터 압축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IEC958 인터페이스 회로(55)를 통하여,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자(22)로부터 출력되는 동시에, D/A 컨버터(53)에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단자(24)에 공급된다.
IRD(1)에 대한 입력은, 입력부(46)로부터 주어진다. 입력부(46)로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1), 비디오 마우스나 MD 마우스(10)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모뎀(45)이 설치되고, 모뎀(45)에 의해, 과금 정보가 전화회선을 통하여 보내진다.
수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의 설정은, 시청자가 입력한 채널 설정 신호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원하는 프로그램에 설정할 때에는, NIT(Network Information Table)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튜너 회로(32)의 수신 주파수가 소정의 반송파 주파수에 설정된다. 그리고, 그 반송파 주파수에서의 채널에 관한 정보인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를 참조하여, 원하는 채널에 관한 정보인 PMT(Program Map Table)의 PID의 패킷이 추출된다. 이 PMT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영상, 음성, 부가 데이터의 패킷의 PID가 얻어진다.
또한, IRD(1)에는, IEEE1394의 인터페이스(44)가 설치되어 있다. 디멀티플렉서(37)와 IEEE1394의 인터페이스(44)와의 사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나, PCM 오디오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IRD(1)에는, 고속 병렬 데이터의 인터페이스(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속 병렬 데이터 인터페이스(56)를 통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나, PCM 오디오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IRD(1)에는, IEEE1394의 인터페이스(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IEEE1394의 인터페이스(44)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RD(1)에, 디지털 기록 가능한 다른 디지털 기기(15A, 15B, 15C, …),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기록/재생 장치나 MD 기록/재생 장치 등이 접속된다.
IEEE1394에서는, 노드 ID 번호가 「0」에서 「63」까지 있고, 그 중, 최후의 노드번호 「63」은 방송 채널로 되어 있다. 노드의 ID 번호의 할당은, IEEE1394의 버스에 기기를 접속하였을 때에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이 때,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 중, 5대까지의 기기가 등록되고, 등록된 기기에 노드의 ID 번호가 할당되며, 불휘발성 메모리(60)에 등록된 기기에 대응되어 기억된다. 또한, 대응 커넥션이 뻗어지는 기기의 대수가 5대 이내가 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변경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컨트롤 패널의 표시로부터, 설정 버튼(66)을 누르고, 설정변경의 화면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의 표시 중에는, 기기 선택 표시(61)와, 기능 버튼 표시(62)와, 상태 표시(63)와, 전원 버튼(64)과, 녹화 버튼(65)과, 설정 버튼(66)과, IEEE1394 입력 전환 버튼(67)(IEEE1394는 i.LINC로 표시되어 있다)과, 스마트 파일 실행 버튼(68)이 설치되어 있다. 기기 선택 표시(61)에는, 등록되어 있는 5대의 IEEE1394의 기기명이 나타나고, 기기 선택 버튼(61)에 의해, 이 5대의 기기 중에서, IEEE1394의 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기기의 선택을 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의 표시로부터, 설정 버튼(66)이 눌러지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설정화면이 표시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변경의 화면에는, 등록 기기 표시(71), 접속 기기 표시(72), 결정 버튼(73), 리턴 버튼(74)이 표시된다.
등록 기기 표시(71)에는, IEEE1394의 노드로서 ID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기기가 최대 5대 표시된다. 또, 이들 기기 중에서, 밝게 표시되어 있는 것은, 물리적으로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버스로부터 떼어내면, 등록명의 표시가 어두워지고,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다시 버스에 접속하면, 등록명의 표시가 밝아진다.
IEEE1394의 버스를 통하여 커넥션이 뻗어지는 5대의 기기는, 최초에, 선착 5대의 기기가 자동적으로 등록된다. 이미 5대의 기기가 등록이 끝났을 때에는, 6대째 이후는 등록되지 않는다.
