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065A -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065A
KR20000044065A KR1019980060524A KR19980060524A KR20000044065A KR 20000044065 A KR20000044065 A KR 20000044065A KR 1019980060524 A KR1019980060524 A KR 1019980060524A KR 19980060524 A KR19980060524 A KR 19980060524A KR 20000044065 A KR20000044065 A KR 20000044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ignal
unit
amplifie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권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6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065A/ko
Publication of KR2000004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대화자중에 어느 한 명이 대화를 하게 되면 카메라 방향을 인위적으로 대화자 방향으로 조정하거나 카메라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결국 다른 화자가 말을 하게 되면 기계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카메라를 재차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수인 대화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한 명의 대화자가 발언을 할 때 해당하는 화자가 화상 표시되도록 하고, 복수의 대화자가 동시에 발언할 때에는 모든 대화자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여 원활한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대화자를 통한 화상회의에서 실질적인 대화자로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추적하여 대화가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한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회의 시스템이란, 카메라를 기존으로 화면을 합성, 분리 및 압축전송 등에 전용장비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한 회의 시스템으로 기업체, 또는 연구기관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이와같은 일반적인 화상회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믹서(1),음성증폭부(2),카메라부(3),영상증폭부(4),디스플레이(5) 및 전송부(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마이크 믹서(1)의 전단에는 다수 대화자의 음성을 독취하기 위한 마이크(A,B,C)가 연결되며 이 마이크(A,B,C)는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대화자 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음성증폭부(2)는 마이크믹서(1)로부터 입력된 대화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 후 후술될 전송부(6)로 인가한다. 카메라부(3)는 전방의 대화자의 화상을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받아 후술될 영상증폭부(4)로 인가한다. 영상증폭부(4)는 카메라부(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6)에 인가한다. 상기 전송부(6)는 음성증폭부(2) 및 영상증폭부(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3) 및 디스플레이(5)는 화상회의 동작에 따른 대화자의 음성 및 화상을 모니터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증폭부(2) 및 영상증폭부(5)의 후단에 접속된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A)의 전방에 있는 대화자가 말을 하면 그에따른 음성신호는 마이크믹서(1)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마이크믹서(1)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믹싱 동작을 통해 음성증폭부(2)로 인가된다. 이에 이 음성증폭부(2)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6)에 인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음성 픽업동작과 별도로 영상 픽업 동작도 발생한다. 즉, 카메라부(3)를 통해 촬상된 대화자의 화상은 영상증폭부(4)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영상증폭부(4)는 입력된 화상을 일정레벨로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6)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이 전송부(6)는 음성증폭부(2) 및 영상증폭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 후 외부의 전송망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대화자중에 어느 한명이 대화를 하게 되면 카메라 방향을 인위적으로 대화자 방향으로 조정하거나 카메라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결국 다른 화자가 말을 하게 되면 기계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카메라를 재차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인 대화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한 명의 대화자가 발언을 할 때 해당하는 화자가 화상 표시되도록 하고, 복수의 대화자가 동시에 발언할 때에는 모든 대화자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여 원활한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마이크(A,B,C)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믹싱 출력하는 마이크 믹서(10)와, 이 마이크믹서(10)로부터 음성신호를 판단하여 카메라의 회전 및 줌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제어부(20)와, 상기 마이크 믹서(10)로부터 믹싱된 음성신호를 재공받아 증폭 및 신호처리하는 음성증폭부(30)와,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제어시호를 인가받아 줌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부(50)와, 이 카메라부(5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는 영상증폭부(60)와,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카메라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카메라(50)의 회전을 제어하는 카메라회전부(55)와, 상기 음성증폭부(30) 및 영상증폭부(6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전송하는 전송부(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 믹서 20 : 카메라제어부
30 : 음성 증폭부 40 : 스피커
50 : 카메라부 55 : 카메라회전부
60 : 영상증폭부 70 : 디스플레이
80 : 전송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믹스(10), 카메라제어부(20),음성증폭부(30),스피커(40),카메라부(50),카메라회전부(55),영상증폭부(60),디스플레이(70),전송부(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 믹서(10)의 전단에는 다수 대화자의 음성을 독취하기 위한 마이크(A,B,C)가 연결되며 이 마이크(A,B,C)는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대화자 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음성증폭부(30)는 마이크믹서(10)로부터 입력된 대화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 후 후술될 전송부(80)로 인가한다. 카메라제어부(20)는 마이크믹서(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의해 마이크를 판단하여 후술될 카메라회전부(55)를 제어한다. 카메라회전부(55)는 카메라제어부(5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카메라부(5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 카메라부(50)는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줌 신호에 의해 화상 사이즈를 선택적으로 픽업한다. 영상증폭부(60)는 카메라부(5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80)에 인가한다. 상기 전송부(80)는 음성증폭부(30) 및 영상증폭부(6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40) 및 디스플레이(70)는 화상회의 동작에 따른 대화자의 음성 및 화상을 모니터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증폭부(30) 및 영상증폭부(60)의 후단에 접속된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개의 마이크(A,B,C)의 위치와 카메라부(50)의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데, 즉, 마이크(A)부터 마이크(C)까지의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마이크위치에 따른 카메라부(50)의 방향을 사전에 조정한다. 그리고 둘이상의 마이크에서 음성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부(50)가 회의장 전체를 비출 수 있도록 카메라부(50)의 줌 기능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이때, 이와같이 설정된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화상회의시 복수의 화자중 마이크(A)의 전방에 앉아있는 대화자가 발언을 할 경우 그에따른 음성신호는 마이크(A)를 통해 마이크 믹서(10)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마이크믹서(10)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카메라제어부(1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카메라부(50) 및 카메라회전부(55)에 각각 인가한다. 이때, 카메라회전부(55)가 회전동작에 의해 카메라부(50)를 대화자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카메라부(50)는 줌 기능에 의해 회의실 전체영역을 픽업하다 줌인(ZOOM IN) 동작에 실질적인 대화자만을 픽업한다.
