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372A -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 Google Patents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372A
KR20000038372A KR1019980053358A KR19980053358A KR20000038372A KR 20000038372 A KR20000038372 A KR 20000038372A KR 1019980053358 A KR1019980053358 A KR 1019980053358A KR 19980053358 A KR19980053358 A KR 19980053358A KR 20000038372 A KR20000038372 A KR 2000003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erminal
external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displ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부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5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372A/ko
Publication of KR2000003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3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8Electrodes intimately associated with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e.g. backing-plates for storage tubes or collecting secondary electrons
    • H01J29/085Anode plates, e.g. for screens of flat panel display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배면 기판과 전면 기판 양쪽 모두에서 형광 표시가 가능한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으로서, 조립 공정시, 측면판 위에 놓인 외부 단자와 전면 기판의 연결 단자가 정확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전면 기판을 이루는 투명한 기판 상에 표시부를 제외한 부분에 차광성을 갖는 절연층이 형성되고, 이 절연층 내에 복수의 투명한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이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의 중심부에는 조립 공정시 외부 단자의 선단부가 위치 조정되어 맞춰지는 조립 기준부가 소정의 크기를 유지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기판을 갖는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은, 조립 공정시, 조립 기준부에 의해 외부 단자를 전면 기판상에 정확한 연결하도록 하여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본 발명은 형광 표시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매의 판상에서 형광 표시가 모두 이루어지도록 한 양면 발광 형광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형광 표시관은, 캐소드인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배면 기판 상에 형성된 형광체로 유도되어 형광체를 발광시키고, 또한, 이 형광체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배면 기판을 대향한 전면 기판을 통해 나가면서 소정의 문자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광 표시관에 비해,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은,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 모두에 형광층이 패턴닝되어 사용자가 전면 기판을 통해서 양 기판에서 발광되는 패턴을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에서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에 형광층이 각기 형성됨에 따라, 상기 2매의 판 모두에는 상기 형광층으로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단자가 연결된다.
즉, 통상적인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기판(1)과 전면 기판(3) 사이에 측면판(5)을 개입하여 이들을 조립함으로써 구성되는데, 이의 개략적인 조립 단계는, 우선, 상기 배면 기판(1) 상에 형성된 연결 단자(7)에 맞추어 외부 단자(9)를 보유하는 리드 프레임을 상기 배면기판(1)에 장착하고, 이어 이 위로 상기 측면판(5)을 장착한 다음, 상기 측면판(5) 위로 역시 외부 단자(11)를 보유하는 다른 리드 프레임을 올려 놓고, 다시 이 위로 상기 전면기판(3) 상에 형성된 연결 단자(13)가 상기 외부 단자(11)에 맞도록 상기 전면 기판(3)을 올려 놓음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립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배면 기판(1) 상에 외부 단자(9)를 갖는 리드 프레임을 상기 배면 기판(1)의 연결 단자(7)에 맞추는 것은 별다른 어려움은 없으나, 상기 전면 기판(3)의 연결 단자(13)가 상기 외부 단자(9)에 맞도록 상기 전면 기판(3)을 상기 외부 단자(11)를 갖는 리드 프레임에 조립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것은 상기 전면 기판(3)의 연결 단자(13)가 통상 금속박막으로 형성되고 있어, 상기 전면 기판(3)의 상면에서 상기 연결 단자(13)의 아래에 있는 상기 외부 단자(11)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실개평 6-48155 에는 전면 기판의 연결 단자와 외부 단자의 위치 조합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을 개시하고 있다.