IEEE1394의 버스를 통하여 커넥션이 뻗어지는 기기를 변경하거나, 제외하는 경우에는, 접속 기기 표시부(72)의 체크란(72A)에 체크 마크가 부가된다. 이 체크 마크가 부가되어 있는 기기가 등록의 대상으로 되고, 체크 마크가 부가되어 있지 않는 기기는, 등록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또, 이 때, 예약 녹화가 설정되어 있는 기기나 커넥션이 뻗어지고 있는 기기는,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예약 녹화가 설정되어 있는 기기나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를 제외하여 버리면, 예약 녹화를 행할 수 없거나 데이터를 보낼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좋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약되어 있는 기기에는, 예를 들면 시계 모양의 예약 마크(75)가 표시된다. 이 예약 마크(75)가 표시되어 있는 기기에서는, 체크란(72A)의 체크 마크를 떼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7(a 내지 c)은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변경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D-VHS2의 기기를, MD3의 기기로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커서가 D-VHS2의 기기의 부분으로 이동된다. 그후, 결정 버튼(73)이 눌러진다. 이 위치에서 결정 버튼(73)이 눌러지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VHS2의 체크 마크가 빠진다. 그후, 신규로 등록하고자 하는 기기의 위치에 커서가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결정 버튼(73)이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D3의 부분에 체크 마크가 부가된다. 이와 같이, 체크 마크를 변경하고, 리턴 버튼(74)을 눌러 설정화면을 종료시키면, 새롭게 체크 마크를 부가한 기기가 등록된다.
또, 「VHS」,「MD」등의 표기는,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고, 동일한 종류의 기기가 등록될 때에는, 그 후의 숫자에 의해 기기가 식별되도록 된다. 기기의 등록을 변경하면, 이에 따라서,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에 계속되어 숫자가 변경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기기의 자동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가 접속되었을 때에는, 접속된 기기의 대수가 64대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 접속된 기기의 대수가 64대 이상이면, 버스 에러로 되고(스텝 S2),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S1)에서,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대수가 64대 이상이 아니면, 등록된 기기는 5대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 등록된 기기의 대수가 5대 이하가 아니면, 노드의 ID 번호와 기기명으로 등록하지 않고서(스텝 S3),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S3)에서,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대수가 5대 이하이면, 버스에 접속된 기기의 노드의 유니크 ID 번호가 체크된다(스텝 S5). 불휘발성 메모리(60)에 기억된 등록 내용을 체크하고, 등록하고 있는 기기에, 그 ID 번호인 것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6).
접속된 기기의 ID 번호와 같은 ID 번호인 것이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에 없으면, ID 번호와 기기명이 새롭게 등록되고(스텝 S7), 그 기기명이 밝게 표시된다(스텝 S8).
접속된 기기의 ID 번호와 같은 ID 번호인 것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속에 있으면, 그 등록이 끝난 기기명이 할당되고(스텝 S9), 그 기기명이 밝게 표시된다(스텝 S8).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된 기기가 IEEE1394의 버스로부터 빠져서, 비접속 상태가 된 경우는, 기기명이 어둡게 표시된다(스텝 S10).
도 9는,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변경할 때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 있어서, 기기를 선택하여 결정 버튼(73)이 눌러지면(스텝 S21), 그때까지 체크 마크가 붙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2).
그때까지 체크 마크가 붙어 있지 않으면, 체크 마크가 5대에 붙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S23), 체크 마크가 5대에 붙어있지 않으면, 그 기기에 체크 마크가 붙어진다(스텝 S24). 그리고 설정화면이 종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S25), 설정화면이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S21)으로 리턴된다.
스텝(S23)에서, 체크 마크가 5대에 붙어 있다고 판단되면, 체크 마크의 변경은 하지 않고서, 스텝(S25)으로 가고, 설정화면이 종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설정화면이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S21)으로 리턴된다.
스텝(S22)에서, 그 때까지 체크 마크가 붙어 있다고 판단되면, 프로그램 예약되어 있는 기기 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6). 프로그램 예약되어 있는 기기에서는 등록을 뺄 수 없기 때문에, 예약된 기기라면, 체크 마크의 변경은 행하지 않고서, 스텝(S25)으로 가고, 설정화면이 종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설정화면이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S21)으로 리턴된다.