그러면, 이 카메라부(50)로부터 픽업된 대화자의 화상신호는 영상증폭부(60)로 인가된다. 그러면 이 영상증폭부(60)는 입력된 화상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80)에 인가한다.
또한, 이와같은 영상신호 픽업과는 별개로 대화자의 음성은 마이크믹서(10)를 통해 음성증폭부(30)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음성증폭부(30)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80)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이 전송부(80)는 영상증폭부(60) 및 음성증폭부(30)로부터 인가된 화상 및 음성을 전송망을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40) 및 디스플레이(70)는 현재 전송되는 화상 및 음성을 모니터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이와같은 화상통신을 수행중에 마이크(A) 및 마이크(B)에 전방에 있는 대화자가 동시에 발언을 할 경우 그에따른 마이크(A) 및 마이크(B)로부터 픽업된 음성신호는 마이크 믹서(10)로 인가된다. 그러면 이 마이크믹서(10)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카메라제어부(1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카메라부(50) 및 카메라회전부(55)에 각각 인가한다. 이때, 카메라회전부(55)가 회전동작에 의해 카메라부(50)를 최초의 전방위치로 회전시키면 카메라부(50)는 줌 아웃에 의해 회의실 전체영역을 픽업한다.
그러면, 이 카메라부(50)로부터 픽업된 대화자의 화상신호는 영상증폭부(60)로 인가된다. 그러면 이 영상증폭부(60)는 입력된 화상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80)에 인가한다.
또한, 이와같은 영상신호 픽업과는 별개로 대화자들의 음성은 마이크믹서(10)를 통해 음성증폭부(30)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음성증폭부(30)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 및 신호처리하여 전송부(80)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이 전송부(80)는 영상증폭부(60) 및 음성증폭부(30)로부터 인가된 화상 및 음성을 전송망을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인 대화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한 명의 대화자가 발언을 할 때 해당하는 화자가 화상 표시되도록 하고, 복수의 대화자가 동시에 발언할 때에는 모든 대화자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여 원활한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마이크(A,B,C)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믹싱 출력하는 마이크 믹서(10)와;
    이 마이크믹서(10)로부터 음성신호를 판단하여 카메라의 회전 및 줌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제어부(20)와;
    상기 마이크 믹서(10)로부터 믹싱된 음성신호를 재공받아 증폭 및 신호 처리하는 음성증폭부(30)와;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제어시호를 인가받아 줌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부(50)와;
    이 카메라부(5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증폭 및 신호 처리하는 영상증폭부(60)와;
    상기 카메라제어부(20)로부터 카메라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카메라(50)의 회전을 제어하는 카메라회전부(55)와;
    상기 음성증폭부(30) 및 영상증폭부(6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전송하는 전송부(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KR1019980060524A 1998-12-30 1998-12-30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KR20000044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524A KR20000044065A (ko) 1998-12-30 1998-12-30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524A KR20000044065A (ko) 1998-12-30 1998-12-30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065A true KR20000044065A (ko) 2000-07-15

Family

ID=1956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524A KR20000044065A (ko) 1998-12-30 1998-12-30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0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42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용 단말기
KR100439698B1 (ko) * 2001-08-06 2004-07-12 주식회사 호스트이엔아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서의 화자 인식 방법
WO2009005928A3 (en) * 2007-06-29 2009-02-26 Microsoft Corp Techniques for detecting a display device
US10951859B2 (en) 2018-05-30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deoconferencing device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98B1 (ko) * 2001-08-06 2004-07-12 주식회사 호스트이엔아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서의 화자 인식 방법
KR20040003342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용 단말기
WO2009005928A3 (en) * 2007-06-29 2009-02-26 Microsoft Corp Techniques for detecting a display device
US8300080B2 (en) 2007-06-29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tecting a display device
US8614734B2 (en) 2007-06-29 2013-12-24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tecting a display device
US10951859B2 (en) 2018-05-30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deoconferenc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1842A1 (en) Stereoscopic audio to visual sound stage matching in a teleconference
US839066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all
JP2000270304A (ja) 多地点テレビ会議システム
WO2019225836A1 (ko) 복수 개의 영상회의용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회의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회의 서버 및 그 카메라 추적방법
JP5120020B2 (ja) 画像付音声通信システム、画像付音声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00044065A (ko)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장치
JP2006339869A (ja) 映像信号と音響信号の統合装置
KR20000044079A (ko)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방법
JPH0758859A (ja) 遠隔会議用情報送信装置及び情報受信装置
JP2011055103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195724B1 (ko) 화상회의 시스템에서의 영상카메라 조정방법 및 그 장치
JPS63197188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KR19980026645A (ko) 화상회의 시스템 및 카메라 제어 방법
KR100565184B1 (ko) 단체화상회의시스템의음량제어회로
JPH11234541A (ja) Tvカメラ用インカム装置
JPS6314588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JPH02228158A (ja) テレビ会議装置
JP461367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82150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S61224550A (ja) 音声会議装置における音質劣化防止方式
JP3041663B2 (ja) モニタテレビ付インターホン
JP4715526B2 (ja) 通話システム
JPH07193798A (ja) 映像音響通信装置
JPS6043954A (ja) 多地点間通信画像追従制御方式
JPH07226930A (ja) 通信会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