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936A -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936A
KR20000045936A KR1019980062565A KR19980062565A KR20000045936A KR 20000045936 A KR20000045936 A KR 20000045936A KR 1019980062565 A KR1019980062565 A KR 1019980062565A KR 19980062565 A KR19980062565 A KR 19980062565A KR 20000045936 A KR20000045936 A KR 20000045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region
type
semiconductor device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962B1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6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962B1/ko
Priority to US09/290,891 priority patent/US6309940B1/en
Publication of KR2000004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962B1/ko
Priority to US09/955,288 priority patent/US6833592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7/0921Means for preventing a bipolar, e.g. thyristor, action between the different transistor regions, e.g. Latchup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서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표면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1 웰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표면의 제 2 영역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2 웰과, 상기 제 1 웰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제 2 도전형의 제 1 콘택영역과, 상기 제 2 웰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2 MOS 트랜지스터와 제 1 도전형의 제 2 콘택영역과, 상기 제 1 웰내에 상기 제 1 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과, 상기 제 2 웰내에 상기 제 2 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과 상기 제 1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은 저저항 및 높은 불순물 농도로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사이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감소 및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이득 감소로 래치업 현상을 방지하여 반도체 장치의 오동작 및 파괴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간의 션트저항과 베이스의 전류이득을 감소시켜 래치업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하 CMOS 라 칭함)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자주 문제되는 래치업은, CMOS구조의 기생 NPN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기생 PNP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존재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작용, 예를 들면, 펄스(transient pulse)같은 과전류 등에 의해 소자가 오동작되거나 파괴되도록 한다.
반도체장치(device)의 집적화에 따라, 반도체 영역들 사이의 간격 특히 P접합과 N접합간의 간격 축소는 기생 NPN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기생 PNP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이득(gain)을 증가시키며 기생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구조를 턴온(turn on)하여 래치업을 일으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 예로서 CMOS 인버터는, 반도체기판(11)에 P형 및 N형의 불순물을 마스킹 및 확산공정으로 반도체기판(11)내에 P웰(22) 및 N웰(21)이 형성된다. 소자의 활성영역과 격리영역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13)이 형성된다. N웰(21)내에 게이트절연막(23)을 개재시킨 제 1 게이트(37)를 마스크로하여 형성된 P+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27)(28)이 형성된다. 그리고, N웰(21) 내의 소정 부분에 N+형의 N웰콘택영역(3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P+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28),(27)은 각각 P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이 된다. P웰(22) 내에 게이트절연막(23)을 개재시킨 제 2 게이트(38)를 마스크로하여 형성된 N+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25)(26)이 형성된다. 그리고, P웰(22) 내의 소정 부분에 P+형의 P웰콘택영역(29)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N+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25),(26)은 각각 N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이 된다.
상술한 구조의 CMOS 인버터(39)에서 P웰 콘택영역(29)와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5)은 접지단(VSS)에 연결되며,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8)와 N웰콘택영역(30)은 전원단(VDD)에 연결된다. 제 1 게이트(37)와 제 2 게이트(38)는 입력단(VIN)에 연결되며, N채널 FET의 드레인(26)과 P채널 FET의 드레인(27)은 출력단(VOUT)에 연결된다.
입력단(VIN)에 로직 H(High level)의 신호가 가해지면 N채널 FET는 턴온(turn on)되며, 동시에 P채널 FET는 턴 오프(turn off)되여 P채널 FET의 드레인영역(27)과 소오스영역(28)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드레인영역(26), (27)에 연결된 출력단(VOUT)는 N채널 FET를 통해 저전압전원인 VSS 로 풀다운(pull down)된다. 이와 같이 CMOS 인버터(39)는 입력신호 로직 H(High level)를 출력신호 로직 L(Low level)로 반전(inverted)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OS 반도체소자(39)는 2개의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35),(36)가 존재한다. 트랜지스터(35)는 에미터로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5), 베이스로 P웰(22), 콜렉터로 N웰(21)을 갖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36)는 에미터로 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8), 베이스로 N웰(21)을, 콜렉터로 P웰(22)을 갖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CMOS 인버터(39)가 정상 동작하면 트랜지스터(35),(36)는 오프(off)상태이며, 에미터-베이스의 PN접합에는 최소한의 누설전류만이 흐른다. 그러나 ESD전압 스파이크(spike) 등으로 인해 접지단(VSS)에 순간적으로 약 0.6 Volts 정도의 전압강하(voltage drop)가 생긴다. 상기에서 전압강하는 전자(electron)를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5)에서 P웰(22)로 주입함으로서 NPN 트랜지스터(35)를 동작시키고, 이 전자는 N웰(21)에 모아진다.