스텝(S26)에서, 예약된 기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커넥션이 뻗어지고 있는 기기 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7).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에서는 등록을 뺄 수 없기 때문에,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라면, 체크 마크의 변경은 하지 않고서, 스텝(S25)으로 가고, 설정화면이 종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설정화면이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S21)으로 리턴된다.
스텝(S27)에서, 커넥션이 뻗어지고 있는 기기가 아니면, 버스에 기기가 6대이상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8). 기기는 5대까지 등록 가능하기 때문에, 버스에 기기가 6대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체크 마크의 변경은 행하지 않고서, 스텝(S25)으로 가고, 설정화면이 종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설정화면이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S21)으로 리턴된다.
스텝(S28)에서, 접속되어 있는 기기가 6대 이상일 때에는, 체크 마크가 벗겨진다. 그리고, 케이블이 빠져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0). 케이블이 빠져 있으면, 일람 리스트로부터 삭제된다(스텝 S31). 케이블이 빠져 있지 않으면, 스텝(S25)으로 가고, 설정화면이 종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설정화면이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S21)으로 리턴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기기를 선택하여 결정 버튼(73)을 누르면, 그때까지 체크 마크가 붙어 있으면, 체크 마크가 벗겨지고, 체크 마크가 붙어 있지 않으면, 체크 마크가 붙어진다. 이 때, 예약되어 있는 기기나,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에서는, 체크 마크가 벗겨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체크 마크가 붙어지는 기기의 수는, 5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스텝(S25)에서, 리턴 버튼(74)이 눌러지면, 설정화면이 종료하고, 컨트롤 패널로 되돌아간다. 이 때, 체크 마크가 5대에 붙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2). 체크 마크가 5대에 붙어 있으면, 체크 마크의 5대의 기기가 등록된다(스텝 S33). 체크 마크가 5대에 붙어 있지 않으면, 직전에 체크된 5대의 기기가 등록된다(스텝 S34).
또한, 미정의의 기기가 접속되는 것에 구비하고, 「63」의 ID 번호의 방송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송 채널에서는, MPEG의 트랜스포트 패킷과 PCM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미접속시의 IEEE1394의 버스 출력을 MPEG 스트림으로 하면, MPEG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방송 채널로 송신된다. 미접속시의 IEEE1394의 버스 출력을 PCM 오디오 스트림으로 하면, PCM 오디오 데이터가 방송 채널로 송신된다.
도 10은 IEEE1394의 초기 설정의 화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설정화면에서는, 접속시에 상대 기기의 전원을 넣는지 여부의 선택표시(81)와, 접속시에 상대 기기를 IEEE1394 입력으로 하는지의 여부의 선택표시(82)와, 미접속시의 IEEE1394의 버스 출력을 MPEG 스트림으로 하는지 PCM 오디오 스트림으로 하는지의 선택표시(83)가 표시된다. 선택표시(82)에서, MPEG 스트림측을 체크하면, 방송 채널에서는 MPEG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된다. PCM 오디오를 체크하면, 방송 채널에서는 PCM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방송 채널에서는 MPEG의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PCM 오디오를 선택할 수 있다. 결국, MPEG 방식으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제어 데이터는, MPEG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데이터라도,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놓여지는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서 보낼 수 있다. 또한, MD 기록/재생 장치와 같이, MPEG 방식과는 압축방식이 다른 데이터는, PCM 오디오 데이터로서 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에서는, IEEE1394의 버스에 접속되는 기기의 대수가 5대로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 선택 표시(61)에는, 등록되어 있는 5대의 기기명이 표시되고, 입력 전환 버튼(67)에 의해, 5대의 기기 중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되는 기기는, 설정화면에 의해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등록되는 IEEE1394의 기기의 대수를 5대로 하고 있지만, 물론, 이 대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기기의 등록을 변경할 때, 프로그램 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기기나,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에서는, 등록의 변경이 금지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변경하고자 하고 있는 기기에 프로그램 녹화 예약이 설정되어 있습니다.」나 「변경하고자 하고 있는 기기는 접속되어 있습니다.」 등의 경고 표시를 내어, 등록의 변경을 금지해도 되고, 등록의 금지는 행하지 않고, 이러한 경고 표시만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IEEE1394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기기 중에서, 예를 들면 5대의 기기가 선택되고, 이 5대의 기기에 노드 식별 번호가 할당되어 등록된다. 이와 같이 등록하는 것에 의해, 인터페이스로부터 기기가 벗겨지고, 다시 접속되더라도, IRD는 그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커넥션이 행해지고 있는 기기의 일람 표시에 다수의 기기가 나란히 배열하는 경우가 없게 되어, 기기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5대의 기기는, 인터페이스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기기 중 선착의 것이 자동적으로 등록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등록의 변경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등록을 변경할 때, 프로그램 예약이 설정되어 기기나, 커넥션이 뻗어져 있는 기기에서는, 등록의 변경이 금지된다. 이것에 의해, 등록 변경이 행해지더라도, 오동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다.