이의 기술에서는, 전면 기판에 형성된 연결 단자 중, 일부의 연결 단자를 투명하게 형성하여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의 조립 공정시, 상기 전면 기판의 밑으로 배치되는 외부 단자의 선단이 상기 일부의 연결 단자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공정의 용이함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상기 일부의 연결 단자를 일정한 틀로 외곽을 형성하고 이 틀의 내부를 단순히 투명하게 한 관계로, 조립 공정시, 상기 외부 단자의 선단이 이 연결 단자 내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없으나, 상기 외부 단자의 선단이 이 연결 단자의 중심에 정확이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쉽지 않은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의 조립 공정시, 전면 기판에 형성된 연결 단자에 상기 전면 기판으로 연결되는 외부 단자가 정확한 위치 선정을 용이하게 이루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용 전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기판과; 이 제1 기판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형성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와; 상기 제1 기판의 전면에 걸쳐 도포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기판과; 이 제2 기판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형성되는 제2 표시부와; 이 제2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표시부를 제외한 상기 제2 기판의 부분에 도포되는 제2 절연층과; 이 제2 절연층 내에 복수로 구비되는 투명한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와; 이 단자중 적어도 일부 단자 중심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고 구비되는 조립 기준부와; 상기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외부 단자와; 상기 제1,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봉착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투명한 기판상에 도전성 박막으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배선, 양극도체 및 복수의 연결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설정되는 표시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연결 단자와 이웃하는 복수의 투명한 외부 단자 연결용 단자가 형성되고, 이 단자 중, 적어도 일부 단자의 중심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조립 기준부가 형성되도록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양극 도체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형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용 전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기판의 제조 단계를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전면 기판에 형성되는 연결단자와 절연층의 형성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기준부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는 통상적인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광 표시관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면 기판(20) 및 전면 기판(22) 사이에 사방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면판(24)을 개재하여 이들을 봉착시켜 구성된 진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기판(20) 및 전면 기판(22) 양쪽 모두에서 각기 소정의 패턴으로 형광 표시를 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배면 기판(20)을 이루는 제1 기판(20a) 상에는 양극도체와 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20b)가 소정의 패턴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면 기판(22)을 이루는 제2 기판(22a) 상에도 역시 양극도체와 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2 표시부(22b)가 소정의 패턴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2 기판(20a,22a) 상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배선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배선층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1,2 표시부(20b,22b)로 상기 형광 표시관의 외부로부터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단자(20c,22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 형성된다.
이 때, 이 각각의 연결 단자(20c,22c)로는 외부 단자(20d,22d)가 연결되는 바, 이 외부 단자(20d,22d)는 상기 형광 표시관의 조립 공정시, 상기 연결 단자(20c,22c)의 사이 간격에 맞는 핏치를 갖고 이루어진 리드 프레임으로 각기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배면 기판(20) 측으로는, 캐소드 역할을 하는 복수의 필라멘트(20e)가 지지체(20f)에 의해 지지되어 제공되며, 도시하지 않는 메쉬 그리드가 상기 양 기판(20,22) 측에 각기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양 기판(20,22)으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차광성을 갖는 절연층(20g,22e)이 각기 제공되는 바, 이 때, 상기 배면 기판(20) 측으로 제공되는 제1 절연층(20g)은 상기 제1 기판(20a)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전면 기판(22) 측으로 제공되는 제2 절연층(22e)은, 상기 제2 표시부(22b)를 제외한 부분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기판(22a)의 사방 주변 테두리를 따라 도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형광 표시관에 있어, 상기 전면 기판(22)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22e)에는, 상기 형광 표시관의 조립 공정시, 상기 측면판(24)에 올려진 상기 외부 단자(22d)에 상기 연결 단자(22c)를 맞추어 상기 제1 기판(22a)을 조립할 때에, 이의 조립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기 위하여, 투명한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22f)가 형성된다.
이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22f)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판(22a)에 형성된 연결 단자(22c)의 사이 간격에 맞추어 이와 나란히 배열되면서 형성되며, 이의 형태는 외곽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꼴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22f)를 상기 연결 단자(22c)의 열에 맞추어 상기 기판(22a)의 양측단부 및 중심부에 각기 형성해 놓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상기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22f) 중에서, 적어도 일부 단자(22f)의 중심부에 소정의 크기는 조립 기준부(22g)를 더욱 형성해 놓고 있는 바, 이 조립 기준부(22g)는, 상기 제2 절연층(22e)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부위로서 이는 상기한 조립 공정시, 상기 외부 단자(22d)의 선단이 상기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22f)의 중심부에 정확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 기준부(22g)는, 상기 전면 기판(22)의 제조 공정시, 상기 제2 절연층(22e)을 형성할 때에 더불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기 전면 기판(22)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전면 기판(22)의 제조 단계를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전면 기판(22)의 제조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2 기판(22a)의 일면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성 박막을 도포하고, 에칭과 포토리쏘그라피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한 양극도체(22h), 배선층(22i) 및 연결 단자(22c)를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2 표시부(22b)를 제외한 상기 제2 기판(22a)의 사방 테두리로 흑색의 제2 절연층(22e)을 인쇄 도포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이 제2 절연층(22e)의 인쇄 패턴을 조정하여 상기한 외부 단자 연결용 단자(22f) 및 상기 조립 기준부(22g)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도 3a, 도 3b 참조)
여기서, 상기 조립 기준부(22g)의 형상은, 상기 제2 절연층(22e)의 인쇄 패턴에 따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고, 혹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원형을 분리한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 있다.