상기에서 전자전류(electron current)가 충분하게 높고, N웰콘택영역(30)과 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8)사이의 저항이 충분하게 높을 경우에는 작은 임계전류(critical current) 또는 N웰전류(N-well Current)에도 트랜지스터(36)를 턴온(turn on)시킬 수 있는 약 0.6 volts의 전압강하가 생긴다. 이 전압 강하는 정공(hole)을 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8)에서 N웰(21)내로 주입되도록 하며, 이 정공은 P웰(22)에 모아진다.
또한, P웰콘택영역(29)과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5)사이의 저항이 충분하게 높을 경우엔 작은 임계 전류 또는 P웰 전류(P-well Current)에도 트랜지스터(35)를 턴온(turn on)시킬 수 있는 약 0.6 volts 의 전압강하가 생긴다. 이 전압강하로 전자(electron)는 영역(25)에서 P웰(22)내로 주입된다. 이 전자전류(electron current)는 원래의 전자전류(initial electron current)에 더해진다. 결국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면서 기생 p-n-p-n 구조를 턴온(turn on)하여 래치업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CMOS 인버터(39)는 N웰콘택영역(30)과 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8)사이의 저항 또는 P웰콘택영역(29)과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5)사이의 저항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작은 임계전류(critical current)에도 각각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6),(35)를 턴온(turn on)시킬 수 있는 전압강하가 일어나 래치업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웰내의 소정부에 형성된 고농도의 매립불순물영역에 의해 래치업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치업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의 제 1영역에 형성된 제 2도전형의 제 1웰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의 제 2영역에 형성된 제 1도전형의 제 2웰과, 상기 제 1웰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제 2 도전형의 제 1콘택영역과, 상기 제 2웰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2 MOS 트랜지스터와 제 1 도전형의 제 2콘택영역과, 상기 제 1웰내에 상기 제 1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과, 상기 제 2웰내에 상기 제 2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래치업 방지 반도체 장치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제 2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제 1 콘택영역 과 제 2 콘택영역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에 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상기 제 1 콘택영역를 갖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에 제 2 도전형의 제 1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웰내에 상기 제 1 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상기 제 2 콘택영역를 갖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의 제 2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웰내에 상기 제 2 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래치업방지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g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 예로서 CMOS 인버터는, 소자의 활성영역과 격리영역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53)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51)에 P형 및 N형의 불순물을 마스킹 및 확산공정으로 반도체기판(51)내에 P웰영역(68) 및 N웰영역(67)이 형성된다.
N웰과 동일 도전형인 제 1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5)은 N웰영역(67)내에 N웰콘택영역(76)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P웰과 동일 도전형인 제 2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6)은 P웰영역(68)내에 P웰콘택영역(75)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1 및 제 2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 (105) (106)은 반도체기판(51)의 주표면으로부터 0.25 내지 1.0 ㎛정도 이격된 소정부에 위치한다.
N웰영역(67)내에 게이트절연막(69)을 개재시킨 제 1 게이트(77)를 마스크로하여 형성된 P+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73)(74)이 형성된다. 그리고, N웰영역(67)내의 소정 부분에 N+형의 N웰콘택영역(76)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P+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74),(73)은 각각 P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이 된다.
P웰영역(68)내에 게이트절연막(69)을 개재시킨 제 2 게이트(78)를 마스크로하여 형성된 N+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71)(72)이 형성된다. 그리고, P웰영역(68)내의 소정 부분에 P+형의 P웰콘택영역(7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N+형의 불순물도우핑영역(71),(72)은 각각 N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이 된다.