Claims (20)

  1.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압축되어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보내지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디코더와,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와 서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주고 받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중에서 소정수의 기기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기기에 식별 번호를 할당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에 할당한 식별 번호를 기억하고, 등록 유지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접속되는 기기가 이미 식별 번호와 함께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 중 선착의 것을 상기 소정수분 자동적으로 등록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등록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 프로그램 녹화 예약이 설정되어 기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경우는, 등록의 변경을 금지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일람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 처리 회로를 설정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일람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 처리 회로는,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와 접속되어 있지 않는 기기가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게 표시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 회로는 상기 레지스터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 프로그램 녹화 예약이 설정되어 기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등록의 변경행위가 행해지는 경우는 소정의 경고 표시를 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선택을 행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1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중에서 소정수의 기기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기기에 식별 번호를 할당하는 등록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에 할당한 식별 번호를 기억하여, 등록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접속되는 기기가 이미 식별 번호와 함께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 중 선착의 것을 상기 소정수분 자동적으로 등록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등록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 프로그램 녹화 예약이 설정되어 기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경우는, 등록의 변경을 금지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일람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을 설정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일람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은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를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 스텝은, 상기 등록 스텝에 있어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기 중, 프로그램 녹화 예약이 설정되어 기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등록의 변경 행위가 행해지는 경우는 소정의 경고 표시를 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선택을 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을 설정하도록 한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의 인식 방법.
KR1019990059627A 1998-12-22 1999-12-21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KR100813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478798A JP4366741B2 (ja) 1998-12-22 1998-12-22 ディ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処理機器の認識方法
JP98-364787 199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281A true KR20000048281A (ko) 2000-07-25
KR100813815B1 KR100813815B1 (ko) 2008-03-17

Family

ID=1848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627A KR100813815B1 (ko) 1998-12-22 1999-12-21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86324B1 (ko)
EP (1) EP1014701B1 (ko)
JP (1) JP4366741B2 (ko)
KR (1) KR100813815B1 (ko)
CN (1) CN1182679C (ko)
DE (1) DE69938032T2 (ko)
MY (1) MY135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360B1 (ko) * 2001-02-27 200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정보의 저장 및 갱신이 가능한 모듈라 텔레비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1447A2 (en) * 2000-08-01 2002-0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pay-per use system over a serial bus
JP2002344834A (ja) * 2001-05-16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対応受信端末装置
JP4491170B2 (ja) * 2001-06-04 2010-06-30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配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送信装置
KR100425667B1 (ko) * 2001-12-03 2004-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스트림의 속성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
DE60326279D1 (de) * 2002-12-17 2009-04-02 Sony Pictures Entertainme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griffsregelung in einer mehrservernetzwerkumgebung mit überlappung
DE10319935A1 (de) * 2003-05-02 2004-11-1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Bedienoberfläche zur Bedienung eines Gerätes in einem Netzwerk verteilter Stationen sowie Netzwerkgerät für die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317851B2 (ja) * 2003-08-11 2009-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外部機器
KR100574463B1 (ko) * 2004-08-05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 1394가 채용된 호스트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4617894B2 (ja) 2005-01-18 2011-01-26 船井電機株式会社 入力切替え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1234156B1 (ko) * 2006-06-14 201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항목 그룹화를 이용한 외부입력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영상기기