이어 상기 제2 절연층(22e)의 형성 단계가 끝나게 되면, 다음으로는 상기 양극도체(h)에 형광체를 인쇄법, 전착법 등으로 피착하여 형광층(22j)을 형성하고, 이어 도시되지 않은 메쉬 그리드를 접착하여 상기 전면 기판(22)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상기 전면 기판(22)을 사용하여, 상기 형광 표시관을 조립할 때에는, 상기 조립 기준부(22g)의 역할을 인하여 이의 조립 공정을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통상과 같이, 상기 배면 기판(22) 상에 상기 외부 단자(20d)를 조립하고, 이어 상기 측면판(24)을 상기 배면 기판(22) 상에 조립한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24)의 위로 상기 외부 단자(22d)를 갖는 리드 프레임(22'd)을 올려 놓게 된다.
이어, 상기 리드 프레임(22'd)의 위로 상기 전면 기판(22)을 올려 놓고, 투명한 상기 외부 단자 연결용 단자(22f)를 통해 상기 외부 단자(22d)를 보면서 이 외부 단자(22d)의 선단부가 상기 외부 단자 연결용 단자(22f)의 중심부 다시 말해, 상기 조립 기준부(22g)에 맞쳐지도록 상기 전면 기판(22)을 위치 조정하게 된다.(도 5 참조)
즉, 상기한 조립 단계에 있어서, 상기 조립 기준부(22g)로 인해 상기 외부 단자(22d)가 상기 외부 단자 연결용 단자(22f)의 중심부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게 되므로, 이의 조립 상태를 더욱 양호히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배면 기판(20), 측면판(24), 전면 기판(22)의 조립 공정이 끝나게 되면, 이후의 봉착 공정 및 배기, 에이징 공정을 거쳐 상기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은 최종 완성되어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은, 외관 형성을 조립 공정시 전면 기판의 절연층 부위에 형성된 투명한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와, 이 단자 중심부에 형성된 조립 기준부로 인해, 조립 상태의 양,불량 판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하며, 또한 정확한 조립을 이루도록 하여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Claims (3)

  1. 제1 기판과;
    이 제1 기판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형성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와;
    상기 제1 기판의 전면에 걸쳐 도포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기판과;
    이 제2 기판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형성되는 제2 표시부와;
    이 제2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표시부를 제외한 상기 제2 기판의 부분에 도포되는 제2 절연층과;
    이 제2 절연층 내에 복수로 구비되는 투명한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와;
    이 단자중 적어도 일부 단자 중심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고 구비되는 조립 기준부와;
    상기 외부 단자 조립용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외부 단자와;
    상기 제1,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봉착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기준부는 상기 제2 절연층의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3. 투명한 기판상에 도전성 박막으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배선, 양극도체 및 복수의 연결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설정되는 표시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연결 단자와 이웃하는 복수의 투명한 외부 단자 연결용 단자가 형성되고, 이 단자 중, 적어도 일부 단자의 중심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조립 기준부가 형성되도록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양극 도체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형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용 전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9980053358A 1998-12-07 1998-12-07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KR20000038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358A KR20000038372A (ko) 1998-12-07 1998-12-07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358A KR20000038372A (ko) 1998-12-07 1998-12-07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72A true KR20000038372A (ko) 2000-07-05

Family

ID=1956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358A KR20000038372A (ko) 1998-12-07 1998-12-07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83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167B1 (ko) 양면발광형 형광표시관
JP3892769B2 (ja) 表示装置
US4122376A (en) Multi-indicia fluorescent display tube
KR20000038372A (ko) 양면 발광형 형광 표시관
JPS62290050A (ja) 蛍光表示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06567B1 (ko) 양면발광형형광표시관
JP3481152B2 (ja) 両面発光形蛍光表示管の製造方法
KR100339071B1 (ko) 양면발광형 형광표시관 및 그의 제조방법
JP3164054B2 (ja) 両面発光形蛍光表示管
JPS5816134Y2 (ja) けい光表示管
JP2559554Y2 (ja) 両面発光形蛍光表示管
JP2000294177A (ja) 蛍光表示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54678Y2 (ko)
KR920000071B1 (ko) 전면발광형 형광표시관의 제조방법
JPS603487Y2 (ja) 螢光表示管用基板装置
US20030164687A1 (en) Fluorescent luminous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2203475A (ja) 電子源基板、電子源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源基板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H0831349A (ja) 蛍光表示管
JPS6129056A (ja) ドツトマトリクス螢光表示管
JPH0722849Y2 (ja) 蛍光表示装置
JP2513389B2 (ja) カラ―シフト蛍光表示管
JP2768083B2 (ja) 蛍光表示管
JPH0836975A (ja) けい光表示管の電極構造
KR100334022B1 (ko) 형광표시관의 표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 패턴을 갖는 형광표시관
KR200225270Y1 (ko) 형광 표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