상술한 구조의 CMOS 인버터(89)에서 P웰 콘택영역(75)와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71)은 접지단(VSS)에 연결되며,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74)와 N웰콘택영역(76)은 전원단(VDD)에 연결된다. 제 1 게이트(77)와 제 2 게이트(78)는 입력단(VIN)에 연결되며, N채널 FET의 드레인(72)과 P채널 FET의 드레인(73)은 출력단(VOUT)에 연결된다.
입력단(VIN)에 로직 H(High level)의 신호가 가해지면 N채널 FET는 턴온(turn on)되며, 동시에 P채널 FET는 턴 오프(turn off)되여 P채널 FET의 드레인영역(73)과 소오스영역(74)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드레인영역(72), (73)에 연결된 출력단(VOUT)는 N채널 FET를 통해 저전압전원인 VSS 로 풀다운(pull down)된다. 이와 같이 CMOS 인버터(89)는 입력신호 로직 H(High level)를 출력신호 로직 L(Low level)로 반전(inverted)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OS 반도체소자(89)는 2개의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81),(82)가 존재한다. 트랜지스터(81)는 에미터로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71), 베이스로 P웰(68), 콜렉터로 N웰(67)을 갖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82)는 에미터로 P채널 FET의 소오스영역(74), 베이스로 N웰(67)을, 콜렉터로 P웰(68)을 갖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CMOS 인버터(89)가 정상 동작하면 트랜지스터(81),(82)는 오프(off)상태이며, 에미터-베이스의 PN접합에는 최소한의 누설전류만이 흐른다. 그러나 펄스(transient pulse )등이 가해질 경우, 웰내에 상당한 크기의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누설전류는 종전기술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웰콘택영역과 MOS FET의 소오스사이의 저항이 충분하게 높을 경우 0.6 volts 이상의 전압강하를 가져온다. 이 전압강하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 on)시킨다. 그러나 본발명에서는 제 1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5)을 N웰영역(67)내에 N웰콘택영역(76)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트랜지스터(82)의 에미터-베이스간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은 상당한 크기의 N웰누설전류가 존재하더라도 트랜지스터 (82)를 턴온(turn on)할 전압강하를 가져오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래치업을 유발시킬수 있는 임계(critical)전류인 션트전류(shunting current)크기를 증가된 N웰누설전류보다 크게 하여 래치업 발생을 억제 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2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6)을 P웰영역(68)내에 P웰콘택영역(75)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트랜지스터 (81)의 에미터-베이스간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은 상당한 크기의 P웰누설전류가 존재하더라도 트랜지스터 (81)를 턴온(turn on)할 전압강하를 가져오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래치업을 유발시킬수 있는 임계(critical)전류인 션트전류(shunting current)크기를 증가된 P웰누설전류보다 크게 하여 래치업 발생을 억제 한다. 상기에서 Rw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사이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저항이며, Rs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사이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저항이다.
제 1 과 2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5)(106)으로 트랜지스터 ((82), (81)의 에미터-베이스간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 Rw, Rs) 및 트랜지스터 ((82), (81)의 전류이득을 감소하여 각각 트랜지스터 ((82), (81)의 에미터-베이스 접합을 순방향으로 바이어스할수 없게 되며, 그 결과 래치업을 방지할 수있다.
래치업을 방지할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81),(82)의 전류이득의 적(product)을 1보다 적게하는 것이다.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서 콜렉터로의 래치업을 발생하는 전류는 베이스에서의 소수캐리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래치업은 이 전류를 줄임으로써 억제 할 수 있다. 소수캐리어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굼멜 수(Base Gummel Number)를 증가함으로서 감소된다. 즉 베이스 굼멜 수의 증가는 베이스의 소수캐리어밀도의 감소와 소수 캐리어와 다수 캐리어의 재결합가능성으로 소수캐리어 베이스 전류를 감소한다. 상기에서 제 1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5)과 제 2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6)은 각각 N웰과 P웰농도보다 약 10배이상의 높은 농도를 가지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굼멜 수(Base Gummel Number)를 증가하여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이득의 적을 1보다 적게하여 래치업 발생을 억제 한다.