JP4953707B2 (ja) * 2006-06-30 2012-06-1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080095722A (ko) * 2007-04-24 2008-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액티브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TWI465931B (zh) * 2011-09-20 2014-12-21 Acer Inc 具有多個資料連接埠的電子裝置
JP5478690B2 (ja) * 2012-10-09 2014-04-2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情報送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722A (en) 1993-10-14 1996-08-20 Apple Computer, Inc. User-centric system for choosing networked services
JP3271493B2 (ja) * 1995-09-26 2002-04-02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3661175B2 (ja) 1995-11-28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接続状態表示方法
US6507953B1 (en) * 1996-02-02 2003-01-14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5764930A (en) * 1996-04-01 1998-06-0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et transparency on a reconfigurable bus
JPH09331342A (ja) 1996-06-11 1997-12-22 Toshiba Corp バス状態管理装置
TW364083B (en) 1996-06-21 1999-07-11 Sony Corp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devices monitoring and control with a topology map in a network
US5883621A (en) *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US5991842A (en) * 1996-08-27 1999-11-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data transfer, electronic equipment for transferring data using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an interface control device
JP3382118B2 (ja) 1996-12-26 2003-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機器、情報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
JPH10243022A (ja)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変換装置および媒体
US6219697B1 (en) * 1997-05-02 2001-04-17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internet protocol over a high-speed serial bus
JP4367971B2 (ja) 1997-06-05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3832937B2 (ja) * 1997-08-26 2006-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
JP4011701B2 (ja) * 1997-12-05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検索装置及び制御方法
US6160796A (en) * 1998-01-06 2000-12-12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device identifi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fter a local bus reset within a home audio/video network
US7590133B2 (en) * 1998-02-24 2009-09-15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GB2346989A (en) * 1999-02-19 2000-08-23 Ibm Software licence management system uses clustered licence servers
US6738382B1 (en) * 1999-02-24 2004-05-18 Stsn General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 speed connectivity to a hotel environ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360B1 (ko) * 2001-02-27 200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정보의 저장 및 갱신이 가능한 모듈라 텔레비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4701A3 (en) 2003-06-25
JP2000188725A (ja) 2000-07-04
MY135323A (en) 2008-03-31
KR100813815B1 (ko) 2008-03-17
JP4366741B2 (ja) 2009-11-18
CN1258170A (zh) 2000-06-28
DE69938032D1 (de) 2008-03-13
DE69938032T2 (de) 2009-01-15
EP1014701A2 (en) 2000-06-28
CN1182679C (zh) 2004-12-29
EP1014701B1 (en) 2008-01-23
US7886324B1 (en)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689B2 (en) Broadcast receiver and system for performing copy prohibition and timed recording
KR100813815B1 (ko)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EP11041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on relationship identification
KR100637609B1 (ko)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7329649A (ja) 受信装置
US7039936B1 (en) Receiv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ing, data transmitting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and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US69762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P2190196A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44806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 path
US2009013305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US6671290B1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s
JP2004207864A (ja) 電子番組ガイド画面生成装置、電子番組ガイド画面生成方法、デバイス/機能予約装置、デバイス/機能予約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50175320A1 (en) Broadcast program recording system, broadcast program recording method and broadcast program recording control method
EP1056284B1 (en) Receiver for digital broadcast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ncerning recorded program
KR20010024599A (ko) 전자기기, 신호 처리방법, 입력신호 전환방법 및 다운로드시스템
US20040107448A1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programme from a plurality of programmes within a network
JP2005354260A (ja) 車載の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表示方法
KR2007000289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다이젝을 이용한 lnb의 능동적h/v 선택 방법
KR20010058427A (ko) 디지탈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방법
KR19990086342A (ko) 티브이의 예약시청 제어방법
JP2001016515A (ja) 多チャンネル放送システムの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