도 3a 내지 도 3g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P형의 반도체 기판(51) 상에 소자의 활성영역(52)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53)을 실리콘국부산화(Local Oxidation of Silicon : 이하, LOCOS라 칭함) 방법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필드산화막(53)을 종래의 LOCOS방법, 또는 개량 LOCOS 방법이나, 실리콘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절연층을 매몰하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드산화막(53)의 두께는 3,000 내지 6,000Å 정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필드산화막(53)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51)상의 포토레지스트(101)가 패터닝되여 노출된 부분에 인(P)등의 N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한다. 상기에서 N형 불순물이온은 노출된 부분의 필드산화막(53)을 관통할 높은 가속전압으로 반도체기판(51)내에 주입되어 제1의 N형영역(5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N형 불순물인 인(P)의 이온주입은 300KeV 내지 700KeV 의 가속 전압, 도즈양은 2.0 E12 내지 2.0 E13 이다. 이온주입으로 인한 반도체 기판(51)내의 점결함등의 손상(damage)을 방지하고자 이온주입전에 버퍼산화막(buffer oxide)등을 형성하여 공정을 진행한다.
도 3c 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내에 주입된 제1의 N형영역(57)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51)상의 포토레지스트(102)가 패터닝되여 노출된 부분에 인(P)등의 N형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제 2의 N형영역(60)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의 N형영역(60)에 주입된 불순물이온은 200KeV 내지 300KeV의 가속 전압, 도즈양은 3.0 E13 내지 1.0 E14 이다. 제 1의 N형영역(57)에 주입된 불순물이온과 비교하면 이온 도즈양은 많으나 가속전압은 낮으므로, 제 2의 N형영역(60)은 제 1의 N형영역(57)위에 위치한다.
도 3d 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51)상의 포토레지스트(103)가 패터닝되여 노출된 부분에 보론(BF2)등의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한다. 상기에서 P형 불순물이온은 노출된 부분의 필드산화막(53)을 관통할 높은 가속전압으로 반도체기판(51)내에 주입되어 제1의 P형 영역(6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P형 불순물인 보론(BF2)의 이온 주입은 150KeV 내지 350KeV 의 가속 전압, 도즈양은 2.0 E12 내지 2.0 E13 이다.
도 3e 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내에 주입된 제 1의 P형 영역(63)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51)상의 포토레지스트(104)가 패터닝되여 노출된 부분에 보론(BF2)등의 P형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제 2의 P형 영역(66)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P형불순물이온은 120KeV 내지 250KeV의 가속 전압, 도즈양은 3.0 E13 내지 1.0 E14 이다. 제 1의 P형영역(63)에 이온주입된 불순물이온과 비교하면 이온 도즈양은 많으나 가속전압은 낮으므로, 제 2의 P형영역(66)은 제 1의 P형영역(63)위에 위치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제1, 2의 N형 영역(57,60)과 제 1, 2의 P형 영역(63,66)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51)을 약 1000℃이상의 웰 드라이브인 공정으로 제 1의 N형영역(57)과 제 1의 P형영역(63)이 확산되여 역경사(retrograde )프로파일(profile)로 접합깊이가 각각 약 1.5 내지 2.0 ㎛인 N웰영역(67)과 P웰영역(68)을 갖는 이중웰을 형성한다. 제 2의 N형영역(60)과 제 2의 P형영역(66)도 웰 드라이브인 공정시 확산되여 각각 N 웰영역(67)과 P 웰영역(68)내의 소정부에 웰농도, 구체적으로 N웰농도 와 P웰농도보다 약 10배이상 높은 제 1, 제 2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s) (105),106)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2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5)(106) 은 1.0E18 내지 3.0 E18 (원자/㎤ )의 농도이다. 상기에서 제 1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5)의 농도는 저농도인 N웰영역(67) 농도와 고농도인 N웰콘택인 영역(76)농도 사이의 농도로 최적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을 얻기 위하여 제 2의 N형영역(60)에 주입된 불순물이온의 도즈양을 변화하면서 얻을수 있다. 상기에서 제 2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6)의 농도는 저농도인 P웰영역(68) 농도와 고농도인 P웰콘택인 영역(75)농도 사이의 농도로 최적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을 얻기 위하여 제 2의 P형영역(66)에 주입된 불순물이온의 도즈양을 변화하면서 얻을수 있다. 상기에서 제1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5)과 제 2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buried impurity region,106)의 형성은 웰 드라이브인 공정후나 MOS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영역 형성전에 N형 불순물과 P형불순물을 이중웰 내의 소정부에 이온주입 및 후속 열처리공정(heat cycle)을 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N웰 및 P웰 영역(67)(68)상에 열산화방법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게이트절연막(69)을 형성하고, 이 게이트절연막(69)상에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한 후 사진-식각(photo-etch)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제 1 및 제 2 게이트(77)(78)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게이트(77)(78)을 N웰 및 P웰 영역(67)(68) 상의 제 1, 제 2의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5)(106)과 대응하지 않는 소정 부분에 형성한다. N웰 및 P웰 영역(67)(68)의 제 1 및 제 2 게이트(77)(78) 양측에 P형 및 N형 불순물을 높은 도우즈로 각각 이온 주입하여 P 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74)(73)과 N 채널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71)(72)을 형성한다. 이 때, P웰 및 N웰 영역(68)(67)내의 제 2 및 제 1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6)(105)과 대응하는 부분에도 P형 및 N형 불순물이 높은 도우즈로 주입되어 P웰 및 N웰 콘택영역(75)(76)도 각각 형성한다. 즉, N웰 영역(67) 내의 제 1 게이트(77) 양측에 P 채널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74)(73)을 형성할 때 P웰영역(68)내의 제 2 고농도 매립불순물영역(106)과 대응하는 부분에 P웰콘택영역(75)을 동시에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P웰영역(68)에 N 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71)(72)을 형성하면서 N웰 영역(67)내에 N웰콘택영역(76)도 형성한다.
그러므로 , 발명의 효과는 N웰내의 소정부에 고농도의 N형매립불순물영역으로 PNP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미터-베이스사이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을 낮게하여 래치업을 유발시킬수 있는 션트전류(shunting current)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 래치업을 방지한다. 또한 P웰내의 소정부에 고농도의 P형매립불순영역으로 NPN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미터-베이스사이의 션트저항(shunting resistance)을 낮게하여 래치업을 유발시킬수 있는 션트전류(shunting current)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 래치업을 방지한다. 그리고 웰내의 소정부에 고농도의 매립불순물영역으로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굼멜 수(Base Gummel Number)를 증가하여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이득의 적을 1보다 적게하여 래치업을 방지한다.

Claims (10)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의 제 1영역에 형성된 제 2도전형의 제 1웰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의 제 2영역에 형성된 제 1도전형의 제 2웰과,
    상기 제 1웰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제 2 도전형의 제 1콘택영역과,
    상기 제 2웰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2 MOS 트랜지스터와 제 1 도전형의 제 2콘택영역과,
    상기 제 1웰내에 상기 제 1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과,
    상기 제 2웰내에 상기 제 2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전형과 제 2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표면으로부터 0.25 내지 1.0 ㎛ 정도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웰과 제 2웰의 접합깊이가 1.5 내지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의 농도는 제2웰의 농도보다는 높으나, 제 2 콘택영역의 농도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의 농도는 제1웰의 농도보다는 높으나, 제 1 콘택영역의 농도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6. 제 1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제 2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제 1 콘택영역과 제 2 콘택영역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에 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상기 제 1 콘택영역를 갖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에 제 2 도전형의 제 1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웰내에 상기 제 1 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 영역과 상기 제 2 콘택영역를 갖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의 제 2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웰내에 상기 제 2 콘택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전형과 제 2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영역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표면으로부터 0.25 내지 1.0 ㎛ 정도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8.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웰과 제 2웰의 접합깊이가 1.5 내지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9.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의 농도는 제2웰의 농도보다는 높으나, 제 2 콘택영역의 농도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0.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도전형의 고농도불순물영역의 농도는 제1웰의 농도보다는 높으나, 제 1 콘택영역의 농도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KR1019980062565A 1998-12-30 1998-12-30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_ KR100275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565A KR100275962B1 (ko) 1998-12-30 1998-12-30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_
US09/290,891 US6309940B1 (en) 1998-12-30 1999-04-14 Latch-up resistant CMOS structure
US09/955,288 US6833592B2 (en) 1998-12-30 2001-09-19 Latch-up resistant CMOS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565A KR100275962B1 (ko) 1998-12-30 1998-12-30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936A true KR20000045936A (ko) 2000-07-25
KR100275962B1 KR100275962B1 (ko) 2001-02-01

Family

ID=1956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565A KR100275962B1 (ko) 1998-12-30 1998-12-30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_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309940B1 (ko)
KR (1) KR100275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1027B2 (en) 2004-05-18 2007-05-22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Latchup prevention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s and device using the same
CN110556373A (zh) * 2018-06-01 2019-12-10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整流器器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40812D1 (de) * 1999-03-15 2008-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Bipolar-Transistor und ein MISFET Halbleiter Bauelement
US6245609B1 (en) * 1999-09-27 2001-06-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High voltage transistor using P+ buried layer
JP3632607B2 (ja) * 2001-03-22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物の表現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乗物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表現動作を行う乗物
KR100431183B1 (ko) * 2001-12-20 200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US7825488B2 (en) 2006-05-31 2010-11-02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Isolation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s and modular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6855985B2 (en) * 2002-09-29 2005-02-15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Modular bipolar-CMOS-DMOS analog integrated circuit & power transistor technology
US20040100746A1 (en) * 2002-11-21 2004-05-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ilocon-controlled rectifier with dynamic holding voltage for on-chi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10300687A1 (de) * 2003-01-10 2004-07-22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 Halbleiterschaltung insbesondere Halbleiterspeicherschal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20050045952A1 (en) * 2003-08-27 2005-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fet-based esd protection strategy for improved external latch-up robustness
CN100372115C (zh) * 2003-09-01 2008-02-27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作为静电放电保护的硅控整流器的制造方法
KR100691002B1 (ko) * 2003-12-23 2007-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US7304354B2 (en) * 2004-02-17 2007-12-04 Silicon Space Technology Corp. Buried guard ring and radiation hardened isolation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US7002218B2 (en) * 2004-02-26 2006-02-2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ow capacitance ESD-protection structure under a bond pad
US7154724B2 (en) * 2004-03-29 2006-12-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Output buffer ESD protection using parasitic SCR protection circuit for CMOS VLSI integrated circuits
US7773442B2 (en) 2004-06-25 2010-08-1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mory cell array latchup prevention
US9842629B2 (en) 2004-06-25 2017-12-1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mory cell array latchup prevention
US7262111B1 (en) * 2004-09-07 2007-08-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 deep connection to a substrate or buried layer in a semiconductor device
US7081662B1 (en) * 2005-08-09 2006-07-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ESD prot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US7355250B2 (en) * 2005-09-08 2008-04-08 System General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with controllable holding current
US8278719B2 (en) * 2005-10-14 2012-10-02 Silicon Space Technology Corp. Radiation hardened isolation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US20080142899A1 (en) * 2006-08-04 2008-06-19 Silicon Space Technology Corporation Radiation immunity of integrated circuits using backside die contact and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s
JP5041760B2 (ja) * 2006-08-08 2012-10-0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TWI364798B (en) * 2008-03-21 2012-05-21 Vanguard Int Semiconduct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9202760B2 (en) 2012-06-26 2015-12-01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0038058B2 (en) 2016-05-07 2018-07-31 Silicon Space Technology Corporation FinFET device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9679888B1 (en) * 2016-08-30 2017-06-13 Globalfoundries Inc. ESD device for a semiconductor structure
US10410934B2 (en) * 2017-12-07 2019-09-1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having an interconnect extending from an upper conductive structure, through a hole in another conductive structure, and to an underlying structure
CN113410232A (zh) * 2021-06-15 2021-09-17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抑制闩锁效应的cmos集成电路芯片及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0570A (ja) 1981-09-28 1983-04-27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646124A (en) * 1984-07-30 1987-02-24 Sprague Electric Company Level shifting BIMOS integrated circuit
NL8600770A (nl) 1986-03-26 1987-10-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alfgeleiderinrichting.
US5023193A (en) * 1986-07-16 1991-06-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 Method for simultaneously fabricating bipolar and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s using a minimal number of masks
US4877748A (en) 1987-05-01 1989-10-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ipolar process for forming shallow NPN emitters
US5047357A (en) * 1989-02-03 1991-09-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emitters in a BiCMOS process
US5010034A (en) * 1989-03-07 1991-04-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MOS and bipolar fabrication process using selective epitaxial growth scalable to below 0.5 micron
JP2626289B2 (ja) * 1990-03-27 1997-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013671A (en) * 1990-06-20 1991-05-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 for reduced emitter-base capacitance in bipolar transistor
JPH05129558A (ja) * 1991-10-31 1993-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35290A (ja) * 1992-02-24 1993-09-10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4298B2 (ja) 1992-05-28 2001-07-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Cmos出力回路
US5342794A (en) * 1992-09-10 1994-08-30 Vlsi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laterally graded deposit-type emitter for bipolar transistor
US5384477A (en) * 1993-03-09 1995-01-2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MOS latchup suppression by localized minority carrier lifetime reduction
US5475335A (en) 1994-04-01 1995-12-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voltage cascaded charge pump
US5889315A (en) 1994-08-18 1999-03-3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two levels of buried regions
US5591655A (en) 1995-02-28 1997-01-0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switched-emitter structure with improved lateral isolation
US5608253A (en) * 1995-03-22 1997-03-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Advanced transistor structures with optimum short channel controls for high density/high performance integrated circuits
KR0171128B1 (ko) * 1995-04-21 1999-02-01 김우중 수직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US5966599A (en) * 1996-05-21 1999-10-12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low trigger voltag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and thick field device
KR100203306B1 (ko) * 1996-06-29 1999-06-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5831313A (en) * 1996-08-15 1998-11-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Structure for improving latch-up immunity and interwell isola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JP3013784B2 (ja) 1996-08-22 2000-02-28 日本電気株式会社 BiCMOS集積回路の製造方法
KR100290903B1 (ko) * 1998-02-25 2001-06-01 김영환 반도체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6225662B1 (en) * 1998-07-28 2001-05-01 Philips Semiconductors, Inc.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heavily doped buried breakdown region
US6069048A (en) * 1998-09-30 2000-05-30 Lsi Logic Corporation Reduction of silicon defect induced failures as a result of implants in CMOS and other integrated circuits
US6054344A (en) * 1998-10-30 2000-04-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OTP (open trigger path) latchup scheme using buried-diode for sub-quarter micron transistors
US6232165B1 (en) * 1998-12-09 2001-05-15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Buried guard ring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1027B2 (en) 2004-05-18 2007-05-22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Latchup prevention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s and device using the same
CN110556373A (zh) * 2018-06-01 2019-12-10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整流器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9940B1 (en) 2001-10-30
US20020063297A1 (en) 2002-05-30
US6833592B2 (en) 2004-12-21
KR100275962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962B1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_
US6445044B2 (en) Apparatus improving latchup immunity in a dual-polysilicon gate
US4434543A (en) Process for producing adjacent tubs implanted with dopant ions in the manufacture of LSI complementary MOS field effect transistors
US6246094B1 (en) Buried shallow trench isolation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6869840B2 (en) Compensated-well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s
JP2660056B2 (ja) 相補型mos半導体装置
US7718481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242071B1 (en) Semiconductor structure
US6815800B2 (en) Bipolar junction transistor with reduced parasitic bipolar conduction
US20020195665A1 (en) Novel umos-like gate-controlled thyristor structure for ESD protection
US4762802A (en) Method for preventing latchup in CMOS devices
US5268312A (en) Method of forming isolated wells in the fabrication of BiCMOS devices
US20030102512A1 (en) Vertical bipolar transistor formed using CMOS processes
US6232165B1 (en) Buried guard ring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070170517A1 (en) CMOS devices adapted to reduce latchup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76675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434806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5866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44306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255309B2 (ko)
JP315335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37252B1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585110B2 (ja) 相補型電界効果素子の製造方法
KR100247704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EP0138162A2 (en) CMOS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